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312A - 방유니트의 변형방법 및 변형가능한 방유니트 - Google Patents

방유니트의 변형방법 및 변형가능한 방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312A
KR20050111312A KR1020057011595A KR20057011595A KR20050111312A KR 20050111312 A KR20050111312 A KR 20050111312A KR 1020057011595 A KR1020057011595 A KR 1020057011595A KR 20057011595 A KR20057011595 A KR 20057011595A KR 20050111312 A KR20050111312 A KR 20050111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om unit
space
cabin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1693B1 (ko
Inventor
사우리 엘로란타
야르모 박커
얀네 안데르손
Original Assignee
픽키오 보르크스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픽키오 보르크스 오이 filed Critical 픽키오 보르크스 오이
Publication of KR20050111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02Hotels; Motels; Coffee-houses; Restaurants; Shops; Department st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029/027Removable walls, e.g. for temporarily erecting cabin spaces in ship hold, or for subdividing living areas into smaller units; Fittings for removable wall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25Modular or prefabricated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공간(2)을 형성하기 위하여 벽부분(8)과, 천정부분 및 바닥부분이 마련되며, 제 2 공간(3)용의 구성이 마련된 해상용 이동체 또는 기타 그에 대응하는 구조물용의 방유니트의 변환방법이다. 현재의 조건을 감안하여 상이한 사용형태로 방유니트를 변환하기 위하여, 방유니트(1)는 파티션 요소구성물(4)이 구비되며, 파티션 요소구성물은 제 1 위치(A)에 놓였을 때에는 제 1 공간(2)과 적어도 일부의 제 2 공간(3)을 분리하여 선실유니트(5)와 그에 부속하는 발코니 유니트(6)를 형성하고, 제 2 위치(B)에 놓였을 때에는 제 1 공간(2)과 적어도 일부의 제 2 공간(3)을 연결하여 일체형 선실유니트(7)를 형성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방유니트의 변형방법 및 변형가능한 방유니트 {METHOD FOR MODIFYING A ROOM UNIT AND A MODIFIABLE ROOM UNIT}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서문에 따른 선박 또는 기타 대응구조용의 방유니트를 변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 제 6 항의 서문에 따른 선박 또는 기타 대응구조용의 변형가능한 방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주로 선박과 관련하여 논의될 것이며, 그에 따라 관련된 상이한 구조 및 수단은 일반적인 선박용어를 사용하여 명칭이 기술될 것이다.
선박에 있어서 발코니가 선박의 외부판과 선실의 사이에 마련되도록 배치되고, 그에 의하여 발코니가 고정적으로 설치된 문 및 예를 들어 창문등을 가진 벽파티션에 의하여 선실로부터 분리되도록 배치된 구조는 공지되어 있다. 선박의 외부판에는 개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발코니의 바닥은 선박의 갑판에 의하여 형성된다. 선박의 발코니가 선박의 외부판의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그에 의하여 문 및 예를 들어 발코니에 대한 창문이 선박의 외부판에 배치되는 구조 또한 공지된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전형적으로 발코니구조는 선박의 선체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 돌출물 또는 비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에 의하여 발코니의 바닥은 그 돌출물 또는 비임상에 지지된 별개의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발코니에는 레일등이 마련된다.
공지의 구성에 있어서 실제적인 선실공간 및 실제적인 발코니공간의 각 면적은 유효하게 고정되며 사용과 관련하여 어떠한 융통성도 없게 되며, 그에 의하여 예를 들면 좋지않은 일기조건이 발코니의 사용을 바람직하지 않게 하고, 따라서 버려진 공간으로 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목적만으로 기술된다.
도 1 은 파티션요소가 구비된 일련의 방유니트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7b는 파티션 요소구성의 다른 형식을 나타낸다.
도 8 및 9는 각각 측면 및 위로부터 본 단면도로 된 방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주어진 영역 또는 공간을 유용하게 만들기 위한 장점적이고 단순한 방법을 제공하는 방유니트의 변형방법을 달성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그의 주된 특징이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주어진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기본적으로 최소한 하나의 단일요소의 방법에 의하여 지배적인 환경의 관점에서 상이한 사용방식을 위하여 방유니트를 적응시키거나 또는 변환하기 위한 해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제 1 위치에서 방유니트의 제 1 공간과 방유니트의 제 2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하여 선실유니트 및 그곳에 부착된 발코니 유니트를 형성하고, 제 2 위치에서는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일체적인 방유니트를 형성하도록 하는 파티션 요소구성물이 마련되기 때문에 행해질 수 있다.
실제적으로, 이는 원하는 경우에 단순한 구성에 의하여 내부공간인 선실 유니트와 외부공간인 발코니의 통상적인 고정된 분리가 변형될 수 있으며, 외부 발코니공간의 일부가 일체적인 선실유니트를 형성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파티션 요소구성물은 슬라이딩 굴곡요소와, 슬라이딩 직선요소와, 경사요소 및/또는 접철요소 또는 이들 요소의 조합에 의하여 유용하게 마련된다.
방유니트의 적절한 변형을 제공하기 위하여, 방유니트를 일체형 선실유니트로 변환을 허락하도록 별도의 선실유니트를 위한 대응하는 제 1 내화(耐火)수단 및 제 2 내화수단을 구비한다.
방유니트에는 또한 별도의 선실유니트용으로 필요한 크기로 된 제 1 작동모드와 일체형 선실유니트용으로 필요한 크기로 된 제 2 작동모드를 가지는 난방 시스템 및/또는 에어컨디쇼닝 시스템이 마련되며, 그에 의하여 파티션 요소구성물 및/또는 관련된 벽부분에는 스위치수단이 마련된다. 제 1 작동모드는 파티션 요소구성물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스위치수단에 의하여 설정되고, 제 2 작동모드는 파티션 요소구성물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스위치수단에 의하여 설정된다. 이는 선택된 변형에 따른 기후및 온도에 대한 방유니트의 자동설정을 제공한다.
안전상의 이유로, 방유니트에는 또한 파티션 요소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개별적인 선실유니트에 유효하고, 따라서 파티션 요소구성물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일체형 선실유니 v 유효하도록 적절하게 크기가 주어지고 위치된 소화시스템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6 내지 10 에 따른 방유니트와도 관련한다.
도 1은 일련의 방유니트, 예를 들면 선박상의 선실을 나타내며, 제 1 공간(2) 및 제 2 공간(3)용 배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유니트에는 한개의 파티션 요소(4)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제 1 위치 A에서 제 1 공간(2) 및 제 2 공간(3)을 분리하여 별도의 선실유니트(5) 및 그에 부속된 별도의 발코니 유니트(6)를 형성한다. 제 2 위치 B 에서는, 파티션요소(4)가 제 1 공간(2) 및 제 2 공간(3)의 일부를 연결하여 일체형 선실유니트(7)를 형성한다.
방유니트(1)에는 또한 방유니트의 안팎의 경계를 형성하는 벽부분(8)이 마련된다.
방유니트(1)는 선박의 외부판의 바깥쪽으로 돌출할 수 있으며, 외부판은 화살표 E 로 표시하였다. 한편, 방유니트(1)의 한쪽 끝단이 화살표 O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의 외부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선박의 외부판과 관련하여, 선 W 는 통로를 나타내며, 파선 M 은 선박의 중심선을 나타낸다.
그와 같은 방유니트(1)의 전형적인 구조는 화장실 유니트(9) 및 서비스 구역(10)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방유니트(1)에는 소화 시스템 P 과, 난방 시스템 H 및 에어컨디셔닝 시스템 AC 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파티션 요소구성물(4) 및/또는 관련된 벽부분(8)은 난방 시스템 H 및/또는 에어컨디셔닝 시스템 AC 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수단 C 이 마련된다.
상술한 변형구조는 또한 방유니트의 소화시스템, 에어컨디셔닝 시스템 및 난방시스템의 크기결정을 고려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화 시스템 P 는 일체형 선실유니트(7)의 규격에 따라 크기가 결정된다. 소화 시스템 P 는 파티션 요소구성물(4)가 제 1 위치 A 에 있을 때에는 별도의 선실유니트(5)를 처리하도록 위치하고, 파티션 요소구성물(4)가 제 2 위치 B 에 있을 때에는 전체 일체형 선실유니트(7)를 처리하도록 위치되며, 부가적으로 이 시스템의 작동은 파티션 요소구성물(4)에 의하여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도 1 에 있어서는 소화 시스템 P 를 선실 유니트(5)의 내부공간에 배치함으로써 모식적으로 나타내었으며, 이 공간내에는 선실유니트(5)와 발코니 유니트(6)의 사이에 개구를 제공하며, 그에 의하여 파티션 요소구성물(4)가 제 2 위치 B 내에 있을 때 스프레이 S 는 어떻게 소화시스템 P 가 일체형 선실유니트(7)를 처리하는지를 보여준다.
난방시스템 H 및 에어컨디셔닝 시스템 AC 들은 일체형 선실유니트(7)에 대하여 용량이 충분하도록 적절히 설정된다.
난방시스템 H 및 에어컨디셔닝 시스템 AC을 제어하기 위한 유용한 구성은 파티션 요소구성물의 위치(상술한 제 1 위치 A 또는 제 2 위치 B)에 따른 이들 시스템의 효과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는 파티션 요소구성물(4) 및/또는 관련된 벽부분(8)과 관련된 스위치수단 C 을 마련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따라서 개별적인 선실 유니트(5) 및 발코니 유니트(6)가 있는 제 1 위치 A 에서는 낮은 효과가, 일체형 선실유니트(7)로 방유니트가 변형되었을 때인 제 2 위치 B 에서는 높은 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스위치 수단 C 과 난방시스템 H 및 에어컨디셔닝 시스템 AC 사이의 접속은 도 1 의 좌우측상의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도 2a-7b 는 다양한 파티션 요소구성물와 관련한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고부호들이 도 1과 관련하여 동일한 구성부분에 사용이 되었으며 따라서 이들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한 논의는 하지 않는다.
도 2a 및 2b는 파티션 요소구성물이 제 1 굴곡 슬라이딩요소(41)의 형태로 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b 는 별개의 선실 유니트(5) 및 발코니 유니트(6)가 형성되는 제 1 위치 A 를 나타내고, 도 2a는 일체적인 선실유니트(7)가 형성된 제 2 위치 B 를 나타낸다. 제 1 굴곡 슬라이딩요소(41)는 방유니트(1)의 벽부분(8)과 방유니트(1)의 끝단에서의 벽부분(8)에 관하여 이동이 가능하다.
도 3a 및 3b 에 있어서 대응하는 파티션 요소구성물은 방유니트(1)내의 제 1 직선 슬라이딩요소(421)와 방유니트(1)의 끝단에서의 제 2 직선 슬라이딩요소(422) 및 이들 2개의 먼저 언급된 슬라이딩 요소에 관하여 이동가능한 제 1 굴곡 슬라이딩요소(41)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되며, 제 1 굴곡 슬라이딩요소(41)는 방유니트(1)내의 벽부분(8) 및 방유니트(1)의 끝단에서의 벽부분(8)과 관련하여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4a 및 4b 는 제 1 굴곡 슬라이딩요소(41)를 가진 파티션 요소구성물을 나타내지만, 그러나 이것들은 3개의 벽부분(8)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그중의 2개는 방유니트(1)내에 배치되고 한개는 방유니트(1)의 끝단에 배치된다. 일체형 캐빈 유니트(7)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제 1 굴곡 슬라이딩요소(41)는 방유니트(1)의 끝단에서 벽부분(8)과 방유니트내의 인접한 벽부분(8)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a, 위치 B). 개별적인 선실유니트(5) 및 발코니 유니트(6)들은 제 1 굴곡 슬라이딩요소(41)가 상기 인접한 별부분(8)과 가장 안쪽의 벽부분(8)의 사이에 위치할 때 형성된다(도 4b, 위치 A).
도 5a 및 5b에 있어서, 파티션 요소구성물은 제 2 굴곡 슬라이딩요소(431) 및 제 3 굴곡 슬라이딩요소(4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은 제 1 위치 A(도 5b)에서 개별적인 선실유니트(5) 및 발코니유니트(6)를 제공하고, 제 2 위치 B(도 5a)에서는 굴곡된 슬라이딩요소들에 의하여 형성된 둥근 외벽부를 가지는 일체형 선실유니트(7)를 제공한다.
도 6a 및 6b 는 제 3 직선 슬라이딩요소(441) 및 제 4 직선 슬라이딩요소(442), 제 5 직선 슬라이딩요소(443) 및 제 6 슬라이딩요소(444)로 구성되는 4개의 슬라이딩요소의 세트를 나타내며, 이들은 방유니트(1)내에 배치된 2개의 대향하는 벽부분(8)들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일체형 선실유니트(7)는 제 3 직선 슬라이딩요소(441) 및 제 4 직선 슬라이딩요소(442)가 상호간에 인출되고, 제 5 직선 슬라이딩요소(443) 및 제 4 슬라이딩요소(444)가 상호간에 대하여 멀어진 때인 제 2 위치 B(도 6a)에 대하여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요소들이 전과는 반대방향인 위치 A(도 6b)로 이동할 때에 개별적인 선실유니트(5) 및 발코니유니트(6)가 형성된다.
또한, 도 7a 및 7b 는 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에서는 파티션 요소구성물이 제 7 직선 슬라이딩요소(451), 제 8 직선 슬라이딩요소(452) 및 벽부분(8)에 대하여 제 1 위칭(454)에서 관절 또는 힌지가 형성된 앵글 및/또는 접철식 요소(4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철식 요소는 예를 들어 화살표 F 및 G 방향으로 요소들의 일부를 선회시키거나 또는 접음으로써 방유니트(1)공간이나 영역을 이용한다는 관점에서 더욱 융통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제 2 위치(455)에서 관절이나 힌지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방유니트(1)의 변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파티션 요소는 도어, 벽, 창문등의 형태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현재의 상황을 고려할 때 적절한 슬라이딩, 관절이나 힌지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 및 9는 방유니트(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 1 공간(2) 및 제 2 공간(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를 나타낸다. 이들은 선박상에 설치하기 전의 완벽한 모듈로서 미리 조립된 방유니트의 한 예가 될 수 있다. 선박의 외부판은 화살표 E 로 표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방유니트(1)의 발코니 유니트(6)는 상기에서 도면 1a 및 1b 와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선박의 외부판의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방유니트(1)에는 별도의 선실유니트(5) 및 발코니 유니트(6)를 제공하기 위하여 방유니트(1)의 외부끝단(화살표 X), 즉 방유니트내(화살표 Y) 및 발코니 유니트(6)의 외부끝단(도면의 오른쪽 끝단)에 모식적으로 표시된 파티션 요소구성물(4)가 마련된다. 파티션 요소구성물(4)는 전형적으로는 상술한 슬라이딩 가능한 또는 접혀지는 요소중의 어느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위치 A 및 제 2 위치 B 내로 파티션 요소구성물(4)를 이동함으로써, 방유니트는 개별적인 선실유니트 및 발코니유니트로부터 일체형 선실유니트(도시않됨)로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선박과 같은 해상이동체에 있어서는, 방유니트는 특정한 표준, 예를 들면 화재안전과 관련된 표준을 충족해야만 한다. 이는, 발코니 유니트(6)도 선실유니트(5)부의 내화수단에 대응하는 내화수단을 구비하여야만 하며 따라서 전체적인 방유니트가 일체형 선실유니트로 변환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방유니트의 천정영역용의 제 1 내화수단은 A-15 로 표시되어 있으며, 방유니트의 벽부분에 대한 제 2 내화수단은 B-0 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파티션 요소구성물 또한 상당한 표준에 부합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선박에 대한 전형적인 구조이지만, 기본적으로 내화요소의 단일 방식이 현재의 기준에 따라 모든 경계면에 대하여 사용되어야 한다.
도 10 및 11 은 방유니트(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 1 공간(2) 및 제 2 공간(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대응하는 참조부호들은 도 8 및 9와 관련하여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세히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방유니트의 변형은 또한 도 8 및 9와 관련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도 8 및 9와 관련하여 논의된 실시예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의 주요 상이점은 방유니트(1)가 선실유니트(5)로부터 개별적인 모듈로서 마련된 발코니 유니트(6)를 가진다는 점이다. 제 1 내화수단(A-15) 및 제 2 내화수단(B-0) 또한 이들 도면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대응하여 설치된다.
도 8, 9, 10 및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화재안전구성이 도 1-7b 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소화시스템, 난방시스템 및 에어컨디셔닝 시스템 또한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대형 유람선내에는 소위 프롬나드(promenade)갑판이라 불리우는 개방된 영역이 예를 들면 선박의 중앙선 영역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개방영역과 마주하는 선실들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유니트가 마련될 수 있다.
비록 상기에서는 선박과 관련하여 논의된 본 발명이 석유시추선 기타 해상구조물을 포함하여 다른 대응하는 구조물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 및 기타 관련된 서술내용은 본 발명의 개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만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범위내에서, 예를 들면 파티션 요소구성물와 같은 상이한 구성요소의 설치와 관련하여 세세한 부분이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0)

  1. 제 1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벽부분(8)과, 천정부분 및 바닥부분이 마련되며, 제 2 공간(3)용의 구성이 마련된 해상용 이동체 또는 기타 그에 대응하는 구조물용의 방유니트의 변환방법으로서, 방유니트(1)는 파티션 요소구성물(4)이 구비되며, 파티션 요소구성물은 제 1 위치(A)에 놓였을 때에는 제 1 공간(2)과 적어도 일부의 제 2 공간(3)을 분리하여 선실유니트(5)와 그에 부속하는 발코니 유니트(6)를 형성하고, 제 2 위치(B)에 놓였을 때에는 제 1 공간(2)과 적어도 일부의 제 2 공간(3)을 연결하여 일체형 선실유니트(7)를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파티션 요소구성물(4)은 슬라이딩 굴곡형 요소와, 슬라이딩 직선형 요소와, 각이 진 요소 및/또는 접철식 요소 또는 이들 요소의 조합에 의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방유니트(1)에는 방유니트(1)를 일체형 선실유니트(7)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해당하는 제 1 내화수단(A-15) 및 해당하는 제 2 내화수단(B-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방유니트(1)에는 적어도 선실유니트(5)용의 규격으로 된 제 1 작동모드 및 적어도 일체형 선실유니트(7)용의 규격으로 된 제 2 작동모드를 가지는 난방시스템(H) 및 에어컨디셔닝 시스템(AC)이 마련되며, 파티션 요소구성물(4) 및/또는 관련된 벽부분(8)에는 스위치 수단(C)이 마련되며,
    상기 제 1 작동모드는 파티션 요소구성물(4)이 제 1 위치(A)에 놓여졌을 때 설정되고, 상기 제 2 작동모드는 파티션 요소구성물(4)이 제 2 위칭(B)에 놓여졌을 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방유니트(1)에는 소화시스템(P)이 마련되며, 소화시스템(P)은 파티션 요소구성물(4)이 제 1 위치(A)에 있을 때에는 선실유니트(5)에 대하여 유효하고, 파티션 요소구성물(4)이 제 2 위칭(B)에 있을 때에는 일체형 선실유니트(7)에 대하여 유효하도록 규격 및 위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벽부분(8)과, 천정부분 및 바닥부분 및 제 2 공간(3)용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상용 이동체 또는 기타 그에 대응하는 구조물용의 변형가능한 방유니트에 있어서, 방유니트(1)는 파티션 요소구성물(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파티션 요소구성물은 제 1 위치(A)에 놓였을 때에는 제 1 공간(2)과 적어도 일부의 제 2 공간(3)을 분리하여 선실유니트(5)와 그에 부속하는 발코니 유니트(6)를 형성하고, 제 2 위치(B)에 놓였을 때에는 제 1 공간(2)과 적어도 일부의 제 2 공간(3)을 연결하여 일체형 선실유니트(7)를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가능한 방유니트.
  7. 제 6 항에 있어서, 파티션 요소구성물(4)은 파티션 요소구성물(4)은 슬라이딩 굴곡형 요소와, 슬라이딩 직선형 요소와, 각이 진 요소 및/또는 접철식 요소 또는 이들 요소의 조합에 의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가능한 방유니트.
  8. 제 6 항에 있어서, 방유니트(1)는 해당하는 제 1 내화수단(A-15) 및, 선실유니트(5)와 발코니유니트(6)용의 해당하는 제 2 내화수단(B-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가능한 방유니트.
  9. 제 6 항에 있어서, 방유니트(1)는 선실유니트(5)용의 규격으로 된 제 1 작동모드 및 일체형 선실유니트(7)용의 규격으로 된 제 2 작동모드를 가지는 난방시스템(H) 및/또는 에어컨디셔닝 시스템(AC)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파티션 요소구성물(4) 및/또는 관련된 벽부분(8)은 스위치 수단(C)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가능한 방유니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방유니트(1)는 선실유니트(5)내에 위치된 소화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가능한 방유니트.
KR1020057011595A 2002-12-20 2003-12-16 방유니트의 변형방법 및 변형가능한 방유니트 KR101061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22243A FI20022243A0 (fi) 2002-12-20 2002-12-20 Menetelmä ja järjestely laivaan asennettavan huoneyksikön muuntelemiseksi
FI20022243 2002-12-20
PCT/FI2003/000960 WO2004056648A1 (en) 2002-12-20 2003-12-16 Method for modifying a room unit and a modifiable room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312A true KR20050111312A (ko) 2005-11-24
KR101061693B1 KR101061693B1 (ko) 2011-09-01

Family

ID=856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595A KR101061693B1 (ko) 2002-12-20 2003-12-16 방유니트의 변형방법 및 변형가능한 방유니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572528B1 (ko)
JP (1) JP4394006B2 (ko)
KR (1) KR101061693B1 (ko)
CN (1) CN100383018C (ko)
AU (1) AU2003288294A1 (ko)
FI (1) FI20022243A0 (ko)
WO (1) WO2004056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1992B (fi) * 2005-04-21 2011-07-15 Stx Finland Oy Menetelmä ja rakentamisjärjestelmä kelluvan rakenteen valmistamiseksi
US7617790B2 (en) * 2007-10-17 2009-11-17 Crystal Cru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passenger amenities on a cruise ship
EP2902322A1 (en) * 2014-01-30 2015-08-05 Airbus Operations GmbH Aircraft interior door assembly
JP6257048B2 (ja) * 2015-02-03 2018-01-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室構造、及び、船舶
CN106152232A (zh) * 2015-04-09 2016-11-23 辽宁陆海石油装备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海洋钻井平台废热回收采暖方法
CN105480383B (zh) * 2015-12-29 2018-02-02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舱室分隔壁的结构及船舶
US11674301B2 (en) * 2017-10-31 2023-06-13 Virgin Cruises Intermediate Limited Double-cabin featuring an angular wall
DE102019134960A1 (de) * 2019-12-18 2021-06-24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Bausatz für einen Sonderraum für ein Schienenfahrzeug
CN114701597B (zh) * 2022-04-29 2023-10-17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客舱的分隔结构及一种客舱室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5829U (zh) * 1991-06-18 1992-02-12 侯立群 车船用连片式多层卧铺
WO1994006663A1 (de) * 1992-09-19 1994-03-31 Pfa Partner Für Fahrzeug-Ausstattung Gmbh Zimmer, kabine oder abteil, insbesondere für hotelzüge
CN1117105A (zh) * 1994-08-13 1996-02-21 张国栋 一种新式的住宅楼
JPH1113178A (ja) 1997-06-25 1999-0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部屋の可変構造
SE514252C2 (sv) * 1998-05-14 2001-01-29 Abb Ab Ventilation
KR200177667Y1 (ko) * 1999-11-03 2000-04-15 현대산업개발주식회사 접이식 분합문을 갖는 주택의 실내구조
DE20116364U1 (de) * 2001-10-04 2002-03-28 Studer Michael Vario-System für Caravans, Reisemobile und Boote, Kombinierter ,variierbarer Mehrzweck-Raum mit den Funktionen WC, Waschbecken, Dusche, Kleiderschr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88294A1 (en) 2004-07-14
CN1747870A (zh) 2006-03-15
CN100383018C (zh) 2008-04-23
EP1572528B1 (en) 2013-03-20
JP4394006B2 (ja) 2010-01-06
FI20022243A0 (fi) 2002-12-20
WO2004056648A1 (en) 2004-07-08
KR101061693B1 (ko) 2011-09-01
EP1572528A1 (en) 2005-09-14
JP2006510531A (ja)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0752B2 (en) Aircraft interior architecture
US7448574B2 (en) Aircraft archway architecture
US8672267B2 (en) Toilet arrangement for a vehicle
KR101061693B1 (ko) 방유니트의 변형방법 및 변형가능한 방유니트
US5395075A (en) Stair and stairwell construction for connecting two decks in an aircraft
EP0042419B1 (en) Boat with interior accommodation space, and structural part thereof
EP1871656B1 (en) Method and building system for manufacturing a floating structure
US20190257269A1 (en) Turbojet engine comprising a nacelle equipped with a thrust-reversing system comprising outer and inner doors
EP1487695B1 (en) System and method in water-craft or other structure
EP1454824B1 (en) A method and a cabin deck arrangement in a large passenger vessel
US20200247544A1 (en) Lavatory Enclosure Reconfigurable To Accommodate A Stretcher
JP2001151108A (ja) 鉄道車両の内装構造
EP4146532B1 (en) Pleasure craft having an improved deck construction
EP1613528B1 (en) Floa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floating structure comprising prefabricated room units and a method of forming prefabricated room units and said prefabricated room units
EP3265377B1 (en) Ship premises assembly and ship with said premises
KR20050070118A (ko) 사전에 조립된 방유니트를 선박 기타 수상이동체에 설치 및접속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H07125685A (ja) 旅客船の客室区域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