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9418A - 유압식 시료채취기 - Google Patents

유압식 시료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9418A
KR20050109418A KR1020050102963A KR20050102963A KR20050109418A KR 20050109418 A KR20050109418 A KR 20050109418A KR 1020050102963 A KR1020050102963 A KR 1020050102963A KR 20050102963 A KR20050102963 A KR 20050102963A KR 20050109418 A KR20050109418 A KR 20050109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opening
hydraulic cylinder
inl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지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지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지질
Priority to KR1020050102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9418A/ko
Publication of KR20050109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41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05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or the formation by using drilling mud or cutting data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2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mechanically taking samples of the so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식 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을 개량한 후 그 개량토의 성분 및 강도 분석을 위해 시료를 채취할 때 사용하는 시료채취기가 상부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고 외측면에 노출구가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된 통체형상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입출되는 상부가 유압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고 외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된 튜브로 구성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튜브가 커버의 내측으로 승하강되면서 시료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자동으로 개폐됨으로써, 소망하는 심도에 분포된 시료만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한 유압식 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와 연결되는 유압실린더가 상부에 관통설치되고, 외측면에 한 쌍의 노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부 양측과 하부 전체가 개구된 사각통체형상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입출되게 유압실린더의 작용압력에 따라 신장수축하는 로드가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외측면에 상기 노출구와 동일한 크기의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사각통체형상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튜브의 하부 외측면에 설치된 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개폐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유압식 시료채취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압식 시료채취기{A sample extractor using oil pressure cylinder}
본 발명은 유압식 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을 개량한 후 그 개량토의 성분 및 강도 분석을 위해 시료를 채취할 때 사용하는 시료채취기가 상부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고 외측면에 노출구가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된 통체형상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입출되는 상부가 유압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고 외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된 튜브로 구성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튜브가 커버의 내측으로 승하강되면서 시료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자동으로 개폐됨으로써, 소망하는 심도에 분포된 시료만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한 유압식 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지반과 같은 연약지반의 상부로 교각이나 건축물 등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교각이나 건축물 등의 지주를 축조할 수 있는 높은 강도를 가진 말뚝체 등을 형성하거나, 물이 흘러들지 않도록 물막이벽 등을 형성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심층교반장비를 통해 상기 연약지반을 굴착교반하여 형성할 수 있었다.
이때 개량된 연약지반이 원지반토와 개량제에 교반으로 인해 양생되기 이전에는 그 성분과 강도를 분석하기 위해 시료채취기를 개량지반에 투입하여 소망하는 심도에 분포된 시료를 채취함으로써 그 성분과 강도를 분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시료채취기는 상부에 파이프가 연결설치되고, 그 상부 일측이 개구된 통체형상의 메인튜브와; 상기 메인튜브의 내부에 구획되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측 방향으로만 예각으로 개구되는 개폐구가 구비된 유출구와 유입구가 형성된 통체형상의 시료튜브로; 구성되어, 이를 개량된 연약지반에 투입시키면 개폐구가 개량토에 의해 자동으로 열려 유입구로 개량토가 유입되고, 유입된 개량토에 의해 시료튜브가 포화상태가 되면 계속해서 유입되는 개량토로 인해 유입된 개량토는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소망하는 심도까지 도달하게 되면 그 심도에 분포된 개량토를 채취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료채취기는 채취되는 개량토가 시료튜브에서 가장 이상적인 이동 흐름에 의해서만 소망하는 심도에 분포된 개량토를 채취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만약 개량토가 시료튜브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하지 않게 되어 그 유입량과 유출량이 일정하지 못하게 되면, 소망하는 심도에 분포된 개량토 뿐만 아니라 다른 심도에 분포된 개량토까지 시료튜브에 유입된 채로 채취되어, 소망하는 심도에 분포된 개량토만을 채취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개량된 연약지반의 분석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수중지반 등과 같은 연약지반을 개량한 후 그 개량지반이 양생되기 이전에 개량토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시료를 채취할 때, 작업자가 소망하는 심도에 분포된 개량토만을 채취하여 그 성분과 강도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파이프와 연결되는 유압실린더가 상부에 관통설치되고, 외측면에 한 쌍의 노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부 양측과 하부 전체가 개구된 사각통체형상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입출되게 유압실린더의 작용압력에 따라 신장수축하는 로드가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외측면에 상기 노출구와 동일한 크기의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사각통체형상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튜브의 하부 외측면에 설치된 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개폐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유압식 시료채취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유압식 시료채취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와 연결된 유압실린더(2)가 상부에 관통설치되고, 외측면에 한 쌍의 노출구(12)가 각각 형성되며, 상부 양측과 하부 전체가 개구된 사각통체형상의 커버(3)와; 상기 커버(3)의 내측으로 입출되게 유압실린더(2)의 작용압력에 따라 신장수축하는 로드(4)가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외측면에 상기 노출구(12)와 동일한 크기의 유입구(5)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 배출구(6)가 형성된 사각통체형상의 튜브(7)와; 상기 튜브(7)의 배출구(6)를 개폐하기 위해 튜브(7)의 하부 외측면에 설치된 브래킷(8)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개폐구(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5)의 외주연부에 커버(3)의 내측면과 기밀되게 패킹(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6)의 외주연부에 개폐구(9)와 기밀되게 패킹(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튜브(7)의 하부 외측면에 개폐구(9)를 단속하기 위한 잠금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압식 시료채취기(100)는 심층교반장비 등을 이용하여 수중지반을 개량한 후 양생되기 이전에 그 개량지반의 성분과 강도를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로서, 작업자가 채취하고자 소망하는 심도에 분포된 시료만을 채취할 수 있게 되어, 개량지반의 성분과 강도를 더욱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3)의 상부에 관통설치된 유압실린더(2)의 작동에 의해 신장수축되는 로드(4)가 상부에 고정설치된 튜브(7)가 승강 또는 하강되면서 커버(3)의 내측으로 입출될 때에 상기 튜브(7)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유입구(5)가 상기 유입구(5)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 커버(3)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형성된 노출구(12)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됨에 따라, 본 발명의 유압식 시료채취기(100)를 작업자가 소망하는 심도까지 침투시킨 후 상기 유압실린더(2)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유입구(5)를 통해 튜브(7)로 시료가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분석하고자 하는 심도에 분포된 시료만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먼저, 유압실린더(2)의 상단과 연결되는 파이프(1)를 채취하고자 하는 시료가 분포된 심도에 맞게 적정길이를 가지도록 다수개를 연설한 후 상기 개량지반으로 침투시키는데, 연약지반의 개량을 위해 지반을 굴착교반하는 심층교반장비의 교반로드의 단부에 상기 유압실린더(2)를 체결하여 개량지반으로 침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유압실린더(2)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로드(4)를 수축시켜 튜브(7)가 커버(3)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소망하는 심도까지 침투시키는데, 이는 튜브(7)의 유입구(5)가 커버(3)의 내측면에 의해 닫히게 되어, 시료채취기(100)가 소망하는 심도에 도달하는 동안에 상기 유입구(5)를 통해 개량토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압실린더(2)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는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파이프(1)를 지지하는 장비에 설치할 수도 있고, 리모트컨트롤 형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것이면 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소망하는 심도까지 시료채취기(100)를 침투시킨 후에는 유압실린더(2)의 작동압력에 따라 신장수축되는 상기 로드(4)가 신장하도록 스위치를 작동시키는데, 이때 튜브(7)는 하강하게 되고, 커버(3)에 의해 막혀 있던 튜브(7)의 유입구(5)는 상기 커버(3)의 노출구(12)와 동일한 위치가 되어 개방됨으로써, 상기 유입구(5)를 통해 소망하는 심도에 분포된 개량토가 튜브(7)로 자연스럽게 유입된다.
이와 같이 필요한 양만큼의 개량토가 튜브(7)로 유입된 후에는 상기 로드(4)가 다시 수축되도록 스위치를 작동시키는데, 이는 로드(4)를 승강되는 튜브(7)의 유입구(5)를 폐쇄하여 시료채취기(100)를 개량된 연약지반으로부터 끌어올릴 때에 상기 유입구(5)로 소망하지 않은 심도에 분포된 개량토가 유입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석하고자 하는 심도에 분포된 개량토만을 아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유입구(5)의 주연부 외측에는 커버(3)와의 기밀을 위해 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의 패킹(10)이 상기 유입구(5)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설치되어, 시료채취기(100)가 연약지반으로 침투되거나 끌어올려 질 때에 소망하지 않는 심도에 분포된 개량토가 커버(3)와 튜브(7)의 틈새를 통해 유입구(5)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소망하는 심도에 분포된 시료를 채취한 후에는 상기 시료는 튜브(7)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6)를 통해 튜브(7)에서 배출한 후 분석하게 되는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7)의 하측면에 설치된 브래킷(8)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6)를 개폐하는 개폐구(9)를 열어 시료를 튜브(7)에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개폐구(9)는 튜브(7)의 하측면에 설치된 잠금장치(11)를 통해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된다.
그리고 배출구(6)의 외주연부에 개폐구(9)와의 기밀을 위한 합성수지재의 패킹(10')이 부착되어, 배출구(6)와 개폐구(9)의 틈새로 시료가 배출되지 않음과 동시에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압식 시료채취기(100)는 유압실린더(2)의 작동을 통해 커버(3)의 내주면을 따라 튜브(7)가 승하강되어, 상기 튜브(7)의 외측면에 형성된 유입구(5)가 튜브(7)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됨에 따라, 개량지반으로 시료채취기(100)를 침투시킨 후 분석하고자 하는 개량토가 분포된 심도에서 상기 유압실린더(2)를 작동시켜 유입구(5)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심도에 분포된 개량토만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개량지반의 성분과 강도 분석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2)의 작동을 통해 커버(3)의 내주면을 따라 튜브(7)가 승하강되어, 상기 튜브(7)의 외측면에 형성된 유입구(5)가 튜브(7)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됨에 따라, 개량지반으로 시료채취기(100)를 침투시킨 후 분석하고자 하는 개량토가 분포된 심도에서 상기 유압실린더(2)를 작동시켜 유입구(5)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심도에 분포된 개량토만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개량지반의 성분과 강도의 분석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낸 수직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파이프 2: 유압실린더 3: 커버
4: 로드 5: 유입구 6: 배출구
7: 튜브 8: 브래킷 9: 개폐구
10, 10': 패킹 11: 잠금장치 12: 노출구
100: 시료채취기

Claims (3)

  1. 파이프(1)와 연결된 유압실린더(2)가 상부에 관통설치되고, 외측면에 한 쌍의 노출구(12)가 각각 형성되며, 상부 양측과 하부 전체가 개구된 사각통체형상의 커버(3)와; 상기 커버(3)의 내측으로 입출되게 유압실린더(2)의 작용압력에 따라 신장수축하는 로드(4)가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외측면에 상기 노출구(12)와 동일한 크기의 유입구(5)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 배출구(6)가 형성된 사각통체형상의 튜브(7)와; 상기 튜브(7)의 배출구(6)를 개폐하기 위해 튜브(7)의 하부 외측면에 설치된 브래킷(8)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개폐구(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유압식 시료채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유입구(5)와 배출구(6)의 외주연부에는 각각 커버(3)와 개폐구(9)와의 기밀을 위한 패킹(10)(10')이 설치된 유압식 시료채취기.
  3. 제1항에 있어서, 튜브(7)의 하부 외측면에 개폐구(9)를 단속하기 위한 잠금장치(11)가 설치된 유압식 시료채취기.
KR1020050102963A 2005-10-31 2005-10-31 유압식 시료채취기 KR20050109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963A KR20050109418A (ko) 2005-10-31 2005-10-31 유압식 시료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963A KR20050109418A (ko) 2005-10-31 2005-10-31 유압식 시료채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418A true KR20050109418A (ko) 2005-11-21

Family

ID=37285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963A KR20050109418A (ko) 2005-10-31 2005-10-31 유압식 시료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94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4657A (zh) * 2021-02-25 2021-05-18 中国科学院地质与地球物理研究所 支撑装置及测试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4657A (zh) * 2021-02-25 2021-05-18 中国科学院地质与地球物理研究所 支撑装置及测试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54129A (ja) 土等のサンプル採取装置およびサンプル採取方法
JP5633023B2 (ja) サンプル採取装置及びサンプル採取方法
JP5622515B2 (ja) 杭孔内充填物の採取装置
JP4243664B2 (ja) 地中孔内充填物の採取方法及び採取装置
JP2000054778A (ja) 掘削機
JP2007262719A (ja) オーガー削孔装置における土質試料採取具
CN114295411B (zh) 一种水下取污水和淤泥的装置
JP5679829B2 (ja) 未固化液採取装置
JP4074865B2 (ja) 試料採取装置及び試料採取方法
KR20050109418A (ko) 유압식 시료채취기
JP2000073350A (ja) 土壌採取装置
JP5896325B2 (ja) 削孔内充填物サンプル採取装置
JP5159694B2 (ja) 採取装置
JP2008026139A (ja) 浮遊砂採取器
KR100907021B1 (ko) 유압식 전도 수문
JP5780577B2 (ja) 杭穴充填物の試料採取装置
JP4028518B2 (ja) 試料土の採取器
CN116623718A (zh) 一种用于污染土壤原位阻隔的卷材连接结构及使用方法
KR101547578B1 (ko) 실용형 유압식 고정 피스톤 샘플러
JP2964302B2 (ja) 試料採取装置
KR101163364B1 (ko) 자동 개폐 문비
JPH11326156A (ja) 試料採取装置
KR100987759B1 (ko) 취수탑의 수문 교체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차수장치
JP5943281B2 (ja) 削孔内充填物サンプル採取装置
JP2017179855A (ja) 孔内の試料を採取する採取装置及び採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