KR20050112257A - 차음, 축열, 습도조절을 할 수 있는 복합 차음 판재 - Google Patents

차음, 축열, 습도조절을 할 수 있는 복합 차음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257A
KR20050112257A KR1020040037191A KR20040037191A KR20050112257A KR 20050112257 A KR20050112257 A KR 20050112257A KR 1020040037191 A KR1020040037191 A KR 1020040037191A KR 20040037191 A KR20040037191 A KR 20040037191A KR 20050112257 A KR20050112257 A KR 20050112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insulation
charcoal
insulation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승복
Original Assignee
(주)와이드진
라승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드진, 라승복 filed Critical (주)와이드진
Priority to KR1020040037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2257A/ko
Publication of KR20050112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25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25Stairways having stri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2011/0203Miscellaneous features of stair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0205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 E04F2011/0209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main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 및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바닥 충격음 및 바닥축열기능, 습도 조절을 할 수 있는 것으로, 공동주택등의 층간에서 발생되는 경량음 및 중량음등을 효과 적으로 대처하고, 소음으로부터 각 거주자의 생활 편의를 도모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1단계층: ABS, PP등의 강화 플라스틱 및 이와 유사한 강도의 사출재료를 사용하며
2단계층: 차음시트로는 탄성세라믹 레버 차음매트,
3단계층: 충진재로는 축열 및 흡음을 할 수 있는 참숯 및 광물질(숯, 제올라이트, 질석등)의 혼합용 충진재를 사용하며, 구조적으로 공기층을 두어 단열및 축열, 차음등을 효과적으로하는 축열 차음판으로 이루어진 구조체로 이루어졌다

Description

차음, 축열, 습도조절을 할 수 있는 복합 차음 판재{3X soundproof pannel}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차음시트, 이를 사용한 바닥 완충재 및 차음보드, 및 이러한 재료들을 사용한 개선된 뜬 바닥 구조 및 벽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경량충격음 및 중량충격을 차단 및 저감시키기 위한 바닥완충제 및 차음 보드의 개발 및 바닥 완충구조 및 벽체 구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주택, 공공시설 등의 바닥 구조에 있어서, 충격음은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으로 구분되며, 경량충격음은 동전 떨어지는 소리 또는 하이힐의 따각거리는 소리 등으로서 기존의 차음재로도 충격음 저감이 가능한 것이지만, 중량충격음은 아이들이 뛰노는 등의 둔탁한 소리이며 기존의 차음제와 기존의 바닥구조로는 중량충격음의 저감이 어려운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 및 공공시설 등의 바닥구조에는 차음, 방진을 목적으로 여러 가지 무기재료, 유기재료, 고분자 등을 재료로 하는 바닥 완충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재료들이 있다.
-아스팔트 함침종이 위해 탄산칼슘, 클레이, 활석, 벤토나이트, 황산바륨을 주성분으로 한 바라이트 등의 무기 충전제를 배합한 EVA등의 합성수지 조성물
-섬유상 펠트 위에 기능성 충전제를 배합한 고무 부착물
-폴리스티렌, PVC, EVA 등의 플라스틱재료에 발포제를 가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발포시켜 만든 다공성의 폴리스티렌포옴, EVA 포옴, PVC 포옴
-코르크와 고무재를 혼합한 복합제
-석고보드, 암면 등의 무기재료 등.
그러나 이들 재료들은 차음성능, 시공성, 경제성 등의 문제에서 상당한 취약성을 드러내어 실용화에 어려움을 갖는다. 예컨대, 생산코스트가 고가이거나 단열과 차음·방진효과를 원하는 만큼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다. 최근 많이 주목을 받고 있는 폐타이어칩의 경우, 폐자재를 활용한다는 측면에서는 대단한 가치가 있으나 고무의 입자나 밀도가 일정하지 않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경화현상과 탄화현상이 발생하여 탄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생기므로 바람직한 단열, 차음·방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당해 기술 분야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복합 재료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부층 바닥충격으로 인해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바닥충격음은 상부층의 뜬바닥 구조 시공을 통해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뜬바닥 구조는 상기의 종래 바닥 충격음 완충재를 바닥 슬래브 상부에서 설치 한 후 경량 기포 콘크리트 및 마감 몰탈을 시공하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뜬바닥 구조에 의해서는 경량충격음의 차단성능은 우수하지만, 중량충격음 차단성능은 그다지 개선되지 않았다.
국내 주거 환경에 있어서 바닥충격음으로서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대부분 중량충격음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중량충격음 차단에 대한 개선 대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바닥충격음은 상부층의 바닥판의 진동은 물론 하부층의 벽체로 전달되어 실내의 공기음으로 전파된다. 벽체를 통해 전달되는 바닥충격음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 중량충격음은 벽체에 의해서 약 28.8~45.0%, 경량충격음의 경우에는 46.8~63.7%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벽체로 전달되는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차음재료의 개발 및 벽체 구조에 대한 개선도 아울러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바닥완충재들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차음 성능이 우수하고, 시공성 및 경제성이 개선된 새로운 차음시트, 바닥 충격음 완충재 및 차음 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닥 충격음 완충재 또는 차음 보드를 사용하여 기존의 뜬바닥 구조 또는 벽체 개선을 개선하고, 중량 충격음 차단성능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뜬바닥 구조 및 차음벽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건교부 고시 제 28조(표준바닥구조용 완충재의 성능평가항목 및 기준) 별표 5의 바닥구조에 사용하는 바닥설치용 완충재의 경우 다음 각호에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야하며, 벽에 설치하는 측면 완충재는 동탄성 계수 150MN/㎥이하, 두께 5밀리미터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1.밀도는 KS M ISO 845에서 정하고 있는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여야 하며, 시험 결과에는 완충재의 구성 상태나 형상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야 한다.
2.동탄성계수와 손실계수는 KS F 2868에서 정하고 있는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 동탄성계수는 40MN/㎥ 이하, 손실계수는 0.1내지 0.3의 범위내이어야 한다.
3.흡수량은 KS M ISO 4898에서 정하고 있는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 4%v/v 이하이거나 현장 적용시 물이 침투되지 않는다는 것이 보장(시공방법의 제시를 포함한다)되어야 한다.
4.가열 후 치수안정성은 KS M ISO 4898에서 정하고 있는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 5퍼센트 이하이어야 한다.
5. KS M ISO 4898에서 정하고 있는 치수안정성 시험방법(70 ,48시간 가열)에 따라 가열하고 난 후 완충재의 동탄성계수는 가열하기 전 완충재의 동탄성계수보다 20퍼센트를 초과하여서는 아니되며, 손실계수는 0.1내지 0.3의 범위내이어야 한다.
상위 조건의 층간차음제를 시공성, 경제성이 개선된 구조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음, 축열, 습도조절을 할 수 있는 복합 차음 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열차음판재는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플라스틱계몰딩, 예를 들어 PP, ABS,등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 조성물을 만들고, 고무합성레버에 500mesh 이상의 참숯 powder와 신소재인 흑체를 400mesh 이상의 미분으로 첨가하여 탄성력이 우수한 레버를 만들고, 충진제로는 magnetite, 천연 carbon, 맥반석 powder, 특허출원 10-2003-0002841의 방법으로 조성물을 만들고, 이를 조립하는 복합 축열차음판재로 가공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용 복합 차음판재의 특징을 다음과 같다.
1.도면1
-도100: 프라스틱(ABS, PP, PE) 및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한 망사체형
조성물 뚜껑으로 하며, 타공홀은 메쉬망체의 역할을 한다.
또한 벽체용 차음 조습용일 경우는 도100 부분을 불연재인 질석 및
참숯, 맥반석, 황토를 첨가하며 무기바인더를 사용하여 불연층을 둔다.
-도200: 차음시트는 합성고무를사용하며, 폐타이어등을 200mesh 이상으로 분쇄하고 500mesh 이상의 참숯(탄소 함유량 90%이상)를 첨가하여 강도 및 탄성력을 높이는 차음시트.
-도300: 다기능성 참숯 볼(펠렛포함)을 첨가하여 축열성능을 유지하고,
다공질인 숯, 제올라이트, 맥반석등을 이용한 다공질 충진제를 사용하
여, 원적외선 방사로 인한 열전도 및 단열성능을 유지하고, 각종 성인병등을 예방하고, 방음, 흡음, 탈취, 항균,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400: 프라스틱(ABS, PP,PE,)의 소재를 이용하며,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체를 만드는데 있고, 구조상 난좌모양으로 하며, 충격음을
하단의 중심으로 모아서 분산을 하며, 하단에 타공을 하여 충진재에
공기가 통할수 있는 구조로 하며, 역삼각형의 모양으로 공기층을 두어
효과 적인 차음 및 단열성능을 향상시킨다.
-도500: 세라믹 탄소 탄성체는 구조상 충격음을 하단으로 모아서 분산하는 역할을 하며, 강도 및 탄성력을 구성하여 효과적인 차음을 이루는 것에 있다.
2.도면2
-도101: 마감 몰탈(방통)
-도201: 난방관
-도301: 축열차음판재이며, 상위에서 서술한 프라스틱 구조체에 다공질의
충진재를 고용화한 구조체.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대체한다.
-도401: 바닥 뜬구조의 형상이며, 공기층을 두어 차음 및 단열효과를
극대화 하며, 슬라브 위에 간단히 조립하여, 공기단축 및 비용절감을
하는 구조로 한다.
-도501: 슬라브
3.도면3: 입체도
4.도면4: 조립도
이상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구조적인 형상으로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대체하며, 차음 및 단열, 흡음, 단열등을 효과적으로 하고, 참숯 및 다공질의 천연소재의 원적외선 방사 원리로 에너지 절감 및 축열효과를 극대화 하고, 콘크리트 독소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시크하우스등의 현대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흡음, 단열, 탈취, 항균등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며, 또한 시공의 간편성으로 누구나 설치를 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음, 축열, 습도 조절을 할 수 있는복합 차음 판재로 제공된다.
도면 1은 본발명의 내부 상세 구조
도면 2는 시공시
도면 3
도면 4

Claims (3)

  1. -도100: 프라스틱(ABS, PP,PE,)및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한 망사체형
    조성물 뚜껑으로 하며, 타공홀은 메쉬망체의 역할을 한다.
    또한 벽체용 차음 조습용일 경우는 도100 부분을 불연재인 질석및
    참숯, 맥반석, 황토를 첨가하며 무기바인더를 사용하여 불연층을 둔다.
    -도200: 차음시트는 합성고무를사용하며, 폐타이어등을 200mesh 이상으 로 분쇄하고 500mesh 이상의 참숯(탄소 함유량 90%이상)를 첨가하여 강 도 및 탄성력을 높이는 차음시트.
  2. -도300: 다기능성 참숯 볼(펠렛포함)을 첨가하여 축열성능을 유지하고,
    다공질인 숯, 제올라이트, 맥반석등을 이용한 다공질 충진제를 사용하
    여, 원적외선 방사로 인한 열전도 및 단열성능을 유지하고, 각종 성인 병등을 예방하고, 방음, 흡음, 탈취, 항균, 등을 제공할 수있도록 한 다.
    -도400: 프라스틱(ABS, PP, PE)의 소재를 이용하며,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체를 만드는데 있고, 구조상 난좌모양으로 하며, 충격음을
    하단의 중심으로 모아서 분산을 하며, 하단에 타공을 하여 충진재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구조로 하며, 역삼각형의 모양으로 공기층을 두어
    효과 적인 차음 및 단열성능을 향상시킨다.
    -도500: 세라믹 탄소 탄성체는 구조상 충격음을 하단으로 모아서 분산하 는 역할을 하며, 강도 및 탄성력을 구성하여 효과적인 차음을 이루는
    것에 있다.
  3. -도301: 축열 차음판재며, 상위에서 서술한 프라스틱 구조체에 다공질의
    충진재를 고용화한 구조체.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대체한다.
    -도401: 바닥 뜬구조의 형상이며, 공기층을 두어 차음 및 단열효과를
    극대화 하며, 슬라브 위에 간단히 조립하여, 공기단축 및 비용절감을
    하는 구조로 한다.
KR1020040037191A 2004-05-25 2004-05-25 차음, 축열, 습도조절을 할 수 있는 복합 차음 판재 KR20050112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191A KR20050112257A (ko) 2004-05-25 2004-05-25 차음, 축열, 습도조절을 할 수 있는 복합 차음 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191A KR20050112257A (ko) 2004-05-25 2004-05-25 차음, 축열, 습도조절을 할 수 있는 복합 차음 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257A true KR20050112257A (ko) 2005-11-30

Family

ID=3728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191A KR20050112257A (ko) 2004-05-25 2004-05-25 차음, 축열, 습도조절을 할 수 있는 복합 차음 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22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84B1 (ko) * 2007-01-23 2007-04-13 박용운 공동주택용 층간 소음방지 구조
KR20190056026A (ko) * 2017-11-16 2019-05-24 문성철 항균성, 항곰팡이성, 고강성 및 난연성 고무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595B1 (ko) * 2018-04-09 2019-09-05 조원대 충격음 저감용 고밀도 복합소재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84B1 (ko) * 2007-01-23 2007-04-13 박용운 공동주택용 층간 소음방지 구조
KR20190056026A (ko) * 2017-11-16 2019-05-24 문성철 항균성, 항곰팡이성, 고강성 및 난연성 고무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595B1 (ko) * 2018-04-09 2019-09-05 조원대 충격음 저감용 고밀도 복합소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641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20060099838A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100783117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KR100308254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KR100695613B1 (ko) 층간의 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0860061B1 (ko) 소음차단제
KR200433755Y1 (ko)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KR20050112257A (ko) 차음, 축열, 습도조절을 할 수 있는 복합 차음 판재
KR20180025420A (ko) 차음 및 흡음 성능이 향상된 복합몰탈을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공법
KR200331857Y1 (ko)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층간소음방지재
KR100666875B1 (ko) 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용 방음,방진 완충보드
KR200396557Y1 (ko) 진동 감쇄를 위한 바닥난방구조
KR101979346B1 (ko)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구조물
KR100806728B1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KR20060127511A (ko)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CN115596106A (zh) 一种阻抗复合吸隔声板及其制备方法
KR200366651Y1 (ko) 층간 소음방지재
KR200359989Y1 (ko) 층간 소음 방지재의 적층구조
KR200401924Y1 (ko) 건축물용 층간소음 저감패널
KR20120001159A (ko) 층간차음바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층간차음구조
KR200416333Y1 (ko) 공동주택 층간바닥의 진동소음차단 구조
KR200387009Y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200376033Y1 (ko) 소음 방지재
KR102537106B1 (ko) 개선된 설치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 시스템
CN210194935U (zh) 一种楼板减振隔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