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748A - 홀로그래픽 정보의 기록/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홀로그래픽 정보의 기록/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748A
KR20050102748A KR1020040027568A KR20040027568A KR20050102748A KR 20050102748 A KR20050102748 A KR 20050102748A KR 1020040027568 A KR1020040027568 A KR 1020040027568A KR 20040027568 A KR20040027568 A KR 20040027568A KR 20050102748 A KR20050102748 A KR 20050102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beam
holographic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formation stor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1840B1 (ko
Inventor
이홍석
김지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84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lo Graph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기준빔의 입사각도 및 회전각도의 조절이 용이한 홀로그래픽 정보의 기록/재생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는, 광빔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광빔을 신호빔과 기준빔으로 분할하는 빔분할기; 상기 신호빔을 2차원의 신호 패턴으로 변조하는 공간 광변조부; 상기 기준빔을 소정의 방향으로 굴절시키며, 상기 기준빔의 굴절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기준빔 굴절부; 상기 기준빔 굴절부에 의해 굴절된 기준빔을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 상에 집광시키는 집광렌즈; 및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빔을 수광하는 광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홀로그래픽 정보의 기록/재생 장치{An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holographic information}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빔의 입사각도 및 회전각도의 조절이 용이한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홀로그램을 이용한 광저장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홀로그램이란 광신호를 원형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기술로서, 신호를 담고 있는 신호빔 및 상기 신호빔과 다른 각도에서 직진되는 기준빔과의 간섭 무늬를 기록함으로써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홀로그램을 이용한 저장 방법에 의하면, 적절한 다중화(Multiplexing) 기법에 의해 공간적으로 겹쳐져 저장된 정보라도 서로 분리하여 읽어 낼 수 있다. 즉, 동일한 위치에서 기준빔의 입사각도, 위상, 파장 등을 변화시켜 기록하면, 동일한 부피에 여러 장의 홀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중화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기록밀도가 커지게 된다. 특히, 디스크 형태의 저장매체과 같이 매체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경우에는, 두 가지 이상의 다중화 기법을 동시에 이용하는 혼합된 형태의 다중화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초대용량 저장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j는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 방식에서 고밀도 기록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다중화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도 1a는 신호빔(115)을 포함하는 평면(110) 상에서 기준빔(125a,125b)의 입사각도를 달리함으로써 저장매체(100)의 동일 위치에 상이한 데이터를 중첩적으로 기록하는 각도 다중화 방식이다. 즉, 특정 정보를 담고 있는 신호빔(115)과 제1기준빔(125a)을 각각 평면(110) 상에서 저장매체(100)에 입사시켜 홀로그램의 형태로 정보를 저장한 다음, 동일 평면(110) 상에 있고 입사각도가 다른 제2기준빔(125b)과 또 다른 정보를 담고 있는 신호빔(115)을 각각 상기 저장매체(100)의 동일 위치에 입사시켜 정보를 저장한다. 도 1b 역시 각도 다중화 방식이지만, 제1기준빔(125a)과 제2기준빔(125b)이 평면(110)에 수직한 평면(120)을 따라 입사각도를 달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c는, 기준빔(125)과 신호빔(115)의 입사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매 기록시마다 일정한 각도씩 저장매체(100)를 회전시킴으로써 동일 위치에 상이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회전 다중화 방식이다. 도 1d는 매 기록시마다 이용하는 파장을 달리하는 파장 다중화 방식이다. 또한, 도 1e는 기준빔(125)의 빔폭을 크게 하고, 기록시마다 빔폭 내에서 기준빔(125)의 위상을 달리하는 위상-코드 다중화 방식이다.
그리고, 도 1f 및 도 1g는 기록시마다 기준빔(125a,125b)들의 위치를 서로 중첩하도록 조금씩 이동시키는 시프트 다중화 방식으로써, 도 1f는 신호빔과 평형한 평면을 따라 기준빔을 이동시키며, 도 1g는 신호빔과 수직한 평면을 따라 기준빔을 이동시키고 있다. 앞서,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다중화 방식에서는 기준빔이 평면파(plane wave)였으나, 도 1f 및 도 1g에 도시된 다중화 방식에서는 구면파(spherical wave)를 사용한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한편, 도 1h 내지 도 1j는 앞서 설명한 다중화 방식을 혼합하는 다중화 방식으로, 도 1h는 위치 다중화 방식과 각도 다중화 방식을 혼합한 것이고, 도 1i는 위치 다중화 방식과 시프트 다중화 방식을 혼합한 것이며, 도 1j는 위치 다중화 방식, 각도 다중화 방식 및 회전 다중화 방식을 혼합한 것이다.
이러한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방식에 있어서, 상술한 것과 같은 다중화를 위해서는 기준빔의 특성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줄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특히, 두 가지 이상의 다중화 기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예컨대, 도 1j에서와 같이, 위치 다중화, 각도 다중화, 회전 다중화 방식 등을 혼합하여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경우, 기준빔의 위치, 입사각도, 회전각도 등을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이 지나치게 복잡해지면,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준빔의 입사각도 및 회전각도의 조절이 용이한 홀로그래픽 정보의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홀로그래픽 정보의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유형에 따르면,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에 홀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 장치는, 광빔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광빔을 신호빔과 기준빔으로 분할하는 빔분할기; 상기 신호빔을 2차원의 신호 패턴으로 변조하는 공간 광변조부; 및 상기 기준빔을 소정의 입사각도 및 입사방향으로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에 입사시키기 위한 기준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형에 따르면,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에 홀로그램의 형태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홀로그래픽 정보 재생 장치는, 기준빔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기준빔을 소정의 입사각도 및 입사방향으로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에 입사시키기 위한 기준빔 조절부; 및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빔을 수광하는 광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에 따르면,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에서 홀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는, 광빔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광빔을 신호빔과 기준빔으로 분할하는 빔분할기; 상기 신호빔을 2차원의 신호 패턴으로 변조하는 공간 광변조부; 상기 기준빔을 소정의 입사각도 및 입사방향으로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에 입사시키기 위한 기준빔 조절부; 및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빔을 수광하는 광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빔 조절부는, 상기 기준빔을 소정의 방향으로 굴절시키며, 상기 기준빔의 굴절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기준빔 굴절부; 및 상기 기준빔 굴절부에 의해 굴절된 기준빔을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 상에 집광시키는 집광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빔 굴절부는 두 개의 쐐기 프리즘을 포함하며, 상기 두 쐐기 프리즘 사이의 광축 방향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기준빔의 굴절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에 입사하는 기준빔이 평면파가 될 수 있도록,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에 다수의 렌즈가 배열된 렌즈어레이가 상기 기준빔 굴절부와 집광렌즈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렌즈어레이의 초점은 상기 집광렌즈의 입사측 초점면 상에 위치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2a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는, 레이저와 같이 광빔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원(10); 상기 광원(10)에서 발생한 광빔을 신호빔과 기준빔으로 분할하는 빔분할기(15); 상기 신호빔을 2차원의 신호 패턴으로 변조하는 공간 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 SLM) 및 광학계(이하, 공간 광변조부)(30); 상기 변조된 신호빔을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에 수직으로 입사시키기 위한 미러(50); 상기 기준빔을 소정의 입사각도 및 입사방향으로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에 입사시키기 위한 기준빔 조절부(20); 및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로부터 재생된 신호빔을 수광하는 광검출기 및 광학계(이하, 광검출부)(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간 광변조부(30)는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지만,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공간 광변조부(30)를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와 수직하게 배치하고 기준빔 조절부(20)는 비스듬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미러(50)의 사용이 필요 없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에 데이터를 기록할 경우, 광원(10)에서 발생한 광빔은 빔분할기(15)에서 신호빔과 기준빔으로 분할되어 각각 공간 광변조부(30)와 기준빔 조절부(20)로 입력된다. 공간 광변조부(30)는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에 기록하고자 하는 2차원 데이터 패턴을 신호빔에 담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변조된 신호빔은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에 수직으로 입사된다. 한편, 기준빔 조절부(20)는 상기 신호빔이 입사되는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의 위치에 기준빔을 조사하는데, 이때 기준빔이 일정한 입사각도 및 입사방향을 갖도록 조절을 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빔 조절부(20)는 기준빔이 θ1, θ2, θ3 등과 같이 다양한 각도로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에 입사하도록 기준빔의 입사각도를 조절하는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 상의 한 점(P)을 중심으로 여러 방향에서 기준빔이 입사할 수 있도록 입사방향을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는, 도 1a의 각도 다중화 방식 및 도 1c의 회전 다중화 방식을 혼합하여 정보를 기록/재생한다.
이렇게 기록된 정보를 재생할 경우, 상기 기준빔 조절부(20)는 특정한 입사각도 및 입사방향으로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 상의 한 점에 기준빔을 입사시킨다. 그러면, 기록시 동일한 입사각도 및 입사방향으로 입사되었던 기준빔과 간섭되어 저장된 신호가 재생된다. 이렇게 재생된 신호빔은 광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된다.
도 4는 기준빔의 입사각도 및 입사방향을 조절하는 상기 기준빔 조절부(2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빔 조절부(20)는 상기 기준빔을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준빔 굴절부(22) 및 상기 이동된 기준빔을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 상에 집광시키기 위한 집광렌즈(24)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빔 굴절부(22)는 기준빔을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한편,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기준빔의 입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볼록렌즈로 구성된 집광렌즈(24)는 중심으로부터 이동된 기준빔을 다시 광축을 향해 집광시킴으로써, 상기 기준빔 굴절부(22)가 회전하더라도 기준빔이 항상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의 동일한 위치 상에 입사되도록 한다.
또한, 기준빔을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기준빔 굴절부(22)는 광축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된 두 개의 쐐기 프리즘(23a,23b)을 갖는다. 쐐기 프리즘은 원통형 유리의 한 쪽면이 비스듬하게 절단된 형태의 프리즘으로, 비스듬한 면에 의해 기준빔이 일정한 각도로 굴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쐐기 프리즘(23a,23b)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원점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면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평평한 면이 같은 방향일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쐐기 프리즘(23a,23b)은 광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회전각이 180°가 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즉, 제 1 쐐기 프리즘(23a)의 두꺼운 면과 제 2 쐐기 프리즘(23b)의 얇은 면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제 1 쐐기 프리즘(23a)의 얇은 면과 제 2 쐐기 프리즘(23b)의 두꺼운 면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두 개의 쐐기 프리즘(23a,23b)을 광축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중심으로부터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이러한 기준빔 조절부(2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빔(21)은 기준빔 굴절부(22)에 수직으로 입사한다. 기준빔 굴절부(22)에 입사한 기준빔(21)은 제 1 쐐기 프리즘(23a)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제 2 쐐기 프리즘(23b)에 입사한다. 이때, 상기 제 2 쐐기 프리즘(23b)이 "A"의 위치에 있을 경우, 기준빔(21)은 경로Ⅰ을 따라 이동하여 집광렌즈(24)에 의해 광축(25)을 향해 굴절되면서 비교적 작은 각도로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에 입사한다. 상기 제 2 쐐기 프리즘(23b)의 위치를 이동시켜 "B"의 위치에 있게 할 경우에는, 기준빔(21)은 경로Ⅱ를 따라 이동하여 비교적 큰 각도로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에 입사하게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집광렌즈(24)와 기준빔 굴절부(22)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대한 단면도(도 5의 우측)를 보면, 제 2 쐐기 프리즘(23b)이 위치 "A" 에 있을 경우 기준빔(21)은 점(P1)을 지나고, 위치 "B" 에 있을 경우에는 광축(25)으로부터 더 벗어난 점(P2)을 지나게 된다. 이렇게 제 1 및 제 2 쐐기 프리즘(23a,23b)에 의해 중심으로부터 이동된 기준빔(21)을 집광렌즈(24)가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에 있는 광축 상의 한 점을 향해 굴절시킴으로써, 기준빔(21)의 입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기준빔 굴절부(22)가 광축(25)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할 경우, 기준빔(21) 역시 광축(25)을 중심으로 같은 각도만큼 회전 이동하게 된다. 도 5 우측의 단면도를 보면, 제 2 쐐기 프리즘(23b)이 위치 "A" 에 있을 경우, 기준빔(21)의 위치(P1)는 원 "C"를 따라 회전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 2 쐐기 프리즘(23b)이 위치 "B" 에 있을 경우, 기준빔(21)의 위치(P2)는 원 "D"를 따라 회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준빔 조절부(20)는 두 쐐기 프리즘(23a,23b)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에 입사하는 기준빔의 입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빔 굴절부(22)를 회전시킴으로써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에 입사하는 기준빔의 입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빔이 하나의 집광렌즈(24)에 의해서만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와 광축(25)이 만나는 점으로 입사하게 될 경우, 기준빔이 평면파가 아닌 구면파가 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광축(25)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에 다수의 렌즈가 배열된 렌즈어레이를 상기 기준빔 굴절부(22)와 집광렌즈(24) 사이에 배치한다. 도 7a 및 도 7b는 이러한 렌즈어레이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렌즈어레이(70) 내의 각 렌즈소자(71)들의 초점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광렌즈(24)의 입사측 초점면(27)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렌즈어레이(70)를 사용할 경우, 기준빔 굴절부(22)에서 굴절된 기준빔이 렌즈어레이(70) 내의 각 렌즈소자(71)들 중 어느 하나의 중심부를 정확히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준빔 굴절부(22)와 집광렌즈(24) 사이에 또는 상기 집광렌즈(24)와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60) 사이에 기준빔의 위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위상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는 도 1d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상 다중화 방식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 장치 또는 홀로그래픽 정보 재생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쐐기 프리즘의 수직위치만을 조절함으로써 기준빔의 입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기준빔 굴절부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기준빔의 입사방향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입사각도 및 입사방향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 상의 입사위치가 변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가 용이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는 비트 방식의 WORM 형태의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에 적당하다.
도 1a 내지 도 1j는 일반적인 다중화 기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빔 조절부에서 조절되는 기준빔의 입사각도 및 입사방향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기준빔의 입사각도 및 입사방향을 조절하는 상기 기준빔 조절부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기준빔 조절부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두 개의 쐐기 프리즘의 다양한 배치 상태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렌즈어레이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c는 렌즈어레이 내의 각 렌즈소자들의 초점과 집광렌즈의 초점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광원 20.....기준빔 조절부
22.....기준빔 굴절부 23.....쐐기 프리즘
24.....집광렌즈 30.....공간 광변조부
40.....광검출부 70.....렌즈어레이

Claims (10)

  1.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에 홀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광빔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광빔을 신호빔과 기준빔으로 분할하는 빔분할기;
    상기 신호빔을 2차원의 신호 패턴으로 변조하는 공간 광변조부; 및
    상기 기준빔을 소정의 입사각도 및 입사방향으로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에 입사시키기 위한 기준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 장치.
  2.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에 홀로그램의 형태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홀로그래픽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기준빔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기준빔을 소정의 입사각도 및 입사방향으로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에 입사시키기 위한 기준빔 조절부; 및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빔을 수광하는 광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정보 재생 장치.
  3.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에서 홀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광빔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광빔을 신호빔과 기준빔으로 분할하는 빔분할기;
    상기 신호빔을 2차원의 신호 패턴으로 변조하는 공간 광변조부;
    상기 기준빔을 소정의 입사각도 및 입사방향으로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에 입사시키기 위한 기준빔 조절부; 및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빔을 수광하는 광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빔 조절부는:
    상기 기준빔을 소정의 방향으로 굴절시키며, 상기 기준빔의 굴절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기준빔 굴절부; 및
    상기 기준빔 굴절부에 의해 굴절된 기준빔을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 상에 집광시키는 집광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빔 굴절부는 두 개의 쐐기 프리즘을 포함하며, 상기 두 쐐기 프리즘 사이의 광축 방향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기준빔의 굴절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쐐기 프리즘은 원점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평평한 면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쐐기 프리즘은 광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회전각이 180°가 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에 입사하는 기준빔이 평면파가 될 수 있도록,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에 다수의 렌즈가 배열된 렌즈어레이가 상기 기준빔 굴절부와 집광렌즈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어레이의 초점은 상기 집광렌즈의 입사측 초점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빔 굴절부와 집광렌즈 사이에 또는 상기 집광렌즈와 홀로그래픽 정보저장매체 사이에 기준빔의 위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위상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40027568A 2004-04-21 2004-04-21 홀로그래픽 정보의 기록/재생 장치 KR100571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568A KR100571840B1 (ko) 2004-04-21 2004-04-21 홀로그래픽 정보의 기록/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568A KR100571840B1 (ko) 2004-04-21 2004-04-21 홀로그래픽 정보의 기록/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748A true KR20050102748A (ko) 2005-10-27
KR100571840B1 KR100571840B1 (ko) 2006-04-17

Family

ID=3728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568A KR100571840B1 (ko) 2004-04-21 2004-04-21 홀로그래픽 정보의 기록/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18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267B1 (ko) * 2004-08-20 2006-07-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롬 재생기의 서보 제어 장치
KR100709762B1 (ko) * 2005-12-22 2007-04-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 다중화기 및 그 제조방법, 광정보 다중화 기록장치 및방법, 광정보 다중화 재생장치 및 방법
WO2020055088A1 (ko) * 2018-09-12 2020-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홀로그래픽 광학소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홀로그래픽 광학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2113B2 (ja) 1996-08-30 2003-09-29 ソニー株式会社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光情報再生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光情報記録媒体
KR100420136B1 (ko) 1997-12-22 2004-04-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볼륨홀로그래픽디지탈저장시스템
KR100301437B1 (ko) * 1998-12-28 2001-10-29 전주범 홀로그램기록장치
KR100488963B1 (ko) * 2003-03-31 2005-05-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롬 시스템의 다중 중첩 기록을 위한 환형 분산프리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267B1 (ko) * 2004-08-20 2006-07-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롬 재생기의 서보 제어 장치
KR100709762B1 (ko) * 2005-12-22 2007-04-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 다중화기 및 그 제조방법, 광정보 다중화 기록장치 및방법, 광정보 다중화 재생장치 및 방법
US8306376B2 (en) 2005-12-22 2012-11-06 Wi-L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optical information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optical information over optical storage medium
WO2020055088A1 (ko) * 2018-09-12 2020-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홀로그래픽 광학소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홀로그래픽 광학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30173A (ko) * 2018-09-12 2020-03-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홀로그래픽 광학소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홀로그래픽 광학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768461B2 (en) 2018-09-12 2023-09-26 Lg Chem, Ltd. Manufacturing method of holographic optical elemen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holographic optical device manufacture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1840B1 (ko) 200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2602B2 (en)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holographic data and an apparatus therefor
JP4991872B2 (ja) モノキュラーホログラフィックデータ記憶システムの構成
JP2006085834A (ja) 光情報記録装置及び光情報再生装置
CN101661761A (zh) 记录/再现全息数据的设备及调整记录层的位置的方法
CN101539753B (zh) 光学再现装置、光学记录/再现装置以及光学再现方法
US20080291807A1 (en) Hologram Record Carrier and Record Reproducing Method and System
US7313072B2 (en)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holographic data and holographic recording medium
JPWO2007026521A1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ホログラム記録再生システム
US75053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3970258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デジタルデータ格納システムにおいてトラッキング及びフォーカシングサーボ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80170486A1 (en) Optical Pickup Device
JPWO2007026539A1 (ja) ホログラム記録再生システム
JP4060813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装置、ホログラフィック再生装置、及びマスク
US7236442B2 (en) Holograph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holographically recorded information
US20080123506A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100571840B1 (ko) 홀로그래픽 정보의 기록/재생 장치
US7428206B2 (en) Holographic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KR20120053969A (ko) 홀로그래픽 복제 시스템의 다중 스폿 정합을 위한 서보 제어 시스템
KR100601951B1 (ko)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홀로그래픽 정보기록 방법
JPH11119124A (ja) 複合入射ビームの制御システム
KR100588940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
JPWO2006095882A1 (ja) ホログラム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532238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記録媒体
JP2006172582A (ja) ホログラム記録装置
JP4863516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システム、ホログラフィックデータ記憶用のホログラフィッ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