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530A - 에어콘용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콘용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530A
KR20050102530A KR1020040027943A KR20040027943A KR20050102530A KR 20050102530 A KR20050102530 A KR 20050102530A KR 1020040027943 A KR1020040027943 A KR 1020040027943A KR 20040027943 A KR20040027943 A KR 20040027943A KR 20050102530 A KR20050102530 A KR 20050102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refrigerant
pipe
valv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6801B1 (ko
Inventor
현승엽
송찬호
이원희
박정택
황윤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801B1/ko
Priority to US11/023,521 priority patent/US7165419B2/en
Priority to CNB2005100045677A priority patent/CN100526756C/zh
Priority to EP05251966A priority patent/EP1589303A3/en
Publication of KR20050102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3Flui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2Prefabricated piles with arrangements for setting or assisting in setting in position by fluid j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37C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6Problems to be solved characterised by the startup of the refrigerati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6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unloaders
    • F25B2600/026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unloaders external to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콘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가스토출관을 병렬 합관한 후 이를 응축기로 향하는 냉매순환관과 가스흡입관으로 향하는 바이패스관으로 분관하는 밸브하우징과,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미끄러지게 삽입하여 복수 개의 압축기가 모두 운전할 때는 두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을 냉매순환관에 연통시키는 반면 한 쪽 압축기만 운전할 때는 운전하는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은 냉매순환관에 연통시키고 정지하는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은 바이패스관에 연통시키는 반면 양쪽 압축기가 모두 정지할 때는 먼저 한 쪽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을 바이패스관에 연통시켜 평압운전을 실시한 후에 다른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을 바이패스관에 연통시켜 평압운전을 실시하는 개폐밸브와, 개폐밸브의 이동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그 개폐밸브가 압축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이동하도록 자력을 발생하는 복수 개의 전자석과, 개폐밸브의 이동방향 양측을 탄력 지지하여 그 개폐밸브가 압축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에어콘의 운전상태에 따라 각 압축기에 대한 평압운전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에어콘의 운전주기를 짧게 하여 사용상의 쾌적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체크밸브를 구비하지 않고 냉매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어 부품을 간소화하면서도 에어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콘용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PRESSURE BALANCE APPARATUS FOR COMPRESSOR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콘의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 개의 압축기를 구비하는 경우 운전이 중지된 에어콘의 재구동시 모든 압축기에서 신속하게 압력평형을 이루도록 하여 각 압축기의 기동시간을 단축시키는 에어콘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콘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의 냉동사이클에 따른 냉매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압축기가 냉매를 압축하여 포화압력까지 냉매의 압력을 상승시키면 응축기가 물이나 공기를 이용하여 고압의 냉매가 갖고 있는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액화하고, 이 액화된 냉매는 팽창밸브의 교축작용에 의해 압력이 낮아진 상태로 증발기에 유입되어 증발하면서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켜 실내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실외기와 실내기를 분리한 분리형 에어콘에서 복수 개의 압축기를 구비한 실외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에어콘의 압축기에서 흡입구와 토출구의 배관을 보인 개략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실외기(C)는, 냉매를 포화압력까지 압축하는 복수 개의 압축기(1,2)와, 양쪽 압축기(1,2)의 일측에 설치하여 고압의 냉매가 갖고 있는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3)와, 응축기(3)의 일측에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상기한 응축기(3)로 유도하는 복수 개의 실외팬(4,5)을 포함하고 있다.
복수 개의 압축기(1,2)는 각각 케이싱(1a,2a)의 측벽에 가스흡입관(6,7)을 연통 설치하여 실내기의 증발기(미도시) 출구에 병렬로 연결하고, 각 케이싱(1a,2a)의 상부캡에 가스토출관(8,9)을 각각 연통 설치하여 상기한 응축기(3)의 입구에 병렬로 연결하고 있다. 양쪽 가스토출관(8,9)에는 각각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11,12)를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3은 어큐뮬레이터, 14는 덮개판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에어콘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모든 압축기 또는 어느 한 압축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기동하면 그 압축기(1,2)의 내부에 구비한 압축기구부의 펌핑 동작에 의해 증발기로부터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각 가스토출관(8,9)을 통해 응축기(3)로 토출하고, 응축기(3)로 유입된 고압의 냉매는 그 응축기(3)에서 응축된 후 팽창기구(미도시)를 거치면서 감압 팽창되어 증발기로 이동하며, 증발기로 유입된 저압의 냉매는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증발되어 다시 각 가스흡입관(6,7)을 통해 각각의 압축기(1,2)로 흡입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때, 제빙운전 등을 이유로 에어콘의 운전을 일정 시간 동안 중지하였다가 재기동하는 경우에는 각 압축기(1,2)의 토출측과 흡입측의 압력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 재기동을 지연하는 소위 '평압운전'을 실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에어콘에 있어서는, 각각의 가스토출관(8,9)에 장착하는 체크밸브(11,12)가 해당 압축기(1,2)의 정지시 냉매의 역류를 방지할 수는 있으나, 각 가스흡입관(6,7)과 가스토출관(8,9)을 서로 병렬로 연결하여 다시 직렬로 연결함에 따라 각 압축기(1,2)의 토출측과 흡입측 사이에서 압력평형을 이루기 위한 '평압운전'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됨에 따라 사용상의 불쾌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에어콘 압축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압축기 정지후 냉매의 역류를 차단하면서도 토출측과 흡입측의 압력차를 해소하는 '평압운전'시간을 줄여 신뢰성은 물론 사용상의 쾌적함도 함께 높일 수 있는 에어콘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스흡입관과 가스토출관을 복수 개의 압축기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하고, 그 복수 개의 가스흡입관과 가스토출관을 각각 병렬로 연결하는 에어콘에 있어서, 복수 개의 가스토출관을 병렬 합관한 후 이를 응축기로 향하는 냉매순환관과 가스흡입관으로 향하는 바이패스관으로 분관하는 밸브하우징과,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미끄러지게 삽입하여 복수 개의 압축기가 모두 운전할 때는 두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을 냉매순환관에 연통시키는 반면 한 쪽 압축기만 운전할 때는 운전하는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은 냉매순환관에 연통시키고 정지하는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은 바이패스관에 연통시키는 반면 양쪽 압축기가 모두 정지할 때는 먼저 한 쪽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을 바이패스관에 연통시켜 평압운전을 실시한 후에 이어서 다른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을 상기한 바이패스관에 연통시켜 평압운전을 실시하도록 하는 개폐밸브와, 개폐밸브의 이동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그 개폐밸브가 압축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이동하도록 자력을 발생하는 복수 개의 전자석과, 개폐밸브의 이동방향 양측을 탄력 지지하여 그 개폐밸브가 압축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한 에어콘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에어콘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에어콘의 압축기에서 압력 평형 장치를 구비한 흡입구와 토출구의 배관을 보인 보인 개략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은 본 발명 에어콘의 압축기에서 압력 평형 장치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콘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는, 응축기(3)에 연결하는 각각의 가스흡입관(6,7)과 증발기(미도시)에 연결하는 각각의 가스토출관(8,9)을 독립적으로 구비한 제1 압축기(1) 및 제2 압축기(2)와, 제1 가스토출관(8)과 제2 가스토출관(9)의 중간에 연통 설치하여 냉매의 유동방향을 절환하는 냉매절환부(20)와, 냉매절환부(20)에 연결하여 흡입측 냉매순환관(L)에 연결하는 바이패스관(30)을 포함한다.
냉매절환부(20)는 도 3에서와 같이 각 가스토출관(8,9)을 병렬 연통하여 응축기(3)와 상기한 바이패스관(30)에 연결하도록 복수 개의 냉매입구(21b,21c)와 냉매출구(21d,21e)를 형성하는 밸브하우징(21)과, 밸브하우징(21)의 내부에 미끄러지게 삽입하여 두 압축기(1,2)의 운전상태에 따라 상기한 각 냉매입구(21b,21c)와 냉매출구(21d,21e)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개폐밸브(22)와, 개폐밸브(22)의 운동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밸브하우징(21)에 고정 설치하여 상기한 압축기(1,2)의 운전상태에 따라 개폐밸브(22)를 이동시켜 냉매입구(21b,21c)와 냉매출구(21d,21e)를 적절하게 연통시키는 제1 전자석(23) 및 제2 전자석(24)과, 개폐밸브(22)의 운동방향 양측을 각각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전자석(23,24)과 함께 개폐밸브(22)를 이동시켜 냉매입구(21b,21c)와 냉매출구(21d,21e)를 연통시키는 제1 압축스프링(25) 및 제2 압축스프링(26)으로 이루어진다.
밸브하우징(21)은 그 내부에 개폐밸브(22)를 미끄러지게 삽입하도록 형성하는 밸브공간(21a)과, 밸브공간(21a)을 각 압축기(1,2)의 가스토출관(8,9)에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하는 복수 개의 냉매입구(21b,21c)와, 밸브공간(21a)을 통해 각 냉매입구(21b,21c)가 냉매순환관(L)에 차별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하는 토출측 냉매출구(21d)와, 밸브공간(21a)을 통해 각 냉매입구(21b,21c)가 바이패스관(30)에 차별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하는 평압측 냉매출구(21e)와, 밸브공간(21a)을 통해 어느 한 쪽 냉매입구(21b)(21c)가 평압측 냉매출구(21e)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그 평압측 냉매출구(21e)에서 분지하여 형성하는 냉매우회출구(21f)로 이루어진다.
개폐밸브(22)는 각각의 냉매입구(21b,21c,21f)와 냉매출구(21d,21e)를 개폐하도록 양단에 개폐부(22a,22b)를 형성하고, 개폐부(22a,22b)의 중간을 연결하여 각각의 냉매입구(21b,21c,21f)와 냉매출구(21d,21e)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연통부(22c)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에어콘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
즉, 도 4a에서와 같이 두 압축기(1,2)를 모두 운전시키는 경우에는 전자석(23,24)에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개폐밸브(22)가 양쪽 압축스프링(25,26)에 의해 밸브공간(21a)의 중간에 위치하면서 양측 개폐부(22a,22b)가 냉매우회출구(21f)와 평압측 냉매출구(21e)를 양쪽 냉매입구(21b,21c)와 차폐시키는 반면 그 양쪽 냉매입구(21b,21c)는 토출측 냉매출구(21d)와 연통시킴으로써, 각 압축기(1,2)의 가스토출관(8,9)과 밸브하우징(21)의 제1 냉매입구(21b)와 제2 냉매입구(21c)를 통해 밸브공간(21a)으로 토출되는 냉매는 토출측 냉매출구(21d)를 거쳐 냉매순환관(L)으로 이동하였다가 응축기(3)와 팽창기구 그리고 증발기를 거친 후 다시 가스흡입관(6,7)을 통해 각각의 압축기(1,2)로 흡입되는 것이다.
다음, 도 4b에서와 같이 제1 압축기(1)는 운전하고 제2 압축기(2)는 정지하는 경우에는 도면의 좌측에 위치한 제1 전자석(23)에 전원이 인가되어 개폐밸브(22)가 제1 압축스프링(25)을 이기면서 이동하여 일측 개폐부(22a)가 냉매우회출구(21f)를 차단하는 동시에 타측 개폐부(22b)가 제2 냉매입구(21c)와 평압측 냉매출구(21e)를 연통시킴으로써, 제1 압축기(1)에서 제1 가스토출관(8)을 통해 토출되는 냉매는 제1 냉매입구(21b)를 통해 밸브공간(21a)으로 유입되었다가 토출측 냉매출구(21d)를 통해 응축기(3)로 이동하여 전술한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한편 제2 압축기(2)는 평압측 냉매출구(21e)를 통해 바이패스관(30)에 연결되어 제2 압축기(2)의 토출측과 흡입측의 압력차를 해소하는 소위 '평압운전'을 실시하는 것이다.
다음, 도 4c에서와 같이 제1 압축기(1)는 정지하고 제2 압축기(2)는 운전하는 경우에는 도면의 우측에 위치한 제2 전자석(24)에 전원이 인가되어 개폐밸브(22)가 제2 압축스프링(26)을 이기면서 이동하여 일측 개폐부(22a)가 제1 냉매입구(21b)와 냉매우회출구(21f)를 연통시키는 동시에 타측 개폐부(22b)가 평압측 냉매출구(21e)를 차단한다. 이와 동시에 제2 냉매입구(21c)는 개폐밸브(22)의 연통부(22c)를 통해 토출측 냉매출구(21d)와 연통됨으로써, 제2 압축기(2)에서 제2 가스토출관(9)을 통해 토출되는 냉매는 제2 냉매입구(21c)를 통해 밸브공간(21a)으로 유입되었다가 토출측 냉매출구(21d)를 통해 응축기(3)로 이동하여 전술한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한편 제1 압축기(1)는 제1 냉매입구(21b)와 냉매우회출구(21f)를 통해 바이패스관(30)에 연결되어 제1 압축기(1)에 대한 '평압운전'을 실시하는 것이다.
한편, 양쪽 압축기가 모두 정지되는 경우에는 도 4b와 도 4c에서 제시한 방식, 즉 한 쪽 압축기에 대한 평압운전을 실시한 후 다른 압축기에 대한 평압운전을 실시하는 운전을 연속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참고로, 개폐밸브는 압축기의 운전여부에 따라 냉매입구와 냉매출구를 차단함에 따라 냉매순환관으로 토출되었던 냉매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렇게 하여, 복수 개의 압축기를 구비한 에어콘에서 에어콘의 운전상태에 따라 각 압축기에 대한 평압운전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에어콘의 운전주기를 짧게 하여 사용상의 쾌적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 냉매의 역류를 차단함으로써 별도의 체크밸브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부품을 간소화하면서도 에어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콘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는, 복수 개의 압축기를 구비하는 에어콘에서 각 압축기의 토출측에 모든 압축기의 정지시 번갈아 평압운전을 실시할 수 있는 냉매절환부를 설치함으로써, 에어콘의 운전상태에 따라 각 압축기에 대한 평압운전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에어콘의 운전주기를 짧게 하여 사용상의 쾌적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체크밸브를 구비하지 않고 냉매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어 부품을 간소화하면서도 에어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콘의 실외기를 파단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에어콘의 압축기에서 흡입구와 토출구의 배관을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에어콘의 압축기에서 압력 평형 장치를 구비한 흡입구와 토출구의 배관을 보인 보인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 에어콘의 압축기에서 압력 평형 장치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2 : 제1,제2 압축기 3 : 응축기
6,7 : 제1,제2 가스흡입관 8,9 : 제1,제2 가스토출관
20 : 냉매절환부 21 : 밸브하우징
21a : 밸브공간 21b,21c : 제1,제2 냉매입구
21d : 토출측 냉매출구 21e : 평압측 냉매출구
21f : 냉매우회입구 21g : 배기구멍
22 : 개폐밸브 21a,21b : 개폐부
21c : 연통부 23,24 : 제1,제2 전자석
25,26 : 제1,제2 압축스프링 30 : 바이패스관
L : 냉매순환관

Claims (4)

  1. 가스흡입관과 가스토출관을 복수 개의 압축기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하고, 그 복수 개의 가스흡입관과 가스토출관을 각각 병렬로 연결하는 에어콘에 있어서,
    복수 개의 가스토출관을 병렬 합관한 후 이를 응축기로 향하는 냉매순환관과 가스흡입관으로 향하는 바이패스관으로 분관하는 밸브하우징과,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미끄러지게 삽입하여 복수 개의 압축기가 모두 운전할 때는 두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을 냉매순환관에 연통시키는 반면 한 쪽 압축기만 운전할 때는 운전하는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은 냉매순환관에 연통시키고 정지하는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은 바이패스관에 연통시키는 반면 양쪽 압축기가 모두 정지할 때는 먼저 한 쪽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을 바이패스관에 연통시켜 평압운전을 실시한 후에 이어서 다른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을 상기한 바이패스관에 연통시켜 평압운전을 실시하도록 하는 개폐밸브와,
    개폐밸브의 이동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그 개폐밸브가 압축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이동하도록 자력을 발생하는 복수 개의 전자석과,
    개폐밸브의 이동방향 양측을 탄력 지지하여 그 개폐밸브가 압축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한 에어콘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하우징은 개폐밸브를 미끄러지게 삽입하도록 형성하는 밸브공간과, 밸브공간을 각 압축기의 가스토출관에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하는 복수 개의 냉매입구와, 밸브공간을 통해 각 냉매입구가 가스순환관에 차별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하는 토출측 냉매출구와, 밸브공간을 통해 각 냉매입구가 바이패스관에 차별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하는 평압측 냉매출구와, 밸브공간을 통해 어느 한 쪽 냉매입구가 평압측 냉매출구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그 평압측 냉매출구에서 분지하여 형성하는 냉매우회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개폐밸브는 각 냉매입구와 냉매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양단에 형성하는 개폐부와, 각 냉매입구와 냉매출구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양쪽 개폐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통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바이패스관은 각 압축기의 가스흡입관에 병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KR1020040027943A 2004-04-22 2004-04-22 에어콘용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KR100556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943A KR100556801B1 (ko) 2004-04-22 2004-04-22 에어콘용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US11/023,521 US7165419B2 (en) 2004-04-22 2004-12-29 Apparatus for converting refrigerant pipe of air conditioner
CNB2005100045677A CN100526756C (zh) 2004-04-22 2005-01-17 用于转换空调的制冷剂管的设备
EP05251966A EP1589303A3 (en) 2004-04-22 2005-03-30 Apparatus for switching air conditioner refrigerant pip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943A KR100556801B1 (ko) 2004-04-22 2004-04-22 에어콘용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530A true KR20050102530A (ko) 2005-10-26
KR100556801B1 KR100556801B1 (ko) 2006-03-10

Family

ID=34940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943A KR100556801B1 (ko) 2004-04-22 2004-04-22 에어콘용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65419B2 (ko)
EP (1) EP1589303A3 (ko)
KR (1) KR100556801B1 (ko)
CN (1) CN10052675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224B1 (ko) 2006-12-14 2012-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 컴프레서
WO2009091401A1 (en) * 2008-01-17 2009-07-23 Carrier Corporation Capacity modulation of refrigerant vapor compression system
US9869497B2 (en) 2013-04-03 2018-01-16 Carrier Corporation Discharge manifold for use with multiple compressor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7102A (en) * 1975-12-24 1979-09-11 Emhart Industries, Inc. Refrigeration system utilizing saturated gaseous refrigerant for defrost purposes
US4193270A (en) * 1978-02-27 1980-03-18 Scott Jack D Refrigeration system with compressor load transfer means
US5265434A (en) * 1979-07-31 1993-11-30 Alsenz Richard H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pacity of a multiple-stage cooling system
US4474026A (en) * 1981-01-30 1984-10-02 Hitachi, Ltd. Refrigerating apparatus
US4418548A (en) * 1982-03-29 1983-12-06 Trane Cac, Inc. Variable capacity multiple compressor refrigeration system
US4554795A (en) * 1983-11-14 1985-11-26 Tyler Refrigeration Corporation Compressor oil return system for refrige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4537047A (en) * 1984-03-02 1985-08-27 Thermo King Corporation Truck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US4621505A (en) * 1985-08-01 1986-11-11 Hussmann Corporation Flow-through surge receiver
US4750337A (en) * 1987-10-13 1988-06-14 American Standard Inc. Oil management in a parallel compressor arrangement
JP2810422B2 (ja) * 1989-07-05 1998-10-15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
JP2748801B2 (ja) * 1992-10-20 1998-05-1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WO1996000873A1 (fr) * 1994-06-29 1996-01-11 Daikin Industries, Ltd. Refrigerateur
US5634345A (en) * 1995-06-06 1997-06-03 Alsenz; Richard H. Oil monitoring system
JPH10238879A (ja) * 1997-02-21 1998-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マルチ型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及びその運転方法
JPH10281578A (ja) * 1997-04-02 1998-10-23 Mitsubishi Heavy Ind Ltd マルチ型空気調和機
JP2000088368A (ja) * 1998-09-14 2000-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装置
US6705094B2 (en) * 1999-12-01 2004-03-16 Altech Controls Corporation Thermally isolated liquid evaporation engine
US6263694B1 (en) * 2000-04-20 2001-07-24 James G. Boyko Compressor protection device for refriger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65419B2 (en) 2007-01-23
CN1690553A (zh) 2005-11-02
US20050235684A1 (en) 2005-10-27
EP1589303A2 (en) 2005-10-26
KR100556801B1 (ko) 2006-03-10
CN100526756C (zh) 2009-08-12
EP1589303A3 (en)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778B1 (ko) 공기조화기
KR100511286B1 (ko) 동시 제상 및 난방 운전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및 자체제상 사이클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0539763B1 (ko) 에어콘용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KR10077582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94100A (ko) 동시 제상 및 난방 운전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및 자체제상 사이클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20120011277A (ko) 냉장고
KR100556801B1 (ko) 에어콘용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JP2001056156A (ja) 空気調和装置
KR100531838B1 (ko) 에어콘용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KR100524719B1 (ko)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유량 가변형 바이패스 장치
JP2924954B2 (ja) 冷・暖房兼用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KR100641117B1 (ko) 유로차단밸브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JPH06109337A (ja) 空気調和機の冷媒回路
JP2005076983A (ja) 空気調和装置
KR101944832B1 (ko) 공기조화기
KR100524720B1 (ko) 멀티 에어컨 시스템용 실내기 바이패스 장치
KR100770718B1 (ko)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0591321B1 (ko) 공기조화기
KR100606274B1 (ko) 다수 개의 압축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압력평형 장치
JP7089199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137175B1 (ko) 공기 조화기
KR20020053450A (ko) 두 개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2439236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80123270A (ko) 공기조화기
KR100585687B1 (ko) 유니터리형 에어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