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887A - Deck plate - Google Patents

Deck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887A
KR20050104887A KR1020040030328A KR20040030328A KR20050104887A KR 20050104887 A KR20050104887 A KR 20050104887A KR 1020040030328 A KR1020040030328 A KR 1020040030328A KR 20040030328 A KR20040030328 A KR 20040030328A KR 20050104887 A KR20050104887 A KR 2005010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late
plate
concrete
frame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47223B1 (en
Inventor
최영덕
Original Assignee
최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덕 filed Critical 최영덕
Priority to KR1020040030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223B1/en
Publication of KR2005010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8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223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시 도로면을 복개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공판에 관한 것로서, 복공판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지지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노면을 형성하는 면이 개방된 복공판 프레임과, 복공판 프레임의 내부에 채워져 형성된 콘크리트 플레이트로 구성된 복공판을 제공한다. 따라서, 노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미끄럼을 줄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 재질의 특성상 진동을 감쇠시켜 소음을 현저히 줄일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절감시켜 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forated plate used to cover a road surface when constructing an underground facility such as subway construction, and includes a frame support surface supported by a perforated plate support frame and a side surface, and the open plate having a surface forming a road surface. Provided is a perforated plate composed of a frame and a concrete plate formed by filling the interior of the perforated plate fra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liding 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of the road surface, the vib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rete material not only significantly reduces the noise, but also reduces the manufacturing cost.

Description

복공판{DECK PLATE}Double hole plate {DECK PLATE}

본 발명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시 도로면을 복개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미끄럼을 방지하며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줄인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forated plate used to cover a road surface when constructing an underground facility such as subway construction, and more particularly, relates to a perforated plate that not only prevents slippage and significantly reduces noise, but also significantly reduces manufacturing costs.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복공판은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수십 내지 수백개가 평평하게 배열되어 그 위로 차량이 지나다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복공판은 노후 교량의 보수시 우회 도로를 건설하는데도 사용되기도 한다.In general, duplex plates are used to cover roads in order to minimize the impact on traffic volume when digging roads for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subway construction. These perforated plates have a flat cuboid shape and tens to hundreds of them are arranged flat so that the vehicle passes over them. This double plate is also used to build bypass roads in the repair of old bridges.

이와 같은 복공판을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uch a perforated plate will be described briefly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복공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ly used double-plate plate.

도시된 바와 같이, 복공판은 장방향의 상자 형상으로, 크게 1개의 상판(1)과, 상판(1)의 양측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측판(2), 상판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리브판(3) 및 리브판(3)의 하부에 고정되는 보강판(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재질로는 통상 강철이 사용된다.As shown, the perforated plate has a box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largely one upper plate 1, a pair of side plates 2 fix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upper plate 1, an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long the length direction.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rib plate 3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reinforcing plate 4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ib plate 3, the material is usually used steel.

상판(1)은 다수의 ㄷ형 채널 부재(1a)가 나란히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판의 표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판 위로 지나가는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5는 복공판의 시공시 복공판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이고, 6은 미끄럼방지 및 충격 흡수를 위한 패드이며, 7은 지주대이다.The top plate 1 is formed of a plurality of c-shaped channel members 1a arranged side by side, and although not shown,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has an uneven portion formed to serve to prevent the vehicle passing over the top plate from slipping. For reference, reference numeral 5 is a stopper for supporting the perforated plate does not mov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perforated plate, 6 is a pad for anti-slip and shock absorption, 7 is a holding post.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복공판은 강철로 표면이 이루어져 비록 상판의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미끄럼이 발생할 우려가 높으며, 강철의 재료적 특징으로 인해 충격에 의한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강철의 원재료가의 상승으로 복공판의 제조 비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is made of a steel surface, even if the uneven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there is a high risk of slipping, due to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steel a lot of noise due to impac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erforated plate is expensive due to the increase in the raw material price of stee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미끄럼을 방지하며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줄인 복공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forated plate that can not only slip and significantly reduce noise, but also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공판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지지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노면을 형성하는 면이 개방된 복공판 프레임; 및 상기 복공판 프레임의 내부에 채워져 형성된 콘크리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을 제공한다. 따라서, 노면이 콘크리트로 형성됨으로써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진동 감쇠 특성으로 인해 소음이 현저히 줄어들며,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support surface supported by a double plate support frame, and a side plate formed of a side surface, the surface of which forms a road surface is open; And a concrete plate formed by filling the interior of the perforated plate frame. Therefore, the road surface is formed of concrete not only prevents slipping, but also significantly reduces noise due to the vibration damp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crete,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Here, the tension member disposed inside the concrete plate;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Therefore, the rigidity of the concrete plate can be increas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disturb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and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복공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복공판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복공판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복공판 프레임의 저면 사시도이다.2 to 5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erforated plat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rforated plate frame of Figure 2,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perforated plate of Figure 2, Figure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erforated plate frame of FIG. 2.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복공판은 복공판의 노면(210)이 개방된 복공판 프레임(100)과, 복공판 프레임(100)의 내부에 채워져 상면이 노면(210)이되는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와,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의 내부에 배치된 인장부재(150, 160)와, 복공판 지지 프레임(50)에 의해 지지되는 면에 부착되어, 복공판이 복공판 지지 프레임(50)에 대해 판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171)와, 방진을 위한 패드(173)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perforated plat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with the inside of the perforated plate frame 100, the open surface 210 of the perforated plate, the perforated plate frame 100 is the road surface 210 It is attached to the concrete plate 200, the tension member (150, 160) disposed inside the concrete plate 200, and the surface supported by the double plate support frame 50, the double plate is a double plate support frame 50 It comprises a stopper 171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in the plate-like direction with respect to, and a pad 173 for dustproof.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플레이트와 복공판 프레임의 결합된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나, 복공판 프레임을 제외한 콘크리트 플레이트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복공판 지지 프레임(50)에 의해 지지되는 면이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하면이 될 것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combined form of the concrete plate and the perforated plate frame, but may be composed of only the concrete plate except the perforated plate frame. At this time, the surface supported by the perforated plate support frame 50 will be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plate.

복공판 프레임(100)은 복공판의 하면을 구성하며 복공판 지지프레임(50)에 의해 지지되는 복공판 지지면(110)과, 복공판 지지면(11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120)과, 상기 양측면을 제외한 면에 결합되는 단면 플레이트(140)로 구성된다.The perforated plate frame 100 constitutes a bottom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and includes a perforated plate support surface 110 supported by the perforated plate support frame 50, side surfaces 120 forming both sides of the perforated plate support surface 110, and both side surfaces thereof. It is composed of a cross-sectional plate 140 coupled to the surface except.

복공판 지지면(110)은 횡방향으로 용접 결합된 I형 부재(112)와, 복공판 지지면(110)이 콘크리트 플레이트를 향하는 면에 고정된 스터드 볼트(111)로 구성된다. 복공판 지지면(110)을 구성하는 I형 부재(112)는 높이가 측면(120)의 높이보다 낮으며, 하부 플랜지(112c)의 너비가 상부 플랜지(112a)의 너비 보다 넓다. 따라서, 하부 플랜지(111c, 112c)의 측면을 연속하여 결합하면, I형 부재(112)간에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I형 부재 사이에 쉽게 스며들 수 있다. 따라서, 복공판의 강성을 훨씬 증대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의 부피의 증대로 무게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의 해소 방안으로서, 도 7과 같이 상하부 플랜지(112a, 112b)의 폭이 I형 부재(112)로 복공판 지지면(110)을 형성함으로써, I형 부재(112)간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무게를 줄일 수 있다. I형 부재(112)는 열간 성형 방법으로 형성되거나, 플랜지(112a, 112c)와 웹(112b) 사이가 용접되어 형성된다.The perforated plate support surface 110 is composed of an I-shaped member 112 welded to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stud bolt 111 fixed to a surface facing the perforated plate support surface 110 to the concrete plate. The I-shaped member 112 constituting the perforated plate support surface 110 has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side surface 120, and the width of the lower flange 112c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112a. Therefore, when the side surfaces of the lower flanges 111c and 112c are continuously joined, an ope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shaped members 112. Therefore, when pouring concrete, concrete can easily permeate between the I-shaped members. Therefore, the rigidity of the perforated plate can be further increased. However, the weight may be increased more than necessary 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concrete plate 200. As a solution for this, as shown in FIG. 7, the width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12a and 112b is such that the space between the I-shaped members 112 is formed by forming the support plate 110 with the I-shaped members 112. Can be reduced. The I-shaped member 112 is formed by a hot forming method, or is formed by welding between the flanges 112a and 112c and the web 112b.

측면(120)은 복공판 지지면(110)의 I형 부재(112) 보다 높이가 높은 I형 부재(120)와, I형 부재(120)의 상부 플랜지(121)와 하부 플랜지(123)에 양끝단이 연결되어 상부 플랜지(121)를 지지하는 플랜지 지지부재(124)로 구성된다. 플랜지 지지부재(124)는 L형 앵글을 절단하여 형성한다. 또한, 측면 모서리에 측면 모서리 지지부재(130)가 더 구비된다. 측면 모서리 지지부재(130) 또한 L형 앵글을 절단하여, 단면의 꺽이는 부분이 I형 부재(120)의 플랜지의 끝모서리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The side surface 120 has both ends of the I-shaped member 120 having a h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I-shaped member 112 of the support plate 110, and the upper flange 121 and the lower flange 123 of the I-shaped member 120. A stage is connected to the flange support member 124 for supporting the upper flange 121. The flange support member 124 is formed by cutting the L-shaped angle. In addition, the side edge support member 130 is further provided at the side edge. The side edge supporting member 130 also cuts the L-shaped angle so that the bent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coincides with the edge of the flange of the I-shaped member 120.

복공판 지지면(110)의 복공판 지지 프레임(50)을 향하는 면에는 스톱퍼(171)와, 프레임 지지면 보강부재(172)와, 패드(173)가 구비된다. 스톱퍼(171)는 L형 앵글로 구성되며, 복공판이 도 5의 화살표(174)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공판 지지면(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복공판이 복공판 지지 프레임(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톱퍼(171)는 프레임 지지면 보강부재(172)와 함께 스톱퍼(171)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인장강도를 증대 시켜 준다. 프레임 지지면 보강부재(172) 또한 L형 앵글로 형성된다. 패드(173)는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topper 171, a frame support surface reinforcing member 172, and a pad 173 are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hole supporting plate 110 facing the hole supporting plate 50. The stopper 171 is formed of an L-shaped angle and is fixed to the aperture plate support surface 110 to prevent the aperture plate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74 of FIG. 5.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rforated pla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erforated plate support frame 50. In addition, the stopper 171 increases the tensile strength gene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opper 171 together with the frame support surface reinforcing member 172. Frame support surface reinforcement member 172 is also formed of an L-shaped angle. Pad 173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that can mitigate the impact.

인장 부재(150, 160)는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의 인장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서, 철근(150) 이나 앵글(160)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격자형으로 형성된 와이어 메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인장 부재(150, 160)는 제조 단계에서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기 위해서 복공판 지지면(110)의 I형 부재의 상부 플렌지(112a) 혹은 웹(111)에 고정된다. 즉, 상부 인장 부재(150)는 높이가 높은 I형 부재(112)의 상부 플렌지(112a)에 고정되며, 하부 인장 부재(160)는 I형 부재의 웹 사이에 고정된다.As the tension members 150 and 160 increase the tensile force of the concrete plate 200, reinforcing bars 150 or angles 160 may be used, and although not shown, a wire mesh formed in a lattice shape may be used. have. The tension members 150 and 160 are fixed to the upper flange 112a or the web 111 of the I-shaped member of the perforated plate support surface 110 to be fixed at the correct position in the manufacturing step. That is, the upper tension member 150 is fixed to the upper flange 112a of the high I-shaped member 112, and the lower tension member 160 is fixed between the web of the I-shaped member.

단면 플레이트(140)는 측면 I형 부재(120)가 형성되지 않는 부위에 측면 콘크리트 및 노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단면 플레이트(140)는 노면(210)의 일부면과, 단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모서리 보호 부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의 특성상 모서리 부위에 지속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쉽게 파손되는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The cross-sectional plate 140 is provided to protect the edges between the side concrete and the road surface and the side on the portion where the side I-shaped member 120 is not formed. Therefore, the cross-sectional plate 140 is formed to cover a portion of the road surface 210 and the cross section, thereby serving as a corner protection member. This is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 that the concrete easily breaks when a continuous impact is applied to the corners.

콘크리트 플레이트(200)는 고강도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의 노면에는 MMA 폴리머 코팅이 도포될 수도 있다. MMA 폴리머 코팅은 내마모성, 미끄럼 저항성 및 내유동성과 내충격성이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의 네 모서리에는 크레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공(21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복공판은 콘크리트 플레이트(200)가 가해지는 하중 중에 압축응력을 대부분을 부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높이가 복공판의 높이의 절반 이상이 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굽힘 응력이 가해질 경우 압축응력이 복공판 단면의 중심부 근처까지 형성되기 때문이다.Concrete plate 200 is preferably formed of high strength concrete. In addition, an MMA polymer coating may be applied to the road surface of the concrete plate 200. MMA polymer coatings have the advantages of excellent wear resistance, slip resistance and flow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And, four corners of the concrete plate 200 is formed through the work hole 212 to work the crane. The perforated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bears most of the compressive stress during the load to which the concrete plate 200 is applied. Therefore, it is effective that the height of the concrete plate is at least half the height of the perforated plate. This is because, when bending stress is applied, the compressive stress is formed near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perforated plate.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복공판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복공판의 사시도이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rforated plate,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실시예의 복공판은 제 1 실시예의 복공판과 단면 플레이트(140)의 형상만 상이할 뿐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제 2 실시예의 복공판의 단면 플레이트(140)는 노면(210)의 일부면을 덮을 수 없도록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면만 덮을 수 있다.The porous plate of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only in the shape of the porous plate and the cross-sectional plate 140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rest of the structure is the same. That is, the cross-sectional plate 140 of the porous plate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so as not to cover a portion of the road surface 210 so as to cover only the cross secti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공판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함으로써, 압축력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며, 인장력은 복공판 프레임이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rforated plat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teel concrete structure, the compressive force is burdened by the concrete, the tensile force is to be burdened by the perforated plate fra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cost.

또한, 콘크리트 플레이트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철제 복공판에 비해 노면의 미끄럼을 방지 효과가 월등하다. 또한, 콘크리트의 노면 위에 직접 차선등을 표시할 경우, 철제에 비해 식별력이 뛰어나며, 쉽게 벗겨지지도 않는다. 이러한 특성은 콘크리트 플레이트 노면위에 MMA 폴리머 코팅을 함으로써 훨씬 증대될 수 있다.Moreover, since it is formed from a concrete plat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ron perforated plat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lippage of the road surface is superior. In addition, when displaying a lane light directly on the road surface of the concrete, the discriminating power is superior to steel, and it is not easily peeled off. This property can be further enhanced by MMA polymer coating on concrete plate road surfaces.

그리고, 콘크리트 재질의 특성상 종래의 복공판에 사용된 금속에 비해 진동 감쇠 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ibration damping effect is superior to the metal used in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rete material.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noise is significantly reduc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matters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chieved by exerting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공판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함으로써, 압축력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며, 인장력은 복공판 프레임이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First, the perforated plat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teel concrete structure, the compressive force is burdened by the concrete, the tensile force is to be burdened by the perforated plate fra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cost.

또한, 콘크리트 플레이트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철제 복공판에 비해 노면의 미끄럼을 방지 효과가 월등하다. 또한, 콘크리트의 노면 위에 직접 차선등을 표시할 경우, 철제에 비해 식별력이 뛰어나며, 쉽게 벗겨지지도 않는다. 이러한 특성은 콘크리트 플레이트 노면위에 MMA 폴리머 코팅을 함으로써 훨씬 증대될 수 있다.Moreover, since it is formed from a concrete plat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ron perforated plat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lippage of the road surface is superior. In addition, when displaying a lane light directly on the road surface of the concrete, the discriminating power is superior to steel, and it is not easily peeled off. This property can be further enhanced by MMA polymer coating on concrete plate road surfaces.

그리고, 콘크리트 재질의 특성상 종래의 복공판에 사용된 금속에 비해 진동 감쇠 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ibration damping effect is superior to the metal used in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rete material.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noise is significantly reduc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복공판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ly used double plate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2 to 5 show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복공판의 분리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erforated plate

도 3은 도 2의 복공판 프레임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rforated plate frame of FIG.

도 4는 도 2의 복공판의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the perforated plate of FIG.

도 5는 도 2의 복공판 프레임의 저면 사시도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erforated plate frame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복공판의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rforated plat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50: 복공판 지지 프레임 100: 복공판50: perforated plate support frame 100: perforated plate

110: 프레임 지지면110: frame support surface

111, 112: (프레임 지지면) I형 부재111, 112: (frame support surface) Type I member

120: 측면 124: 플랜지 지지부재120: side 124: flange support member

140, 240: 단면 플레이트 150, 160: 인장 부재140, 240: cross-sectional plate 150, 160: tension member

171: 스톱퍼 172: 프레임 지지면 보강부재171: stopper 172: frame support surface reinforcing member

173: 패드 200: 콘크리트 플레이트173: pad 200: concrete plate

210: 노면210: road surface

Claims (32)

복공판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지지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노면을 형성하는 면이 개방된 복공판 프레임; 및A perforated plate frame formed of a frame support surface and a side surface supported by the perforated plate support frame and having an open surface forming a road surface; And 상기 복공판 프레임의 내부에 채워져 형성된 콘크리트 플레이트;A concrete plate formed by filling the interior of the perforated plate fram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A perforated plat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부재;A tension member disposed in the concrete plat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perforated plate further comprises 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인장부재는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The tension member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인장부재는 와이어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tension member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mesh.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는 단면의 높이가 복공판 전체 높이의 절반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concrete plate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cross-section is formed to be more than half of the total height of the perforated pl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는 압축 하중을 주로 부담하며, 상기 복공판 프레임은 인장 응력을 주로 부담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단면의 면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concrete plate is mainly subjected to the compressive load, the perforated plate frame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plate is formed to mainly bear the tensile stress.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프레임 지지면은 단면의 높이가 상기 측면의 높이보다 낮은 I형 부재가 여러 개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frame supporting surface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I-shaped member having a cross-section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id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프레임 지지면을 형성하는 I형 부재는 상부 플렌지의 폭이 하부 플렌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I형 부재 사이에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콘크리트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I-shaped member forming the frame support surface has a width of the upper flange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flan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rete of the concrete plate is inserted between the I-shaped membe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프레임 지지면을 형성하는 I형 부재들은 상부 플렌지의 폭과 하부 플렌지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And the I-shaped members forming the frame support surface are formed equal to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and the width of the lower flange.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프레임 지지면을 형성하는 I형 부재들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삽입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And a concrete is not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I-shaped members forming the frame support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 지지면의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와 접하는 방향에 고정된 스터드 볼트;A stud bolt fixed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plate of the frame support surfac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perforated plate further comprises a.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측면은 I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side surface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I-shaped member.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반대 방향의 상기 측면 I형부재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에 연결되어 상부 플랜지를 지지하는 플랜지 지지부재;A flange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of the side I-shaped member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ncrete plate to support the upper flang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perforated plate further comprises a. 여러개의 I형 부재가 횡방향 결합되어 형성된 프레임 지지면;A frame support surface formed by coupling a plurality of I-shaped members in a lateral direction; 상기 프레임 지지면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 지지면의 I형 부재보다 높은 I형 부재로 이루어진 측면; 및A side surface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frame support surface and formed of an I-type member higher than the I-shaped member of the frame support surface; And 상기 프레임 지지면과 상기 측면 I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 플레이트;A concrete plate filled in a receiving space formed of the frame support surface and the side I-shaped memb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A perforated plate comprising a.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I형 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측면에 결합된 단면 플레이트;A cross-sectional plate coupled to a side to which the I-shaped member is not coupled;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perforated plate further comprises a.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프레임 지지면의 복공판 지지 프레임과 접하는 면에 부착되어, 상기 복공판이 복공판 지지 프레임에 대해 판상 방향으로 상대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A stopper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frame suppor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erforated plate support frame to prevent the perforated plate from moving relative to the perforated plate support frame in a plate direction;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perforated plate further comprises a.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스톱퍼는 'L'자형 앵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stopper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L' angle.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프레임 지지면을 형성하는 I형 부재는 상부 플렌지의 폭이 하부 플렌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I-shaped member forming the frame support surface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flange.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는 단면의 높이가 복공판 전체 높이의 절반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concrete plate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cross-section is formed to be more than half of the total height of the perforated plate.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는 압축 하중을 주로 부담하며, 상기 복공판 프레임은 인장 응력을 주로 부담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단면의 면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concrete plate is mainly subjected to the compressive load, the perforated plate frame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plate is formed to mainly bear the tensile stress. 제 14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20, 상기 I형 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부재;A tension member supported by the I-shaped member and disposed in the concrete plat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perforated plate further comprises a.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인장부재는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tension member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 제 2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인장부재는 와이어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tension member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mesh. 일면이 복공판의 노면을 형성하며, 상기 노면의 반대면은 복공판 지지 프레임에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지지면인 콘크리트 플레이트; 및One surface forms a road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and an opposite surface of the road surface is a concrete plate which is a frame support surface supported by the perforated plate support frame; And 상기 프레임 지지면에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판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A stopper provided on the frame support surface to prevent the concrete plate from moving in a pla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am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A perforated plate comprising a.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노면을 형성하는 모서리에 구비된 모서리 보호부재;An edge protection member provided at an edge forming a road surface of the concrete plate; 를 더 포함하는 복공판.A perforated plate comprising more.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모서리 보호 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 모서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L'자형 앵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corner protection member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L' shaped angle that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oncrete plate edge.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프레임 지지면의 상기 복공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접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패드;A pad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frame suppor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rame supporting the perforated plat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perforated plate further comprises a.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상기 노면의 상면에 코팅된 미끄럼 방지 코팅;An anti-slip coating co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oad surface of the concrete plate;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2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미끄럼 방지 코팅은 MMA 코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anti-skid coating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MMA coating. 제 24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29,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내부에 구비된 인장부재;A tension member provided in the concrete plat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perforated plate further comprises a. 제 3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인장부재는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tension member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 제 3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인장부재는 와이어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tension member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mesh.
KR1020040030328A 2004-04-30 2004-04-30 Deck plate KR1006472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328A KR100647223B1 (en) 2004-04-30 2004-04-30 Deck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328A KR100647223B1 (en) 2004-04-30 2004-04-30 Deck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887A true KR20050104887A (en) 2005-11-03
KR100647223B1 KR100647223B1 (en) 2006-11-23

Family

ID=3728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328A KR100647223B1 (en) 2004-04-30 2004-04-30 Deck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223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967B1 (en) * 2006-08-09 2007-01-09 김진팔 Deck plate
KR100739823B1 (en) * 2007-02-05 2007-07-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Girder conbined with the steel roof frame for temporary bridge
KR100760462B1 (en) * 2006-07-25 2007-09-20 이용호 Deck plate
KR100847611B1 (en) * 2007-03-20 2008-07-21 명근학 Prestress concrete deck plate
CN104294736A (en) * 2014-09-18 2015-01-21 天津市何七科技有限公司 Lightweight composite pavement
CN106758656A (en) * 2016-11-23 2017-05-31 上海交通大学 complex load steel plate concrete platform construction method
KR102397376B1 (en) * 2022-01-17 2022-05-13 주식회사 포유텍 deck plate using C-shape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850B1 (en) * 2008-06-30 2008-09-29 주식회사 누리플랜 Manufacturing method of plate type temporary paving
KR100870869B1 (en) * 2008-06-30 2008-11-27 주식회사 누리플랜 Plate type temporary paving
KR101834122B1 (en) * 2017-07-10 2018-03-02 장민호 Method for manufacturing of road decking panel using spheroidal graphite cast iron and itself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462B1 (en) * 2006-07-25 2007-09-20 이용호 Deck plate
KR100665967B1 (en) * 2006-08-09 2007-01-09 김진팔 Deck plate
KR100739823B1 (en) * 2007-02-05 2007-07-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Girder conbined with the steel roof frame for temporary bridge
KR100847611B1 (en) * 2007-03-20 2008-07-21 명근학 Prestress concrete deck plate
CN104294736A (en) * 2014-09-18 2015-01-21 天津市何七科技有限公司 Lightweight composite pavement
CN104294736B (en) * 2014-09-18 2016-08-24 天津市何七科技有限公司 A kind of lightweight composite pavement
CN106758656A (en) * 2016-11-23 2017-05-31 上海交通大学 complex load steel plate concrete platform construction method
KR102397376B1 (en) * 2022-01-17 2022-05-13 주식회사 포유텍 deck plate using C-shape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7223B1 (en)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9324Y1 (en) Deck plate
KR100647223B1 (en) Deck plate
CA2349855C (en) Tension force adjustable prestressed girder
KR100911451B1 (en) Composite temporary bridge be combind main girder and deck plate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845088B1 (en) Under exterior panel set up structure for steel bridge
KR100929180B1 (en) Perforated plate
KR100608992B1 (en) Deck plate
KR101630931B1 (en) Road decking panel having concrete crack protection and manufacture convenience
JP5284590B2 (en) Passenger conveyor equipment for building earthquake resistance
KR101105404B1 (en) Deck plate system using cap plate
KR200416824Y1 (en) Deck plate for reinforcement of structure
KR101034280B1 (en) Concrete and steel deck plate
KR100954200B1 (en) Deck plate
KR101184762B1 (en) Prestressed H-section steel beam
KR20170107308A (en) Bracket for cantilever and cantileve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bracket
KR200385503Y1 (en) Deck plate
KR101010109B1 (en) Concrete filled composite lining board of assembly type
KR100316518B1 (en) Assembly tensioning steel girder beam
KR101067895B1 (en) Deck plate
KR100921825B1 (en) Temporary structure using stuctural beam
JP5215683B2 (en) Reinforcement plate
KR200378276Y1 (en) Deck plate for reinforcement of structure
KR200254553Y1 (en) groud bridge
JP2008050766A (en) Reinforcing bar truss and deck plate with reinforcing bar truss
KR200254783Y1 (en) The reinforcement bim of slab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314

Effective date: 200708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206

Effective date: 200708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