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830A - Elevator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830A
KR20050096830A KR1020040104253A KR20040104253A KR20050096830A KR 20050096830 A KR20050096830 A KR 20050096830A KR 1020040104253 A KR1020040104253 A KR 1020040104253A KR 20040104253 A KR20040104253 A KR 20040104253A KR 20050096830 A KR20050096830 A KR 20050096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
car
rope
outpu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2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28613B1 (en
Inventor
기무라야스키
하시구치나오키
스즈키사토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8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61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Abstract

복수의 권상기가 정확히 동기하여 구동하고, 안정한 주행성이 얻어지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aims at obtaining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by which a plurality of hoist drives exactly synchronously, and acquires stable running property.

공통의 위치 지령과 권상기(卷上機)(1A, 1B)의 위치 검출기(2A, 2B)의 출력 피드백 신호와의 편차 입력에 근거하여 권상기(1A, 1B)의 속도 지령을 생성하는 위치 제어부(16A, 16B)와, 이 위치 제어부(16A, 16B)에서 생성된 속도 지령과 권상기(1A, 1B)의 위치 검출기(2A, 2B)의 출력 미분 피드백 신호와의 편차 입력에 근거하여 권상기(1A, 1B)의 전류 지령을 생성하는 속도 제어부(17A, 17B)와, 이 속도 제어부(17A, 17B)에서 생성된 전류 지령에 근거하여 권상기(1A, 1B)에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제어부(5A, 5B)를 구비했다.A position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speed instruction of the hoist 1A, 1B based on a deviation input between the common position command and the output feedback signal of the position detectors 2A, 2B of the hoist 1A, 1B. 16A, 16B and the winding command 1A, based on a deviation input between the speed command generated by the position control units 16A, 16B and the output differential feedback signal of the position detectors 2A, 2B of the hoist 1A, 1B. Speed control units 17A and 17B for generating current command of 1B and current control units 5A and 5B for outputting current to hoist 1A and 1B based on the current commands generated by these speed control units 17A and 17B. ).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 DEVICE} Elevator control device {ELEVAT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화물용 카와 균형용 추를 연결하는 로프를 복수대의 권상기(卷上機)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 동작을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by driving a rope connecting the cargo car and the balance weight with a plurality of hoisting machines.

종래의 고속ㆍ대용량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1대의 권상기로 카를 구동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권상기를 제작하고 설치하기 위해서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과 같이 권상기를 복수대 이용하여 카를 구동하는 방식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high speed and high capacity elevator control apparatus, a car is driven by one hoist, so that a large space is required in order to manufacture and install a high capacity hoist. In contrast, for example, as in Patent Document 1, there is a method of driving a car using a plurality of hoisting machines.

즉, 특허 문헌 1에서는 주권상기와 부권상기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를 감시하여 큰 구동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부권상기를 구동시켜 주권상기를 보조한다.That is, in patent document 1, a main winding machine and a sub winding machine are provided, and when a large driving force is required by monitoring a driving state of an elevator by a control apparatus, a sub winding machine is driven to assist a main winding machine.

그리고, 부권상기에는 전동기로부터 디플렉터 시브(deflector sheave)로 전달하는 구동력을 슬립 동작으로 제어하는 연동기를 구비하여, 주권상기와의 속도나 토크 등의 조정을 제어하고 있다.The sub-winder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er which controls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motor to the deflector sheave in slip operation, and controls the adjustment of the speed, torque and the like with the main winding machine.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45544호 공보(페이지 4, 도 3)[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145544 (Page 4, Fig. 3)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권상기간의 속도나 토크 등의 조정이 슬립 동작을 행하는 기계식의 연동기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응답 특성이 뒤떨어져 동작이 불안정해지고 보수면도 불리해진다. 또한, 주권상기, 복수의 부권상기간을 메인 로프, 보상 로프가 이동 로프에 따른 장력의 언밸런스에 의한 로프의 신장의 차 등에 의해, 각 권상기간의 위치 오차 및 속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지만, 상기 기계적 방식에서는 카를 안정하게 구동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Since the conventional elevator control apparatus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adjustment of the speed, torque, etc. between the hoisting machines is performed by the mechanical interlock which performs slip operation | movement, a response characteristic is inferior, operation | movement becomes unstable, and maintenance surface also becomes disadvantageous. In addition, although the main winding machine, the position error and the speed error between each winding machine may occu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extension of the rope due to the unbalance of tension along the moving rope in the main rope and the compensation rope during the plurality of auxiliary winding periods. The system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rive the car stably.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권상기가 정확히 동기해서 구동하여, 안정한 주행성을 얻을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aims at obtaining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which can drive a plurality of hoisting machines exactly synchronously, and can obtain stable running property.

또한, 승강시 카의 자세를 확실히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oreover, it aims at obtaining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which can hold | maintain the fixed attitude | position of the car at the time of the lifting.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화물용 카와 균형용 추를 연결하는 로프를 복수대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카의 승강 동작을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권상기마다 당해 권상기의 출력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와, 복수의 권상기에 공통의 위치 지령과 당해 권상기의 위치 검출기의 출력 피드백 신호와의 편차 입력에 근거하여 당해 권상기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for lifting and lowering a car by driving a rope connecting a cargo car and a balance weight with a plurality of hoisting machines, wherein the output position of the hoisting machine is detected for each hoisting machine. And a current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current to the hoist based on the position input common to the position detector and the deviation input between the position command common to the plurality of hoists and the output feedback signal of the position detector of the hoist.

(실시예 1)(Example 1)

먼저, 본원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적용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도 1 및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복수, 여기서는 2대의 권상기가 2개의 로프마다 마련되어, 각각의 로프를 구동하는 방식이다. 즉, 도 1에서 화물인 이용자를 수용하는 카(6)와 균형용 추(7)가 2개의 로프(3A, 3B)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로프(3A)는 건물과 일체로 설치된 기대(基臺)(18)에 부착된 권상기(1A)에 의해 구동된다. 구체적으로는, 권상기(1A)를 구성하는 전동기의 회전자와 일체로 연결된 구동 시브(drive sheave)에 로프(3A)가 감겨지고, 상기 전동기의 회전에 의해 로프(3A)가 주행 구동되어 카(6)가 승강 조작된다. 마찬가지로, 로프(3B)는 권상기(1B)에 의해 주행 구동된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system which applies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of this application is demonstrated by FIG. 1 is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traction machines are provided for each of two ropes and drive each rope. That is, the car 6 and the balance weight 7 which accommodate the user which is a cargo in FIG. 1 are connected by two ropes 3A and 3B. The rope 3A is driven by a hoist 1A attached to a base 18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uilding. Specifically, the rope 3A is wound around a drive sheave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rotor of the electric motor constituting the hoisting machine 1A, and the rope 3A is driven and driven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6) is lifted and operated. Similarly, the rope 3B is driven to run by the hoist 1B.

오버헤드 시브(8A, 8B)는 축이 수평 자세로 되도록 기대(18)에 부착되어 로프(3A, 3B)의 주행에 종동(從動) 회전하는 구동 시브로, 카(6)와 추(7)의 매달기 위치를 규정한다. 디플렉터 시브(9A, 9B)는 축이 권상기(1A, 1B)의 축과 평행해지도록 기대(18)에 부착되어 로프(3A, 3B)의 주행에 종동 회전하는 구동 시브로, 권상기(1A, 1B)와 로프(3A, 3B)와의 필요한 접촉각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저울 장치(13A) 및 저울 장치(13B)는 그 용도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각각의 로프(3A), 로드(3B)가 짊어지는 중량을 검출하는 것이다.The overhead sheaves 8A and 8B are drive sheaves attached to the base 18 so that the shafts are in a horizontal position, and are driven to rotate the running of the ropes 3A and 3B. The car 6 and the weight 7 Define the hanging position. The deflector sheaves 9A and 9B are drive sheaves attached to the base 18 so that the shafts are parallel to the axes of the hoisting machines 1A and 1B and are driven to rotate in the running of the ropes 3A and 3B. ) And the required contact angles with the ropes 3A and 3B. Although the balance apparatus 13A and the balance apparatus 13B are mentioned later about the use, the weight apparatus 13A and 13B detect the weight which each rope 3A and the rod 3B bear.

도 2는 다른 감아 올림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과 상이한 것은 2개의 로프(3A, 3B)를 공통으로 하여 이 공통 부분을 권상기(1A) 및 권상기(1B)에 의해 주행 구동하도록 하고 있는 점이다. 물론, 이 방식에 있어서도 원활한 운전 특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양권상기(1A, 1B)의 정확한 동기 운전이 필요하며, 이하에 나타내는 본원 발명의 요부인 제어 장치가 유효하게 된다.Fig. 2 shows another winding method, which is different from Fig. 1 in that two ropes 3A and 3B are common, and this common portion is driven by the hoisting machine 1A and the hoisting machine 1B. . Of course, also in this system, in order to realize a smooth driving characteristic, accurate synchronous operation of both winding machines 1A and 1B is required, and the control apparatus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this invention shown below becomes effective.

또한, 이하에 열거하는 제어 장치는 특별히 미리 알리지 않는 한, 도 1, 도 2의 양쪽식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previously, the control apparatus enumerated below is applicable similarly to the elevator system of both types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위치 검출기(2A, 2B)는 이른바 로터리 인코더를 이용하여 권상기(1A, 1B)의 회전자의 회전 각도에 근거해서 위치 검출값을 출력한다.Fig.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the position detectors 2A and 2B output position detection values based on the rotation angles of the rotors of the hoisting machines 1A and 1B using so-called rotary encoders.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4)의 내부에서 공통인 하나의 위치 지령을 2계통으로 분기시켜 위치 제어부(16A)와 위치 제어부(16B)로 입력한다. 그리고, 권상기(1A, 1B)에 부착된 위치 검출기(2A, 2B)로부터의 위치 신호를 각각 위치 제어부(16A)와 위치 제어부(16B)로 피드백하도록 구성한다.As shown in FIG. 3, one position command common in the control apparatus 4 branches into two systems, and inputs it into the position control part 16A and the position control part 16B. The position signals from the position detectors 2A and 2B attached to the hoisting machines 1A and 1B are fed back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16A and the position control unit 16B, respectively.

또한, 위치 검출기(2A, 2B)의 위치 신호를 미분하여, 속도 검출 신호로서 속도 제어부(17A)와 속도 제어부(17B)로 피드백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signals of the position detectors 2A and 2B are differentiated to be fed back to the speed control unit 17A and the speed control unit 17B as speed detection signals.

또한, 전류 제어부(5A, 5B)는 전류 센서로 검출한 각각의 전류를 피드백하고, 전류 제어부로부터의 전압 지령 신호에 근거하여 PWM 인버터부로부터 3상 교류 전류를 권상기(1A, 1B)를 구성하는 동기 전동기에 공급한다.In addition, the current control units 5A and 5B feed back each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sensor and configure the three-phase AC current from the PWM inverter unit based on the voltage command signal from the current control unit to configure the winding machines 1A and 1B. Supply to synchronous motor.

다음에 제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위치 제어부(16A) 및 위치 제어부(16B)에서는, 인가된 위치 지령과 위치 검출기(2A, 2B)로부터의 현재 위치가 일치하도록 속도 제어부(17A, 17B)에 대하여 속도 지령을 생성한다. 속도 제어부(17A) 및 속도 제어부(17B)에서는, 위치 제어부(16A, 16B)에서 생성된 속도 지령과 위치 검출 신호를 미분하여 얻어지는 속도 신호가 일치하도록 전류 제어부(5A, 5B)에 대하여 전류 지령을 생성한다.Next, the control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he position control unit 16A and the position control unit 16B generate a speed command to the speed control units 17A and 17B so that the applied position command and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position detectors 2A and 2B coincide. The speed control unit 17A and the speed control unit 17B provide a current command to the current control units 5A and 5B so that the speed signal generated by differentiating the speed command generated by the position control units 16A and 16B matches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Create

권상기(1A) 및 권상기(1B)에는 각각 시브(구동 시브)를 거쳐서 로프로부터의 반력이 제어 시스템으로의 외란 토크로서 작용한다. 그 반력은 로프로부터의 힘이나 시브에서의 마찰력이 원인이기 때문에, 권상기(1A) 및 권상기(1B)에는 반드시 동일한 반력이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그 결과, 권상기(1A)와 권상기(1B)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것이 발생한다. 이 불일치에 의한 오차를 저감하기 위해서 각각의 권상기(1A) 및 권상기(1B)의 위치 신호를 피드백한다.Reaction force from the rope acts on the hoisting machine 1A and the hoisting machine 1B as a disturbance torque to the control system, respectively, via a sheave (driven sheave). Since the reaction force is caused by the force from the rope or the friction force in the sheave, the same reaction force does not necessarily act on the hoisting machine 1A and the hoisting machine 1B. As a result, it occurs that the position of the hoist 1A and the hoist 1B does not correspond.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by this mismatch, the position signal of each hoisting machine 1A and the hoisting machine 1B is fed back.

위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전중인 속도에서도 불일치가 일어나서, 그 결과로서 카(6)가 진동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진동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권상기(1A) 및 권상기(1B)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를 미분한 각각의 속도 신호를 피드백하고 있다.As in the case of position, inconsistency also occurs at the speed of rotation,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car 6 vibrates as a result. In order to suppress this vibration generation, the respective speed signals obtained by differentiating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s from the hoist 1A and the hoist 1B are fed back.

전류 제어부(5A) 및 전류 제어부(5B)는 전류 센서로 검출되는 전류값과 속도 제어부(17A) 및 속도 제어부(17B)로부터의 전류 지령(토크 지령과 등가)이 일치하도록 동작한다. 권상기(1A) 및 권상기(1B)에 전기적인 응답성의 차가 있으면, 전류 지령에 대하여 권상기(1A)와 권상기(1B)가 동일한 타이밍으로 토크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2개를 합성한 토크가 변동하여, 카(6)가 진동한다.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각각의 전류 검출 신호를 피드백하여 응답성이 동등하게 되도록 한다.The current control unit 5A and the current control unit 5B operate so that the current value detected by the current sensor matches the current command (equivalent to the torque command) from the speed control unit 17A and the speed control unit 17B. If there is a difference in electrical responsiveness between the hoist 1A and the hoist 1B, the hoist 1A and the hoist 1B do not generate torque at the same timing with respect to the current command. For this reason, the torque which synthesize | combined two fluctuates and the car 6 vibrates. To suppress this, each current detection signal is fed back so that the responsiveness is equal.

이상과 같이, 위치 제어가 최종적인 제어 목표이지만, 이것만으로는 변화에 대한 추종성이 반드시 충분하지 않다. 그래서, 본 실시예 1에서는 위치의 변화보다도 현상이 빨리 나타나는 속도(위치의 미분값이 상당함)나 가속도(토크, 전류 지령이 상당함)의 변화를 피드백함으로써, 보다 정확히 동기한 제어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control is the final control target, but this alone is not necessarily enough to follow the change. Therefore, in the first embodiment, a control characteristic which is more accurately synchronized is obtained by feeding back a change in speed (a differential value of the position is significant) or an acceleration (a torque or current command is significant) in which a phenomenon occurs earlier than a change in position. It can be.

요구되는 제어 성능이나 권상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구동 장치의 조건에 따라서는, 권상기(1A) 및 권상기(1B)의 위치 신호를 위치 제어부(16A) 및 위제 제어부(16B)로 피드백하는 것만의 회로 구성으로서도 지장없이 안정한 운전 특성을 얻을 수 있다.Depending on the required control performance and the conditions of the elevator drive device including the hoisting machine, the circuit configuration only by feeding back the position signals of the hoisting machine 1A and the hoisting machine 1B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16A and the position control unit 16B is also provided. Stable operation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without any problems.

이하, 복수대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제어 특성의 향상을 의도한 각종 변형예를 나타내지만, 앞서의 실시예 1과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을 진행시키는 것으로 한다.Hereinafter, although various modified examples which intend to improve the control characteristic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driven by a plurality of hoisting machines are shown, description will be made centering on the different part from Example 1 mentioned above.

(실시예 2)(Example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Fig.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권상기(1A, 1B)에 부착된 위치 검출기(2A, 2B)로부터의 위치 신호를 위치 출력 변환기(10)에 입력하고, 이 위치 출력 변환기(10)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각각 위치 제어부(16A), 위치 제어부(16B)로 피드백하도록 구성한다. 위치 출력 변환기(10)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2개의 위치 검출 신호를 산술 평균하여 각각의 위치 제어부(16A, 16B)로 피드백하도록 구성한다.The position signals from the position detectors 2A and 2B attached to the hoisting machines 1A and 1B are input to the position output transducer 10, and the output signals from the position output transducer 10 are respectively input to the position controller 16A, It is configured to feed back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16B. In the position output transducer 10, as shown in FIG. 5, for example, two position detection signals are arithmetic-averaged and fed back to each position control part 16A, 16B.

앞서의 실시예 1의 도 3의 구성에서는, 권상기(1A)와 권상기(1B)의 위치의 차가 극단적으로 큰 경우, 각각의 위치 제어부(16A, 16B)가 생성하는 속도 지령에도 위치의 차에 따른 큰 차가 발생한다. 이 결과, 로프(3A)와 로프(3B)에 관한 토크도 극단적으로 차가 커져, 결과로서 카(6)를 요잉(yawing) 모드로 진동시켜 버리는 것으로 된다. 양권상기(1A, 1B)로부터의 위치 신호를 평균화한 신호를 피드백함으로써, 상기한 극단적인 현상이 완화되어 불필요한 진동이 억제된다.In the configuration of FIG. 3 of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hoist 1A and the hoist 1B is extremely large, the speed command generated by each of the position controllers 16A, 16B also depends on the difference in position. Big difference occurs. As a result, the torque between the rope 3A and the rope 3B also becomes extremely large, and as a result, the car 6 is vibrated in the yawing mode. By feeding back a signal obtained by averaging the position signals from the two winding machines 1A and 1B, the above extreme phenomenon is alleviated and unnecessary vibration is suppressed.

또한, 위치 신호의 평균화 처리는, 도 5에 나타낸 신호 A, B를 산술 평균((A+B)/2)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평방근으로 평균화하도록 해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averaging process of a position signal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carrying out the arithmetic mean ((A + B) / 2) of signals A and B shown in FIG. You can do it.

(실시예 3)(Example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Fig.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권상기(1A, 1B)에 부착된 위치 검출기(2A, 2B)로부터의 위치 신호를 미분한 신호를 위치 출력 미분값 변환기(11)에 입력하고, 이 위치 출력 미분값 변환기(11)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각각 속도 제어부(17A), 속도 제어부(17B)로 피드백하도록 구성한다. 위치 출력 미분값 변환기(11)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2개의 위치 검출 미분 신호를 산술 평균하여 각각의 속도 제어부(17A, 17B)로 피드백하도록 구성한다.A signal obtained by differentiating the position signals from the position detectors 2A and 2B attached to the hoisting machines 1A and 1B is input to the position output differential value converter 11, and the output signal from this position output differential value converter 11 is obtained. Are fed back to the speed control unit 17A and the speed control unit 17B, respectively. In the position output differential value converter 11, as shown in FIG. 7, for example, two position detection differential signals are arithmeticly averaged and fed back to the respective speed control units 17A and 17B.

이 경우도, 카(6)를 요잉 진동시키지 않는 효과를 갖지만, 도 4, 5와의 차이는 속도 피드백 루프에서 평균화되기 때문에, 위치 피드백 루프에서의 평균화 작용보다도 응답성이 빠르게 기능한다. 따라서, 보다 신속히 진동 저감이 가능해진다. Also in this case, the car 6 has the effect of not yawing vibration. However, since the difference from Figs. 4 and 5 is averaged in the speed feedback loop, the responsiveness functions faster than the averaging action in the position feedback loop. Therefore, the vibration can be reduced more quickly.

이 경우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위치 미분 신호의 평균화 처리는 도 7에 나타낸 신호 A', B'를 산술 평균((A'+B')/2)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평방근으로 평균화하도록 해도 무방하다.Also in this cas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averaging process of the position differential signals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arithmetic mean ((A '+ B') / 2) of the signals A 'and B' shown in FIG. Averaging You can do it.

(실시예 4)(Example 4)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Fig. 8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헤드 시브(8A) 및 오버헤드 시브(8B)에 마련되고 그 회전 각도에 근거하여 위치 검출하는 제 2 위치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권상기(1A, 1B)에 부착된 (제 1)위치 검출기(2A, 2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의 차분을 계산하고, 이 차분 신호를 위치 제어부(16A, 16B)로 피드백하도록 구성한다.As shown in FIG. 8, it is attached to the overhead sheave 8A and the overhead sheave 8B, and is attached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2nd position detector which detects a position based on the rotation angle, and the hoist 1A, 1B. The difference with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position detectors 2A, 2B is calculated, and the difference signal is fed back to the position control units 16A, 16B.

위치 검출기(2A, 2B)는 권상기(1A, 1B)를 구성하는 회전자 자체의 회전 각도에 근거하여 위치 검출을 실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검출의 응답성이 높아 제어의 피드백량으로서 최적인 것이다. 그러나, 권상기(1A, 1B)의 가감속시, 특히 이 가감 속도가 큰 경우, 로프(3A, 3B)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거나 로프(3A, 3B)에 신장이 발생하여, 로프(3A, 3B)에 따라서 카(6)의 위치와의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Since the position detectors 2A and 2B perform position detection based on the rotation angles of the rotors themselves constituting the hoisting machines 1A and 1B, the detection response is high and is optimal as the feedback amount of control. However, during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the hoisting machines 1A and 1B, in particular, when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speeds are large, slippage occurs between the ropes 3A and 3B or elongation occurs in the ropes 3A and 3B, resulting in ropes 3A and 3B. ),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deviation occurs between the position of the car 6.

한편, 오버헤드 시브(8A, 8B)는 로프(3A, 3B)의 주행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회전 각도에 근거하여 위치 검출을 실행하는 제 2 위치 검출기는 상기 가감속 동작의 영향이 작다. 그래서, 이 가감속 동작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치 검출기(2A, 2B)의 위치 검출 오차를 오버헤드 시브(8A, 8B)에 의한 제 2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신호로 보상하도록, 상술한 차분 신호를 위치 제어부(16A, 16B)로 피드백하도록 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overhead sheaves 8A and 8B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unning of the ropes 3A and 3B, the second position detector which performs position detection based on the rotation angle has no influence of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operation. small. Thus, the difference signal described above is compensated for by detecting the position detection errors of the position detectors 2A and 2B that may occur due to this acceleration / deceleration operation by the detection signals from the second position detector by the overhead sheaves 8A and 8B. Is fed back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16A, 16B.

이상과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로프(3A, 3B)에서의 신장량이나 시브에서의 미끄러짐 양에 차가 있더라도, 권상기(1A, 1B) 각각에서 위치 어긋남을 보정해서 구동할 수 있어, 카(6)의 주행 안정성과 경사가 없는 자세를 얻을 수 있다.Because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elongation in the ropes 3A and 3B and the amount of slip in the sheave, the misalignment can be corrected and driven in each of the hoisting machines 1A and 1B, thereby driving the car 6. Stability and no posture can be obtained.

또한, 제 2 위치 검출기로서는, 오버헤드 시브(8A, 8B)에 마련하는 대신에, 로프(3A, 3B)의 주행에 종동하여 회전한다고 하는 것에서는 오버헤드 시브(8A, 8B)와 동일 조건, 특성의 디플렉터 시브(9A, 9B)에 위치 검출기를 마련해도 무방하다.In addition, as a 2nd position detector, instead of providing in the overhead sheaves 8A and 8B, it is the same condition as the overhead sheaves 8A and 8B by following the rotation of the ropes 3A and 3B. You may provide a position detector in the deflector sieve 9A, 9B of a characteristic.

(실시예 5)(Example 5)

이 실시예 5도 앞서의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권상기(1A, 1B)의 가감속 동작에 기인하는 위치 검출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도 9에 나타내는 조속기(governor)(12)의 회전 각도에 근거하여 위치 검출을 실행하는 제 3 위치 검출기를 채용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조속기(12)에 마련된 제 3 위치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권상기(1A, 1B)에 부착된 (제 1)위치 검출기(2A, 2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의 차분을 계산하여, 이 차분 신호를 위치 제어부(16A, 16B)로 피드백하도록 구성한다.Similarly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fifth embodiment prevents a decrease in the position detection accuracy caused by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perations of the hoisting machines 1A and 1B. Here, the 3rd position detector which performs a position detection is employ | adopted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governor 12 shown in FIG. And as shown in FIG. 10, the signal output from the 3rd position detector provided in this governor 12,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1st) position detector 2A, 2B attached to the hoist machines 1A, 1B. The difference between and is calculated, and the difference signal is fed back to the position control units 16A and 16B.

조속기(12)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시스템과는 별도로 마련되어 카(6)와 추(7)를 연결하는 로프(3C)의 주행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통상, 그 위치 검출 출력은 카(6)의 승강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다. 이 로프(3C)에는 권상기(1A, 1B)의 구동력에 의한 장력이 걸리지 않는 만큼, 이 로프(3C)의 주행에 따라서 출력하는 제 3 위치 검출기는 앞서의 오버헤드 시브(8A), 디플렉터 시브(9A) 등의 회전 각도에 근거하는 위치 검출기에 비교하여, 권상기(1A, 1B)의 가감속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어져, 가감속 동작에 기인하는 위치 검출기(2A, 2B)의 위치 검출 오차의 보상 성능이 향상한다.As shown in FIG. 9, the governor 12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rive system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unning of the rope 3C connecting the car 6 and the weight 7. It is used to detect the lifting position of (6). Since the rope 3C is not subjected to the tension due to the driving force of the hoisting machines 1A and 1B, the third position detector outputted in accordance with the running of the rope 3C is the aforementioned overhead sheave 8A and deflector sheave ( Compared with the position detector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9A) or the like, the influence of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the hoisting machines 1A and 1B is virtually eliminated, and the compensating performance of the position detection errors of the position detectors 2A and 2B due to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peration are reduced. This improves.

(실시예 6)(Example 6)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헤드 시브(8A) 및 오버헤드 시브(8B)에 마련한 제 2 위치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미분하여 속도 검출 신호로 하여, 권상기(1A) 및 권상기(2B)에 부착된 위치 검출기(2A) 및 위치 검출기(2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미분하여 얻어지는 속도 검출 신호와의 차분을 계산하고, 이 차분을 속도 제어부(17A) 및 속도 제어부(17B)로 피드백하도록 구성한다.Fig. 1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signals output from the second position detectors provided on the overhead sheave 8A and the overhead sheave 8B are differentiated to form a speed detection signal and attached to the hoisting machine 1A and the hoisting machine 2B.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eed detection signal obtained by differentiat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position detector 2A and the position detector 2B is calculated, and the difference is fed back to the speed control unit 17A and the speed control unit 17B.

이상과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가감속 동작에 의해 권상기(1A, 1B)의 시브에서 로프(3A, 3B)가 미끄러짐을 일으키고, 그 미끄러짐 양의 차에 기인하는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오버헤드 시브(8A, 8B)로부터의 신호를 미분한 속도 검출 신호에 의해 카(6)의 속도를 정확히 피드백할 수 있어, 카(6)를 안정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Since the structure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opes 3A and 3B are caused to slip in the sheaves of the hoisting machines 1A and 1B by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peration, and even if the vibra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slip occurs, the overhead sheave 8A, The speed of the car 6 can be fed back accurately by the speed detection signal which differentiated the signal from 8B), and the car 6 can be stably run.

또한, 제 2 위치 검출기로서는, 오버헤드 시브(8A, 8B)에 마련하는 대신에, 로프(3A, 3B)의 주행에 종동하여 회전한다고 하는 것에서는 오버헤드 시브(8A, 8B)와 동일한 조건, 특성의 디플렉터 시브(9A, 9B)에 위치 검출기를 마련해도 무방하다.In addition, as a 2nd position detector, instead of providing in the overhead sheaves 8A and 8B, it is the same condition as the overhead sheaves 8A and 8B in that it is driven following rotation of the ropes 3A and 3B, You may provide a position detector in the deflector sieve 9A, 9B of a characteristic.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헤드 시브(8A, 8B)를 대신하여, 조속기(12)의 회전 각도에 근거해서 위치 검출을 실행하는 제 3 위치 검출기를 마련하고, 그 출력을 미분한 속도 검출 신호와, 권상기(1A) 및 권상기(2B)에 부착된 위치 검출기(2A) 및 위치 검출기(2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미분하여 얻어지는 속도 검출 신호와의 차분을 계산하며, 이 차분을 속도 제어부(17A) 및 속도 제어부(17B)로 피드백하는 구성으로서도 무방하다. 이 경우는, 앞서의 실시예 5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이유로, 가감속 동작에 기인하는 위치 검출기(2A, 2B)의 위치 검출 오차의 보상 성능이 한층 더 향상하고, 결과로서, 가감속 동작에 의해 권상기(1A, 1B)의 시브에서 로프(3A, 3B)가 미끄러짐을 일으켜, 그 미끄러짐 양의 차에 기인하는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조속기(12)로부터의 신호를 미분한 속도 검출 신호에 의해 카(6)의 속도를 정확히 피드백할 수 있어, 카(6)를 한층 더 안정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in place of the overhead sheaves 8A and 8B, a third position detector that performs position detection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governor 12 is provided, and the output derivative is differenti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speed detection signal obtained by differentiat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position detector 2A and the position detector 2B attached to the hoisting machine 1A and the hoisting machine 2B is calculated. It may also be a configuration for feeding back to the 17A and the speed control unit 17B. In this case, the compensating performance of the position detection error of the position detectors 2A and 2B due to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operation is further improved for the same reason as described in the fifth embodiment, and as a result,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operation The ropes 3A and 3B slip on the sheaves of the hoisting machines 1A and 1B, and even if a vibra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slip occurs, the car 6 is driven by a speed detection signal that differentiates the signal from the governor 12. Speed can be fed back accurately, and the car 6 can be driven more stably.

(실시예 7)(Example 7)

이상의 각 실시예는 모두 복수의 권상기가 정확히 동기해서 구동하여 안정한 주행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도 1의 구동 방식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 2의 구동 방식에도 적용이 가능하다.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aims to obtain a stable running by driving a plurality of hoisting machines accurately and synchronously, and is applicable not only to the driving method of FIG. 1 but also to the driving method of FIG.

본 실시예 7 및 그 이후의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더 부가하여, 승강시 카(6)의 자세를 보다 확실히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도 1의 구동 방식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es of the seventh embodimen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further aimed at maintaining the posture of the car 6 more steadily and at the time of elevating, and are applied to the elevator system of the driving method of FIG. 1. It is possible.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여기서는, 카(6)에 부착된 저울 장치(13A, 13B)의 출력 신호의 편차의 1/2를 위치 지령 보정 신호로서 위치 제어부(16A) 및 위치 제어부(16B)의 입력단에 각각 가산 및 감산하고 있다.It is a circuit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in Example 7 of this invention. Here, 1/2 of the deviation of the output signal of the balance apparatus 13A, 13B attached to the car 6 is added and subtracted as the position command correction signal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position control part 16A and the position control part 16B, respectively. have.

저울 장치(13A) 및 저울 장치(13B)는 각각 로프(3A) 및 로프(3B)에 걸리는 장력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로프(3A) 및 로프(3B)가 짊어지는 중량을 검출한다.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카(6)내에서 거의 균등하게 위치하고 있는 경우는, 저울 장치(13A)와 저울 장치(13B)의 출력은 동등하고, 따라서, 위치 제어부(16A, 16B)로의 피드백량은 0이고, 도 3에서 나타낸 실시예 1의 경우와 차이는 없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 이용자가 카(6)내의 한쪽 구석에 치우쳐 위치하여, 예를 들면, 저울 장치(13A)의 출력이 저울 장치(13B)의 출력보다 커진 경우를 상정해 본다. 이 경우, 로프(3A)는 이용자를 포함하는 카(6)의 중량의 1/2 평균 중량보다 큰 중량을 짊어지고,로프(3B)는 동평균 중량보다 작은 중량을 짊어지는 것으로 된다.The weighing apparatus 13A and the weighing apparatus 13B detect the weight which the rope 3A and the rope 3B bear by detect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rope 3A and the rope 3B, respectively. When the user of the elevator is located almost evenly in the car 6, the outputs of the scale apparatus 13A and the scale apparatus 13B are equal, therefore, the feedback amount to the position control parts 16A and 16B is 0, and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he case of Example 1 shown in FIG. However, for some reason, suppose that the user is located in one corner of the car 6 and the output of the weighing apparatus 13A is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weighing apparatus 13B,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rope 3A carries a weight larger than half the average weight of the car 6 including the user, and the rope 3B carries a weight smaller than the same average weight.

이 결과, 어떠한 제어 시스템의 보정을 하지 않으면, 권상기(1A) 및 권상기(1B)의 구동력이 동등하기 때문에, 중량, 하중이 커진 만큼 권상기(1A)의 가속도가 권상기(1B)의 가속도보다 작아지고, 속도차가 발생하여 진동을 유발한다. 또한, 카(6)의 경사 자세도 개선되지 않는다.As a result, without correcting any control system, the driving force of the hoisting machine 1A and the hoisting machine 1B is equal, so that the acceleration of the hoisting machine 1A becomes smaller than the acceleration of the hoisting machine 1B as the weight and the load increase. As a result, a speed difference occurs, causing vibration. Also, the inclined attitude of the car 6 is not improved.

그래서, 본 실시예 7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예의 경우, 저울 장치(13A)와 저울 장치(13B)와의 출력 편차가 정(正)의 값으로 되어, 그 1/2 평균값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지령 보정 신호가, 각각 위치 제어부(16A)의 입력에는 가산되고, 위치 제어부(16B)의 입력에는 마이너스 신호로 가산, 즉 감산된다.Therefore, in the sev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3, in the case of the above example, the output deviation between the balance device 13A and the balance device 13B becomes a positive value and is composed of the half average value. The position command correction signal is added to the input of the position control unit 16A, respectively, and added to the input of the position control unit 16B as a negative signal, that is, subtracted.

따라서, 권상기(1A)의 제어 시스템은 입력되는 위치 지령이 보정분 만큼 진행시켜지기 때문에, 속도를 올리기 위해, 전류, 따라서 토크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제어가 시프트한다. 한편, 권상기(1B)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입력되는 위치 지령이 보정분 만큼 늦어지기 때문에, 속도를 내리기 위해, 전류, 따라서 토크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제어가 시프트한다. 이 결과, 가속도가 균일화되어 진동이 억제되고, 또한, 카(6)는 이용자의 편재에 의한 경사를 줄이는 방향으로 구동 제어되는 것으로 되어, 카(6)를 수평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ontrol system of the hoisting machine 1A, since the input position command advances by the correction amount, the control shifts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current, and thus the torque, in order to increase the speed.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system of the hoisting machine 1B, since the input position command is delayed by the correction amount, the control shifts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the current and thus the torque in order to lower the speed. As a result, the acceleration becomes uniform, the vibration is suppressed, and the car 6 is driven to be controlled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inclination due to the user's ubiquitous, and the car 6 can be maintained in the horizontal attitude.

(실시예 8)(Example 8)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여기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도 제어부(17A)와 속도 제어부(17B)로부터 출력되는 토크 지령(전류 지령)을 적당한 배분으로 분배하는 토크 분배기(14)를 마련하고 있다. 토크 분배기(14)는 소망하는 시정수 특성을 갖는 로우패스 필터를 구비하고, 속도 제어부(17A)의 전류 지령 출력과 속도 제어부(17B)의 전류 지령 출력을 입력하여, 그 차를 상기 로우패스 필터에 입력g해서 얻어지는 전류 지령 보정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토크 분배기(14)의 출력이 각 전류 제어부(5A, 5B)의 입력단에 가산된다.Fig. 1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as shown in FIG. 14, the torque divider 14 which distributes the torque command (current command) output from the speed control part 17A and the speed control part 17B by appropriate distribution is provided. The torque divider 14 has a low pass filter having a desired time constant characteristic, and inputs the current command output of the speed control unit 17A and the current command output of the speed control unit 17B, and converts the difference into the low pass filter. The current command correction signal obtained by inputting to g is outputted. And the output of this torque divider 14 is added to the input terminal of each current control part 5A, 5B.

예를 들면, 회전 개시시에 로프(3A)든지 로프(3B)든지 어느 하나가 움직이기 시작하기 어려운 경우, 그에 따라서 전류 제어부(5A)와 전류 제어부(5B)로의 토크 지령(전류 지령)에 차가 발생하지만, 움직이기 어려웠던 쪽이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하는, 또는 미끄러지기 시작한 경우, 토크 지령의 차는 바로 작아지지 않기 때문에, 한 쪽으로 비교적 큰 토크가 발생한 채로의 상태가 계속되어, 그 결과, 진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된다. 토크 지령에 이러한 급격한 차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토크 분배기(14)의 로우패스 필터에 의해서 변화를 완만하게 하여,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either the rope 3A or the rope 3B is difficult to start moving at the start of rotation, a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torque command (current command) to the current control unit 5A and the current control unit 5B accordingly. However, when the side that was difficult to move suddenly starts to move or starts to slid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rque commands does not immediately decrease, so that a state with relatively high torque on one side continues, resulting in vibration. It is done. In order to prevent such a sudden difference from occurring in the torque command, the change is smoothed by the low pass filter of the torque distributor 14 to suppress the vibration.

(실시예 9)(Example 9)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앞서의 실시예 7의 도 13에서는, 카(6)의 자세를 유지하는 목적으로, 저울 장치(13A)와 저울 장치(13B)와의 출력 편차에 의한 위치 지령 보정 신호를 위치 제어부(16A)와 위치 제어부(16B)의 입력단에 가산하도록 했지만, 이 실시예 9에서는 상기 출력 편차를 전류 지령 보정 신호로 하며, 또한, 앞서의 실시예 8의 도 14에서 설명한 토크 분배기(14)로부터의 전류 지령 보정 신호와 함께, 전류 제어부(5A) 및 전류 제어부(5B)의 입력단에 가산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Fig. 1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3 of the seventh embodiment, the position command correction signal due to the output deviation between the balance device 13A and the balance device 13B is positioned with the position control unit 16A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the attitude of the car 6. In the ninth embodiment, the output deviation is used as a current command correction signal, and the current command correction signal from the torque divider 14 described in FIG. 14 of the eigh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add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16B. In addition, it is set as the structure add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current control part 5A and the current control part 5B.

이 결과, 양자의 기능이 발휘되어, 즉, 유해한 진동을 억제하고, 또한, 카(6)를 수평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As a result, both functions are exhibited, that is, harmful vibrations can be suppressed and the car 6 can be held in a horizontal position.

(실시예 10)(Example 10)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여기서는, 앞서의 실시예 9의 도 15에서 설명한 저울 장치(13A, 13B)를 대신하여, 동일하게 카(6)에 부착되며, 카(6)의 수평도를 검출하는 수평 센서(15)의 검출 출력으로부터 전류 지령 보정 신호를 생성하고 있다. 따라서, 동형태의 9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해한 진동을 억제하고, 또한, 카(6)를 수평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Fig. 1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nstead of the scale devices 13A and 13B described in FIG. 15 of the ninth embodiment, the detection of the horizontal sensor 15 that is similarly attached to the car 6 and detects the horizontal degree of the car 6. A current command correc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output. Therefore, like the nine cases of the same type, harmful vibration can be suppressed and the car 6 can be held in a horizontal posi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권상기마다 마련하는 전류 공급 수단은, 공통의 위치 지령과 당해 권상기의 위치 검출기의 출력 피드백 신호와의 편차 입력에 근거하여 당해 권상기의 속도 지령을 생성하는 위치 제어부와, 이 위치 제어부에서 생성된 속도 지령과 당해 권상기의 위치 검출기의 출력 미분 피드백 신호와의 편차 입력에 근거하여 당해 권상기의 전류 지령을 생성하는 속도 제어부와, 이 속도 제어부에서 생성된 전류 지령에 근거하여 당해 권상기에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제어부를 구비했기 때문에, 복수의 권상기가 정확히 동기해서 구동하여 안정한 주행 특성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supply means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hoisters includes a position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speed command of the hoist based on a deviation input between the common position command and the output feedback signal of the position detector of the hoist. And a speed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urrent command of the hoist based on a deviation input between the speed command generated by the position controller and the output differential feedback signal of the position detector of the hoist, and based on the current command generated by the speed controller. Since the current control unit for outputting current is provided to the hoist, a plurality of hoists can be driven in precise synchronization and stable driving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또한, 복수의 권상기의 위치 검출기의 출력을 평균화하는 위치 출력 변환기를 구비하고, 각 권상기의 위치 제어부에 당해 권상기의 위치 검출기의 출력 피드백 신호 대신에 위치 출력 변환기에 의해 평균화한 위치 신호를 입력하도록 했기 때문에, 각 권상기의 위치 출력에 큰 차가 발생하더라도 불필요한 진동이 억제된다.Moreover, the position output transducer which averages the output of the position detector of a plurality of hoisting machines is provided, and it was made to input the position signal averaged by the position output transducer to the position control part of each hoisting machine instead of the output feedback signal of the position detector of the said hoisting machine. Therefore, even if a large difference occurs in the position output of each hoist, unnecessary vibration is suppressed.

또한, 복수의 권상기의 위치 검출기의 출력 미분값을 평균화하는 위치 출력 미분값 변환기를 구비하고, 각 권상기의 속도 제어부에 당해 권상기의 위치 검출기의 출력 미분 피드백 신호를 대신해 위치 출력 미분값 변환기에 의해 평균화한 위치 미분값 신호를 입력하도록 했기 때문에, 각 권상기의 위치 출력에 큰 차가 발생하더라도 불필요한 진동이 억제된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osition output differential value converter for averaging the output differential values of the position detectors of the plurality of hoisting machines, and averaging by the position output differential value converter in place of the output differential feedback signal of the position detector of the hoisting machine in the speed control unit of each hoisting machine. Since one position differential value signal is input, unnecessary vibration is suppressed even when a large difference occurs in the position output of each hoist.

또한, 위치 검출기는 권상기의 회전자의 회전 각도에 근거하여 위치 검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응답성이 양호한 위치 검출 출력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detector detects the position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or of the hoisting machine, a position detection output with good responsiveness can be obtained.

또한, 위치 검출기는 권상기의 회전자의 회전 각도에 근거하여 위치 검출하는 제 1 위치 검출기로서, 별도, 권상기마다 로프의 주행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구동 시브의 회전 각도에 근거해서 위치 검출하는 제 2 위치 검출기를 구비하고, 제 1 위치 검출기와 제 2 위치 검출기와의 편차를 각 권상기의 위치 제어부의 편차 입력에 가산하는 것에 의해, 권상기의 가감속 동작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제 1 위치 검출기의 위치 검출 오차를 보상하도록 했기 때문에, 로프에서의 신장량이나 구동 시브에서의 미끄러짐 양에 차가 있더라도, 카의 주행 안정성과 경사가 없는 자세를 얻을 수 있다.The position detector is a first position detector that detects a position based on the rotational angle of the rotor of the hoisting machine, and is a second position that detects the position based on the rotational angle of the driving sheave which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unning of the rope for each hoisting machine. A detector is provided, and the position detection of the 1st position detector which may arise due to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operation of a hoist by adding the deviation of a 1st position detector and a 2nd position detector to the deviation input of the position control part of each hoisting machine is provided. Since the error is compensated for,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elongation on the rope and the amount of slip on the driving sheave, the car can be stably run and inclined.

또한, 위치 검출기는 권상기의 회전자의 회전 각도에 근거해서 위치 검출하는 제 1 위치 검출기로서, 별도, 장력을 거는 일 없이 카와 추에 연결된 로프의 주행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조속기의 회전 각도에 근거해서 위치 검출하는 제 3 위치 검출기를 구비하고, 제 1 위치 검출기와 제 3 위치 검출기와의 편차를 각 권상기의 위치 제어부의 편차 입력에 가산하는 것에 의해, 권상기의 가감속 동작에 기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제 1 위치 검출기의 위치 검출 오차를 보상하도록 했기 때문에, 로프에서의 신장량이나 구동 시브에서의 미끄러짐 양에 차가 있더라도, 카의 주행 안정성과 경사가 없는 자세를 얻을 수 있다.The position detector is a first position detector that detects a position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or of the hoisting machine, and is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governor that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unning of the rope connected to the car and the weight without applying tension. The third position detector which detects a position and adds the deviation of a 1st position detector and a 3rd position detector to the deviation input of the position control part of each hoisting machine, and is the thing which can arise due to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operation | movement of a hoisting machine Since the position detection error of the one-position detector is compensated for,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elongation on the rope or the amount of slip on the drive sheave, the running stability of the car and the posture without inclination can be obtained.

또한, 위치 검출기는 권상기의 회전자의 회전 각도에 근거해서 위치 검출하는 제 1 위치 검출기로서, 별도, 권상기마다 로프의 주행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구동 시브의 회전 각도에 근거해서 위치 검출하는 제 2 위치 검출기를 구비하고, 제 1 위치 검출기와 출력 미분과 제 2 위치 검출기의 출력 미분과의 편차를 각 권상기의 속도 제어부의 편차 입력에 가산하는 것에 의해, 권상기의 가감속 동작에 기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제 1 위치 검출기의 위치 검출 오차를 보상하도록 했기 때문에, 로프에서의 신장량이나 구동 시브에서의 미끄러짐 양에 차가 있더라도, 카의 주행 안정성과 경사가 없는 자세를 얻을 수 있다.The position detector is a first position detector that detects a position based on the rotational angle of the rotor of the hoisting machine, and is a second position that detects the position based on the rotational angle of the drive sheave which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unning of the rope for each hoisting machine. And a detector, wherein the deviation between the first position detector and the output differential and the output derivative of the second position detector is added to the deviation input of the speed control section of each hoist, thereby generating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peration of the hoist. Since the position detection error of the one-position detector is compensated for,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elongation on the rope or the amount of slip on the drive sheave, the running stability of the car and the posture without inclination can be obtained.

또한, 위치 검출기는 권상기의 회전자의 회전 각도에 근거해서 위치 검출하는 제 1 위치 검출기로서, 별도, 장력을 거는 일 없이 카와 추에 연결된 로프의 주행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조속기의 회전 각도에 근거해서 위치 검출하는 제 3 위치 검출기를 구비하고, 제 1 위치 검출기의 출력 미분과 제 3 위치 검출기의 출력 미분과의 편차를 각 권상기의 속도 제어부의 편차 입력에 가산하는 것에 의해, 권상기의 가감속 동작에 기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제 1 위치 검출기의 위치 검출 오차를 보상하도록 했기 때문에, 로프에서의 신장량이나 구동 시브에서의 미끄러짐 양에 차가 있더라도, 카의 주행 안정성과 경사가 없는 자세를 얻을 수 있다.The position detector is a first position detector that detects a position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or of the hoisting machine, and is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governor that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unning of the rope connected to the car and the weight without applying tension. It is provided with the 3rd position detector which detects a position, and adds the deviation of the output derivative of a 1st position detector, and the output derivative of a 3rd position detector to the deviation input of the speed control part of each hoisting machine, Since the position detection error of the first position detector, which may be caused, is compensated for,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elongation in the rope or the amount of slip in the driving sheave, the car's running stability and the attitude without inclination can be obtained.

또한, 로프를 권상기의 대수와 동일 수만큼 구비하고, 각 권상기는 각 로프를 구동하기 때문에, 각 로프간의 주행 구동 조정이 확실히 이루어진다.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ropes is provided by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hoisting machines, and each hoisting machine drives each rope, the running drive adjustment between each rope is surely performed.

또한, 각 권상기는 1개 또는 복수개의 로프를 공통으로 하여 이 공통 부분을 구동하기 때문에, 각 권상기간의 구동 조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each hoist drives one or more ropes in common and drives this common part, the drive adjustment between each hoist is possible.

또한, 복수의 각 로프의 카 측단부에 당해 로프에 걸리는 가중을 검출하는 저울 장치를 구비하고, 각 저울 장치의 검출 출력의 차에 관계없이 각 권상기의 출력 위치가 서로 동등해지도록, 각 저울 장치의 검출 출력에 근거하는 위치 지령 보정 신호를 각 권상기의 위치 제어부의 편차 입력에 가산하도록 했기 때문에, 각 권상기의 가속도가 균일화되어 진동이 억제되고, 또한, 카는 이용자의 편재에 의한 경사를 줄이는 방향으로 구동 제어되는 것으로 되어, 카를 수평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cale apparatus which detects the weight applied to the said rope by the car side end part of each rope is provided, and each scale apparatus so that the output positions of each hoist may be mutually equal,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of the detection output of each scale apparatus. Since the position command correction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output of is added to the deviation input of the position control unit of each hoist, the acceleration of each hoist becomes uniform, the vibration is suppressed, and the car reduces the inclination due to the user's ubiquity. Can be driven and controlled, and the car can be held in a horizontal position.

또한, 복수의 각 로프의 카 측단부에 당해 로프에 걸리는 가중을 검출하는 저울 장치를 구비하고, 각 저울 장치의 검출 출력의 차에 관계없이 각 권상기의 출력 위치가 서로 동등해지도록, 각 저울 장치의 검출 출력에 근거하는 전류 지령 보정 신호를 각 권상기의 전류 제어부의 입력에 가산하도록 했기 때문에, 각 권상기의 가속도가 균일화되어 진동이 억제되고, 또한, 카는 이용자의 편재에 의한 경사를 줄이는 방향으로 구동 제어되는 것으로 되어, 카를 수평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cale apparatus which detects the weight applied to the said rope by the car side end part of each rope is provided, and each scale apparatus so that the output positions of each hoist may be mutually equal,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of the detection output of each scale apparatus. Since the current command correction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output of is added to the input of the current control unit of each hoist, the acceleration of each hoist becomes uniform, the vibration is suppressed, and the car is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inclination due to the user's ubiquity. The drive is controlled so that the car can be held in a horizontal position.

또한, 카의 수평도를 검출하는 수평 센서를 구비하고, 카가 수평 자세를 유지하도록, 수평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는 전류 지령 보정 신호를 각 권상기의 전류 제어부의 입력에 가산하도록 했기 때문에, 각 권상기의 가속도가 균일화되어 진동이 억제되고, 또한, 카는 이용자의 편재에 의한 경사를 줄이는 방향으로 구동 제어되는 것으로 되어, 카를 수평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Moreover, since it is equipped with the horizontal sensor which detects the horizontality of a car, and added the electric current command correction signal based on the output of a horizontal sensor to the input of the current control part of each hoisting machine so that a car may maintain a horizontal attitude | position, The acceleration is uniform, the vibration is suppressed, and the car is driven to be controlled in a direction of reducing the inclination due to the user's ubiquitous, so that the car can be held in a horizontal attitude.

또한, 각 권상기의 속도 제어부에서 생성하는 전류 지령의 값이 각 권상기간에서 차가 발생한 경우, 그 차가 소망하는 시정수로 감쇠하도록 소망하는 시정수 특성을 갖는 로우패스 필터를 구비하고, 각 권상기의 속도 제어부에서 생성하는 전류 지령을 입력해서 전류 지령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토크 분배기를 구비하여, 전류 지령 보정 신호를 각 권상기의 전류 제어부의 입력에 가산하도록 했기 때문에, 각 권상기간의 전류 지령의 차에 의한 유해한 진동이 억제된다.Furthermore, when the value of the current command generated by the speed control unit of each hoist differs in each hoist period, a low pass filter having a desired time constant characteristic is attenuated so that the difference attenuates to a desired time constant, and the speed of each hoist A torque divider for inputting a current command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generate a current command correction signal is provided, and the current command correction signal is added to the input of the current control unit of each hoist. Harmful vibration is suppressed.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복수의 권상기의 동기를 확실히 실행하고, 로프의 신장 등의 차에 의한 위치ㆍ속도 오차 및 진동을 보정하여 안정한 구동을 할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synchronize the plurality of hoisting machines, to correct the position, the speed error and the vibra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of the elongation of the rope and the like, and to perform stable driving.

권상기를 구성하는 전동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PWM 인버터부로부터의 3상 교류 전류로 구동되는 동기 전동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타입의 전동기를 사용한 복수대의 권상기로 구성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어 동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The motor constituting the hoist is not limited to the synchronous motor driven by the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from the PWM inverter section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ly used in an elevator control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ists using various types of motors. It is applicable and shows the sam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조도,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levato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도 1과는 상이한 방식의 것을 나타내는 구조도,Figure 2 is an elevato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different way from that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Fig.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구성을 더욱 구체화한 예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FIG. 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FIG. 4 is further embodied.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구성을 더욱 구체화한 예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FIG. 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FIG. 6 is further embodied. FIG.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8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적용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조도,9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levator system to which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n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10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a fif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1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서의, 도 11과는 상이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12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levator control device different from that in FIG. 11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Fig. 1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1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a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Fig. 1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Fig. 1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A, 1B : 권상기 2A, 2B : 위치 검출기1A, 1B: hoist 2A, 2B: position detector

3A, 3B, 3C : 로프 4 : 제어 장치3A, 3B, 3C: Rope 4: Control Unit

5A, 5B : 전류 제어부 6 : 카 5A, 5B: current controller 6: car

7 : 추 8A, 8B : 오버헤드 시브7: weight 8A, 8B: overhead sheave

9A, 9B : 디플렉터 시브 10 : 위치 출력 변환기9A, 9B: deflector sheave 10: position output transducer

11 : 위치 출력 미분값 변환기 12 : 조속기11: position output differential value converter 12: governor

13A, 13B : 저울 장치 14 : 토크 분배기13A, 13B: Balance Unit 14: Torque Splitter

15 : 수평 센서 16A, 16B : 위치 제어부15: horizontal sensor 16A, 16B: position control

17A, 17B : 속도 제어부 17A, 17B: Speed Control

Claims (3)

화물용 카와 균형용 추를 연결하는 로프를 복수대의 권상기(卷上機)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카의 승강 동작을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an elevator control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ar by driving a rope connecting the cargo car and the balance weight with a plurality of hoisting machines, 상기 권상기마다 당해 권상기의 출력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와, 상기 복수의 권상기에 공통의 위치 지령과 상기 당해 권상기의 위치 검출기의 출력 피드백 신호와의 편차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당해 권상기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 수단을 구비한 것Supplying a current to the hoist based on a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the output position of the hoist for each hoist and a deviation input between a position command common to the plurality of hoists and an output feedback signal of the position detector of the hoist; With current supply means 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프를 상기 권상기의 대수와 동일 수만큼 구비하고, 상기 각 권상기는 상기 각 로프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The rope is provided with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said hoisting machine, and each said hoisting machine drives each said rope,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권상기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상기 로프를 공통으로 하여 이 공통 부분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Each said hoisting machine drives one said common part in common with one or several said ropes,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KR1020040104253A 2004-03-31 2004-12-10 Elevator control device KR10062861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2930A JP2005289532A (en) 2004-03-31 2004-03-31 Elevator control device
JPJP-P-2004-00102930 200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830A true KR20050096830A (en) 2005-10-06
KR100628613B1 KR100628613B1 (en) 2006-09-26

Family

ID=3503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253A KR100628613B1 (en) 2004-03-31 2004-12-10 Elevator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344003B2 (en)
JP (1) JP2005289532A (en)
KR (1) KR100628613B1 (en)
CN (2) CN101284615B (en)
DE (1) DE10200404190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3754B (en) * 2003-09-10 2004-06-15 Kone Corp Controlling method for elevator without counterweight, involves transmitting only position and torque control signals between elevator control section and motor drive section to control the motor of elevator
JP5068643B2 (en) * 2006-04-13 2012-11-07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KR100953237B1 (en) * 2006-04-13 2010-04-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apparatus
WO2007135716A1 (en) * 2006-05-19 2007-11-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CN101356112A (en) * 2006-06-01 2009-01-28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apparatus
WO2008155853A1 (en) * 2007-06-21 2008-12-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rope slip detection method
WO2009128139A1 (en) * 2008-04-15 2009-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device
EP2408701B1 (en) * 2009-03-16 2018-05-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over-acceleration and over-speed protection system
EP2408705A4 (en) * 2009-03-16 2013-06-19 Otis Elevator Co Arrangement of elevator machines
US8827044B2 (en) * 2009-03-16 2014-09-09 Otis Elevator Company Over-acceleration and over-speed detection and processing system
KR101335496B1 (en) * 2009-05-27 2013-12-0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Modular arrangement of a double wrap traction elevator machine with dynamic braking
JP5473491B2 (en) * 2009-08-31 2014-04-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CN101941623B (en) * 2010-09-30 2014-04-16 深圳技师学院 Traction machine detection or diagnosis system
SI2807103T1 (en) * 2012-01-25 2016-04-29 Inventio Ag Safet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lift system
KR20140121853A (en) * 2012-02-24 2014-10-16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Motor control apparatus
DE102012015036B4 (en) * 2012-07-31 2020-03-19 Schneider Electric Automation Gmbh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 drive having several electric motors
JP2014176492A (en) * 2013-03-14 2014-09-25 Toyota Auto Body Co Ltd Device for controlling lifting device for vehicle
EP3072843A1 (en) * 2014-03-26 2016-09-28 Kone Corpora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elevator drive configuration
WO2020065788A1 (en) * 2018-09-26 2020-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05527A (en) * 1970-11-12 1972-07-18 Canadian Westinghouse Company Limited Twin double drum hoisting system
JPS5414388B2 (en) * 1973-03-28 1979-06-06
JPS50118445A (en) * 1974-03-08 1975-09-17
JPS55145979A (en) * 1979-04-24 1980-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Releveling controller for elevator
JPS58130874A (en) 1982-01-25 1983-08-04 三菱電機株式会社 Driving device for elevator
DE3411651C1 (en) * 1984-03-29 1989-04-27 bso Steuerungstechnik GmbH, 6603 Sulzbach Control arrangement for the synchronization of several drives
JPS61127579A (en) * 1984-11-27 1986-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Floor re-aligner for elevator
US4695941A (en) * 1985-07-29 1987-09-22 General Electric Company Loss of electrical feedback detector
DE9205254U1 (en) 1992-04-15 1992-06-17 C. Haushahn Gmbh & Co, 7000 Stuttgart, De
JPH0742063B2 (en) 1992-07-17 1995-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drive system
JPH0725553A (en) 1993-07-09 1995-01-27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control system
US5625262A (en) * 1996-01-03 1997-04-29 Harnischfeger Corporation System for equalizing the load of a plurality of motors
DE19632850C2 (en) * 1996-08-14 1998-09-10 Regina Koester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out counterweight
US5857545A (en) * 1997-03-20 1999-01-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overlapped roped-coupler segments
US5931265A (en) * 1997-03-27 1999-08-03 Otis Elevator Company Rope climbing elevator
JP3937363B2 (en) 1997-09-09 2007-06-2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speed control device
JP2000072344A (en) * 1998-09-03 2000-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FI112891B (en) * 1998-09-04 2004-01-30 Kone Corp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ed Motor
EP1006071A1 (en) 1998-12-02 2000-06-07 Inventio Ag Elevator with two drives
JP2001261257A (en) * 2000-03-23 2001-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apparatus
JP2002145544A (en) 2000-11-10 2002-05-22 Toshiba Corp Elevator driving control device
JP2002167137A (en) *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Elevator
US6598859B1 (en) * 2001-05-31 2003-07-29 Magnetek, Inc. Multiple hoist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742627B2 (en) * 2001-07-27 2004-06-0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pressure traction arrangement
US6763916B2 (en) * 2002-04-12 2004-07-20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 vehicle lift
US6634461B1 (en) * 2002-06-10 2003-10-21 Gray Automotive Products, Inc. Coordinated lif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89532A (en) 2005-10-20
US7344003B2 (en) 2008-03-18
KR100628613B1 (en) 2006-09-26
DE102004041903A1 (en) 2005-10-20
US20090026021A1 (en) 2009-01-29
CN101284615B (en) 2010-12-08
CN1676453A (en) 2005-10-05
US20050217945A1 (en) 2005-10-06
CN100400402C (en) 2008-07-09
CN101284615A (en)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613B1 (en) Elevator control device
KR100636260B1 (en) Oscillation adjuster and oscillation adjusting method
US8079539B2 (en) Built-in module for inverter and having tension control with integrated tension and velocity closed loops
CN101918298B (en) Loading determination method of an elevator, movement control method and an elevator system
SA961702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oading element and load of a crane
CN101659379A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trolling deviation of hanging hook
US5377296A (en) Mine winder or hoist drum electric motor control for preventing excitation of oscillation
US11001481B2 (en) Load detector, and winding apparatus for crane comprising said detector
JP4781853B2 (en) Elevator equipment
JP6653080B2 (en) Crane control device
JP5298506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CN1019289B (en) Controlling apparatus of elevator
JPH07300294A (en) Bracing control method for crane
WO2013094255A1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7384025B2 (en) Control equipment and inverter equipment for suspended cranes
JP5285583B2 (en) Longitudinal vibration suppression device for elevator cars
JP4475881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7298788B1 (en) elevator
WO2024009657A1 (en) Motor control device, motor control method, and elevator device
CN114988041B (en) Closed-loop speed automatic matching system and belt conveyor
JPH06303788A (en) Motor-speed deciding method
CN114684683B (en) Circulating type multi-car elevator and circulating type multi-car elevator control method
JPH07125945A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H10279201A (en) Damping control device for linear motor elevator
CN114261860A (en) Active inhibition method for elevator car vib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