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4779A - 버스 정보 터미널 - Google Patents

버스 정보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4779A
KR20050094779A KR1020050081901A KR20050081901A KR20050094779A KR 20050094779 A KR20050094779 A KR 20050094779A KR 1020050081901 A KR1020050081901 A KR 1020050081901A KR 20050081901 A KR20050081901 A KR 20050081901A KR 20050094779 A KR20050094779 A KR 20050094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bus information
bus
information
external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주형
Original Assignee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filed Critical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Priority to KR1020050081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4779A/ko
Publication of KR20050094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77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 고객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버스 정보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유선망을 통해 버스 정보 시스템의 센터와 연결된 버스 정보 터미널로서, 정보를 표출하는 표시수단;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의 센터 및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지닌 외부 단말들간의 통신을 위해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표시수단에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의 센터 및 상기 외부 단말들로부터의 정보를 표출시키는 주제어수단; 및 상기 주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의 센터 및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지닌 외부 단말들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 정보 터미널{Bus inform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버스 정보 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에 채용되는 버스 정보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용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강화하도록 한 버스 정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도심의 교통 혼잡은 도심을 운행하는 차량의 통행 속도를 저하시켰다. 이에 따라, 버스 이용자의 평균 대기시간 및 통행시간도 증가하고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률도 점차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버스 정보 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 이하 BIS라 함)과 같이 대중교통(즉, 버스) 이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안이 도입되고 있다.
BIS는 운행중인 버스에 단말기를 설치하여 단말기로부터 해당 버스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BIS 센터에서 수집한 후에 그 BIS 센터에서 그 정보를 가공하고 각각의 정보 제공 체계로 버스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버스에 장착된 단말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일정 주기마다 수집하여 BIS 센터로 전송하고 그 BIS 센터에서 가공된 정보를 제공받아 운행에 참조하거나 승객에게 제공한다. 또한, BIS 센터에서 가공된 버스 운행 정보는 각 정류장에 설치된 버스 정보 터미널(Bus Information Terminal; 이하 BIT라 함)을 통해 도착 예정시간, 버스 위치 정보, 기타 공익 사항 등을 승객에게 제공한다.
즉, BIT는 BIS를 구축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항목이며, 그 기능에 따라 BIS의 효용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장치가 된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BIT들은 BIS 센터로부터 버스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정보를 LCD 또는 LED로 구성된 표시장치를 통해 표출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
버스 정보에 관련된 정보만을 제공하는 BIT는 단순히 정보 제공 뿐만 아니라 BIS의 네트워크의 한 축으로 활용하여 이용 고객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로의 발전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용 고객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버스 정보 터미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터미널은, 유선망을 통해 버스 정보 시스템의 센터와 연결된 버스 정보 터미널로서,
정보를 표출하는 표시수단;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의 센터 및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지닌 외부 단말들간의 통신을 위해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표시수단에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의 센터 및 상기 외부 단말들로부터의 정보를 표출시키는 주제어수단; 및 상기 주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의 센터 및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지닌 외부 단말들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터미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버스 정보 터미널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인터넷(18)과 연결되고 후술하는 BIT를 통해 버스의 현재 상태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버스들의 현재 상태 정보를 갱신, 저장, 분석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해당 버스의 현재상태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예컨대, 버스 회사 및 버스 식별번호에 따른 정류장, 노선도, 다음 버스 도착시간, 예상 소요시간 등)를 관리하는 BIS센터(10), 차량에 장착된 차량 단말기(12), 노트북 또는 PDA등과 같은 휴대가 가능하고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14), 및 상기 BIS센터(10)에 대하여 ADSL 또는 자가망, CDMA백업망 등으로 연결된 BIT(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BIS센터(10)는 관리자가 버스의 운행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BIT(16)에서 전송된 데이터들을 수집, 가공, 전송하게 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 BIS센터(10)는 상기 BIT(16)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PC급 관제장치 및 인터넷(18)상으로 사용자들에게 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급 서버들을 구비한다.
상기 차량 단말기(12)는 GPS안테나와 GPS수신기 및 무선 모뎀 등이 갖추어지고, 해당 차량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포함한 차량의 현재상태 정보 데이터(예컨대, 버스 식별번호, 버스의 현재 위치 및 속도 등)를 무선 모뎀을 통해 BIT(16)에게로 전송하고 무선 주파수를 통해 입력되는 앞/뒤차 배차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14)는 키보드, 펜 마우스 또는 통상적인 음성인식 소프트웨어 패키지와 같은 데이터입력수단과, 비디오 모니터와 같은 표시수단, 스피커와 같은 음성 출력수단, 및 CPU와 같은 프로세싱 수단을 구비하고, 웹 브라우저(web-browser) 프로그램, 유무선 인터넷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등을 내장한 노트북 또는 PDA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이다.
상기 BIT(16)는 버스 정류장마다 설치된다. 그 BIT(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정보를 표출하는 표시수단(30); 상기 BIS센터(10) 및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지닌 외부 단말들(즉, 차량 단말기(12), 무선 단말기(14))간의 통신을 위해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표시수단(30)에 상기 BIS센터(10) 및 상기 외부 단말들(12, 14)로부터의 다양한 정보를 표출시키는 주제어수단(40); 및 상기 주제어수단(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BIS센터(10) 및 외부 단말들(12, 14)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수단(50)을 구비한다.
상기 표시수단(30)은 7세그먼트 및/또는 매트릭스 형태의 LED 또는 LCD채널로 이루어진다. 그 표시수단(30)은 버스 도착 정보, 정류장 정보, 노선 정보, 공공 정보 등을 표시한다.
상기 인터페이스수단(50)은, 상기 차량 단말기(12)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기지국(51), 무선 인터넷(도시 생략)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14)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넷 기기(52), 상기 BIS센터(10)와 연결된 유선망에 장애가 발생되었을 경우에 중단없는 정보 제공을 위하여 구축된 백업망과의 통신을 위한 백업 통신기기(53), 상기 BIS센터(10)와의 통신을 위해 ADSL망 또는 전용선 등으로 연결된 ADSL모뎀(54)을 구비한다.
상기 무선 기지국(51)은 노선 버스의 운행관련 종합 정보를 차량 단말기(12)에게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차량 단말기(12)로부터의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제어수단(40)에게로 전송한다. 그 무선 기지국(51)은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근거리 전용 통신), 무선랜, 무선데이터망 등 다양한 무선망을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주제어수단(40)은 무선 기지국(51)과의 프로토콜에 따라 내부의 운영 프로그램에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차량 단말기(12)로부터 데이터(예컨대, 차량의 위치 정보, 차량의 이벤트 정보(즉, 문이 열렸거나 사고 발생 정보 등))를 수집한다. 상기 주제어수단(40)은 그 수집된 정보를 가공하여 하고 그 차량 단말기(12)에게로 필요한 데이터(예컨대, 진행 방향의 교통정보, 앞/뒤 차량의 위치 정보, 노선 이탈 정보 등)를 전송한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기(52)는 상기 버스 정보 터미널(16)이 설치된 버스 정류장 주변에서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랜 AP(WLAN Access Point)기능을 갖는다. 그 무선 인터넷 기기(52)로 인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PDA 등의 무선 단말기(14)를 이용하여 BIS센터(10)를 통해 인터넷(18)을 이용할 수 있고, VoIP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전화 서비스 등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백업 통신기기(53)는 BIT(16)의 백업 통신망을 위한 것으로 CDMA모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백업 통신기기(53)와 BIS센터(10) 사이에는 CDMA백업망이 구축된다.
상기 ADSL모뎀(54)은 BIS구축시 사용하는 망에 따라 자가망 또는 ADSL 등의 임대망을 이용하게 된다.
도 2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수단(50)에 4개의 기기가 갖추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온도, 습도 등을 센싱하는 환경 센서를 감시하고 전원 공급 상태, 기기 동작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며 이상시에 그 상태를 상기 주제어수단(40)에게 보고할 수 있는 RTU(Remote Terminal Unit)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주제어수단(40)은 BIT(16)의 기능을 수행하는 주장치로서, 상기 인터페이스수단(50)을 통하여 상기 BIS센터(10) 및 외부단말들(12, 14)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프로토콜 변환이 가능한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된 운영 프로그램 저장부(41), 상기 인터페이스수단(50)을 통하여 상기 BIS센터(10) 및 외부단말들(12, 14)과의 정보 송수신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42), 상기 인터페이스수단(50)과 물리적으로 연결된 네크워트 허브(43), 및 상기 BIS센터(10)와 상기 외부 단말들(12, 14)과의 통신 제어 및 상기 표시수단(30)으로의 정보표출을 행하는 CPU(44)를 구비한다. 상기 주제어수단(40)은 운영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된다. 그 주제어수단(40)은 상기 BIS센터(10)와는 그 BIS센터(10)의 시스템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그 주제어수단(40)은 차량 단말기(12) 및 무선 단말기(14)와는 그 차량 단말기(12) 및 무선 단말기(14)의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BIS센터(10)의 시스템 프로토콜과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토콜 변환이 필요없는 무선 인터넷 기기(52)는 상기 네트워크 허브(43)를 통해 BIS센터(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운영 프로그램 저장부(41)에 저장된 운영 프로그램은 프로토콜 관리 및 제어기능, 시스템 모니터링 및 제어기능, 및 데이터 표출기능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프로토콜 관리 및 제어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운영 프로그램은 BIT(16)에 연결된 각각의 장치(12, 14)와 그 장치에 따른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그 운영 프로그램은 BIS센터(10)와의 연계를 위해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BIS센터(10)에게로 전송한다. 또한, 그 운영 프로그램은 상기 BIS센터(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해당 장치에 맞는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즉, 무선 기지국(51)의 경우 해당 무선 기지국(51)과의 프로토콜에 따라 수집된 데이터는 주제어수단(40)에서 버스 정보 시스템 센터(10)와의 프로토콜로 변환되어 그 BIS센터(10)에게로 전송되고, 그 BIS센터(10)로부터 전송된 기지국 데이터는 주제어수단(40)에서 해당 무선 기지국(51)의 프로토콜에 따라 프로토콜 변환되어 해당 무선 기지국(51)을 통해 차량 단말기(12)에게로 전송된다. 그에 따라, 그 BIS센터(10)는 BIT(16)와의 일관된 통신 프로토콜을 구축함으로써 BIT(16) 뿐만 아니라 기지국 및 기타 장치와도 통신할 수 있도록 허브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프로토콜은 구축되는 장치와 BIS센터(10)의 시스템에 따라 변경되고, 본 발명의 BIT는 이러한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 모니터링 및 제어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BIT(16)에 연결된 장치(12, 14)와 BIT(16)의 동작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그 상태를 BIS센터(10)에게로 전송하거나 자체적으로 복구하기 위한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표출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BIT(16)의 기본 기능인 버스 운행 정보 및 노선 정보, 공지 사항 등을 표시수단(30)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의 데이터 저장부(42)는 BIT(16)의 운영상에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의 이력 데이터, 각종 운영에 관련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도 2의 네트워크 허브(43)는 상기 인터페이스수단(50)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51), 무선 인터넷 기기(52), CDMA모뎀(53), ADSL모뎀(54)과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그 네트워크 허브(43)는 상기 무선 기지국(51)과 무선 인터넷 기기(52), ADSL모뎀(54)과는 랜(LAN)으로 통신하고, 상기 CDMA모뎀(53)과는 시리얼(serial)로 통신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허브(43)는 상술한 무선 기지국(51), 무선 인터넷 기기(52), CDMA모뎀(53), ADSL모뎀(54)과 통신하기 위해 4개의 포트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는데, 그 포트의 수는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확장가능하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 정보 시스템 구축시에 망구축 비용을 절감하고 그 확장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제한된 망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단순 정보 표출기능만을 수행하던 버스 정보 터미널에 버스 정보 수집을 위한 무선 기지국을 결합함으로써 수집체계의 망을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고, 무선 인터넷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버스 이용자들이 버스 정보 터미널이 설치된 정류장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으며, BIS관련 장치들이 연결되어 통신 허브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버스 정보 시스템 구축에서 기본적으로 필요하고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특성상 시내 전역에 골고루 분포할 수 밖에 없는 속성을 지닌 버스 정보 터미널을 유비쿼터스 통신 인프라의 중요한 한 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버스 정보 터미널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터미널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버스 정보 시스템 센터 12 : 차량 단말기
14 : 무선 단말기 16 : 버스 정보 터미널
18 : 인터넷 30 : 표시수단
40 : 주제어수단 41 : 운영 프로그램 저장부
42 : 데이터 저장부 43 : 네트워크 허브
44 : CPU 50 : 인터페이스수단
51 : 무선 기지국 52 : 무선 인터넷 기기
53 : CDMA모뎀 54 : ADSL모뎀

Claims (4)

  1. 유선망을 통해 버스 정보 시스템의 센터와 연결된 버스 정보 터미널로서,
    정보를 표출하는 표시수단;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의 센터 및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지닌 외부 단말들간의 통신을 위해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표시수단에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의 센터 및 상기 외부 단말들로부터의 정보를 표출시키는 주제어수단; 및
    상기 주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의 센터 및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지닌 외부 단말들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 터미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수단은, 차량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기지국, 및 무선 인터넷을 통해 무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넷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 터미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수단은, 상기 유선망에 장애가 발생되었을 경우를 대비하여 구축된 백업망과의 통신을 위한 백업 통신기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 터미널.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수단은, 상기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하여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의 센터 및 외부단말들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프로토콜 변환이 가능한 운영프로그램이 저장된 운영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하여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의 센터 및 외부단말들과의 정보 송수신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인터페이스수단과 물리적으로 연결된 네크워트 허브, 및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의 센터와 상기 외부 단말들과의 통신 제어 및 상기 표시수단으로의 정보표출을 행하는 CPU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 터미널.
KR1020050081901A 2005-09-02 2005-09-02 버스 정보 터미널 KR20050094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901A KR20050094779A (ko) 2005-09-02 2005-09-02 버스 정보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901A KR20050094779A (ko) 2005-09-02 2005-09-02 버스 정보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779A true KR20050094779A (ko) 2005-09-28

Family

ID=37275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901A KR20050094779A (ko) 2005-09-02 2005-09-02 버스 정보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47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682B1 (ko) * 2011-11-23 2013-03-25 (주)한우리 개인 맞춤형 대중교통 정보처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682B1 (ko) * 2011-11-23 2013-03-25 (주)한우리 개인 맞춤형 대중교통 정보처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8760C (zh) 用于在远程信息处理单元接收车辆数据的系统和方法
CA2495695C (en)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example, track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trucks
JP2005507113A (ja) 業務用車両を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7043548B2 (en) Download status indicators in wireless short range devices
US20070043500A1 (en) Road Transport Information Monitoring and Personalized Reporting System
CN102387612B (zh) 移动通讯装置、移动网络分享方法以及电子装置
KR20070110574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CN102833674A (zh) 网络接入系统及方法
TW200529591A (en) Non-service area determi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Pan et al. An integrated data exchange platform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KR20050094779A (ko) 버스 정보 터미널
CN205373718U (zh) 基于485通信的室内定位导航系统
CN105510947A (zh) 一种车载定位终端及车载定位方法
CN102227144A (zh) 利用手机呼叫出租车的智能打的系统
CN2688556Y (zh) 具有手机监控的车辆报警系统
US20060258360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allow two way communication to provide time and location specific information
EP20419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a user device and a service device
JP3240892B2 (ja) データ送受信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Parada et al. An inter-operable and multi-protocol v2x collision avoidance service based on edge computing
CN112328870A (zh) 一种数据推送方法及其系统
Lin et al. Development of telematics communication system with wave dsrc
CN218041787U (zh) 一种应急通讯系统
KR100372443B1 (ko)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통신시스템과무선단말기간의 정보송수신장치
JP2002074584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10035677A (ko) 전역 위치 시스템의 수신기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의 상태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