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832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832B1
KR101944832B1 KR1020160157073A KR20160157073A KR101944832B1 KR 101944832 B1 KR101944832 B1 KR 101944832B1 KR 1020160157073 A KR1020160157073 A KR 1020160157073A KR 20160157073 A KR20160157073 A KR 20160157073A KR 101944832 B1 KR101944832 B1 KR 101944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refrigerant
compressor
case
part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8304A (ko
Inventor
김범찬
정춘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7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8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25B41/003
    • F25B41/04
    • F25B41/06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25B43/043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for compression ty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09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4Low amount of refrigerant in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7Flow-diverting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하는 상분리기; 및 상기 상분리기를 통과한 액상 냉매가 유입되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분리기는 하나의 케이스 내에서 구획되는 제1 및 제2 챔버를 구비하고, 각각의 챔버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상기 압축기의 중간단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에서 기상 냉매를 분리하여 압축기의 제1중간단 및 제2중간단으로 인젝션하기 위한 하나의 일체형 상분리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는 실외기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실내기에 구비될 수 있다. 팽창밸브는 실내기 및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난방모드에서 실내열교환기는 응축기로 기능하고, 실외열교환기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반대로, 냉방모드에서 실내열교환기는 증발기로 기능하고, 실외열교환기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를 순환하는 냉매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응축압을 올리면, 난방모드에서의 난방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응축압을 올리기 위하여,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일부를 증발시켜서 압축기의 중간단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소위 "베이포 인젝션(vapor injection)"이라고 한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두 개의 베이포 인젝션(또는, 2단 베이포 인젝션) 기술이 적용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압축기(1)의 중간단(2, 3)으로 기상 냉매를 공급하기 위하여 내부 열교환기(4, 5)를 구비한다. 상기 압축기(1)의 중간단(2, 3)으로 유입된 기상냉매는 상기 압축기(1)의 입구단(9)으로 유입된 냉매와 합류하여 압축된다.
내부 열교환기(4, 5)는 제1내부열교환기(4)와 제2내부열교환기(5)를 포함하고, 중간단(2, 3)은 제1중간단(2) 및 상기 제1중간단(2)보다 낮은 압력의 제2중간단(3)을 포함한다.
상기 제1내부열교환기(4)를 통해 분리된 기상 냉매는 상기 제1중간단(2)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2내부열교환기(5)를 통해 분리된 기상 냉매는 상기 제2중간단(3)으로 유입된다. 이를 2단 베이포 인젝션(vapor inj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응축기(7)에서 응축된 후에 상기 제1내부열교환기(4) 및 상기 제2내부열교환기(5)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액상 냉매는 증발기(8)로 안내된다. 그리고, 증발기(8)에서 증발된 액상 냉매는 압축기(1)의 입구단(9)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기(1)의 입구단(9)으로 유입되는 냉매가 압축기(1)에 의해 1단 압축되고, 상기 입구단(9)으로 유입된 냉매와 압축기(1)의 제2중간단(3)으로 유입되는 냉매가 합류하여 2단 압축되며, 상기 제1중간단(2)으로 유입되는 냉매가 더 합류하여 3단 압축될 수 있다.
한편, 종래 공기조화기의 경우, 압축기(1)의 제1 및 제2 중간단(2, 3)으로 기상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서로 독립적인 제1내부열교환기(4)와 제2내부열교환기(5)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때, 제1내부열교환기(4)는 이상냉매로부터 기상냉매를 분리하기 위하여 냉매를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제1바이패스라인(B1) 및 제1보조팽창밸브(V1)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제2내부열교환기(5) 역시 이상냉매로부터 기상냉매를 분리하기 위하여 냉매를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제2바이패스라인(B2) 및 제2보조팽창밸브(V2)를 필요로 한다.
상기 제1보조팽창밸브(V1) 및 제2보조팽창밸브(V2)는 응축기(7)을 출구측과 증발기(8)의 입구측에 각각 구비되는 메인팽창밸브(V)와 독립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내부열교환기(4)와 상기 제2내부열교환기(5)를 위한 공간이 각각 마련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보조팽창밸브(V1) 및 제2보조팽창밸브(V2)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으로 인해 제품 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내부열교환기(4)와 상기 제2내부열교환기(5)에 구비되는 상기 제1보조팽창밸브(V1) 및 제2보조팽창밸브(V2)로 인해 유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일체형 상분리기를 통해 압축기의 중간단을 향하는 2개의 베이포 인젝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적은 공간을 사용하여 2단 베이포 인젝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분리기 내에 별도의 보조팽창밸브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이상냉매로부터 기상냉매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 유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하는 상분리기; 및 상기 상분리기를 통과한 액상 냉매가 유입되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분리기는 하나의 케이스 내에서 구획되는 제1 및 제2 챔버를 구비하고, 각각의 챔버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상기 압축기의 중간단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상분리기는,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제1챔버 내로 안내하는 제1메인유로; 상기 제1챔버 내의 기상 냉매를 상기 압축기의 제1중간단으로 안내하는 제1인젝션유로; 상기 제1챔버 내의 액상냉매를 상기 제2챔버로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연결유로; 및 상기 제2챔버 내의 기상 냉매를 상기 압축기의 제2으로 안내하는 제2인젝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분리기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은 상기 케이스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는 상기 구획판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분리기는 상기 제2챔버 내의 액상 냉매를 상기 증발기를 향해 안내하기 위한 제2메인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1메인유로의 단부와 상기 제2메인유로의 단부는 각각 상기 구획판의 반대방향으로 밴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구획판의 폭방향 중심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2메인유로는 상기 케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구획판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오프셋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유로의 단부와, 상기 제2메인유로의 단부와, 상기 연결유로는 각각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구획판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오프셋되어 상기 구획판을 사선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내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제1단부는 상기 구획판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메인유로와 반대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챔버 내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제2단부는 상기 구획판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2메인유로와 반대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의 길이는 상기 제1메인유로의 단부와 상기 제2메인유로의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기의 제1중간단의 압력은 상기 제2중간단의 압력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1챔버 내의 액상 냉매를 감압하여 상기 제2챔버 내로 안내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오리피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는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과 상기 구획판의 제1면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과 상기 구획판의 제1면 맞은편의 제2면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유로의 일부와 상기 제2메인유로의 일부는 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인젝션유로 및 상기 제2인젝션유로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제1인젝션홀 및 제2인젝션홀로부터 상기 압축기를 향하여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젝션홀은 상기 제1챔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인젝션홀은 상기 제2챔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상기 응축기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증발기의 입구측에 구비되는 팽창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일체형 상분리기를 통해 압축기의 중간단을 향하는 2개의 베이포 인젝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적은 공간을 사용하여 2단 베이포 인젝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분리기 내에 별도의 보조팽창밸브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이상냉매로부터 기상냉매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매 유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른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상분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분리기의 주요 구성의 배치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난방모드에서의 Ph선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모드에서의 Ph선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난방모드에서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압축기(100), 유로전환밸브(200), 실내열교환기(300), 상분리기(400), 실외열교환기(500) 및 어큐뮬레이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00)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100)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가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로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는 공기조화기(10) 내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압축기는 냉매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상기 유로전환밸브(200)를 향해 안내된다.
상기 유로전환밸브(200)는 사방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200)는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에 따라 냉매를 실외열교환기(500) 또는 실내열교환기(300)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상기 유로전환밸브(200)를 통해 실외열교환기(500)로 안내된다. 이와 달리, 난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상기 유로전환밸브(200)를 통해 실내열교환기(300)로 안내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00)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300)는 실내 공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300) 내로 유동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300)는 냉매의 흐름 방향에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00)는 공기조화기(10)의 냉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500)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500)는 실외 공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300) 내로 유동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5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외열교환기(500)는 냉매의 흐름 방향에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00)는 공기조화기(10)의 냉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00) 및 실외열교환기(500)는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300) 측에는 실내팬(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실외열교환기(500) 측에는 실외팬(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600)는 압축기(100)를 향해 안내되는 이상냉매를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600)는 압축기(100)를 향해 안내되는 이상냉매 중 기상 냉매만 분리하여 압축기(100)에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실내열교환기(300)의 일측에 제1팽창밸브(350)를 구비하고, 실외열교환기(500)의 일측에 제2팽창밸브(5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팽창밸브(35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300)가 증발기로 작동할 때, 냉매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실내열교환기(300)의 입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팽창밸브(350)는 실내열교환기(300)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도록 그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팽창밸브(550)는 상기 실외열교환기(500)가 증발기로 작동할 때, 냉매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실외열교환기(500)의 입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팽창밸브(550)는 실외열교환기(500)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도록 그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상분리기(400)는 응축기(도 2에서 실내열교환기(300))를 통과한 냉매를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분리기(400)를 통해 분리된 기상 냉매는 압축기(100)의 중간단(130, 150)으로 안내되고, 액상 냉매는 증발기(도 2에서 실외열교환기(500))를 향해 안내될 수 있다.
증발기를 향해 안내되는 액상 냉매는 상기 증발기 입구측의 제2팽창밸브(550)를 통해 팽창된 후에 상기 증발기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난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응축기로 작동하는 실내열교환기(300)로 공급되고, 실내열교환기(30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1팽창밸브(350)를 통해 팽창된 후에 상분리기(40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1팽창밸브(350)를 통해 팽창된 냉매는 이상 냉매 상태로 상기 상분리기(40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상분리기(40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압축기(100)의 중간단(130, 150)으로 공급되고, 액상 냉매는 제2팽창밸브(550)를 통해 팽창된 후에 실외열교환기(500)에서 증발된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상기 상분리기(400)의 제1챔버(43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제1인젝션유로(437)를 통해 압축기(100)의 제1중간단(1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인젝션유로(437)에 구비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438)는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분리기(400)의 제2챔버(45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제2인젝션유로(457)를 통해 압축기(100)의 제2중간단(1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인젝션유로(457)에 구비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458)는 개방될 수 있다.
전술한 압축기(100)의 상기 제1중간단(130)에서의 압력은 상기 제2중간단(150)에서의 압력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외열교환기(500)에서 증발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600)를 통해 압축기(100)의 입구단(1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인젝션유로(437) 및 상기 제2인젝션유로(457)를 통해 압축기(110)의 제1중간단(130) 및 제2중간단(150)에 각각 기상냉매를 공급함으로써, 난방모드에서 하나의 압축기(100)를 통해 3단 압축이 구현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3단 압축을 통해, 응축압을 높일 수 있고, 싸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난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른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모드에서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의 냉방모드에서, 압축기(100)를 통과한 냉매는 유로전환밸브(200)를 통해 실외열교환기(500)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실외열교환기(500)는 응축기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0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팽창밸브(550)를 통해 팽창된 후에 상기 상분리기(40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2팽창밸브(550)를 통해 팽창된 냉매는 이상 냉매 상태로 상기 상분리기(40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상분리기(40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압축기(100)의 중간단(130)으로 공급되고, 액상 냉매는 제1팽창밸브(350)를 통해 팽창된 후에 실내열교환기(500)에서 증발된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상기 상분리기(400)의 제2챔버(45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제2인젝션유로(457)를 통해 압축기(100)의 제2중간단(1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인젝션유로(457)에 구비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458)는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분리기(400)의 제1챔버(430)에 연결된 제1인젝션유로(437)에 구비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438)는 닫힐 수 있다. 냉방모드에서,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38)가 개방될 경우, 싸이클의 압력 균형이 깨질 수 있다. 따라서, 냉방모드에서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38)는 닫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00)에서 증발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600)를 통해 압축기(100)의 입구단(1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인젝션유로(457)를 통해 압축기(110)의 제2중간단(150)에 기상 냉매를 공급함으로써, 냉방모드에서 하나의 압축기(100)를 통해 2단 압축이 구현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상분리기(400)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상분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난방모드에서의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분리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분리기(4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4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4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상분리기(400)는 하나의 상기 케이스(410) 내에서 구획되는 제1챔버(430) 및 제2챔버(4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챔버(430, 45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전술한 압축기(100)의 중간단(130, 1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챔버(43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와 상기 제2챔버(45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서로 독립된 유로를 통해 압축기(100)의 중간단(130, 150)으로 각각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케이스(410) 내에서 두 개의 챔버(430, 450)를 통해 기상 냉매를 각각 분리하기 때문에, 상분리기(400)의 설치를 위해 필요한 공기조화기 내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분리기(400)는 응축기(도 2에서 실내열교환기(300))를 통과한 냉매를 제1챔버(430)로 안내하는 제1메인유로(435), 상기 제1챔버(430) 내의 기상 냉매를 압축기(100)의 제1중간단(130)으로 안내하는 제1인젝션유로(437), 상기 제1챔버(430) 내의 액상 냉매를 상기 제2챔버(450)로 안내하는 연결유로(470), 및 제2챔버(450) 내의 기상 냉매를 압축기(100)의 제2중간단(150)으로 안내하는 제2인젝션유로(4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유로(435)는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이상냉매)를 제1챔버(430)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유로(435)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411)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412)을 향해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메인유로(435)의 일부는 상기 제1챔버(430) 내에서 상기 케이스(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젝션유로(437)는 상기 제1챔버(430) 내로 유입된 이상 냉매로부터 분리된 기상 냉매를 상기 압축기(100)의 제1중간단(130)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젝션유로(437)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111)에 형성된 제1인젝션홀(413)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인젝션유로(437)는 상기 제1인젝션홀(413)로부터 상기 압축기(10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인젝션유로(437)는 상기 제1인젝션홀(413)로부터 상기 압축기(100)의 제1중간단(13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젝션홀(413)은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111)에서 상기 제1챔버(4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인젝션홀(413)을 통해 상기 제1챔버(430)와 상기 제1인젝션유로(437)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젝션유로(437)에는 전술한 제1솔레노이드밸브(4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38)는 난방모드와 냉방모드에서 모두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470)는 상기 제1챔버(430) 내의 액상 냉매를 상기 제2챔버(450)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470)는 기설정된 길이의 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유로(470)는 상기 제1챔버(430) 내의 액상 냉매를 감압하여 제2챔버(450)로 안내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오리피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방모드에서는 제1챔버(430)로 유입된 냉매 중 액상 냉매가 상기 연결유로(470)를 통해 상기 제2챔버(450)로 안내된다. 반대로, 냉방모드에서는 상기 제2챔버(450)로 유입된 냉매 중 액상 냉매가 상기 연결유로(470)를 통해 상기 제2챔버(450)로 안내된다.
상기 제2인젝션유로(457)는 상기 제2챔버(450) 내에서 증발한 기상 냉매를 상기 압축기(100)의 제2중간단(150)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젝션유로(457)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 형성된 제2인젝션홀(415)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인젝션유로(457)는 상기 제2인젝션홀(415)로부터 상기 압축기(10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2인젝션유로(457)는 상기 제2인젝션홀(415)로부터 상기 압축기(100)의 제2중간단(15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젝션홀(415)은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111)에서 상기 제2챔버(450)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인젝션홀(415)을 통해 상기 제2챔버(450)와 상기 제2인젝션유로(457)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젝션유로(457)에는 전술한 제2솔레노이드밸브(45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458)는 난방모드에서 개방되고, 냉방모드에서는 닫힐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난방모드에서, 하나의 일체형 상분리기(400)를 통해 압축기(110)의 제1중간단(130) 및 제2중간단(150)으로 기상 냉매가 각각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냉방모드에서, 상분리기(400)를 통해 압축기(110)의 제2중간단(150)으로 기상 냉매가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분리기(400)는 상기 제1챔버(430)와 상기 제2챔버(450)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판(4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판(415)은 상기 케이스(110) 내에서 상기 제1챔버(430)와 상기 제2챔버(450)를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유로(470)는 상기 구획판(415)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유로(470)는 상기 구획판(415)을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430)와 상기 제2챔버(450)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챔버(430) 내의 액상 냉매는 상기 연결유로(470)를 통해 상기 제2챔버(450)로 안내될 수 있고, 냉방모드에서 상기 제2챔버(450) 내의 액상 냉매는 상기 제1챔버(430)로 안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획판(415)은 상기 케이스(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415)의 폭은 상기 케이스(11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415)의 폭은 상기 케이스(110)의 직경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챔버(430) 및 상기 제2챔버(450)는 상기 구획판(415)의 양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챔버(430)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주면과 상기 구획판(415)의 제1면(415')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2챔버450)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주면과 상기 구획판(415)의 제2면(415")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면(415')과 상기 제2면(415")은 상기 구획판(415)의 맞은편 측면들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분리기(400)는 상기 제2챔버(450) 내의 액상 냉매를 상기 증발기를 향해 안내하기 위한 제2메인유로(4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메인유로(455)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411)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412)을 향해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메인유로(455)의 일부는 상기 제2챔버(450) 내에서 상기 케이스(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1메인유로(435)의 단부(435')와 상기 제2메인유로(455)의 단부(455')는 각각 케이스(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메인유로(435)의 단부(435')의 단부는 제1챔버(430) 내에 배치되고, 제2메인유로(455)의 단부(455')는 제2챔버(45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메인유로(435)의 단부(435')와 상기 제2메인유로(455)의 단부(455')는 각각 상기 구획판(415)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케이스(110)의 내주면을 향하여 밴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메인유로(435)의 단부(435')와 상기 제2메인유로(455)의 단부(455')는 각각 상기 구획판(41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110)의 내주면을 향하여 밴딩될 수 있다.
이는, 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메인유로(435)를 통해 상기 제1챔버(430) 내로 유입되는 이상 냉매가 상기 연결유로(470)를 통해 바로 상기 제2챔버(45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다른 도면을 더 참조하여, 상기 제1메인유로(435)와 상기 제2메인유로(455)의 배치, 및 상기 연결유로(470)의 배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분리기의 주요 구성의 배치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4 및 5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연결유로(470)는 구획판(415)의 폭방향 중심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유로(435) 및 상기 제2메인유로(455)는 상기 케이스(110)의 중심(C)으로부터 상기 구획판(415)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오프셋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직경방향 중심(C)은 상기 구획판(415)의 폭방향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메인유로(435)를 통해 제1챔버(430)로 유입되는 이상 냉매가 바로 상기 연결유로(470)를 통해 상기 제2챔버(450)로 유입되면, 상분리기(400)의 상분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메인유로(435)의 단부(435')와 상기 제2메인유로(455)의 단부(455')가 상기 연결유로(470)의 길이방향 양 단부와 최대한 멀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메인유로(435)는 상기 구획판(415)의 폭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구획판(415)의 폭방향 일측으로 오프셋되고, 상기 제2메인유로(455)는 상기 구획판(415)의 폭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구획판(415)의 폭방향 타측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이는, 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메인유로(435)를 통해 제1챔버(430) 내로 유입된 이상 냉매가 상기 연결유로(470)를 통해 상기 제2챔버(450) 내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메인유로(435)의 단부(435')와 상기 제2메인유로(455)의 단부(455')는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4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각가의 챔버(430, 450) 내로 유입되는 이상 냉매가 전술한 제1인젝션유로(437) 또는 제2인젝션유로(457)를 통해 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유로(470) 역시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4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연결유로(470)를 통한 액상 냉매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경유로(470)는 상기 제1메인유로(435)의 단부(435')및 상기 제2메인유로(455)의 단부(455')와 대응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유로(470)는 상기 구획판(415)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오프셋되어 상기 구획판(415)을 사선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유로(470)는 상기 구획판(415)의 폭방향에 대해서 90보다 작은 기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20도 내지 30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연결유로(470)는 상기 구획판(415)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상기 구획판(415)을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챔버(430) 내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유로(470)의 제1단부(471)는 상기 구획판(415)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메인유로(435)와 반대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챔버(450) 내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유로(470)의 제2단부(472)는 상기 구획판(415)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2메인유로(455)와 반대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메인유로(435)의 단부(435') 및 상기 제2메인유로(455)의 단부(455')가 상기 상기 연결유로(470)의 양 단부로부터 멀리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연결유로(470)이 길이는 상기 제1메인유로(435)의 단부(435')와 상기 제2메인유로(455)의 단부(455')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역시, 상기 제1메인유로(435)의 단부(435') 및 상기 제2메인유로(455)의 단부(455')가 상기 상기 연결유로(470)의 양 단부로부터 멀리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압축기 200 유로전환밸브
300 실내열교환기 400 상분리기
500 실외열교환기 600 어큐뮬레이터

Claims (15)

  1. 냉매를 압축하는 하나의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하는 상분리기;
    상기 상분리기를 통과한 액상 냉매가 유입되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에서 기상냉매를 분리하여 상기 압축기의 입구단으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분리기는 하나의 케이스 내에서 구획되는 제1 및 제2 챔버를 구비하고, 각각의 챔버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상기 압축기의 중간단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분리기는,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제1챔버 내로 안내하는 제1메인유로;
    상기 제1챔버 내의 기상 냉매를 상기 압축기의 제1중간단으로 안내하는 제1인젝션유로;
    상기 제1챔버 내의 액상냉매를 상기 제2챔버로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연결유로; 및
    상기 제2챔버 내의 기상 냉매를 상기 압축기의 제2중간단으로 안내하는 제2인젝션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분리기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케이스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는 상기 구획판의 양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분리기는 상기 제2챔버 내의 액상 냉매를 상기 증발기를 향해 안내하기 위한 제2메인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1메인유로의 단부와 상기 제2메인유로의 단부는 각각 상기 구획판의 반대방향으로 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구획판의 폭방향 중심을 관통하고,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2메인유로는 상기 케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구획판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유로의 단부와, 상기 제2메인유로의 단부와, 상기 연결유로는 각각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구획판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오프셋되어 상기 구획판을 사선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내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제1단부는 상기 구획판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메인유로와 반대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챔버 내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제2단부는 상기 구획판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2메인유로와 반대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의 길이는 상기 제1메인유로의 단부와 상기 제2메인유로의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제1중간단의 압력은 상기 제2중간단의 압력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1챔버 내의 액상 냉매를 감압하여 상기 제2챔버 내로 안내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오리피스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는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과 상기 구획판의 제1면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과 상기 구획판의 제1면 맞은편의 제2면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유로 및 상기 제2메인유로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하고,
    상기 제1인젝션유로 및 상기 제2인젝션유로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제1인젝션홀 및 제2인젝션홀로부터 상기 압축기를 향하여 각각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젝션홀은 상기 제1챔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인젝션홀은 상기 제2챔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항에 있어서,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상기 응축기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증발기의 입구측에 구비되는 팽창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60157073A 2016-11-24 2016-11-24 공기조화기 KR101944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073A KR101944832B1 (ko) 2016-11-24 2016-11-24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073A KR101944832B1 (ko) 2016-11-24 2016-11-2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304A KR20180058304A (ko) 2018-06-01
KR101944832B1 true KR101944832B1 (ko) 2019-02-01

Family

ID=6263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073A KR101944832B1 (ko) 2016-11-24 2016-11-2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775B1 (ko) * 2021-10-01 2022-06-10 김봉석 냉동싸이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248B1 (ko) * 2003-12-31 200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히트펌프 및 히트펌프용 기액분리기
JP2008075894A (ja) * 2006-09-19 2008-04-03 Daikin Ind Ltd 気液分離器
JP2016114308A (ja) * 2014-12-16 2016-06-23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中間圧レシーバ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248B1 (ko) * 2003-12-31 200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히트펌프 및 히트펌프용 기액분리기
JP2008075894A (ja) * 2006-09-19 2008-04-03 Daikin Ind Ltd 気液分離器
JP2016114308A (ja) * 2014-12-16 2016-06-23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中間圧レシーバ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304A (ko) 201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8160B2 (ja) 空気調和機
US20120118533A1 (en) Air conditioner
US10012419B2 (en) Heat-pump system
KR101212681B1 (ko) 공기조화기
KR101319778B1 (ko) 공기조화기
KR101288681B1 (ko) 공기조화기
US20170074591A1 (en) Micro channel type heat exchanger
US9416993B2 (en) Air conditioner
KR101944832B1 (ko) 공기조화기
KR101161381B1 (ko) 냉동 사이클 장치
US20160313036A1 (en) Subcoole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102122250B1 (ko) 공기조화기
KR101911261B1 (ko) 공기조화기
US10670343B2 (en) Micro channel type heat exchanger
KR20050102529A (ko) 에어콘용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KR100770718B1 (ko)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1899824B1 (ko) 실외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403129B1 (ko) 기액분리기
KR100556801B1 (ko) 에어콘용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KR102122261B1 (ko) 공기조화기
KR101156919B1 (ko)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0476637B1 (ko) 냉동시스템의 응축구조
KR20210051087A (ko) 히트펌프 시스템
US20170167765A1 (en) Evaporator for a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JP2001201196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