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724A - 저주파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저주파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724A
KR20050093724A KR1020050054319A KR20050054319A KR20050093724A KR 20050093724 A KR20050093724 A KR 20050093724A KR 1020050054319 A KR1020050054319 A KR 1020050054319A KR 20050054319 A KR20050054319 A KR 20050054319A KR 20050093724 A KR20050093724 A KR 20050093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pulse width
program
minutes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823B1 (ko
Inventor
박의경
Original Assignee
박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의경 filed Critical 박의경
Priority to KR1020050054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82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주파 치료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료부위별 치료목적별로 최적의 주파수 및 펄스폭을 적용한 저주파 치료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은 (a) 소정의 미리 등록된 프로그램을 출력하여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표시된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c) 상기 선택받은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서 소정의 주파수, 펄스폭을 갖는 전기신호를 소정의 시간 동안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전문지식을 갖추지 않더라고, 신체부위별, 사용목적별로 최적의 전기신호 및 저주파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저주파 치료기의 과도한 사용이나 잘못된 사용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적은 시간을 투입하여 최적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주파 치료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ow frequency treatment }
본 발명은 저주파 치료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료부위별 치료목적별로 최적의 주파수 및 펄스폭을 적용한 저주파 치료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만이 여러 질환의 위험요소가 되어짐이 알려짐에 따라 최근 비만치료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비만 환자 중에서도 특히, 복부비만이 있는 환자가 비만 관련 질환에 큰 위험성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그리고 비만 치료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가 있어왔는데, 불과 30년 전만해도 의사들은 비만치료에 있어 운동이 최소의 역할만을 한다고 믿어왔었고, 운동을 통해 중단되었던 신진대사를 정상적으로 돌리고, 일시적으로 칼로리가 소모되어질 수 있다고 믿었으며, 비만 치료에 있어 다이어트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최근에 운동의 역할이 알려지면서 운동이 비만치료에 큰 역할을 하는 것과 동시에 비만 치료뿐 아니라 운동을 통해 이상 지질 혈증, 골다공증 등의 여러 질환의 위험이 감소되어질 수 있는 것이 알려졌다.
운동을 하게 되면 근육이 활성화되면서 해당 작용 과 유산소 대사를 거치게 되고, 이러한 순환은 더욱 활발해져 더 많은 칼로리가 소모되게 된다. 그래서 점차적으로 체중이 감소되어지게 된다. 또한, 운동을 하게 되면 제지방 조직의 증가로 운동 시뿐만 아니라 안정 시 대사 율도 늘게 된다. 운동을 하지 않고 식사요법으로만 비만치료를 했을 때에는 체중감소가 초기에 수분감소로 나타나는 경향이 크며, 체중감소의 25% 이상이 근육 등의 활성조직인 제지방 조직의 감소 때문에 일어나게 되는데, 운동을 하면 제지방 체중은 보존이 되거나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비만치료에 약물치료도 큰 역할을 하게 되었는데, 주로 사용되어지는 약물이 Orlistat와 Sibutramine인데 약물 각각에 대해 부작용이 있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약물 중단 시는 체중이 다시 증가할 수 있는 등의 한계가 있다.
이런 이유들로 운동은 비만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만치료에 적절한 운동은 일반적으로 일주일에 5회 이상, 약 1시간 정도의 중등도 이하의 강도에 해당하는 유산소 운동을 하면서 근력 강화 운동을 일주일에 2-3회 반복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부위의 체지방 과다 상태에 대해 어떤 운동이 효과적인지에 대해 정립된 바가 없다. 그래서 다이어트나 약물치료, 일반적인 운동으로는 체중이 줄더라도, 신체 전반적으로 체지방이 감소하는 것이지, 특히 체지방 세포가 많이 분포한 비만 부위를 집중적으로 치료 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현대인의 경우 따로 운동을 위한 시간을 내는 것이 여의치 않은 경우도 많아, 운동을 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이를 현실적으로 실천에 옮기는 이는 많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한 대안이 저주파 전기 치료 장치인데, 종래의 저주파 전기 치료 장치들은 부위별로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그에 적합한 최적의 전기신호를 제공하지는 못하여, 과다한 사용 또는 잘못된 사용으로 자칫 부작용의 우려가 있었으며 또한 만족스러운 효과를 보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저주파 치료 장치는 전기 자극에 대한 과학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주파 치료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특히 신체부위별 또는 목적별로 그에 알맞은 전기신호를 제공하는 저주파 치료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방법은 (a) 소정의 미리 등록된 프로그램을 출력하여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표시된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c) 상기 선택받은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서 소정의 주파수, 펄스폭을 갖는 전기신호를 소정의 시간 동안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주파 치료방법의 상기 (a) 단계의 프로그램은 팔, 다리, 허벅지 아킬레스건의 근력을 강화하는 제1프로그램, 소정의 근육을 발달시키는 제2프로그램, 복근강화 및 복부체지방을 감소시키고 변비를 개선시키는 제3프로그램, 허벅지 및 엉덩이의 지방을 감소시키는 제4프로그램, 체지방 연소를 촉진시켜 전신의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제5프로그램, 유방을 지지하는 가슴근육을 강화시키는 제6프로그램, 피로한 근육을 회복시키는 제7프로그램, 수술 또는 기부스 후 해당부위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제8프로그램, 굳은 근육을 풀어주는 제9프로그램, 엔돌핀의 분비를 촉진시켜 통증을 완화시키는 제10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1프로그램인 경우에는3 ~ 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5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65~7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20분간 수행하고,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2프로그램인 경우에는 5 ~ 8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90~21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55~6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하고, 40~4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하고,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3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 ~ 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50μs인 전기신호를 6분 동안 출력시킨 후, 50~5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20분간 수행한 후, 4~6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80μs인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하고, 60~6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20분간 수행하고,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60μs인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4프로그램인 경우에는 6~ 7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 동안 출력시킨 후, 45~5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00~22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6~7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고, 40~5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80~2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하고, 6~7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5프로그램인 경우에는 7~8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20~240μs인 전기신호를 25분 동안 출력시킨 후, 3~4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00μs 인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6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40~25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30~3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50~5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70~180μs인 전기신호를 3분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7프로그램인 경우에는 5~6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40~250μs인 전기신호를 5분 동안 출력시킨 후, 3~4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70~180μs 인 전기신호를 10분간 발생시켜 출력시키고, 4~5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80~19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8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40~25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35~4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55~6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9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4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45~55μs인 전기신호를 15분 동안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10프로그램인 경우에는 95~10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55μs인 전기신호를 20분 동안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저주파 치료방법은 상기 (a) 단계는 사용자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주파수 또는 펄스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통증치료 또는 근육강화를 위한 메뉴를 더 표시하며,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통증치료 또는 근육강화를 위한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단계 및 (b2) 상기 (b1) 단계에서 통증치료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주파수는 1~200Hz의 범위 내의 임의의 주파수를 선택받고, 펄스폭은 150~200μs의 범위 내의 임의의 펄스폭을 선택받고, 출력시간은 1~60분의 범위 내에서 어느 임의의 동작시간을 선택받으며, 상기 (b1) 단계에서 근육강화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주파수는 30~100Hz의 범위 내의 값 중 임의의 값을 선택받고, 펄스폭은 50~300μs의 범위 내의 값 중 임의의 값을 선택받고, 동작 및 휴지시간은 각각 0.5~60초의 범위 내의 값 중 임의의 값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주파수 값, 펄스폭 값 및 동작시간 또는 휴지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장치는 소정의 미리 등록된 프로그램을 출력하여 표시하는 화면출력부, 상기 표시된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키입력부 및 소정의 저주파 전기신호를 생성시키는 전기신호 생성부, 상기 저주파 생성부에서 생성된 저주파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저주파 출력부 및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상기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선택받은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선택받은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서 소정의 주파수, 펄스폭을 갖는 전기신호를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가 생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주파 치료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독출하여 상기 화면 출력부에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팔, 다리, 허벅지 아킬레스건의 근력을 강화하는 제1프로그램, 소정의 근육을 발달시키는 제2프로그램, 복근강화 및 복부체지방을 감소시키고 변비를 개선시키는 제3프로그램, 허벅지 및 엉덩이의 지방을 감소시키는 제4프로그램, 체지방 연소를 촉진시켜 전신의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제5프로그램, 유방을 지지하는 가슴근육을 강화시키는 제6프로그램, 피로한 근육을 회복시키는 제7프로그램, 수술 또는 기부스 후 해당부위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제8프로그램, 굳은 근육을 풀어주는 제9프로그램, 엔돌핀의 분비를 촉진시켜 통증을 완화시키는 제10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1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 ~ 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5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65~7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20분간 수행하고,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2프로그램인 경우에는 5 ~ 8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90~21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55~6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하고, 40~4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하고,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3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 ~ 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50μs인 전기신호를 6분 동안 출력시킨 후, 50~5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20분간 수행한 후, 4~6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80μs인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하고, 60~6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20분간 수행하고,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60μs인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4프로그램인 경우에는 6~ 7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 동안 출력시킨 후, 45~5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00~22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6~7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고, 40~5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80~2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하고, 6~7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5프로그램인 경우에는 7~8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20~240μs인 전기신호를 25분 동안 출력시킨 후, 3~4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00μs 인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6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40~25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30~3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50~5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70~180μs인 전기신호를 3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7프로그램인 경우에는 5~6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40~250μs인 전기신호를 5분 동안 출력시킨 후, 3~4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70~180μs 인 전기신호를 10분간 발생시켜 출력시키고, 4~5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80~19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8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40~25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35~4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55~6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9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4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45~55μs인 전기신호를 15분 동안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10프로그램인 경우에는 95~10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55μs인 전기신호를 20분 동안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주파 치료장치는 상기 화면 출력부는 사용자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주파수 또는 펄스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통증치료 또는 근육강화를 위한 메뉴를 더 출력하며,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통증치료 또는 근육강화를 위한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고, 상기 통증치료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주파수는 1~200Hz의 범위 내의 임의의 주파수를 선택받고, 펄스폭은 150~200μs의 범위 내의 임의의 펄스폭을 선택받고, 출력시간은 1~60분의 범위 내에서 어느 임의의 동작시간을 선택받으며, 상기 근육강화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주파수는 30~100Hz의 범위 내의 값 중 임의의 값을 선택받고, 펄스폭은 50~300μs의 범위 내의 값 중 임의의 값을 선택받고, 동작 및 휴지시간은 각각 0.5~60초의 범위 내의 값 중 임의의 값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상기 선택받은 주파수 값, 펄스폭 값 및 동작시간 또는 휴지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펄스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원하는 특정부위를 집중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보통 운동신경은 체내의 깊숙한 곳에 위치하여 있다. 이 운동신경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운동신경의 시작점과 끝점에 (MOTOR POINT) (본체에서 흘러나오는 전류를 전달하는) 접촉용 전도성 패드를 하나씩 (+)와 (-)를 인체표면에 부착한다. 본 발명은 부착된 근육의 형태(속근과 지근)에 따라 주파수를 달리하며, 펄스폭(PULSE WIDTH)과 전기신호의 기울기(RAMP), 동작시간과 쉬는 시간(휴지시간) 역시 달리 설정된다.
전기 자극을 이용한 운동 원리에 관하여 조금 더 상세히 살펴보면,
===============================================================
사람이 안전하게 운동을 할 때에는 반드시 웜 업(warm-up : 몸을 풀면서 준비하는 일)이 꼭 필요한데, 이는 운동과정 중에 발생되는 트러블의 대부분이 웜 업의 부족 때문에 발생하기 때문이다. 대체적으로 웜 업 시간은 10~15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운동 후에는 쿨다운( Cool-down ) 과정을 갖는 것이 좋다. 근육이 에너지를 연소하면 할수록 다량의 혈액이 필요하게 됨으로 그것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량의 혈액이 운동에 사용되는 근육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갑자기 운동을 멈추어 버리면 다량으로 흘러들어온 혈액을 근육의 힘에 의해 원래의 곳으로 다 되돌려 보내지 못하게 되고, 이때 남게된 혈액의 양이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되는 것이다. 이런 경우 혈압이 저하하게 되며 현기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위 웜 업과 쿨다운은 운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에서는 대략적으로 전체의 20%정도가 웜 업과 쿨 다운의 시간으로 설정된다. 웜 업 시에는 혈관을 자극하여 혈류를 원활하게 하고 근육의 온도를 높여 가온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전류자극을 행하고, 이것과 반대로 쿨다운 시에는 웜 업과는 달리 강한 운동 후의 근육을 풀어주는 약한 자극의 전류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웜 업과 쿨다운 시에 사용되는 전류는 본격적인 운동을 위한 근육자극 시 사용하는 전류와는 전혀 다른 내용의 자극을 해당 근육에 가하며, 이와 같은 자극의 종류와 시간설정 그리고 강도 설정 등이 운동효과의 우열을 결정하게 된다.
운동이란 골격근을 움직이는 것이며, 사람의 근육은 골결근/평활근(내장의 근육)/심근(심장의 근육)등 3가지가 있다. 이중에서 골격근이라고 하는 것은 뼈를 움직이거나 보호하는 근육으로 운동신경에 의해 움직여지는 것이며, 나머지 2개의 근육을 움직이는 것은 운동신경이 아니라 자율신경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들은 운동신경을 자극하여 골격근을 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운동신경은 뇌로 부터의 명령 이외에도 신경의 도중에서 전기를 흘려보내서도 자극을 할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즉, 원래 운동신경은 뇌의 명령이 없으면 움직이지 않는 것이지만 신체의 어떤 부위로부터의 전기적 자극에 의해서도 움직이게 되는 것으로, 운동신경 어느 한부분에 일정한 법칙에 따른 전기를 흘려보내면 운동신경은 활동하기 시작하며, 이에 대응되는 골격근의 운동을 유발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골격근의 종류 즉, 신체 부위별로 본 발명에서 다른 종류의 전기 자극을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신체부위 별로 분포하고 있는 골격근에는 그 부위에 따라 속근(速筋)과 지근(遲筋)이 있다. 속근(速筋)은 수축의 스피드가 빠른 근육을 말하는데, 미오그로빈이라고 하는 빨간 색조의 단백질의 함유량이 적으므로 외관상으로는 약간 흰색을 띄고 있다고 해서 백근(白筋)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백근의 대표적인 근육으로는 장딴지의 배복근을 들 수 있는데, 속근은 100m 경주와 같이 단시간에 순발력을 요구하는 운동을 할 때 필요로 힘을 내는 근육으로, 빠른 주파수를 이용한 전기 자극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지근(遲筋)은 수축의 스피드가 느린 근육을 말하는데, 미오그로빈을 많이 함유하고 있고 외견상으로는 약간 암적색을 띄고 있다고 해서 적근(赤筋) 이라고도 부르는데, 마라톤과 같이 장시간에 걸쳐 사용하는 근육으로, 느린 주파수를 갖는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자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변성근(속근과 지근의 혼합)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위 빠른 주파수와 느린 주파수의 중간에 위치하는 적절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자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근육을 단련 시킨다는 것은 근육의 수축을 잘 시킨다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근육의 수축의 시간과 횟수가 근육의 운동량이 되는 것이다. 즉, 근육이 펼쳐질 때에는 힘을 발휘할 수 없는 것이다.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행하는 복근운동은 1회의 수축시간이 대략3~5초정도입니다만 본 발명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은 그 수축시간을 3배에 가까운 10~15초 정도까지 끌어올릴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최대 30초까지도 가능토록한다. 근육의 수축시간을 길게 하는 것에 의해 근육의 에너지소비를 증가시켜 근육을 강하고도 굵게 만드는 것이다.
근육을 10초에서 15초간 수축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횟수를 늘려간다는 것은 스포츠선수의 경우를 제외한 일반인으로써는 도저히 될 수가 없는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운동프로그램( 전기자극 )에 의하면 누구라도 이러한 운동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자발적인 운동으로는 좀처럼 빠지지 않던 지방을 본 발명에 따른 운동프로그램( 전기자극 )으로는 간단하게 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운동 시에 근육의 수축시간과 휴지(休止)시간이 중요한데, 근육의 수축시간의 1~1.5배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근육을 쉬게 하는 시간(휴지시간)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휴지시간을 설정하는 이유는 근육운동에 사용한 에너지의 연소가스(유산/탄산가스/물)는 재빨리 혈관을 통해서 운동부위로부터 배출(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이일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여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휴지시간은 배출되는 가스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달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위별로 휴지시간을 달리 설정한다 )
한편, 어떤 사람이 복부운동을 할 때 운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천천히 윗몸을 일으켜 세워서 복근을 제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자세를 몇 초간 유지하고 난 다음에 다시 천천히 힘을 빼면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간다」는 식으로 운동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의 전기신호도 역시 점점 신호를 강하게 하여(Ramp-up time)최대 수축 시에는 몇 초간을 계속 흘려보내고(Hold time) 난후 조금씩 신호를 약하게 (Ramp-down time)할 수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전기신호를 보내지 않는 시간 즉 휴지시간(Rest time)을 반드시 통전시간과 동일하게 혹은 그 이상으로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근육을 10초간 사용하면 당분(탄수화물)의 연소가스(유산)가 축척되어「피로」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수축운동을 10초간 하고 난 뒤에는 그것의 1~1.5배에 해당하는 10~15초 동안 근육을 쉬게 해야 하는 것이다.
한편 전기 자극을 통하여 골격근을 운동시킬 때 운동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펄스폭(위상지속시간)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상지속시간(位相持續時間/WIDTH)란 하나의 싸이클(주기)에서 전기가 흐르고 있는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 특히 뇌종중의 후유증으로 수족을 움직일 수 없는 사람이 리하빌리테이션(재활운동)등에 사용할 때 이 위상 지속시간은 대단히 중요한 요인이 된다. 원칙적으로는 전류를 흘려보내는 시간이 길수록 효과적임으로 위상지속시간(WDTH)을 길게 설정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보통사람의 경우에는 200㎲ 전후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신체부위별로 다른 전기자극( 주파수, 펄스폭 등)을 가하면서 웜 업과 쿨다운 및 휴지시간을 적당하게 설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은 자연 상태에서의 사람의 자발적인 운동과 거의 유사한 운동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저주파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통증을 치료하는 저주파 통증 치료기는 지각신경을 자극하여 지각신경에 의해 전해지는 통증신호를 차단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1초간에 수회에서 수백회의 규칙적인/정확한 주기를 가진 전류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저주파 전류는 지각신경 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운동신경에도 흘러 들어가므로 주변에 있는 근육도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일어나는 근육의 움직임은 운동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이러한 것에 의한 근육의 움직임으로는 결코 근육을 강화시킬 수 없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이 적용된 저주파 치료 장치 와 종래의 저주파 신호를 이용한 통증 완화 또는 치료 장치는 양자가 전류를 체내에 흘러 보낸다는 사실에서는 유사하지만 저주파 치료기에 의한 근육의 운동은 그저 움직이고 있을 뿐 운동효과가 나타나는데 필요한 정확한 수축을 유발하지는 못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먼저 저주파 치료 장치는 통증치료, 근육강화, 미리 등록된 프로그램 메뉴를 출력( 도면에 미도시 )한 후,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입력)(101)받는다. 그 후 상기 선택받은 메뉴가 통증치료에 관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102)하여 참인 경우에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통증치료에 알맞은 전기신호를 선택(입력)(103)받는다. 여기서 통증치료에 알맞은 전기신호의 범위는 주파수가 1~200Hz, 펄스폭이 150~250μs, 동작 유지시간이 1~60분의 범위가 적당하며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단계로 위 범위를 분할하여 사용자들이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102 단계의 판단결과 참이 아닌 경우에는 근육강화 메뉴인지 여부를 판단(104)하여 참인 경우에는 근육강화에 알맞은 전기신호를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선택(입력)(105)받는다. 여기서 근육강화에 알맞은 전기신호의 범위는 주파수가 30 ~ 100Hz, 펄스폭이 50~300μs, 총 운동시간이 1~60분, 동작시간 및 휴지시간이 각각 0.5~60초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104 단계의 판단결과 참이 아닌 경우에는 프로그램 메뉴를 출력(106)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입력)(107)받는다. 그 후 선택된 프로그램에 따른 전기신호를 설정(108)하고, 상기 103, 104 또는 108 단계에서 선택되거나 설정된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출력(109)시킨다.
상기 106 단계 내지 108 단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별 전기신호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11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1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2의 (a)는 팔, 다리, 허벅지 또는 아킬레스건 등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제1프로그램의 동작방법을 표로 정리한 것이며, (b)는 이를 순서도로 작성한 것이다.
먼저 해당근육의 준비운동을 시키기 위해 주파수 3~5Hz, 펄스폭 25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3분 동안 출력(201)시킨 후, 주파수 65~75Hz, 펄스폭 280~30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10초 동안 출력시킨 후 10초 동안 상기 펄스 전기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20분간 수행(202)하고, 그 후 주파수 3~4Hz, 펄스폭 16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203)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2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3의 (a)는 신체의 각종 근육을 발달시키는 피트니스를 위한 제2프로그램의 동작방법을 표로 정리한 것이며, (b)는 이를 순서도로 작성한 것이다.
먼저 해당근육의 준비운동을 시키기 위해 주파수 5~8Hz, 펄스폭 190~21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3분 동안 출력(301)시킨 후, 주파수 55~65Hz, 펄스폭 280~30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10초 동안 출력시킨 후 10초 동안 상기 펄스 전기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10분간 수행(302)하고, 그 후 주파수 40~45Hz, 펄스폭 30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10초 동안 출력시킨 후 10초 동안 상기 펄스 전기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10분간 수행(303)하고, 그 후 주파수 3~4Hz, 펄스폭 16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203)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3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4의 (a)는 복근강화 및 복부체지방감소, 복부지방율(WHR : Waist-hip Ratio)을 감소시키는 제3프로그램의 동작방법을 표로 정리한 것이며, (b)는 이를 순서도로 작성한 것이다.
먼저 해당근육의 준비운동을 시키기 위해 주파수 3~5Hz, 펄스폭 25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6분 동안 출력(401)시킨 후, 주파수 50~55Hz, 펄스폭 30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10초 동안 출력시킨 후 10초 동안 상기 펄스 전기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20분간 수행(402)하고, 그 후 주파수 4~6Hz, 펄스폭 18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403)하고, 그 후 주파수 60~65Hz, 펄스폭 30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10초 동안 출력시킨 후 10초 동안 상기 펄스 전기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20분간 수행(404)하고, 그 후 주파수 3~4Hz, 펄스폭 16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405)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4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5의 (a)는 허벅지 및 엉덩이의 지방을 감소시키는 제4프로그램의 동작방법을 표로 정리한 것이며, (b)는 이를 순서도로 작성한 것이다.
먼저 해당근육의 준비운동을 시키기 위해 주파수 6~7Hz, 펄스폭 150~16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5분 동안 출력(501)시킨 후, 주파수 45~55Hz, 펄스폭 200~22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10초 동안 출력시킨 후 10초 동안 상기 펄스 전기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10분간 수행(502)하고, 그 후 주파수 6~7Hz, 펄스폭 15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503)하고, 그 후 주파수 40~50Hz, 펄스폭 180~20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10초 동안 출력시킨 후 10초 동안 상기 펄스 전기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10분간 수행(504)하고, 그 후 주파수 6~7Hz, 펄스폭 150~16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505)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5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6의 (a)는 신체 각 부위의 지방을 전체적으로 연소시켜 체중을 감소시키는 제5프로그램의 동작방법을 표로 정리한 것이며, (b)는 이를 순서도로 작성한 것이다.
주파수 7~8Hz, 펄스폭 220~24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25분 동안 출력(601)시킨 후, 그 후 주파수 3~4Hz, 펄스폭 150~16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602)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6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7의 (a)는 유방의 간질조직을 자극하여 유방을 지지하는 가슴근육을 강화시키는 제6프로그램의 동작방법을 표로 정리한 것이며, (b)는 이를 순서도로 작성한 것이다.
먼저 해당근육의 준비운동을 시키기 위해 주파수 3~5Hz, 펄스폭 240~25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3분 동안 출력(701)시킨 후, 주파수 30~35Hz, 펄스폭 280~30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10초 동안 출력시킨 후 10초 동안 상기 펄스 전기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10분간 수행(702)하고, 그 후 주파수 50~55Hz, 펄스폭 280~30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10초 동안 출력시킨 후 10초 동안 상기 펄스 전기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10분간 수행(703)하고, 그 후 주파수 3~4Hz, 펄스폭 170~18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3분간 출력(704)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7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8의 (a)는 격한 운동 후 근육의 회복을 촉진시키는 제7프로그램의 동작방법을 표로 정리한 것이며, (b)는 이를 순서도로 작성한 것이다.
먼저 해당근육의 준비운동을 시키기 위해 주파수 5~6Hz, 펄스폭 240~25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5분 동안 출력(801)시킨 후, 그 후 주파수 3~4Hz, 펄스폭 170~18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802)시킨 후, 그 후 주파수 4~5Hz, 펄스폭 180~19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803)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8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9의 (a)는 수술이나 기부스 후 근육을 강화시키는 제8프로그램의 동작방법을 표로 정리한 것이며, (b)는 이를 순서도로 작성한 것이다.
먼저 해당근육의 준비운동을 시키기 위해 주파수 3~5Hz, 펄스폭 240~25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3분 동안 출력(901)시킨 후, 주파수 35~40Hz, 펄스폭 280~30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10초 동안 출력시킨 후 10초 동안 상기 펄스 전기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10분간 수행(902)하고, 그 후 주파수 55~60Hz, 펄스폭 280~30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10초 동안 출력시킨 후 10초 동안 상기 펄스 전기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10분간 수행(903)하고, 그 후 주파수 3~4Hz, 펄스폭 150~160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904)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9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10의 (a)는 굳은 근육을 풀어주는 제9프로그램의 동작방법을 표로 정리한 것이며, (b)는 이를 순서도로 작성한 것이다.
먼저 주파수 3~5Hz, 펄스폭 45~55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15분 동안 출력(1001)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10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11의 (a)는 베티 엔돌핀의 분비를 촉진하여 통증 및 불쾌감을 제거하는 제10프로그램의 동작방법을 표로 정리한 것이며, (b)는 이를 순서도로 작성한 것이다.
먼저 주파수 95~100Hz, 펄스폭 150~155μs의 펄스 전기신호를 생성시켜 20분 동안 출력(1101)시킨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블록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장치는 화면출력부(1201), 키입력부(1202), 제어부(1203), 전기신호 생성부(1204), 저주파 출력부(1205), 전원부(1206)를 포함한다.
화면출력부(1201)는 소정의 미리 등록된 프로그램을 출력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202)는 상기 표시된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203)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상기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선택받은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선택받은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서 소정의 주파수, 펄스폭을 갖는 전기신호를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가 생성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기신호 생성부(1204)는 소정의 저주파 전기신호를 생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정의 주파수 및 펄스폭을 갖는 전기신호를 생성시키는 기술적인 내용은 당업자에게는 이미 잘 알려진 공지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저주파 출력부(1205)는 상기 저주파 생성부에서 생성된 저주파 전기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부(1206)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203)가 독출하여 상기 화면 출력부(1201)에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팔, 다리, 허벅지 아킬레스건의 근력을 강화하는 제1프로그램, 소정의 근육을 발달시키는 제2프로그램, 복근강화 및 복부체지방을 감소시키고 변비를 개선시키는 제3프로그램, 허벅지 및 엉덩이의 지방을 감소시키는 제4프로그램, 체지방 연소를 촉진시켜 전신의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제5프로그램, 유방을 지지하는 가슴근육을 강화시키는 제6프로그램, 피로한 근육을 회복시키는 제7프로그램, 수술 또는 기부스 후 해당부위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제8프로그램, 굳은 근육을 풀어주는 제9프로그램, 엔돌핀의 분비를 촉진시켜 통증을 완화시키는 제10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203)는 상기 키입력부(1202)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1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 ~ 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5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65~7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20분간 수행하고,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1204) 및 저주파 출력부(1205)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1202)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2프로그램인 경우에는 5 ~ 8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90~21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55~6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하고, 40~4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하고,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1204) 및 저주파 출력부(1205)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1202)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3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 ~ 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50μs인 전기신호를 6분 동안 출력시킨 후, 50~5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20분간 수행한 후, 4~6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80μs인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하고, 60~6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20분간 수행하고,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60μs인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1204) 및 저주파 출력부(1205)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1202)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4프로그램인 경우에는 6~ 7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 동안 출력시킨 후, 45~5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00~22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6~7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고, 40~5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80~2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하고, 6~7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1204) 및 저주파 출력부(1205)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1202)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5프로그램인 경우에는 7~8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20~240μs인 전기신호를 25분 동안 출력시킨 후, 3~4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00μs 인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1204) 및 저주파 출력부(1205)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1202)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6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40~25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30~3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50~5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70~180μs인 전기신호를 3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1204) 및 저주파 출력부(1205)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1202)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7프로그램인 경우에는 5~6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40~250μs인 전기신호를 5분 동안 출력시킨 후, 3~4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70~180μs 인 전기신호를 10분간 발생시켜 출력시키고, 4~5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80~19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1204) 및 저주파 출력부(1205)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1202)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8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40~25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35~4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55~6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1204) 및 저주파 출력부(1205)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1202)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9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4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45~55μs인 전기신호를 15분 동안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1204) 및 저주파 출력부(1205)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1202)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10프로그램인 경우에는 95~10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55μs인 전기신호를 20분 동안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1204) 및 저주파 출력부(1205)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화면 출력부(1201)는 사용자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주파수 또는 펄스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통증치료 또는 근육강화를 위한 메뉴를 더 출력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키입력부(1202)는 상기 통증치료 또는 근육강화를 위한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고, 상기 통증치료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주파수는 1~200Hz의 범위 내의 임의의 주파수를 선택받고, 펄스폭은 150~200μs의 범위 내의 임의의 펄스폭을 선택받고, 출력시간은 1~60분의 범위 내에서 어느 임의의 동작시간을 선택받으며, 상기 근육강화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주파수는 30~100Hz의 범위 내의 값 중 임의의 값을 선택받고, 펄스폭은 50~300μs의 범위 내의 값 중 임의의 값을 선택받고, 동작 및 휴지시간은 각각 0.5~60초의 범위 내의 값 중 임의의 값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3)는 상기 키입력부(1202)로부터 상기 선택받은 주파수 값, 펄스폭 값 및 동작시간 또는 휴지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1204) 및 저주파 출력부(120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형도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장치의 본체로, 상기 본체에는 소정의 프로그램 메뉴 등을 화면으로 출력하며, LCD 액정화면으로 구성되는 화면 출력부(1301), 저주파 치료장치의 온 또는 오프, 상기 메뉴 등을 선택하는 키입력부(1302), 소정의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접속구(1303),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접속구(1304)을 구비하고 있다.
도 13의 (b)는 상기 출력 접속구(1303)와 전도성 패드(1306) 또는 벨트형 전도성 패드(1309)의 연결부(1307, 1308)를 연결시키는 연결코드(1305)이다.
도 13의 (c)는 전도성 패드(1306)이며, (d)는 벨트형 전도성 패드(1309)이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패드(1306) 및 벨트형 전도성 패드(1309)는 본체에서 발생되는 저주파전류를 출력 접속구(1303)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며,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접촉면에 젤 및 고무패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의 (d)는 직류전원장치(1310)로 220v의 교류 전기를 입력받아 이를 직류 9v의 직류전기로 변환시켜 상기 본체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체의 전원 접속구(1304)에 접속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장치는 건전지만으로 동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장치를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연구원에서 실험한 결과를 인정하는 인정서이다.
위 연구원에서 실시한 본 발명의 저주파 치료 장치를 이용한 "저주파자극처치가 혈중지질 및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실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험은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30∼40대 복부비만 여성 38명을 대상으로 식이조절 없이 4집단(1집단-저주파 처치(이하 '저주파집단'이라 함), 2집단-걷기운동(이하 '걷기집단'이라 함), 3집단-걷기+저주파처치(이하 '저주파+걷기집단'이라 함), 4집단-통제)으로 나누어 8주 동안 실험하였다. 체지방 관련 신체조성과 신체둘레와 혈중지질 및 체지방관련 호르몬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사전, 4주 후, 8주후 3번의 측정을 실시하였고, 단기효과를 위하여 1집단과 4집단은 저주파 자극처치 프로그램 실시(66분) 전과 후에 혈액을 한번 더 채혈하여 효과를 살펴보았다. 운동유무, 저주파처치 유무 그리고 3개의 시기별 변인들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 체지방 관련 신체조성과 둘레 변화
▲집단별 체중(kg)변화에서는 8주 후에 저주파집단(-3.3kg, ↓2.0%), 걷기집단(-1.3%, ↓2.0%), 저주파+걷기(-2.57kg, ↓4.3%) 집단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체중이 감소하였다.
▲집단별 체지방률(%) 변화에서는 8주 후에 저주파 집단(-0.53%, ↓1.5%), 걷기집단(-0.84%, ↓2.4%), 저주파+걷기집단(-1.78%, ↓5.5%)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체지방률이 감소하였다.
▲집단별 BMI변화에서는 8주 후에 저주파 집단(-0.52, ↓1.2%), 걷기집단(-0.53, ↓2.1%), 저주파+걷기집단(-1.04, ↓4.3%)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BMI가 감소하였다.
사전변인을 공변인으로 한 BMI의 통계분석결과 3집단(저주파+걷기운동)에서만 사전에 비해 4주후와 8주 후에 각각 유의하게 BMI가 감소하였다.
▲집단별 체지방량(kg) 변화에서는 네집단 모두 각 시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집단별 제지방체중(kg) 변화에서는 네집단 모두 각 시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사전변인을 공변인으로 한 제지방체중의 통계분석결과 2집단(걷기운동)에서만 사전에 비해 4주후에 유의하게 제지방체중이 증가하였다.
▲집단별 골격근량(kg) 변화에서는 네집단 모두 각 시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집단별 허리둘레(cm)변화에서는 저주파 집단(-3.65cm, ↓4.5%), 걷기집단(-3.32cm, ↓4.1%), 저주파+걷기집단(-5.92cm, 7.8%)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허리둘레 가 감소하였다.
사전변인을 공변인으로 한 허리둘레의 통계분석결과 2집단(걷기운동)에서만 사전에 비해 8주 후에 유의하게 허리둘레가 감소하였다.
▲집단별 엉덩이둘레(cm) 변화에서는 네집단 모두 각 시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집단별 WHR 변화에서는 저주파집단(-0.03, ↓3.6%)과 저주파+걷기운동집단(-0.04, ↓3.7%)에서만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허리와 엉덩이 둘레비(WHR)가 감소하였다.
사전변인을 공변인으로 한 WHR의 통계분석결과 2집단(걷기운동)에서만 사전에 비해 8주 후에 유의하게 허리와 엉덩이둘레비율(WHR)이 감소하였다.
나. 혈중지질 관련 변인 변화
혈중지질관련 혈액성분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8주 동안의 장기변화와 66분 동안 복부부위에 저주파 사용 전후의 단기변화를 관찰하였다.
1) 혈중지질관련 변인의 장기(8주)효과
사전, 4주후, 8주후의 혈중지질관련 변인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집단별 각 시기간 총콜레스테롤(TC) 에서 8주 후에 2집단과 3집단에서만 감소경향이 나타났으나 네집단 모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집단별 각 시기간 중성지방(TG) 에서 8주 후에 네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집단별 각 시기간 TC/HDL 에서 8주 후에 네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사전을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결과도 1,2,3집단에서는 감소경향을 보였으나 네 집단 모두 각각 유의한 TC/HDL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별 각 시기 간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에서 8주 후에 네집단 모두 각각 통계적 유의한 증가가 각각 나타났다.
사전을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 결과 8주 후에 저주파, 저주파+걷기, 통제집단에서만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LDL-C의 증가가 나타났다.
▲집단별 각 시기간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DL-C)에서 8주 후 3집단(저주파+걷기운동)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혈중지질관련 변인의 단기효과
혈중지질관련 변인의 단기효과는 저주파집단과 통제집단만을 비교하였다. 혈액 채취시기는 저주파 자극기 사용 프로그램(66분) 전·후(통제집단은 동일시간대 채혈)에 실시하여 두 집단의 혈중지질관련 변인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두 집단별(저주파와 통제집단) 각 시기 간 총콜레스테롤(TC)에서 처치 전에 비해 처치 후에 1집단(저주파, -2.6, ↓1.3%)), 통제집단(-2.0, ↓1.1%) 각각 통계적 유의변화는 없었으나 저주파집단이 더 큰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두 집단별(저주파와 통제집단) 각 시기 간 중성지방(TG)에서 처치 전에 비해 처치 후에 1집단(저주파, -11.0, ↓11.2%)), 통제집단(-8.22, ↓7.8%) 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변화가 나타났으며 저주파 집단이 더 큰 감소를 나타내었다.
▲두 집단별(저주파와 통제집단) 각 시기간 TC/HDL에서 처치 전에 비해 처치 후에 1집단은 감소경향을 통제집단은 증가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두 집단별(저주파와 통제집단) 각 시기간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에서 처치 전에 비해 처치 후에 두 집단 모두 통계적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두 집단별(저주파와 통제집단) 각 시기간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DL-C)에서 처치 전에 비해 처치 후에 통제집단(-1.0, ↓2.1%)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변화가 나타났다.
다. 비만관련 호르몬 변화
비만관련 호르몬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8주 동안의 장기변화와 저주파 자극기 사용(66분 동안 복부부위에 처치) 전후의 단기변화를 관찰하였다. 단기변화에서 통제집단은 저주파 집단과 동일한 시간대에 혈액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1) 비만관련 호르몬의 장기(8주) 효과
집단별 사전, 4주 후, 8주 후 각각 비만관련 호르몬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집단별 각 시기간 렙틴(Leptin)에서 '저주파+걷기'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사전을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에서도 '저주파+걷기'집단만 사전에 비해 4주후, 8주 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렙틴량이 감소하였다.
▲집단별 각 시기간 인슐린(Insulin)에서 네집단 모두 통계적 유의변화가 없었다.
사전을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에서는 '걷기집단'과 '저주파+걷기'집단이 사전에 비해 8주 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인슐린(Insulin)이 감소하였다.
▲집단별 각 시기간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에서 '걷기집단'에서 사전에 비해 4주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사전을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에서도 '걷기집단'만 사전에 비해 4주후 유의한 증가 후, 4주후에 비해 8주 후에 유의한 성장호르몬(GH) 감소가 나타나 불규칙한 변화를 보였다.
▲집단별 각 시기간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GF-1)에서 네집단 모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2) 비만 관련 호르몬의 단기(66분 프로그램 사용 전후)효과
비만관련 변인의 단기효과는 저주파집단과 통제집단 만을 비교하였다. 채혈시기는 저주파 자극기 사용 프로그램(66분) 전후(통제집단은 동일시간대 채혈)이 일어난 비만관련 호르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두 집단별(저주파와 통제집단) 프로그램 사용 전·후 렙틴(Leptin)에서 두집단 모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두 집단별(저주파와 통제집단) 프로그램 사용 전후 인슐린(Insulin) 에서 저주파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두 집단별(저주파와 통제집단) 프로그램 사용 전·후 성장호르몬(Growth-Hormone)에서 두 집단 모두 통계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두 집단별(저주파와 통제집단) 프로그램 사용 전·후 인슐린유사 성장인자(IGF-1)에서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위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주당 3회 8주(총 24회) 동안 저주파 처치(66분 복부자극프로그램)는 체중, 체지방률, BMI, 허리둘레, WHR 등 신체조성과 체형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혈중지질과, 비만관련 호르몬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추후 저주파 자극기의 처치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실시했던 주당 3회에서 주당 5회 이상으로 사용빈도를 늘리며, 8주보다는 12주 이상의 장기간 처치와 분석이 요구된다. 또한 저주파 처치만 하는 것 보다는 운동과 병행하는 것이 시너지 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사료되며 식이조절을 병행할 경우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위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경우라면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프로그램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D, 하드 및 플로피 디스크, 각종 메모리 장치 등 )에 기록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전문지식을 갖추지 않더라고, 신체부위별, 사용목적별로 최적의 전기신호 및 저주파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저주파 치료기의 과도한 사용이나 잘못된 사용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적은 시간을 투입하여 최적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장치는 휴대 가능한 소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들은 운동을 위한 시간을 일부러 내지 않고, 예를 들면 공부하면서 TV를 보면서 간편하게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의 부위의 지방을 신속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육을 빠른 시간 내에 굵게 강화시킬 수 있으며, 뇌졸중 등으로 운동신경을 움직이는 뇌가 못쓰게 되어 뇌로부터 사령(지시 / 명령) 이 못나오게 된 경우에도 운동신경의 한 부분에 운동에 필요한 전기적 자극을 가함으로써 움직이지 못하게 된 골격근을 운동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근육의 회복과 쇠퇴를 방지하기위한 리하빌리테이션(Rehabilitation)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운동신경의 도중에서 전기를 흘려보내는 것으로 뇌의 의지와는 전혀 상관없이 운동이 가능하여, 뇌가 다른 일 을하고 있을 때에도 예를 들면 텔레비전을 보면서 /식사를 하면서/ 집에서 독서를 할 때에도 필요한 근육을 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1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2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3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4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5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6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7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8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9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방법 중 제10프로그램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및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형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 장치를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연구원에서 실험한 결과를 인정하는 인정서이다.

Claims (7)

  1. 저주파 치료 방법에 있어서,
    (a) 소정의 미리 등록된 프로그램을 출력하여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표시된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c) 상기 선택받은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서 소정의 주파수, 펄스폭을 갖는 전기신호를 소정의 시간 동안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프로그램은 팔, 다리, 허벅지 아킬레스건의 근력을 강화하는 제1프로그램, 소정의 근육을 발달시키는 제2프로그램, 복근강화 및 복부체지방을 감소시키고 변비를 개선시키는 제3프로그램, 허벅지 및 엉덩이의 지방을 감소시키는 제4프로그램, 체지방 연소를 촉진시켜 전신의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제5프로그램, 유방을 지지하는 가슴근육을 강화시키는 제6프로그램, 피로한 근육을 회복시키는 제7프로그램, 수술 또는 기부스 후 해당부위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제8프로그램, 굳은 근육을 풀어주는 제9프로그램, 엔돌핀의 분비를 촉진시켜 통증을 완화시키는 제10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1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 ~ 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5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65~7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20분간 수행하고,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2프로그램인 경우에는
    5 ~ 8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90~21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55~6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하고, 40~4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하고,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3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 ~ 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50μs인 전기신호를 6분 동안 출력시킨 후, 50~5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20분간 수행한 후, 4~6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80μs인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하고, 60~6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20분간 수행하고,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60μs인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4프로그램인 경우에는
    6~ 7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 동안 출력시킨 후, 45~5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00~22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6~7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고, 40~5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80~2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하고, 6~7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5프로그램인 경우에는
    7~8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20~240μs인 전기신호를 25분 동안 출력시킨 후, 3~4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00μs 인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6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40~25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30~3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50~5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70~180μs인 전기신호를 3분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7프로그램인 경우에는
    5~6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40~250μs인 전기신호를 5분 동안 출력시킨 후, 3~4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70~180μs 인 전기신호를 10분간 발생시켜 출력시키고, 4~5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80~19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8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40~25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35~4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55~6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9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4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45~55μs인 전기신호를 15분 동안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10프로그램인 경우에는
    95~10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55μs인 전기신호를 20분 동안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사용자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주파수 또는 펄스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통증치료 또는 근육강화를 위한 메뉴를 더 표시하며,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통증치료 또는 근육강화를 위한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단계; 및
    (b2) 상기 (b1) 단계에서 통증치료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주파수는 1~200Hz의 범위 내의 임의의 주파수를 선택받고, 펄스폭은 150~200μs의 범위 내의 임의의 펄스폭을 선택받고, 출력시간은 1~60분의 범위 내에서 어느 임의의 동작시간을 선택받으며, 상기 (b1) 단계에서 근육강화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주파수는 30~100Hz의 범위 내의 값 중 임의의 값을 선택받고, 펄스폭은 50~300μs의 범위 내의 값 중 임의의 값을 선택받고, 동작 및 휴지시간은 각각 0.5~60초의 범위 내의 값 중 임의의 값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받은 주파수 값, 펄스폭 값 및 동작시간 또는 휴지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5. 소정의 미리 등록된 프로그램을 출력하여 표시하는 화면출력부;
    상기 표시된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키입력부; 및
    소정의 저주파 전기신호를 생성시키는 전기신호 생성부;
    상기 저주파 생성부에서 생성된 저주파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저주파 출력부; 및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상기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선택받은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선택받은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서 소정의 주파수, 펄스폭을 갖는 전기신호를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가 생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독출하여 상기 화면 출력부에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팔, 다리, 허벅지 아킬레스건의 근력을 강화하는 제1프로그램, 소정의 근육을 발달시키는 제2프로그램, 복근강화 및 복부체지방을 감소시키고 변비를 개선시키는 제3프로그램, 허벅지 및 엉덩이의 지방을 감소시키는 제4프로그램, 체지방 연소를 촉진시켜 전신의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제5프로그램, 유방을 지지하는 가슴근육을 강화시키는 제6프로그램, 피로한 근육을 회복시키는 제7프로그램, 수술 또는 기부스 후 해당부위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제8프로그램, 굳은 근육을 풀어주는 제9프로그램, 엔돌핀의 분비를 촉진시켜 통증을 완화시키는 제10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1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 ~ 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5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65~7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20분간 수행하고,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2프로그램인 경우에는
    5 ~ 8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90~21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55~6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하고, 40~4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하고,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3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 ~ 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50μs인 전기신호를 6분 동안 출력시킨 후, 50~5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20분간 수행한 후, 4~6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80μs인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하고, 60~6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20분간 수행하고,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60μs인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4프로그램인 경우에는
    6~ 7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 동안 출력시킨 후, 45~5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00~22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6~7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고, 40~5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80~2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하고, 6~7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5프로그램인 경우에는
    7~8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20~240μs인 전기신호를 25분 동안 출력시킨 후, 3~4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00μs 인 전기신호를 10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6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40~25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30~3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50~5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70~180μs인 전기신호를 3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7프로그램인 경우에는
    5~6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40~250μs인 전기신호를 5분 동안 출력시킨 후, 3~4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70~180μs 인 전기신호를 10분간 발생시켜 출력시키고, 4~5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80~19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8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5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40~250μs인 전기신호를 3분 동안 출력시킨 후, 35~4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55~6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280~300μs 인 전기신호를 10초간 출력시킨 후 10초간 출력을 중단하는 과정을 10분간 수행한 후, 3~4Hz인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60μs인 전기신호를 5분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9프로그램인 경우에는
    3~4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45~55μs인 전기신호를 15분 동안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제10프로그램인 경우에는 95~100Hz의 주파수를 갖으며 펄스폭이 150~155μs인 전기신호를 20분 동안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출력부는 사용자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주파수 또는 펄스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통증치료 또는 근육강화를 위한 메뉴를 더 출력하며,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통증치료 또는 근육강화를 위한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고, 상기 통증치료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주파수는 1~200Hz의 범위 내의 임의의 주파수를 선택받고, 펄스폭은 150~200μs의 범위 내의 임의의 펄스폭을 선택받고, 출력시간은 1~60분의 범위 내에서 어느 임의의 동작시간을 선택받으며,
    상기 근육강화 메뉴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주파수는 30~100Hz의 범위 내의 값 중 임의의 값을 선택받고, 펄스폭은 50~300μs범위 내의 값 중 임의의 값을 선택받고, 동작 및 휴지시간은 각각 0.5~60초의 범위 내의 값 중 임의의 값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상기 선택받은 주파수 값, 펄스폭 값 및 동작시간 또는 휴지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 및 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장치.
KR1020050054319A 2005-06-23 2005-06-23 저주파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KR100694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319A KR100694823B1 (ko) 2005-06-23 2005-06-23 저주파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319A KR100694823B1 (ko) 2005-06-23 2005-06-23 저주파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724A true KR20050093724A (ko) 2005-09-23
KR100694823B1 KR100694823B1 (ko) 2007-03-13

Family

ID=37274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319A KR100694823B1 (ko) 2005-06-23 2005-06-23 저주파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8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064A (ko) * 2017-09-26 2019-04-03 김수형 멀티 기능성 전기자극장치
KR102098056B1 (ko) * 2019-10-24 2020-04-07 주식회사 신성아이씨티 전기자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214B1 (ko) 2008-07-15 2011-05-12 전향희 전기 자극 신호의 주파수 선택이 가능한 전기 자극 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123190A (ko) 2018-04-23 2019-10-31 (주)지닉스 초음파, 저주파 및 온열 치료 기능이 결합된 일체형 패드를 가지는 휴대가 용이한 하지근력 강화 및 관절염 통증치료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222B1 (ko) * 1996-02-15 1999-04-01 이기정 랜덤 엑세스 주파수를 이용한 생체 자극 장치
KR100346349B1 (ko) * 2000-03-31 2002-07-26 주식회사 메디텐스 온열기능을 갖는 저주파 치료기
KR100459848B1 (ko) * 2001-10-08 2004-12-03 맥스타산업주식회사 다채널 저주파 치료기 회로
KR20040085440A (ko) * 2003-03-31 2004-10-08 이에스엠티 주식회사 경피 신경 자극 치료 장치
KR20050044092A (ko) * 2003-11-07 2005-05-12 안종기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
KR100475676B1 (ko) 2004-04-19 2005-03-14 주식회사 매직캔 개인용 저주파자극기 및 이를 이용한 피부관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064A (ko) * 2017-09-26 2019-04-03 김수형 멀티 기능성 전기자극장치
KR102098056B1 (ko) * 2019-10-24 2020-04-07 주식회사 신성아이씨티 전기자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WO2021080392A1 (ko) * 2019-10-24 2021-04-29 주식회사 신성아이씨티 전기자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4823B1 (ko)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7448B2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a muscle of a subject
US7725193B1 (en) Intramuscular stimulation therapy using surface-applied localized electrical stimulation
Wellington Noninvasive and alternative manage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efficacy and outcomes)
US20130204169A1 (en) Pain Management Device and System
KR101686829B1 (ko) 신경의 전기자극을 통한 근육 치료
Tan et al. Role of physical therapy in the treatment of cervical disk disease
JP3545992B2 (ja) 電気刺激による筋肉トレーニング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EP1829580A1 (en) Therapy device
Taspinar et al. Implementation of matrix rhythm therapy and conventional massage in young females and comparison of their acute effects on circulation
JP2009538173A (ja) 血流量を高め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JP7463659B2 (ja) 電気刺激装置
Gorgey et al. Effect of adjusting pulse duration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cycling on energy expenditure and fatigue after spinal cord injury.
CN111281788A (zh) 一种具有经络理疗按摩功能的按摩方法、装置及主机
AU2016308820A1 (en) Methods for applying epidural electrical stimulation
KR100694823B1 (ko) 저주파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CN114904140A (zh) 理疗设备及其控制方法、理疗系统
US201300128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lerating the relative proportion of fat catabolism
Minami et al. Transition of a severely hemiparetic upper limb to a supporting upper limb: Development of a purposeful activity-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rehabilitation programme (A report of three cases)
JP2008173231A (ja) ボディ痩身美容施術法
JP2008173232A (ja) ボディ痩身美容施術法
RU228242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здоровления организма человека
Karmani et al. Integration of the Stimulation TENS and Hot Compress Devices Therapy to Relieve Pain
Press et al. Physical modalities
Vrbová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health, Beauty, Fitness, Sports Training and Rehabilitation: A users guide
BENGSTON Physical measures useful in pain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