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8359A -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8359A
KR20050098359A KR1020040023367A KR20040023367A KR20050098359A KR 20050098359 A KR20050098359 A KR 20050098359A KR 1020040023367 A KR1020040023367 A KR 1020040023367A KR 20040023367 A KR20040023367 A KR 20040023367A KR 20050098359 A KR20050098359 A KR 20050098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ation
mediated
ozone
organic waste
wast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4055B1 (ko
Inventor
문일식
Original Assignee
문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일식 filed Critical 문일식
Priority to KR102004002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0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adapted for cushioning imp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유기폐액이 매개이온에 의한 전기화학적인 매개산화가 수행되는 매개산화반응조(10); 상기 매개산화반응조(10)의 미반응 유기폐액이 매개이온에 의한 전기화학적인 매개산화와 오존발생기(50)로부터 발생되는 오존을 이용한 산화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오존이 환원된 매개이온을 산화시키는 반응이 수행되는 복합산화반응조(20); 정류기(34)로부터의 전류에 의하여 상기 복합산화반응조(20)로부터 유입되는 환원된 매개이온이 산화되는 아노드실(31), 아노드실(31)로부터 전자를 받아 캐소드액을 환원시키는 캐소드실(32) 및 상기 아노드실(31)과 캐소드실(32)의 사이에 격막(33)이 구비된 전해셀(30); 상기 캐소드실(32)로부터 유출되는 환원된 캐소드액을 오존발생기(50)로부터 공급되는 오존 또는 산소를 접촉시켜 산화시키고 환원된 캐소드액이 다시 전해셀(30)의 캐소드실로 유입되도록 하는 환원재생조(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를 병용함과 동시에 일체형 스크러버식 산화반응조를 적용함으로서 유기폐액의 산화효율을 증가시켜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폐액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장치가 단순화되어 초기 장치 투자비와 운전의 용이성이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Apparatus for Hybrid Mediated Oxidation of Destroying Organic Wastes by Electrochemical and Ozone Oxidation}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화학공정에서 유기폐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발생하는 유기폐액들은 소각하여 제거하거나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산화시켜 제거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폐액의 소각은 소각장치의 부식이 발생하여 유지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소각시 다이옥신이나 질소산화물 등 2차 오염원을 발생시켜 소각장치 주변의 주민들의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어 소각장치를 위한 부지의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폐기물 처리에 대한 환경기준이 강화되면서 유기폐액의 처리에 대한 많은 관심이 있어오고 있다.
미국특허공보 제5,420,088호에는 폐고체촉매 물질로부터 촉매물질을 회수하는 방법으로 전기화학 셀에서 세륨이온을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이 반응을 유기폐액의 산화처리에 적용한 것으로 국제공개특허공보 97/38943호에는 초음파 혼합기로 혼합한 아노드액에 고농도의 세륨이온을 가하고 전기화학 셀을 이용하여 아노드액 중의 유기물질을 산화하는 매개이온을 이용한 전기화학적인 매개산화반응을 통하여 유기폐액을 처리하는 공정이 공지되었으나, 상기 공정은 기액 산화반응등이 충분하지 않아 유기폐액의 충분한 산화반응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최근 국제공개특허공보 99/28239호에서는 유기폐액을 물과 산의 에멀젼 상태에 세륨 4가 양이온을 첨가하여 세륨 4가 이온의 산화력을 이용한 유기폐액의 매개산화반응을 통하여 유기폐액을 이산화탄소와 물로 전환시키는 공정이 개시되었으나, 이 공정은 지나치게 많은 장치구성으로 인하여 초기 투자비가 많이 들뿐만 아니라 장치의 유지보수 및 운용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유기폐액을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를 병용하여 분해함과 동시에 상기 오존을 이용하여 매개산화공정 중 환원된 매개이온을 산화시키는 반응을 수행하도록 하며, 일체형 스크러버식 산화반응조를 적용함으로서 유기폐액의 산화효율을 증가시켜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폐액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전해셀에서 산화시켜야 하는 매개이온 양이 적어짐으로 인하여 장치가 단순화되어 초기 장치 투자비와 운전의 용이성이 있는 환경친화적인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세하게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를 병용함과 동시에 상기 오존을 이용하여 매개산화공정 중 환원된 매개이온을 산화시키는 반응을 수행하도록 하며, 일체형 스크러버식 산화반응조를 적용함으로서 유기폐액의 산화효율을 증가시켜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폐액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유기폐액이 매개이온에 의한 전기화학적인 매개산화가 수행되는 매개산화반응조(10); 상기 매개산화반응조(10)의 미반응 유기폐액이 매개이온에 의한 전기화학적인 매개산화와 오존발생기(50)로부터 발생되는 오존에 의하여 산화됨과 동시에 상기 오존이 환원된 매개이온을 산화시키는 반응이 수행되는 복합산화반응조(20); 정류기(34)로부터의 전류에 의하여 상기 복합산화반응조(20)로부터 유입되는 환원된 매개이온이 산화되는 아노드실(31), 아노드실(31)로부터 전자를 받아 캐소드액을 환원시키는 캐소드실(32) 및 상기 아노드실(31)과 캐소드실(32)의 사이에 격막(33)이 구비된 전해셀(30); 상기 캐소드실(32)로부터 유출되는 환원된 캐소드액을 오존발생기(50)로부터 공급되는 오존 또는 산소를 접촉시켜 산화시키고 환원된 캐소드액이 다시 전해셀(30)의 캐소드실로 유입되도록 하는 환원재생조(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개이온으로 이용하는 이온으로는 전이금속 또는 전이금속 화합물이 적절하며, 특히 Ce4+, Ag2+, Co3+, Mn3+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산화력 면이나 공정의 운용면에서 Ce4+, Ag2+이 더 바람직하고 Ce4+ 이온의 화합물로는 Ce(NO3)4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매개 이온은 질산 또는 황산 수용액 상에 용해되어 유기폐액을 매개산화반응에 의하여 산화시키고 자신은 환원된 후에 전해셀(30)의 아노드실(31)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산화되어 다시 순환되는 과정을 거치며, 매개이온의 농도는 0.5M 내지 1.6M이며, 바람직하기는 0.8M 내지 1.5M이다.
전해셀(30)의 캐소드실(32)에서는 아노드실(31)에서의 매개이온의 산화와 동시에 캐소드액이 환원되게 되며, 상기 캐소드액은 HNO3 또는 H2SO4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이때 매개산화반응의 온도는 상온 내지 100℃에서 수행하며, 바람직하기로는 70℃ 내지 100℃가 바람직하며, 캐소드액의 운전온도는 상온 내지 70℃가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매개산화공정의 장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매개산화공정의 장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매개산화공정의 장치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에서 유기폐액의 산화반응은 유기폐액 저장조로부터 유기폐액 인입펌프(51)에 의하여 유입된 유기폐액을 매개이온에 의한 전기화학적인 매개산화반응를 수행하는 매개산화반응조(10)와 상기 매개산화반응조(10)의 상부에서 오버플로어에 의하여 유입되는 미반응 유기폐액을 매개이온에 의한 전기화학적인 매개산화반응과 오존발생기(50)로부터 발생되는 오존을 이용한 산화반응이 동시에 수행되며, 매개산화반응조(10)와 복합산화반응조(20)에서의 매개산화반응과정에서 환원된 매개이온이 오존에 의하여 다시 산화되는 과정이 복합산화반응조(20)에서 이루어진다.
매개산화반응조(10)는 유입된 유기폐액을 매개이온에 의하여 매개산화시키는 액상산화반응조(11)와 상기 액상산화반응조(11)의 상단에 위치하여 전해셀(30)의 아노드실(31)로부터 유출되는 매개이온이 유입되어 액상산화반응조(11)와 복합산화반응조(20)로부터 발생하는 기체를 매개산화시키는 스크러버(15)가 구비되며, 스크러버(15) 상단에 환류기(16)가 구비되고, 매개산화반응은 고온에서 반응이 빨리 일어나므로 매개산화반응조(10)는 온도조절을 할 수 있는 자켓(14)이 구비된다.
매개산화반응조(10)의 액상산화반응조(11)로 유입되는 유기폐액과 액상산화반응조(11) 상단에 위치한 스크러버(15)에 유입된 매개이온이 직접 혼합되면서 매개산화반응이 일어나도록 스크러버(15)의 하단으로부터 액상산화반응조(11)의 하부로 매개이온 유입관(13)이 구비되며, 유기폐액과 매개이온이 혼합되는 액상산화반응조(11)의 하부에 초음파 혼합기를 구비하여 유기폐액과 매개이온이 충분히 혼합되어 매개산화반응이 일어나도록 한다.
액상산화반응조(11)의 상부에서 오버플로우어 되어 복합산화반응조(20)로 유출되는 라인에 매개이온의 환원정도를 측정하는 매개이온 농도측정기(17)를 구비하여 상기 매개이온 농도측정기(17)에서 측정되는 매개이온에서의 매개이온과 환원된 매개이온의 양이온의 비율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유기폐액 인입펌프(51)를 제어하도록 하여 매개산화반응조(10)의 적정 매개산화를 유지하도록 한다.
액상산화반응조(11)의 상부에서 오버플로우어 되는 매개이온과 미산화 유기폐액을 포함하는 유출액와 함께 전해셀(30)의 아노드실(31)로부터 유출되는 매개이온이 복합산화반응조(20)로 유입되고 상기 복합산화반응조(20)의 하단에는 매개산화반응과 함께 오존에 의한 유기폐액의 산화와 매개이온의 산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오존발생기(50)로부터 유입되는 오존을 확산시키는 산기관(21)이 구비된다.
복합산화반응조(20)에서 발생하는 기체는 복합산화반응조(20)의 상단으로부터 유출되어 매개산화반응조(10)의 액상산화반응조(11)의 상단에서 유출되는 기체와 함께 액상산화반응조(11)의 상단에 위치한 스크러버(15)의 하단으로 유입된다.
전해셀(30)은 정류기(34)로부터의 전류에 의하여 상기 복합산화반응조(20)의 하단으로부터 공급펌프(52)에 의하여 유입되는 환원된 매개이온이 산화되는 아노드실(31), 아노드실(31)로부터 전자를 받아 캐소드액을 환원시키는 캐소드실(32) 및 상기 아노드실(31)과 캐소드실(32)의 사이에 격막(33)이 구비되며, 전해셀(30)의 격막은 수소이온이 아노드실(31)에서 캐소드실(32)으로 이동할 수 있는 다공성 격막이 바람직하다.
캐소드실(31)에서 산화된 매개이온은 앞서 언급한바 있듯이 복합산화반응조(20)의 상단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매개산화반응조(10)의 스크러버(15) 상단으로 공급되며, 복합산화반응조(20)와 매개산화반응조(10)로 공급되는 매개이온의 적절한 공급을 위하여 유량계(54)가 구비된다.
상기 캐소드실(32)로부터 유출되는 환원된 캐소드액을 오존발생기(50)로부터 공급되는 오존 또는 산소를 접촉시켜 산화시키고 환원된 캐소드액이 다시 전해셀(30)의 캐소드실로 유입되도록 하는 환원재생조(40)가 구비되고, 상기 환원재생조(40)의 하부로부터 전해셀(30)의 캐소드실(32)로 공급펌프(53)에 의하여 유출되는 환원된 캐소드액의 일부는 환원재생조(40)에서의 반응 중 발생하는 기체를 스크러빙하여 반응이 일어나도록 상기 환원재생조(40)의 상단에 구비되는 스크러버(41)로 순환되도록 하며, 스크러버(41)의 상단에 환류기(42)가 구비된다.
한편 캐소드액을 산화시키기 위하여 오존발생기(50)로부터 환원재생조(40)로 유입되는 오존 또는 산소는 캐소드액과 충분히 혼합되도록 환원재생조(40)의 하단 기체 유입구에 산기관(43)이 구비되며, 적절한 온도 유지를 위하여 환원재생조(40)는 자켓(44)이 구비된다.
이하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매개산화공정의 장치 공정도를 바탕으로 각 장치 구성에서의 반응 및 흐름을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매개이온은 Ce4+ 이온을 사용하고 캐소드액을 HNO3를 사용하는 복합매개산화반응의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매개산화반응조(10)의 액상산화반응조(11)로 유입되는 유기폐액과 액상산화반응조(11) 상단에 위치한 스크러버(15)로 도관 102를 통하여 유입된 매개이온인 Ce4+ 이온은 스크러버(15)의 하단으로부터 액상산화반응조(11)의 하부까지 내려오는 매개이온 유입관(13)을 통하여 액상산화반응조(11)의 하부에 유입되어 유기폐액 저장조로부터 유기폐액 인입펌프(51)에 의하여 도관 100을 통하여 매개산화반응조(10)로 유입된 유기폐액과 직접 혼합되어, 인입된 유기폐액은 매개이온인 Ce4+ 이온에 의하여 매개산화반응조(10)의 액상산화반응조(11)에서 산화되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스크러버(15)의 상단으로 배출된다.
액상산화반응조(11)의 하단에 구비되어 초음파 혼합기(12)를 이용하여 초음파 혼합을 함으로서 유기폐액과 Ce4+이온의 반응속도를 높일 수 있다.
매개산화반응과 관련된 반응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CxHy + 2x H2O -----> xCO2 + (4x+y) e- + (4x+y) H+ + (4x+y) Ce3+ (1)
액상산화반응조(11)의 상부에서 오버플로우어 되어 복합산화반응조(20)로 유입되는 도관 201에 매개이온인 Ce4+ 이온과 환원된 Ce3+ 이온의 농도를 매개이온 농도측정기(17)를 통하여 측정하여 상기 매개이온 농도측정기(17)에서 측정되는 매개이온인 Ce4+ 이온과 환원된 Ce3+ 이온 농도의 비율을 측정을 바탕으로 유기폐액 인입펌프(51)를 제어함으로서 유입되는 유기폐액의 양을 조절하여 매개산화반응조(10)의 적정한 매개산화가 유지되도록 하며, 이와 함께 액상산화반응조(11)의 압력 및 온도 등의 반응변수를 측정하여 공정 운전변수로 사용한다.
액상산화반응조(11)의 상부로부터 오버플로우어 되는 매개이온인 Ce4+ 이온과 환원된 Ce3+ 이온 혼합물과 미산화 유기폐액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액이 도관 201를 통하여 복합산화반응조(20)로 유입되어 Ce4+ 이온에 의한 미반응 유기폐액의 매개산화반응이 진행됨과 동시에 오존발생기(50)로부터 도관 203을 통하여 상기 복합산화반응조(20)의 하단의 산기관(50)을 통하여 유입되는 오존이 미반응 유기폐액을 화학적 산화반응을 시킨다.
오존의 산화력은 매개이온인 Ce4+ 이온의 산화력보다는 약하지만 매개산화반응조(10)에서 이미 유기폐액이 Ce4+ 이온에 의한 산화과정을 거쳐 보다 적은 분자량의 물질로 분해된 상태이므로 상기 복합산화반응조(20)에서의 추가적인 오존산화는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유기폐액과 오존의 반응에 대한 반응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CxHy + (4a+b)O3 -----> 2aCO2 + bH2O + (4a+b)O2 (2)
한편 복합산화반응조(20)에는 매개산화반응을 시킬 수 있는 Ce4+ 이온이 존재하지만 한편으로는 매개산화반응조(10)와 복합매개산화반응조(20)에는 매개산화반응에 의하여 매개이온인 Ce4+ 이온이 환원된 Ce3+ 이온이 존재하게 되며, 환원된 Ce3+ 이온은 매개이온용액 중에 존재하는 수소이온과 함께 복합산화반응조(20)의 하단의 산기관(50)을 통하여 유입되는 오존에 의하여 다시 산화력을 갖는 Ce4+ 이온으로 산화된다.
환원된 매개이온의 산화반응에 대한 반응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O3 + 2Ce3+ 2H+ -------> O2 + 2Ce4+ + H2O (3)
복합산화반응조(20)에서 발생하는 기체는 복합산화반응조(20)의 상단으로부터 도관 103을 통하여 유출되어 매개산화반응조(10)의 액상산화반응조(11)의 상단에서 도관 104을 통하여 유출되는 기체와 함께 액상산화반응조(11)의 상단에 위치한 스크러버(14)의 하단으로 유입되어 스크러버(14) 상단으로 유입되는 매개이온과 반응하거나 스크러버(15) 상단으로 배출된다.
전해셀(30)의 아노드실(31)로부터 도관 101을 통하여 유출되는 Ce4+ 이온은 도관 202를 통하여 매개이온이 복합산화반응조(20)의 상단으로 유입되고 상기 복합산화반응조(20)의 하단으로부터 공급펌프(52)에 의하여 도관 302를 통하여 환원된 Ce3+ 이온이 전해셀(30)의 아노드실(31)로 유입된다.
아노드실(31)로 유입된 Ce3+ 이온은 정류기(34)로부터의 전류에 의한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Ce4+ 이온으로 산화되며, 이와 동시에 전해셀(30)의 격막(33)을 통하여 수소이온이 캐소드실(32)로 이동하여 캐소드액을 산화시킨다.
아노드실의 반응
Ce3+ ------> Ce4+ + e- (4)
캐소드실의 반응
HNO3 + e- + 2H+ ------> HNO2 + H2O (5)
산화된 Ce4+를 포함하는 매개이온 용액은 아노드실(31)로부터 유출되어 도관 101과 도관 102를 통하여 매개산화반응조(10)의 스크러버(15)로 유입되며, Ce4+를 포함하는 매개이온 용액의 일부는 도관 202를 통하여 복합산화반응조(20)의 상단으로 유입된다.
도관 102와 도관 202로 피드되는 유량은 유량계(54)를 이용하여 조절한다.
상기 캐소드실(32)로부터 유출되는 환원된 캐소드액인 HNO2용액은 도관 401을 통하여 환원재생조(40)의 상단에 구비된 스크러버(41)의 하단으로 유입되어 오존발생기(50)로부터 도관 402를 통하여 공급되는 오존 또는 산소를 산기관(43)에 의하여 혼합, 접촉되어 HNO3로 산화된다.
환원재생조(40)에서의 반응은 다음의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2HNO2 + O2 ------> 2HNO3 (6)
환원된 캐소드액은 환원재생조(30)의 하단에서 공급펌프(53)에 의하여 도관 304와 도관 303을 통하여 다시 전해셀(30)의 캐소드실로 유입되며, 도관 304의 일부 캐소드액이 도관 402를 통하여 환원재생조(30)의 스크러버(41)의 상단으로 유입되어 환원반응 중에 발생하는 NO를 스크러빙하며, 상기 도관 303과 도관 402포 피드 되는 유량은 유량계(55)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오존에 의한 Ce3+의 산화가 복합산화반응조(20)에서 이루어지므로 전해셀(30)의 크기는 매개이온에 의한 전체 유기폐액의 처리용량 보다 작아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아노드실에서의 산화되는 Ce3+의 양이 적어지므로 캐소드실에서 환원되는 캐소드액의 양 역시 적어지며, 그에 따른 캐소드액을 환원시키는 환원재생조(40) 역시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환원재생조(30)에 기화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산화환원 반응을 통하여 발생되는 축적되는 물의 적정량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를 병용함으로서 종래의 매개산화만으로 유기폐액을 산화시키는 장치에 비하여 유기폐액의 산화효율을 증가시켜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폐액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매개산화반응조의 크기가 작아지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일체형 스크러버식 산화반응조를 적용함으로서 장치가 단순화되어 초기 장치 투자비와 운전의 용이성이 있다.
또한 복합산화반응조에서 오존에 의한 환원된 매개이온의 산화반응을 병행함으로서 전해셀에서 처리해야 하는 환원된 매개이온의 양이 적어짐으로 인하여 전해셀의 크기가 작아지고, 전해셀의 전류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으며, 캐소드액 양이 적어짐으로 인하여 캐소드액을 환원시키는 환원재생조의 크기도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매개산화공정의 장치 개략도.
도 2.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매개산화공정의 장치 구성도.
도 3.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매개산화공정의 장치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매개산화반응조 11 : 액상산화반응조
14, 44 : 자켓 15, 41 : 스크러버
16: 환류기 20 : 복합산화반응조
30 : 전해셀 31 : 아노드실
32 : 캐소드실 33 : 격막
34 : 정류기 40 : 환원재생조
43 : 산기관 50 : 오존발생기
51 : 유기폐액 인입펌프

Claims (13)

  1. 유기폐액이 매개이온에 의한 전기화학적인 매개산화가 수행되는 매개산화반응조(10);
    상기 매개산화반응조(10)의 미반응 유기폐액이 매개이온에 의한 전기화학적인 매개산화와 오존발생기(50)로부터 발생되는 오존을 이용한 산화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오존이 환원된 매개이온을 산화시키는 반응이 수행되는 복합산화반응조(20);
    정류기(34)로부터의 전류에 의하여 상기 복합산화반응조(20)로부터 유입되는 환원된 매개이온이 산화되는 아노드실(31), 아노드실(31)로부터 전자를 받아 캐소드액을 환원시키는 캐소드실(32) 및 상기 아노드실(31)과 캐소드실(32)의 사이에 격막(33)이 구비된 전해셀(30);
    상기 캐소드실(32)로부터 유출되는 환원된 캐소드액을 오존발생기(50)로부터 공급되는 오존 또는 산소를 접촉시켜 산화시키고 환원된 캐소드액이 다시 전해셀(30)의 캐소드실로 유입되도록 하는 환원재생조(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매개산화반응조(10)는 유입된 유기폐액이 매개이온에 의하여 매개산화되는 액상산화반응조(11)와 상기 액상산화반응조(11)의 상단에 위치하여 전해셀(30)의 아노드실(31)로부터 유출되는 매개이온이 유입되어 액상산화반응조(11)와 복합산화반응조(20)로부터 발생하는 기체를 매개산화시키는 스크러버(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액상산화반응조(11)로 유입되는 유기폐액과 스크러버(15)로 유입되는 매개이온이 직접 혼합되면서 매개산화반응이 일어나도록 스크러버(15)의 하단으로부터 액상산화반응조(11)의 하부로 매개이온 유입관(1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유기폐액과 매개이온이 혼합되는 액상산화반응조(11)의 하부에 초음파 혼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액상산화반응조(11)로부터 복합산화반응조(20)로 유출되는 매개이온의 환원정도를 측정하는 매개이온 농도측정기(17)가 구비되어 상기 매개이온 농도측정기(17)가 유입되는 유기폐액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전해셀(30)의 아노드실(31)로부터 유출되는 매개이온은 매개산화반응조(10)의 스크러버(15) 상단과 복합산화반응조(20)의 상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오존발생기(50)로부터 유입되는 오존은 산기관(21)이 구비된 복합산화반응조(20)의 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전해셀(30)의 격막은 다공성 격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환원재생조(40)의 하부로부터 전해셀(30)의 캐소드실(32)로 유출되는 환원된 캐소드액이 상기 환원재생조(40)의 상단에 구비되는 스크러버(41)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오존발생기(50)로부터 유입되는 오존 또는 산소는 산기관(43)이 구비된 환원재생조(40)의 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매개이온은 세륨 이온 또는 은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이온은 질산 또는 황산 수용액 상에 용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환원된 캐소드액은 HNO3 또는 H2SO4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KR1020040023367A 2004-04-06 2004-04-06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KR100564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67A KR100564055B1 (ko) 2004-04-06 2004-04-06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67A KR100564055B1 (ko) 2004-04-06 2004-04-06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359A true KR20050098359A (ko) 2005-10-12
KR100564055B1 KR100564055B1 (ko) 2006-03-29

Family

ID=37277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367A KR100564055B1 (ko) 2004-04-06 2004-04-06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0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230B1 (ko) * 2005-04-04 2007-01-1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폐액의 전기 소각과 매개 산화에 의한 완전산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완전산화 방법
KR100941992B1 (ko) * 2008-01-29 2010-02-1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NOx, SOx 및 다이옥신류 처리를 위한 전기화학적매개 산화 처리공정의 성능 향상을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304B1 (ko) 2021-08-26 2023-09-12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 제염폐액 처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230B1 (ko) * 2005-04-04 2007-01-1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폐액의 전기 소각과 매개 산화에 의한 완전산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완전산화 방법
KR100941992B1 (ko) * 2008-01-29 2010-02-1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NOx, SOx 및 다이옥신류 처리를 위한 전기화학적매개 산화 처리공정의 성능 향상을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4055B1 (ko)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6756B (zh) 一种处理生化难降解有机废水的工艺方法
CA1330317C (en) Treating with chlorine dioxide produced from chlorate salt
Pillai et al. Experimental aspects of combined NOx and SO2 removal from flue-gas mixture in an integrated wet scrubber-electrochemical cell system
KR101300482B1 (ko) 매개 금속이온 및 환원제를 사용한 대기오염물질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Muthuraman et al. A review on an electrochemically assisted-scrubbing process for environmental harmful pollutant's destruction
CN101734779A (zh) 现场制备Fenton试剂处理废水的方法
Nakayama et al. Improved ozonation in aqueous systems
KR102044195B1 (ko) 암모니아성 질소 및 암모니아성 질소의 산화부산물을 제거할 수 있는 전기화학적 수처리장치
CN103833166B (zh) 一种甲基二乙醇胺(mdea)工业废水处理方法
US5952542A (en) Method of oxidation
KR100670230B1 (ko) 유기폐액의 전기 소각과 매개 산화에 의한 완전산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완전산화 방법
Rodríguez-Peña et al. Influence of pressure and cell design on the production of ozone and organic degradation
CN108314149B (zh) 脱硫废水电解及其产物脱硝一体化的方法
Chung et al. A sustainable environmentally friendly NOx removal process using Ag (II)/Ag (I)-mediated electrochemical oxidation
KR100564055B1 (ko)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및 오존 산화에 의한 유기폐액의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KR100564062B1 (ko) 유기폐액의 복합매개산화 처리장치
KR20080097365A (ko) 전기화학적 매개산화를 이용한 NOx, SOx 및 다이옥신류 처리장치
Jin et al. Study on cooperative removal of NOx in simulated flue gas by paired electrolysis
JP5061320B2 (ja) 水処理用反応槽、水処理システム及び水処理方法
CN201882991U (zh) 电镀含氰废水处理及氰化物在线回收装置
Ye et al. Hg 0 absorption in potassium persulfate solution
WO2007058285A1 (ja) 流体の浄化方法および浄化装置
KR20080082403A (ko) 전기화학적 매개산화를 이용한 NOx, SOx 및다이옥신류 처리장치
JPH0938672A (ja) 加圧型下方注入式多段オゾン接触槽
Raju et al. Simultaneous removal of NOx and SO2: a promising Ag (II)/Ag (I) based mediated electrochemical oxid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