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902A - 내부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액체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내부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액체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902A
KR20050093902A KR1020040018843A KR20040018843A KR20050093902A KR 20050093902 A KR20050093902 A KR 20050093902A KR 1020040018843 A KR1020040018843 A KR 1020040018843A KR 20040018843 A KR20040018843 A KR 20040018843A KR 20050093902 A KR20050093902 A KR 20050093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heet
liquid storage
storage container
wall member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성덕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차성덕
박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성덕, 박상준 filed Critical 차성덕
Priority to KR102004001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3902A/ko
Publication of KR2005009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90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부의 내용물(액체 음료)만을 마신 후, 나머지를 보관하는 경우에도 내용물 고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 보관 용기를 개시하며,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보관 용기는 바닥 부재, 측면 부재 및 뚜껑이 체결되는 병목 부분인 상부 부재로 이루어진다. 바닥 부재, 측면 부재 및 상부 부재에 평판형의 분리벽 부재의 각 엣지면이 부착되어 내부 공간이 2개의 독립 공간들로 구분되며, 상부 부재의 상단면과 분리벽 부재의 상단면에는 실링 시트가 접착되어 있어 2개의 공간이 완전히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된 실링 시트에는 분리벽 부재의 상단면과 일치하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어 한 부분에 외력이 가해져도 다른 부분에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실링 시트에는 절취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각 부분에 연장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연장편은 절취선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내부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액체 보관 용기{Liquid vessel with separate spaces}
본 발명은 액체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 공간이 독립적인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액체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맥주, 샴페인과 같은 주류 또는 콜라와 사이다와 같은 음료에는 탄산 가스가 함유되어 있다. 탄산 가스가 함유된 음료 또는 주류를 저장하는 용기는 일반적으로 금속성 캔 또는 병을 이용하며, 탄산 가스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내부 공간은 밀봉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최근에 들어서는 콜라, 사이다와 같은 탄산 음료뿐만 아니라 맥주를 보관하는 용기로서 캔 및 병 이외에 취급 및 보관의 편리성 그리고 가격적인 면에서 우수한 합성 수지제의 페트병을 널리 이용하고 있다. 페트병 상단에 위치한 뚜껑을 돌려서 분리, 제거한 후, 담겨진 탄산 음료 또는 맥주(이하, 편의상 "내용물"이라 칭함)를 마시게 된다.
페트병에서 뚜껑을 분리, 제거한 후, 담겨진 내용물을 모두 마시는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내용물의 일부만을 마신 후, 뚜껑을 다시 체결하여 나머지 내용물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탄산 가스의 증발(소위 "김빠짐")로 인하여 내용물은 탄산 가스로 인한 톡쏘는, 고유의 맛을 유지하기 어렵다. 특히, 소용량의 페트병보다는 1.5리터 이상 대용량의 페트병의 경우, 내용물중 일부만을 마시고 난 후 나머지 내용물이 담겨진 페트병에 뚜껑을 체결한 후, 냉장고 내에서 그대로 보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한편, 탄산 음료 이외의 음료, 예를 들어 과일 쥬스, 생수 등과 같은 내용물은 밀봉 상태가 해제된 후, 즉 페트병에 보관된 마시고 남은 일부의 내용물이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장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변질될 수도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이 나타나는 페트병은 그 내부가 단일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종류가 다른 내용물, 예를 들어 콜라와 사이다를 동일 페트병에 보관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탄산 음료 등의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페트병)의 사용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위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부의 내용물만을 마신 후, 나머지를 보관하는 경우에도 내용물 고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얻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보관 용기는 바닥 부재, 측면 부재 및 뚜껑이 체결되는 병목 부분인 상부 부재로 이루어진다. 바닥 부재, 측면 부재 및 상부 부재에 평판형의 분리벽 부재의 각 엣지면이 부착되어 내부 공간이 2개의 독립 공간들로 구분되며, 상부 부재의 상단면과 분리벽 부재의 상단면에는 실링 시트가 접착되어 있어 2개의 공간이 완전히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된 실링 시트에는 분리벽 부재의 상단면과 일치하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어 한 부분에 외력이 가해져도 다른 부분에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실링 시트에는 절취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각 부분에 연장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연장편은 절취선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실링 시트의 효과적인 기능을 얻기 위하여 절취선이 접착되는 분리벽 부재의 상단면의 폭을 그 하부보다 넓게 구성하였으며, 또한, 대응하는 분리벽 부재의 상단과 상부 부재의 상단이 형성하는 2개의 공간을 각각 밀폐시키는 2개의 부분으로 분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보관 용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보관 용기중의 한 실시예인 페트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2-2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트병(1)의 전체적인 외관 구성은 일반적인 페트병의 외관 구성과 큰 차이점은 없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트병(1)은 바닥 부재(2), 측면 부재(3) 및 뚜껑(C)이 체결되는 병목(bottleneck) 부분인 상부 부재(4)로 이루어진다. 상부 부재(4)의 외주면에는 뚜껑(C)의 체결을 위한 나선부(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 부재(2), 측면 부재(3) 및 상부 부재(4)는 상단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이 공간에 탄산 음료 또는 맥주(이하, "내용물"이라 칭함)가 수용된다.
이와 같은 부분들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트병(1)의 가장 큰 구성적인 특징은 바닥 부재(2), 측면 부재(3) 및 상부 부재(4)에 내부 공간을 구분하는 분리벽 부재(5)를 고정시킨 것이다. 즉, 페트병(1)의 종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평면형 분리벽 부재(5)의 바닥 엣지(edge)면은 바닥 부재(2)에, 양측부 엣지면은 측면 부재(3)에, 그리고 상부 엣지면은 상부 부재(4)의 내면에 부착시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트병(1)의 내부 공간은 이 분리벽 부재(5)에 의하여 완전하게 분리된 2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진다.
한편, 도 1에서는 페트병(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하여 바닥 부재(2), 측면 부재(3) 및 상부 부재(4)를 투명하게 처리하였으며, 따라서 분리된 2개의 공간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벽(5) 부재의 상단면 및 상부 부재(4)의 상단에는 실링 시트(10; sealing seat)가 부착된다. 상부 부재(4)의 상단면과 분리벽 부재(5)의 상단면은 서로 수평을 이루게되며, 실링 시트(10)는 상부 부재(4) 및 분리벽 부재(5)의 상단면에 부착, 고정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폐트병의 상단을 밀폐시키는 실링 시트(10)의 평면도로서, 실링 시트(10)는 은박지와 같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 부재(4)의 상단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상부 부재(4) 상에 위치한 실링 시트(10)의 외곽 원주면은 하향 절곡되며, 도 3에서 절곡면을 점선(10A)으로 처리하였다.
실링 시트(10)의 절곡된 부분의 내면은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에 의하여 상부 부재(4)의 상단부 외주면에 접착, 고정된다. 따라서 상부 부재(4)로부터 뚜껑(C)이 분리된 후에도 실링 시트(10)를 제거하지 않는 이상 내용물의 외부 유출은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실링 시트(10)에는 중심을 지나는 지름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눌림부들로 이루어진 절취선(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절취선(11)이 분리벽 부재(5)의 상단면 상에 접착되도록 실링 시트(10)를 상부 부재(4) 상단면에 접착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실링 시트(10)의 한 부분을 잡고 힘을 가하여(잡아 당겨) 상부 부재(4)와의 접착 상태를 해제시킨 후, 절취선(11)까지 힘을 가하면, 힘이 가해지는 실링 시트(10)의 한 부분은 절취선(11)을 따라서 절취된다. 따라서 절취선(11)을 중심으로 힘이 가해진 부분은 상부 부재(4)로부터 분리, 제거되지만, 힘이 가해지지 않은 부분은 상부 부재(4) 및 분리벽 부재(5)의 상단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실링 시트(10)의 절취선(11) 형성 부분이 분리벽 부재(5)의 상단면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절취선(11)을 기준으로 상부 부재(4)로부터 분리된 실링 시트(10)부분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은 개방된 상태로 되지만, 상부 부재(4) 및 분리벽 부재(5)의 상단면에 부착되어 있는 실링 시트(10)의 부분에 대응하는 공간은 밀폐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개방된 공간에 담겨진 내용물을 마신 후(또는 컵에 부은 후), 캡(C)을 굳이 씌우지 않더라도 밀폐된 공간에 남아 있는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으며, 탄산 가스의 외부 유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음료 고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분리벽 부재(5) 상단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페트병(1) 상부의 부분 단면도로서, 실링 시트(10)가 부착되는 분리벽 부재(5)의 상단부(5A)의 폭을 그 하부보다 더욱 넓게 구성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링 시트(10)의 중심으로 가로지르는 절취선(11)은 분리벽 부재(5)의 상단부(5A) 표면에 위치하게 된다.
만일, 분리벽 부재(5) 상단부의 폭이 충분히 넓지 않다면, 페트병(1)에 실링 시트(10)를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분리벽 부재(5)의 상단면과 실링 시트(10)의 지름선상에 형성된 절취선(11)을 일치시키기 어렵다. 만일, 분리벽 부재(5)의 상단면과 실링 시트(10)의 절취선(11)이 일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절취선(11)을 중심으로 한 부분의 실링 시트(10)가 제거된 경우, 실링 시트(10)의 나머지 부분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일지라도 이에 대응하는 공간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실링 시트(10)의 절취선(11)이 보다 여유롭게 분리벽 부재(5)의 상단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벽 부재(5)의 상단부(5A)의 폭을 그 하부보다 넓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상부 부재에 부착되는 다른 형태의 실링 시트(10')의 평면도로서, 지름 상에 절취선(11')을 형성한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실링 시트(10)의 구조와 동일하다. 본 실링 시트(10')의 특징은 절취선(11')을 기준으로 양분되는 실링 시트(10')의 각 부분에 연장편(12A, 12B)을 형성한 것이다. 사용자는 각 연장편(12A, 12B)을 잡고 실링 시트(10')를 잡아 다님으로서 보다 간편하게 실링 시트(10')의 한 부분을 분리, 제거할 수 있다.
특히, 2개의 연장편(12A, 12B) 각각은 절취선(11')에 인접하게 그리고 서로 반대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각 연장편(12A, 12B)을 통하여 절취선(11')에 힘을 곧바로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다른 연장편(12B 또는 12A)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해당 연장편(12A 또는 12B)만을 잡아 다녀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실링 시트(10, 10')의 지름 상에 절취선(11, 11')을 형성하지 않고 반원형의 2개의 실링 시트를 서로 대응시켜 원형 상태로 상부 부재(4)의 상단면에 접착할 수 있으며, 이때 실링 시트의 대응면(직선부)이 분리벽 부재(5)의 상단면에 위치하여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내부 공간이 2개의 공간으로 구분된 액체 보관 용기의 사용상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완전하게 분리된 2개의 공간 각각에 탄산 음료를 담고 실링 시트를 접착시킴으로서 실링 시트의 한 부분을 제거하여 해당 공간을 개방시키는 경우, 제거되지 않은 실링 시트로 인하여 나머지 공간은 완벽하게 밀봉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한 공간에 담겨진 음료를 마시고 난 후에도 개방되지 않은 상태의 다른 공간에 담겨진 음료를 신선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은 특히 대용량의 페트병에서 얻을 수 있다. 대용량의 페트병에 담겨진 음료수의 일부만을 마시고 난 후에는 탄산 가스의 배출 및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뚜껑을 닫을지라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음료수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없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에 의하여 완전히 개선될 수 있다.
2. 또한, 단일의 페트병 내부 공간이 독립적인 2개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2종류의 음료를 각각의 공간에 담을 수 있어 단일 용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맛볼 수 있다.
3. 2인이 각자의 스트로우를 사용하여 각 공간에 담겨진 음료수를 각각 마실 수 있어 위생적인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과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과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즉,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평판형의 단일 분리벽 부재를 이용하여 용기의 내부 공간을 2개의 독립 공간으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였지만, 예를 들어 단면이 "×" 형상의 분리벽 부재를 이용하여 4개의 독립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실링 시트에 형성된 절취선 역시 분리벽 부재의 상단면과 일치하도록 형성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특히, 분리벽 부재의 단면 형상을 예를 들어, "ㄴ"형으로 함으로서 전체 내용물에 대한 특정 내용물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페트병으로 설명된 본 발명에서의 액체 보관 용기는 합성수지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또는 유리로 제조된 캔 또는 병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보관 용기의 한 실시예인 페트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2-2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폐트병의 상단을 밀폐시키는 실링 시트의 평면도.
도 4는 분리벽 부재의 상단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페트병 상부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상부 부재 상단 및 분리벽 부재 상단면에 부착되는 다른 형태의 실링 시트의 평면도.

Claims (10)

  1. 바닥 부재, 측면 부재 및 뚜껑이 체결되는 병목(bottleneck) 부분인 상부 부재로 이루어진 액체 보관 용기에 있어서,
    바닥 부재, 측면 부재 및 상부 부재에 분리벽 부재의 각 엣지면이 부착되어 내부 공간이 다수의 독립 공간들로 구분되며, 상부 부재의 상단면과 분리벽 부재의 상단면에는 실링 시트가 접착되어 있어 상기 각 공간들이 완전히 밀폐되는 액체 보관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시트에는 상기 분리벽 부재의 상단면과 일치하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어 한 부분에 외력이 가해져도 다른 부분에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액체 보관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시트에는 상기 절취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각 부분에 연장편이 형성되어 있는 액체 보관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시트는 대응하는 분리벽 부재의 상단과 상부 부재의 상단이 형성하는 공간을 각각 밀폐시키는 다수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는 액체 보관 용기.
  5. 바닥 부재, 측면 부재 및 뚜껑이 체결되는 병목 부분인 상부 부재로 이루어진 액체 보관 용기에 있어서,
    바닥 부재, 측면 부재 및 상부 부재에 평판형의 분리벽 부재의 각 엣지면이 부착되어 내부 공간이 2개의 독립 공간들로 구분되며, 상부 부재의 상단면과 분리벽 부재의 상단면에는 실링 시트가 접착되어 있어 상기 2개의 공간이 완전히 밀폐되는 액체 보관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시트에는 상기 분리벽 부재의 상단면과 일치하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어 한 부분에 외력이 가해져도 다른 부분에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액체 보관 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시트에는 상기 절취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각 부분에 연장편이 형성되어 있되, 각 연장편은 절취선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액체 보관 용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시트의 절취선이 접착되는 분리벽 부재의 상단면은 그 하부보다 폭이 넓게 구성되어 있는 액체 보관 용기.
  9. 제 5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시트는 대응하는 분리벽 부재의 상단과 상부 부재의 상단이 형성하는 2개의 공간을 각각 밀폐시키는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되, 각 부분의 대응하는 직선부는 분리벽 부재의 상단면 상에 위치하는 액체 보관 용기.
  10. 제 5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보관 용기는 페트병인 액체 보관 용기.
KR1020040018843A 2004-03-19 2004-03-19 내부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액체 보관 용기 KR200500939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43A KR20050093902A (ko) 2004-03-19 2004-03-19 내부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액체 보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43A KR20050093902A (ko) 2004-03-19 2004-03-19 내부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액체 보관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657U Division KR200352957Y1 (ko) 2004-03-19 2004-03-19 내부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액체 보관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902A true KR20050093902A (ko) 2005-09-23

Family

ID=3727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843A KR20050093902A (ko) 2004-03-19 2004-03-19 내부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액체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39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59625A1 (en) Beverage bottle
US20010022304A1 (en) Container
US6360558B1 (en) Combination carrier and cooler for beverage containers
KR101424096B1 (ko) 음료 및 주류 용기
KR200352957Y1 (ko) 내부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액체 보관 용기
KR20050093902A (ko) 내부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액체 보관 용기
KR101993213B1 (ko) 이중 캔
JP3135772U (ja) 清涼飲料水用袋容器
JP2006111268A (ja) 容器
KR100429708B1 (ko) 통체의 2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음료수 병
JP3096659U (ja) 携帯用飲料パック容器
KR200221669Y1 (ko) 통체의 2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음료수 병
KR200191415Y1 (ko) 음료수 캔
KR200192087Y1 (ko) 주류 용기
KR200314066Y1 (ko)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KR200170710Y1 (ko) 여러가지의 음료원액이 내장된 음료용기
KR100367873B1 (ko) 음료수 캔
KR200167107Y1 (ko) 캔음료용기
KR200174370Y1 (ko) 두개의 흡음구가 구비된 음료수 캔
KR200284872Y1 (ko) 이중 유출구를 갖는 음료용기
KR200156729Y1 (ko) 내부공간이 상하 분할된 2중캔
KR200282170Y1 (ko) 쌍둥이 음료수 용기
WO2020009565A1 (en) Bottle
KR200244231Y1 (ko) 더블형 1.5리터 페트병
KR200256167Y1 (ko) 이중 음료수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