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4323A - 정발처리장치 및 정발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정발처리장치 및 정발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4323A
KR20050094323A KR1020040065855A KR20040065855A KR20050094323A KR 20050094323 A KR20050094323 A KR 20050094323A KR 1020040065855 A KR1020040065855 A KR 1020040065855A KR 20040065855 A KR20040065855 A KR 20040065855A KR 20050094323 A KR20050094323 A KR 20050094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air
rod
heat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9289B1 (ko
Inventor
다카시 무카이
Original Assignee
다카시 무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82756A external-priority patent/JP41876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27995A external-priority patent/JP4128977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시 무카이 filed Critical 다카시 무카이
Publication of KR2005009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 A45D4/02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for steep curling, e.g. with means for decreasing the heat
    • A45D4/06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for steep curling, e.g. with means for decreasing the heat heated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36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 A45D2/365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with chem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 A45D4/16Independent devices characterised by heating the hair-curling or hair-waving means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 A45D4/18Supports or suspending means for devices heating hair-curling or hair-waving means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2/003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2/006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wisting hair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컬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필름히터를 가진 두발컬용의 로드(5)와 필름히터를 가지고 두발을 감은 로드(5)의 외주측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헤어스토퍼(7)와 필름히터 및 필름히터에 접속되어 양자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박스(3)로 이루어지고, 제어박스(3)는 내측의 필름히터의 발열온도가 110℃, 외측의 필름히터의 발열온도가 60℃로, 온도차가 50℃로 되도록 제어하여, 두발의 컬처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발처리장치 및 정발처리방법 {Hairdressing Apparatus and Hairdressing Method}
본원 발명은 모발을 컬(curl)할 때 등에 사용되는 정발처리장치와 정발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발처리장치로서는, 예들들면 특개평 9-215517호 공보에 개시된 헤어웨이브 장치가 있다.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웨이브 장치는 분전박스(201)로부터 코드(203)를 연신하고, 이 코드(203)의 선단에 헤어컬기(hair curler, 205)을 착탈자재하게 접속한 것이다. 헤어컬기(205)는, 내부에 세라믹히터(207)를 구비하여, 세라믹히터(207)의 전기적인 발열에 의해 두발의 컬링(curling)을 촉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헤어컬기(205)에 내장된 세라믹히터(207)에 의해 두발을 컬의 내측으로부터 가열하는 것 뿐이고, 컬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형성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세라믹히터(207)에 의해 가열된 헤어컬기(205)의 열이, 피정발자의 두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헤어 컬기(205)의 열을 충분히 높게 할 수가 없어서, 컬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형성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원 발명은 컬(curl)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는 정발처리장치와 정발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제 1 특징은, 내측온도조정체를 가진 두발컬용의 로드(hair curling rod)와, 외측온도조정체를 가지고 두발이 감겨진 상기 로드의 외주측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헤어스토퍼(hair stopper)와, 상기 내측 온도조정체 및 외측 온도조정체에 접속되어 양자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로드에 감겨진 두발이 온도조정된 내측온도조정체 및 외측온도조정체에 의해 내외로부터 열처리되어, 컬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 2 특징은, 상기 내측온도조정체 및 외측온도조정체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한 전기제어에 의해 발열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에 감겨진 두발이 온도조정된 내측온도조정체 및 외측온도조정체에 의해 내외로부터 가열처리되어, 컬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 3의 특징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내측온도조정체 및 외측온도조정체에 온도차가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로드에 감겨진 두발이 온도조정된 내측온도조정체 및 외측온도조정체에 의해 내외의 온도차를 가지며 가열처리되어, 컬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 4의 특징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온도차가 50℃로 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내외의 온도차가 컬에 적당하게 되어 컬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 5의 특징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내측온도조정체의 발열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상기 외측온도조정체의 발열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컬의 내측을 상대적으로 보다 강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여, 컬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 6의 특징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내측온도조정체의 발열온도가 110℃가 되고, 상기 외측온도조정체의 발열온도가 60℃로 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내외의 가열온도, 및 온도차가 컬에 적당하게 되어 컬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 7의 특징은 두발이 감겨진 로드의 외주측을 덮어 단열하기 위한 단열구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한다.
이를 위해, 로드에 감겨진 두발이 온도조정된 온도조정체의 발열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열처리됨과 함께 외측을 단열구(heat insulator)로 덮을 수 있으므로, 로드의 온도를 충분히 높게하면서 피정발자의 두피로의 열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두발의 컬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 8의 특징은, 상기 단열구가 내부에 단열용의 단열공간을 가진다.
따라서, 단열구에 의해 피정발자의 두피로의 영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9의 특징은 상기 단열공간에 단열재를 봉입한다.
따라서, 단열구에 의해 피정발자의 두피로의 영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10의 특징은 두발을 컬하는 공정과, 컬한 두발의 내측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가열처리하고 그 외측을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처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두발을 내외가 온도차를 갖도록 가열처리할 수가 있으므로, 컬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컬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한다는 목적을 로드에 감겨진 두발의 내외로부터 제어된 온도에 의해 열처리하는 것으로 실현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발처리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과 같이, 정발처리장치(hairdressing apparatus : 1)는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박스(3)와 복수의 로드(rod : 5) 및 헤어스토퍼(hair stopper : 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박스(3)는 복수의 제어버튼(9)과 액정표시부(11), 연장전선(13,15)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버튼(9)은 연속설정, 단발설정의 선택, 온도설정 등을 행하는 것이다. 연속설정은, 예를 들면 로드(5) 및 헤어스토퍼(7)의 후술하는 필름히터(film heater : 25,51,53)의 온도제어를 일련의 복수 종류의 가열처리를 위해 행한다. 단발설정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온도차 50℃를 가진 필름히터(25,51,53) 사이의 온도제어를 행한다.
상기 액정표시부(11)에는 설정온도의 표시 등이 행해진다.
상기 연장전선(13,15)에는 각각 상기 두발컬용의 로드(5) 및 헤어스토퍼(7)가 착탈자유롭게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로드(5) 및 헤어스토퍼(7)는 도 2, 도 3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로드(5)와 헤어스토퍼(7)의 조립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동 측면도이다. 도 2, 도 3에는 두발이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로드(5)에 두발을 감고, 이 로드(5)의 외주측에 헤어스토퍼(7)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상기 로드(5)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로드(5)의 분해단면도, 도 5는 동 측면도이다.
도 2 ~ 도 5와 같이, 로드(5)는 로드본체(17)와 단자체(19)로 구성되어 있다. 로드본체(17)는 비전도성의 수지로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을 폐쇄하는 단벽(21)을 구비하고, 개구된 타단에 감합구멍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드본체(17)의 내주에는, 내측온도조정체로서 필름히터(25)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필림히터(25)는 비전도성의 수지 필름내에 니크롬선 등을 배선한 것이다. 필름히터(25)는 필림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 본체(17)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단, 필름히터(25)를 로드본체(17)의 내주에 고착할 수도 있다. 필름히터(25)는 로드본체(17)의 내주면 거의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지만, 부분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필름히터(25)가 배치되는 로드본체(17)의 내부공간은, 폐쇄공간으로서 형성되고, 필름히터(25)의 주위에는, 예를 들면 열전도성이 우수한 오일 등이 봉입 또는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필름히터(25)와 로드 본체(17)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오일에 의해 채워져, 필름히터(25)로부터 로드본체(7)로의 열전도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필름히터(25)에는 각기 플러스 마이너스용의 컨넥터(27,28)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단자체(19)는 비전도성의 수지로 형성된 단자체본체(29)와 플러스 마이너스의 2 개의 금속단자(31,32)로 이루어져 있다. 단자본체(29)에는 감합부(35)가 설치되어, 상기 감합구멍부(23)에 착탈가능하게 감합고정된다.
상기 금속단자(31,33)의 내단부에 상기 필름히터(25)의 컨넥터(27,28)가 접속되고, 금속단자(31,33)의 외단부에 상기 연장전선(13)의 플러스 마이너스의 컨넥터(37,39)가 각기 착탈자유롭게 삽입 접속된다.
상기 헤어스토퍼(7)는 도 6 ~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헤어스토퍼의 평면도, 도 7(a)는 헤어스토퍼에 장착하는 캡의 평면도, (b)는 동 측면도, 도 8은 헤어스토퍼를 닫은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헤어스토퍼를 연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 도 3, 도 6 ~ 도 9와 같이, 상기 헤어스토퍼(7)는 한 쌍의 플랩체(flap : 41,43)로 구성되어 있다. 플랩체(41,43)는 만곡부(45,47)와 탭부(tap; 49,50)를 비전도성의 수지로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만곡부(45,47)의 곡률은, 상기 로드(5)와 거의 비슷하게 형성되고, 로드(5)보다도 직경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드(5)와의 사이에 두발을 끼우기 위한 약간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만곡부(45,47)에는 만곡에 따라서 외측온도조정체로서 필름히터(51,53)가 설치되어 있다. 필름히터(51,53)는 비전도성의 수지필름내에 니크롬선 등을 배선한 것이다. 필름히터(51,53)는 만곡부(45,47)에 설치된 삽입슬릿(55,57)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필름히터(51,53)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필름히터(51,53)는 플랩체(41,43)와 비슷한 폭, 비슷한 길이로 형성되고, 플랩체(41,43) 전체의 온도조정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필름히터(51)에는 플러스 마이너스의 전선(59,61)이 접속되어 있다. 이 전선(59,61)의 단부에는, 컨넥터(63,65)가 설치되어 있다. 전선(59,61)은 만곡부(45)에 설치된 창(67)을 거쳐서 그 만곡부(45)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창(67)에는 거의 같은 형상의 캡(69)이 부착되어, 전선(59,61)의 지지가 행해지고 있다. 캡(69)은 계합편부(71,73)를 구비하고 있고, 이 계합편부(71,73)가 창(67) 속으로 들어오므로써, 캡(69)의 계합고정이 행해지게 된다. 상기 필름히터(53)로부터도 비슷하게 전선이 인출되고, 이 전선의 단부에 비슷하게 콘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컨넥터(63,65) 등이 상기 연장전선(15) 측의 각각의 컨넥터에 삽입접속된다.
상기 탭부(49,50)는 서로 각도를 갖고 배치되어, 대향측에 결합편(75,77)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결합편(75,77)에는 결합핀(79)이 관통하여 부착되고, 이 결합핀(79)에 토크 스프링(81)이 지지되어 있다. 토크 스프링(81)의 아암(83,85)은 각각 탭부(49,50)의 내면에 탄성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탭부(49,50)를 잡고 힘들 가하면, 탭부(49,50)가 토크 스프링(8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접근하고, 플랩체(41,43)가 결합핀(79)을 중심으로 하여 도 9와 같이 열린다. 탭부(49,50)를 분리하면, 토크 스프링(81)의 부세력에 의해 플랩체(41,43)는 도 8과 같이 닫긴다.
이어서 두발처리장치(1)의 작용을,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두발처리방법과 함께 설명한다. 두발을 컬할 때에는, 먼저 두발을 컬하는 공정에서 로드(5)에 두발을 감고, 두발을 감은 로드(5)의 외주측에 헤어스토퍼(7)를 장착한다. 로드(5)에 두발을 감을 때, 및 로드(5)의 외주측에 헤어스토퍼(7)를 장착할 때에는, 각각 연장전선(13,15)에 대한 접속을 해제하여 둔다.
그리고, 복수의 로드(5)에 두발을 감고, 각각 두발을 감은 로드(5)의 외주측에 헤어스토퍼(7)를 장착한다. 헤어스토퍼(7)의 장착시에는, 도 8,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탭부(49,50)를 잡고 조작함으로써 플랩체(41,43)를 토크 스프링(81)에 저항하여 열고, 토크 스프링(81)의 부세력에 의해 닫기도록 한다.
이어서, 각 로드(5)의 금속단자(31,33)에 연장전선(13)의 컨넥터(37,39)를 삽입접속함과 함께, 각 헤어스토퍼(7)의 각 필름히터(51,53)용의 컨넥터(63,65) 등에, 상기 연장전선(15) 측의 각 컨넥터를 삽입접속한다. 이에 의해, 제어박스(3)와 각 로드(5) 및 각 헤어스토퍼(7)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박스(3)의 제어버튼(9)을 조작하여 온도설정을 행하고, 연속설정 혹은 단발설정에 의해 제어를 개시한다. 이 설정에 의해, 로드(5)의 필름히터(25)와 헤어스토퍼(7)의 필름히터(51,53)와의 온도가 적절히 제어된다. 이 제어에 의해 컬한 두발의 내측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가열처리하고 동 외측을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처리하는 공정이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히터(25)와 필름히터(51,53)에 온도차가 있도록 제어한다. 이 온도차는, 예를 들면 50 ℃가 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이 온도차 50℃는, 필름히터(25)의 발열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필름히터(51,53)의 발열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름히터(25)의 발열온도가 110℃로, 필름히터(51,53)의 발열온도가 60℃로 되도록 제어하고, 내외의 온도차가 50℃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 필름히터(25)와 필름히터(51,53)의 온도는, 예를 들면 액정표시부(11)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 액정표시부(11)를 보면서 온도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연속설정에서는 제어박스(3)에 의해 필름히터(25)와 필름히터(51,53)의 온도를 설정하고, 자동적으로 온도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 도중에서는 다양한 온도를 설정하고, 마무리단계에서 상기와 같은 제어에 의해 필름히터(25)의 발열온도가 110℃로, 필름히터(51,53)의 발열온도가 60℃로 되도록 하고, 내외의 온도차를 50℃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두발의 컬처리를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로드(5) 및 헤어스토퍼(7)를 세정할 때는, 필름히터(25,51,53)를 분리하여 간단히 세척할 수 있다.
이상, 로드(5)에 감겨진 두발이 온도조정된 필름히터(25) 및 필름히터(51,53)에 의해 내외로부터 열처리되어, 컬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름히터(25) 및 필름히터(51,53)는, 상기 제어박스(3)에 의한 전기제어에 의해 발열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5)에 감겨진 두발이 온도조정된 필름히터(25) 및 필름히터(51,53)에 의해 내외로부터 가열처리되어, 컬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 제어박스(3)가 상기 필름히터(25) 및 필름히터(51,53)에 온도차가 있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로드(5)에 감겨진 두발이 온도조정된 필름히터(25) 및 필름히터(51,53)에 의해 내외의 온도차를 갖고 가열처리되어, 컬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 제어박스(3)가, 상기 온도차가 50℃로 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내외의 온도차가 컬에 적당하게 되어 컬을 보다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 제어박스(3)가 상기 필름히터(25)의 발열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상기 필름히터(51,53)의 발열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컬의 내측을 상대적으로 보다 강하게 가열할 수가 있고, 컬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 제어박스(3)는 상기 필름히터(25)의 발열온도가 110℃로, 상기 필름히터(51,53)의 발열온도가 60℃로 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내외의 가열온도 및 온도차가 컬에 적합하게 되어 컬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필름히터(25)의 발열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필름히터(51,53)의 발열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되도록 제어했지만, 온도의 높낮이를 역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필름히터(25)와 필름히터(51,53) 사이의 온도차는 50℃ 이외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름히터(25)와 필름히터(51,53) 사이에 온도차가 없도록 가열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내측온도조정체 및 외측온도조정체를 쌍방모두 전기제어에 의해 발열가능하게 구성했지만, 일방에 피에조소자(piezoelectric element) 등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냉각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일방을 발열시키고, 일방을 냉각하는 것에 의해 온도차를 만들 수가 있다.
상기 내외측 온도조정체는 실리콘러버히터(silicon rubber heater)로 구성하거나, 혹은 로드(5) 및 헤어스토퍼(7)의 비전도성의 수지내에 니크롬선을 진접 매설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컬을 보다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형성한다는 목적을 단열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실현한다.
도 10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정발처리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동일 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0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정발처리장치(1A)는 상기 실시예의 정발처지장치(1)와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 거의 동일하고, 헤어스토퍼(7) 대신에 단열구 (107)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박스(3)의 제어버튼(9)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속설정, 단발설정의 선택, 온도설정 등을 행하는 것이다. 연속설정은, 예를 들면 로드(5)의 필름히터(25)의 온도제어를 일련의 복수 종류의 가열처리를 위해 행한다. 단발설정은, 예를들면 단일의 온도에 필름히터(25)의 온도제어를 행한다.
상기 로드(5) 및 단열구(107)는 도 11, 도 12와 같이 이루어져 있다. 도 11은 로드(5) 및 단열구(107)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동 측면도이다. 도 11, 도 12에서는 두발이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로드(5)에 두발을 감고, 이 로드(5)의 외주측에 단열구(107)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상기 단열구(107)는, 도 13 ~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단열구의 평면도, 도 14는 단열구를 닫은 상태의 측면도, 도 15는 단열구를 연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1, 도 12, 도 13 ~ 도 15와 같이, 상기 단열구(107)은 한 쌍의 플랩체(41A,43A)로 구성되어 있다. 플랩체(41A,43A)는 만곡부(45A,47A)와 탭부(49A,50A)를 비전도성의 수지로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만곡부(45A,47A)의 곡률은 상기 로드(5)와 거의 비슷하게 형성되고, 로드(5)보다도 직경을 크게 하고, 로드(5)와의 사이에 두발을 끼우기 위한 약간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만곡부(45A,47A)의 내부에는 만곡에 따라 단열용의 단열공간(51A,53A)이 설치되어 있다. 단열공간(51A,53A)은 만곡부(45A,47A)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닫힌공간으로 되어 있다. 단열공간(51A,53A)은 플랩체(41A,43A)와 비슷한 폭, 비슷한 길이로 형성되고, 플랩체(41A,43A) 전체의 단열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열공간(51A,53A)에는 단열재로서, 예를들면 실리콘, 글래스울(glass wool) 등이 봉입되어 있다.
상기 탭부(49A,50A)에는, 상기 실시예의 헤어스토퍼(7)와 마찬가지로, 결합편(75A,77A) 및 결합편(75A,77A)을 관통한 결합핀(79), 결합핀(79)에 지지된 토크스프링(81A)이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두발처리장치(1A)의 작용을,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두발처리방법과 함께 설명한다. 두발을 컬할 때에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먼저 두발을 컬하는 공정에서 로드(5)에 두발을 감고, 두발을 감은 로드(5)의 외주측에 단열구(107)를 장착하고, 로드(5)를 전체적으로 덥는다. 로드(5)에 두발을 감을 때에는, 연장전선(13)에 대한 접속을 끊어둔다.
그리고, 복수의 로드(5)에 두발을 감고, 각기 두발을 감은 로드(5)의 외주측에 단열구(107)를 장착한다. 단열구(107)를 장착할 때에는, 탭부(49A,50A)를 잡고 조작하는 것에 의해, 플랩체(41A,43A)를 토크 스프링(81A)에 저항하여 열고, 토크 스프링(81A)의 부세력에 의해 닫기도록 한다.
이어서, 각 로드(5)의 금속단자(31,33)에 연장전선(13)의 컨넥터(37,39)를 삽입접속한다. 이에의해, 제어박스(3)와 각 로드(5)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박스(3)의 제어버튼(9)을 조작하여 온도설정을 행하고, 연속설정 혹은 단발설정에 의해 제어를 개시한다. 이 설정에 의해, 로드(5)의 필름히터(25)의 온도가 적절히 제어된다. 예를들면, 필름히터(25)의 온도를 초기에 상온으로부터 130℃ 정도까지 상승시켜 10분 정도 유지하고, 두발에 급격한 열스트레스를 부여한다. 그 후 필름히터(25)의 온도를 100℃ 전후까지 내린다. 이와 같이 단시간에 높은 온도로 제어하면, 두발에 열에 의한 영향을 적게하면서, 확실히 컬을 시행할 수가 있다.
또한, 필름히터(25)의 온도를, 상온으로부터 150℃의 범위에서 리얼타임으로 제어하므로써 건강모나 손상모 등, 각종의 정발(hair dressing)을 행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온도제어시에, 단열구(107)가 로드(5)의 외측을 덮기 때문에, 피정발자의 두피에 로드(5)의 열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억제하고, 로드(5)에 의한 두발의 열처리를 정확히 행하고 컬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로드(5)를 세정할 때는 필름히터(25)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간단히 세정할 수가 있다.
이상, 로드(5)의 온도를 충분히 높게 하면서 피정발자의 두피로의 열의 영향을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두발의 컬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 단열구(107)는 내부에 단열용의 단열공간(51A,53A)을 가지고, 이 단열공간(51A,53A)에 단열재로서, 예를들면 실리콘, 글라스울 등이 봉입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구(107)에 의해 비정발자의 두피로의 영향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열공간(51A,53A)을 닫힌 공간으로 하여 내부에 단열재를 봉입했지만, 단열재를 생략하고, 단열공간(51A,53A) 속을 공기만 존재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단열공간(51A,53A)내의 공기가 단열재로서 기능하여, 상기와 비슷한 효과를 낼 수가 있다. 또한, 단열공간(51A,53A)을 닫힌 공간으로 하지 않고 단부를 단열구(107) 외부로 개방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단열공간(51A,53A) 속으로부터 개방된 단부를 거쳐 열이 외부로 방출되고, 단열구(107)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가 있다.
상기 단열공간(51A,53A)을 생략하고, 단열구(107)를 단열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하므로써,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 온도조정체는 실리콘러버히터로 구성하고, 혹은 로드(5)의 비전도성의 수지내에 니크롬선을 직접 매설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에 따른 정발처리장치와 정발처리방법을 사용하므로써, 로드에 감겨진 두발의 내외를 열처리하는 것은 물론 두발의 내외가 온도차를 갖도록 열처리하여, 컬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두발이 감겨진 로드의 외주측을 단열하므로써 로드의 온도를 충분히 높게하면서도 피정발자의 두피로의 열의 영향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컬을 보다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것으로, 정발처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정발처리장치의 로드 및 헤어스토퍼의 조립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정발처리장치의 로드 및 헤어스토퍼의 조립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정발처리장치의 로드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정발처리장치의 로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정발처리장치의 헤어스토퍼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실시예 1의 정발처리장치의 캡의 평면도, 도 7(b)는 동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정발처리장치의 헤어스토퍼를 닫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정발처리장치의 헤어스토퍼를 연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것으로, 정발처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의 정발처리장치의 로드 및 단열구의 조립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의 정발처리장치의 로드 및 단열구의 조립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2의 정발처리장치의 단열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의 정발처리장치의 단열구를 닫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2의 정발처리장치의 헤어스토퍼를 연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종래기술에 관한 것으로, 헤어웨이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종래기술의 헤어웨이브장치의 헤어컬기의 일부를 단면처리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
1 : 정발처리장치 3 : 제어박스
5 : 로드 7 : 헤어스토퍼
13,15 : 연장전선 25,51,53 : 필름히터
31,33 : 금속단자 37,39,63,65 : 컨넥터
41,43 : 플랩체 49,50 : 탭부
45A,47A : 만곡부 51A,53A : 단열공간
81 : 토크 스프링 83,85 : 아암
107 : 단열구

Claims (12)

  1. 내측온도조정체를 가진 두발컬용의 로드와
    외측온도조정체를 가지며 두발을 감은 상기 로드의 외주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헤어스토퍼와
    상기 내측온도조정체 및 외측온도조정체에 접속되어 양자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온도조정체 및 외측온도조정체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한 전기제어에 의해 발열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내측온도조정체 및 외측온도조정체에 온도차가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처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온도차가 50℃로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처리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내측온도조정체의 발열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상기 외측온도조정체의 발열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처리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내측온도조정체의 발열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상기 외측온도조정체의 발열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처리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내측온도조정체의 발열온도가 110℃로, 상기 외측온도조정체의 발열온도가 60℃로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처리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내측온도조정체의 발열온도가 110℃로, 상기 외측온도조정체의 발열온도가 60℃로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처리장치.
  9. 온도조정체를 가진 두발컬용 로드와,
    상기 온도조정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고,
    두발을 감은 상기 로드의 외주측을 덮어 단열하기 위한 단열구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처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열구는 내부에 단열용의 단열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처리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열공간에 단열재를 봉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처리장치.
  12. 두발을 컬하는 공정과,
    상기 컬한 두발의 내측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가열처리하고, 동 외측을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처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처리방법.
KR1020040065855A 2004-03-22 2004-08-20 정발처리장치 및 정발처리방법 KR101129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82756 2004-03-22
JP2004082756A JP4187677B2 (ja) 2004-03-22 2004-03-22 整髪処理装置
JP2004127995A JP4128977B2 (ja) 2004-04-23 2004-04-23 整髪処理装置
JPJP-P-2004-00127995 2004-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323A true KR20050094323A (ko) 2005-09-27
KR101129289B1 KR101129289B1 (ko) 2012-03-26

Family

ID=3511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855A KR101129289B1 (ko) 2004-03-22 2004-08-20 정발처리장치 및 정발처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9289B1 (ko)
AU (1) AU2004203824B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69Y1 (ko) * 2009-11-09 2010-03-11 정매자 헤어로드 연결구
KR101310050B1 (ko) * 2012-03-16 2013-09-24 이지훈 모발용 단열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906125A2 (pt) 2008-12-16 2015-09-01 Oreal Processo de deformação permanente das fibras queratínicas, dispositivo de colocação sob tensão mecânica, uso de um dispositivo e kit
GB2615802A (en) * 2022-02-21 2023-08-23 Dyson Technology Ltd A hair 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2941A (en) * 1960-01-15 1963-09-03 Pope Jessie May Hair conditioning implement
DE2504237C3 (de) * 1975-02-01 1982-01-07 Braun Ag, 6000 Frankfurt Elektrisches Haarbehandlungsgerät
US4635140A (en) * 1982-05-08 1987-01-06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Digital recording/playback system with limited frequency range
DE3620910A1 (de) * 1986-06-21 1987-12-23 Braun Ag Elektrisch beheizbarer lockenstab
US4841127A (en) * 1987-04-06 1989-06-20 Gte Products Corporation Dual temperature hair curler utilizing a pair of PTC heaters
US5354967A (en) * 1992-11-13 1994-10-11 Helen Of Troy Corporation Hair styling appliance heater and control
US5837972A (en) * 1996-04-01 1998-11-17 Padilla; Richard P. Hair curling iron with length and diameter adaptation
KR200270337Y1 (ko) * 2001-10-10 2002-04-03 이대범 셋팅 퍼머용 가온 장치
KR200284361Y1 (ko) 2002-01-16 2002-08-10 완 판 아이 헤어스타일을 위한 열세팅 장치
KR100484235B1 (ko) * 2002-07-15 2005-04-22 이대범 발열시트를 이용한 셋팅퍼머용 가온장치
KR200310088Y1 (ko) * 2002-10-07 2003-04-08 경성전기(주) 전기파마기
BR0303797C1 (pt) * 2003-09-05 2004-11-03 Daihatsu Ind E Com De Moveis E Aperfeiçoamento introduzido em equipamento elétrico manual para alisamento de cabelos
CN1921782A (zh) * 2004-02-20 2007-02-28 陈永坚 头发造型装置
FR2916944B1 (fr) * 2007-06-11 2009-08-14 Seb Sa Appareil de coiff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69Y1 (ko) * 2009-11-09 2010-03-11 정매자 헤어로드 연결구
KR101310050B1 (ko) * 2012-03-16 2013-09-24 이지훈 모발용 단열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9289B1 (ko) 2012-03-26
AU2004203824B2 (en) 2009-11-26
AU2004203824A1 (en)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0100B2 (ja) 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
US7243661B2 (en) Hair styling appliance
US20100101599A1 (en) Hair iron having buffer member
US20120111354A1 (en) Multi-zone heated hair appliance
US20060037625A1 (en) Hair straightening appliance with flocked arms
WO2008032978A1 (en) Hair crimping iron
KR101129289B1 (ko) 정발처리장치 및 정발처리방법
JP4879791B2 (ja) まつ毛カーラー
KR101785569B1 (ko) 전기 고데기
JP2009522012A (ja) 毛髪処理装置
JP4128977B2 (ja) 整髪処理装置
CN105639973B (zh) 烫发器
JP4187677B2 (ja) 整髪処理装置
US4653517A (en) Iron for straightening curly hairs
JP6369798B2 (ja) 毛髪形状処理器および毛髪形状処理方法
KR100916541B1 (ko) 머리카락 손질용 미용기구
KR20110007333A (ko) 머리 미용기구
DK3187067T3 (en) Hair styling apparatus
JP3123139U (ja) セラミックヘアアイロン
JP3057046U (ja) ヘアアイロン
KR200262444Y1 (ko) 전기 빗
JP5448681B2 (ja) ヘアアイロン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毛髪形状付与方法
JPH08187119A (ja) 整髪装置
WO2024105973A1 (ja) まつ毛カーラー
KR200270337Y1 (ko) 셋팅 퍼머용 가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