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731A -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731A
KR20050107731A KR1020040099938A KR20040099938A KR20050107731A KR 20050107731 A KR20050107731 A KR 20050107731A KR 1020040099938 A KR1020040099938 A KR 1020040099938A KR 20040099938 A KR20040099938 A KR 20040099938A KR 20050107731 A KR20050107731 A KR 20050107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lexible belt
fibrous
collect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안카를로 달마소
플라비오 마가락기아
Original Assignee
코메르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메르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코메르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5010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73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02Straining or screening the pulp
    • D21D5/06Rotary screen-drum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9/00After-treatment of cellulose pulp, e.g. of wood pulp, or cotton linters ; Treatment of dilute or dewatered pulp or process improvement taking place after obtaining the raw cellulosic material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D21C9/18De-watering; Elimination of cooking or pulp-treating liquors from the pul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섬유질과 오염물질로 구성된 섬유질 부유물(S)을 세척하는 장치(1,100)에 관한 것으로, 이는 프레임(2)과; 한쌍의 원통형 드럼(3,4); 관통구멍(6)을 갖춘 유연성 있는 벨트(5); 상기 제1드럼(3)과 상기 유연성 있는 벨트(5) 사이의 접촉하기 시작하는 영역(8)에서 섬유질 부유물(S)을 이송할 수 있는 이송수단(7); 상기 드럼들 중 적어도 하나(3)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9); 오염물질과 액체를 수집하는 수집수단(10) 및; 셀룰로오스 섬유질을 수집하는 수집수단(11);을 구비하되, 상기 이송수단(7)은 유연성 있는 벨트(5)의 아래와 제1드럼(3)의 상류에 위치되고서 유연성 있는 벨트(5)에 대해 가로질러 위치된 출구(14)를 갖춘 섬유질 부유물(S)용 이송도관(13)을 구비하는 헤드박스(12)와; 이 헤드박스(12)와 제1드럼(3) 사이에 위치되고서, 상기 출구(14) 하류에 위치된 입구선단(16a)과 상기 제1드럼(3)과 유연성 있는 벨트(5)의 접촉선 바로 상류에 위치된 출구선단(16b)이 구비된 박판형상체(16)로 이루어진 흐름컨베이어(1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Machine for washing fibrous suspensions}
본 발명은 종이제조에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섬유질을 세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종이제조공정에서 다른 원료의 셀룰로오스 섬유질이 사용되는데, 그 특성이 제조된 종이의 품질을 결정하는 결정인자이기 때문에 신중히 선택되어야 한다.
특히, 셀룰로오스 섬유질은 그 안에 있는 오염물질입자와 분리되어야 하는데, 이는 무엇보다도 공급원료가 예컨대 폐지인 경우에 해당된다.
이러한 분리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특정한 장치의 도움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 장치는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모두 한쌍의 드럼을 갖추되, 이들 중 하나는 종동드럼이며 그 주위로 관통구멍을 갖춘 유연성 있는 벨트가 순환링으로 감겨져 있다.
상기 한쌍의 드럼은 서로 평행한 다수의 외주홈이 형성된 드럼과, 세척된 셀룰로오스 섬유질을 수집하는 용기가 아래에 위치된 스크레이퍼(scraper)를 구비한 매끄러운 드럼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척공정의 첫단계에서, 셀룰로오스 섬유질은 용기내에 수용된 물을 기초로 하는 용액에서 오염물질과 함께 분산되어 있다.
상기 용기는 헤드박스와 연통하고, 이 헤드박스의 출구는 드럼축에 평행한 유연성 있는 벨트 밑에 위치되어 있으며, 유연성 있는 벨트가 외주홈이 형성된 드럼을 감아돌기 시작하는 영역쪽으로 구부려져 있다.
상기 헤드박스의 출구로부터 나오는 섬유질 부유물은 벨트와 외주홈이 형성된 드럼 사이를 침투하여 그 안에 들러붙어 남게 되고 유연성 있는 벨트의 감기는 부분에서 드럼과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단계동안, 드럼의 회전으로 생긴 원심력으로 인해 부유물은 통상 셀룰로오스 섬유질에 대해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불순물과 물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들은 유연성 있는 벨트의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외부에서 수집된다.
이렇게 하여, 섬유질 부유물은 드럼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생긴 원심력의 영향하에서 그 안에 함유된 불순물과 물로부터 분리되게 되며, 이 원심력이 유연성 있는 벨트의 관통구멍에서 물을 몰아내게 된다.
그 후에, 유연성 있는 벨트의 안쪽부분에 들러붙어 남아 있는 셀룰로오스 섬유질은 매끄러운 제2드럼으로 이송되는데, 여기서 이들은 드럼의 표면과 벨트의 표면 사이에서 압축을 받게 되고, 추가로 물을 압착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압착이 끝나면, 상기 벨트가 매끄러운 드럼을 떠날 때 오염물질과 물로부터 정화된 셀룰로오스 섬유질이 드럼에 들러붙은 채로 남아 있게 되고, 드럼의 표면과 접촉하고 있는 스크레이퍼에 의해 분리되게 된다.
분리된 섬유질은 아래에 있는 용기내에 중력으로 수집되고, 이어서 다음 용도로 이들을 이송하는 오거(auger)에 의해 배출되어진다.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상기 공지된 장치는 몇가지 알려진 단점을 갖고 있다.
우선, 드럼 주위에 있는 벨트의 감기는 부분의 상류영역에서, 아주 짧은 다수의 셀룰로오스 섬유질도 부유물에 함유된 불순물 및 액체와 함께 유연성 있는 벨트의 관통구멍을 통과할 수 있어서, 이들이 흩어져 버리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헤드박스의 출구를 통해 이송된 부유물의 속도와 벨트의 속도 사이의 차이 때문에 생긴다.
상기 속도차이는 벨트의 표면에 대해 섬유질 덩어리가 스쳐서 벗겨지는 것을 일으키고, 벨트의 관통구멍을 통해 불순물과 함께 아주 짧은 섬유질이 통과하게 하는 난류운동을 촉발시킨다.
이러한 섬유질의 손실은 공급원료의 손실을 수반하면서 결국 비용이 증대되게 된다.
다른 알려진 단점으로는, 항상 유연성 있는 벨트와 드럼 사이로 침투하는 섬유질 부유물이 따르게 되는 난류운동 때문에, 아주 짧은 셀룰로오스 섬유질이 벨트와 드럼 사이의 접촉선 바로 하류영역에서도 벨트의 관통구멍을 통과하게 되고, 이는 더욱 공급원료가 손실되게 한다.
또 다른 단점으로, 공지된 유형의 장치에서는 헤드박스 위쪽의 압력과 이에 따른 처리량이 변화되지 않으면, 헤드박스로부터 나오는 액체흐름의 두께와 속도의 특성들이 변경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공지된 유형의 세척하는 장치는 세척된 부유물에서 추출된 불순물에 의해 오염된 상당한 양의 물을 발생시키는 바, 이들은 최종적으로 생산사이클에서 재사용되기 전에 정화장치에서 적절히 처리되어야 하는 적지 않은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단점들을 없애고자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공정동안 유연성 있는 벨트의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불순물과 함께 없어지는 아주 짧은 셀룰로오스 섬유질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셀룰로오스 섬유질을 세척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처리될 유체의 처리량과 동등하게 셀룰로오스 섬유질의 유체막의 두께와 속도의 특성들이 변경될 수 있는, 셀룰로오스 섬유질을 세척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유물에서 추출된 불순물에 의해 오염되는 정화될 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셀룰로오스 섬유질을 세척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은, 청구범위에 따라 프레임과; 대체로 평행하게 서로 떨어져 있는 축을 갖춘 적어도 한쌍의 원통형 드럼; 관통구멍을 갖추고서 상기 원통형 드럼쌍에 순환링으로 감겨져 있는 유연성 있는 벨트; 상기 적어도 한쌍의 드럼 중 제1드럼과 상기 유연성 있는 벨트 사이의 접촉하기 시작하는 영역에서 섬유질 부유물을 이송할 수 있는 이송수단; 상기 드럼들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유연성 있는 벨트를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 상기 제1드럼의 회전으로 섬유질 부유물에 가해진 원심력에 의해 유연성 있는 벨트를 통해 여과되는 오염물질과 액체를 수집하는 수집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한쌍의 드럼 중 제2드럼의 측면에서 유연성 있는 벨트로부터 전달되는 섬유질 부유물에 함유된 셀룰로오스 섬유질을 수집하는 수집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이송수단은 유연성 있는 벨트의 아래와 제1드럼의 위에 위치되고서 그 폭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유연성 있는 벨트에 대해 가로질러 위치된 출구를 갖춘 섬유질 부유물용 이송도관을 구비하는 헤드박스와; 이 헤드박스와 제1드럼 사이에 위치되고서, 상기 헤드박스의 출구 하류에 위치된 입구선단과 상기 제1드럼과 유연성 있는 벨트의 접촉선 바로 상류에 위치된 출구선단이 구비된 박판형상체로 이루어진 흐름컨베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에 분산된 셀룰로오스 섬유질과 오염물질로 구성된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되어진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벨트와 드럼 사이의 접촉선과 헤드박스 사이에 위치된 흐름컨베이어의 존재로 인해 섬유질 부유물이 점진적인 가속을 받을 수 있게 되어, 불순물과 함께 벨트의 관통구멍을 통해 아주 짧은 셀룰로오스 섬유질의 방출이 일어나는 공지된 실시예의 전형적인 난류운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벨트와 흐름컨베이어 사이에서 부유물의 제1압착이 촉진되는데, 즉 아주 긴 섬유질이 표면상에서 이동함으로써 벨트의 관통구멍을 통해 아주 짧은 섬유질의 분산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흐름컨베이어로 인해 상기 부유물이, 공지된 실시예에서 벨트의 관통구멍을 통해 아주 짧은 셀룰로오스 섬유질이 손실되게 하는 난류운동없이 벨트와 드럼 사이로 이송되게 할 수 있다,
사실상, 처리될 부유물이 벨트의 속도와 같은 속도를 갖는 드럼에 의해 접촉영역에 도달하여서, 부유물과 벨트의 상대속도가 영(zero)으로 되고, 서로 스쳐지나가는 것이 발생되지 않는다.
전술된 목적과 장점은,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예시로 주어진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더욱 잘 나타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는 전체적으로 참조번호 1로 표시되어 있으며, 액체 속에 분산되어 있는 셀룰로오스 섬유질과 오염물질로 이루어진 섬유질 부유물(S)을 세척하는 데에 적용된다.
상기 장치는 대체로 평행하게 서로 떨어져 있는 축을 갖춘 한쌍의 원통형 드럼(3,4)을 지지하는 프레임(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드럼 사이에는 관통구멍(6)을 구비한 유연성 있는 벨트(5)가 순환링으로 감겨져 있다.
이송수단(7)이 상기 드럼(3,4)쌍 중 제1드럼(3)과 유연성 있는 벨트(5) 사이에서 접촉하기 시작하는 영역(8)에서 세척될 섬유질 부유물(S)을 이송한다.
드럼(3,4)쌍과 관련하여, 제1드럼(3)은 다수의 외주홈(3a)을 갖추는 한편, 제2드럼(4)은 매끄러운 측면(4a)을 갖고 있다.
모터(18)에 고정된 제1풀리(17)와, 외주홈이 형성된 제1드럼(3)에 고정된 제2풀리(19) 및, 이들 풀리(17,19) 사이에 감겨져 있는 전동벨트(20)로 이루어진 구동수단(9)은 제1드럼(3)을 회전시켜 화살표(21)로 표시된 방향으로 유연성 있는 벨트(5)를 앞으로 이동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수단은 다른 종류의 것으로 될 수 있고, 이들은 한쪽이나 양쪽 드럼에 다르게 연결될 수도 있다.
섬유질 부유물(S)에 함유된 셀룰로오스 섬유질은 제2드럼(4)의 측면(4a)에서 유연성 있는 벨트(5)로부터 전달되는데, 이 제2드럼은 세척하는 장치(1)에 설치된 드럼(3,4)쌍의 일부를 이루면서 이 제2드럼에 상기 섬유질용 수집수단(11)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수집수단(11)은 제2드럼(4)의 측면(4a)과 접촉하게 되어 있는 스크레이퍼(24)와, 이 스크레이퍼(24)의 아래에 놓이고서 분리된 섬유질을 수집하는 용기(25)를 구비한다.
세척된 셀룰로오스 섬유질을 수집하는 용기(25)는 내부에 배출수단을 구비하는데, 필수불가결한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기로 다음 용도로 상기 섬유질을 이송하는 오거(26)로 이루어진다.
양쪽 드럼(3,4)의 하부에는, 세척공정동안 유연성 있는 벨트(5)를 통해 여과된 후 중력으로 떨어지게 되는 오염물질과 액체를 수집하는 수집수단(10)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수단(7)은 유연성 있는 벨트(5)의 아래와 제1드럼(3)의 위에 위치되고서 그 폭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유연성 있는 벨트(5)에 대해 가로질러 위치된 출구(14)를 갖춘 섬유질 부유물(S)용 이송도관(13)을 구비하는 헤드박스(12)와; 이 헤드박스(12)와 제1드럼(3) 사이에 위치되고서, 상기 헤드박스(12)의 출구(14) 하류에 위치된 입구선단(16a)과, 상기 제1드럼(3)과 유연성 있는 벨트(5)의 접촉선 바로 상류에 위치된 출구선단(16b)이 구비된 박판형상체(16)로 이루어진 흐름컨베이어(15);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흐름컨베이어(15)는, 유연성 있는 벨트(5)쪽으로 구부러진 형상의 표면을 갖추고서, 헤드박스(12)의 출구(14) 하류에 위치된 입구선단(16a)부터 시작하여, 유연성 있는 벨트(5)쪽으로 구부려진 볼록면을 갖춘 만곡부(16c)가 있으며, 이어서 유연성 있는 벨트(5)와 외주홈이 형성된 제1드럼(3) 사이에서 접촉하기 시작하는 영역(8)에 위치된 출구선단(16b)으로 종결되는 직선부(16d)로 되어 있는 박판형상체(16)로 이루어진다.
상기 박판형상체(16)의 직선부(16d)는 유연성 있는 벨트(5)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다.
상기 헤드박스(12)의 출구(14)와 관련하여, 이는 한쪽에 이송도관(13)에 헤드박스(12)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수단(28)을 구비하고 이송도관(13)의 폭에 걸쳐 위치된 미끄럼블레이드(27)로 구성된 개방조절수단(2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박판형상체(16)는 상기 이송도관(13)의 미끄럼블레이드(27)에 연결되어서, 항상 이송도관(13)의 출구(14)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입구선단(16a)을 유지하도록 미끄럼블레이드의 변위가 박판형상체(16)의 미끄럼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유연성 있는 벨트(5)의 반대쪽으로 구부려진 미끄럼블레이드(27)의 표면은 박판형상체(16)의, 유연성 있는 벨트(5)의 반대쪽으로 구부려진 상응한 표면의 경사각(γ)에 대해 2배의 폭을 가진 각도(β)로 벨트(5)에 대해 경사져 있다.
유연성 있는 벨트(5)의 반대쪽으로 구부려진 박판형상체(16)는 그 중간지점(31)에서 이송수단(7)에 고정된 지지구조물(32)에 대해 접하고 있다.
상기 표면은 이송도관(13)의 출구(14)의 개방조절 때문에, 유연성 있는 벨트(5)쪽으로 구부려진 표면이 상기 벨트에 변함없이 평행하게 남아 있을 수 있는 궤적을 따라 지지구조물(32)에서 미끄럼이 일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송도관(13)에 미끄럼블레이드(27)를 고정하는 나사수단(28)과 관련하여, 이는 다수의 나사(33)를 구비하며, 이들 각각은 제어용 휠(34)을 구비하면서 미끄럼블레이드(27)에 형성된 슬롯을 관통하여 이송도관(13)에 형성된 상응한 나사구멍에 나사고정된다.
더구나, 흐름컨베이어(15)는 박판형상체(16)에 적용되고서 그 표면상을 미끄럼이동하는 섬유질 부유물(S)을 측면으로 수용할 수 있는 측면어깨부(35)를 구비한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는 박판형상체(16)에 대해 반대쪽에서 유연성 있는 벨트(5)의 외부면과 접촉하여, 박판형상체(16)의 표면에 대해 섬유질 부유물(S)의 초기압착을 허용하도록 벨트(5)에 작은 압력이 생기게 할 수 있는 가압탄성수단(36)을 구비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 장치가 제1드럼으로부터 나오는 액체나 제2드럼으로부터 나오는 액체를 구분없이 이송받아 수집하는 단일한 수집용기를 구비할 수 있다.
작동에 대해 설명하자면, 유연성 있는 벨트(5)는 화살표(21)로 표시된 반시계방향으로 앞으로 이동하면서 외주홈이 형성된 제1드럼(3)과의 마찰로 움직이게 됨과 더불어, 이와 반대로 헛돌고서 중심축으로 지지되는 제2드럼(4)에 감겨진다.
섬유질 부유물(S)이 이송도관(13)을 통해 헤드박스(12)로부터 나오게 되고, 박판형상체(16)의 만곡부(16c)에 의해 안내되며, 박판형상체(16)의 직선부(16d)를 통과한 후, 여기서 유연성 있는 벨트(5)의 진행속도와 같은 속도를 갖도록 가속을 받아, 제1드럼(3)과 유연성 있는 벨트(5) 사이의 접촉부내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연성 있는 벨트(5)와 부유물(S)의 점진적인 접촉 덕분에, 벨트(5)의 관통구멍(6)으로 아주 짧은 셀룰로오스 섬유질이 분산되게 하는 난류운동의 시작과 스쳐지나감이 방지된다.
가압탄성수단(36)의 존재로 인해, 이 단계에서 이미 섬유질 부유물(S)의 작은 압착이 증진되는데, 이는 아주 긴 섬유질이 벨트(5) 근처의 표면에 도달하게 하여, 아주 짧은 섬유질이 유연성 있는 벨트(5)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바깥으로 나가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자모양(grid)을 형성하게 된다.
섬유질 부유물(S)은 유연성 있는 벨트(5)와 제1드럼(3)의 외주홈(3a)이 형성된 표면 사이를 침투하여 상기 벨트의 외주홈이 형성된 제1드럼(3)에 감겨진 부분을 관통하는 바, 이렇게 하여 제1드럼(3)에 형성된 외주홈(3a)내에 위치된 섬유질 부유물(S)은, 물과 그 안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원심작용을 받게 된다.
물과 오염물질로 이루어지고서 유연성 있는 벨트(5)의 관통구멍(6)을 통해 원심작용으로 제거되는 액체는 외주홈이 형성된 제1드럼(3) 아래에 놓인 제1탱크(22)에 수집되어, 이로부터 상기 장치(1)의 밖으로 보내어진다.
세척된 셀룰로오스 섬유질은 유연성 있는 벨트(5)의 하부주행부(5a)의 내부면에 부착된 채로 남아 있게 되는데, 이는 제2드럼(4)의 측면(4a)과 접촉하도록 이송되고, 유연성 있는 벨트(5)와 제2드럼(4)의 측면(4a) 사이에서의 압축에 의해 추가적인 물의 제거가 일어나게 된다.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유연성 있는 벨트(5)의 관통구멍(6)을 통해 방출된 물은 제2탱크(23)에 수집되어, 이로부터 상기 장치(1)의 밖으로 보내어진다.
2개의 구별된 수집용 탱크(22,23)가 있음으로 해서, 상당한 양의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제1드럼(3)으로부터 나오는 액체가, 섬유질 부유물(S)의 압착이 일어나는 제2드럼(4)으로부터 나오는 액체와 혼합되지 않게 된다.
사실상, 수집용 제1탱크(22)에 수용된 액체는 정화되어야 하는 반면에, 수집용 제2탱크(23)에 수용된 액체는 그 안에 함유된 오염물질의 양이 매우 적기 때문에 제지공장의 다른 공정에 바로 사용될 수 있다.
그 후에, 셀룰로오스 섬유질은 제2드럼(4)의 상부에 도달하고, 제2드럼(4)이 그 측면(4a)상에서 섬유질을 분리하는 스크레이퍼(24)와 접촉하고 있어서, 수집수단(11)의 내부로 중력에 의해 떨어지게 되는데, 여기서 오거(26)가 섬유질을 장치(1)로부터 멀리 옆으로 내보내게 된다.
출구(14)의 개방조절수단(26)에 따라, 처리량과 동등하게 흐름컨베이어(15)를 통해 제1드럼(3)으로 이송되어 온 섬유질 부유물(S)의 두께와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미끄럼블레이드(27)를 구성하는 개방조절수단(26)은 박판형상체에 연결되어서, 박판형상체(16)의 표면이 벨트(5)의 표면에 항상 평행하게 유지되어 섬유질 부유물(S)의 정확한 미끄럼이동을 보장하도록, 미끄럼블레이드(27)의 이동에 이어서 지지구조물(32)상에서 박판형상체(16)를 미끄럼이동시킨다.
전체적으로 장치가 참조부호 100으로 표시되어 있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제1드럼(37)이 제2드럼(39)에 대해 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어서, 유연성 있는 벨트(40)의 상부 및 하부의 직선부가 경사져 있다.
이러한 형태는 원심력의 영향하에서 화살표(41)로 표시된 방향으로 위로 분출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수집용 탱크(42)로 이송되어 온 바로 압착된 섬유질을 다시 적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전술된 실시예의 장치(1)보다 높게 제1드럼(37)을 위치시킴으로써, 물 및 오염물질수집용 탱크(43)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서, 수두(44)가 드럼(37)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사실상, 섬유질 부유물(S)의 원심효과에 의해 제1드럼(37)으로부터 나오는 물은 부유물(S)에 함유된 물의 약 80%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된 설명에 기초하여, 상기 모든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의도하였던 모든 목적을 성취하게 된다.
특히, 세척공정동안 유연성 있는 벨트의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불순물과 함께 없어지는 아주 짧은 셀룰로오스 섬유질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셀룰로오스 섬유질을 세척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성취되고, 이는 흐름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처리될 액체의 처리량과 동등하게 셀룰로오스 섬유질의 유체막의 두께와 속도의 특성들이 변경될 수 있는, 셀룰로오스 섬유질을 세척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성취되고, 이는 헤드박스의 출구의 개방정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개방조절수단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 부유물에서 추출된 불순물에 의해 오염되는 정화될 배출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셀룰로오스 섬유질을 세척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도 성취되고, 이는 불순물을 덜 함유하고서 제2드럼으로부터 나오는 물과 제1드럼에서 나오는 더 오염된 물을 분리할 수 있는 2개의 수집탱크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설명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응용과 변형이 실시단계에서 도입될 수 있다.
아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주내에 포함된다면, 전술한 실시예와 임의의 다른 설명되지 않은 실시예 모두는 본 발명으로 보호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드럼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흐름컨베이어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1)

  1. 프레임(2)과; 평행하게 서로 떨어져 있는 축을 갖춘 적어도 한쌍의 원통형 드럼(3,4); 관통구멍(6)을 갖추고서 상기 원통형 드럼(3,4)쌍에 순환링으로 감겨져 있는 유연성 있는 벨트(5); 상기 적어도 한쌍의 드럼(3,4) 중 제1드럼(3)과 상기 유연성 있는 벨트(5) 사이의 접촉하기 시작하는 영역(8)에서 섬유질 부유물(S)을 이송할 수 있는 이송수단(7); 상기 드럼들 중 적어도 하나(3)를 회전시켜 유연성 있는 벨트(5)를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9); 상기 제1드럼(3)의 회전으로 섬유질 부유물(S)에 가해진 원심력에 의해 유연성 있는 벨트(5)를 통해 여과되는 오염물질과 액체를 수집하는 수집수단(10) 및; 상기 적어도 한쌍의 드럼(3,4) 중 제2드럼(4)의 측면(4a)에서 유연성 있는 벨트(5)로부터 전달되는 섬유질 부유물(S)에 함유된 셀룰로오스 섬유질을 수집하는 수집수단(11);을 구비하는, 액체에 분산된 셀룰로오스 섬유질과 오염물질로 구성된 섬유질 부유물(S)을 세척하는 장치(1,100)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유연성 있는 벨트(5)의 아래와 제1드럼(3)의 위에 위치되고서 그 폭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유연성 있는 벨트(5)에 대해 가로질러 위치된 출구(14)를 갖춘 섬유질 부유물(S)용 이송도관(13)을 구비하는 헤드박스(12)와; 이 헤드박스(12)와 제1드럼(3) 사이에 위치되고서, 상기 헤드박스(12)의 출구(14) 하류에 위치된 입구선단(16a)과 상기 제1드럼(3)과 유연성 있는 벨트(5)의 접촉선 바로 상류에 위치된 출구선단(16b)이 구비된 박판형상체(16)로 이루어진 흐름컨베이어(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형상체(16)는 유연성 있는 벨트(5)쪽으로 구부려진 형상의 표면을 갖추고서, 입구선단(16a)부터 시작하여, 유연성 있는 벨트(5)쪽으로 구부려진 볼록면을 갖춘 만곡부(16c)가 있으며, 이어서 출구선단(16b)으로 종결되는 직선부(16d)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16d)는 유연성 있는 벨트(5)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형상체(16)는 헤드박스(12)의 이송도관(1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형상체(16)는 이송도관(13)의 출구(14)의 개방조절수단(2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14)의 개방조절수단(26)은 이송도관(13)의 폭에 걸쳐 위치되고서 한쪽에 이송도관(13)에서 박판형상체(16)에 연결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수단(28)을 구비하는 미끄럼블레이드(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있는 벨트(5)의 반대쪽으로 구부려진 미끄럼블레이드(27)의 표면은 박판형상체(16)의, 유연성 있는 벨트(5)의 반대쪽으로 구부려진 상응한 표면의 경사각(γ)에 대해 2배의 폭을 가진 각도(β)로 유연성 있는 벨트(5)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있는 벨트(5)의 반대쪽으로 구부려진 박판형상체(16)의 표면은 이송수단(7)에 고정된 지지구조물(32)에 대해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형상체(16)의 표면은 지지구조물(32)에 대해 접하는 중간영역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수단(28)은 다수의 나사(33)를 구비하며, 이들 각각은 제어용 휠(34)을 구비하면서 미끄럼블레이드(27)에 형성된 상응한 슬롯을 관통하여 이송도관(13)에 형성된 상응한 나사구멍에 나사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컨베이어(15)는 박판형상체(16)에 적용되어 셀룰로오스 섬유질의 섬유질 부유물(S)을 수용할 수 있는 측면어깨부(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형상체(16)에 대해 반대쪽에서 유연성 있는 벨트(5)의 외부면과 접촉하고 있는 가압탄성수단(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제1드럼(3)의 외부면은 외주홈(3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있는 벨트(5)를 통해 여과된 오염물질과 액체의 수집수단(10)은 제1드럼(3)의 아래에 놓인 수집용 제1탱크(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드럼(4)의 아래에 놓인 수집용 제2탱크(23)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9)은 모터(18)에 고정된 제1풀리(17)에 의해 형성된 운동기구와 결합된 모터(18)와, 제1드럼(3)에 고정된 제2풀리(19) 및, 이들 풀리(17,19) 사이에 감겨져 있는 전동벨트(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질용 수집수단(11)은 제2드럼(4)의 측면(4a)과 접촉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레이퍼(24)와, 이 스크레이퍼(24)의 아래에 놓이고서 스크레이퍼(24)로 분리된 섬유질을 수집하는 용기(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5)는 섬유질을 배출하는 수단(26)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을 배출하는 수단(26)은 오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제1드럼(37)이 제2드럼(39)에 대해 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21. 전술되고 도시된 바에 따른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KR1020040099938A 2004-05-10 2004-12-01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KR200501077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VI2004A000114 2004-05-10
IT000114A ITVI20040114A1 (it) 2004-05-10 2004-05-10 Macchina per il lavaggio di sospensioni fibro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731A true KR20050107731A (ko) 2005-11-15

Family

ID=3492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938A KR20050107731A (ko) 2004-05-10 2004-12-01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247423A1 (ko)
EP (1) EP1595997A1 (ko)
JP (1) JP2005320672A (ko)
KR (1) KR20050107731A (ko)
CN (1) CN1696399A (ko)
IT (1) ITVI200401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1668A (ja) * 2009-06-22 2011-01-06 Voith Patent Gmbh 洗浄機用ヘッドボックス
CN103556520B (zh) * 2013-11-22 2016-01-13 广东理文造纸有限公司 一种用于面浆净化的高速清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18381B (de) * 1972-11-17 1974-10-10 Andritz Ag Maschf Einrichtung für den Stoffeinlauf an Entwässerungsmaschinen
US4722793A (en) * 1986-07-03 1988-02-02 The Black Clawson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hickening pulp and paper stock
CA1331708C (en) * 1988-10-28 1994-08-30 Peter Seifert Apparatus for thickening pulp and paper stock
DE4105803C2 (de) * 1991-02-23 1997-02-13 Voith Gmbh J M Einrichtung zum Eindicken von Faserstoffsuspensionen
DE10140800A1 (de) * 2001-08-20 2003-03-06 Voith Paper Patent Gmbh Vorrichtung zur Behandlung einer Faserstoffbah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47423A1 (en) 2005-11-10
EP1595997A1 (en) 2005-11-16
JP2005320672A (ja) 2005-11-17
CN1696399A (zh) 2005-11-16
ITVI20040114A1 (it) 2004-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2139A (en) Apparatus for centrifugally removing liquid from a mixture
US20070210015A1 (en) Dual Zone Wireless Pulp Washer
US645121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watering sludge
US20110061829A1 (en) Method for degassing and supplying a fibrous suspension to a headbox or a filter device and degassing device
JPS5876588A (ja) 汚染された故紙製品から製紙用繊維を回収する方法及び装置
GB1585309A (en) Method of preparing and cleaning fibrous materia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uch a method
US4397230A (en) Screw press improvements
JP3974785B2 (ja) 固液分離装置
SE506804C2 (sv) Sätt och anläggning för återvinning av olika komponenter i flerskiktsmaterial
FI115975B (fi) Laite kuitujen erottamiseksi rejektimateriaalista
US620786A (en) Machine for filtering liquids
US5224603A (en) Apparatus for treating fiber suspension
JP4142633B2 (ja) 繊維懸濁液清浄化用の改良されたストレーナ
US5968353A (en) Clarifier with sludge dewatering
FI88940C (fi) Drumtvaettare
KR20050107731A (ko) 섬유질 부유물을 세척하는 장치
US3698649A (en) Screening apparatus
WO1999047277A9 (en) Apparatus for separating unwanted contaminants from fibrous slurry
FI84191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ehandling av fibersuspension
JP6694705B2 (ja) 脱墨廃液処理装置および脱墨処理装置
US4200530A (en) Rotary filter
JP4724299B2 (ja) 繊維懸濁液を濃縮する方法と装置
US4000073A (en) Continuous discharge centrifuge
JPS5917238B2 (ja) 加圧ダイジェスタから繊維状物質を放出する静的放出装置
IE912510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olids content of sludge produced from a continuous belt filter p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