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1646A - 공압식 증압 실린더 - Google Patents

공압식 증압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646A
KR20050101646A KR1020040026718A KR20040026718A KR20050101646A KR 20050101646 A KR20050101646 A KR 20050101646A KR 1020040026718 A KR1020040026718 A KR 1020040026718A KR 20040026718 A KR20040026718 A KR 20040026718A KR 20050101646 A KR20050101646 A KR 20050101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neumatic
check valve
pressur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3766B1 (ko
Inventor
주재석
Original Assignee
주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석 filed Critical 주재석
Priority to KR1020040026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76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의 장점을 극대화한 증압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선단에 기계식으로 개폐가 제어되는 빠이롯드 밸브를 설치하고, 후방에 형성되어 가압 피스톤을 구동하는 제 2 후진용 작동실에 체크밸브와 방향 제어밸브를 더 설치하여, 전진 중 저부하시에는 체크밸브와 빠이롯드 밸브가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작동 피스톤만 전진하도록 하고, 전진 중 고부하시에는 체크밸브는 닫히고 빠이롯드 밸브가 열리면서 방향제어 밸브를 작동시켜 가압 피스톤이 작동피스톤에 힘을 가하도록 하며, 후진 시에는 빠이롯드 밸브는 닫히고 체크밸브는 열리면서 공압이 제 1, 2 후진용 작동실에 모두 주입되도록 하여 작동 피스톤과 가압피스톤을 원복 시킴으로써 증압실린더의 전/후진을 신속하게 함과 아울러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압식 증압 실린더{Pressure Interensifying Cylinder}
본 발명은 공압 작동식 증압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 전 분야에서 널리 사용하는 공압실린더의 성능 및 출력을 향상시킨 공압식 증압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압 실린더와 유압 실린더는 대부분 가압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주로 클램프기구, 압축기구, 콕킹기구 등에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클램 프기구나 압축기구는 작동 개시 시에는 그다지 작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작동 의 종단부근에서는 큰 작동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가압용으로 사 용되는 실린더는 피스톤로드의 압출종단부근에서 더욱 큰 작동력을 낼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 때문에 실린더의 크기를 결정할 때에는 압출 종단부근 에서 필요한 작동력을 얻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큰 직경과 중량의 실린더를 사용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큰 직경과 중량의 실린더를 사용할 경우, 상대 적으로 동작이 느려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되고 또 많은 양의 공압 또는 유압유를 필요로 하므로 에너지 손실은 물론 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린더로 유압 혹은 공압을 공급하는 관로에 부스터 장치를 접속하여 피스톤로드의 압출종단위치 부근에서 더욱 높은 압력을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로드의 단부근에서 작동력이 증대되도록 구성된 실린더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린더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 라, 4개 이상의 전자밸브와 가변펌프 및 제어장치 등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가격이 비싸고 고장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증압식 실린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크기에 비해 출력이 크고, 에너지 효율이 높으며, 보다 간소화된 구성의 증압실린더를 제공하고, 또한 증압 및 후퇴 시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증압 및 후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증압실린더 작동상의 정밀도를 높이고 오동작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으로 후진용 공압이 공급되고 내부에 작동피스톤이 설치된 제 1작동실과, 내부에 피스톤이 설치되어 전방은 상기 제 1작동실의 후방과 연결되어 유압을 형성하고 피스톤의 후방으로 전진용 공압이 공급되는 작동실 및, 상기 피스톤을 관통하여 제 1작동실로 전/후진 되는 가압피스톤이 설치되고 전방으로는 후진용 공압이 공급되며 후방으로는 전진용 공압이 공급되는 제 2작동실을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제 2후진용 공압유입구의 전방에 병렬로 형성되는 후진용 공압공급용 체크밸브(이하 제 1체크밸브라 함)와 전진용 공압 배출용 공압배출구 사이에 방향 제어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피스톤의 외주로 설치된 스프링과 슬라이드 피스톤에 의하여 제 1작동실 선단에 형성된 빠이롯드 밸브의 작동핀을 기계식으로 제어하여 전진용 공압이 방향 제어밸브로 흐르는 것을 제어하여, 전진시 초기에는 빠이롯드 밸브와 제 1체크밸브가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전진중 고부하시에는 빠이롯드 밸브가 열리면서 방향제어 밸브를 작동시켜 제 2작동실의 전방에 형성된 공압을 배출하여 가압 피스톤이 작동피스톤에 힘을 가하도록 하며, 후진 시에는 빠이롯드 밸브는 닫히고 제 1체크밸브는 열리면서 공압이 제 1, 2 후진용 작동실에 모두 주입되도록 하여 작동 피스톤과 가압피스톤을 원복시킴으로써 달성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에는 후방작동실의 공압이 전방작동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이하 제 2체크밸브라 함)가 더 설치되거나, 피스톤으로 유입된 오일을 밀폐시키는 밀폐링이 더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증압실린더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증압실린더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증압실린더는 크게, 도 1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피스톤(10)과 스프링(12)이 외주에 설치된 작동피스톤(20)이 내부에 설치된 제 1작동실(22)(24), 피스톤(80)이 설치되어 제 1작동실의 후방(이하 제 1전진용 작동실이라 함 ; 22)에 연결된 작동실(82)(84), 상기 피스톤(80)을 관통하여 제 1작동실의 후방(이하 제 1전진용 작동실이라 함 : 22)으로 전/후진하는 가압피스톤(30)이 설치된 제 2작동실(32)(34), 제 2작동실의 전방(이하 제 2후진용 작동실이라 함 : 34)에 병렬로 연결된 공압배출구(56)와 제 1체크밸브(72), 상기 공압배출구(56)와 제 1체크밸브(72)사이에 설치되어 공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향제어밸브(70) 및, 상기 피스톤(10)과 스프링(12)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되어 방향제어밸브(70)의 동작을 제어하는 빠이롯드 밸브(60)로 구성된다.
우선, 상기 제 1작동실(22)(24)은 본체(1)의 전방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작동 로드(21)가 외부로 돌출된 작동 피스톤(20)과, 상기 작동 로드(21)의 외주로 설치되는 슬라이드 피스톤(10) 및 슬라이드 피스톤(10)과 작동 피스톤(20)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2)이 구비되며, 작동 피스톤(20)에 의하여 전방은 제 1후진용 작동실(24)을 형성하고 후방은 제 1전진용 작동실(22)을 형성하며, 전방에는 제 1후진용 공압유입구(52)가 형성되고 후방은 작동실의 전방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실(82)(84)은 전방이 제 1전진용 작동실(22)과 연결되고 후방에 전진용 공압 유입구(46)가 형성되며, 피스톤(80)에 의하여 전방은 유압이 형성되는 전방 작동실(82)을 형성하고 후방은 공압이 형성되는 후방 작동실(84)을 형성한다.
상기 제 2작동실(32)(34)은 본체(1)의 후방에 형성되며 푸쉬 로드(31)가 상기 피스톤(80)을 관통하여 제 1 전진용 작동실(22)내로 전/후진하면서 유압을 형성 혹은 해제하는 가압 피스톤(30)에 의해 전방은 제 2후진용 작동실(34)로 후방은 제 2전진용 작동실(32)로 구획되고, 후방에는 제 1 전진용 공압 유입구(40)가 형성되며, 전방에는 제 1후진용 공압유입구(5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후진용 공압유입구(54)의 전방에는 제 2후진용 작동실(34)내부의 공압을 배출하는 공압배출구(56)와 후진용 공압을 제 1후진용 공압유입구(54)로 공급하는 제 1체크밸브(72)가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공압배출구(56)와 제 1체크밸브(72)사이에는 유입되는 공압에 의하여 전진중 고부하시에는 제 2후진용 공압유입구(54)와 공압배출구(56)를 연결하고, 후진시에는 제 2후진용 공압유입구(54)와 제 1체크밸브(72)를 연결하는 방향제어밸브(70)를 설치한다.
상기 방향제어밸브(70)는 본체(1)의 선단에 설치된 빠이롯드 밸브(60)에 의하여 공압을 제공받아 작동되며, 상기 빠이롯드 밸브(6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의 전방에 형성되고, 전방에는 별도의 공압유입구(이하 제 2 전진용 공압 유입구라 함 ; 42)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방향제어밸브(70)와 유로를 통해서 연결된 배출구(44)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슬라이드 피스톤(10)과 스프링(12)에 의하여 전/후진하면서 제 2전진용 공압유입구(42) 및 배출구(44)사이를 개폐하는 작동핀(61)이 제 1 후진용 작동실(24)내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작동핀(61)의 외주에는 내부의 경사면에 밀착 혹은 분리되면서 기밀을 유지시켜주거나 해제하는 패킹(62)이 설치되고, 빠이롯드 밸브(60)의 내부에는 작동핀(61)의 원복을 위한 스프링(63)이 설치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여 작동핀(61)은, 후진시와 전진 중 저부하 시에는 스프링(63)에 의하여 패킹(62)이 내주면에 밀착되어 제 2 전진용 공압유입구(42)에서 유입되는 공압이 내부공압통로(44)로 전달되는 것을 막고, 실린더 전진 중 고부하시에는 스프링(12)에 의해 전진된 슬라이드 피스톤(10)이 작동핀(61)을 누르면 스프링(63)이 압축되면서 후퇴하여 패킹(62)이 열리면서 제 2 전진용 공압유입구(42)로 유입된 공압이 패킹(62)을 지나 내부연결 통로(44)를 통하여 방향제어밸브(70)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제어 밸브(70)의 작동을 살펴보면, 후진상태에서는 제 1체크밸브(72)에 의하여 제 2 후진용 작동실(34)에 공급된 공압의 배출이 차단되고, 전진중 고부하시에는 빠이롯드 밸브(60)에 의해 작동되어 제 2 후진용 공압유입구(54)와 공압 배출구(56)를 서로 연통시켜 공압을 배출함으로써 가압 피스톤(30)을 작동시킨다.
한편, 도면중 미설명부호 33은 가압밀폐링을 나타낸다.
그리고, 14는 배기 통로로써, 슬라이드 피스톤(10)에 의해 제 1 후진용 작동실(24)과 구획되는, 스프링(12)이 위치한 공간과 연결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피스톤(10)을 통과한 공압이 제1 전진용 작동실(22)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데, 작동로드(21)를 관통하여 설치된 배기 통로(14)를 통하여 공압이 바로 배출되므로 스프링(12) 및 유입된 공압에 상관없이 항상 대기압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 1,2전진용 공압유입구 및 전진용 공압유입구는 전진용 공압탱크(미도시)와 연결되고 이들 상호간은 본체(1)의 내/외부에 형성되는 유로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거나 각자 전진용 공압탱크에 연결되며, 제 1 후진용 공압 유입구(52)와 제 2 후진용 공압 유입구(54)는 후진용 공압탱크(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80)에는 후방작동실(84)의 공압이 전방작동실(8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체크밸브(90) 혹은 피스톤(80)으로 유입된 오일을 밀폐시키는 밀폐링(16)을 택일적으로 설치하며 그 구성을 도 5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우선, 상기 제 2체크밸브(9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작동실(82)측으로 개방된 설치홈(91)과, 오일층을 형성하는 방지홈(97)과, 상기 설치홈(91)과 방지홈(97)을 연결하는 유압통로(96)와, 상기 설치홈(91)내로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시트(92), 스프링(93), 스틸볼(94), 볼시트(9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피스톤(80)이 전진할 경우나 작동 피스톤(20)이 후진할 경우에 전방작동실(82)의 오일이 볼시트(95)의 중앙에 위치한 구멍을 통해 스틸볼(94)을 밀어내고 유압통로(94)및 방지홈(97)으로 유입되면, 스프링(93)의 장력과 설치홈(91)으로 유입된 오일에 의해 스틸볼(94)이 볼시트(95)에 밀착되고, 유입된 오일은 스틸볼(94)에 의하여 설치홈(91)과 방지홈(97) 및 유압통로(96)에 갇히게 된다. 제 2체크밸브(90)에 갇힌 오일은 피스톤(80)의 내외경에 위치한 방지 홈(97)에 오일층을 형성하여 후방작동실(84)에서 전방작동실(82)로 유입되는 공압 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밀폐링(16)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스톤(80)의 내경 부위에 위치하여 전방 작동실(82)에서 유입되는 오일은 통과시키고 반대로 유출되는 오일은 밀폐시킴으로써, 제 2체크밸브(90)가 없어도 유압통로(96)로 서로 연통되어 있는 방지홈(97) 부위에 오일층이 형성되어 후방 작동실(84)에서 전방 작동실(82)로 공압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증압실린더의 동작을 하기에서 살펴본다.
먼저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피스톤(20)과 가압피스톤(30), 피스톤(80)이 모두 후퇴한 상태에서, 본체(1) 후방에 형성된 제 1 전진용 공압유입구 (40)를 통하여 공압이 유입되면, 공압이 1차적으로 가압피스톤(30)에 작용 하고, 내부 공압 배관을 통하여 피스톤(80)의 후방작동실(84)에 작용하여 피스톤(80)을 전진시키게 되며, 상기 피스톤(80)이 제 1 전진용 작동실(22)에 작용하여 작동 피스톤(20)을 전진시킨다.
이 때, 제 2 후진용 공압유입구(54)에 설치된 제 1체크밸브(72)에 의해 제 2 후진용 작동실(34)의 공압 배출통로가 차단되어 제 2 전진용 작동실(32)로 주입되는 공압이 가압피스톤(30)에 작용해도 가압피스톤(30)은 전진하지 못하고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피스톤(80)에 의하여 작동피스톤(20)이 일정 거 리만큼 전진한 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부하에 의하여 전진하지 못하게 되면, 작동피스톤(20)과 슬라이드 피스톤(10)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2)에 의하여 슬라이드 피스톤(10)만이 전진하여 본체(1) 전방에 위치한 빠이롯드 밸브 (60)의 제1 후진용 작동실(24)로 돌출된 작동핀(61)을 눌러서 후퇴시킨다. 이에 따라 작동핀(61)이 후퇴하면서 밀착되어 있던 패킹(62)부위가 열려, 제 2 전진용 공압유입구(42)로 공급되고 있던 공압이 패킹(62)을 통과하여 내부 공압 통로(44)로 전달되어 방향제어 밸브(70)를 작동시키고, 작동된 방향제어 밸브(70) 는 제 2 후진용 작동실(34)과 공압배출구(56)를 연통시킴으로써 제2 후진용 작동실(34)의 공압이 공압배출구(56)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가압피스톤(30)이 도 2에서 도 3 과 같이 전진하게 되므로 가압 피스톤(30)의 푸쉬 로드(31)는 밀폐링(33)을 지나 작동피스톤(20)을 전진시키는데, 이 때, 가압피스톤(30)이 끼워진 제 2 전진용 작동실(32)의 단면에 작용하던 공압 의 힘이 상대적으로 작은 푸쉬 로드(31)의 단면에 집중되고, 이 집중된 힘이 파스칼의 원리에 의하여 작동피스톤(20)의 제1 전진용 작동실(22)에 위치한 유압유의 전 면적에 작용하여 작동피스톤(20)은 큰 힘으로 전진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피스톤(20)의 전진 동작은 제 1 전진용 작동실(22) 및 전방 작동실(82)의 내부 유압유에 의한 힘보다 더 큰 저항력이 작동피스톤(20)에 작용하거나 가압피스톤(30)이 전진을 다 했을 때에 멈추게 된다.
상기 작동 피스톤(20)과 가압피스톤(30)의 후진동작은, 제 1 후진용 공압 유입구(52)와, 제 2 후진용 공압유입구(54)의 입구에 설치된 제 1체크밸브(72)를 통해 공압을 주입하면, 공압은 일단 제1 후진용 작동실(24)의 슬라이드 피스톤(10)에 작용하여 스프링(12)을 압축시키면서 슬라이드 피스톤(10)을 후진시켜 작동 피스 톤(20)에 도달하면 작동피스톤(20)을 후진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 1 전진용 작동 실(22) 내부의 유압유 압력이 상승하여 가압피스톤(30)의 푸쉬 로드(31) 종단면에 작용하여 푸쉬 로드(31)가 후진되고, 슬라이드 피스톤(10)이 후진하고 제 2 전진 용 공압유입구(42)로 유입되던 공압이 중단됨에 따라 작동핀(61)이 스프링 (63)에 의해 다시 전진하면서 패킹(62)이 경사면에 밀착되어 기밀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방향제어밸브(70)에 작용하던 압력이 제거되어 방향제어 밸브(70)가 원복 되면서 제 2후진용 공압유입구(54)가 제 1체크밸브(72)와 연통되고, 연통된 제 1체크밸브를 통해 제 2 후진용 작동실(34)로 유입된 공압은 가압피스톤(30)에 작용 하여 후퇴시킴으로써 후진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에 의하여 작동피스톤(20)과 가압피스톤(30)은 최대 후진점에 도달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작은 실린더 직경에 의해서도 큰 힘의 발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실린더의 직경이 작아 공압의 충진량이 적고, 충진 시간도 빨라 생산성 및 작동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저부하시와 고부하시에 따라 빠이롯드 밸브가 순차적으로 자동 개폐되므로 증압이 자동으로 전환되고, 제 2 후진용 작동실의 공압을 제어하여 고부하시에만 증압으로 전환되므로 정확한 동작전환이 가능하여 실린더의 오동작이 사전에 방지되며, 빠이롯드 밸브를 통과한 공압이 아닌 제 1 전진용 공압유입구로 유입되는 공압을 이용하여 가압피스톤이 전진하기 때문에 직경이 큰 실린더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가압속도가 신속해지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상기 구성의 작동피스톤에 설치된 배기통로와, 피스톤에 설치된 체크밸브에 의하여 제1 전진용 작동실 및 전방 작동실의 기포발생을 최소화 함으로써 역시 실린더의 고장과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증압 실린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상기 공압식 증압실린더의 저부하시 전진동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공압식 증압실린더의 고부하시 전진동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상기 공압식 증압실린더를 구성하는 빠이롯드 밸브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상기 공압식 증압실린더를 구성하는 체크밸브-1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상기 공압식 증압실린더를 구성하는 피스톤에 위치한 밀폐 링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10 : 슬라이드 피스톤
12 : 스프링 14 : 배기 통로
16 : 밀폐링 20 : 작동피스톤
21 : 작동 로드 22, 24 : 제 1 전/후진용 작동실
30: 가압피스톤 31 : 푸쉬로드
32, 34 : 제 2 전/후진용 작동실 40 : 제 1 전진용 공압유입구
42 : 제 2 전진용 공압 유입구 44, 46 : 내부 공압 통로
52 : 제 1 후진용 공압유입구 54 : 제 2 후진용 공압유입구
56 : 공압 배출구 60 : 빠이롯드 밸브
70 : 방향제어 밸브 72 : 제 1체크 밸브
80 : 피스톤 82, 84 : 전/후방 작동실
90 : 제 2체크밸브

Claims (3)

  1. 전방으로 후진용 공압이 공급되고 내부에 작동피스톤이 설치된 제 1작동실과, 내부에 피스톤이 설치되어 전방은 상기 제 1작동실의 후방과 연결되어 유압을 형성하고 피스톤의 후방으로 전진용 공압이 공급되는 작동실 및, 상기 피스톤을 관통하여 제 1작동실로 전/후진 되는 가압피스톤이 설치되고 전방으로는 후진용 공압이 공급되며 후방으로는 전진용 공압이 공급되는 제 2작동실을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후진용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체크밸브(이하 제 1체크밸브라 함)와 전진시 제 2작동실의 전방에 형성된 공압을 배출하기 위한 공압배출구를 상기 제 2작동실의 전방에 형성된 후진용 공압유입구(이하 제 2후진용 공압유입구라 함)의 전방에 병렬로 형성하고, 제 2후진용 공압유입구와 제 1체크밸브 혹은 공압배출구 사이에는 입력되는 공압에 의하여 제 2후진용 공압유입구와 연결된 유로가 제 1체크밸브 혹은 공압배출구로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방향 제어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작동피스톤의 작동로드 외주로 선단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스프링과 슬라이드 피스톤을 설치하고, 별도의 공압유입구와 상기 방향제어밸브에 연결된 유로의 개폐를 담당하는 작동핀이 스프링에 의하여 제 1작동실 내부로 돌출되도록 빠이롯드 밸브를 제 1작동실의 선단에 설치하여, 상기 슬라이드 피스톤과 스프링에 의하여 작동핀의 개폐가 기계식으로 제어되도록 하여,
    전진용 공압을 공급하면 제 1체크밸브와 빠이롯드 밸브가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피스톤과 작동피스톤만 전진하고, 이후 빠이롯드 밸브가 슬라이드 피스톤에 의하여 열리면서 방향제어 밸브를 작동시켜 제 2작동실의 전방에 형성된 공압이 공압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가압피스톤이 작동피스톤에 힘을 가하도록 하며, 후진용 공압을 공급하면 슬라이드 피스톤과 작동 피스톤이 후퇴하면서 빠이롯드 밸브는 닫히고 제 1체크밸브는 열리면서 공압이 제 1, 2 작동실의 전방으로 주입되도록 하여 작동피스톤과 가압피스톤을 원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증압실린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는 후방작동실의 공압이 전방작동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이하 제 2체크밸브라 함)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 2체크 밸브는 피스톤의 전방측으로 개방된 설치홈과, 오일층을 형성하는 방지홈과, 상기 설치홈과 방지홈을 연결하는 유압통로와, 상기 설치홈내로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되어 유압통로를 개폐하는 스프링 시트, 스프링, 스틸볼, 볼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증압실린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는 내/외경 부위에 오일층이 형성되는 방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방지홈과 오일통로로 연결되며 피스톤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오일은 통과시키고 반대로 유출되는 오일은 밀폐시켜 방지홈 부위에 오일층이 형성되어 피스톤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압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밀폐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증압실린더.
KR1020040026718A 2004-04-19 2004-04-19 공압식 증압 실린더 KR100733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718A KR100733766B1 (ko) 2004-04-19 2004-04-19 공압식 증압 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718A KR100733766B1 (ko) 2004-04-19 2004-04-19 공압식 증압 실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646A true KR20050101646A (ko) 2005-10-25
KR100733766B1 KR100733766B1 (ko) 2007-06-29

Family

ID=3728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718A KR100733766B1 (ko) 2004-04-19 2004-04-19 공압식 증압 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7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734B1 (ko) * 2006-10-27 2007-08-16 이능수 공기압을 이용한 유압 발생장치
CN103148046A (zh) * 2013-03-14 2013-06-12 西安交通大学 一种交流伺服直驱增压式三层活塞电动液压缸及增压方法
KR101950873B1 (ko) 2017-08-28 2019-02-21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공압실린더장치
KR20230039915A (ko) 2021-09-15 2023-03-22 윤석훈 개량된 직진 이송구조를 갖는 공압 실린더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185B1 (ko) 2011-06-01 2011-12-26 김형동 2단 공압 부스터를 이용한 부스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9404A (en) 1981-04-30 1982-11-05 Masabumi Isobe Cylinder device
JPS60260708A (ja) 1984-06-05 1985-12-23 Masabumi Isobe シリンダ−装置
JPH0560109A (ja) * 1991-08-26 1993-03-09 Sanyo Mach Works Ltd シリンダ
JPH09229014A (ja) * 1996-02-20 1997-09-02 Masabumi Isobe 外力が小さいときは低出力を外力が大きくなれば高出力を自動的に出すシリンダー装置
KR100296178B1 (ko) * 1998-11-04 2001-10-26 주재석 유압실린더
KR100380121B1 (ko) * 2000-03-15 2003-04-14 주재석 유압식 증압실린더
KR100530717B1 (ko) * 2002-03-11 2005-11-28 주재석 증압실린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734B1 (ko) * 2006-10-27 2007-08-16 이능수 공기압을 이용한 유압 발생장치
CN103148046A (zh) * 2013-03-14 2013-06-12 西安交通大学 一种交流伺服直驱增压式三层活塞电动液压缸及增压方法
KR101950873B1 (ko) 2017-08-28 2019-02-21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공압실린더장치
KR20230039915A (ko) 2021-09-15 2023-03-22 윤석훈 개량된 직진 이송구조를 갖는 공압 실린더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766B1 (ko) 200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8878B1 (ko) 쿠션기구가 부착된 실린더를 사용한 공작물의고속가압방법 및 그 기구
JP3375564B2 (ja) 倍力駆動パイロット形電磁弁
KR101655420B1 (ko) 부스터펌프 장치 일체형 증압실린더
KR100704958B1 (ko) 유압식 증압기
JPH0224066A (ja) 空気式締結装置
US4194436A (en) Speedup device for reciprocating cylinders
BR112021002800A2 (pt) intensificador de pressão
KR100733766B1 (ko) 공압식 증압 실린더
CN103958947A (zh) 液压式增压缸
CN110573750B (zh) 增压装置以及具备该增压装置的气缸装置
EP2497958A2 (en) Fluid operated actuation system
KR100486847B1 (ko) 증압 실린더
US11261885B2 (en) Fluid pressure cylinder
US3940937A (en) Intensifier
KR100530717B1 (ko) 증압실린더
JP4165295B2 (ja) 開閉弁及び開閉弁を有する打込機
KR20050045086A (ko) 증압 실린더
JP2019534433A (ja) 空気圧または油圧機構
JP2955220B2 (ja) インライン増圧装置
JP3451542B2 (ja) 油空圧変換増圧機の給油構造
JP5048696B2 (ja) エアシリンダ
CN219605692U (zh) 一种新型坑道钻机用背压阀
JP3748931B2 (ja) 液圧シリンダの方向切換装置
JP7436426B2 (ja) 増圧装置
JPH0219664A (ja) 圧力気体による液圧ポ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310

Effective date: 200705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