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0755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0755A
KR20050110755A KR1020040035569A KR20040035569A KR20050110755A KR 20050110755 A KR20050110755 A KR 20050110755A KR 1020040035569 A KR1020040035569 A KR 1020040035569A KR 20040035569 A KR20040035569 A KR 20040035569A KR 20050110755 A KR20050110755 A KR 20050110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dielectric layer
discharge
plasma display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5526B1 (ko
Inventor
이병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5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526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fully recover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07One-piece elements
    • E04G17/0714One-piece elements fully recover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 표시면의 국부적 방전에 따른 경계면 잔상(Image Sticking)을 제거하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상기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 쌍 간을 절연시켜주는 유전체층을 포함하고, 가로격벽과 세로격벽을 구비한 웰타입 형태로 구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가로격벽에는 오버플로우 현상을 방지하는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채널이 형성되고 남은 가로 격벽의 폭은 세로 격벽의 폭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전체층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격벽이 픽셀 사이에 있는 유전체 사이로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로 격벽에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을 형성하고 남은 가로 격벽의 폭을 세로 격벽의 폭 보다 짧게 하여, 오버플로우된 하전입자가 채널 쪽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로인해 방전공간내 밀도증가를 방지하여, 인접셀로 넘어가는 하전입자의 수를 최소화 하고, 경계 잔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전체를 패턴도포 함으로써, 방전이 퍼져나가도 유전체 사이의 공간에서 방전이 중단되어 하전 입자들이 인접셀로 오버플로우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인접 셀(cell)에 의한 오방전(mis-discharging)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격벽을 유전체층 상에 삽입하여 형성함으로써, 열의 대류나 밀도 증가 에 의해 발생하는 오버플로우 현상을 최소화 하여, PDP에서 발생하는 경계 잔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ena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 표시면의 국부적 방전에 따른 경계면 잔상(Image Sticking)을 제거하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함.)은 소다라임(Soda-lime) 글라스로 된 전면 글라스와 배면 글라스 사이에 형성된 격벽이 하나의 단위 셀을 이루고, 각 셀 내에는 네온(Ne), 헬륨(He) 또는 네온 및 헬륨의 혼합기체(Ne+He)을 주 방전 기체로 사용하여 소량의 크세논(Xe)을 첨가한 불활성 가스가 고주파 전압에 의해 방전이 될 때,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이 발생되어 격벽 사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화상을 구현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PDP는 종래 표시수단의 주종을 이루어왔던 음극선관(CRT)에 비하여 단순구조에 의해 제작이 용이하고, 외형이 박형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 현재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PDP의 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P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전면패널(10)과 후면을 이루는 후면 패널(20)이 미세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결합된다.
전면 패널(10)은 아래쪽에 각각의 화소에서 스캔 전극인 Y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인 Z전극의 상호 면방전에 의해 셀의 발광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전극(11)이 형성된다. 유지전극(11)은 투명한 ITO 물질로 형성된 투명전극(11a)과 투명전극의 저항 값을 낮추기 위해 금속재질로 제작된 버스전극(11b)으로 구비되며, 쌍을 이뤄 형성된다.
상기 유지전극(11)은 유전층(12) 내부에 존재한다.
상기 유전층은 방전전류를 제한하며 전극 쌍 간을 절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유전층(12) 아래면에는 방전에 따른 이온의 스퍼터링(sputtering)으로부터 유전층을 보호하고, 이차 전자의 용이한 발생을 위해 산화마그네슘(MgO)을 증착한 보호막(13)이 형성된다.
후면 패널(20)의 유전층 상에는 복수개의 방전공간 즉, 셀을 형성시키기 위한 격벽(21)이 평행하게 배열된다. 도1에 도시된 격벽(21)은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이다. 다른 격벽의 형태로 가로 격벽과 세로 격벽이 있는 격자 형상의 웰 타입(well type) 격벽 형태가 있다.
격벽(21)사이에는 어드레스 방전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R, G, B 형광층(23)이 도포된다.
격벽(21)사이의 공간에서는 상기 유지전극(11)과 교차되는 후면 패널(20)의 어드레스 전극(22)인 X전극에 의해 어드레스 방전이 수행되어 진공자외선이 발생된다.
상기 X전극, Y전극, Z전극에 구동 펄스를 인가하기 위해 PDP의 구동부가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X전극 구동부, Y전극 구동부, Z전극 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패널에 국부 패턴(pattern)을 디스플레이 할 경우 PDP는 제조되는 모델에 따른 제품의 특성상 제품이 낼 수 있는 최대 파워인 가장 많은 구동 펄스 수를 패널에 인가하여 휘도를 발생시키게 되어 있다. 따라서, 풀 화이트(full white)칼라로 이동할 경우 최대 파워로 방전에 참여했던 국부 패턴은 약간의 형광체 회귀 특성으로 인해 휘도가 변화되었다 다시 돌아오게 된다. 이렇게 휘도가 복귀하는 과정에서 잔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잔상의 문제는 고 계조에서 크게 문제시 된다.
그러나, 저 계조에서는 휘도차가 나더라도 소수점 2자리 이하의 자리수 정도의 휘도차를 갖기 때문에 저 계조에서의 잔상의 원인이 휘도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종래 PDP의 저 계조에서 문제되고 있는 부분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패턴의 경계면이 유난히 휘도가 밝음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된 패턴내 휘도차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그 라인 자국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패턴이 눈에 잔상으로 남아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도 2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저 계조에서 발생하는 경계 잔상의 실제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실제 PDP 상에서 블랙 배경의 화면에 화이트계열 동심원을 출력하고 이를 순간적으로 점멸했을 경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었던 동심원의 경계면이 밝게 보이는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상기 검은 배경에 디스플레이된 패턴의 경계면이 밝게 보이는 현상이 저 계조 에서의 경계잔상이다.
도 3a는 저 계조에서의 경계잔상의 온도분포를 나타낸 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패턴이 점멸된 이후에도 패턴의 경계부분에 온도 상승이 유지되어 있고 이로 인해 잔상이 남아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경계부분에 온도상승이 유지되고 이로인해 밀도가 증가하여 대류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대류현상에 의해 인접셀로 넘어간 하전 입자나 가스들에 의해서 미세한 발광이 일어나 경계잔상이 남아있게 된다.
도 3b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저 계조잔상이 발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저 계조 현상의 원인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파워로 방전에 참여했던 셀에서 발생된 아웃게싱(out-gassing)과 온도상승은 방전공간 내부의 전하의 밀도를 증가시켜 온도(thermal)대류와 확산(diffusion)을 유발한다.
이때 아웃게싱이란 최대 파워로 방전을 일으킨 셀 내부의 전하 밀도가 증가하여 셀 내부의 전하와 가스가 다량으로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온도대류란 셀 내부의 온도상승으로 셀 내부에 대류 현상이 발생해 가스와 전하들이 이 대류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온도대류와 확산에 의해 전하(30)들이 디스플레이된 패턴 영역의 인접 셀로 오버플로우(over-flow), 즉, 넘어들어간다. 이렇게 인접 셀로 넘어들어간 전하(30)들이 방전 특성에 영향을 주어 강방전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인해 지속적으로 밝은 방전 셀이 유지되어 경계 잔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셀에서의 방전으로 발생한 빛이 하전 입자(30)의 오버플로우로 인접셀의 영역까지 확산되어 화질을 저하 시키는 크로스토크(cross-talk)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웰타입 구조의 PDP에서 화질 향상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저 계조의 경계 잔상은 PDP제품에서 대표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현상으로 이 잔상은 화질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저 계조 잔상은 PDP가 PC 모니터로 사용하여 동일한 화면을 오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경우나 가정용 텔레비젼으로 사용하여 방송 조정 화면과 같이 동일한 화면을 오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경우에 문제가 된다.
특히, 게시판의 용도로 PDP를 사용하여 로고(LOGO)를 자주 띄워놓는 곳에서 지속적인 잔상의 발생으로 화질이 저하되고, PDP가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결국, 상기와 같은 PDP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패턴의 경계가 잔상으로 남아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선명한 화상을 구현하지 못하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국부 방전시 온도 상승에 의해 발생되는 열 대류로 하전입자가 인접 셀로 이동하여 나타나는 경계 잔상을 제거하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상기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 쌍 간을 절연시켜주는 유전체층을 포함하고, 가로격벽과 세로격벽을 구비한 웰타입 형태로 구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가로격벽에는 오버플로우 현상을 방지하는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채널이 형성되고 남은 가로 격벽의 폭은 세로 격벽의 폭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전체층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격벽이 픽셀 사이에 있는 유전체 사이로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 실시예 1 >
도 4는 본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타입 형태로 구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가로 격벽(40)은 오버플로우(Over-flow) 현상을 방지하는 채널(42)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42)을 형성하고 남은 가로 격벽(40)의 폭(a)은 세로 격벽(41)의 폭(b)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로 격벽(40)에 채널(42)을 형성하고 남은 폭(a)이 세로 격벽(41)의 폭(b) 보다 큰 구조로 가로 격벽(40)에 채널(42)이 형성된다면, 상기 채널(42)은 경계 잔상의 제거에 아무런 도움을 줄 수 없다.
가로 격벽(40)에 채널(42)을 형성하고 남은 폭(a)이 세로 격벽(41)의 폭(b)보다 큰 관계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하전 입자 들이 가로 격벽(40) 쪽의 채널(42)로 넘어들어 가기 전에 이미 세로 격벽(41)을 타고 인접 셀로 넘어가 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경계 잔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로 격벽(40)에 채널(42)을 형성하되 채널(42)을 형성하고 남은 가로 격벽(40)의 폭(a)은 항상 세로 격벽(41)의 폭(b)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와 같은 형태의 채널(42)을 형성하므로 격벽내에 부피가 증가하여 하전 입자의 밀도 증가를 억제하고, 인접 셀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 실시예 2 >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유전체층(12)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전체층(12)은 가로 픽셀 사이는 연결되어 있고, 세로 픽셀 사이는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된 유전체층(12) 상에 가로 격벽(4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유전체층(12)의 구조는 세로 픽셀 사이는 연결되어 있고, 가로 픽셀 사이는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된 유전체층(12) 상에 세로 격벽(41)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유전체가 하나의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패널의 전체 면적에 구성될 경우, 투명전극과 버스전극에서의 방전에 의해 벽전하가 유전체 상에 형성되고, 유전체 전체가 전극화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전극화된 일체형의 유전체 구조로 인해 인접셀로 방전이 전이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결국 경계 잔상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유전체층(12)을 패턴 도포하여 방전 영역 별로 유전체를 글라스 상에 적층 시킨다. 이로 인해, 유전체층(12) 사이에 공간(50)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방전셀에서 발생한 방전이 퍼져나가도 유전체 사이의 공간(50)에서 방전이 중단되므로, 비방전셀의 방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전체 사이에 방전의 경계를 형성하므로, 하전입자가 인접 셀(cell)로 넘어가는 현상의 방지가 가능하다.
< 실시예 3 >
도 6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전체층(12)은, 픽셀마다 독립하여 분리되어 있고, 상기 분리된 유전체층(12) 상에 가로 격벽(40)과 세로 격벽(41)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픽셀별로 유전체층(12)을 패턴 도포하여 유전체층(12) 간에 빈 공간(50)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빈 공간의 부피로 인해 방전 공간내의 밀도 증가를 방지하여, 온도대류 발생으로 인한 오버플로우 되는 하전입자의 수를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방전셀에서 발생한 방전이 퍼져나가도 유전체 사이의 공간(50)에서 방전이 중단되므로, 비방전셀의 방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전체 사이에 방전의 경계를 형성하므로, 하전 입자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여 인접 셀(cell)로 넘어 가는 현상의 방지가 가능하다.
< 실시예 4 >
도 6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전체층(12)은, R G B 셀 별로 독립하여 분리되어 있고, 상기 분리된 유전체층(12) 상에 가로 격벽(40)과 세로 격벽(41)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전체층(12)은, 각 R G B 셀 가로 사이는 분리되어 있고, 각 R G B 셀 세로 사이는 연결 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된 유전체층(12) 상에 세로 격벽(41)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R G B 셀별로 유전체층(12)을 패턴 도포하여 유전체층(12) 간에 빈 공간(50)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빈 공간(50)의 부피로 인해 방전 공간내의 밀도 증가를 방지하여, 온도대류 발생으로 인한 오버플로우 되는 하전입자의 수를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방전셀에서 발생한 방전이 퍼져나가도 유전체 사이의 공간(50)에서 방전이 중단되므로, 비방전셀의 방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전체 사이에 방전의 경계를 형성하므로, 하전 입자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여 인접 셀(cell)로 넘어 가는 현상의 방지가 가능하다.
< 실시예 5 >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격벽은, 픽셀 사이에 있는 유전체 사이로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격벽은, R G B 셀 사이에 있는 유전체층(12) 사이로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격벽을 유전체층(12) 사이로 삽입하여 형성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판 글라스(10)에 닿는 형태의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격벽을 유전체 사이로 삽입하여 형성하는 구조에 있어서,상기 격벽은 상판 글라스(10)에 닿지 않는 형태의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격벽 구조는, 오버플로우 되는 하전입자들을 격벽의 물리적 구조 변경으로 직접적인 블로킹(blocking) 역할을 수행하여 경계 잔상을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격벽이 셀의 방전 공간보다 더 아래쪽까지 블로킹(blocking)하고 있으므로, 열의 대류나 밀도증가로 인해 하전입자가 인접셀로 이동하는 현상을 더욱 강력하게 블로킹(blocking)할 수 있다.
따라서, 비 방전셀로 오버플로우 되는 하전 입자의 양을 최소화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가로 격벽에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을 형성하고 남은 가로 격벽의 폭을 세로 격벽의 폭 보다 짧게 하여, 오버플로우된 하전입자가 채널 쪽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로인해 방전공간내 밀도증가를 방지하여, 인접셀로 넘어가는 하전입자의 수를 최소화 하고, 경계 잔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전체를 패턴도포 함으로써, 방전이 퍼져나가도 유전체 사이의 공간에서 방전이 중단되어 하전 입자들이 인접셀로 오버플로우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인접 셀(cell)에 의한 오방전(mis-discharging)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격벽을 유전체층 상에 삽입하여 형성함으로써, 열의 대류나 밀도 증가 에 의해 발생하는 오버플로우 현상을 최소화 하여, PDP에서 발생하는 경계 잔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저 계조에서 발생하는 경계 잔상의 실제 화면을 나타낸 도.
도 3a는 저 계조에서의 경계잔상의 온도분포를 나타낸 도.
도 3b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저 계조잔상이 발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
도 7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면 패널(글라스) 11: 제 1전극, 유지전극
12: 유전층 13: 보호막
20: 후면 패널(글라스) 21: 격벽
22: 제 2전극, 어드레스전극 23: R, G, B 형광층
30: 오버플로우된 가스, 전하, 입자
40: 가로격벽 41: 세로격벽
42: 채널 50: 유전체 사이 공간
a: 채널을 구성하고 남은 가로격벽의 두께
b: 세로격벽의 두께

Claims (11)

  1.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상기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 쌍 간을 절연시켜주는 유전체층을 포함하고, 가로격벽과 세로격벽을 구비한 웰타입 형태로 구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가로격벽에는 오버플로우 현상을 방지하는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채널이 형성되고 남은 가로 격벽의 폭은 세로 격벽의 폭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가로 픽셀 사이는 연결되어 있고, 세로 픽셀 사이는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된 유전체층 상에 가로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세로 픽셀 사이는 연결되어 있고, 가로 픽셀 사이는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된 유전체층 상에 세로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픽셀마다 독립하여 분리되어 있고, 상기 분리된 유전체층 상에 가로 격벽과 세로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R G B 셀 별로 독립하여 분리되어 있고, 상기 분리된 유전체층 상에 가로 격벽과 세로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각 R G B 셀 가로 사이는 분리되어 있고, 각 R G B 셀 세로 사이는 연결 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된 유전체층 상에 세로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픽셀 사이에 있는 유전체 사이로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R G B 셀 사이에 있는 유전체 사이로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상기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판 글라스에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상기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판 글라스에 닿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40035569A 2004-05-19 2004-05-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5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569A KR100585526B1 (ko) 2004-05-19 2004-05-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569A KR100585526B1 (ko) 2004-05-19 2004-05-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755A true KR20050110755A (ko) 2005-11-23
KR100585526B1 KR100585526B1 (ko) 2006-06-07

Family

ID=3728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569A KR100585526B1 (ko) 2004-05-19 2004-05-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5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169B1 (ko) * 2006-01-17 200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1136B1 (ko) * 2006-01-04 200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79286B1 (ko) * 2007-03-14 2009-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136B1 (ko) * 2006-01-04 200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1169B1 (ko) * 2006-01-17 200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79286B1 (ko) * 2007-03-14 2009-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5526B1 (ko)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5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518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73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10281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02743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60202621A1 (en) Plasma display panel (PDP)
KR1005553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0598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05143A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010807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9204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089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734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920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2693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4502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582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7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5986B1 (ko) MgO막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13458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7545346B2 (en) Plasma display panel and a drive method therefor
KR10052386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532773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エイジング方法
KR2009007666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408716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