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707A -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707A
KR20050102707A KR1020040027483A KR20040027483A KR20050102707A KR 20050102707 A KR20050102707 A KR 20050102707A KR 1020040027483 A KR1020040027483 A KR 1020040027483A KR 20040027483 A KR20040027483 A KR 20040027483A KR 20050102707 A KR20050102707 A KR 20050102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ig
fixing
fixing portion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숙
Original Assignee
최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숙 filed Critical 최명숙
Priority to KR102004002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2707A/ko
Publication of KR2005010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70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1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 F03B13/18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 F03B13/1805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and the wom is hinged to the rem
    • F03B13/181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and the wom is hinged to the rem for limited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ate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e.g. from tidal flows, waves or curr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탑 헤어피스는 하단부에 가발모를 구성하는 인모와 인조모가 엉키는 상태의 결합부가 형성된 가발모와; 생모를 인출할 수 있는 크기의 다수의 통공을 갖는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발모가 박음질되는 가발모고정부와; 상기 가발모고정부의 테두리부에 복수개 설치되어 가발모고정부를 착용자의 머리에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클립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가발모고정부에는 상이한 칼러를 갖는 2종류 이상의 가발모가 혼합되게 박음질되어 다양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만족하도록 하고, 상기 가발모고정부의 테두리부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탈모부위에 따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착용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 및 그 제조방법{Top hair piece of supporting bulky and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헤어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발모고정부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가발착용부위의 생모를 인출가능하도록 하고, 가발모의 하단부가 인접되는 가발모가 엉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가발착용시 항시 본래 가발의 모양 및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분가발은 일부 탈모증이나, 모발의 양이 많지 않은 머리 부위에 착용하게 되며, 최근에는 부분가발을 머리숱을 보완하는 용도 이외에도 다양한 머리 모양을 연출하기 위하여 부분가발을 착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부분가발의 인조모가 식모된 모근판이 두피를 감싸는 상태로 부분가발을 착용하기 때문에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생모의 일부 부위에 가발모가 착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생모의 색상이나 머리결의 차이로 인해 외관상 자연스러운 머리 모양 및 머리 형태를 연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가발을 착용하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식모되어 있는 가발모의 머리결이 중력방향으로 처지게 되어 본래 제품 출하시의 볼륨감을 유지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생모와 가발모가 섞이는 상태로 헤어피스를 착용하도록 하여 가발모의 착용시 자연스러운 머리 모양 및 형태를 연출하기에 적합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발모가 고정되는 가발모고정부가 착용자의 두피를 완전히 차단하지 않도록 하여 헤어피스의 착용시 통풍이 원활하게 실시되어 착용감을 좋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발모의 하단부가 가발모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하여 가발모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볼륨감을 유지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는, 하단부에 가발모를 구성하는 인모와 인조모가 엉키는 상태의 결합부가 형성된 가발모와; 생모를 인출할 수 있는 크기의 다수의 통공을 갖는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발모가 박음질되는 가발모고정부와; 상기 가발모고정부의 테두리부에 복수개 설치되어 가발모고정부를 착용자의 머리에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클립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탑 헤어피스의 제조방법은 인모와 인조모로 이루어진 가발모를 가발모고정부에 박음질하는 제 1 공정(S10)과; 상기 박음질된 가발모의 하단부를 상호 엉키게 결합시키는 제 2 공정(S20)과; 상기 가발모고정부를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그물망 형태로 제조하는 제 3 공정(S30)과; 상기 가발모고정부의 테두리부에 고정클립을 부착하는 제 4 공정(S4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 공정(S20)은 가발모의 하단부를 가열판 위에 올려놓고 세빗을 사용하여 하방향으로 수회 반복하여 빗질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탑 헤어피스의 저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탑 헤어피스의 가발고정부의 고정된 가발모의 일 실시 형태도이며, 도 3은 본발명에 의한 탑 헤어피스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탑 헤어피스는 가발모(10)가 고정되는 가발고정부(20)가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가발고정부(20)에 고정되는 가발모(10)는 다수의 인모와 인조모가 혼합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인모 및 인조모가 혼합되어 구성된 가발모(10)의 하단은 가발고정부(10)에 인조모가 인모와 엉키게 되어 세워진 상태의 형상을 유지하는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어 가발모(10)가 가발모고정부(10)에 대하여 상측으로 세워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가발모(10)의 결합부(12)는 인모 및 인조모에 열을 가하면서 세빗으로 가발모의 하단을 향하여 빗질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열에 의하여 가열된 인조모가 인모와 엉키는 상태로 결합되어 가발모(10)가 세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가발고정부(20)는 다수의 통공(22)이 갖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통공(22)은 다각형의 비교적 크기가 큰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발고정부(20)의 테두리부(24)에는 3개의 고정클립(30)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클립(30)은 누름동작에 의해 고정핀(32)이 클립본체(31)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착용부위의 생모를 잡아주고, 누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펴주는 동작에 의해 고정핀(32)이 클립본체(31)와 이격되어 생모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탑 헤어피스는 가발의 착용시 3개의 고정클립(30)에 의하여 착용자의 머리 부위에 고정시킨다.
가발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가발모고정부(20)가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통공(22)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가발모고정부(20)의 통공(22)을 통해 생모를 인출시켜 가발모(10)와 생모가 섞이는 상태로 가발을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관상으로 가발모와 생모가 구분되지 않아 가발의 착용상태가 눈에 띄지 않는 상태의 자연스러운 머리 모양의 연출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가발모고정부(20)의 통공(22)을 통해 인출되는 생모에 의해 가발모와 생모가 상호 지지되는 상태로 가발이 착용되기 때문에 가발모(10)의 볼륨감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가발모고정부(2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2)에 의해 가발착용부위가 외부 공기와 차단되지 않아 통풍성이 양호하여 가발착용시에 착용자가 답답함을 느끼지 않게 되고, 가발착용부위의 온도가 상승되면서 발생되는 땀으로 인해 가발이 벗겨지거나, 가발모의 색상이 변색되는 문제점 등을 해소하게 된다.
또한, 가발모(10)는 하단부에 서로 엉킨 상태의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으로 인해 가발모(10)가 눌리더라도 결합부(12)가 가발모(10)를 상측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가발모(10)의 본래 형상을 잃어버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가발을 사용하더라도 가발모의 지지 상태가 보존되어 항시 볼륨감 있는 가발모의 본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가발모(10)는 서로 색상을 달리하는 가발모를 가발모고정부(20)에 혼합하는 상태로 박음질되어 있어 중년여성들과 같이 빈번하게 퍼머와 염색을 실시하는 소비자의 선호하는 다양한 칼라의 모발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가발모고정부(20)의 테두리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부분가발의 착용부위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폭이 넓은 경우에 탈모 부위에 따라 자유자재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원형을 포함하는 타원형상의 탈모 증세를 나타내는 소비자의 경우에도 가발착용이 편리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볼륨감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탑 헤어피스의 제조 공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모와 인조모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구성된 낱개의 가발모(10)를 일일이 가발모고정부(20)에 박음질하는 제 1 공정(S10)을 실시한다. 이때, 가발모고정부(20)는 일자형태의 고정매듭 형태이고, 이 상태에서 인모 또는 인조모가 박음질된다.
다음에는 제 1 공정에 의하여 박음질된 다수의 가발모(10)의 하단부가 서로 엉키게 결합되는 제 2 공정(S20)을 실시한다. 여기서 가발모는 가발모의 하단부가 가열판 위에 올려놓여진 상태에서 수작업으로 세빗을 사용하여 하방향으로 수회 반복하여 빗질을 실시함으로써 상호 인접되게 박음질된 가발모들이 서로 엉키면서 결합되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 일명 백콤(backcomb)에 의한 모발의 엉킴발생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때, 인모와 혼합되게 박음질된 인조모는 인조모의 특성상 열에 의해 인접되게 박음질된 인모에 눌러붙게 되고, 백콤 작업에 의해 인모와 인조모가 엉키면서 인모와 인조모 사이에 결합력이 발생되어 가발모(10)의 하단부에 소정의 결합력으로 엉킨 상태의 결합부(12)가 형성되어 가발모(10)가 세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가발모가 박음질되어 하단부에 결합부가 형성된 가발모고정부(20)를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그물망 형태로 제조하는 제 3 공정(S30)을 실시하게 된다. 종래에도 그물망 형태의 가발모고정부가 제공되고는 있으나, 구멍의 크기가 아주 미세하기 때문에 통풍이 원활하지 않고, 통공을 통해 생모를 인출시키기는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손가락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통공이 형성되는 형태의 그물망 형태의 가발모고정부를 제공하여 생모를 인출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발모고정부는 실로 꿰매는 방법으로 제조하게 된다.
제조가 완료된 가발모고정부(20)의 테두리부(24)에는 복수개의 고정클립(30)을 실로 꿰매어 부착하는 제 4 공정(S40)을 실시하는데, 이때 고정클립은 헤어피스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적절한 갯수의 고정클립을 서로 간격을 갖고 부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는 헤어피스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생모를 인출시켜 생모와 가발모가 섞이는 상태로 헤어피스를 착용할 수 있어 가발의 착용시 자연스러운 머리 모양 및 머리 형태의 연출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는 가발모가 고정되는 가발모고정부가 착용자의 두피를 완전히 차단하지 않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헤어피스의 착용시 통풍이 원활하게 실시되어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발모의 하단에 가발모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장기간 가발을 사용하더라도 가발모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여 항시 일정한 볼륨감을 유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탑 헤어피스의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탑 헤어피스의 가발고정부의 고정된 가발모의 일 실시 형태도.
도 3은 본발명에 의한 탑 헤어피스의 제조 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발모 12 ; 결합부
20 ; 가발모고정부 22 ; 통공
24 ; 테두리부 30 ; 고정클립

Claims (5)

  1. 하단부에 인모와 인조모가 엉키는 상태의 결합부(12)가 형성된 가발모(10)와;
    생모를 인출할 수 있는 크기의 다수의 통공(22)을 갖는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발모(10)가 박음질되는 가발모고정부(20)와;
    상기 가발모고정부(20)의 테두리부(24)에 복수개 설치되어 가발모고정부(20)를 착용자의 머리에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클립(3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발모고정부(20)에는 상이한 칼러를 갖는 2종류 이상의 가발모(10)가 혼합되게 박음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발모고정부(20)의 테두리부(24)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
  4. 인모와 인조모로 이루어진 가발모를 가발모고정부에 박음질하는 제 1 공정(S10)과;
    상기 박음질된 가발모의 하단부를 상호 엉키게 결합시키는 제 2 공정(S20)과;
    상기 가발모고정부를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그물망 형태로 제조하는 제 3 공정(S30)과;
    상기 가발모고정부의 테두리부에 고정클립을 부착하는 제 4 공정(S4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정(S20)은 가발모의 하단부를 가열판 위에 올려놓고 세빗을 사용하여 하방향으로 수회 반복하여 빗질을 실시하는 백콤 작업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의 제조방법.
KR1020040027483A 2004-04-21 2004-04-21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2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483A KR20050102707A (ko) 2004-04-21 2004-04-21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483A KR20050102707A (ko) 2004-04-21 2004-04-21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707A true KR20050102707A (ko) 2005-10-27

Family

ID=3728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483A KR20050102707A (ko) 2004-04-21 2004-04-21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27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4565A3 (en) * 2009-06-10 2011-03-03 Celebrity Signatures International, Inc. Hair addition for providing bump up effect
KR101305343B1 (ko) * 2011-11-25 2013-09-06 한경희 모발 볼륨 업 부분 가발
WO2013180464A1 (ko) * 2012-05-30 2013-12-05 주식회사 씨크릿우먼 가발 프레임 외부로 돌출되는 식모라인 보강구조를 갖는 가발 및 그 이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4565A3 (en) * 2009-06-10 2011-03-03 Celebrity Signatures International, Inc. Hair addition for providing bump up effect
US8567413B2 (en) 2009-06-10 2013-10-29 Celebrity Signature International, Inc. Hair addition for providing bump up effect
KR101305343B1 (ko) * 2011-11-25 2013-09-06 한경희 모발 볼륨 업 부분 가발
WO2013180464A1 (ko) * 2012-05-30 2013-12-05 주식회사 씨크릿우먼 가발 프레임 외부로 돌출되는 식모라인 보강구조를 갖는 가발 및 그 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922B1 (ko) 탈부착이 용이한 헤어피스 및 헤어피스 셋트
KR200337999Y1 (ko) 붙임머리용 웨프트 및 그 연결구조
KR100598708B1 (ko) 착용자의 자모 활용형 가발 및 그 제조방법
US20040168696A1 (en) Wig having stretchable foundation covered by hair wefts
US9138024B1 (en) Jeanie hair band extension system
JP2008528823A (ja) ヘアエクステンション器具
US20110036368A1 (en) Wig and hairpiece extension arrangement
WO2007037200A1 (ja) 増毛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11974620B2 (en) Artificial hair, artificial hair unit, artificial hair application method, and method of applying artificial hair unit
JPH0768642B2 (ja) かつら
KR200392823Y1 (ko) 극사 망을 이용한 가발
KR20050102707A (ko) 볼륨감이 우수한 탑 헤어피스 및 그 제조방법
JPH09268413A (ja) 増毛装具
JP4883584B2 (ja) 自毛活用型かつら
US20170112212A1 (en) New wig
KR101852872B1 (ko) 가발 및 그 제작방법
US20180125137A1 (en) Hair extension provided with cross-shaped engaging portion
KR101584939B1 (ko) 가발, 가발 고정구 및 가발 제작방법
KR100628294B1 (ko) 길이가 자라는 연장가발
CN210539079U (zh) 一种假发发帘
JP2005325508A (ja) 自毛活用型かつら
KR20110024824A (ko) 가벼운 구조에 통기성을 개선시킨 구성의 가발
KR100616111B1 (ko) 플렉시블소재의 서로 다른 길이의 줄을 갖는 줄 가발
JPS62141107A (ja) 六角形編み込み式人工増毛法
KR200365087Y1 (ko) 탈부착이 용이한 헤어피스 및 헤어피스 셋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