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0040A - 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조성물, 접착제의 제조를 위한그의 사용 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방향족 점착 연결부 - Google Patents

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조성물, 접착제의 제조를 위한그의 사용 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방향족 점착 연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0040A
KR20050110040A KR1020057019163A KR20057019163A KR20050110040A KR 20050110040 A KR20050110040 A KR 20050110040A KR 1020057019163 A KR1020057019163 A KR 1020057019163A KR 20057019163 A KR20057019163 A KR 20057019163A KR 20050110040 A KR20050110040 A KR 20050110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antageously
mass
mpa
less
isocya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6683B1 (ko
Inventor
빙상 그랑니에
코린느 배론
Original Assignee
로디아 쉬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디아 쉬미 filed Critical 로디아 쉬미
Publication of KR2005011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38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 C08G18/0842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 C08G18/0861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a dispersing phase for the polymers or a phase dispersed in the polymers
    • C08G18/0866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a dispersing phase for the polymers or a phase dispersed in the polymers the dispersing or dispersed phase being an aqueous me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03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transformed in a latent form by physical means
    • C08G18/705Dispersion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in a liquid medium
    • C08G18/706Dispersion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in a liquid medium the liquid medium be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2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20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according to C08L75/00 - C08L79/00;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에서의 유화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N=C=O 관능기의 질량 함량이 10% 내지 30%이고 점도가 1,500 mPa.s 이하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음이온을 보유하는 산소 원자 및 에틸렌 옥시드기 및 인을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제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접착제 산업에 적용된다.

Description

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조성물, 접착제의 제조를 위한 그의 사용 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방향족 점착 연결부 {COMPOSITIONS MADE FROM ISOCYANATE, METHOD FOR USE THEREOF FOR THE PRODUCTION OF ADHESIVES AND AROMATIC GLUE JOINTS THUS OBTAINED}
본 발명은 이소시아네이트 (부분적으로 봉쇄될(masked) 수 있으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아님) 기재의 화합물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를 사용하는 방법 및 접착제, 특히 그에 따라 얻어진 점착 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특히 목재 및 엘라스토머를 결합시키기 위한 수성상에서 (자기) 분산성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하기를 상기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본 명세서에서, 입자 크기 특징은 종종 n이 1 내지 99의 수인 dn 유형의 표기로 표시되는데, 이 표기법은 다수의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오히려 화학 분야에서는 드물어서, 그의 의미를 상기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표기는 입자의 n% (중량%, 보다 정확하게는 중량은 물질의 양이 아닌 힘의 양이므로 질량%)가 상기 크기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크기와 동일한 입자 크기임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I = (d90-d10)/d50으로 정의된, 다분산 지수가 사용될 것이다.
용매는 접착제 산업에서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유기 용매의 사용은 이들 용매 또는 용매 중 적어도 일부가 유독하거나 크로노톡식(chronotoxic)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작업장에서의 안전 문제로 인해 당국의 비난이 커지고 있다.
이것이 용매와 관련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용매 매질에서 상기 기술을 대체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시도가 증가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유기 용매의 존재는 그것을 취급하는 사람에게 유독하고 환경에 유해하므로, 상기 유기 용매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 수성상 접착제의 개발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대부분의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증발시 결합을 일으키게 되는 수성상 중 분산액 형태의 중합체(들)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접착제로 얻어진 점착 연결부의 접착성은 상기 수성상에 분산된 이소시아네이트가 존재함으로써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잠재력의 메카니즘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개질된 이러한 분산액은 신규 부류의 접착제를 구성하며, 동일한 수성상에 한쪽에는 (용해 상태, 또는 통상적으로는 분산 상태의) 중합체(들), 다른 한쪽에는 분산된 이소시아네이트인 이중 분산액으로부터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혼합된 분산액은 중합체-벡터 수성상을 이소시아네이트 에멀젼과 혼합함으로써, 또는 중합체를 보유한 수성상에 이소시아네이트를 직접 유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직접 유화시키는 기술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기술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 제약사항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고 유화제의 선택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렇게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계 조성물은 선택의 범위가 좁다.
따라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유화 기술은, 한편으로는 분산액이 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막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 분리가 일어날 수도 있는 해혼합(demixing)을 막기 위해 중합체-벡터 매질과 상용성일 필요가 있다. 이는 분산액이 물리적으로도 안정해야 하며 화학적으로도 특정 수준 안정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통상적으로 봉쇄되지 않았거나 불완전하게 봉쇄된 이소시아네이트가 수성 에멀젼의 형태로 사용될 때, 이들을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수시간 미만, 일반적으로는 1시간 또는 2시간이기 때문이다. 신규한 유화제의 사용으로 사용 수명(service life)이 보다 단축되지 않음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문제점은 사용되는 접착제 중합체가 매우 다양하고 이들의 특성이 결합될 표면에 좌우되기 때문에 더욱 더 어렵다.
마지막으로, 수성상 중의 접착제, 특히 분산액으로 얻어진 점착 연결부는 종종 습한 환경에서 접착성 감소가 나타난다.
또한, 코팅물과 그의 지지체 간의 결합 강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계면활성제가 많이 있다. 따라서, 이들을 사용하면 중합체와 지지체 간의 부착을 손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광범위한 조건하에서 용이하게 유화될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습윤 환경에서의 접착성 문제를 극복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이다.
하기에서 명확해질 이러한 목적과 그 외의 목적은,
ㆍ N=C=Q 관능기의 질량 함량이 10% 내지 30% (경계 포함), 유리하게는 15% 내지 25% (경계 포함)이고, 점도가 2500 mPa.s 이하, 유리하게는 1500 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1400 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mPa.s 이하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ㆍ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상기 식에서,
- p는 1 내지 2 (폐구간, 즉 경계 포함)의 값을 나타내고,
- m은 0 또는 1을 나타내고,
- q는 0 내지 1에서 선택되고,
- p + m + q의 합은 3이고,
- 1 + p + 2m + q의 합은 3 또는 5, 유리하게는 5이고,
- X는 산소 또는 단일 결합이고,
X'는 산소 또는 단일 결합이고,
-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n 및 s는 5 내지 30, 유리하게는 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9 내지 20 (폐구간, 즉 경계 포함)에서 선택된 정수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이하거나, 유리하게는 동일한 R1 및 R2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라디칼로부터 선택됨.)
를 포함하는 유화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접착제에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유리하게는, X 및 X' 중 하나가 산소이고, 바람직하게는 둘다 산소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혼합물일 경우에, 몰 기준으로 그들 중 대부분은 "q"가 0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즉, 인산 모노에스테르 또는 포스포네이트)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로 제공된다:
상기 식에서,
- "m"은 0 또는 1, 바람직하게는 1이고,
- "p"는 2이다.
화합물의 혼합물이 사용될 때에는, 정의된 분자에 대해 정수의 값이 분수의 값이 된다.
따라서, 화학식 I에서, q, p 및 특히 n 및 s는 통계적인 값이 된다.
따라서, 유화가능한 조성물은,
ㆍ N=C=O 관능기의 질량 함량이 15% 내지 25%이고, 점도가 1500 mPa.s 이하, 유리하게는 1400 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0 mPa.s 이하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ㆍ 하기 평균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 p는 1 내지 2 (폐구간, 즉 경계 포함)의 값을 나타내고,
- m은 0 또는 1, 유리하게는 1을 나타내고,
- p + m + q의 합은 3이고,
- 1 + p + 2m + q의 합은 3 또는 5, 유리하게는 5이고,
- X는 산소이고,
X'는 산소이고,
- n 및 s는 5 내지 30, 유리하게는 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9 내지 20 (폐구간, 즉 경계 포함)에서 선택된 동일한 통계적인 값을 갖고; 여기서 동일한 R1 및 R2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라디칼로부터 선택됨.)
를 포함하는 유화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된다.
R1 및 R2는 보통 탄소 원자수 10 내지 20의 알킬아릴, 특히 노닐페닐을 나타낸다.
0 내지 1의 폐구간에서 선택된, 통계적 비율 "q"는 산-염기 적정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통계적 "q"가 0.5 이하, 유리하게는 0.3 이하, 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평균식은 수치의 평균 (분자수로 나눈 각 유형의 단위 또는 원자 총수)이고, 각 분자의 비율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적절하다면 중질 분자일 경우에는 겔 투과로, 적절하다면 말디토프(MALDITOF) 기술로 보완하여 측정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아인산, 유리하게는 인산을, 알콜 관능기로 말단화되고 페놀 (R1 및(또는) R2), 유리하게는 바람직하게는 탄소계 쇄 (알킬인 것이 유리함)로 유리하게 치환된 페놀로 시작하는 (s 및 n 단위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로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한 성분으로서 화학식 I의 상기 화합물 (분자)과 또다른 성분으로서 현탁될 이소시아네이트의 질량비는 통상적으로 약 0.1 이하, 유리하게는 약 0.10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서, "약"이란 용어는 단지 주어진 수치가 수학적으로 올림값에 상응하고 수치의 가장 오른쪽에 있는 숫자(들)이 0일때, 물론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이들 0은 유효 숫자이기보다는 자릿수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한 현탁될 이소시아네이트의 질량비는 유리하게는 1%를 초과, 바람직하게는 2%를 초과한다.
이러한 용도에서 장점이 되는 자기-유화 특성은 다른 유형의 유화 화합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약 3%의 질량비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유화제로서 사용된 모든 계면활성제의 90 질량%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약 5%의 질량비일 때 그리고 상기 질량비를 초과할 때 나타난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들)의 양이 리터당 인 원자 10-2 내지 1, 유리하게는 5 × 10-2 내지 0.5의 값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분자)과 현탁될 이소시아네이트 (분모)의 질량비는 유리하게는 2% 이상, 바람직하게는 4% 이상, 및 약 15%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그에 따라 이 질량비는 유리하게는 약 2%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10% (2자리 유효 숫자, 이러한 구간은 폐구간, 즉 경계를 포함함)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와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의 계면활성제는 또한 다른 이온성 화합물 [특히, 아릴 및(또는) 알킬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물론, 아릴은 특히 알킬아릴을 포함하며, 알킬은 특히 아르알킬을 포함함), 아릴- 또는 알킬-포스포네이트, -포스피네이트 또는 -술포네이트, 지방산 염 및(또는) 양쪽성이온 염], 및 쇄 말단에서 블로킹되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비이온성 화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쇄의 한 말단 이상에서 알콜 관능기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조성물의 그 외의 측면에는 호적한 영향을 미치지만, (자기)유화에는 약간 비호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므로, 이를 고려할 때, 이러한 유형의 화합물의 함량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음이온성 화합물의 질량 기준으로, 1/3 이하, 유리하게는 1/5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전기적 중성을 보장하는 반대-양이온(들)은 유리하게는 1가이고, 유리하게는 비친핵성이어서 4차 또는 3차 특성 [특히, 포스포늄, 암모늄 (양성자화된 아민 포함)과 같은 V족, 또는 심지어 술포늄 등과 같은 VI족의 "오늄"]을 갖는 무기 양이온 및 유기 양이온과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고, 통상적으로는 암모늄이며, 일반적으로는 아민, 유리하게는 3차 아민으로부터 유도된다. 유기 양이온이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에 대해 반응성인 수소를 갖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3차 아민이 바람직하다.
무기 양이온은 상 이동제(phase-transfer agent), 예를 들면 크라운 에테르로 격리될 수 있다.
중성 염기 (유기 (암모늄 등) 또는 무기 염기)의 양성자화로 유도된 양이온의 수중에서의 pKa는 유리하게는 7 이상, 바람직하게는 8 이상, 및 14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보다 우선적으로는 10 이하이다.
양이온, 특히 암모늄에 상응하는 아민 (이 경우에는 양성자화된 아민)은 유리하게는 임의의 계면활성 성질을 갖지 않지만, 이들이 양호한 가용성을 갖거나, 임의의 경우에는 관능기 및 폴리옥시겐화된 쇄를 함유하는 상기 화합물의 수성상 및 실시 농도에서의 가용성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가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늄" 관능기 (분자당 오직 하나의 관능기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상기함)당 탄소 원자수 16 이하, 유리하게는 12, 유리하게는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의 3차 아민 및 4차 암모늄 또는 포스포늄이 바람직하다.
아민은 다른 관능기, 특히 아미노산 및 시클릭 에테르 관능기에 상응하는 관능기, 예를 들면 N-메틸모르폴린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다른 관능기는 유리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와 반응하지 않는 형태이고 수성상에서 가용성을 유의하게 저하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수중에 용해되어 있거나 물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pH가 3 이상, 유리하게는 4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및 12 이하, 유리하게는 11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도록 중화된 형태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를 초과하여 존재하는 경우에는 오직 강산 또는 중간 강도의 산 관능기 (즉, pKa가 4 이하인 것)만이 중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산성, 즉 pKa가 5 이상인 것들은 부분적으로 중화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인 용어로 앞서 언급하였듯이, "q"가 0인 화합물이 다량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이 인 (V)이고 (즉, 2m + p + q = 5), 혼합물의 화합물이 에스테르인 경우,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의 몰비가 2 초과, 유리하게는 3 초과, 바람직하게는 4 초과, 보다 우선적으로는 5 초과, 또는 심지어 10 초과인 모노에스테르(들)와 디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화제, 특히 상기 혼합물은 또한 1 질량% 내지 약 20 질량% (그러나, 약 10 질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의 인산 및(또는) 아인산 (권장 pH 구역에 있기 위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염화되는 것이 유리함) 및 0 내지 5%의 피로인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으로, 아인산이 존재할 수도 있지만, 그의 유도체 일부가 유해한 것으로 고려되기 때문에, 특히 유해한 것으로 고려되는 유도체를 형성할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이 산의 사용을 피하는 것이 권장된다.
조성물은 또한 촉매, 유리하게는 잠재성 촉매 (외부 제제, 예를 들면 가시선 또는 UV선, 또는 산소의 작용에 의해 방출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한 에멀젼, 특히 안정한 수중유 에멀젼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명백하게, "유중수" 에멀젼을 얻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에멀젼은 화학적으로 안정하지 않다. "유중수" 에멀젼은 때때로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예상치 못하게 분해하기 때문에 유해함을 가중시킨다. 이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수성상에 첨가하는 것이 그 반대보다 권장된다.
접착성 중합체를 보유하는 수성상은 종종 상당한 계면활성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유화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접착성 중합체(들)를 보유하는 수성상에서 자기 유화성인 것이 통상적이지만, 순수한 물에서는 자기 유화성이지 않다.
따라서, 계면활성제 농도가 낮을 때, 2개의 분산액 (일반적으로 에멀젼)으로 해혼합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 중 하나인 "수중유"가 다른 하나인 "유중수" 위에 놓임). 앞서 언급하였고 하기에서 언급할 것처럼, "유중수" 분산액은 종종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가 물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이산화탄소를 방출하기 때문에 화학적으로 불안정하다. 이 현상은 보다 격렬하게 교반함으로써 극복되거나, 또한 유화제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극복될 수 있다.
최종 분산액 중의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함량은 1% 내지 약 20%, 유리하게는 2%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폐구간, 즉 경계 포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수성상에서 분산 또는 유화된 후에, 물 함량이 95% 이하, 유리하게는 90% 이하, 바람직하게는 85% 이하, 및 25% 이상, 유리하게는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체 함량이 풍부한 에멀젼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용매 함량은 유리하게는 최종 분산액 (즉, 결합을 위해 즉시 사용가능함)의 2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심지어 1 질량% 미만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한 실시양태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분산시키거나 유화시킨 후, 물 중 결합제의 구성 성분들의 합 (즉, 이소시아네이트(들), 유화제 및 중합체(들) [유리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에 대한 반응성 수소를 보유하는 관능기(들)을 함유하는 중합체, 특히 폴리올]의 질량 함량)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의 범위이다.
특히, 고체 함량은 40% 이상, 심지어 50% 이상, 또는 심지어 60% 이상에 이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80% 미만이다.
유화의 문제로 돌아와서, 본 발명에 이르기 위한 연구 동안, 특히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즉, 포화 (sp3) 탄소를 통해 탄화수소계 골격 (즉, 수소 및 탄소 둘 다 함유)에 연결된 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에는, 물이 특정 비율에 이르렀을 때 다양한 반응으로 이탈할 위험이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수성상 중 물의 양과 본 발명에 따른 이소시아네이트와 계면활성제의 합 사이의 질량비가 10-2 내지 1/2 (0.5)인 조성물은 피하는 것이 권고된다. 더욱 안전한 것을 원한다면, 10-3 내지 1의 비율은 피한다. 이러한 위험 대역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성상을 유화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 첨가하지 말고, 그 반대로 유화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수성상에 첨가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것이 권고된다.
점도가 1500 mPa.s 이하, 유리하게는 1200 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 mPa.s 이하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르기 위한 연구 과정에서, 에멀젼의 크기 (입도측정법)가 최종 접착성의 품질에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더욱 특별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단독일 경우 및 접착성 중합체와 함께 있을 경우, 상기 조성물의 에멀젼의 다분산도가 중요하다.
따라서, 이소시아네이트 단독의 경우에는, 입도 d50이 25 μ 이하, 바람직하게는 22 μ 이하이고, 다분산 지수가 1.5 이하, 유리하게는 1.3 이하, 바람직하게는 1.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더욱 정확하게는 유화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를 중합체상 중에 분산시키는 경우, 단분산도를 달성하기가 더욱 어렵지만,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상당히 발전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이소시아네이트로는 특히 하기 상세히 기재한 화합물들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유리하게는 당 분야에 공지된 구조체, 예를 들어 폴리올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 일반적으로 트리올 (유리하게는, 1급 트리올)의 축합으로부터 유도된 "예비 중합체", 특히 가장 일반적으로 올리고머, 예컨대 이소시아누레이트 단위 (삼량체로도 공지됨)를 함유하는 것, 우레티딘디온 구조체 (이량체로도 공지됨), 뷰렛 또는 알로파네이트 구조체, 또는 단일 분자 상의 또는 혼합물로서 이들 유형의 구조체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함유할 수 있다.
용매 함량이 훨씬 더 낮은 조성물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특히 에멀젼 형태의 경우에는, 원래의 (즉, 용매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점도가 낮은 상기 유형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성을 갖는 화합물은 특히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가 에틸렌 단편을 통해 골격에 연결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폴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특히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가 방향족 핵으로부터 탄소 2개 이상 떨어져 있는 아릴렌디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OCN-[CH2]t-Φ-[CH2]u-NCO) (식 중, t 및 u는 1보다 큼)]의 일부분 및(또는) 전체의 유도체 (예컨대, 삼량체로도 공지된 이소시아누레이트, 이량체로도 공지된 우레티딘디온 구조체, 뷰렛 또는 알로파네이트 구조체, 또는 단일 분자 상의 또는 혼합물로서 이들 유형의 구조체의 조합물)이다.
따라서, 1개 이상의 단량체, 유리하게는 모든 단량체가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보유하는 것으로부터 선택된 지방족 단량체이고,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연결하는 최단 경로 상의 골격이 2개 이상의 메틸렌 쇄 단위 (CH2)π (π≥2)로 이루어진 1개 이상의 폴리메틸렌 서열 (상기 단량체가 고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고리밖에 존재함)을 포함하는 헤테로올리고머 또는 호모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된 올리고머를 50 질량% 이상, 유리하게는 70 질량% 이상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a)가 유리하게 사용된다.
올리고머로는 질량이 약 1600 이하이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의 전구체인 디아민 단위가 약 10개 이하인 화합물, 즉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가 고려된다. 2개 이상의 메틸렌 쇄 단위 (CH2)π로 이루어진 상기 폴리메틸렌 서열에서, π는 2 내지 10의 정수, 유리하게는 4 내지 8의 정수이다. 상기 올리고머는 유리하게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호모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화합물 또는 혼합물은 유리하게는 점도가 약 2000 센티포아즈 (또는 밀리파스칼.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500 센티포아즈 (또는 밀리파스칼.초) 이하이다.
상기 값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에는, 대개 최소량의 적합한 용매(들)을 첨가하여 혼합물이 상기 점도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 유용하다. 그러나, 반응성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기 참조),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중 용매의 양이 유화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20 질량%, 유리하게는 10 질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도에 부합된다면, 용매로는 편리하게는 반응성 용매로서 지칭될 수 있는 것들이 가장 적합하다 (이들 용매가 이러한 두 가지 특성을 갖기 때문에).
반응성 용매로, 분자량이 200 이상 (두 자리 유효 숫자), 유리하게는 250 이상이고 점도가 500 mPa.s 이하인 지방족 디- 및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심지어 테트라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용매로는, 리신 및 오르니틴과 같은 디아미노산의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된 것, 특히 LDI (리신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됨), LTI (리신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리신과 에탄올아민의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됨) 및 삼치환된 알칸, 예컨대 NTI (노닐 트리이소시아네이트 OCN-(CH2)4-CH(CH2-NCO)-(CH2)3-NCO) 및 UTI (운데실 트리이소시아네이트 OCN-(CH2)5-CH(-NCO)-(CH2)5-NCO)을 들 수 있다. 산업적 규모로 개발되진 않았지만, 디올 [예컨대, 글리콜, 프로판디올 (특히, 1,3-프로판디올), 부탄디올 (특히, 1,4-부탄디올) 및 펜탄디올 (특히, 1,5-펜탄디올)]과 디아미노산의 이중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된 테트라이소시아네이트가 양호한 결과를 제공한다.
반응성 용매로, 메틸렌 상에서 에틸 또는 메틸로 임의로 치환된 (우레티딘디온 고리를 함유하는) 폴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량체, 비스-이량체 (2개의 우레티딘디온 고리를 함유하는 삼량체), 및 이들 서로의 혼합물, 및 적절할 경우 트리스-이량체 (3개의 우레티딘디온 고리를 함유하는 사량체)와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혼합물은 상기 단량체를 가열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국제 특허 출원 공보 제WO 99/07765호 참조).
반응성 용매로, 메틸렌 상에서 에틸 또는 메틸로 임의로 치환된 폴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모노알로파네이트 (모노알콜과의 이축합물), 2종의 비스-알로파네이트 (디올과의 사축합물, 바람직하게는 2개의 알로파네이트 관능기를 함유하는 2개의 모노알콜과의 삼축합물), 및 상기 명시한 것 중 2종 또는 3종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생성물의 합성에 대해서는 국제 특허 출원 공보 제WO 99/55756호를 참조할 수 있다.
물론, 다양한 유형의 상기 반응성 용매의 혼합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점도는 유화제와 혼합하기 전에 상기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첨가함으로써 약 2500 센티포아즈 (또는 mPa.s, 즉, 밀리파스칼.초) 이하, 유리하게는 2000 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500 센티포아즈 (또는 밀리파스칼.초) 이하, 더욱 우선적으로는 1200 mPa.s 이하, 훨씬 더 우선적으로는 1000 mPa.s 이하의 값으로 조정할 수 있는데, 즉, 점도가 1200 mPa.s 이하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유리하게는
ㆍ 분자량이 200 초과, 유리하게는 250 초과이며 점도가 500 mPa.s 이하인 1종 이상의 지방족 디-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를 1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
ㆍ 메틸렌 상에서 에틸 또는 메틸로 임의로 치환된 폴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량체 및 비스-이량체로부터 선택된 우레티딘디온 고리를 함유하며 점도가 500 mPa.s 이하인 1종 이상의 유도체를 1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
ㆍ 메틸렌 상에서 에틸 또는 메틸로 임의로 치환된 폴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모노알로파네이트로부터 선택되며 점도가 500 mPa.s 이하인 1종 이상의 알로파네이트를 1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
ㆍ 점도가 500 mPa.s 이하인 상기 세가지 유형의 조성물의 혼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
으로부터 선택된 목적 점도 (즉, 각각 3000, 2000, 1500 및 1000 mPa.s)보다 낮은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로 낮춤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이미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관심의 대상이 되는 이소시아네이트는 모노-, 디- 또는 심지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들 유도체는 삼량체로도 공지된 이소시아누레이트 유형의 구조체, 이량체로도 공지된 우레티딘디온 구조체, 뷰렛 또는 알로파네이트 구조체, 또는 단일 분자 상의 또는 혼합물로서 상기 유형의 구조체의 조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LTI (리신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NTI (노닐 트리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삼관능성 단량체는 비개질된 형태로 주로 사용되지만, 올리고머화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는 탄화에 의해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전환되는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며, 이러한 작업은 대부분의 경우에 포스겐 또는 동등 시약의 작용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디아민 단위는 매우 명백하게 올리고축합에 의해 유도된 화합물 (예를 들어, 이량체, 삼량체, 알로파네이트, 우레탄, 우레아 및 뷰렛 등)에서 확인된다. 이들 단량체는 특히
=> 시클로 지방족 및 아릴 지방족을 비롯한 지방족 단량체, 예컨대
ㆍ 폴리메틸렌 서열 (CH2)ππ (식 중, ππ는 2 내지 10의 정수, 유리하게는 4 내지 8의 정수임)을 함유하고, 상기 메틸렌 중 하나가 MPDI (메틸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와 같이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로 치환될 수 있는 단순 지방족 폴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특히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ㆍ 부분 "네오펜틸" 지방족 부분 시클릭 (시클로 지방족)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T);
ㆍ 노르보르난으로부터 유도된 시클릭 지방족 (시클로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ㆍ 아릴렌 디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OCN-CH2-Φ-CH2-NCO (그의 일부분은 지방족과 본질적으로 상이하지 않음), 즉,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가 방향족 핵으로부터 탄소 2개 이상 떨어져 있는 것, 예컨대 (OCN-[CH2]t-Φ-[CH2]u-NCO) (식 중, t 및 u는 1보다 큼)]; 또는
=> 대안적으로, 방향족 단량체, 예컨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그러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는 수성 유화의 면에서 불량함)일 수 있다.
용어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는 sp3 혼성화 탄소를 보유하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술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람직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하기 조건 중 한가지 이상, 유리하게는 두가지, 바람직하게는 세가지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ㆍ 1개 이상의, 유리하게는 2개 이상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든 NCO 관능기가 포화 (sp3) 탄소를 통해 탄화수소계 골격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하위 조건 중 한가지 이상, 더욱 우선적으로는 두가지 이상을 충족시킨다:
- 상기 포화 (sp3) 탄소 중 1개 이상, 유리하게는 2개가 1개 이상, 유리하게는 2개의 수소(들)을 보유한다. 다시 말하면,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보유하는 탄소가 수소, 바람직하게는 2개의 수소를 보유한 경우, 보다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상기 포화 (sp3) 탄소 중 1개 이상, 유리하게는 2개는 그 자체가 1개 이상, 유리하게는 2개의 수소(들)을 자체적으로 보유하는, 유리하게는 지방족 (즉, sp3 혼성화)인 탄소를 보유한다. 다시 말하면,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보유하는 탄소가 "네오펜틸" 위치에 있지 않을 때, 보다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ㆍ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탄화수소계 골격에 연결하는 모든 탄소가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수소, 바람직하게는 2개의 수소를 보유하는 포화 (sp3) 탄소이다. 또한, 상기 포화 (sp3) 탄소 자체는 1개 이상, 유리하게는 2개의 수소(들)을 자체적으로 보유하는, 유리하게는 지방족 (즉, sp3 혼성화)인 탄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리하게는 1/3, 바람직하게는 2/3),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보유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시 말하면,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보유하는 탄소가 "네오펜틸" 위치에 있지 않을 때, 보다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ㆍ이소시아누르산 또는 뷰렛 골격 (상기 골격은 오직 단량체 1개로부터 또는 여러 단량체로부터 유도됨, 하기 참조), 더욱 구체적으로 삼량체로도 공지된 이소시아누레이트 유형의 구조체, 이량체로도 공지된 우레티딘디온 구조체, 뷰렛 또는 알로파네이트 구조체, 또는 단일 분자 상의 또는 혼합물로서 상기 유형의 구조체의 조합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갖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비교적 중질인 경우, 즉,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4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경우, 첫번째 2가지 조건은 하기와 같다:
ㆍ NCO 관능기 중 1/3 이상, 유리하게는 2/3가 포화 (sp3) 탄소를 통해 탄화수소계 골격에 결합한다.
ㆍ 상기 포화 (sp3) 탄소 중 1/3 이상, 유리하게는 2/3가 1개 이상, 유리하게는 2개의 수소(들)을 보유한다. 다시 말하면,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보유하는 탄소가 수소, 바람직하게는 2개의 수소를 보유한 경우에, 보다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포화 (sp3) 탄소 자체는 1개 이상, 유리하게는 2개의 수소(들)을 자체적으로 보유하는 유리하게는 지방족 (즉, sp3 혼성화)인 탄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리하게는 1/3, 바람직하게는 2/3),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보유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시 말하면,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보유하는 탄소가 "네오펜틸" 위치에 있지 않을 때, 보다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 특히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음이온성 화합물의 일부와 반응하여 무수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무수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다시 발생시킬 수 있고, 특정한 경우에 봉쇄된 이소시아네이트처럼 반응하는데, 강염기를 이용한 산 관능기의 전체적인 중화에 의해 또한 억제될 수 있는 상기 무수물을 형성하기 위한 반응은 하기 2가지 유형 중 하나이다:
- 2개의 음이온성 관능기 사이에서 물 분자를 제거하고, 이로 인해 E-O-E형 (즉, 인산염의 경우 피로인산 서열)의 관능기를 형성하거나,
- 중화되지 않았거나 중화가 불량한 관능기의 히드록실을 NCO 관능기로 첨가하여 서열 -NH-CO-O-E를 갖는 관능기를 형성한다. 상기 화합물 (카르밤산과 음이온성 관능기 사이의 혼합된 무수물)은 또한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바이다.
첫번째 사례는 제1 산이 불완전하게 중화된 경우에 해당한다. 상기 생성물은 또한 계면활성제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이르기 위한 연구 과정에서, 헥사시클릭 구조도, 뷰렛 또는 심지어 우레탄 구조도 전혀 함유하지 않은 저분자량 [즉, 700 (2자리 유효 숫자) 이하, 유리하게는 600 이하 (2자리 유효 숫자), 바람직하게는 500 (2자리 유효 숫자) 이하]의 분자 (반응성 용매의 개념에 해당)의 존재가 양호한 접착성과 관련될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분자는 3개 이하의 디아민 단위를 함유하는 분자이고, 본질적으로 이량체, 비스-이량체, 폴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모노알로파네이트 및 LTI형 및 NTI형의 3관능성 단량체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상기 분자 중 적어도 하나가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a)에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전체적으로, 상기 저분자량 분자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a)의 5 질량% 내지 25 질량%, 유리하게는 7 질량% 내지 15 질량% 범위의 부분에 해당한다.
이량체 및 비스-이량체가 바람직하며, 이는 유리하게는 조성물 a)의 5 질량% 내지 20 질량%,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에 해당한다.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중 용매의 양은 유리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a)의 2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에 해당한다.
일의 법칙 때문에,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유형의 휘발성 단량체의 양은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a)의 1 질량% 이하, 유리하게는 0.5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하, 더욱 우선적으로는 0.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비제한적 예로써 본 발명을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화가능한 조성물
점도가 1200 mPa.s 미만이고, 질량 기준으로
순수(true) 이량체 8% (± 1%);
비스-이량체 2% (± 1%);
뷰렛 2% (± 1%);
순수 삼량체 55% (± 2%)
를 포함하는 삼량체화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 통계적인 화학식 I의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화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한 유화제는
- q가 0.3을 나타내고;
- s 및 r이 9.5를 나타내고;
- p가 1.7이며;
- R1 및 R2가 노닐페닐 라디칼인 통계적인 화학식 I이었다.
중화에 사용한 아민은 N,N-디메틸헥실아민이었다.
인산은 존재하는 인의 15 mol%에 해당하였다 (다시 말하면, 인산 중의 인은 존재하는 인의 총량의 15%에 해당함).
존재하는 아인산의 제1 산만이 중화되었다.
첨가 후, 유화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순수 이량체 (즉, 오직 1개의 우레티딘디온 단위 및 2개의 디아민 단위) 7.5 질량% (± 1 질량%) 및 화학식 I의 화합물 3.5 질량%를 포함하였다. 이의 점도는 1400 mPa.s (NCO = 21.7%)이었다.
화합물 데스모두르 (등록상표) DN
상기 화합물은 고함량 (70% 이상)의 순수 삼량체 (즉, 1개의 이소시아누레이트 고리 및 3개의 디아민 단위)를 포함하며, 이소시아네이트 올리고머와 에틸렌 옥시드 (46%) 및 프로필렌 옥시드 (54%)의 공중합체인 디올 사이의 축합으로 유도된 중성 계면활성제를 또한 포함하는 시판 조성물이다. 점도는 1250 mPa.s (NCO = 21.8%)이었다.
HDT 기재의 조성물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삼량체화의 생성물)
시험한 HDT는 2400 mPa.s의 점도에서 이량체 2% 미만과의 삼량체화로부터 유도된 통상적인 생성물이었고, 여기에 상기 상술한 화학식 I의 생성물 11%를 첨가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자기-유화성이었다.
최종 점도: 4300 mPa.s
NCO = 19%
첨가 후 계면활성제의 백분율 = 10%
주걱 시험
주걱 시험은 주걱의 평평한 부분을 이용하여 시험 화합물을 용기로부터 꺼내어 2분 동안 물 중에서 교반시키는 정성 시험이다. 주걱의 끝에 생성물이 여전히 보이는 경우, 시험은 음성이다. 상기 보편적인 시험은 사용의 용이함에 대한 좋은 지표이다.
모든 시험은 4 질량%의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함량으로 수행하였다.
입자 크기 측정은 호리바(Horiba) LA 910 기계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목재의 결합 - 통상적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비교 연구
중합체 빈나크(vinNac) DPN15는 52% 고체를 함유하는 비닐 아세테이트 단일중합체 분산액이다.
표준 EN205/94-D4에 따라 시험을 수행하고, 표준 E204에 따라 실온에서 7일 동안 유지시킨 샘플에서 파괴 시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정렬하였다.
실시예 2: 엘라스토머 (스포츠 신발)의 결합 - 통상적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비교 연구
사용한 중합체는 디스퍼콜 (등록상표) U54이었다 (2000년 1월 31일 월요일자 기술 보고 참조). 이는 50% 중합체 고체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이다.
DIN 표준 EN 1392에 따라 시험을 수행하고, 샘플을 실온 (23℃)에서 4일 동안 건조시키고, 표준 DIN 205/91에 따라 파괴 강도를 측정하였다.

Claims (9)

  1. ㆍ N=C=Q 관능기의 질량 함량이 10% 내지 30% (경계 포함), 유리하게는 15% 내지 25% (경계 포함)이고, 점도가 2500 mPa.s 이하, 유리하게는 1500 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1400 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mPa.s 이하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a),
    ㆍ 하기 평균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서 (즉,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b):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 p는 1 내지 2 (폐구간, 즉 경계 포함)의 값을 나타내고,
    - m은 0 또는 1을 나타내고,
    - p + m + q의 합은 3이고,
    - 1 + p + 2m + q의 합은 3 또는 5, 유리하게는 5이고,
    - X는 산소이고,
    X'는 산소이고,
    - n 및 s는 5 내지 30, 유리하게는 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9 내지 20 (폐구간, 즉 경계 포함)에서 선택된 동일한 통계적인 값을 갖고; 여기서 동일한 R1 및 R2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라디칼로부터 선택되고,
    - R1 및 R2는 보통 탄소 원자수 10 내지 20의 알킬아릴을 나타냄.)
    를 연속 또는 동시 첨가하여 포함하는 조성물의 접착제용 에멀젼 제조를 위한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점도가 2000 mPa.s 이하, 유리하게는 1500 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1400 mPa.s 이하, 더욱 우선적으로는 1200 mPa.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용제 b)의 질량 (분자)과 조성물 a)의 질량 (분모) 사이의 비가 2% 내지 10%, 유리하게는 3% 내지 7% 범위인 폐구간 (즉, 경계 포함)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 + q의 합이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a)가, 1개 이상의 단량체, 유리하게는 모든 단량체가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보유하는 것으로부터 선택된 지방족 단량체이고,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연결하는 최단 경로 상의 골격이 2개 이상의 메틸렌 쇄 단위 (CH2)π (π≥ 2)로 이루어진 1개 이상의 폴리메틸렌 서열 (상기 단량체가 고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고리밖에 존재함)을 포함하는 헤테로올리고머 및 호모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된 올리고머 50 질량% 이상, 유리하게는 70 질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a) 가 분자량이 200 이상인 이량체, 비스-이량체, 폴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모노알로파네이트 및 이관능성, 삼관능성 또는 심지어 사관능성 단량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자를 포함하는 반응성 용매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가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a)의 5 질량% 내지 20 질량% 범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이량체 및 비스-이량체가 유리하게는 조성물 a)의 5 질량% 내지 20 질량%,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9. ㆍ N=C=Q 관능기의 질량 함량이 10% 내지 30% (경계 포함), 유리하게는 15% 내지 25% (경계 포함)이고, 점도가 2500 mPa.s 이하, 유리하게는 1500 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1400 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mPa.s 이하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a),
    ㆍ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서 (즉,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b):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 p는 1 내지 2 (폐구간, 즉 경계 포함)의 값을 나타내고,
    - m은 0 또는 1을 나타내고,
    - p + m + q의 합은 3이고,
    - 1 + p + 2m + q의 합은 3 또는 5, 유리하게는 5이고,
    - X는 산소이고,
    X'는 산소이고,
    -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n 및 s는 5 내지 30, 유리하게는 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9 내지 20 (폐구간, 즉 경계 포함)의 정수를 나타내고; 여기서 동일한 R1 및 R2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라디칼로부터 선택되고,
    - R1 및 R2는 보통 탄소 원자수 10 내지 20의 알킬아릴을 나타냄.)
    ㆍ pH가 4 내지 9이며, 유리하게는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는 접착제 중합체를 보유하는 수성상
    을 연속 또는 동시 첨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KR1020057019163A 2003-04-08 2004-03-31 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조성물, 접착제의 제조를 위한그의 사용 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방향족 점착 연결부 KR100766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04343 2003-04-08
FR0304343A FR2853662B1 (fr) 2003-04-08 2003-04-08 Compositions a base d'isocyanate, leur procede d'utilisation pour realiser des adhesifs et joints de colle aromatique ainsi obten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040A true KR20050110040A (ko) 2005-11-22
KR100766683B1 KR100766683B1 (ko) 2007-10-11

Family

ID=3304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163A KR100766683B1 (ko) 2003-04-08 2004-03-31 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조성물, 접착제의 제조를 위한그의 사용 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방향족 점착 연결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60199902A1 (ko)
EP (1) EP1611178B1 (ko)
JP (1) JP2006522850A (ko)
KR (1) KR100766683B1 (ko)
CN (1) CN100591705C (ko)
AT (1) ATE384750T1 (ko)
DE (1) DE602004011496T2 (ko)
ES (1) ES2295882T3 (ko)
FR (1) FR2853662B1 (ko)
WO (1) WO20040922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3862B2 (ja) * 2010-11-15 2016-09-14 コヘラ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感圧性接着特性を有する生分解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5577B1 (fr) * 1996-02-29 2004-09-24 Rhone Poulenc Chimie Compositions a base d'isocyanate, leur procede d'utilisation leur utilisation pour realiser des revetements et revetement ainsi obtenu
US20010021746A1 (en) * 1996-02-29 2001-09-13 Minou Nabavi Isocyanate-based compositions, their process for utilization, their utilization for producing coatings and coating thus obtained
FR2760242A1 (fr) * 1997-02-28 1998-09-04 Rhodia Chimie Sa Revetement pour exterieur, composition utile pour ces revetements et procede d'obtention de ces revetements
BR9807630A (pt) * 1997-02-28 2000-02-22 Rhodia Chimie Sa Composição utilizável notadamente para os revestimentos exteriores, composição para resistir ao frio rigoroso, utilização da mesma, processo de preparação de um revestimento, e, revestimento.
DE69828290T2 (de) * 1997-08-12 2005-12-08 Rhodia Chim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olyisocyanatzusammensetzung mit verringerter Viskosität
EP1007579B1 (fr) * 1997-08-27 2003-06-04 Rhodia Chimie Procede de masquage en emulsion de polyisocyanates
FR2777894B1 (fr) * 1998-04-24 2001-06-22 Rhodia Chimie Sa Procede de preparation d'isocyanates polyfonctionnels tricondensats de faible viscosite
DE19858733A1 (de) * 1998-12-18 2000-06-21 Bayer Ag Wäßrige 2 K-PUR-Systeme mit erhöhter Schlagzähigkeit und guten Beständigkeitseigenschaften, ei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JP4136164B2 (ja) * 1999-03-04 2008-08-20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水に容易に分散可能な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
FR2797204B1 (fr) * 1999-07-20 2002-04-05 Rhodia Chimie Sa Procede pour conferer a un substrat un revetement ayant des proprietes de resistance elevee au choc mettant en oeuvre la reticulation d'(poly)isocyanate et d'un poly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11496T2 (de) 2009-02-12
CN1791623A (zh) 2006-06-21
FR2853662A1 (fr) 2004-10-15
EP1611178B1 (fr) 2008-01-23
DE602004011496D1 (de) 2008-03-13
ATE384750T1 (de) 2008-02-15
KR100766683B1 (ko) 2007-10-11
JP2006522850A (ja) 2006-10-05
FR2853662B1 (fr) 2008-07-04
EP1611178A1 (fr) 2006-01-04
ES2295882T3 (es) 2008-04-16
US20060199902A1 (en) 2006-09-07
WO2004092242A1 (fr) 2004-10-28
CN100591705C (zh)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55419C (en) Nonaqueous polyisocyanate formulation
JPH04211418A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混合物、その製造方法、並びに被覆組成物用の結合剤として或いはイソシアネート基もしくはカルボキシル基に対し反応性の化合物に関する反応体としてのその使用
EP1456274B1 (de) Verwendung eines Isocyanatofunktionellen Silans als haftvermittelnden Zusatz in Polyurethan-Schmelzklebstoffen
KR100355651B1 (ko) 오일및/또는고무및/또는차폐또는비차폐된(폴리)이소시아네이트수지의수성유화액을제조하는방법,및생성된유화액
JPH08169930A (ja) 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を用いた接着剤、シール剤及び結束剤
CA1038518A (en) Highly cross-linked polyurethane dispersions stable to light and to storage
US8039574B2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low-viscosity (poly) isocyanates
JP5039562B2 (ja) 良好な混合特性を示す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の助剤、特に混合助剤としてのシリル化誘導体の使用
JP2005521758A (ja) ポリカルボジイミドから形成された水性分散液
US6217941B1 (en) Isocyanates modified for being provided with surfactant property, composition containing same, resulting coating
KR100766683B1 (ko) 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조성물, 접착제의 제조를 위한그의 사용 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방향족 점착 연결부
KR20030031184A (ko) 내화학성이 높은 목재 기판의 제조방법
KR100766682B1 (ko) 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조성물, 코팅물, 특히 접착제의제조를 위한 그의 사용 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지방족점착 연결부
JPH0931323A (ja) 水に乳化可能な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
US4237036A (en) Polymerizable premix composition for preparation of polyurethane surfaces
JP2569659B2 (ja) イソシアネート化合物の乳化方法
JPH02107687A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JPH02151619A (ja) ブロックドポリイソシアネート分散液
JPH06322067A (ja) 2,4,6−トリイソシアナトトルエン及びポリオールの反応生成物をベースとする高分子接着剤用交叉結合剤
JPH08176267A (ja) 水分散型ポリイソシアネート、ポリウレタン又はラジカル重合されたポリマーの水性分散液、接着剤、被覆剤及び含浸剤
JPH11269451A (ja) ポリサルファイド系シーリング材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