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878A - 약액 유량 조절기 - Google Patents

약액 유량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5878A
KR20050105878A KR1020040031159A KR20040031159A KR20050105878A KR 20050105878 A KR20050105878 A KR 20050105878A KR 1020040031159 A KR1020040031159 A KR 1020040031159A KR 20040031159 A KR20040031159 A KR 20040031159A KR 20050105878 A KR20050105878 A KR 20050105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passage
space
liquid flow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8001B1 (ko
Inventor
김용년
Original Assignee
김용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40031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001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용년 filed Critical 김용년
Priority to US11/568,292 priority patent/US8092417B2/en
Priority to AU2005237922A priority patent/AU2005237922B2/en
Priority to CN2009101464430A priority patent/CN101574549B/zh
Priority to EP05764708.3A priority patent/EP1750786B1/en
Priority to PCT/KR2005/001283 priority patent/WO2005105183A1/en
Priority to JP2007511279A priority patent/JP4649475B2/ja
Priority to RU2006141522/14A priority patent/RU2354412C2/ru
Priority to CNB2005800139526A priority patent/CN100518840C/zh
Publication of KR20050105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878A/ko
Priority to IL178926A priority patent/IL178926A/en
Priority to HK07111254.1A priority patent/HK1105901A1/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001B1/ko
Priority to HK10101509.0A priority patent/HK1135050A1/xx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1Drip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61M2205/3382Upper leve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with capillaries for restricting fl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4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using low-level float-valve to cut off media flow from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Abstract

본 발명은 링거액 등의 약액을 주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입되는 약액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액의 흐름 경로 상에서 그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약액이 들어오는 유입통로와, 약액이 나가는 배출통로와, 상기 유입통로를 통해 들어온 약물이 저장되는 제1 공간과, 제1 공간과 배출통로 사이에 위치하며 2개 이상의 모세관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모세관에 대응하여 배출통로 쪽으로 마련된 다수의 출구가 형성된 모세관부와, 상기 모세관과 배출통로 사이에 위치하며 이동에 의해 상기 배출통로와 연결되는 상기 모세관의 수를 변화시키는 배출량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약액 유량 조절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약액 유량 조절기 {REGULATOR FOR QUANTITY OF INJECTION}
본 발명은 링거액 등의 약액을 주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입되는 약액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포도당과 같은 필요한 양분이나, 주사액 등을 보충하기 위하여 링거병 등에 저장된 약액을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하게 된다. 그리고 환자 등에 항암제, 항생제 등과 같은 특수 주사제 의약품의 약액을 투입할 때에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양만큼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투입되어야 한다. 만일, 특수 주사제 의약품이 환자의 필요한 양에 맞도록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투입되지 않으면 쇼크를 일으켜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링거액을 주입하는 장치는 약액이 저장된 병(또는 팩)과 상기 병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호스와, 상기 호스 상에 설치되어 약액이 흐르는 양을 육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약액 유량 확인구와, 상기 호스 선단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혈관에 주사되는 주사바늘 및 상기 약액 유량 확인구와 주사바늘 사이에 설치되어 호스의 단면적을 조정하여 약액이 주사기로 흐르는 양을 조절하는 조절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약액 주입장치는 간호사가 환자의 혈관에 주사바늘을 삽입하고 조절기를 조정하여 호스에 흐르는 약액의 양을 조정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게 된다.
종래의 조절기는 통상적으로 상하로 회전시켜 호스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주사바늘로 흐르는 약액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조절기는 약액의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링거액 등의 약액의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약액의 흐름 경로 상에서 그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약액이 들어오는 유입통로와, 약액이 나가는 배출통로와, 상기 유입통로를 통해 들어온 약물이 저장되는 제1 공간과, 제1 공간과 배출통로 사이에 위치하며 2개 이상의 모세관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모세관에 대응하여 배출통로 쪽으로 마련된 다수의 출구가 형성된 모세관부와, 상기 모세관과 배출통로 사이에 위치하며 이동에 의해 상기 배출통로와 연결되는 상기 모세관의 수를 변화시키는 배출량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약액 유량 조절기가 제공된다.
상기 배출량 조절 밸브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이동에 의해 상기 배출통로와 연결되는 모세관의 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체 형상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통로와 연결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모세관부의 출구에 연결되기에 적합한 다수의 가지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세관부의 출구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가지홈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액 유량 조절기에는 약액이 상기 제1 공간으로 들어가는 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공간에 저장된 약액의 양에 따라 상기 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약액의 양을 조절하는 유입량 조절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량 조절 밸브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약액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표와, 상기 부표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입구에 닿았을 때 상기 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약액의 양을 줄이는 조절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약액 유량 조절기는 상단에는 상기 입구가 마련되며 하단에는 상기 제1 공간으로 연결되는 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조절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입구 및 출구보다 큰 연결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의 아래면 또는 상기 연결통로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통로의 상기 출구가 막히지 않도록 상기 조절부재의 아래면과 상기 연결통로의 하단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하부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의 윗면 또는 상기 연결통로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통로의 상기 입구가 막히지 않도록 상기 조절부재의 윗면과 상기 연결통로의 상단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상부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연결통로의 상단에 닿았을 때 더 적은 양의 약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상부돌기와 하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의 상기 출구와 연결되는 연결통로의 하단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의 윗면은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약액 유량 조절기는 위로는 상기 유입통로와 연결되며 아래로는 상기 연결통로와 연결되는 제2 공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약액 유량 조절기(10)는 몸체(20)와, 밸브(30)와, 유입측 결합부재(40)와, 배출측 결합부재(50)와, 다수의 모세관이 마련된 모세관 부재(60)와, 조절유닛(70)을 구비한다. 몸체(20)는 상하로 연장된 원통형 부재로서, 하부는 직사각형으로 축소되어 약간 연장된다. 몸체(2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개방되며 개방된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유입측 결합부재(40)와 배출측 결합부재(50)가 안쪽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몸체(20)의 내부에는 분리벽(22)이 마련된다. 분리벽(22)에 의해 몸체(20)의 내부는 하부의 제1 공간(24)과 상부의 제2 공간(26)으로 나누어진다. 제1 공간(24)은 약액이 저장되는 공간이고 제2 공간(26)은 링거병(도6의 100)으로부터 약액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는 공간이 된다. 제1 공간(24)과 제2 공간(26)은 각각 몸체(20)의 하단과 상단에 마련된 개방부와 통한다. 분리벽(22)은 가운데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분리벽(22)의 중심부에는 제1 공간(24)과 제2 공간(26)을 연결하며 상하로 연장된 통로(28)가 마련된다. 통로(28)의 상단에는 제2 공간(26)으로부터 통로(28)로 약액이 들어오는 입구(281)가 마련되고, 통로(28)의 하단에는 통로(28)로부터 제1 공간(24)으로 약액이 나가는 출구(282)가 마련된다. 출구(282)는 통로(28)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통로(28)의 출구(282) 쪽 끝단에는 후술하는 밸브(30)의 조절부재(32)가 걸치게 되는 단턱(283)이 마련된다. 단턱(283)은 중심부로 갈수록 아래로 약간 경사진다. 이것은 약액이 제2 공간(26)으로 원활하게 흘러들어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입구(281) 역시 통로(28)보다 좁게 형성되는데, 통로(28)의 입구(281) 쪽 끝단에는 입구(281)로 갈수록 좁아지는 (즉, 하류 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추형 경사면(284)이 마련된다. 이러한 형상은 후술하는 밸브(30)의 조절부재(32)의 형상에 맞게 정해진다. 조절부재(32)가 경사면(284)에 밀착되면 제2 공간(26)의 약액이 입구(281)를 통해 통로(28)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밸브(30)는 분리벽(22)의 통로(28)에 수용되는 조절부재(32)와, 제1 공간(24)에 위치하며 조절부재(32)와 연결된 부표(34)를 구비한다. 조절부재(32)는 대체로 원뿔대 형상의 부재로서, 그 외경이 통로(28)보다는 작고 통로(28)와 연결된 입구(281)와 출구(282)보다는 넓다. 조절부재(32)의 윗면은 위로 갈수록 좁아지게 경사진다. 이것은 위에서 유입되는 약물이 통로(28)의 가장자리 쪽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경사진 부분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작은 상부돌기(323)가 마련된다. 상부 돌기(323)가 통로(28) 상단의 경사면(284)에 접하면 조절부재(32)와 통로(28) 상단의 경사면(284) 사이에 작은 통로가 형성되어 입구(281)를 통해 적은 양의 약액이 유입된다. 상부돌기(323)는 후술하는 하부돌기(322)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것은 조절부재(32)가 통로(28)의 상단에 닿았을 때 보다 적은 양의 약액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조절부재(32)의 아랫면 중심에는 돌출된 결합기둥(321)이 마련된다. 결합기둥(321)이 후술하는 부표(34)로부터 연장된 연장관(341)에 끼워져 결합된다. 조절부재(32)의 아랫면 테두리에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하부 돌기(322)가 마련된다. 하부 돌기(322)가 통로(28) 하단의 단턱(283)에 놓여 조절부재(32)의 아랫면에 의해 출구(282)가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돌기(323)가 하부돌기(322)가 조절부재(32)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로(28) 상단의 경사면(284)과 하단의 단턱(284)에 이러한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표(34)는 내부가 비어 있는 구형으로서, 제1 공간(24)에 저장된 약액에 의해 뜬다. 부표(34)의 상부에는 위로 길게 연장된 연장관(341)이 마련된다. 이 연장관(341)이 분리벽(22)에 형성된 통로(28)와 연결된 출구(282)로 들어간다. 연장관(341)의 개방된 상단으로 조절부재(32)의 결합기둥(321)이 끼워져 부표(34)와 조절부재(32)가 함께 상하로 움직이도록 결합된다. 출구(282)를 통해 약액이 지나갈 수 있도록 연장관(341)의 외경이 출구(282)보다 작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유입측 결합부재(40)는 상부벽(42)과, 상부벽(42)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측벽(44)과, 상부벽(42)의 중심부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길게 연장된 연장돌기(46)를 구비한다. 상부벽(42)은 위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진다. 측벽(44)은 몸체(20)의 개방된 상단으로 끼워져 몸체(20)의 벽면과 밀착한다. 연장돌기(46)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약액유입통로(461)와 공기유입통로(462)가 마련된다. 약액유입통로(461)는 몸체(20)의 제2 공간(26)과 연결되며, 공기유입통로(462)는 상부벽(42)을 통해 외부로 연결된다. 약액유입통로(461)의 상단이 공기유입통로(462)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한다. 이것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 유량 조절기(10)가 링거병(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공기가 링거병(100)에 유입되어 약액유입통로(461)를 통해 링거병(100)의 약액이 조절기(10)의 제2 공간(26)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배출측 결합부재(50)는 내부에 모세관 부재(60)와 조절유닛(70)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배출측 결합부재(50)는 마주보며 편평하게 상하로 연장된 제1, 제2 측벽(52, 54)과, 제1 측벽(52)과 제2 측벽(54)을 연결하는 연결벽(56)을 구비한다. 제1 측벽(52)과 제2 측벽(54)은 하부에서 가장자리가 반원을 이룬다. 연결벽(56)도 그에 따라 하부에서 둥글게 연결된다. 배출측 결합부재(50)는 상단은 개방되어 몸체(20)의 개방된 하단 안쪽으로 끼워져 제1 공간(24)과 연결된다. 제1 측벽(52)에는 원형의 관통구멍(521)이 마련된다. 관통구멍(521)의 중심은 배출측 결합부재(50)의 내부에 수용되는 후술하는 원기둥모양의 회전부재(72)의 중심과 대체로 일치한다. 이 관통구멍(521)을 통해 외부에서 후술하는 조절유닛(70)의 노브(76)에 연결된 톱니기둥(761)이 삽입부재(74)의 톱니구멍(742)으로 끼워진다. 배출측 결합부재(50)의 연결벽(56)의 하단에는 아래로 돌출되어 연장된 연장돌기(58)가 마련된다. 연장돌기(58) 내부에는 배출측 결합부재(50)의 내부와 통하며 약액이 배출되는 배출통로(581)가 마련된다. 연장돌기(58)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110)과 연결된 연결호스(90)에 끼워진다.
다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연결벽(56)의 안쪽 벽면에는 배출통로(581)와 연결된 배출홈(562)이 마련된다. 배출홈(562)은 배출통로(581)로부터 연결벽(56)의 벽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대체로 90도 정도 연장된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모세관 부재(60)는 배출측 결합부재(50) 내부의 상부에 꼭 맞게 끼워지는 형태로서 아랫면은 오목한 반원형으로서 후술하는 조절유닛(70)의 회전부재(72)의 외주면과 밀착한다. 모세관 부재(60)에는 상하로 연장된 다수의 모세관이 마련된다. 이 다수의 모세관은 모세관(621)이 형성된 모세관 튜브(62)가 모세관 부재(60)에 끼워져서 마련된다. 모세관 부재(60)에는 이러한 모세관 튜브(62)가 꼭 맞게 끼워지는 다수의 삽입구멍(61)이 마련된다. 다수의 삽입구멍(61)의 바닥에는 모세관 부재(60)의 아랫면까지 통하는 연결통로(64)가 마련된다. 각 연결통로(64)는 후술하는 조절유닛(70)의 회전부재(72)의 외주면에 마련된 가지홈(74)에 각각 연결된다. 다수의 모세관(621)은 2열로 배치되는데, 제1열에는 5개의 모세관이 마련되고, 제2열에는 4개의 모세관이 마련된다. 각 열에 배치된 모세관(621)은 대체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제2열의 모세관은 제1열의 모세관 중간의 위치에 오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모세관의 개수나 배열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1, 도2, 도3, 도5를 참조하면, 조절유닛(70)은 원기둥 형상의 회전부재(72)와, 회전부재(72)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삽입부재(74)와, 삽입부재(74)에 연결되는 조절노브(76)를 구비한다. 회전부재(72)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부구간에 걸쳐 안내홈(721)과, 안내홈(721)으로부터 양쪽으로 분기되어 연장된 다수의 가지홈(722)을 구비한다. 안내홈(721)은 토출측 결합부재(50)의 토출홈(562)과 연결된다. 가지홈(722)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가지홈(722)은 모세관 부재(60)의 연결통로(64)와 연결되는데, 한 개씩 교대로 연결되도록 개수가 정해진다. 회전부재(72)의 중심에는 삽입부재(74)가 꼭 맞게 끼워지는 결합구멍(723)이 마련된다. 결합구멍(723)의 형상 및 크기는 삽입부재(74)에 맞게 정해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부재(72)의 중심선이 회전부재(72)의 회전축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72)가 원기둥의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안내홈과 가지홈이 마련되는 부분이 회전체 형상이면 가능하며, 모세관 부재(60)의 아랫면의 형상도 그에 따라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8에는 회전부재(72)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의 형상이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만큼 연장된 두 개의 가지홈을 구비하는 구성(이 경우 홈은 대체로 소리굽쇠의 형상 또는 Y자 형상을 가짐)일 수도 있다. 두 가지홈은 모세관 부재(60)의 제1열과 제2열에 각각 연결된다.
삽입부재(74)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날개(741)와, 중심부에 마련된 톱니구멍(742)을 구비한다. 삽입부재(74)는 회전부재(72)의 결합구멍(723)에 꼭 맞게 끼워진다. 톱니구멍(742)으로 조절노브(76)에 연결된 톱니기둥(761)이 꼭 맞게 끼워져 조절노브(76)의 회전이 그대로 전달된다. 돌출날개(741)는 회전부재(72)로 그 회전력을 전달한다. 톱니구멍(742)은 토출측 결합부재(50)의 제1 측벽(52)에 마련된 관통구멍(5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조절노브(76)에는 톱니기둥(761)이 연결된다. 톱니기둥(761)이 토출측 결합부재(50)의 제1 측벽(52)에 마련된 관통구멍(521)을 통해 삽입부재(74)의 톱니구멍(741)으로 꼭 맞게 끼워진다. 조절노브(76)는 토출측 결합부재(50)의 제1 측벽(52) 바깥에 위치하게 된다. 조절노브(76)를 잡고 회전시키면 회전부재(72)가 회전하게 된다.
이제,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6을 참조하면, 약액 유량 조절기(10)의 유입측 결합부재(40)의 연장돌기(46)는 링거병(100)의 하단으로 삽입되고, 토출측 결합부재(50)의 연장돌기(58)에 주사바늘(110)이 결합된 연결호스(90)가 끼워진다. 링거병(100)의 약액은 유입측 결합부재(40)의 연장돌기(46)에 마련된 약액유입통로(461)를 통해 몸체(20)의 제2 공간(26)으로 유입된다. 이때, 연장돌기(46)의 공기유입통로(46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링거병(100) 내부로 유입되어 약액이 보다 원활하게 몸체(20)의 제2 공간(26)으로 유입된다. 몸체(20)의 제2 공간(26)으로 유입된 약액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30)의 조절부재(32)가 아래로 내려가 있는 상태에서 분리벽(22)의 통로(28)로 들어가는 입구(281)를 통해 통로(28)로 유입된다. 통로(28)에 유입된 약액은 통로(28)의 가장자리 쪽에 형성된 통로(28)의 벽면과 조절부재(32) 사이의 틈을 통해 흘러 내려가 출구(282)를 통해 제1 공간(24)으로 유입된다. 제1 공간(24)으로 유입된 약액은 제1 공간(24)에 저장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1 공간(24)에 저장된 약액의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약액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밸브(30)의 부표(34)가 올라가게 되고 결국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이 제1 공간(24)에 어느 정도 채워지면 밸브(30) 조절부재(32)가 통로(28)의 상단에 닿게 되어, 유입되는 약액의 양은 적어지게 되며, 제1 공간(24)에 저장된 약액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환자에게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제2 공간(26)에 저장된 약액은 모세관 부재(60)의 모세관 튜브(62)에 형성된 모세관(621)을 통해 미세한 양이 아래로 흘러 내려간다. 이때, 회전부재(72)의 회전상태가 도7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 즉, 모세관 부재(60)의 모든 연결통로(64)가 회전부재(72) 가지홈(722)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 놓이는 경우 약액은 연결호스(90)로 전혀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절노브(76)를 회전시켜 도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세관 부재(60)의 여러 연결통로(64) 중 하나가 회전부재(72)의 가지홈(722)에 연결되면, 그 연결통로에 통해 약액이 연결호스(90)로 배출된다. 이 상태에서 조절노브(76)를 조금 더 회전시켜 도7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세관 부재(60)의 여러 연결통로(64) 중 둘이 회전부재(72)의 가지홈(722)에 연결되면, 연결호스(90)로 배출되는 약액의 유량이 미세하게 더 증가하게 된다. 회전부재(72)를 같은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회전시켜 배출되는 약액의 유량을 미세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72)를 계속 회전시켜 도7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세관 부재(60)의 모든 연결통로(64)가 회전부재(72)의 가지홈(722)에 연결되면, 연결호스(90)로 배출되는 약액의 유량은 최대가 된다. 만일, 회전부재(7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약액의 유량을 단계적으로 미세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면 앞에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액이 흐르는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모세관 중 배출통로와 연결되는 모세관의 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배출되는 약액의 양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저장공간에 약액이 일정한 양이 저장되므로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환자에게 일정한 양의 약액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기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조절기를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도1의 조절기를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도2와 도3의 모세관 부재의 사시도
도5는 도1, 도2, 도3의 회전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도1의 조절기가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7의 (a) 내지 (d)는 도5의 회전부재의 외주면을 전개하여 모세관 부재의 연결통로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약액 유량 조절기 24 : 저장공간
30 : 밸브 32 : 조절부재
34 : 부표 64 : 연결통로
70 : 조절유닛 72 : 회전부재
281 : 입구 461 : 약액유입통로
581 : 배출통로 621 : 모세관
721 : 안내홈 722 : 가지홈

Claims (13)

  1. 약액의 흐름 경로 상에서 그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약액이 들어오는 유입통로와,
    약액이 나가는 배출통로와,
    상기 유입통로를 통해 들어온 약물이 저장되는 제1 공간과,
    제1 공간과 배출통로 사이에 위치하며 2개 이상의 모세관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모세관에 대응하여 배출통로 쪽으로 마련된 다수의 출구가 형성된 모세관부와,
    상기 모세관과 배출통로 사이에 위치하며 이동에 의해 상기 배출통로와 연결되는 상기 모세관의 수를 변화시키는 배출량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약액 유량 조절기.
  2. 제1항의 약액 유량 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 조절 밸브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이동에 의해 상기 배출통로와 연결되는 모세관의 수를 변화시키는 약액 유량 조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체 형상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통로와 연결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모세관부의 출구에 연결되기에 적합한 다수의 가지홈을 구비하는 약액 유량 조절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부의 출구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가지홈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약액 유량 조절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약액이 상기 제1 공간으로 들어가는 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공간에 저장된 약액의 양에 따라 상기 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약액의 양을 조절하는 유입량 조절 밸브를 더 포함하는 약액 유량 조절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량 조절 밸브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약액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표와, 상기 부표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입구에 닿았을 때 상기 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약액의 양을 줄이는 조절부재를 구비하는 약액 유량 조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단에는 상기 입구가 마련되며 하단에는 상기 제1 공간으로 연결되는 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조절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입구 및 출구보다 큰 연결통로를 포함하는 약액 유량 조절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의 아래면 또는 상기 연결통로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통로의 상기 출구가 막히지 않도록 상기 조절부재의 아래면과 상기 연결통로의 하단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하부돌기가 마련된 약액 유량 조절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의 윗면 또는 상기 연결통로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통로의 상기 입구가 막히지 않도록 상기 조절부재의 윗면과 상기 연결통로의 상단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상부돌기가 마련된 약액 유량 조절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연결통로의 상단에 닿았을 때 더 적은 양의 약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상부돌기와 하부돌기가 형성되는 약액 유량 조절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의 상기 출구와 연결되는 연결통로의 하단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진 약액 유량 조절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의 윗면은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인 약액 유량 조절기.
  13. 제7항 있어서, 위로는 상기 유입통로와 연결되며 아래로는 상기 연결통로와 연결되는 제2 공간을 더 구비하는 약액 유량 조절기.
KR1020040031159A 2004-05-03 2004-05-03 약액 유량 조절기 KR100578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159A KR100578001B1 (ko) 2004-05-03 2004-05-03 약액 유량 조절기
CNB2005800139526A CN100518840C (zh) 2004-05-03 2005-05-03 一种用于调节流速的设备
CN2009101464430A CN101574549B (zh) 2004-05-03 2005-05-03 一种用于调节流速的设备
EP05764708.3A EP1750786B1 (en) 2004-05-03 2005-05-03 Device for regulating flow rate
PCT/KR2005/001283 WO2005105183A1 (en) 2004-05-03 2005-05-03 Device for regulating flow rate
JP2007511279A JP4649475B2 (ja) 2004-05-03 2005-05-03 薬液流量調節器
US11/568,292 US8092417B2 (en) 2004-05-03 2005-05-03 Device for regulating flow rate
AU2005237922A AU2005237922B2 (en) 2004-05-03 2005-05-03 Device for regulating flow rate
RU2006141522/14A RU2354412C2 (ru) 2004-05-03 2005-05-03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хода
IL178926A IL178926A (en) 2004-05-03 2006-10-29 Install flow rate regulation
HK07111254.1A HK1105901A1 (en) 2004-05-03 2007-10-18 Device for regulating flow rate
HK10101509.0A HK1135050A1 (en) 2004-05-03 2010-02-10 Device for regulating flow 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159A KR100578001B1 (ko) 2004-05-03 2004-05-03 약액 유량 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878A true KR20050105878A (ko) 2005-11-08
KR100578001B1 KR100578001B1 (ko) 2007-11-30

Family

ID=3524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159A KR100578001B1 (ko) 2004-05-03 2004-05-03 약액 유량 조절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092417B2 (ko)
EP (1) EP1750786B1 (ko)
JP (1) JP4649475B2 (ko)
KR (1) KR100578001B1 (ko)
CN (2) CN100518840C (ko)
AU (1) AU2005237922B2 (ko)
HK (2) HK1105901A1 (ko)
IL (1) IL178926A (ko)
RU (1) RU2354412C2 (ko)
WO (1) WO20051051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091A1 (ko) * 2017-08-03 2019-02-07 주식회사 솔메이트 정맥 주사용 유량 조절 장치
WO2020060023A1 (ko) * 2018-09-17 2020-03-26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사용자 맞춤형 약물 주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556B1 (ko) * 2008-09-03 2013-09-30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유로 조정방식의 약액 공급량 조절기
UA97282C2 (ru) * 2010-02-09 2012-01-25 Евгений Леонидович Юхниця Состав пива "радой"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US8398595B2 (en) 2010-07-13 2013-03-19 B. Braun Melsungen Ag Infusion pump
US8616238B2 (en) * 2010-07-19 2013-12-31 B. Braun Melsungen Ag Flow selector
KR101476042B1 (ko) 2013-07-09 2014-12-23 김용무 약물주입용 레귤레이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약물주입장치
CN103536983B (zh) * 2013-09-26 2015-08-19 王行环 手自一体控压输注泵
CN104729350B (zh) * 2013-12-19 2017-11-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密封阀及具有该密封阀的蓄热装置
ES2459566B2 (es) * 2013-12-26 2014-12-12 Universidad De Málaga Dispositivo de infusión de medicamento fluido
US9724464B2 (en) 2014-06-30 2017-08-08 Carefusion 303, Inc. Passive restart Y-site
US9731070B2 (en) * 2014-06-30 2017-08-15 Carefusion 303, Inc. Passive start drip chamber
KR101695453B1 (ko) * 2015-07-08 2017-01-12 (주)더블유앤지 셀렉터
CN106167758B (zh) * 2016-08-26 2018-12-11 江苏领坤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dna合成仪的分注装置
CN108969843B (zh) * 2018-06-14 2023-06-09 南京市妇幼保健院 一种可调节多介质输液滴速调节器
CN109847150B (zh) * 2019-04-11 2019-12-17 深圳一德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输液滴速度控制装置
GB2584875B (en) * 2019-06-18 2021-09-15 Charles Devlin West Jonathan Flow metering insert and/or device
KR102307988B1 (ko) 2019-06-18 2021-10-05 김상기 약액 유량 조절 장치
KR102491623B1 (ko) * 2019-11-01 2023-01-27 김용현 약액 공급 조절 장치, 약액 공급 조절 장치용 리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45485A (en) * 1974-08-18 1976-10-31 Yarden Medical Eng Ltd Constant-flow device for intravenous infusion set
US3957082A (en) * 1974-09-26 1976-05-18 Arbrook, Inc. Six-way stopcock
US3989043A (en) * 1974-12-23 1976-11-02 John Dimeff Automatic flow control and automatic shut off for intravenous feeders
JPS5256624U (ko) * 1975-10-23 1977-04-23
DE2720522C3 (de) * 1977-05-06 1980-02-07 Yarden Medical Engineering Ltd., Haifa (Israel) Vorrichtung zur Einstellung des Durchflusses einer Flüssigkeit
JPS54170697U (ko) * 1978-05-23 1979-12-03
CA1130161A (en) * 1978-08-30 1982-08-24 Herbert Mittleman Drip chamber with backflow ball valve
GB2089944A (en) * 1980-12-23 1982-06-30 Wallace Ltd H G Flow Regulating Device
JPS5727466Y2 (ko) * 1981-03-02 1982-06-15
DE8312029U1 (de) 1983-04-23 1983-08-18 B. Braun Melsungen Ag, 3508 Melsungen Tropfenregelgeraet
JPS6121540U (ja) * 1984-07-16 1986-02-07 冠栄 陳 点滴注射の自動式安全コントロ−ラ−
IL73598A (en) * 1984-11-23 1991-01-31 Leibinsohn Saul Fluid control device particularly useful in liquid transfusion apparatus
JPS6284439U (ko) * 1985-11-18 1987-05-29
JPS6345265U (ko) * 1986-09-04 1988-03-26
US4781698A (en) * 1987-04-09 1988-11-01 Parren Mark L Selectable drop size infusion metering device
US5033714A (en) * 1988-03-14 1991-07-23 Baxter International Inc. Systems having fixed and variable flow rate control mechanisms
JPH02182269A (ja) 1989-01-09 1990-07-16 Terumo Corp 点滴筒付医療用瓶針
DE69124368T2 (de) 1990-03-08 1997-05-28 Macnaught Pty Ltd Durchflussregler für flüssigkeitsinfusionsgeräte
CN1023069C (zh) * 1990-07-28 1993-12-15 王仲 多功能医用输液器组件
JP2887987B2 (ja) * 1991-10-23 1999-05-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ジタル変調回路
EP0749330A1 (de) * 1995-01-07 1996-12-27 Volker Prof. Dr. Lang Mikroinfusionssystem
US6213986B1 (en) * 1995-09-29 2001-04-10 Appro Healthcare, Inc. Liquid flow rate control device
JP4028072B2 (ja) * 1998-04-01 2007-12-26 オーベクス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KR200207682Y1 (ko) 1998-04-08 2002-05-09 조진식 온,오프식 고저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
US6273133B1 (en) * 1999-10-15 2001-08-14 Baxter International Inc. Fluid flow rate switch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091A1 (ko) * 2017-08-03 2019-02-07 주식회사 솔메이트 정맥 주사용 유량 조절 장치
WO2020060023A1 (ko) * 2018-09-17 2020-03-26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사용자 맞춤형 약물 주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54412C2 (ru) 2009-05-10
CN101574549A (zh) 2009-11-11
EP1750786A4 (en) 2015-07-01
EP1750786A1 (en) 2007-02-14
RU2006141522A (ru) 2008-06-20
CN101574549B (zh) 2012-05-23
JP4649475B2 (ja) 2011-03-09
KR100578001B1 (ko) 2007-11-30
CN1950119A (zh) 2007-04-18
JP2007535981A (ja) 2007-12-13
US20070215637A1 (en) 2007-09-20
EP1750786B1 (en) 2018-09-12
HK1105901A1 (en) 2008-02-29
AU2005237922A1 (en) 2005-11-10
AU2005237922B2 (en) 2009-01-08
WO2005105183A1 (en) 2005-11-10
IL178926A (en) 2014-02-27
CN100518840C (zh) 2009-07-29
US8092417B2 (en) 2012-01-10
IL178926A0 (en) 2007-03-08
HK1135050A1 (en)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8001B1 (ko) 약액 유량 조절기
AU628054B2 (en) Implantable infusion apparatus
RU234484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ки по выбору скорости истечения жидкости
US7896865B2 (en) Two-compartment reduced volume infusion pump
EP2902071B1 (en) Connector
US7802589B2 (en) Multirate tubing flow control valve
KR102022768B1 (ko) 약액이 추가 주입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US20080086097A1 (en) Vascular access device fluid flow direction
KR101772685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US20180193560A1 (en) Selector
KR100909342B1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KR100982612B1 (ko)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2022767B1 (ko) 유속이 조절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20180101379A (ko) 장 형태의 액체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1800664B1 (ko) 의료용 유량조절 조립체
KR101581743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20200143937A (ko) 유체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셀렉터
KR20100129026A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KR20090129021A (ko) 배액용 연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수액 용기 일체구조
JP2005304582A (ja) 輸液用コネクタ
KR20220037103A (ko) 의료용 약액 공급량 조절 장치
KR19980033506A (ko) 약액 배출 미량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