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6305A -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6305A
KR20050106305A KR1020040031511A KR20040031511A KR20050106305A KR 20050106305 A KR20050106305 A KR 20050106305A KR 1020040031511 A KR1020040031511 A KR 1020040031511A KR 20040031511 A KR20040031511 A KR 20040031511A KR 20050106305 A KR20050106305 A KR 20050106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motor
control signal
speed
spee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0806B1 (ko
Inventor
장남정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80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6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 및 방법을 공개한다. 그 회로는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셔터를 개폐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펄스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회전펄스를 카운팅하고 카운팅한 값에 따라 펄스폭이 가변되는 펄스폭변조신호형태의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의 속도를 다단계로 구동하는 모터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셔터의 위치에 따라 셔터의 동작속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셔터와 셔터 주위의 구조물이 접촉되는 접촉부의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시켜 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 및 방법{Control cirduit and method of shutt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파워 셔터의 제어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셔터의 위치에 따라 동작 속도를 다르게 할 수 있는 속도가변기능을 갖는 차량용 파워 셔터의 제어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으로 사용되는 셔터로는 도어 원도우 및 컨버터블 차량의 덥개등이 있다. 최근들어 대다수의 차량에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도어 원도우를 열거나 닫기 위한 파워 원도우 장치가 탑재되어 있으며, 컨버터블 차량의 경우에도 덮개를 모터의 회전에 의하는 개폐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은 운전자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한번에 개폐동작을 완료하는 원터치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종래의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수단으로서 릴레이 스위치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동작 속도를 가변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며 일정한 속도로 시작점부터 종착점까지 동작한다. 그러나, 시작점부터 종착점까지 일정한 속도로 동작할 경우, 종착점에서 셔터와 접촉되는 접촉부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고속으로 회전하던 모터가 종착점에서 외력에 의해 갑자기 회전을 멈추게 됨에 따라 회전이 멈춰진 순간에 모터에는 큰 부하가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모터가 손상되고 모터의 수명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파워 셔터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개폐되므로 안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있다. 예를 들면, 원도우 글라스의 업 동작시 승객들이 원도우 글라스위 원도우 프레임 사이에 끼이는 경우등이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에 대한 안전장치도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 동작시 종착점에서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접촉부 및 모터를 보호함과 동시에 안전하게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차량용 셔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는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셔터를 개폐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펄스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회전펄스를 카운팅하고 카운팅한 값에 따라 펄스폭이 가변되는 펄스폭변조신호형태의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의 속도를 다단계로 구동하는 모터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의 제어부는 상기 셔터가 열릴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1소정값 이하일 경우 및 상기 셔터가 닫힐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2소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제1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셔터가 열릴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1소정값 이상일 경우 및 상기 셔터가 닫힐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2소정값 이하일 경우에는 제2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의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1 속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모터를 고속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속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모터를 저속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의 모터구동부는 수 개의 파워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의 모터구동부의 파워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방향 제어신호 및 상기 속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정방향 파워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방향 제어신호 및 상기 속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방향 파워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의 제어부는 상기 회전펄스의 펄스폭이 갑자기 길어진 경우에 상기 셔터가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상기 방향 제어신호를 제어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 제어방법은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단계, 상기 셔터를 개폐하는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펄스를 출력하는 감지단계, 상기 회전펄스를 카운팅하고 카운팅한 값에 따라 펄스폭이 가변되는 펄스폭변조신호형태의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단계, 및 상기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의 속도를 다단계로 구동하는 모터구동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 제어방법의 제어단계는 상기 셔터가 열릴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1소정값 이하일 경우 및 상기 셔터가 닫힐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2소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제1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고속제어단계, 및 상기 셔터가 열릴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1소정값 이상일 경우 및 상기 셔터가 닫힐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2소정값 이하일 경우에는 제2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저속제어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 제어방법의 모터구동단계는 상기 제1 속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모터를 고속으로 구동하는 고속구동단계, 및 상기 제2 속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모터를 저속으로 구동하는 저속구동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 제어방법은 상기 회전펄스의 펄스폭이 갑자기 길어진 경우에 상기 셔터가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상기 방향 제어신호를 제어하는 안전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의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입력부(10), 센서부(20), 제어부(30), 모터구동부(40), 및 모터(5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부(10)는 사용자의 스위치(미도시)조작에 따라 방향 제어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센서부(20)는 센서를 사용하여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고, 모터의 회전에 따라 역방향 또는 정방향 회전펄스를 발생한다. 모터의 회전방향을 알기 위하여 2개의 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센서부(20)로부터 입력되는 회전펄스를 이용하여 셔터의 동작상태 및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셔터의 동작상태 및 위치와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펄스폭변조(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 형태의 속도 제어신호 및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방향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40)로 출력한다. 셔터의 동작상태는 회전펄스의 펄스폭을 감지함으로써 알 수 있고, 셔터의 위치는 회전펄스를 업다운 카운팅함으로써 알 수 있다. 모터구동부(50)는 수 개의 파워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5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며, 제어부(30)로부터 입력된 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50)의 속도를 다단계로 구동한다. 모터(50)는 상기 모터구동부(50)에 의해 역방향 또는 정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러한 모터(50)의 회전에 의해 셔터가 개폐된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회로에서 제어부(30)가 셔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제어부(30)내에 센서부(20)로부터 출력된 회전펄스를 카운팅하기 위한 업다운 카운터와 최상단값 및 최하단값을 저장할 레지스터가 필요하며, 상기 레지스터를 초기화하여야 한다. 즉, 초기화시 카운터를 임의의 기준값(예를 들면 "30000")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셔터가 닫히도록 모터(50)를 회전시키면 센서부(20)에서는 정방향 회전펄스가 발생되고, 이를 카운팅하여 셔터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카운팅된 값과 기준값을 합한 값, 즉, 기준값에서부터 업 카운팅한 값을 최상단값으로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다시 셔터가 열리도록 모터(50)를 회전시키면 센서부(20)에서는 역방향 회전펄스가 발생되고, 이를 카운팅하여 셔터가 완전히 열릴 때까지 카운팅된 값을 최상단값에서 뺀 값, 즉, 최상단값에서부터 다운 카운팅한 값을 최하단값으로 레지스터에 저장함으로써 초기화작업을 종료한다. 이후에는 셔터의 동작, 즉, 모터(50)의 회전에 따라 센서부(20)에서 정방향 회전펄스 또는 역방향 회전펄스가 발생되며, 이를 카운터에서 각각 업 카운팅 또는 다운 카운팅하고, 카운팅한 값을 초기화작업시 저장된 최상단값 및 최하단값과 비교함으로서 셔터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상기 카운터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의 제어부(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로서,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의 제어부(3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30)는 입력부(10)로부터 방항 제어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100단계). 방향 제어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셔터와 셔터주변의 구조물사이에 이물체가 끼는 등의 잼 현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110단계). 110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잼 현상이 발생하였으면 셔터를 현재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후진시키고 동작을 종료한다(120단계).
110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셔터의 위치가 종착점에 가까워졌는지를 판단한다(130단계). 여기에서, 종착점이라함은 셔터가 닫힐 때에는 제어부(30)가 센서부(20)에서 출력된 회전펄스를 카운팅한 값이 상기 최상단값이 되는 점을 의미하고, 셔터가 열릴 때에는 제어부(30)가 센서부(20)에서 출력된 회전펄스를 카운팅한 값이 상기 최하단값이 되는 점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셔터의 개폐, 즉, 모터(50)의 회전에 따라 센서부(20)에서 발생하는 회전펄스를 계속 업다운 카운팅하여 셔터의 위치를 파악한다. 그러다가, 셔터가 닫힐 때 회전펄스를 카운팅한 값이 상기 최상단값에서 일정한 값을 뺀 제1소정값 이상이거나 셔터가 열릴 때 회전펄스를 카운팅한 값이 상기 최하단값에서 일정한 값을 더한 제2소정값 이하이면 셔터가 종착점에 가까워졌다고 판단한다.
130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종착점에 가까워지지 않았다면 셔터를 고속으로 동작하도록 한다(140단계). 130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종착점에 가까워졌다면 셔터를 저속으로 동작하도록 한다(150단계). 다음, 종료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160단계). 160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종료신호가 없으면 110단계로 돌아가고 종료신호가 있으면 동작을 종료한다(170단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의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속도 제어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는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회로가 릴레이 스위치로 구성되어 속도를 가변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터구동부(40)로서 수 개의 파워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 제어신호를 펄스폭변조신호형태로 발생시킴으로써 동작구간에 따라 속도를 달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의 제어부(30)는 초기화시 셔터의 최상단값 및 최하단값을 저장하고, 동작중 센서부(20)에서 출력되는 회전펄스를 계속 업다운 카운팅하여 셔터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 후, 평상시에는 듀티(duty)가 높은 제1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셔터가 고속으로 동작되도록 하고, 셔터를 닫으려고 할 때 회전펄스를 카운팅한 값이 상기 제1소정값 이상이거나, 셔터를 열려고 할 때 회전펄스를 카운팅한 값이 상기 제2소정값 이하이면, 즉, 종착점에 가까워졌다면 펄스폭변조신호형태인 제어신호의 듀티(duty)를 감소시킨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셔터가 저속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도 3에서는 모터의 속도를 2단계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같은 방법으로 3단계 이상으로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의 모터구동부(40)의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논리회로(42) 및 4개의 파워 트랜지스터들(TR1, TR2, TR3, TR4)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논리회로(42)는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된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된 속도 제어신호를 A 또는 B 로 출력하고,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단자로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4개의 파워 트랜지스터들(TR1, TR2, TR3, TR4)중 두 개의 파워 트랜지스터들(TR1, TR4)은 A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두 개의 파워 트랜지스터들(TR2, TR3)은 B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모터(50)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모터(50)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전류가 X방향으로 흐르고,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전류가 Y방향으로 흐른다고 가정하고 도 4에 나타낸 블록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50)를 고속으로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속도 제어신호는 하이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방향 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논리회로(42)는 A로는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B로는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TR2, TR3는 오프되고, TR1, TR4는 온되어, 모터(50)에는 X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모터(50)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방향 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논리회로(42)는 A로는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B로는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TR1, TR4는 오프되고, TR2, TR3는 온되어, 모터(50)에는 Y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모터(50)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모터(50)를 저속으로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도 상술한 바와 같으며, 다만, 속도 제어신호의 듀티가 낮아져 모터(50)에 흐르는 전류의 실효치가 작아지고, 따라서, 모터(50)의 회전속도가 낮아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모터 구동부(40)를 릴레이 스위치가 아닌 파워 트랜지스터를 이용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 제어신호를 펄스폭변조신호형태로 출력함으로써 모터(50)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의 센서부(20)에서 출력되는 회전펄스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정상적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잼 현상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센서부(20)는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펄스를 출력한다. 셔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에는 회전펄스의 폭이 일정하게 출력되나(도 5(a)), 셔터와 셔터 주변의 구조물 사이에 이물체가 끼는 등의 잼 현상이 발생하면 셔터의 속도, 즉, 모터의 속도는 갑자기 느려질 것이고, 따라서, 도 5(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잼 현상이 발생한 시점에서 갑자기 회전펄스의 폭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의 제어부(30)는 주기적으로 회전펄스의 폭을 인접한 이전의 회전펄스의 폭과 비교하여 갑자기 회전펄스의 폭이 길어진 경우에는 잼 현상이 발생했다고 인식한다. 예를 들면, 매 15번째 회전펄스의 폭을 직전 9번째, 11번째, 13번째 회전펄스의 폭과 비교하여 15번째 회전펄스의 폭이 30%이상 길어진 경우에는 잼 현상이 발생했다고 인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잼 현상이 발생하면 제어부(30)는 셔터가 진행방향의 반대로 일정한 거리만큼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되는 방향 제어신호를 제어하여 모터를 현재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 및 방법은 셔터의 위치에 따라 셔터의 동작속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셔터와 셔터 주위의 구조물이 접촉되는 접촉부의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시켜 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의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의 모터구동부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의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회전펄스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0)

  1.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셔터를 개폐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펄스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회전펄스를 카운팅하고 카운팅한 값에 따라 펄스폭이 가변되는 펄스폭변조신호형태의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의 속도를 다단계로 구동하는 모터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가 열릴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1소정값 이하일 경우 및 상기 셔터가 닫힐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2소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제1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셔터가 열릴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1소정값 이상일 경우 및 상기 셔터가 닫힐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2소정값 이하일 경우에는 제2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1 속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모터를 고속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속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모터를 저속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부는
    수 개의 파워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방향 제어신호 및 상기 속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정방향 파워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방향 제어신호 및 상기 속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방향 파워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펄스의 펄스폭이 갑자기 길어진 경우에 상기 셔터가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상기 방향 제어신호를 제어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셔터 제어회로.
  7.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단계;
    상기 셔터를 개폐하는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펄스를 출력하는 감지단계;
    상기 회전펄스를 카운팅하고 카운팅한 값에 따라 펄스폭이 가변되는 펄스폭변조신호형태의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단계; 및
    상기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의 속도를 다단계로 구동하는 모터구동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셔터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셔터가 열릴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1소정값 이하일 경우 및 상기 셔터가 닫힐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2소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제1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고속제어단계; 및
    상기 셔터가 열릴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1소정값 이상일 경우 및 상기 셔터가 닫힐 때 상기 카운팅한 값이 제2소정값 이하일 경우에는 제2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저속제어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셔터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단계는
    상기 제1 속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모터를 고속으로 구동하는 고속구동단계; 및
    상기 제2 속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모터를 저속으로 구동하는 저속구동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셔터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셔터 제어방법은
    상기 회전펄스의 펄스폭이 갑자기 길어진 경우에 상기 셔터가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상기 방향 제어신호를 제어하는 안전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셔터 제어방법.
KR1020040031511A 2004-05-04 2004-05-04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 및 방법 KR100570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511A KR100570806B1 (ko) 2004-05-04 2004-05-04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511A KR100570806B1 (ko) 2004-05-04 2004-05-04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305A true KR20050106305A (ko) 2005-11-09
KR100570806B1 KR100570806B1 (ko) 2006-04-12

Family

ID=3728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511A KR100570806B1 (ko) 2004-05-04 2004-05-04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8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1930A (zh) * 2021-01-18 2021-04-23 张干明 一种电机交直流转换增速控制器系统及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431B1 (ko) 2008-12-03 2010-06-25 영화테크(주)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1930A (zh) * 2021-01-18 2021-04-23 张干明 一种电机交直流转换增速控制器系统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0806B1 (ko)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9824B1 (en) Motor speed-based anti-pin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with rough road condition detection and compensation
US6794837B1 (en) Motor speed-based anti-pin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with start-up transient detection and compensation
JP4487588B2 (ja) 開閉体制御装置
US7573216B2 (en) Window opening and closing controller
US6822410B2 (en) Motor speed-based anti-pin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4855173B2 (ja) 開閉体制御装置
JP2005351042A (ja) 開閉体制御装置
US6788016B2 (en) Motor speed-based anti-pin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with endzone ramp detection and compensation
JP4490453B2 (ja) 開閉部材制御装置
KR100570806B1 (ko)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 및 방법
JP4981431B2 (ja) 車両用開閉体の制御装置
JP4463670B2 (ja) 開閉部材制御装置
JP3722675B2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052247A (ja) 開閉体制御装置
JP2008291590A (ja) 開閉体制御装置
JP4732628B2 (ja)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開閉部材制御装置における開閉部材の原点位置設定方法
JP7028195B2 (ja) 開閉部材制御装置
JP3839402B2 (ja)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開閉部材制御装置における開閉部材の位置ズレ防止方法
JP3687286B2 (ja) ウインドウ開閉制御装置
JPH08331877A (ja) 車両用窓電動開閉機構の安全装置
JP5300228B2 (ja) 開閉体の挟み込み検出装置
JP3889329B2 (ja)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開閉部材制御方法
US20220195782A1 (en) Opening and closing body control apparatus
JP4884856B2 (ja) 開閉部材制御装置
KR100534275B1 (ko) 경사로에서의 슬라이딩 도어 과부하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