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0685A - 차량 내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0685A
KR20050110685A KR1020057017619A KR20057017619A KR20050110685A KR 20050110685 A KR20050110685 A KR 20050110685A KR 1020057017619 A KR1020057017619 A KR 1020057017619A KR 20057017619 A KR20057017619 A KR 20057017619A KR 20050110685 A KR20050110685 A KR 20050110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occupancy
belt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6926B1 (ko
Inventor
크라우스 호프벡
토마스 크레멘트
빌기트 뢰셀
안트 스티엘로우
미하엘 스티플러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50110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4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using electromagneticwaves, e.g. infra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6Child-seat detec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단일한 고주파 송수신기가 수개의 좌석(2)을 포함한 차량(1)에 방사선을 방사하고, 상기 고주파 방사선은 좌석이 점유 여부에 따라 반사하고 수신기에 송신하며 방사선 강도에 따라 계산된다. 추가로, 확인의 신뢰성은 승객의 위치를 벗어난 상태에 있을 때에도 좌석벨트(6)마다 그 안에 또는 그 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9)로 인하여 증가한다.

Description

차량 내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SEAT OCCUPANCY IN A VEHICLE}
본 발명은, 제 1 항에 따른 차량 내의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제 10 항에 따른 이에 상응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이와 같은 장치로서, 고주파 송신기가 고주파 방사선을 좌석 점유와 관련되어 감지되는 반사면을 갖는 좌석에 방사하는 장치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6,199,904호에서 공지된다. 상기 좌석이 점유되지 않은 상태일 때, 고주파 방사선은 표면에 반사되어 수신기에 송신된다. 수신되는 반사된 방사선은 수신기 내의 방사선 강도와 관련하여 계산된다. 사람이 상기 좌석에 앉아 있는 경우, 방사선은 사람의 몸체에 의한 정도만큼 감소하여, 수신기에 되돌아온 반사된 신호의 강도 감소로부터 각각의 거리로서 좌석의 점유가 식별될 수 있다.
차량 접근 제어 및 시동 시스템에서 이미 사용되는 것으로 공지된 것과 같이, 송수신기 시스템이 좌석 점유 감지 시스템에서 고주파 송신 및 수신 유닛으로서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내부적으로 제안되었다. 차량 내의 도난 방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고주파 송수신기 시스템의 개발 배경으로서, 예를 들어 아직 공지되지 않은 독일 특허 DE 199 57 536 A1의 개시를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신호의 지연 시간으로부터 송수신기와 각각의 반사체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다음, 각각의 반사체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주변 환경에서 떠도는 다른 신호와 구분하는 문제에 좌석의 배치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결과 사람이 차량 내에 앉은 경우 수신된 신호의 강도로부터 신뢰성있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차량 내의 하나 이상의 좌석을 위산 실시예로서 소위 역분산(backscatter) 시스템이 반사체로서 사용되고, 이러한 반사된 신호가 각각 제어가능한 일정한 코드로 변조되는 것이 내부적으로 제안되었다. 이러한 변조 역분산 시스템(modulating backscatter system)은, 예를 들어 차량 확인 시스템의 배치를 위한 아직 공지되지 않은 독일 특허 DE 199 57 557 A1으로부터 알려진다. 역분산 시스템은 내부적으로 가변 변조를 제공하는 반사체를 구비한 표면파 성분들을 포함한다. 역분산 시스템은 수신 신호에 가변 코드를 제공하며, 그 결과 전환된 역신호는 예를 들어 차량 내의 금속 부분의 어떠한 반사와도 구분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보다 적은 비용으로 보다 바람직한 결과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실시예에서 설치 비용을 절감하면서 좌석 점유를 확인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 1 항의 특징을 구비한 방법 및 제 10 항의 특징을 구비한 장치로서의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파동장(wave field)을 제공하는 오직 하나의 송신 유닛을 구비하여, 감지되는 다수의 좌석을 구비한 차량 내에서 각각의 좌석의 점유를 결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다수의 좌석의 점유를 감지하기 위한 크기 변경이 용이하다. 각각의 고주파 송신 용량은 조금만 증가한다. 또한, 작동 및 계산 목적의 전자 장치의 추가비용은 감지되는 좌석의 개수에 따른 1차 함수로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필요한 공간 및 생산 가격은 좌석의 개수에 따른 1차 함수로 증가하지 않는다. 특히 차량에서 가용한 제한적인 에너지를 보존하는데 필요한 출력 전원은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근은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이 출원인에 의해 이미 제안된 시스템 및 방법들을 적용한다.
전술한 반사체로서 역분산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DE 102 54 197에서 출원인은 차량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였으며, 여기에서 좌석은 각각의 좌석에서의 역분산 시스템을 사용하여 서로 달리 가변되고 코딩된 신호 역분산을 기초로 하여 구분된다. 여기에서 단일 송신 및 수신 유닛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DE 102 54 198에서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것은, 고주파 전자기 방사선을 구비하여 큰 정도로 일어나는 회절 현상을 사용하여 특정 회절 패턴을 기초로 차량의 좌석의 점유가 테스트되는 것이다.
DE 102 54 202에서 내부적으로 제안된 것은, 각각의 좌석의 반사체 부재의 순간적인 온 오프 스위칭 동안 각각의 역분산 강도의 후속적인 측정에 의해 차량 좌석의 점유가 탐지되는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하나의 좌석의 역분산만이 송수신기의 형태로 송신 및 수신 유닛을 사용하여 각각의 거리에서 계산되는 것을 허용한다. 일정 시간 동안 반사체 부재의 점진적인 스위칭은 차량 내의 점유 상태가 탐지되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송신기에 의해 방사되는 파동장의 메인 로브(main lobe)의 빔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이는 레이더 기술 면에서 비행장 감시 시스템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차량 좌석의 사람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공지되고 공보된 장치는, 사람이 차량 내에 앉아 있는지 여부 또는 사람이 좌석에 단지 기대고 있거나 비스듬히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거나 또는 충분한 정확성으로 확인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수신된 신호의 강도, 다른 말로 사용된 전자기 방사선을 통해 사람 몸체를 한 번 또는 두 번 통과함으로써 감소한 신호의 강도만이 계산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좌석에 다수의 반사체에 의해 역분산된 고주파 방사선의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다른 우선권 없이 내부적으로 DE 102 54 200에 개시되며, 특히 이는 소위 위치를 벗어난 상태(out of position)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의 특징은, 좌석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각각의 부재로서 반사체가 배열되고 그 결과 일반적으로 앉아 있는 위치에서 사전 처리된 반사체가 사람이 점진적으로 앞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점차 처리되지 않고 반사된 전자기 신호의 강도가 전체적으로 매우 증가하도록 한다.
또한, 내부적으로 제안되고 DE 102 54 201에서 출원된 특허 출원 내용에서, 각각의 좌석의 다수의 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전자기 방사선의 강도 측정이 차량의 좌석의 사람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으로서 제안된다. 반사체는 좌석의 가장자리에 배열되고 사람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 밖에 분배되어, 위치 확인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좌석에 앉아 있는 사람의 앉은 위치의 종류에 추가하여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진단 및 자체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려진 작동 영역의 외곽 가장자리에 배열된 진단 반사체가 온 오프 스위칭될 수 있는 반사체인 것이 제안된다.
차량 좌석의 사람의 보다 나은 위치 확인을 위해, 좌석마다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가 관련된 좌석벨트 내에 또는 위에 배열되는 것이 제안된다. 좌석벨트마다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의 이러한 배열은, 좌석벨트가 매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가 고주파 송신기에 의해 방사된 파동장 내에 위치 내로 이동하여 이를 수신하고, 따라서 좌석벨트가 매이지 않은 비작동 위치(passive position)에서의 좌석벨트보다 매우 큰 전자기 고주파 에너지를 재송신하도록 선택된다. 사람 또는 사물이 차량 내의 좌석에 좌석벨트를 맨 경우, 각각의 반사체는 고주파에서 작동하는 송신 및 수신 유닛의 시각 영역 내에 대체로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술할 바와 같이 수행된 측정은, 좌석벨트의 수동 상태의 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고주파 전자기 에너지의 양과 좌석벨트의 동적 상태의 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고주파 전자기 에너지의 양 사이에서 수십의 강도 차이를 나타낸다.
벨트로서, 그리고 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의 파동장 내에 남은 반사체 그 자체로서, 점유의 이러한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서 보다 큰 정도의 신뢰성으로 확인될 수 있다. 차량 내에 이미 존재한 시스템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므로, 추가 경비는 각각의 좌석벨트 내의 또는 상의 추가 반사체의 부착 및 수신된 신호의 계산 확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좌석벨트 및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는 매여 있지 않은 비작동 위치에서 대체로 전자기적으로 스크린된 영역 내로 이동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좌석벨트는 공지된 방법으로 인장되고, 인장 메커니즘의 적재 공간은 금속 코팅에 의해 전자기적으로 스크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반사된 신호는 계산 장치의 각각의 신호 지연 시간 및/또는 강도에 관해서 테스트된다. 반사된 신호의 각각의 강도에서의 테스트는, 좌석 내의 사람 또는 사물이 좌석벨트를 매고 있는지 여부를 위한 명백히 계산 가능한 구분 기준을 제공한다. 각각의 좌석벨트와 각각의 좌석의 등받이 사이의 거리는 지연 시간 차이를 사용하여 계산 가능하다. 계산 유닛에서는, 이러한 패턴에 기초하여 보다 큰 승객과 위치를 벗어난 상태 사이의 구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전술하였으며 출원인으로부터 대체로 제안된 방법과 조합되어 실시된다. 좌석표면 위쪽에 분배된 전술한 다수의 반사체 및 좌석벨트 영역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로부터 비롯한 하나의 반사된 신호가 전체적으로 계산된다. 이러한 대체로 다른 두 종류로 배열된 반사체로부터 반사된 전자기 고주파 신호들은 역분산 시스템의 사용을 통해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좌석의 점유는 반복적 방법으로 계산되며, 위치를 벗어난 상태는 특히 바람직하게 매우 개선되고 신뢰성있는 방법으로 탐지된다. 사람 뒤에 예를 들어 등받이 영역 내에 배열된 반사체가 사람이 좌석의 일반적인 위치에서 앞으로 기울여 점차 가려지지 않는 동안, 좌석벨트의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는 좌석의 점유를 신뢰성있게 여전히 지시한다. 사람이 좌석 앞으로 기울임에 따라, 벨트 및 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는 관련된 좌석의 등받이로부터 송신 및 수신 유닛을 향해 점점 이동한다. 이러한 위치의 변화는 위치를 벗어난 상태의 추가적인 표시로서 거리 측정의 일부분으로 탐지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조합된 방법은, 벨트를 매는 센서가 좌석의 반동적 또는 동적 반사체를 구동하는 분리(isolation)와 관련이 있다. 벨트를 매는 것도 벨트를 매는 것 자체를 통해 전기적인 접촉을 성립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반동적 또는 동적 반사체는 좌석 및/또는 벨트 자체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은 고주파 전자기 파동장이 오직 하나의 송신 유닛을 사용하여 차량 내의 승객 셀(passenger cell) 내에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파동장은 모든 가용 좌석들을 포함하는 공간, 및/또는 사람 및/또는 짐에 의해 점유된 차량 내 적재 영역을 포함하는 공간을 처리한다. 이러한 좌석은 각각의 좌석의 점유를 확인하기 위해서 전술하였으며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빔 간섭 기술에 의한 사람 관찰(HOBBIT; Human Observation By Beam Interference Technology) 방법에 의한 상응하는 HOBBIT 반사체를 구비하여 설치된다. 각각의 점유의 형태는 전술한 신뢰성있는 방법으로 확인될 수 있으며, 위치를 벗어난 상태에 추가하여 좌석에 키 큰 어른이 있는지, 어린이와 같은 마르고 작은 사람이 있는지, 또는 리클라이닝 시트(reclining seat)에 아기가 있는지 또는 예를 들어 여행용 가방과 같은 짐이 있는지를 구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지연 시간 측정뿐만 아니라, 레벨 측정이 주로 반사체로부터의 다양한 역신호 또는 반사 신호의 주파수 상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측정 방법은 수행되는 계산의 단순함으로 인해 매우 빠르다. 따라서 동적인 측정 또한 가능하다. 각각의 좌석의 점유 및 위치는 사건 이벤트 상의 충격(impact) 시간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을 위한 시작은, 예를 들어 과도한 역가속 또는 초기 변형의 이벤트에서 차량 외측의 프리크래쉬(pre-crash) 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사전 경고 신호일 수 있다. 레이더 거리 센서 또는 다른 사건의 사전 경고 시스템이 신호 방사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적 측정을 위한 구동은, 주기적으로 출력되는 시스템 방사선을 스위칭함으로써 최소값을 줄이는 극초단파 방사선으로 인해 차량 승객 상에 짐이 있어도 가능하다. 제안된 점유 측정은 위험한 상황에 집중하며, 이는 프리크래쉬 센서에 기초하여 가정된다. 하지만, 방사선 출력은 차량 승객의 생명이 위험해진 상황에서 비교적 낮게 유지된다.
- 표준 모바일폰은 통화 동안 약 1.8GHz에서 약 1000mW를 방사하며
-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표준에 따른 고정식 무선 네트워크폰은 (통화중이 아닐 때에도) 항상 1.9GHz에서 250mW로 작동하며, 그리고
- 블루투스 부재는 각각의 작동 모드에 따라 2.4GHz 작동 출력에서 약 100mW를 방사한다.
본 발명에서는 2.4GHz에서 필요한 센서 출력은 1mW보다 작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호 종속적인 표시부(indicator)가 사고 상황을 가정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출력만이 방사된다.
좌석 점유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오직 수 미리 초이다. 이러한 측정 시간은 전체 사고 시간에 비교하여 충분히 짧다. 이러한 매우 짧은 측정 시간은, 동적으로 점유된 좌석 내의 에어백을 제어함으로써 특정 동력을 이루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하며, 상기 동력은 각각의 앉은 위치 또는 기댄 사람의 키 및/또는 중량에 따라 제어된다. 에어백이 작동한 후, 동력은 특정 압력 감소에 영향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벨트 텐셔너(tensioner)의 구동은, 사고 이벤트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감소하도록 각각의 좌석 점유의 동적 측정 결과를 기초로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사고 상황 시에도 좌석벨트가 사람을 단단히 붙잡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중요하다. 벨트 텐셔너를 구비한 좌석벨트가 약 90% 안전성을 제공한다고 테스트되었다. 반대로 앞좌석 승객용 에어백의 가치는 매우 낮다. 에어백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벨트 텐셔너 기능의 지능은 벨트를 매고 앞으로 기울어진 사람에 관한 정보로 인해 증가할 수 있다. 사고 이벤트에서, 벨트 텐셔너는 각각의 좌석 점유의 동적인 측정에 기초한 센서 데이터로서 거리 정보 및 승객의 기울어짐의 다단계 응답을 시행한다. 효과적으로 벨트를 맨 사람과 벨트를 제대로 매지 않은 사람 사이의 사고 시의 안전성을 결정할 때, 약 3cm에 이르는 초과 벨트 길이가 안전성 레벨을 매우 저하하고 부상 위험성을 매우 증가시키는 것이 성립되었다.
측정 및 후속적인 설정 작업은 사고 상황 밖에서도 머리받이 제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좌석 감지에 의한 신호 계산으로부터의 크기 계산에 기초한 높이 조절 또는 모터제어 가능한 머리받이의 구동은 도로 교통사고 이벤트에서 척추 또는 목뼈 골절을 방지하도록 측정하는데에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관련된 추가 비용으로 인해 순수한 안락(comfort) 특징으로서는 덜 중요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가 계산 유닛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사용한 시스템으로서 가능하다.
a. 차량 내의 안락한 실시를 위한 구동 및 개시
b. 수동 접근 제어 및 시동 시스템, 또는 수동 시동 및 접근 허가(PASE; passive start and entry) 이후의 작동의 안락함을 위한 구동
c. 안전한 실시를 위한 정보 공급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각각의 종속항의 요점이 된다.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을 개시한다.
도 1은, 5개의 좌석을 구비한 차량 내의 점유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2는, 벨트를 맨 사람에 의해서 서로 다른 형식의 점유인, 도 1의 운전석의 도면을 도시하며,
도 3은, 좌석벨트 시스템이 비작동 위치에 있는 경우의 도 2의 도면을 도시하며,
도 4는, 도 1의 운전석의 횡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5는, 좌석 내에 반사체를 구비한 도 4의 좌석의 도면을 도시하며,
도 6은, 강도 분배를 다이어그램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그리고
도 7은, 위치를 벗어난 상황에서의 개선된 탐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5개의 좌석(2)을 구비한 차량(1)이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개시에 따라, 각각의 좌석은 각각의 좌석(2)을 위한 독립적인 확인 시스템(3)에 의해 처리되며, 제어 유닛(S), 송신 및 수신 유닛(SE), 및 이로부터 방사되는 방사선장(H)을 구비하여 좌석 점유를 탐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확인 시스템(3)과 반대로, 모든 좌석(2)들은 하나의 송신 유닛으로부터의 파동장(H)에 의해 처리된다.
본 출원인이 제안했던 것으로 간략히 전술한 좌석 점유를 확인하는 방법들 중 하나를 개발함으로써, 역분산 반사체의 사용은 송신 및 수신 유닛(SE)을 위한 설치 비용을 감소할 것이다. 예를 들어 US 6,199,903 B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좌석(2)의 각각의 역분산 신호를 서로 다르고 구분 가능한 방법으로 코딩(coding)함으로써 탐지 목적을 위해 고주파 파동장 하나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지된 장치는 특히 소위 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의 좌석 점유 확인 시의 신뢰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단점을 갖는다. 당업자는 위치를 벗어난 상태를 사람이 차량 좌석(2)에 있지만 전방으로 매우 기울였거나 또는 정상적인 앉은 위치에 비해 심하게 기울여 앉은 위치라고 여긴다. 좌석 점유를 나타내는 공지된 방법의 결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가 처리하지 못함으로 인해 방사선장으로부터의 매우 높은 고주파 에너지가 수신 유닛에 다시 반사되며, 이는 정상적인 점유의 경우 발생하는 것보다 매우 증가한 것이다. 바람직하지 않은 실시예로서, 이는 실제로 점유된 좌석이 시스템(3)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잘못 계산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동일하게 심각한 문제는, 공지된 좌석 점유 시스템(3)이 연결되어 예를 들어 에어백 시스템과 같은 차량(1)의 안전 장치 부재를 구동시키는 경우 발생한다. 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 사람은 일반적으로 좌석에서 멀어지도록 굽어 있으며, 그 결과 머리-목-어깨 선은 에어백을 향해 앉아 있는 일반적인 위치에서 멀어지도록 움직이다. 전술한 상황에서 상기 에어백이 아무런 영향 없이 작동하는 것은, 위치를 벗어난 상태의 사람의 몸체 일부분에 에어백의 충격량으로 인해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도 4 내지 도 6과 관련된 이하의 상세한 기술을 참조한다.
위치를 벗어난 상태를 확인하는 한 가지 효과적은 방법이 도 2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이다. 공지된 구조의 운전석의 도 2의 개략적인 도면에서, 비교적 키가 큰 어른의 윤곽이 G로 표시되고, 어린이와 같이 비교적 작은 사람의 윤곽이 K로 표시된다. 매우 다른 키의 이러한 두 명이 좌석(2)의 좌석표면(4)에 앉아서 등받이(5)에 등을 기대고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2명 모두 어깨벨트(7)와 허리벨트(8)를 구비한 3점 좌석벨트 형태의 공지된 좌석벨트(6)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벨트를 매고 있다. 선택된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벨트를 맨 키 큰 사람(G)의 경우 어깨벨트(7)와 허리벨트(8)의 위치는 벨트를 맨 키 작은 사람(K)의 경우의 위치와 다르지 않다.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9)가 좌석벨트(6) 내에 또는 위에 배열되어, 좌석벨트(6)가 매어지면 파동장(H)에 의해 처리되는 영역(10) 내에 배치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2개의 반사체(9)가 좌석벨트(6)의 어깨벨트(7) 및 허리벨트(8)에 각각 배열되어, 좌석벨트(6)가 매어지면 작은 사람(K)이 벨트를 맨 경우에도 몸체 윤곽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벨트를 맨 사람의 키와 무관하게, 좌석벨트(6) 상의 4개의 반사체(9)가 항상 파동장(H)에 의해 처리되는 영역(10) 내에 대체로 존재하며, 좌석벨트(6)가 매어진 전술한 작동 위치에서 반사체(9)에 의해 발생한 역분산 신호가 매우 높은 수준으로 수신 유닛에서 탐지된다.
도 2에서와 같이, 도 3에서 좌석(2)은 벨트를 매지 않은 큰 사람(G)과 역시 벨트를 매지 않은 작은 사람(K)의 윤곽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좌석벨트(6)는 벨트 텐셔너(GS)에 의해 좌석(2)의 등받이(5)의 외곽 가장자리로 인장된다. 따라서 벨트(6)에 부착된 반사체(9)는 파동장(H)에 의해 처리되는 영역(10)으로부터 제거되어 전자기 방사선의 매우 작은 부분만이 반사된다. 벨트 텐셔너(GS)는 2개의 반사체(9)가 있는 어깨벨트(7)를 당긴다. 전자기적 스크린으로 인해 어떠한 다른 역분산 신호도 어깨벨트(7) 상의 2개의 반사기(9)에 의해 방사될 수 없다. 메인 로브의 형태로 도시되는 빔 형태가 없을 때조차도, 전체 역분산 신호의 강도에서 많은 감소가 측정되며, 허리벨트에서의 오직 2개의 반사체(9)만이 반사할 수 있다. 따라서 좌석벨트가 착용될 필요성이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다면, 전술한 확인 시스템(3)에 따라서 매우 높은 신뢰성으로 좌석(2)의 점유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작동 또는 작동 반사체(9)를 사용할 때, 벨트 패스너(fastener)(11)에 의한 전기적 접촉을 성립함으로써, 이들을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좌석벨트(6)가 신뢰성있게 잠겨 있을 때 전기적 에너지를 공급받으면 반사체(9)는 오직 일반적으로 작동된다.
도 4의 도면은 도 1의 운전석(2)의 위치의 횡단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차량(1) 내의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는 DE 102 52 202에 의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되었던 것으로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반사체(12)들은 좌석(2)의 등받이(5)에서 분배되며, 그 결과 도시된 반사체(12)는 송신 장치(SE)에 의해 방사되는 파동장(H)으로부터의 전자기 방사선이 대체로 감소하는 범위만큼 일반적으로 앉는 위치에서의 키 큰 사람(G)의 몸체에 의해 처리 영역(10)에서 가려진다.
도시된 릴랙스된 위치의 사람으로서, 고주파 전자기파 방사선이 사람의 몸체를 통과하고 반사체(12)의 반사 이후 두 번째로 통과한다. 이는 전자기파가 매우 감소하도록 하여, 송신 및 수신 유닛(SE) 내의 수신 유닛은 도시된 좌석(2)으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온 매우 감소한 전자기 신호만을 수용한다. 이에 기초하여 점유가 확인된다.
이러한 측정에 대응되게, 좌석은, 전자기 방사선으로부터 변조되거나, 코딩되거나, 또는 기타 구분 가능한 역분산을 사용하여 다른 상세한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은 방법으로 구분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공지되지 않은 출원인의 DE 102 54 194에 수반된 내부 개시에 따르면, 역분산 반사 부재(12)는 시트(2) 내에 배열된다. 이러한 반사체(12)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성되어 온 오프 스위칭될 수 있다면, 각각의 좌석에서 반사체(12)를 온 오프 스위칭함으로써 및/또는 확인 시스템(3)의 자체 테스트 형식으로 수행함으로써 점유를 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주파 전자기 방사선으로 매우 큰 정도로 발생하는 회절 현상의 계산을 기초로 하여, 어른, 어린이, 또는 아기에 의한 점유를 구분하도록 회절 패턴을 참조하여 확장된 점유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출원인의 내부적인 제안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의 도면과 유사하게, 도 5는 좌석표면(4) 및 등받이(5) 내에 전술한 바와 같은 6개의 반사체(12)가 고정된 좌석(2)을 도시한다. 고주파 파동장(H)에 의해 처리되는 영역을 가정하면, 키가 큰 사람 및 작은 사람의 몸체 윤곽(G, K)은 반사체(12)의 위치와 관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DE 102 54 200의 개시에 따른 배열체는 부분적으로 배치된 반사체를 사용하도록 형성되었다.
좌석(2)에 앉은 사람(G)이 편하게 앉는 위치를 벗어나 앞쪽으로 연속하여 기울어짐에 따라, 도 5의 좌석(2)의 반사체(12)는 그 사람(G)의 몸체에 의해 점차 가려지지 않는다. 도 4의 예시적으로 도시된 차량(1)의 배열체 내의 송신 및 수신 유닛(SE)에 의해 탐지된 강도 분배가 사람의 상체의 각각의 기울어짐 각도에 따라 도 6에서 그래프로서 도시된다.
도 6에서 스위칭 역치는 파선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스위칭 역치는 위치를 벗어난 상태에 비교하여 여전히 허용 가능한 앉는 위치의 확인을 규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다수의 반사체 및 다른 강도 변동은, 강도값의 보다 큰 정도의 변동으로서 도 6의 표에서 빗금친 부분으로 도시된다. 특히 변조된 역분산 반사체로서 구성되지 않은 간단한 반사체(12)를 구비한 DE 102 54 200의 개시에 따른 장치의 기본적인 디자인 실시를 가정하면, 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의 측정은 상체를 약간 기울인 사람에 의한 좌석(2) 점유가 나타나는 것에 비교하여 불분명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이미 제안된 이러한 확인 방법은 도 2 및 도 3의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새로운 확인 방법과 조합될 수 있으며, 도 4의 도면과 유사한 도 7의 도면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7은 위치를 벗어난 상태를 도시적으로 설명하며, 키가 큰 사람이 좌석(2)에 앉아서 그 몸체는 일반적으로 앉는 위치에 비해 매우 큰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이러한 앉는 위치에서는 도 7의 도면에서 예시적으로 등받이 및 머리받이 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 4개의 반사체(12)는, 반사선장(H)이 반사체(12)를 거치는 직접적인 접근 및/또는 분산 효과에 의해 보다 높은 강도의 역신호를 생성하는 정도로 처리되지 않는다. 좌석표면(4)에 있는 이러한 반사체(12)는 가려진 상태로 유지되며, 따라서 좌석(2)은 정확히 점유된다. 언급한 제 1 반사와 구분되고 좌석벨트(6) 상의 반사체(9)에 의해 생성되는 제 2 반사의 탐지는, 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의 좌석 점유가 명백하게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의 상체의 기울어짐 각도는 좌석벨트(6) 상의 반사체(9)를 거쳐서 송신 및 수신 유닛(SE)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이는 조합된 강도 및 신호 지연 시간 측정으로서 이루어진다. 측정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벨트(6)는 매여 있어야 하며, 여기에서 벨트(6)는 송신 및 수신 유닛(SE)으로부터 l2의 거리에 있다. 그러나 좌석(2)은 송신 및 수신 유닛(SE)으로부터 l1의 거리에 있다. 기록된 회절 패턴은, 사람이 그 몸체로부터 충분한 거리에서 이러한 차이를 만족하지 않음을 도시한다. 따라서 매우 큰 사람은 아니다. 위치를 벗어난 상태의 확인의 신뢰성은 공지된 또는 현재의 오직 내부적으로 제안된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조합에 의해 매우 증가한다.
또한, 동일한 시스템(3)은 좌석(2)을 점유하는 사람이 벨트를 매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할 수 있다. 도 7에 따른 이러한 제안된 방법으로, 가용한 하부 구조(infrastructure)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대 차량(1)에서의 접근 제어 및 차량 시동 시스템을 위해 이미 배치된 부분으로서 대체로 이미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도 7과 관계되어 설명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독으로 또는 조합된 실시를 위해서, 현존하는 시스템 부재를 사용할 경우 추가적인 반사체(9)의 오직 하나의 배열체가 좌석벨트(6)에 필요하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또는 본 발명과 연계된 하류로서 제어 유닛(S)과 통합된 계산 유닛이 전술한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새로운 확인 시스템(3)이 도 2 및 도 3만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내부적으로 제안된 확인 시스템 및 도 7에 따른 매우 바람직한 조합 시스템은, 고주파 전자기 파동장(H)이, 단지 하나의 송신 및 수신 유닛(SE)을 사용하고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차량의 점유 탐지 목적을 위해 사람 및/또는 짐을 위해 허용된 모든 좌석(2)을 처리하며 매우 유익하게 생성된다는 사실을 통상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좌석(2) 및/또는 좌석벨트(6)는 HOBBIT 반사체(9, 12)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체는 DE 102 54 201의 개시에 따라 수동, 반수동, 반동적, 또는 동적 가변 역분산 반사체와 상응하게 매우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HOBBIT 반사체(9)의 응답은 어떠한 좌석 점유와 독립적이다. 개시된 시스템은, 파동장(H) 내의 벨트(6)에 배치되거나 또는 탐지되는 사람의 그림자 형태 내에 있는 HOBBIT 반사체(9)로부터 얼마나 많은 변조된 반사가 있었는지에 따라 각각의 좌석(2)의 점유 및 각각의 좌석(2) 상의 사람의 위치 및 형태(G, K)를 추론한다. 역분산 반사체(9)를 변조함으로써, 각각의 HOBBIT 반사체(9)들의 역분산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좌석(2)은 (보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계산 유닛을 사용하여 송신 및 수신 유닛(SE)에 의해 처리된다. 따라서 송신 및 수신 유닛(SE)과 각각의 HOBBIT 반사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필요가 없다. 또한, HOBBIT 반사체는 HOBBIT 베이스 스테이션 및 파동장(H)으로서 송신 및 수신 유닛(SE) 상태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시된 예시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소위 HOBBIT 반사체인 반사체(9, 12)는 약 2.4GHz 또는 24GHz 범위의 전자기 고주파 실시예를 위한 표면 공급 부재에 기초한 순수한 수동 부재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각각의 좌석들과 구분될 수 있으며 넓은 범위의 처리에서 유연하며 경제적인 필름 부재의 형태로서의 특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현대의 방직 기술은 좌석벨트 물질 상에 또는 좌석(2)의 표면 물질 상에 반사체가 배열되어 관련 물질과 통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이는 특히 벨트 텐셔너에 의해 벨트가 감겨 올려갔을 때에서도 벨트 물질의 자연적인 섬유질에 변형이 거의 없으며 기계적으로 응력이 없는 배열체를 허용한다. 제한된 제조 비용에서의 특성의 선택뿐만 아니라 이러한 HOBBIT 반사체(9, 12)를 위한 기능적인 신뢰성 및 적합한 활용의 높은 수준으로서 유연한 배치를 보증한다.
차량(1)의 승객 셀의 전체 내부는 대체로 송신기로부터의 파동장에 의해 일반적인 방법으로 채워지는 것이 가정된다. 회절 및 반사가 처리를 돕는다. 대안적으로, 보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로서, 상기 주파수 범위의 파동장(H)은 소위 절연 방사체를 사용하여 구성되며, 그 결과 규정된 파동장(H)의 메인 로브는 차량(1) 내에서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감지되는 좌석(2)으로 지시된다. 차량(1)의 5개의 좌석(2)의 5개의 방사선 로브를 구비한 이러한 특정 빔 형성과 관련하여, 이러한 배열체의 방사선 특성은 도 1의 도면에서의 개략적인 특징에 상응한다. 이러한 절연 방사체의 디자인은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편향 가능한 비행장 감시용 시스템을 위한 것으로 공지된 것으로 그 높은 비용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오직 소수만이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비싸다. 그러나 다수가 배치될 때에는 상응하는 송신 및 수신 유닛(SE)의 단단한 구조 및 높은 수준의 신뢰성을 구비하면서도 비교적 합리적이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경제적인 제조로 인해 이러한 접근이 추천된다.
이러한 시스템의 3가지 가능한 실시예가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되지 않은 3개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도시된다.
첫 번째 실시예에서 전술한 특징들에 따라 구성된 확인 시스템(3)은, 차량(1) 내의 안락한 실시를 위한 구동 시스템으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확인 시스템(3)은 접근 제어 및 차량 시동 시스템에서 시간상 2단계 방법으로 전체적으로 보다 복잡하게 작동한다. 이는, 1단계에서 차량(1)에 접근한 사람이 인식되고 코드 방사기 또는 사용자 확인 장치(CID; code identification device)로부터 확인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 운전석이 분명하게 점유되면, 전술한 확인 시스템(3)의 하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상응하는 운전석 조명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한다. 좌석(2) 점유의 처리는 각각의 확인된 운전자에 의해 정의된 사전 설정에 따라서 내부 조명 및/또는 라디오가 켜지도록 한다. 엔진이 시동되면, 주로 차량(1)의 모든 사람이 벨트를 매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와 같은 다른 정보들이 운전자에게 출력된다. 엔진을 시동하는 것으로서 좌석(2)이 각각의 운전자에 대해 저장된 물리적 데이터로서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유사하게 내부 거울이 정렬되도록 하고, 이전에 운전자가 차량(1) 밖으로 나갈 때 자동으로 접혔던 외부 거울이 각각의 확인된 운전자에 의한 개별적인 설정으로 돌아오도록 하며, 다시 각각의 확인된 운전자용 개별 설정을 고려한다. 각각의 인증된 운전자 확인에 기초하여 엔진이 시동되기 전에 안전상의 이유로 수동으로 되어야만 했던 설정이 필요 없으며, 무한한 시간 및/또는 에너지 소비 실험에서 안전상의 이유로 각각의 운전자의 환경에 각각의 차량(1)의 동적 적응이 필요하다. 이는 차량(1)의 작동의 안전성 및 그 사용자-편의 및 안락함을 매우 증가시킨다.
전술한 선택들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전술한 확인 시스템(3)은 동적 시동 및 시작 또는 PASE 시스템으로서 언급된다. 사용자는 간단히 문 손잡이 또는 유사한 장치를 쥠으로써 PASE를 구비한 차량(1)에 접근한다. 예를 들어, 라디오 리모트 컨트롤과 같이 어떠한 다른 행동도 필요하지 않다. 장치된 차량(1)을 떠날 때, 좌석 점유 또는 비점유 확인 기능은 차량 내의 모든 좌석(2)이 확실하게 점유되지 않는다면 차량(1)을 자동으로 잠근다. 소위 걸어 나가며 잠그는 기능(WAL; walk away locking)이 작동한다. 그 다음 차량(1)은 전자기 필요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함으로써 자동으로 사용자 확인 장치(CID)를 찾기 시작한다. 인가된 사람이 차량으로 다시 접근한다면, 차량은 일정 거리에서 그 위치에 의존적인 하부-단계 또는 하부-기능에 따라 개방을 준비한다.
PASE만이 장착된 차량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석이 점유되지 않을 때의 전술한 좌석 점유 확인과 같이 전기적 핸들 잠금(ELV; electronic wheel lock)이 장치를 거쳐서 자동으로 작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확인 장치(CID)가 차량 내부를 탐지하고 운전석이 장치(3)에 의해 점유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이하의 시나리오가 PASE 시스템이 맞추어진 차량에서 가능하다. 시동 손잡이 조명이 운전자를 향해 빛난다. 운전 시스템 시동장치가 가동되어 운전석(2)의 위치에서 사용자 확인 장치(CID)의 확인(CID-ID)에 기초하여 핸들 및 페달이 저장된 사전 설정에 따라 제어된다. 최종적으로, 전기적 핸들 잠금(ELV)의 자동 해제가 작동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전술한 측정은 오직 부정확한 정도로 수행될 수 있다. 현재 필요한 에너지의 많은 양은, 엔진이 작동할 때 각각의 좌석의 점유가 계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계산 장치는 좌석 점유를 결정하는데 매우 긴 응답 시간을 필요로 한다. 엔진이 온(on)으로 스위칭된 이후 예를 들어 에어백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차량이 좌석 점유 상태를 탐지하는데에 14초의 시간이 걸린다. 예를 들어, 도로 측면의 주차 공간을 떠나서 점차 이동하는 많은 일반적인 상황은 에어백 등의 구동 응답에 있어서 필요하며 제어된 영향을 주는 것을 탐지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에서, 계산은 매우 작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여 수행되며, 수천 분의 일 초 소요된다. 어떠한 이벤트에서도 계산은 엔진이 시동되기 전에 수행된다. 필요한 연속적인 동적 좌석 점유 확인 시스템은 예를 들어 문의 잠김이 해제될 때 작동한다. 그 다음 시스템은 엔진이 시동되기 전 문이 열리는 시간부터 동적으로 좌석을 관찰한다. 이는 새로운 안전 특징을 제공한다. 오직 운전석이 어른에 의해 점유된 것으로 탐지되거나 고개 확인 장치(CID)가 무접(contactless) 방법으로 접근 및 시동 인가를 위해 내부에서 현재 나타나는 경우에만, 엔진 시도 기능 및/또는 핸들 잠금이 릴리싱된다.
최종적으로, 전술한 확인 시스템(3)은 안전한 실시를 위한 정보 공급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빈 좌석 확인, 탑승자로서 어린이 및 아기의 확인에서는 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의 에어백 안전 시스템을 위한 특정 안전 설정에 관하여 이미 개시된 특정한 측정에 추가하여, 벨트 텐셔너는 적정하게 점유된 좌석 및 승객이 등받이에 기댄 위치인 편히 앉은 위치를 위해 보정된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관련되어 이미 이루어진 설명과 같이 좌석벨트(6)에 HOBBIT 역분산 반사체(9)를 사용할 때 안전과 관련된 하부-시스템에서 각각의 좌석(2)에 앉은 사람의 위치 및 키에 관한 보다 상세한 정보가 전송되거나 또는 이러한 처리 방법에서 이를 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각각의 실시예에서 보호되는 사람의 키에 따라 필요한 벨트 인장 메커니즘의 크기 제어를 포함한다.
접근 제어 및 인증 확인 시스템에 기초하여, 현대의 자동차에서 자주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에너지-절약적이며 효과적이고 신뢰성있는 시스템이 전술한 실시예 내용 및 도면의 설명에 관한 어느 정도의 내용으로부터 차량(1) 내의 좌석(2) 점유 확인을 위해 제안된다. 보다 매우 신뢰성있는 정보가 약간 확정된 이미 가용한 차량(1) 내부의 내부 구조 및 하드웨어에 의해 제공된다. 송신 및 수신 유닛(SE)의 계산 및 조사 능력을 확장함으로써 추가로 차량 내의 사람의 안전성을 증가시키고, 관련된 실시가 안락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인 하드웨어의 비용은 대체로 추가적인 반사체(9) 및 전술한 형식의 안전 장치의 부재로서 제공되는 제어 장치(S)의 부착에 제한된다. 따라서 장치를 개선하는 것은 표준적인 전기 부재의 대체 형태를 취할 수 있다.

Claims (15)

  1. 고주파 방사선이 좌석(2)을 향해 방사되고, 상기 고주파 방사선은 좌석 점유 여부에 따라서 수신기(E)에 송신되어 방사선의 강도가 계산되는, 차량(1) 내의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감지되는 좌석(2)을 다수 구비한 차량(1)에서, 파동장(H)이 단지 하나의 송신 유닛에 의해 방사되고 수신 유닛을 거쳐서 제어 유닛(S)에 수신되어 각각의 좌석의 점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2)들 각각에 다른 반사체(9, 12)들과 구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반사체(9, 12)가 개별적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 능력은, 변조된 반사 및/또는 시차를 둔 반사체(9, 12)의 온 오프 스위칭 및/또는 상기 파동장(H)의 빔 방향의 변화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체(9)는 각 좌석에 대해 관련된 좌석벨트(6) 내에 또는 위에 배열되어, 벨트(6)를 맸을 때 상기 반사체(9)가 고주파 송신 유닛에 의해 방사된 상기 파동장(H) 내의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체(9)는 상기 벨트(6)가 개방된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보다 매우 많은 전자기 고주파 에너지를 수신하고 상응하도록 역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6)는 개방된 비작동 위치에서 대체로 전자기 스크린 영역 내, 특히 벨트 텐셔너(GS) 내로 끌려오거나 및/또는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좌석 점유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다른 방법과 조합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시행되고, 반사체(12)들은 좌석표면(4), 등받이(5) 및/또는 좌석 머리받이(2) 내에 및/또는 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특히 프리크래쉬 센서 또는 유사한 사고 사전 경보 시스템에 의한 작동 이후 및/또는 시차를 두고 차량 접근 제어 및/또는 시동 방법과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하나 이상의 결과 또는 출력 신호를 구비하여, 차량(1)내에서 안락한 실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하나 이상의 결과 또는 출력 신호를 구비하여 차량(1)의 수동 접근 제어 및 시동 시스템에서 사용자-편의 작동(user-friendly operation)이 이루어지며, 특히 운전석(2)이 어른에 의해 점유되고 사용자 확인 장치(CID)가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발생하는 엔진 시동 기능 및/또는 핸들 잠금의 해제가 무접(contactless) 방법에 의해서 접근 및 시동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하나 이상의 결과 또는 출력 신호가 특히 에어백 시스템, 벨트 텐셔너(GS)를 구동하고 및/또는 머리받이를 제어하는 안전한 실시를 위한 정보 공급원으로서 적용되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11. 고주파 파동장(H)을 발생시키고 점유에 따라서 수신기에 송신되는 방사선 강도를 계산하는 제어 유닛(S)을 구비한, 차량(1) 내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오직 하나의 송신 유닛이 파동장(H)을 제공하도록 제공되어 감지되는 다수의 좌석(2)들을 구비한 차량(1) 내의 각각의 좌석의 점유를 결정하고,
    상기 고주파 송신 유닛이 정렬되어 고주파 방사선을 각각의 좌석(2)에 방사하고, 반사체 부재(9, 12)는 좌석(2) 영역에 배열되어 점유에 따라서 고주파 방사선을 수신 유닛에 반사하고, 상기 송신 유닛과 상기 수신 유닛은 작동 목적으로 및/또는 방사선 강도에 관한 신호를 계산할 목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S)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2)들 각각에 다른 반사체(9, 12)들과 구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반사체(9, 12)가 개별적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체(9)는 각각의 좌석을 위해 관련된 좌석벨트(6) 내에 또는 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S)에 공지된 시스템에 비해 추가로 필요한 하드웨어가 대체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057017619A 2003-03-21 2004-01-29 차량 내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076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12740 2003-03-21
DE10312740.2 2003-03-21
PCT/EP2004/000808 WO2004083004A1 (de) 2003-03-21 2004-01-29 System und verfahren zum erkennen der sitzbelegung in einem 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685A true KR20050110685A (ko) 2005-11-23
KR101076926B1 KR101076926B1 (ko) 2011-10-26

Family

ID=3301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619A KR101076926B1 (ko) 2003-03-21 2004-01-29 차량 내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24834B2 (ko)
EP (1) EP1606147B1 (ko)
JP (1) JP4221409B2 (ko)
KR (1) KR101076926B1 (ko)
DE (1) DE502004003686D1 (ko)
WO (1) WO20040830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135A (ko) 2015-07-21 2017-02-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빈자리 확인 또는 화재 감지가 가능한 대중교통 차량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70029465A (ko) 2017-03-03 2017-03-1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빈자리 확인 또는 화재 감지가 가능한 대중교통 차량의 정보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5790B1 (en) * 2004-03-19 2010-05-11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figuration automation
DE102004032473B4 (de) * 2004-07-05 2008-12-1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uswerteverfahren und Auswertevorrichtung für ein System zur Sitzbelegungserkennung
US8416641B2 (en) * 2010-04-28 2013-04-09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Acoustic distance measurement system having cross talk immunity
CN101987605B (zh) * 2010-11-16 2013-06-05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自适应安全气囊系统
CH704714A1 (fr) 2011-03-24 2012-09-28 Edouard Menoud Système de verification d'une opération de covoiturage.
AT511497B1 (de) * 2011-05-31 2013-02-15 Forschungsgesellschaft Der Fh Kaernten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erkennung einer sitzplatzbelegung
US20130197674A1 (en) 2012-01-30 2013-08-01 Apple Inc. Automatic configuration of self-configurable environments
DE102013217947A1 (de) 2013-09-09 2015-03-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Vorrichtung und System zum Betreiben von Personenschutzmitteln
LU92331B1 (en) * 2013-12-10 2015-06-11 Iee Sarl Radar sensor with frequency dependent beam steering
US9860708B2 (en) 2014-02-25 2018-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hicle occupant position determination
US9513935B2 (en) 2014-10-28 2016-1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scaling thresholds in elastic computing environments
DE102015215408A1 (de) * 2015-08-12 2017-02-16 Digades Gmbh Digitales Und Analoges Schaltungsdesign Annäherungssensor und Verfahren zum Erkennen einer Annäherung an ein Fahrzeuginnenverkleidungsteil eines Fahrzeugs
DE102015221992A1 (de) * 2015-11-09 2017-05-11 Robert Bosch Gmbh Sensoranordnung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von Insassenschutzmittel
US9928667B2 (en) 2015-12-21 2018-03-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rmining vehicle occupancy using sensors
US10157534B2 (en) * 2017-05-01 2018-12-18 Tung Thanh PHAM Multi-function retroreflective on-board alert system
DE112018002494B4 (de) * 2017-05-15 2024-02-08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Erkennung und Überwachung eines Sicherheitsgurtes für Insassen
DE102019121220A1 (de) * 2019-08-06 2021-02-11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orrichtung zum Detektieren des Zustandes eines Kraftfahrzeugteiles
KR20220039377A (ko) 2020-09-22 2022-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좌석 확인 방법 및 시스템
US11760291B2 (en) * 2021-01-25 2023-09-19 Ay Dee Kay Llc Centralized occupancy detection system
DE102022207541A1 (de) 2022-07-25 2024-01-25 Zf Friedrichshafen Ag Abtasten eines räumlichen Bereichs an Bord eines 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0897B2 (en) * 1992-05-05 2004-11-23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hicle objec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DE3518502A1 (de) * 1985-05-23 1986-11-27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Ausloesevorrichtung fuer rueckhaltesysteme in kraftfahrzeugen
US5330226A (en) * 1992-12-04 1994-07-1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out of position occupant
DE4339113C2 (de) 1993-11-16 1996-09-05 Daimler Benz Ag Sitzbelegungserkennungs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DE4417710C2 (de) 1994-03-01 1996-01-25 Becker Gmbh Infrarot-Innenraumüberwachungs-System
KR100347233B1 (ko) 1995-08-09 2002-11-25 뉴웨이 앤커록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탬퍼저항식브레이크액츄에이터
LU88647A1 (fr) 1995-08-17 1997-02-17 Iee Sarl Procédé de commande du fonctionnement d'un airbag dans un véhicule automobile
DE19637108B4 (de) 1996-09-12 2005-10-27 Adam Opel Ag Insassenschutzsystem für Kraftfahrzeuge sowie ein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Überwachung der Sitzposition des Insassen
DE19739753C2 (de) 1997-09-10 1999-08-19 Siemens Ag Insassenschutzsystem für Fahrzeuge
DE19816989B4 (de) * 1998-04-17 2004-06-17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r Auslösung eines zweistufigen Airbag-Gasgenerators
US6620999B2 (en) * 1998-11-13 2003-09-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missions from electronic enclosures
EP1031476B1 (de) 1999-02-25 2003-05-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Positionsbildes eines Strahlung reflektierenden oder Strahlung streuenden Objekts oder einer Strahlung reflektierenden oder Strahlung streuenden Person
DE19908165A1 (de) 1999-02-25 2000-08-03 Siemens Ag Gerät zum Erfassen eines Objektes oder einer Person im Innenraum eines Fahrzeugs
DE19957557A1 (de) * 1999-11-30 2001-06-07 Siemens Ag Identifikationssystem,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Identifikationssystems
DE19957536C2 (de) 1999-11-30 2003-04-03 Siemens Ag Diebstahlschu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iebstahlschutzsystems
US6199904B1 (en) * 2000-03-29 2001-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Detecting automobile seat occupant by microwave absorption
DE10018652A1 (de) 2000-04-14 2001-12-06 Delphi Tech Inc System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s Innenraums eines Kraftfahrzeuges
US6462701B1 (en) * 2000-11-21 2002-10-08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bag deployment systems
DE10124915A1 (de) * 2001-05-22 2002-12-12 Bosch Gmbh Robert Anordnung zur Erfassung des Belegungszustandes eines Sitzes
DE10254200B4 (de) 2002-11-20 2006-04-20 Siemen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kennen der Sitzbelegung in einem Fahrzeug
DE10254201A1 (de) 2002-11-20 2004-06-17 Siemen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kennen der Position einer Person auf einem Sitz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DE10254202B4 (de) 2002-11-20 2006-05-18 Siemen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kennen der Sitzbelegung in einem Fahrzeug
DE10254198B4 (de) 2002-11-20 2006-04-20 Siemen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kennen der Sitzbelegung in einem Fahrzeug
DE10254197B4 (de) 2002-11-20 2006-05-04 Siemen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kennen der Sitzbelegung in einem Fahrzeu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135A (ko) 2015-07-21 2017-02-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빈자리 확인 또는 화재 감지가 가능한 대중교통 차량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70029465A (ko) 2017-03-03 2017-03-1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빈자리 확인 또는 화재 감지가 가능한 대중교통 차량의 정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21409B2 (ja) 2009-02-12
WO2004083004A1 (de) 2004-09-30
EP1606147B1 (de) 2007-05-02
DE502004003686D1 (de) 2007-06-14
JP2006520887A (ja) 2006-09-14
US7624834B2 (en) 2009-12-01
KR101076926B1 (ko) 2011-10-26
EP1606147A1 (de) 2005-12-21
US20060180377A1 (en)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926B1 (ko) 차량 내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62345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an airbag system in a vehicle
US68691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bag
US6270116B1 (en) Apparatus for evaluating occupancy of a seat
EP1015279B1 (en) Vehicle occupant sensing apparatus
US6099030A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6422595B1 (en) Occupant position sensor and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vehicular component based on an occupant's position
US720903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 object or a person on a seat of vehicle
US6255939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sing an object or a person in the interior of a vehicle
US20120018989A1 (en) Method for deploying a vehicular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20080157510A1 (en) System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Vehicular Components
US20060092023A1 (en) Device for detecting the occupancy of a seat
JP2000514748A (ja) 電場感知式エアバッグ危険帯感知器
JP2005082147A (ja) 交通手段の座席上のオブジェクトまたは人の認識装置および方法
JPH11510764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の作動の制御方法
KR100669561B1 (ko) 자동차 내 좌석 점유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US70902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seat occupancy in a vehicle
US20030038719A1 (en) System for detecting the occupancy status of a seat
US691071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eployment of an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100669562B1 (ko) 차량 내 좌석 점유 상태를 검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US7320379B2 (en) Device for occupant protection in a motor vehicle and for anti-theft protection of the motor vehicle
US7036846B2 (en) Device comprising gas cushion,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USRE37736E1 (en) Vehicle occupant position and velocity sensor
JPH10129418A (ja) 乗員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