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4092A -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4092A
KR20050044092A KR1020030078649A KR20030078649A KR20050044092A KR 20050044092 A KR20050044092 A KR 20050044092A KR 1020030078649 A KR1020030078649 A KR 1020030078649A KR 20030078649 A KR20030078649 A KR 20030078649A KR 20050044092 A KR20050044092 A KR 20050044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pattern
low frequency
stimulation signal
electrical st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기
Original Assignee
안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기 filed Critical 안종기
Priority to KR1020030078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4092A/ko
Publication of KR2005004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09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에 전기자극을 주기 위한 저주파 전기자극신호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에 있어서, 주파수의 변조 패턴이 입력된 복수 개의 사용설정모드가 저장된 메모리부(20)로부터 저주파 전기자극신호가 발진되어, 특히 비만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지속적으로 자극을 느끼도록 잠복가중기를 연장시키고 근육 필라멘트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여 근육을 재교육화시키고 장기간의 근육 사용시에 지방의 에너지화로 인한 백색지방의 분해가 가능하게 되며 체중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어, 기존의 비만치료방법이나 저주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에 비하여 비만치료효과가 대단히 우수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Low frequency genetic method and equipment}
본 발명은 저주파를 이용하여 비만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도록 한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응기에 도달하기 전에 잠복가중시간을 지속시키기 위하여 저주파의 주파수 변조패턴을 적용시켜 비만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비만은 외형적인 모습 뿐만 아니라,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데, 식생활의 서구화와 운동부족으로 인하여 점차 비만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비만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약물요법이나 운동요법, 저주파 치료요법 등 많은 노력이 시도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약물요법은 그에 따른 부작용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운동요법은 투자되는 시간과 노력에 비하여 그 효과가 미미하여 실시 중에 포기하게 되기 쉽다.
이에 비만 치료를 위하여 저주파를 이용하는 방법이 시도되어지고 있는데, 이 경우 비만을 치료할 부위에 저주파 전극을 부착하고 일정한 크기의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정도가 알려져 있으나, 상기와 같은 일정한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일정부위에 일정한 자극이 지속되게 되어 그 효과가 저하되게 된다.
이는 생물학적으로 일정한 자극이 지속되는 경우, 생물의 감각에 반응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최소한의 자극 강도인 역치에 도달하게 되어 신경과 근육이 전혀 반응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며, 다시 말하면, 일정한 자극이 지속되는 경우 전기적 자극에 의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자극에 대한 반응이 있게 하기 위해서는 점점 더 강한 자극을 주어야 하는데 이것은 인체에도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강도를 조절하여 역치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어느 정도 적응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게 되며, 이 경우 치료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합리적이지 않다.
이 때 동일한 강도에서 주파수가 변조되면 체내에서 감지하는 자극의 강도의 차이가 발생되어 상승되는 역치를 낮추게 됨으로서 잠복가중시간을 지속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잠복가중이란 역치 이하의 자극을 단시간에 여러번 반복하여주면 이에 대한 반응이 누적되어 자극을 감지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역치에 도달할 시점에 다른 주파수로의 변조를 통하여 역치를 낮추어주고, 역치가 낮아지는 통계적인 시점에 다른 주파수로의 변조하여 자극하는 것을 반복하여 지속적인 근육의 수축과 이완 작용이 일어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잠복가중시간을 지속시킨다 하더라도 계속해서 근육이 수축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던가 혹은 수축과 이완상태를 길게 유지하게 되면 근육 필라멘트에 손상을 주게 된다. 따라서 잠복가중시간을 길게 유지해주는 동시에 근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운동기와 휴지기가 일정한 시간을 두고 반복되도록 하거나 운동기의 주파수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저주파의 다양한 주파수 변조패턴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시킨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를 발명하였으며, 상기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여 저주파 전기자극신호를 발생시켜 비만 치료에 이용하는 경우 그 치료효과가 극대화 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는 데 있어 저주파의 주파수 패턴을 변화시킴으로서 목적하는 부위를 자극하여, 자극으로 인해 상승되는 역치를 낮추어주고 지속적으로 자극을 느끼도록 잠복가중기를 연장시켜 비만치료효과를 극대화 한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생체에 전기자극을 주기 위한 저주파 전기자극신호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에 있어서, 주파수의 변조 패턴이 입력된 복수 개의 사용설정모드가 저장된 메모리부로부터 저주파 전기자극신호가 발진되어, 특히 비만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조작에 의해 각 모드를 선택요청하는 모드설정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입력부(50); 설정시간 및 주파수 크기에 따라 전기자극신호를 발진시키는 발진부(30); 인체에 접촉을 통하여 상기 발진부(30)에서 발진되는 전기자극신호를 전도시키는 전도부(40); 시간 및 주파수 크기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변조패턴을 가지는 사용설정모드가 저장된 메모리부(20); 상기 데이터 입력부(50)에서 생성되는 모드설정 요청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모드설정 요청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부(20)에서 해당 모드를 추출하며, 그 추출된 해당 모드에 표시된 시간 및 주파수 크기에 따라 상기 발진부(30)에서 발진되는 전기자극신호의 발진을 제어하는 제어부(10); 및 상기 각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특히 비만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사용설정모드는 비만치료에 효과적인 시간 및 주파수의 크기가 조합되어 복수 개의 주파수 변조 패턴이 형성되어 메모리부(20)에 저장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파수 변조 패턴은 30~60분 동안 반복 실시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주파수는 10hz 내지 100hz 사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주파수는 10hz 단위로 변화시키거나, 또는 1hz 단위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부(40)는 음극과 양극으로 형성되어 있어 발진부(30)에서 발진된 전기자극신호를 인체에 전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는 잠복가중시간을 길게 유지해주는 동시에 근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운동기와 휴지기가 일정한 시간을 두고 반복되도록 하거나 운동기의 주파수의 강약이 조절되도록 설정된 주파수 패턴 변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을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이다. 특히, 하기 실시예는 근손상이 일어나지 않게 운동기와 휴지기가 반복되도록 하여 전도부를 통하여 인체에 전달되는 주파수로 인하여 근육 필라멘트가 역치에 도달하지 않도록 주파수 변조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않되며, 주파수 종류, 주파수의 변조 패턴, 적용시간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
메모리부(20)에는 주파수 변조 패턴이 형성된 사용설정모드가 제1모드부터 제5모드까지 입력되어 있고, 5개의 발진부(30)와 5개의 전도부(40)로 구성된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를 사용한다.
제1모드는 5개의 발진부(30)의 주파수를 100hz로 하여 2초간 적용시킨 후 2초 쉬는 패턴으로 2분간 반복하는 1단계와, 1번 발진부(30)를 선택하여 60hz-5hz-60hz-5hz-60hz-30hz-60hz-5hz-60hz-30hz-60hz-30hz-60hz-30hz-60hz-5hz의 패턴으로 각 주파수당 2초씩 적용시켜 이를 2분간 반복하면서, 2,3,4,5번 발진부(30)는 상기 1단계의 주파수 패턴을 계속 유지하는 2단계로 구성한다.
이후 2번 발진부(30)를 특정하여 상기의 2단계에서의 변조주파수를 적용시키고, 특정되지 않은 1,3,4,5번 발진부(30)는 1단계에서의 주파수인 100hz를 적용시켜 운동기와 휴지기를 반복시킨다. 이렇게 2단계에서는 다섯 개의 발진부(30)를 번갈아가며 특정하여 변조주파수를 적용시키게 된다.
상기의 2단계까지 진행된 이후엔 다시 1단계로 회귀되어 다시 2단계까지 반복실시된다. 이는 30~60분동안 반복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45분 반복실시되는 것이 좋다.
제2모드는 5개의 발진부(30) 주파수를 100hz-60hz로 적용하고 각 주파수를 2초간 적용시킨 후 2초 쉬는 패턴으로 2분간 반복하는 1단계와, 1번 발진부(30)를 선택하여 70hz-60hz-70hz-50hz-70hz-40hz-70hz-30hz-70hz-20hz-70hz-10hz-70hz-20hz-70hz-30hz-70hz-40hz-70hz-50hz-70hz-60hz의 패턴으로 각 주파수당 2초씩 적용시켜 이를 2분간 반복하면서, 나머지 2,3,4,5번 발진부(30)는 상기 1단계의 주파수 패턴을 계속 유지하는 2단계로 구성한다. 상기 2단계의 반복실시와 2단계 이후의 반복실시는 상기 제1모드와 같다.
제3모드는 적용되는 모든 발진부(30)의 주파수를 100hz-80hz-60hz-40hz-20hz-100hz-80hz-60hz-40hz-20hz으로 하여 각 주파수당 1초씩 적용시켜 이를 반복하는 패턴으로 2분간 적용하는 1단계와, 1번 발진부(30)를 80hz-30hz-80hz-20hz-80hz-60hz-80hz-20hz-80hz-60hz-80hz-20hz의 패턴으로 각 주파수당 2초씩 적용시켜 이를 2분간 반복하면서,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2,3,4,5번 발진부(30)는 상기 1단계의 주파수 패턴을 계속 유지하는 2단계로 구성한다. 상기 2단계의 반복실시와 2단계 이후의 반복실시는 상기 제1모드와 같다.
제4모드는 적용되는 모든 발진부(30)의 주파수를 100hz로 하여 2초간 적용시킨 후 2초 쉬는 패턴으로 2분간 반복하는 1단계와, 1번 발진부(30)를 100hz-90hz-80hz-70hz-60hz-50hz-40hz-30hz-20hz-10hz-20hz-30hz-40hz-50hz-60hz-70hz-80hz-90hz-100hz의 패턴으로 각 주파수당 2초씩 적용시켜 이를 2분간 반복하면서,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2,3,4,5번 발진부(30)는 상기 1단계의 주파수 패턴을 계속 유지하는 2단계로 구성한다. 상기 2단계의 반복실시와 2단계 이후의 반복실시는 상기 제1모드와 같다.
제5모드는 100hz-99hz-98hz-97hz-96hz-95hz-...-15hz-14hz-13hz-12hz-11hz-10hz-11hz-12hz-13hz-14hz-15hz-...-95hz-96hz-97hz-98hz-99hz-100hz의 패턴으로 각 주파수당 0.5초씩 적용시켜 이를 반복한다. 이는 30~60분 동안 반복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45분 반복실시되는 것이 좋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와 같은 저주파 변조 패턴을 이용한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와 기존의 비만치료장치로서 리포드렌과 일반 저주파 발생장치로서 홈아이온 텐스(자동프로그램 3번)를 사용하여 비만환자를 대상으로 치료를 실시하였다. 특히, 이들은 복부비만이 21-26%로 높은 경우였다. 각 장비당 하기 표 1과 같은 체중 및 나이를 가진 군에서 남성 2명, 여성 3명을 배치하여 치료를 실시하였으며 다른 방법은 사용하지 않고 평상시와 같은 생활패턴을 유지하였다. 1회 치료시간은 40분으로 정하였고 복부를 검사대상으로 하였다.
구분 31세 35세 37세 38세
남자 1 2 2 1
여자 3 3 2 2
각 장비별 배치된 5명을 대상으로 1회 적용 후 복부사이즈의 평균 감소폭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구 분 리포드렌 홈아이온 텍스 본 발명에 따른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복부사이즈평균 감소폭(㎝) 1 0.4 3
상기 결과로부터 기존의 저주파 발생장치를 1회 사용하는 경우 복부사이즈는 0.4㎝만이 감소하여 거의 변화가 없었음을 볼 수 있으며, 기존의 비만치료장치를 1회 사용한 경우 복부사이즈가 1㎝ 감소되어 보통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들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를 1회 사용한 때 복부사이즈가 3㎝가 감소하여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를 1회 사용한 경우 기존의 비만 치료장치나 저주파 발생장치에 비하여 효과가 큼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1주일간 5회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구 분 리포드렌 홈아이온 텍스 본 발명에 따른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복부사이즈평균 감소폭(㎝) 2.3 0.5 4.2
상기 결과로부터 기존의 저주파 발생장치를 1주일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복부사이즈는 0.5㎝만이 감소하여 거의 변화가 없었음을 볼 수 있으며, 기존의 비만치료장치를 1주일간 사용한 경우 복부사이즈가 2.3㎝ 감소하여 일반적인 감소효과를 보였다. 이들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를 1주일간 사용한 때 복부사이즈가 4.2㎝가 감소하여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를 1주일간 사용한 경우에도 기존의 비만치료장치나 저주파 발생장치에 비하여 비만치료효과가 큼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1주일간 5회씩 2주일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구 분 리포드렌 홈아이온 텍스 본 발명에 따른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복부사이즈평균 감소폭(㎝) 3.1 0.7 5.1
상기 결과로부터 기존의 저주파 발생장치를 2주일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복부사이즈는 0.7㎝만이 감소하여 거의 변화가 없음을 볼 수 있으며, 기존의 비만치료장치를 2주일간 사용한 경우 복부사이즈가 3.1㎝ 감소하여 일반적인 감소효과를 보였다. 이들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를 2주일간 사용한 때 복부사이즈가 5.1㎝가 감소하여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를 2주일간 사용한 경우에도 기존의 비만치료장치나 저주파 발생장치에 비하여 비만치료효과가 큼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1주일간 5회씩 3주일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구 분 리포드렌 홈아이온 텍스 본 발명에 따른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복부사이즈평균 감소폭(㎝) 4.3 0.8 6.2
상기 결과로부터 기존의 저주파 발생장치를 3주일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복부사이즈는 0.8㎝만이 감소하여 거의 변화가 없음을 볼 수 있으며, 기존의 비만치료장치를 3주일간 사용한 경우 복부사이즈가 4.3㎝ 감소하여 일반적인 감소효과를 보였다. 이들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를 3주일간 사용한 때 복부사이즈가 6.2㎝가 감소하여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를 3주일간 사용한 경우에도 기존의 비만 치료장치나 저주파 발생장치에 비하여 비만치료효과가 큼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1주일간 5회씩 4주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구 분 리포드렌 홈아이온 텍스 본 발명에 따른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복부사이즈평균 감소폭(㎝) 4.8 1.0 6.9
상기 결과로부터 기존의 저주파 발생장치를 4주일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복부사이즈는 1.0㎝만이 감소하여 그 감소 폭이 크지 않았으며, 기존의 비만치료장치를 4주일간 사용한 경우 복부사이즈가 4.8㎝ 감소하여 일반적인 감소효과를 보였다. 이들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를 4주일간 사용한 때 복부사이즈가 무려 6.9㎝가 감소하여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를 4주일간 사용한 경우에도 기존의 비만 치료기에 비하여 비만치료효과가 월등히 큼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생체에 전기자극을 주기 위한 저주파 전기자극신호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에 있어서, 주파수의 변조 패턴이 입력된 복수 개의 사용설정모드가 저장된 메모리부(20)로부터 저주파 전기자극신호가 발진되어, 특히 비만 치료에 효과가 있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지속적으로 자극을 느끼도록 잠복가중기를 연장시키고 근육 필라민트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여 근육을 재교육화시키고 장기간의 근육 사용시에 지방의 에너지화로 인한 백색지방의 분해가 가능하게 되며 체중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어, 기존의 비만치료장치 및 저주파 발생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에 비하여 비만치료효과가 대단히 우수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20 : 메모리부
30 : 발진부 40 : 전도부
50 : 데이터 입력부

Claims (26)

  1. 생체에 전기자극을 주기 위한 저주파 전기자극신호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에 있어서, 주파수의 변조 패턴이 입력된 복수 개의 사용설정모드가 저장된 메모리부로부터 저주파 전기자극신호가 발진되어, 특히 비만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조 패턴은 30~60분 동안 반복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는 10hz 내지 100hz 사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는 10hz 단위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는 1hz 단위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설정모드 중 제1모드는 적용되는 모든 발진부의 주파수를 100hz로 하여 2초간 적용 후 2초 쉬는 패턴으로 2분간 반복하는 1단계;
    특정 발진부를 60hz-5hz-60hz-5hz-60hz-30hz-60hz-5hz-60hz-30hz-60hz-30hz-60hz-30hz-60hz-5hz의 패턴으로 각 주파수당 2초씩 적용시켜 이를 2분간 반복하고, 나머지 발진부는 상기 1단계의 주파수 패턴을 계속 유지하는 2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설정모드 중 제 2모드는 적용되는 모든 발진부의 주파수를 100hz-60hz로 적용하고 각 주파수를 2초간 적용 후 2초 쉬는 패턴으로 2분간 반복하는 1단계;
    특정 발진부를 70hz-60hz-70hz-50hz-70hz-40hz-70hz-30hz-70hz-20hz-70hz-10hz-70hz-20hz-70hz-30hz-70hz-40hz-70hz-50hz-70hz-60hz의 패턴으로 각 주파수당 2초씩 적용시켜 이를 2분간 반복하고, 나머지 발진부는 상기 1단계의 주파수 패턴을 계속 유지하는 2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설정모드 중 제 3모드는 적용되는 모든 발진부의 주파수를 100hz-80hz-60hz-40hz-20hz-100hz-80hz-60hz-40hz-20hz으로 하여 각 주파수당 1초씩 적용시켜 이를 반복하는 패턴으로 2분간 적용하는 1단계;
    특정 발진부를 80hz-30hz-80hz-20hz-80hz-60hz-80hz-20hz-80hz-60hz-80hz-20hz의 패턴으로 각 주파수당 2초씩 적용시켜 이를 2분간 반복하고, 나머지 발진부는 상기 1단계의 주파수 패턴을 계속 유지하는 2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설정모드 중 제 4모드는 적용되는 모든 발진부의 주파수를 100hz로 하여 2초간 적용 후 2초 쉬는 패턴으로 2분간 반복하는 1단계;
    특정 발진부를 100Hz에서 10Hz까지 10Hz단위로 순차적으로 낮아지면서 변조된 후, 다시 10Hz에서 100Hz까지 10Hz단위로 순차적으로 높아지면서 반복 변조되는 패턴을 갖으며, 각 주파수당 2초씩, 2분간 반복 적용하고, 나머지 발진부는 상기 1단계의 주파수 패턴을 계속 유지하는 2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설정모드 중 제 5모드는 100Hz에서 10Hz까지 1Hz단위로 낮아지면서 변조된 후, 다시 10Hz에서 100Hz까지 1Hz단위로 높아지면서 반복 변조되는 패턴을 갖으며, 각 주파수당 0.5초씩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11.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의 특정 발진부는 사용되는 발진부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12.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 실시 이후 다시 제 1단계로 회귀하여 반복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13.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조 패턴은 30~60분 동안 반복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14. 키조작에 의해 각 모드를 선택요청하는 모드설정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입력부;
    설정시간 및 주파수 크기에 따라 전기자극신호를 발진시키는 발진부;
    인체에 접촉을 통하여 상기 발진부에서 발진되는 전기자극신호를 전도시키는 전도부;
    시간 및 주파수 크기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변조패턴을 가지는 사용설정모드가 저장된 메모리부;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서 생성되는 모드설정 요청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모드설정 요청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부에서 해당 모드를 추출하며, 그 추출된 해당 모드에 표시된 시간 및 주파수 크기에 따라 상기 발진부에서 발진되는 전기자극신호의 발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각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특히 비만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조 패턴은 30~60분 동안 반복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는 10hz 내지 100hz 사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는 10hz 단위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는 1hz 단위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설정모드 중 제1모드는 적용되는 모든 발진부의 주파수를 100hz로 하여 2초간 적용 후 2초 쉬는 패턴으로 2분간 반복하는 1단계;
    특정 발진부를 60hz-5hz-60hz-5hz-60hz-30hz-60hz-5hz-60hz-30hz-60hz-30hz-60hz-30hz-60hz-5hz의 패턴으로 각 주파수당 2초씩 적용시켜 이를 2분간 반복하고, 나머지 발진부는 상기 1단계의 주파수 패턴을 계속 유지하는 2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설정모드 중 제 2모드는 적용되는 모든 발진부의 주파수를 100hz-60hz로 적용하고 각 주파수를 2초간 적용 후 2초 쉬는 패턴으로 2분간 반복하는 1단계;
    특정 발진부를 70hz-60hz-70hz-50hz-70hz-40hz-70hz-30hz-70hz-20hz-70hz-10hz-70hz-20hz-70hz-30hz-70hz-40hz-70hz-50hz-70hz-60hz의 패턴으로 각 주파수당 2초씩 적용시켜 이를 2분간 반복하고, 나머지 발진부는 상기 1단계의 주파수 패턴을 계속 유지하는 2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설정모드 중 제 3모드는 적용되는 모든 발진부의 주파수를 100hz-80hz-60hz-40hz-20hz-100hz-80hz-60hz-40hz-20hz으로 하여 각 주파수당 1초씩 적용시켜 이를 반복하는 패턴으로 2분간 적용하는 1단계;
    특정 발진부를 80hz-30hz-80hz-20hz-80hz-60hz-80hz-20hz-80hz-60hz-80hz-20hz의 패턴으로 각 주파수당 2초씩 적용시켜 이를 2분간 반복하고, 나머지 발진부는 상기 1단계의 주파수 패턴을 계속 유지하는 2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설정모드 중 제 4모드는 적용되는 모든 발진부의 주파수를 100hz로 하여 2초간 적용 후 2초 쉬는 패턴으로 2분간 반복하는 1단계;
    특정 발진부를 100Hz에서 10Hz까지 10Hz단위로 순차적으로 낮아지면서 변조된 후, 다시 10Hz에서 100Hz까지 10Hz단위로 순차적으로 높아지면서 반복 변조되는 패턴을 갖으며, 각 주파수당 2초씩, 2분간 반복 적용하고, 나머지 발진부(30)는 상기 1단계의 주파수 패턴을 계속 유지하는 2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설정모드 중 제 5모드는 100Hz에서 10Hz까지 1Hz단위로 낮아지면서 변조된 후, 다시 10Hz에서 100Hz까지 1Hz단위로 높아지면서 반복 변조되는 패턴을 갖으며, 각 주파수당 0.5초씩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24. 제 19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의 특정 발진부는 사용되는 발진부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25. 제 19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 실시 이후 다시 제 1단계로 회귀하여 반복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26.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조 패턴은 30~60분 동안 반복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장치.
KR1020030078649A 2003-11-07 2003-11-07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 KR20050044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649A KR20050044092A (ko) 2003-11-07 2003-11-07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649A KR20050044092A (ko) 2003-11-07 2003-11-07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092A true KR20050044092A (ko) 2005-05-12

Family

ID=3724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649A KR20050044092A (ko) 2003-11-07 2003-11-07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409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823B1 (ko) * 2005-06-23 2007-03-13 박의경 저주파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KR100806318B1 (ko) * 2006-09-08 2008-02-27 이항범 비만 및 피부치료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449271Y1 (ko) * 2008-01-03 2010-06-28 (주)정우티엠 저주파 자극기
KR20170122226A (ko) * 2015-02-27 2017-11-03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근육 전기 자극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823B1 (ko) * 2005-06-23 2007-03-13 박의경 저주파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KR100806318B1 (ko) * 2006-09-08 2008-02-27 이항범 비만 및 피부치료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449271Y1 (ko) * 2008-01-03 2010-06-28 (주)정우티엠 저주파 자극기
KR20170122226A (ko) * 2015-02-27 2017-11-03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근육 전기 자극 장치
KR20230014855A (ko) * 2015-02-27 2023-01-30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근육 전기 자극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09569B1 (en) Low frequency therapy apparatus using signals according to kind of disease
JP4980544B2 (ja) 電気治療装置
US10625077B2 (en) Portable body slimmer to stimulate core muscle with Russian current
US9925374B2 (en) Treatment of indications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RU2585136C2 (ru) Лечение недержания
KR20010106277A (ko) 베리안트 방식을 이용한 전기 자극 장치 및 방법
JP2005531337A (ja) 2相誘導電流連続パルスを使用した深層筋肉の収縮を電気誘導/電気刺激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70086461A (ko) 신체 조직에 자극을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40098780A (ko) 운동, 감각, 자율적, 성적, 혈관운동 및 인식 기능의 복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비침습성 신경조절 디바이스
JP7048121B2 (ja) 電気刺激装置
JP2013517049A (ja) 足筋のプログラム可能電気刺激
US20060030906A1 (en) Switchable and programmable electrode configuration
JP5553435B2 (ja) パルス電気刺激装置
KR100924984B1 (ko) 광대역 저주파 전자기장을 이용한 치료장치
KR20050044092A (ko)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
CN108721103A (zh) 一种基于蓝牙通信的低频脉冲穴位治疗慢性咽炎的理疗仪
US20040236385A1 (en) Rectal resonant muscle stimulator
KR102141761B1 (ko)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Smith et al. Transcutaneous neural stimulation use in postoperative knee rehabilitation
WO2023017406A1 (en) Spinal cord injury therapy based on evoked compound action potentials
KR102188234B1 (ko) 수면 장애 개선을 위한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EP3993865A1 (en) Neural block by super-threshold low 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US20230047655A1 (en) Spinal cord injury therapy based on evoked compound action potentials
KR102188239B1 (ko)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RU2280478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чувствительной и двигательной функции, а также функции тазовых органов при поражении спинного мозг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