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5086A - 증압 실린더 - Google Patents

증압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5086A
KR20050045086A KR1020030079029A KR20030079029A KR20050045086A KR 20050045086 A KR20050045086 A KR 20050045086A KR 1020030079029 A KR1020030079029 A KR 1020030079029A KR 20030079029 A KR20030079029 A KR 20030079029A KR 20050045086 A KR20050045086 A KR 20050045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cylinder
chamber
cas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범
김대영
주재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하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하이시스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9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5086A/ko
Publication of KR20050045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08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 F15B2211/7052Single-acting output members

Landscapes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 실린더와 유압 실린더의 장점을 극대화한 증압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실린더 케이스의 선단에 기계식으로 개폐가 제어되는 파일럿 밸브를 설치하고, 증압기 케이스의 내부 가압 피스톤을 구동하기 위한 방향제어밸브를 더 설치하여, 전진 중, 저부하 시에는 파일럿 밸브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작동 피스톤만 전진하도록 하고, 전진 중, 고부하 시에는 파일럿 밸브가 열리면서 방향제어밸브를 작동시켜 가압 피스톤이 작동 피스톤에 힘을 가하도록 하며, 후진 시 에는 파일럿 밸브는 닫히고 제1, 2후진 작동실에 공압이 주입되어 작동 피스톤과 가압 피스톤을 원복시킴으로써 증압 실린더의 전후진을 신속하게 함과 아울러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증압 실린더 {Pressure Intensifying Cylinder}
본 발명은 공유압 작동식 증압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 전 분야에서 널리 사용하는 공압 실린더의 고부하시의 성능 및 출력을 향상시킨 증압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압 실린더와 유압 실린더는 대부분 가압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에서도 주로 클램프기구, 압축기구, 콕킹기구 등에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클램프기구나 압축기구는, 작동개시 시에는 큰 작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작동의 종료부근에서 큰 작동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가압용으로 사용되는 실린더의 경우, 작동로드의 작동 종료부근에서 더욱 큰 작동력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어 실린더의 크기를 결정할 때에는 작동 종료부근에서 큰 작동력을 얻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큰 직경과 중량의 실린더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직경과 중량이 큰 실린더를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동작패턴이 느려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되고, 많은 양의 공압 또는 유압유를 필요로 하여 에너지 손실은 물론 소요경비가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린더에 유압 혹은 공압을 공급하는 관로 상에 부스터장치를 추가하여 작동로드의 작동 종료부근에서 더욱 높은 압력을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그 작동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 실린더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 또한, 구조가 복잡하고 적어도 4개 이상의 전자밸브와 가변펌프 및 제어장치 등을 구비하여야 하였으므로 가격이 비싸고, 고장 발생률이 높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에 비하여 출력이 크고, 에너지 효율이 높으며, 보다 간소화된 구성의 증압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압 및 후퇴작동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증압 및 후퇴작동을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증압 실린더의 작동 정밀도를 높이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증압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린더 케이스와 증압기 케이스가 각각 후방에서 연결 하우징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실리더 케이스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실린더 케이스 내에서 작동로드 상에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 케이스 내부를 제1전진 및 후진 작동실로 구획하는 작동 피스톤과; 상기 작동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실리더 케이스의 제1후진 작동실 내에서, 상기 작동로드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작동 피스톤과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탄성 지지되는 슬라이드 피스톤과; 상기 증압기 케이스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증압기 케이스 내부 공간부를 공압 작동실과,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부 유압통로를 통하여 실린더 케이스 내의 제1전진 작동실과 연결되는 작동압실로 양분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에 의해 양분되는 증압기 케이스의 상기 공압 작동실을 제2전진 및 후진 작동실로 구획하는 가압 피스톤과; 상기 지지블록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가압 피스톤과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압실에 배치되는 푸시로드와; 상기 증압기 케이스의 작동압실 내에서, 상기 푸시로드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압실을 유압 작동실과 공압 작동실로 구획하는 유압 피스톤과; 상기 제2전진 작동실로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관로 상의 일측에 장착되어 제어공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압 공급을 단속하는 방향제어밸브와; 상기 실린더 케이스의 전방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 피스톤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방향제어밸브에 제어공압을 공급하는 파일럿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압 실린더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본체가 실린더 케이스(1)와 증압기 케이스(3)가 각각 후방에서 연결 하우징(5)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 케이스(1)에는 작동로드(7)가 종방향으로 실린더 케이스(1)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케이스(1) 내에서 작동로드(7) 상에는 작동 피스톤(9)이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 케이스(1) 내부를 제1전진 작동실(11)과 제1후진 작동실(13)로 구획한다.
상기 작동 피스톤(9)에 의해 구획되는 실린더 케이스(1)의 제1후진 작동실(13) 내에는 상기 작동로드(7)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슬라이드 피스톤(15)이 장착되며, 상기 작동 피스톤(9)과의 슬라이드 피스톤(15) 사이에는 탄성부재인 코일 스프링(17)이 개재되어 상기 작동 피스톤(9)에 대해 슬라이드 피스톤(15)을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상기 작동로드(7)는 작동 피스톤(9)을 기준으로 하여 그 후방 내부에 대기압과 연결되는 배기통로(19)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 피스톤(9)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통로(19)와 연결되어 그 외주면과 실린더 케이스(1) 내벽면 사이에 완충실(21)을 형성한다.
상기 증압기 케이스(3)의 중앙부에는 지지블록(23)이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블록(23)은 증압기 케이스(3) 내부 공간부를 전방의 공압 작동실과, 상기 연결 하우징(5)의 내부 유압통로(25)를 통하여 실린더 케이스(1) 내의 제1전진 작동실(11)과 연결되는 후방의 작동압실로 양분하여 구획한다.
상기 지지블록(23)에 의해 양분되는 증압기 케이스(3)의 상기 공압 작동실 내에는 가압 피스톤(27)이 설치되어 상기 공압 작동실을 제2전진 작동실(29) 및 제2후진 작동실(31)로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23)에는 푸시로드(33)가 이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가압 피스톤(27)과 일체로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작동압실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증압기 케이스(3)의 작동압실 내에서, 상기 푸시로드(33) 상에는 유압 피스톤(35)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압실을 유압 작동실(37)과 공압 작동실(39)로 구획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케이스(1) 내 제1전진 작동실(11)과 연결 하우징(5) 내 유압통로(25), 및 증압기 케이스(3) 내 유압 작동실(37) 내에는 유압유가 충진되어 작동압으로 유압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케이스(1) 내 제1후진 작동실(13)과, 증압기 케이스(3) 내 제2전진 작동실(29) 및 제2후진 작동실(31)과 공압 작동실(39) 내에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여 작용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케이스(1)의 전방 일측에는 제1후진 작동실(13)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해 공압관로(AL)와 연결되는 제1후진 공압 유입구(41)가 형성되고, 상기 증압기 케이스(3) 내부의 지지블록(23) 상에는 상기 증압기 케이스(3) 내 공압 작동실(39)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해 공압관로(AL)와 연결되는 제1전진 공압 유입구(43)와, 상기 증압기 케이스(3) 내 제2후진 작동실(31)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해 공압관로(AL)와 연결되는 제2후진 공압 유입구(45)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증압기 케이스(3)의 전방 일측에는 상기 증압기 케이스(3) 내 제2전진 작동실(29)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해 공압관로(AL)와 연결되는 제2전진 공압 유입구(47)가 형성된다.
상기 유압 작동실(37)에 대응하는 연결 하우징(5)의 내부 유압통로(25)의 일측에는 상기 푸시로드(33)의 타단이 유압통로(25)를 밀폐시키면서 전진하도록 밀폐링(49)이 설치된다.
또, 상기 유압 피스톤(35)의 내측에는 상기 증압기 케이스(3)의 유압 작동실(37)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체크밸브(51)가 장착되는데, 상기 체크밸브(51)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압 피스톤(35) 내에 상기 유압 작동실(37)을 향하여 배기구(53)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압 피스톤(35)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구(53)를 개폐하는 고무캡(55)이 설치되며, 상기 고무캡(55)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57)과, 상기 유압 피스톤(35)에 체결되어 리턴 스프링(57)을 고정하며, 내부에는 관통구(59)를 형성하여 기포를 배출하는 고정너트(6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무캡(55)은 상기 배기구(53)에 대응하여 콘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후단부는 상기 리턴 스프링(57)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리턴 스프링(57)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전진 작동실(29)로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관로(AL) 상의 일측에는 방향제어밸브(70)가 장착되어 제어공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압 공급을 단속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 케이스(1)의 전방 일측에는 파일럿 밸브(80)가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 피스톤(15)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상기 방향제어밸브(70)에 제어공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방향제어밸브(70)는 제2전진 작동실(29)과 공압관로(AL)를 상기 파일럿 밸브(8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공압에 의해 직결하거나, 차단하는 2웨이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이럿 밸브(8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 케이스(1)의 전방 일측에 밸브 하우징(81)이 장착되며, 이 밸브 하우징(81)의 내부에는 소직경부(82)와 대직경부(83)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소직경부(82)와 대직경부(83)에는 각각 공압 배출구(84) 및 공압 유입구(8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밸브 하우징(81)의 소직경부(82)와 대직경부(83)는 경사면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밸브 하우징(81)의 내부에는 종방향으로 밸브 스풀(86)이 설치되는데, 상기 밸브 스풀(86)은 그 일단이 상기 소직경부(82)를 통하여 실린더 케이스(1)의 제1후진 작동실(13)의 전방으로 관통하여 슬라이드 피스톤(15)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밸브 스풀(86)은 그 타단이 상기 밸브 하우징(81) 내부에서 밸브 스프링(87)에 의해 탄성력으로 지지되며, 상기 밸브 스프링(87)을 지지하도록 밸브캡 (88)이 상기 밸브 하우징(81)에 체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 스풀(86)의 일측에는 패킹(89)이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소직경부(82)에 작용하여 내부유로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증압 실린더의 작동을 도 1내지 도 5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완충실(21)은 작동 피스톤(9)이 전후진 중 에어가 제1전진 작동실(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 완충실(21)은 작동로드(7)의 배기통로(19)를 통하여 공압이 바로 배출되므로 항상 대기압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파일럿 밸브(80)의 작동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스풀(86)이 작동로드(7)의 후진 시와 전진 중, 저부하 시에는 밸브 스프링 (87)에 의하여 밸브 스풀(86)상의 패킹(89)이 소직경부(82)에 밀착되어 공압 유입구(85)로 유입되는 공압이 공압 배출구(84)로 전달되는 것을 막고, 상기 작동로드(7)의 전진 중, 고부하 시에는 코일 스프링(17)에 의해 전진된 슬라이드 피스톤(15)이 밸브 스풀(86)을 누르면, 밸브 스프링(87)이 압축되면서 후퇴하여 패킹(89)이 대직경부(83)로 이동하여 유로가 열리면서 공압 유입구(85)로 유입된 공압이 공압 배출구(84)를 통하여 방향제어밸브(70)에 제어공압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방향제어밸브(70)는 제2전진 공압 유입구(47)의 입구에서 전진 중, 고부하 시, 파일럿 밸브(80)의 제어공압에 의해 작동되어 제2전진 공압 유입구(47)로 공압을 공급함으로써 가압 피스톤(27)을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51)는 작동 피스톤(9)이 전진하는 동안, 공압 작동실(39)에 작용하는 공압에 의해 고무캡(55)이 배기구(53)를 막게 되며, 작동 피스톤(9)이 후진하거나 제1전진 작동실(11) 및 유압 작동실(37)에 기포가 발생하여 내압이 상승할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고무캡(55)이 리턴 스프링(57)을 밀어내어 배기구(53)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압 작동실(37) 내의 기포가 공압 작동실(39)를 통해 제1전진 공압 유입구(43)로 배출되도록 작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파일럿 밸브(80), 방향제어밸브(70) 및 체크밸브(51)의 작동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압 실린더의 동작은, 먼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피스톤(9)과 가압 피스톤(27), 및 유압 피스톤(35)이 모두 후퇴한 상태로, 제1후진 공압 유입구(41)와 제2후진 공압 유입구(45)를 통하여 후진용 공압이 제1후진 작동실(13)과 제2후진 작동실(31)에 각각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해제됨과 동시에, 증압기 케이스(3) 내 지지블록(23)에 형성된 제1전진 공압 유입구(43)를 통하여 미도시된 에어탱크의 공압이 유입되면, 공압이 1차적으로 공압 작동실(39)에 작용하여 유압 피스톤(35)을 전진시키게 되며, 상기 유압 피스톤(35)의 전진에 따라 유압 작동실(37) 내의 유압이 제1전진 작동실(11)에 작용하여 작동 피스톤(9)을 전진시킨다.
이 때, 제2전진 공압 유입구(47)에 설치된 방향제어밸브(70)에 의해 제2전진 작동실(29)로는 공압공급이 차단되어 가압 피스톤(27)은 전진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압 피스톤(35)에 의하여 작동 피스톤(9)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한 후,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로드(7)에 고부하가 걸려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작동 피스톤(9)과 슬라이드 피스톤(15) 사이에서 상기 제1후진 작동실(13)의 후진용 공압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코일 스프링(17)이 제1후진 작동실(13) 내에서 상기 후진용 공압이 해제됨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슬라이드 피스톤(15)을 전진시켜 파일럿 밸브(80)의 밸브 스풀(86)을 눌러서 후퇴시킨다.
그러면, 상기 파일럿 밸브(80)의 밸브 스풀(86)은 후퇴하면서 소직경부(82)에 밀착되어 있던 패킹(89)을 대직경부(83)로 이동시켜 공압유로를 형성함으로써, 그 공압 유입구(85)로 공급되고 있던 공압이 공압 배출구(84)를 통하여 방향제어밸브(70)에 제어공압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방향제어밸브(70)는 그 유로를 변경하여 제2전진 공압 유입구(47)를 통해 제2전진 작동실(29)에 공압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가압 피스톤(27)은 도 3에서와 같이, 전진하게 된다.
상기 가압 피스톤(27)의 전진으로 푸시로드(33)는 밀폐링(49)을 통하여 진입하면서, 상기 연결 하우징(5)의 내부 유압통로(25)에 충진된 유압유를 압축하게 되는데, 이 때, 가압 피스톤(27)이 구성된 제2전진 작동실(29)의 단면에 작용하던 공압의 힘이 상대적으로 작은 푸시로드(33)의 단면에 집중되고, 이 집중된 힘이 파스칼의 원리에 의하여 제1전진 작동실(11)에서 충진된 유압유가 작동 피스톤(9)의 전면적에 작용하여 작동 피스톤(9)은 더 큰 힘으로 전진구동 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동 피스톤(9)의 전진 동작은 제1전진 작동실(11) 및 유압 작동실(37)의 내부 유압유에 의한 힘보다 더 큰 저항력이 작동 피스톤(9)에 작용하거나 가압 피스톤(27)이 전진구동을 종료했을 때에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피스톤(9)과 가압 피스톤(27)의 후진동작은, 상기 증압기 케이스(3) 내 지지블록(23)에 형성된 제1전진 공압 유입구(43)로 공급하던 전진용 공압을 해제하고, 동시에 제1후진 공압 유입구(41)와 제2후진 공압 유입구(45)에 공압을 주입하면, 공압은 일단 제1후진 작동실(13)의 슬라이드 피스톤(15)에 먼저 작용하고, 상기 슬라이드 피스톤(15)이 그 코일 스프링(17)을 압축하면서 후진하여 작동 피스톤(9)과 함께, 후퇴된다.
이 때, 상기 파일럿 밸브(80)는 밸브 스풀(86)이 리턴 스프링(87)에 의해 복원되어 방향제어밸브(70)로 공급하던 제어공압을 다시 차단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방향제어밸브(70)는 유로를 변경하여 상기 제2후진 작동실(31)로 공급하던 공압을 차단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1전진 작동실(11) 내부의 유압유는 압력이 상승하여 가압 피스톤(27)과 연결된 푸시로드(33)의 종단면에 작용하고, 제2후진 공압 유입구(45)를 통하여 제2후진 작동실(31)로 유입되어 있던 공압은 가압 피스톤(27)의 후퇴작동에 의해 배출되어 작동 피스톤(9)과 가압 피스톤(27)이 최대 후진점에 도달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증압 실린더는 실린더 직경에 비하여 큰 힘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실린더의 직경이 작아 공압의 충진량이 적고, 충진시간도 빨라 생산성 및 작동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저부하 및 고부하 시에 따라 파일럿 밸브가 순차적으로 자동 개폐됨으로 제2전진 작동실로 유입되는 공압을 제어하여 가압 피스톤에 의한 작동 피스톤의 증압을 고부하 시에만 전환되도록 하여 정확한 동작전환이 가능하여 실린더의 오동작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일럿 밸브를 통과한 공압이 아닌 제2전진 공압 유입구로 바로 유입되는 공압을 이용하여 가압 피스톤이 전진구동하도록 하여 직경이 큰 실린더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가압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작동 피스톤에 구성된 완충실과, 유압 피스톤에 설치된 체크밸브에 의하여 제1전진 작동실 및 유압 작동실의 기포발생을 최소화하고, 조기에 제거함으로써 실린더의 고장과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압 실린더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압 실린더의 저부하시 작동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압 실린더의 고부하시 작동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압 실린더의 파일럿 밸브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압 실린더의 배기용 체크밸브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17)

  1. 실린더 케이스와 증압기 케이스가 각각 후방에서 연결 하우징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실리더 케이스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실린더 케이스 내에서 작동로드 상에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 케이스 내부를 제1전진 및 후진 작동실로 구획하는 작동 피스톤과;
    상기 작동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실리더 케이스의 제1후진 작동실 내에서, 상기 작동로드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작동 피스톤과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탄성 지지되는 슬라이드 피스톤과;
    상기 증압기 케이스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증압기 케이스 내부 공간부를 공압 작동실과,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부 유압통로를 통하여 실린더 케이스 내의 제1전진 작동실과 연결되는 작동압실로 양분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에 의해 양분되는 증압기 케이스의 상기 공압 작동실을 제2전진 및 후진 작동실로 구획하는 가압 피스톤과;
    상기 지지블록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가압 피스톤과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압실에 배치되는 푸시로드와;
    상기 증압기 케이스의 작동압실 내에서, 상기 푸시로드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압실을 유압 작동실과 공압 작동실로 구획하는 유압 피스톤과;
    상기 제2전진 작동실로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관로 상의 일측에 장착되어 제어공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압 공급을 단속하는 방향제어밸브와;
    상기 실린더 케이스의 전방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 피스톤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방향제어밸브에 제어공압을 공급하는 파일럿 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케이스 내 제1전진 작동실, 연결 하우징 내 유압통로, 및 증압기 케이스 내 유압 작동실 내에는 유압유가 충진되어 작동압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케이스 내 제1후진 작동실, 증압기 케이스 내 제2전진 및 후진 작동실과 공압 작동실 내에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여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케이스의 전방 일측에는
    제1후진 작동실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해 공압관로와 연결되는 제1후진 공압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압기 케이스 내부의 지지블록 상에는
    상기 증압기 케이스 내 공압 작동실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해 공압관로와 연결되는 제1전진 공압 유입구와;
    상기 증압기 케이스 내 제2후진 작동실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해 공압관로와 연결되는 제2후진 공압 유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압기 케이스의 전방 일측에는
    상기 증압기 케이스 내 제2전진 작동실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해 공압관로와 연결되는 제2전진 공압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는 작동 피스톤을 기준으로 하여 그 후방 내부에 대기압과 연결되는 배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 피스톤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통로와 연결되어 그 외주면과 실린더 케이스 내벽면 사이에 완충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피스톤과 상기 작동 피스톤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 작동실에 대응하는 연결 하우징의 내부 유압통로의 일측에는 상기 푸시로드의 타단이 유압통로를 밀폐시키면서 전진하도록 밀폐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 피스톤의 내측에는
    상기 증압기 케이스의 유압 작동실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유압 피스톤 내에 상기 유압 작동실을 향하여 관통되는 배기구와;
    상기 유압 피스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고무캡과;
    상기 고무캡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유압 피스톤에 체결되어 리턴 스프링을 고정하며, 내부에는 관통구를 형성하여 기포를 배출하는 고정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무캡은
    상기 배기구에 대응하여 콘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단부는 상기 리턴 스프링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제2전진 작동실과 공압관로를 상기 파일럿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제어공압에 의해 직결하거나, 차단하는 2웨이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럿 밸브는
    상기 실린더 케이스의 전방 일측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소직경부와 대직경부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소직경부와 대직경부에는 각각 공압 배출구 및 공압 유입구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소직경부를 통하여 실린더 케이스의 제1후진 작동실의 전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피스톤을 향하여 돌출되는 밸브 스풀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 스풀의 타단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과;
    상기 밸브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밸브 스프링을 지지하는 밸브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16. 청구항 15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의 소직경부와 대직경부는
    경사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17. 청구항 15 있어서, 상기 밸브 스풀의 일측에는
    패킹이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 실린더.
KR1020030079029A 2003-11-10 2003-11-10 증압 실린더 KR20050045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029A KR20050045086A (ko) 2003-11-10 2003-11-10 증압 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029A KR20050045086A (ko) 2003-11-10 2003-11-10 증압 실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086A true KR20050045086A (ko) 2005-05-17

Family

ID=3724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029A KR20050045086A (ko) 2003-11-10 2003-11-10 증압 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50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7124A1 (ko) * 2013-03-04 2014-09-12 Ju Jae Seak 부스터펌프장치 일체형 유압식 증압실린더
KR20160115510A (ko)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하이시스 부스터 펌프를 일체로 구비한 유압실린더
CN110285109A (zh) * 2019-05-24 2019-09-27 南京蒙福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气动控制阀及气液压力转换控制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7124A1 (ko) * 2013-03-04 2014-09-12 Ju Jae Seak 부스터펌프장치 일체형 유압식 증압실린더
KR20140108860A (ko) * 2013-03-04 2014-09-15 주재석 부스터펌프장치 일체형 유압식 증압실린더
KR20160115510A (ko)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하이시스 부스터 펌프를 일체로 구비한 유압실린더
WO2016159482A1 (ko)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하이시스 부스터 펌프를 일체로 구비한 유압실린더
CN107660258A (zh) * 2015-03-27 2018-02-02 郭仓淳 增压泵一体整合式液压缸
CN107660258B (zh) * 2015-03-27 2019-08-09 郭仓淳 增压泵一体整合式液压缸
CN110285109A (zh) * 2019-05-24 2019-09-27 南京蒙福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气动控制阀及气液压力转换控制装置
CN110285109B (zh) * 2019-05-24 2020-09-04 南京蒙福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气动控制阀及气液压力转换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31783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вода гидро(пневмо)цилиндра
KR101655420B1 (ko) 부스터펌프 장치 일체형 증압실린더
US7011192B2 (en) Air cylinder with high frequency shock absorber and accelerator
CZ295658B6 (cs) Zařízení pro úsporu energie
KR100704958B1 (ko) 유압식 증압기
CN103958947A (zh) 液压式增压缸
US4196788A (en) Device for propelling a liquid projectile in a liquid medium with a view to creating a shock wave
US3502001A (en) Fluid operated cylinder
KR20050045086A (ko) 증압 실린더
EP3835600B1 (en) Hydraulic cylinder
KR100733766B1 (ko) 공압식 증압 실린더
KR100486847B1 (ko) 증압 실린더
US11261885B2 (en) Fluid pressure cylinder
FI96132B (fi) Paineväliaineella toimiva laite ja pumppu
JP2019534433A (ja) 空気圧または油圧機構
KR100530717B1 (ko) 증압실린더
JP2955220B2 (ja) インライン増圧装置
KR101712262B1 (ko) 부스터 펌프를 일체로 구비한 유압실린더
KR102185198B1 (ko) 유압과 공압으로 작동하는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CN218348438U (zh) 一种气液联动执行机构
JP5048696B2 (ja) エアシリンダ
JPS5928138Y2 (ja) 圧力流体動力装置
SU655823A1 (ru) Пневмогидроударник
SU203134A1 (ru) Повышающий редуктор
SU954642A1 (ru)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мультиплик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