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434A -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434A
KR20050111434A KR1020040036139A KR20040036139A KR20050111434A KR 20050111434 A KR20050111434 A KR 20050111434A KR 1020040036139 A KR1020040036139 A KR 1020040036139A KR 20040036139 A KR20040036139 A KR 20040036139A KR 20050111434 A KR20050111434 A KR 20050111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virtual
data structure
virtual workspace
work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6982B1 (ko
Inventor
윤성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6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982B1/ko
Priority to EP05103399A priority patent/EP1598736A3/en
Priority to CNB2005100709644A priority patent/CN100343790C/zh
Priority to US11/132,453 priority patent/US7451406B2/en
Priority to JP2005148803A priority patent/JP2005332408A/ja
Publication of KR2005011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2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 B23Q15/26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of angular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 B23Q5/40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by feed shaft, e.g. lead scre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2Manipulating data structure, e.g. compression, compaction, compi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3Generating database or data structure, e.g. via user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4Object-oriented database structure
    • Y10S707/99945Object-oriented database structur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에 대한 제1 자료구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자료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각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에 대한 제2 자료구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모든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공유 윈도우에 대한 제3 자료구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작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자료구조, 상기 제2 자료구조 및 상기 제3 자료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 및/또는 상기 공유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다수의 가상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가상 작업공간의 구현을 위한 자료구조를 간소화하여 가상 작업공간 간의 이동을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가상 작업공간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DISPLAY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FOR VIRTUAL WORKSPACE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가상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가상 작업공간의 구현을 위한 자료구조를 간소화하여 가상 작업공간 간의 변환을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수행하며, 가상 작업공간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는 고성능화 및 고용량화 되어 가고, 이에 따라 컴퓨터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영역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컴퓨터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영역의 확대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더욱 가속화 되어 가고 있다. 예컨대, 문서 작성을 위한 워드 프로세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정보의 검색, DVD(Digital Versatile Disc) 드라이브나 TV 수신카드 등을 통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의 제공 등 컴퓨터가 제공하는 작업영역은 무궁하다.
한편, 컴퓨터는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어 다양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그 물리적인 크기의 제한으로 인하여 많은 윈도우를 한꺼번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혼란스럽고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워드 프로세서, DVD 재생 프로그램, 인터넷 검색 등의 많은 업무를 한꺼번에 수행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제약을 받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에 많은 윈도우를 활성화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컴퓨터의 사양이 이를 충분히 뒷받침해 주더라도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많은 윈도우들로 인한 복잡성으로 사용자에게는 불편함을 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크린 상의 많은 윈도우들로 인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현재 사용하지 않을 윈도우를 제거하는 등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을 정리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의 물리적인 크기의 제약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가상 작업공간(Virtual workspace) 또는 가상 데스크탑(Virtual Desktop) 개념이다. 이는 하나의 물리적인 디스플레이장치를 다수개의 가상 작업공간으로 구분하고, 이 가상 작업공간 중 선택된 하나의 가상 작업공간을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고 다른 가상 작업공간 상에 존재하는 윈도우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활성화되어 있는 윈도우라도 그 윈도우가 속한 가상 작업공간에 따라 표시 여부를 결정하는 개념이다.
여기서, 가상 작업공간의 활용에 있어, 사용자는 각 가상 작업공간 간의 빠르고 안정적인 이동, 즉 가상 작업공간을 운영하는데 있어 사용하는 시스템 리소스나 메모리 용량을 최소화 하면서도,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가상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가상 작업공간의 구현을 위한 자료구조를 간소화하여 가상 작업공간 간의 이동을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가상 작업공간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가상 작업공간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에 대한 제1 자료구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자료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각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에 대한 제2 자료구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모든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공유 윈도우에 대한 제3 자료구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작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자료구조, 상기 제2 자료구조 및 상기 제3 자료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 및/또는 상기 공유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자료구조는 상기 윈도우가 속하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윈도우의 상기 가상 작업공간 상의 배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자료구조는 상기 윈도우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 작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가상 작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바와,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가상 작업공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윈도우 이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이동바를 클릭하는 단계와;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의 상기 윈도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대해 이동하고자 하는 가상 작업공간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자료구조를 상기 이동하고자 하는 가상 작업공간에 대응하여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마우스 온 바를 포함하고, 상기 각 가상 작업공간에 대응하는 스크린 상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마우스 온 바를 클릭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상에 커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커서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 상의 영역들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된 것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 및/또는 상기 공유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 및/또는 상기 공유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을 알리는 작업공간표시를 스크린 상에 소정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복수의 가상 작업공간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스크린을 갖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에 대한 제1 자료구조와, 상기 제1 자료구조에 기초하고 상기 각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에 대한 제2 자료구조와, 상기 모든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공유 윈도우에 대한 제3 자료구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가상 작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자료구조, 상기 제2 자료구조 및 상기 제3 자료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 및/또는 상기 공유 윈도우를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자료구조는 상기 윈도우가 속하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윈도우의 상기 가상 작업공간 상의 배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자료구조는 상기 윈도우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바와,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가상 작업공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윈도우 이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이동바가 클릭된 상태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가상 작업공간의 상기 윈도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대해 이동하고자 하는 가상 작업공간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자료구조를 상기 이동하고자 하는 가상 작업공간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마우스 온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우스 온 바가 클릭되는 경우, 상기 스크린 상에서 커서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커서가 상기 스크린 상에서 상기 각 가상 작업공간에 대해 기 설정된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 및/또는 상기 공유 윈도우를 상기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 및/또는 상기 공유 윈도우를 상기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을 알리는 작업공간표시를 스크린 상에 소정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20)와, 데이터 저장부(11)와 제어부(12)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부(1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0)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스크린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0)는 컴퓨터 본체부(1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스크린 상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DLP(Digital Lighting Processing) 방식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1)에는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윈도우에 대한 제1 자료구조(DS1)와, 제1 자료구조(DS1)에 기초하여 각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에 속하는 윈도우에 대한 제2 자료구조(DS2)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11)에는 모든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에 속하는 공유 윈도우에 대한 제3 자료구조(DS3)가 저장된다.
제어부(12)는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0)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부(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에 속하는 윈도우 및/또는 공용 윈도우를 데이터 저장부(11)에 저장된 제1 자료구조(DS1), 제2 자료구조(DS2) 및 제3 자료구조(DS3)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0)의 스크린 상에 표시함으로써, 다수의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관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체화한 제어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컴퓨터 본체부(10)는 중앙처리장치인 CPU(13)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5)와, 메인 메모리인 램(14)과, 디스플레이부(20)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그래픽 컨트롤러(17)와,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사용자 입력부(16) 및 이들을 연결하는 시스템 버스(18)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2)는 컴퓨터 본체부(10)의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것을 일 예로 하며, 따라서, 제어부(12)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5)에 저장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어부(12)를 실행하는 경우, CPU(13)는 제어부(12)를 램(14)에 상주시켜 실행함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11)는 램(14)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저장부(11)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2)가 실행되는 경우, 제1 자료구조(DS1), 제2 자료구조(DS2) 및 제3 자료구조(DS3)를 램(14)에 임시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12)가 종료되는 경우 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11)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5)와 같은 보조 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용 윈도우에 대한 제3 자료구조(DS3)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5)에 별도로 저장하고 제어부(12)가 실행되는 경우 램(14)에 임시 저장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어부(12)를 실행할 때마다 공용 윈도우를 재차 등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2)가 4개의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지원하는 경우, 각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부(12)를 실행시키는 경우, 제어부(12)는 4개의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생성한다. 여기서, 각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각각 제1 가상 작업공간(VWS1), 제2 가상 작업공간(VWS2), 제3 가상 작업공간(VWS3) 및 제4 가상 작업공간(VWS4)으로 임의로 정의하는 경우, 제1 가상 작업공간(VWS1) 상에서 실행되어 표시되는 윈도우를 제윈도우 1-1, 윈도우 1-2 및 윈도우 1-3으로 정의할 수 있고, 제2 가상 작업공간(VWS2), 제3 가상 작업공간(VWS3) 및 제4 가상 작업공간(VWS4) 상에서 실행되어 표시되는 윈도우에 대하여도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자료구조(DS1), 제2 자료구조(DS2) 및 제3 자료구조(DS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자료구조(DS1)는 자신이 속하는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2 자료구조(DS2)가 제1 자료구조(DS1) 상의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에 소속되는 윈도우에 대한 제1 자료구조(DS1)를 관리한다.
또한, 제1 자료구조(DS1)는 윈도우의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 상의 배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이 디스플레이부(20)에 디스플레이될 때,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 상에서의 각 윈도우의 배열이나 배치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제1 자료구조(DS1)는 윈도우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이 디스플레이부(20)에 디스플레이될 때, 스크린 상에 윈도우를 활성화시키거나 작업표시줄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료구조(DS1)는 C++과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를 이용하여 아래의 WINDOWHANDLE과 같이 간략히 정의될 수 있으며, 제2 자료구조(DS2)는 각 윈도우에 대한 하나의 제1 자료구조(DS1)를 통해 소속된 윈도우를 관리하게 된다.
typedef struct
{
HWND Handle; // 윈도우 핸들
CStringClassName; // 윈도우 클래스 이름
CStringCaption; // 윈도우 캡션
BYTE State; // 소속 가상 작업공간에 대한 데이터
BYTE IsAvailable; // 활성화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
BYTE Num; // 배열에 대한 데이터
} WINDOWHANDLE;
여기서, 제3 자료구조(DS3)에 속하는 공용 윈도우에 대하여는 BYTE State에 기 설정된 특정 문자 예컨대 "0"을 부여함으로서, 모든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에 소속됨을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자료구조(DS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료구조(DS1)에 기초하여 자신에 속하는 윈도우에 대한 제1 자료구조(DS1)를 관리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30)는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바(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에 대응하는 다수의 선택바(31)가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사용자는 마우스 등의 사용자 입력부(16)를 통해 선택바(3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서, 디스플레이부(20)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선택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상 작업공간(VWS1)이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현재 작업공간 - Space 1"과 같이 텍스트가 표시창(32)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30)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팝업메뉴(33)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메뉴(33)에는 윈도우 이동바(33a)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윈도우 이동바(33a)를 클릭하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 상에 활성화되어 있는 윈도우를 현재 표시되지 않는 다른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윈도우의 이동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 관리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컴퓨터 본체부(10)에 제어부(12)가 설치된 상태(S10)에서 사용자가 제어부(12)를 실행시키는 경우(S11), CPU(13)는 제어부(12)를 램(14)에 상주시켜 실행시키고, 제어부(12)는 디스플레이부(2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30)를 표시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2)는 미리 설정된 개수의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에 대한 제2 자료구조(DS2)를 생성한다(S12). 여기서, 제어부(12)가 실행되기 전에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어 있던 윈도우들은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 중 어느 하나,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가상 작업공간(VWS1)에 속하는 윈도우들로 임의로 결정한다.
이 때,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0)를 통해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S13), 제어부(12)는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이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가상 작업공간(VWS1), 즉, 제1 가상 작업공간(VWS1)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여기서,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이 제1 가상 작업공간(VWS1)과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2)는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가상 작업공간(VWS1)을 유지한다(S15).
반면,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이 제1 가상 작업공간(VWS1)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제2 가상 작업공간(VWS2)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2)는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가상 작업공간(VWS1) 상의 윈도우들에 대한 제1 자료구조(DS1)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16).
그리고, 제어부(12)는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VWS2)에 속하는 윈도우들에 대한 제1 자료구조(DS1)로 로드한다(S17).
그런 다음, 제어부(12)는 공용 윈도우에 대한 제3 자료구조(DS3)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18). 여기서, 제어부(12)는 공용 윈도우에 대한 제3 자료구조(DS3)가 존재하는 경우,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VWS2)에 속하는 윈도우들과 공용 윈도우를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VWS2) 상에 디스플레이한다(S19).
반면, 공용 윈도우에 대한 제3 자료구조(DS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는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VWS2)에 속하는 위도우만을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VWS2) 상에 디스플레이한다(S2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윈도우에 대한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 간의 이동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이 제1 가상 작업공간(VWS1)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가상 작업공간(VWS1)이 디스플렝되어 있는 상태(S30)에서, 사용자는 커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30)의 일 영역으로 위치시키고,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다. 이 때, 제어부(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에 팝업메뉴(33)를 활성화시킨다(S31).
그런 다음, 사용자는 마우스 왼쪽 버튼을 클릭하여 윈도우 이동바(33a)를 선택한다(S32). 그리고, 마우스를 조작하여 커서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윈도우의 일 영역, 예컨대, 좌측 상단에 위치시킨 다음, 마우스 왼쪽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이동시키고자 하는 윈도우를 선택한다(S33). 이 때, 사용자가 마우스 왼쪽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선택하기 위한 팝업메뉴(40)가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는 마우스의 왼쪽 버튼을 클릭한 상태로 커서를 이동시켜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S34).
여기서, 제어부(12)는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이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제1 가상 작업공간(VWS1)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35). 여기서,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과 제1 가상 작업공간(VWS1)이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2)는 윈도우를 제1 가상 작업공간(VWS1) 상에 유지시킨다(S36).
반면,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이 제1 가상 작업공간(VWS1)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선택된 윈도우를 제2 가상 작업공간(VWS2)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2)는 선택된 윈도우가 공용 윈도우인지 여부를 검사한다(S37). 여기서, 선택된 윈도우가 공용 윈도우인 경우, 제어부(12)는 윈도우를 제1 가상 작업공간(VWS1) 상에 유지시킨다(S36).
반면, 선택된 윈도우가 공용 윈도우가 아닌 경우, 제2 가상 작업공간(VWS2)에 대응하도록 선택된 윈도우에 대한 제1 자료구조(DS1) 및 제2 자료구조(DS2)를 변경한다(S38). 그런 다음, 제어부(12)는 제1 작업공간에 대한 제2 자료구조(DS2)에서 선택된 윈도우에 대한 제1 자료구조(DS1)를 제거한다(S39). 이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제1 가상 작업공간(VWS1)에서 이동시킨 윈도우는 사라지게 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30)의 팝업메뉴(33)에는 마우스 온 바(33c)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마우스 온 바(33c)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2)는 스크린 상의 커서의 위치에 따라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이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2)에는 각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에 대응하는 스크린 상의 영역이 미리 설정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2)가 4개의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지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의 스크린의 네 모서리 영역을 상부 왼쪽 모서리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및 제4 영역으로 설정하고, 각각 제1 가상 작업공간(VWS1), 제2 가상 작업공간(VWS2), 제3 가상 작업공간(VWS3) 및 제4 가상 작업공간(VWS4)에 대응시켜 설정한다.
이 때, 사용자가 팝업메뉴(33)의 마우스 온 바(33c)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2)는 스크린 상의 커서의 위치를 검출하여, 커서가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및 제4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일정 시간 이상 놓여지는 경우 이를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선택하는 신호로 인식하게 되고, 도 7의 S14 단계에서 S20 단계를 통해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30)의 팝업메뉴(33)에는 마우스 오프 바(33d)가 마련될 수 있으며, 마우스 오프 바(33d)가 선택되는 경우 전술한 마우스 온 바(33c)에 의한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의 선택 기능이 지원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2)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알리는 작업공간표시를 스크린 상에 소정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2)는 제1 가상 작업공간(VWS1)이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의 일정 영역, 예를 들어 중앙에 "1" 또는 "space 1"과 같은 문자나 숫자 기타 기호를 수초 동안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디스플레이된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가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 상의 바탕화면이나 윈도우들에 오버랩(Overlap)될 수 있도록 투명창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30)를 다른 윈도우보다 최우선 순위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적용하더라도, 사용자 인터페이스(30)의 뒤에 오버랩되는 윈도우 등을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0)를 최우선 순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30)를 조작하기 위해 다른 윈도우를 스크린 상에서 제거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30)의 팝업메뉴(33)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의 투명도를 선택하기 위한 투명도 바(33b)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가 표시되는 스크린을 갖는 디스플레이부(20)와,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에 대한 제1 자료구조(DS1)와 제1 자료구조(DS1)에 기초하고 각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에 속하는 윈도우에 대한 제2 자료구조(DS2)와 모든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에 속하는 공유 윈도우에 대한 제3 자료구조(DS3)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11)와,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0)를 제공하고 제1 자료구조(DS1), 제2 자료구조(DS2) 및 제3 자료구조(DS3)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에 속하는 윈도우 및/또는 공유 윈도우를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어부(12)를 마련하여, 다수의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제공하고,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의 구현을 위한 자료구조를 간소화하여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 간의 이동을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가상 작업공간(VWS1, VWS2, VWS3, VWS4)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가상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가상 작업공간의 구현을 위한 자료구조를 간소화하여 가상 작업공간 간의 이동을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가상 작업공간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체적인 제어블럭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다수의 가상 작업공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제1 자료구조, 제2 자료구조 및 제3 자료구조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가상 작업공간의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윈도우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컴퓨터 본체부 11 : 데이터 저장부
12 : 제어부 13 : CPU
14 : 램 15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16 : 사용자 입력부 17 : 그래픽 컨트롤러
18 : 램 20 : 디스플레이부
30 : 사용자 인터페이스 31 : 선택바
32 : 표시창 33,40 : 팝업메뉴
DS1 : 제1 자료구조 DS2 : 제2 자료구조
DS3 : 제3 자료구조
VWS1,VWS2,VWS3,VWS4 : 가상 작업공간

Claims (15)

  1. 복수의 가상 작업공간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에 대한 제1 자료구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자료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각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에 대한 제2 자료구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모든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공유 윈도우에 대한 제3 자료구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작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자료구조, 상기 제2 자료구조 및 상기 제3 자료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 및/또는 상기 공유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료구조는 상기 윈도우가 속하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윈도우의 상기 가상 작업공간 상의 배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료구조는 상기 윈도우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가상 작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바와,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가상 작업공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윈도우 이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이동바를 클릭하는 단계와;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의 상기 윈도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대해 이동하고자 하는 가상 작업공간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자료구조를 상기 이동하고자 하는 가상 작업공간에 대응하여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마우스 온 바를 포함하고,
    상기 각 가상 작업공간에 대응하는 스크린 상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마우스 온 바를 클릭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상에 커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커서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 상의 영역들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된 것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 및/또는 상기 공유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 및/또는 상기 공유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을 알리는 작업공간표시를 스크린 상에 소정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
  9. 복수의 가상 작업공간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스크린을 갖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에 대한 제1 자료구조와, 상기 제1 자료구조에 기초하고 상기 각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에 대한 제2 자료구조와, 상기 모든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공유 윈도우에 대한 제3 자료구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가상 작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자료구조, 상기 제2 자료구조 및 상기 제3 자료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 및/또는 상기 공유 윈도우를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료구조는 상기 윈도우가 속하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윈도우의 상기 가상 작업공간 상의 배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료구조는 상기 윈도우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바와,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가상 작업공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윈도우 이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이동바가 클릭된 상태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가상 작업공간의 상기 윈도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대해 이동하고자 하는 가상 작업공간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자료구조를 상기 이동하고자 하는 가상 작업공간에 대응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마우스 온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우스 온 바가 클릭되는 경우, 상기 스크린 상에서 커서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커서가 상기 스크린 상에서 상기 각 가상 작업공간에 대해 기 설정된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 및/또는 상기 공유 윈도우를 상기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에 속하는 상기 윈도우 및/또는 상기 공유 윈도우를 상기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가상 작업공간을 알리는 작업공간표시를 스크린 상에 소정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040036139A 2004-05-20 2004-05-20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 KR100586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139A KR100586982B1 (ko) 2004-05-20 2004-05-20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
EP05103399A EP1598736A3 (en) 2004-05-20 2005-04-26 Computer system providing multiple GUI workspaces
CNB2005100709644A CN100343790C (zh) 2004-05-20 2005-05-19 显示装置及其虚拟工作区的管理方法
US11/132,453 US7451406B2 (en) 2004-05-20 2005-05-19 Display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for virtual workspace thereof
JP2005148803A JP2005332408A (ja) 2004-05-20 2005-05-20 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その仮想作業空間管理方法(displaysystemandmanagementmethodforvirtualworkspace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139A KR100586982B1 (ko) 2004-05-20 2004-05-20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434A true KR20050111434A (ko) 2005-11-25
KR100586982B1 KR100586982B1 (ko) 2006-06-08

Family

ID=3493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139A KR100586982B1 (ko) 2004-05-20 2004-05-20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51406B2 (ko)
EP (1) EP1598736A3 (ko)
JP (1) JP2005332408A (ko)
KR (1) KR100586982B1 (ko)
CN (1) CN100343790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687B1 (ko) * 2007-06-26 2009-09-21 문창선 가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89895B1 (ko) * 2008-07-02 2010-10-26 (주)비이소프트 결제정보 보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3566B1 (en) 2002-07-10 2008-03-11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window for a user interface
US20080111822A1 (en) * 2006-09-22 2008-05-15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video
US20080086700A1 (en) * 2006-10-06 2008-04-10 Rodriguez Robert A Systems and Methods for Isolating On-Screen Textual Data
WO2008044574A1 (en) * 2006-10-13 2008-04-17 Panasonic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program, and accumulation circuit
US8839142B2 (en) * 2007-06-08 2014-09-16 Apple Inc. Desktop system object removal
US8750490B2 (en) * 2007-08-22 2014-06-10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ession among end-points
US9137377B2 (en) * 2007-08-22 2015-09-15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t least partially releasing an appliance from a private branch exchange
US8315362B2 (en) * 2007-08-22 2012-11-20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mail avoidance
US20090187848A1 (en) * 2007-12-21 2009-07-23 Richard Leo Murtagh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a process for analyzing data displayed by a window to a user of a computing device
JP4518165B2 (ja) * 2008-03-11 2010-08-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関連文書提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518168B2 (ja) * 2008-03-21 2010-08-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関連文書提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612614B2 (en) 2008-07-17 2013-12-17 Citrix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dedicated session for a member of a common frame buffer group
US8543935B2 (en) * 2008-08-20 2013-09-24 Red Hat, Inc. Full-screen heterogeneous desktop display and control
JP4683311B2 (ja) * 2009-01-27 2011-05-18 ソニー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0176320A (ja) * 2009-01-28 2010-08-12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
WO2011056613A2 (en) * 2009-10-26 2011-05-12 Lionbridg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onymous and traceable external access to internal linguistic assets
US8812688B2 (en) 2010-09-28 2014-08-1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hared connectivity
JP5501469B2 (ja) * 2010-09-30 2014-05-21 楽天株式会社 閲覧装置、閲覧方法、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ならびに、スクリプトプログラム
US10740117B2 (en) * 2010-10-19 2020-08-11 Apple Inc. Grouping windows into clusters in one or more workspaces in a user interface
US9542202B2 (en) * 2010-10-19 2017-01-10 Apple Inc. Displaying and updating workspaces in a user interface
US9292196B2 (en) * 2010-10-19 2016-03-22 Apple Inc. Modifying the presentation of clustered application windows in a user interface
US9658732B2 (en) * 2010-10-19 2017-05-23 Apple Inc. Changing a virtual workspace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 an application window in a user interface
US10152192B2 (en) 2011-02-21 2018-12-11 Apple Inc. Scaling application windows in one or more workspaces in a user interface
US10417018B2 (en) 2011-05-27 2019-09-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avigation of immersive and desktop shells
US9843665B2 (en) * 2011-05-27 2017-12-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of immersive and desktop shells
CN103049423A (zh) * 2011-10-13 2013-04-17 上海可鲁系统软件有限公司 一种客户端应用平台及功能模块的配置管理方法及其装置
US9645733B2 (en) 2011-12-06 2017-05-09 Google Inc. Mechanism for switching between document viewing windows
US9395869B2 (en) * 2012-02-02 2016-07-19 Apple Inc. Global z-order for windows
US9696879B2 (en) 2012-09-07 2017-07-04 Google Inc. Tab scrubbing using navigation gestures
CN102929483B (zh) * 2012-10-25 2017-07-14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资源分享方法
WO2016022096A1 (en) 2014-08-04 2016-0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orkspace metadata management
US11797320B2 (en) * 2021-08-10 2023-10-24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to manage screen sharing of displayed local system window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3687A (en) * 1987-03-25 1993-08-03 Xerox Corporation User interface with multiple workspaces for sharing display system objects
US5394521A (en) * 1991-12-09 1995-02-28 Xerox Corporation User interface with multiple workspaces for sharing display system objects
JPH06187118A (ja) 1992-12-21 1994-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ウィンドウシステム
EP0613080B1 (en) 1993-02-24 2000-09-13 Sony Electronic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incorporating a panning workspace with means for affixing windows
US5499330A (en) 1993-09-17 1996-03-12 Digital Equipment Corp. Document display system for organizing and displaying documents as screen objects organized along strand paths
JP2001506389A (ja) * 1997-07-03 2001-05-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ウインドウ化システムの仮想ワークスペースを創出し且つ制御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0601165B1 (ko) 1999-01-15 200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작업모드의 선택 및 전환이 용이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399251B1 (ko) 1999-01-23 200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활성창을 운용하는 장치 및 방법
AU2001276544A1 (en) * 2000-09-18 2002-04-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views at a computer display
JP2002175141A (ja) * 2000-12-08 2002-06-21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複数情報統合表示処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687B1 (ko) * 2007-06-26 2009-09-21 문창선 가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89895B1 (ko) * 2008-07-02 2010-10-26 (주)비이소프트 결제정보 보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8736A2 (en) 2005-11-23
US20050273466A1 (en) 2005-12-08
CN1700160A (zh) 2005-11-23
CN100343790C (zh) 2007-10-17
JP2005332408A (ja) 2005-12-02
KR100586982B1 (ko) 2006-06-08
EP1598736A3 (en) 2009-07-29
US7451406B2 (en) 2008-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6982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가상 작업공간 관리방법
US11281360B2 (en) Display management for native user experiences
US6970173B2 (en)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display support and method thereof
US7036089B2 (en) Distribution of application windows in a computing device display
US55640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virtual desktop through window positioning
JP3312037B2 (ja) 表示システム、xウィンドウサーバー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Florins et al. Graceful degradation of user interfaces as a design method for multiplatform systems
US58749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information and items across workspaces
US200301792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virtual desktops in a windowing environment
US8856682B2 (en) Displaying a user interface in a dedicated display area
US20090128504A1 (en) Touch screen peripheral device
US20100269060A1 (en) Navigating A Plurality Of Instantiated Virtual Desktops
US20020054126A1 (en) Browser translation between frames and no frames
JP2003131777A (ja) ディスプレイ上にシンボルを表示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4152169A (ja) ウィンドウ切替装置及びウィンドウ切替プログラム
JP2001014079A (ja) アイコンを複数の動作に関連付けることによってコンピュータ・ディスプレイ画面上のスペースを保存できる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EP3436942A1 (en) Tabs in system task switchers
KR20100108417A (ko) 다중 모니터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다중 모니터 컴퓨터 시스템
KR20130105879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작업 공간 관리
KR20110021755A (ko) 가상 데스크톱 뷰 스크롤
KR2011008878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KR100643301B1 (ko) 핫 키 입력에 의한 아이콘 출력 시스템 및 방법
JP5448576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113196A1 (en) Window switching method and system
KR20040021563A (ko) 화면 표시 처리 장치, 화면 표시 처리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