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970A - 지지구 - Google Patents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970A
KR20050095970A KR1020040021194A KR20040021194A KR20050095970A KR 20050095970 A KR20050095970 A KR 20050095970A KR 1020040021194 A KR1020040021194 A KR 1020040021194A KR 20040021194 A KR20040021194 A KR 20040021194A KR 20050095970 A KR20050095970 A KR 20050095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upport
levers
plung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9150B1 (ko
Inventor
조용월
Original Assignee
조용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월 filed Critical 조용월
Priority to KR1020040021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15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7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hich telescoping action effected by a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물을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에 있어서, 하단에 바닥지지판이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단에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된 받침판을 가지고, 하단영역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플런저와; 한 쌍의 결합패드와, 상기 각 결합패드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패드의 판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이반레버와, 상기 각 이반레버로부터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반레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접근레버와 상기 접근레버의 자유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결합패드를 통해 상기 실린더의 반경방향을 축선방향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단영역에 결합된 원동레버부와; 상기 파지부를 상기 플런저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플런저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승하고, 상기 파지부를 상기 실린더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플런저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하강하도록 상기 이반레버와 상기 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플런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종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지지면과 지지물사이의 이격거리의 변동에 적응하여 지지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지지물에 인가되는 상방향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구{Supporter}
본 발명은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드와 비계철판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물을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해 주는 지지구에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 구조물의 비드 등을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해 지지구(Supporter)를 사용하고 있다.
도7은 종래의 지지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8은 도7의 요부단면도이다.
종래의 지지구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영역에 나사부(112)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외부관(110)과, 외부관(110)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핀공(120a)이 다수개 형성된 내부관(120)과, 외부관(110)의 나사부(112)에 나사결합된 고리상의 높이조절구(131)와, 내부관(120)의 핀공(120a)에 삽입되는 고정핀(132)을 갖고 있다.
외부관(110)은 하단에 바닥지지판(111)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부(112)에는 한 쌍의 장공(112a)이 상호 대향하도록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내부관(120)은 상단에 받침판(121)이 형성되어 있다.
높이조절구(131)는 한 쌍의 파지돌기(131a)가 상호 대향하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132)은 링(133)과 연결선(134)을 통해 높이조절구(131)의 상부에서 외부관(110)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지지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구는 바닥지지판(111)은 비계철판에 접촉하고 받침판(121)은 구조물의 비드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고정핀(132)을 한 쌍의 장공(112a)의 저부영역과 핀공(120a)에 삽입한다.
다음에 높이조절구(131)를 회전 조작하여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높이조절구(131)가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부관(120) 즉, 받침판(121)은 상승한다. 여기서 받침판(121)의 상승구간은 장공(112a)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받침판(121)이 상승함에 따라 구조물의 비드는 상방향 가압력에 의해 지지된다.
그런데 종래의 지지구에 따르면, 높이조절구(131)의 회전조작이 일단 종료되면 지지높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비계철판 등의 지지면이 요동하여 지지면과 지지물사이의 이격거리가 달라지는 경우 지지위치로부터 이탈되어 지지기능을 상실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높이조절구(131)를 손으로 반복하여 회전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조물의 비드 등의 지지물에 인가할 수 있는 상방향가압력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지상태에서 구조물의 비드 등의 지지물의 하중은 대부분 고정핀(132)에 가해지기 때문에 고정핀(132)의 변형(휨 등)에 의해 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면과 지지물사이의 이격거리의 변동에 적응하여 지지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지지물에 인가되는 상방향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지물을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에 있어서, 하단에 바닥지지판이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단에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된 받침판을 가지고, 하단영역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플런저와; 한 쌍의 결합패드와, 상기 각 결합패드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패드의 판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이반레버와, 상기 각 이반레버로부터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반레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접근레버와 상기 접근레버의 자유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결합패드를 통해상기 실린더의 반경방향을 축선방향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단영역에 결합된 원동레버부와; 상기 파지부를 상기 플런저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플런저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승하고, 상기 파지부를 상기 실린더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플런저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하강하도록 상기 이반레버와 상기 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플런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종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지지높이의 선택폭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는 하단에 상기 바닥지지판이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되고 상부영역에 복수의 하부핀공이 높이차를 두고 길이방향에 가로로 관통하여 형성된 하부실린더와, 하부영역에 길이방향에 가로로 설치된 격판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상기 격판의 하부영역에 상부핀공이 길이방향에 가로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하부실린더의 하부핀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상부핀공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통해 상기 하부실린더에 장착되는 상부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격벽에 접촉하도록 상기 상부실린더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별도로 파지부를 고정하는 수단(고리 등)을 실린더에 마련하지 않더라도 지지물의 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종동레버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실린더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이반레버와 상기 접근레버와의 연결점이 상기 결합패드와 상기 실린더와의 결합점을 통과하도록 상기 이반레버와 상기 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플런저를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바닥지지판(11a)이 형성된 실린더(11)와, 실린더(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2)과, 하단영역이 실린더(11)의 내부에서 스프링(12)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플런저(13)와, 외부 조작에 따라 상호 협조하여 플런저(13)를 실린더(11)의 내부에서 승강시키도록 실린더(11)와 플런저(13)에 결합된 원동레버부(20) 및 한 쌍의 종동레버(14)를 갖고 있다.
원동레버부(20)는 한 쌍의 결합패드(21)와, 각 결합패드(21)로부터 결합패드(21)의 판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이반레버(22)와, 각 이반레버(22)로부터 이반레버(2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접근레버(23)와, 접근레버(23)의 자유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파지부(24)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이반레버(22)는 각 결합패드(21)로부터 접근레버(23)를 향해 갈수록 상호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접근레버(23)는 각 이반레버(22)로부터 보조파지부(24)를 향해 갈수록 상호 접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고 있는 원동레버부(20)는 결합패드(21)를 통해 실린더(11)의 반경방향을 축선방향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실린더(11)의 상단영역에 결합되어 있다.
각 종동레버(14)는 양단에 걸고리(14a, 14b)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걸고리(14a, 14b)를 통해 플런저(13)의 상단과 접근레버(23)와 이반레버(22)의 접촉영역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종동레버(14)는 파지부(24)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걸고리(14b)와 접근레버(23)와의 결합점(B)이 결합패드(21)와 메인플런저(13)사이의 결합점(A)을 통과하도록 접근레버(23)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동작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닥지지판(11a)은 지면에 접촉하고 받침판(13a)은 구조물의 비드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파지부(24)는 하측으로 회동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파지부(24)가 하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플런저(13)는 실린더(11)의 내부에서 최대로 진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런저(13)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고 스프링(12)은 최대로 수축되어 있다(도3a 참조).
파지부(24)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종동레버(14)를 통해 플런저(13)에 인가된 하방향의 인장력은 해제된다. 플런저(13)에 인가된 인장력이 해제됨에 따라 스프링(12)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13)는 실린더(11)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된다(도3b 참조).
플런저(13)가 상승함에 따라 구조물의 비드는 상방향 가압력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받침판(13a)의 상승구간은 압축상태에 있는 스프링(12)의 신장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에 파지부(24)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종동레버(14)를 통해 플런저(13)에 하방향의 인장력이 인가된다. 플런저(13)에 하방향의 인장력이 인가됨에 따라 플런저(13)는 실린더(11)의 내부에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받침판(13a)도 하강한다(도3a 참조). 그리고 플런저(13)가 하강하는 동안 스프링(12)은 수축되어 탄성력이 축적된다.
여기서 각 종동레버(14)는 파지부(24)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걸고리(14a)와 접근레버(23)와의 결합점(B)이 결합패드(21)와 메인플런저(13)사이의 결합점(A)을 통과도록 접근레버(22)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부(24)는 하방향 회동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런저(13)와 받침판(13a)의 하강상태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지부(24)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축적된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가압력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면과 지지물사이의 이격거리가 달라지더라도 지지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스프링(12)의 탄성력을 증가시키면 구조물의 비드 등의 지지물에 인가되는 상방향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파지부(24)를 상하방향으로 1회 회동시켜 받침판(13a)을 구조물의 비드의 저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파지부(24)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축적된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가압력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12)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구조물의 비드 등의 지지물에 인가되는 상방향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상태에서 구조물의 비드 등의 지지물의 하중이 스프링(12, 수축(收縮)과 신장(伸長)에 적합한 형태로 제작됨)에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종동레버(14)는 파지부(24)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걸고리(14a)와 접근레버(23)와의 결합점(B)이 결합패드(21)와 플런저(13)사이의 결합점(A)을 통과도록 이반레버(22)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파지부(24)를 고정하는 수단(고리 등)을 실린더(11)에 마련하지 않더라도 플런저(13)와 받침판(13a)의 하강상태 즉, 지지물의 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실린더(11)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나, 상하로 분할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바닥지지판(50a)이 형성된 하부실린더(50)와, 하부실린더(50)에 높이방향을 따라 장착된 상부실린더(31)와, 상부실린더(31)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32)과, 하단영역이 상부실린더(31)의 내부에서 스프링(32)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플런저(33)와, 외부 조작에 따라 상호 협조하여 플런저(33)를 상부실린더(31)의 내부에서 승강시키도록 상부실린더(31)와 플런저(33)에 결합된 원동레버부(40) 및 한 쌍의 종동레버(34)를 갖고 있다.
하부실린더(50)는 하단에 바닥지지판(50a)이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영역에는 복수의 하부핀공(50b)이 높이차를 두고 길이방향에 가로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부실린더(31)는 하부영역에 길이방향에 가로로 설치된 격판(31b)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있다. 격판(31b)의 하부영역에는 상부핀공(31a)이 길이방향에 가로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실린더(31)는 하부실린더(50)의 하부핀공(50b) 중 어느 하나와 상부핀공(31a)에 고정핀(60)을 삽입함으로써, 하부실린더(50)에 장착된다.
스프링(32)은 하단이 상부실린더(31)의 격판(31b)에 접촉하도록 상부실린더(31)에 설치되어 있다.
원동레버부(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한 쌍의 결합패드(41), 한 쌍의 이반레버(42), 한 쌍의 접근레버(43) 및 파지부(44)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고 있는 원동레버부(40)는 결합패드(41)를 통해 상부실린더(31)의 반경방향을 축선방향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부실린더(31)의 상단영역에 결합되어 있다.
각 종동레버(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걸고리(34a, 34b)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걸고리(34a, 34b)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와 동일한 방법으로 플런저(33)의 상단과 접근레버(43)와 이반레버(42)의 접촉영역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동작을 도3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닥지지판(50a)은 비계철판에 접촉하고 받침판(50a)은 구조물의 비드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파지부(44)는 하측으로 회동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파지부(44)가 하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플런저(33)는 상부실린더(31)의 내부에서 최대로 진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런저(33)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고 스프링(32)은 최대로 수축되어 있다(도3a 참조).
먼저 비계철판과 구조물의 비드사이의 이격거리를 고려하여 고정핀(60)을 삽입할 하부실린더(50)의 하부핀공(50b)을 선택한다. 즉, 비계철판과 구조물의 비드사이의 이격거리가 크면 클 수록 보다 상측에 있는 하부핀공(50b)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하부실린더(50)의 하부핀공(50b)과 상부실린더(31)의 상부핀공(31a)에 고정핀(60)을 삽입하여 상부실린더(31)를 하부실린더(50)에 장착된다(도6a 및 도6b 참조).
파지부(44)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종동레버(34)를 통해 플런저(33)에 인가된 하방향의 인장력은 해제된다. 플런저(33)에 인가된 인장력이 해제됨에 따라 스프링(32)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33)는 상부실린더(31)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된다(도3b 참조).
플런저(33)가 상승함에 따라 구조물의 비드는 상방향 가압력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받침판(50a)의 상승구간은 압축상태에 있는 스프링(32)의 신장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에 파지부(44)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종동레버(34)를 통해 플런저(33)에 하방향의 인장력이 인가된다. 플런저(33)에 하방향의 인장력이 인가됨에 따라 플런저(33)는 상부실린더(31)의 내부에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받침판(50a)도 하강한다(도3a 참조). 그리고 플런저(33)가 하강하는 동안 스프링(32)은 수축되어 탄성력이 축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계철판과 구조물의 비드사이의 이격거리를 고려하여 고정핀(60)을 삽입할 하부실린더(50)의 하부핀공(50b)을 선택함으로써, 비계철판(지지면)과 구조물의 비드(지지물)사이의 이격거리의 변동에 적응하여 지지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각 종동레버(14, 44)를 플런저(13, 33)와 접근레버(23, 43)와 이반레버(22, 42)의 접촉영역에 결합하도록 하고 있으나, 플런저의 상단과 이반레버의 하단영역, 플런지의 상단과 접근레버의 상단영역 등 결합위치를 달리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지부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축적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가압력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면과 지지물사이의 이격거리가 달라지더라도 지지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증가시키면 지지물에 인가되는 상방향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파지부를 상하방향으로 1회 회동시켜 지지물을 상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지지상태에서 구조물의 비드 등의 지지물의 하중이 스프링에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종단면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동작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종단면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동작상태도,
도7은 종래의 지지구의 분해사시도,
도8은 도7의 요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33, 50 : 실린더 12, 32 : 스프링
13, 33 : 플런저 14, 34 : 종동레버
20, 40 : 원동레버부 21, 41 : 결합패드
22, 42 : 이반레버 23, 43 : 접근레버
60, 132 : 고정핀 24, 44 : 파지부
110 : 외부관 112 : 나사부
120 : 내부관 131 : 높이조절구

Claims (3)

  1. 지지물을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에 있어서,
    하단에 바닥지지판이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단에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된 받침판을 가지고, 하단영역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플런저와;
    한 쌍의 결합패드와, 상기 각 결합패드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패드의 판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이반레버와, 상기 각 이반레버로부터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반레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접근레버와 상기 접근레버의 자유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결합패드를 통해상기 실린더의 반경방향을 축선방향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단영역에 결합된 원동레버부와;
    상기 파지부를 상기 플런저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플런저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승하고, 상기 파지부를 상기 실린더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플런저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하강하도록 상기 이반레버와 상기 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플런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종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하단에 상기 바닥지지판이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되고 상부영역에 복수의 하부핀공이 높이차를 두고 길이방향에 가로로 관통하여 형성된 하부실린더와, 하부영역에 길이방향에 가로로 설치된 격판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상기 격판의 하부영역에 상부핀공이 길이방향에 가로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하부실린더의 하부핀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상부핀공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통해 상기 하부실린더에 장착되는 상부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격벽에 접촉하도록 상기 상부실린더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종동레버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실린더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이반레버와 상기 접근레버와의 연결점이 상기 결합패드와 상기 실린더와의 결합점을 통과하도록 상기 이반레버와 상기 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플런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KR1020040021194A 2004-03-29 2004-03-29 지지구 KR100679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94A KR100679150B1 (ko) 2004-03-29 2004-03-29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94A KR100679150B1 (ko) 2004-03-29 2004-03-29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970A true KR20050095970A (ko) 2005-10-05
KR100679150B1 KR100679150B1 (ko) 2007-02-05

Family

ID=3727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194A KR100679150B1 (ko) 2004-03-29 2004-03-29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1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381U (ko) * 2017-07-28 2019-02-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정비통로용 안전발판
CN112342939A (zh) * 2020-10-30 2021-02-09 重庆交通大学 一种桥梁加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466U (ja) * 1992-08-27 1994-03-25 茂 杉山 長さ調整可能な支持器具
JPH084321A (ja) * 1994-06-23 1996-01-09 Nobuhiro Kitagawa 天板等支持具
KR20010111157A (ko) 2000-06-08 2001-12-17 강보식 슬래브용 스프링 서포터
JP3952370B2 (ja) 2002-01-11 2007-08-01 ホクメイ株式会社 伸縮式の突っ張り型支柱
KR200298087Y1 (ko) 2002-09-10 2002-12-12 홍재철 바닥슬라브 거푸집 지지서포트용 신축부재
KR20040050828A (ko) * 2002-12-09 2004-06-17 서동택 지주 높이조절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381U (ko) * 2017-07-28 2019-02-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정비통로용 안전발판
CN112342939A (zh) * 2020-10-30 2021-02-09 重庆交通大学 一种桥梁加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150B1 (ko) 2007-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0011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installing a garbage disposer
KR100679150B1 (ko) 지지구
KR100799360B1 (ko) 수직터널 복공벽 성형용 슬립폼장치
JP6310346B2 (ja) かしめ装置
JPH04366281A (ja) 土木建築仮設作業用支持具
KR20180086997A (ko) 차량 잭업 장치
KR101766440B1 (ko) 내진용 교좌장치의 안전한 교체가 가능한 높이 조절용 교량 인상 장치
KR102039439B1 (ko) 잭베이스 서포터
WO2024013631A1 (en) Device for forming/stripping props for castings of concrete floor slabs
KR101636746B1 (ko)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
CN109396876B (zh) 一种安装定位夹持装置
KR101568411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80071413A (ko) 유압식 스크류 잭
KR101931475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200254637Y1 (ko) 교량용 클램프
KR101741545B1 (ko) 차량용 잭
KR101768900B1 (ko) 차량용 잭업 장치
KR200397233Y1 (ko) 거푸집판 수평 조절장치
KR102198681B1 (ko) 이중락앤너트를 이용한 인상잭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보강공법
JPH1111826A (ja) ロープ取り付け装置
KR20190037715A (ko) 슬리브 앤 보스 어셈블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237598Y1 (ko) 높이조절가능 분할구조의 거푸집설치대
KR200354537Y1 (ko) 건축물 서포터용 체결구
KR102648065B1 (ko) 구조물용 받침장치
KR102464451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볼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