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656A - 분리를 위한 동작 부재가 잠금 메카니즘으로 사용되는커넥터 - Google Patents

분리를 위한 동작 부재가 잠금 메카니즘으로 사용되는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656A
KR20050093656A KR1020040039187A KR20040039187A KR20050093656A KR 20050093656 A KR20050093656 A KR 20050093656A KR 1020040039187 A KR1020040039187 A KR 1020040039187A KR 20040039187 A KR20040039187 A KR 20040039187A KR 20050093656 A KR20050093656 A KR 20050093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member
connector body
connector
separating direction
faste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3824B1 (ko
Inventor
마사유키 기쿠치
노부가츠 가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3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결합 물체에 연결되는 커넥터 바디(101)를 가지는 커넥터(100)에서, 동작 부재(10)은 상기 커넥터 바디가 분리 방향(A3)으로 상기 결합 물체로부터 분리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커넥터 바디에 결합된다.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동작 부재가 상기 분리 방향에서 각도적으로 오프셋될 때, 상기 분리 방향으로 상기 결합 물체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10a)를 가진다. 상기 커넥터 바디는 상기 동작 부재가 상기 분리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때, 상기 체결부가 상기 결합 물체로부터 해체되게 하는 상기 동작 부재와 체결된 캠부(7)를 가진다.

Description

분리를 위한 동작 부재가 잠금 메카니즘으로 사용되는 커넥터{CONNECTOR IN WHICH AN OPERATING MEMBER FOR DISCONNECTION IS USED AS A LOCKING MECHANISM}
본 출원은 종래 일본 특허출원 JP 2004-76960호를 우선권 주장하고, 상기 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 발명의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커넥터 및 결합 물체(mating object) 사이의 연결 상태를 잠그기 위한 잠금 메카니즘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과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보드를 연결하기 위해서, 보드에 장착된 보드 커넥터 및 케이블에 부착된 케이블 커넥터가 사용된다. 상기 커넥터들을 서로 끼워 맞춤으로써, 케이블과 보드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종래의 커넥터들이 일본 특허출원 공개공보(JP-A) H6-208864 및 2003-297482호에 각각 개시되었다. 종래의 커넥터들 각각은 상기 연결 상태를 잠그기 위한 잠금 메카니즘 및 잠금 메카니즘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잠금 해제 메카니즘은 풀 탭(pull tab)이라 불리는 동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작동된다.
잠금 메카니즘 및 잠금 해제 메카니즘을 가지는 상기 커넥터는, 외부 크기들이 감소되게 설계되었지만 부품들의 수가 불가피하게 증가된다. 또한, 커넥터를 제거하는 동작이 성가시고, 잠금 메카니즘을 위한 커넥터 보유력(retaining force)이 충분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들의 수가 감소하고, 또한 커넥터를 제거하는데 개선된 용이성 및 편리성을 가질 수 있고, 잠금 메카니즘을 위한 커넥터 보유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 물체와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동작 부재가 결합 물체와의 잠금 상태를 얻기 위한 잠금 메카니즘으로 사용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커넥터를 사용한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어지는 설명으로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결합 물체에 연결되는 커넥터 바디 및 상기 커넥터 바디를 상기 분리 방향으로 상기 결합 물체로부터 분리하는 상기 커넥터 바디에 결합된 동작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되고,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상기 동작 부재가 상기 분리 방향에서 각도적으로 오프셋될 때, 분리 방향으로 결합 물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 바디는 동작 부재가 분리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때, 체결부가 결합 물체로부터 해체되게 하는 동작 부재와 체결된 캠부(cam portion)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서로 연결 가능한 커넥터 및 결합 물체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결합 물체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는 결합 물체에 연결되는 커넥터 바디 및 분리 방향으로 커넥터 바디를 상기 결합 물체로부터 해제시키는 상기 커넥터 바디에 결합된 동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에 관하여 회전 가능하고, 상기 동작 부재가 상기 분리 방향에서 각도적으로 오프셋될 때, 상기 분리 방향의 돌출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 바디는 동작 부재가 상기 분리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때, 상기 체결부가 상기 돌출부로부터 해체되게 하는 상기 동작 부재와 체결된 캠부를 가진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먼저 도 1a 내지 1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로서 플러그 커넥터(100)가 설명된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커넥터 바디(101) 및 커넥터 바디(101)에 체결된 풀바(10)를 포함한다. 커넥터 바디(101)는 결합 물체에 연결된다. 풀바(10)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되는 방식으로 결합 물체로부터 해제되기 위해서 커넥터 바디(101)를 케이싱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풀바(10)는 견고함을 가지는 일반적으로 C자 형태의 금속봉을 포함한다. 풀바(10)는 풀바의 양 쪽 단부들에서 형성된 한 쌍의 아암부들(10b) 및 상기 아암부들(10b)의 단자 단부들에서 형성되고 서로 면하는 한 쌍의 회전 샤프트들(10a)을 가진다. 아암부들(10b)은 동작부들(10c)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고, 커넥터 바디(101)의 측면 표면을 따라서 연장한다. 회전 샤프트들(10a)은 풀바(10)의 지지점들로서 역할한다. 풀바(10)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져서 회전 샤프트들(10a)이 풀바의 축방향으로 서로를 향하여, 그리고 멀어지게 움직일 수 있다. 나중에 분명해지는 것처럼, 풀바(10)는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동작 부재로 역할하고, 회전 샤프트들(10a)은 잠금 메카니즘의 일 부분으로 역할한다.
커넥터 바디(101)는 일반적으로 L자 형태의 섹션을 가지고, 좌우 방향으로 소위 제 1 방향(A1)으로 길게 연장한 절연기(11), 및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절연기(11)의 외부 주변부를 감싸는 쉘(shell)(13)을 포함한다. 절연기(11)는 제 1 방향(A1)에 수직한 전후 방향, 소위 제 2 방향(A2)으로 돌출한 케이블 피팅부(fitting portion)(16), 및 제 1 및 제 2 방향(A1 및 A2)에 수직한 제 3 방향(A3)으로, 즉 도 1d에서 아랫방향으로, 한쪽 측면을 향하여 돌출한 커넥터 피팅부(16)를 가진다. 케이블 피팅부(12)는 그것의 앞쪽 끝부분으로부터 안 쪽으로 연장한 피팅홀(12a)을 가진다. 피팅홀(12a)에는 케이블의 노출된 전도성 부분들에 각각 연결되기 위해서 배치된 다수의 전도성 컨택들(14)이 제공된다.
제 3 방향(A3)은 아랫 방향 및 윗 방향으로 나누어지고, 이는 여기서 연결 및 분리 방향으로 각각 언급된다. 회전 샤프트들(11a)은 회전 샤프트들(11a)이 분리 방향으로 결합 물체와 체결되어 있는 제 1 위치 및 회전 샤프트들(11a)이 결합 물체로부터 해체되어 있는 제 2 위치 사이의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커넥터 피팅부(16)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되는 보드 커넥터에 끼워 맞춰지기 위해서 피팅 포트(17)를 가진다. 피팅 포트(17)의 내부 표면들 중 하나 위에서, 다수의 전도성 컨택들(18)이 가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컨택들(14)의 각각 및 컨택들(18) 중 대응하는 각각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피스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컨택(14) 및 컨택(18)은 분리된 피스들로 형성될 수 있고, 피스들의 끝 쪽에서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풀바(10)의 아암부들(11b)이 개방되거나 확대되고, 회전 샤프트들(10a)이 절연기(11)의 대향면 상에 형성된 고정 홀들(11a)로 삽입될 때, 회전 샤프트들(10a)은 서로 면하도록 피팅부(17)로 돌출한다. 동시에, 풀바(10)는 커넥터 바디(101)에 관하여 회전 샤프트들(10a)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1d에서, 리브(rib)(7)는 도 1d의 도면 종이에 수직한 제 1 방향으로 각각의 회전 샤프트들(10a)을 움직이기 위해서 플러그 커넥터의 캠부로 역할한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상기 언급된 플러그 커넥터(100)에 연결되기 위해서 결합 물체 또는 커넥터로서 소켓(receptacle) 커넥터 또는 보드 커넥터(102)가 설명된다.
보드 커넥터(102)는 중공 직사각형 실린더 형태의 절연기(21), 및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절연기(21)의 외부 주변 표면을 커버링하는 쉘(22)을 포함한다. 절연기(21)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피팅부(16)에 끼워 맞춰지기 위해서 피팅부(25)를 가진다. 피팅부(25)는 다수의 컨택들(23)을 구비한 외부 벽 표면을 가지고, 컨택들 각각은 연장된 L자 형태의 금속 피스를 포함함고 보드 커넥터(102)의 가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컨택들(23) 각각은 피팅부(25) 내부에 위치한 접촉부(23a) 및 회로 보드(도시되지 않음)에 납땜되고 용접되기 위해서 절연기(21)의 바닥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한 단자부(23b)를 가진다. 한 쌍의 위치 핀들(24)은 회로 보드에 형성된 홀들로 삽입되기 위해서 이용된다. 한 쌍의 지지부들(26) 각각은 한 쌍의 쉘(22)을 자르고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보드 커넥터(102)의 설명이 계속된다.
보드 커넥터(102)의 상부 끝에,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서, 역 L자 형태의 섹션을 가지는 한 쌍의 위치 홀들(3) 각각은 플러그 커넥터(100)의 하부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위치 돌출부들(15)에 끼워 맞춰지기 위해서 형성된다. 위치 홀들(3)에서 안쪽으로 근접해서, 홈들(2)을 수용하는 한 쌍의 풀바가 각각 형성된다. 홈들(2)을 수용하는 각각의 풀바에는 가로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가 제공된다. 돌출부(1)는 돌출부의 상부면 상에 형성되고 가로방향으로 바깥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면(1a)을 가진다. 돌출부(1)는 전체적으로 절연기(21)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돌출부(1)는 쉘(2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0) 및 도 3a, 3b, 4a, 및 4c의 보드 커넥터(102)는 커넥션 장치 또는 얇은 와이어 동축 케이블, 유동 평면 케이블, 또는 유동 인쇄 회로 기판을 보드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서 서로 끼워 맞춰진다.
또한 도 5a, 5b를 참조하여, 플러그 커넥터(100)와 보드 커넥터(102)를 끼워 맞추는 커넥터 피팅 동작이 설명된다.
도 5a를 참조하여, 커넥터 피팅 동작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0)의 위치 돌출부들(15)은 보드 커넥터(102)의 위치 홀들(3)에 의해서 유도되고, 보드 커넥터(102)로 들어간다. 동시에, 플러그 커넥터(100)의 내부 피팅부(16)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으로 돌출하는 풀바(10)의 회전 샤프트들(10a)은 바깥쪽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돌출부들(1)의 경사 표면들(1a)에 의해서 프레스된다. 커넥터 피팅 동작이 또한 커넥션 방향으로 진행되고, 풀바(10)의 회전 샤프트들(10a)이 캠부들로 역할하는 돌출부들(1)을 가로 질러서 통과할 때, 회전 샤프트들(10a)은 풀바(10) 자체의 탄성 저장력 때문에,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안 쪽으로 움직인다. 특히, 아암부들(11b)과 동작부(11c)의 조합은 회전 샤프트들(10a)을 상기 언급된 제 1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게 하는 스프링부로서 역할한다. 결과적으로, 회전 샤프트들(10a)은 플러그 커넥터(100)와 보드 커넥터(102)가 의도하지 않게 연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분리 방향으로 돌출부들(1)과 체결된다. 상기 경우에, 회전 샤프트들(10a) 각각은 체결부로서 역할한다. 이어, 플러그 커넥터(100)와 보드 커넥터(102)는 완전히 끼워 맞춰지고, 높은 커넥터 보유력을 가진 잠금 상태로 두어, 플러그 커넥터(100)와 보드 커넥터(102)가 연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경우에, 풀바(10)는 분리 방향에서 각도적으로 오프셋되고, 도 1d에 도시된 방향에 위치한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잠금 상태를 해지하거나 또는 연결 해제하는 동작이 설명된다.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풀바(10)가 올라간다. 특히, 풀바(10)는 회전 샤프트들(10a) 주위를 도 1d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6b에 도시된 위치를 향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어, 아암부들(10b)이 리브들(7) 위로 올라가고, 회전 샤프트들(10a)은 화살표(28)로 도시된 것처럼, 가로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다른 말로, 리브들(7)은 풀바(10)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제 2 위치를 향하여 아암부들(10b)을 누른다. 결과적으로, 회전 샤프트들(10a)은 분리 방향으로 돌출부들(1)과 해체된다. 특히, 잠금 상태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보드 커넥터(102)가 서로로부터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서 풀어진다. 이어, 단순히 풀바(10)를 올림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00)는 보드 커넥터(102)로부터 쉽게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풀바(10)는 커넥터 바디(101)의 절연기(11)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8)에 의해서 올려진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 또는 커넥션 장치는 전자 컴포넌트 내부의 보드 및 케이블 사이의 연결에 적당하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함께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다른 방식들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커넥터 및 연결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부품들의 수가 감소하고, 또한 커넥터를 제거하는데 개선된 용이성 및 편리성을 가질 수 있고, 잠금 메카니즘을 위한 커넥터 보유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a 내지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로서 플러그 커넥터의 각각 평면도, 전면도, 하부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a 내지 1d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에서 사용된 풀바(pull bar)의 전면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도 1a 내지 1d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되는 결합 커넥터로서 보드 커넥터의 각각 평면도, 전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의 Ⅳa-Ⅳa 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a의 Ⅳb-Ⅳb 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a 내지 1d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 및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보드 커넥터를 서로 끼워 맞추는 동작 동안에, 잠금 메카니즘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부 단독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끼워 맞추는 동작을 완료한 후의 도 5a에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6b는 잠금 메카니즘을 해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 1a 내지 1d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특성부의 각각 단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커넥터 101: 커넥터 바디
10: 풀바(pull bar) 10b: 아암부(arm portion)
10a: 회전 샤프트 11: 절연기
16: 피팅부(fitting portion) 14: 전도성 컨택
13: 쉘(shell) 17: 피팅 포트

Claims (7)

  1. 결합 물체에 연결되는 커넥터 바디; 및
    상기 커넥터 바디가 분리 방향으로 상기 결합 물체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상기 커넥터 바디에 결합된 동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동작 부재가 상기 분리 방향에서 각도적으로 오프셋될 때, 상기 분리 방향으로 상기 결합 물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가지고,
    상기 커넥터 바디는 상기 동작 부재가 상기 분리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때, 상기 체결부가 상기 결합 물체로부터 결합 해제되게 하는 상기 동작 부재와 체결되는 캠부를 가지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체결부로서 상기 커넥터 바디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회전 샤프트가 상기 분리 방향으로 상기 결합 물체와 체결된 제 1 위치 및 상기 회전 샤프트가 상기 결합 물체로부터 해체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회전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의 측면 표면을 따라서 상기 회전 샤프트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상기 측면 표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동작 부재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아암부를 상기 제 2 위치로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는 견고함을 갖는 일반적으로 C자 형태의 봉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동작 부재의 양 쪽 단부들에 형성된 한 쌍의 아암부들 및 상기 아암부들의 단자 단부들에 형성된 한 쌍의 회전 샤프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들은 상기 커넥터 바디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서로 면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체결부로서 역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커넥터 및 서로에 연결할 수 있는 결합 물체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로서,
    상기 결합 물체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는,
    결합 물체에 연결되는 커넥터 바디; 및
    분리 방향으로 커넥터 바디를 상기 결합 물체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기 위해서 상기 커넥터 바디에 결합된 동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에 관하여 회전 가능하고, 상기 동작 부재가 상기 분리 방향에서 각도적으로 오프셋될 때, 상기 분리 방향의 돌출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 바디는 동작 부재가 상기 분리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때, 상기 체결부가 상기 돌출부로부터 결합 해체되게 하는 상기 동작 부재와 체결되는 캠부를 가지는 연결 장치.
KR1020040039187A 2004-03-17 2004-05-31 분리를 위한 조작 부재가 잠금 기구로 사용되는 커넥터 KR100593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76960A JP3976273B2 (ja) 2004-03-17 2004-03-17 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装置
JPJP-P-2004-00076960 2004-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656A true KR20050093656A (ko) 2005-09-23
KR100593824B1 KR100593824B1 (ko) 2006-06-28

Family

ID=3451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187A KR100593824B1 (ko) 2004-03-17 2004-05-31 분리를 위한 조작 부재가 잠금 기구로 사용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48958B1 (ko)
JP (1) JP3976273B2 (ko)
KR (1) KR100593824B1 (ko)
CN (1) CN1272883C (ko)
TW (1) TWI2462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1721A (ja) * 2005-05-24 2006-12-07 Taiko Denki Co Ltd コネクタ
JP4482041B2 (ja) 2008-01-16 2010-06-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対
JP5076947B2 (ja) * 2008-02-13 2012-11-21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678887B2 (ja) 2009-01-22 2011-04-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4704477B2 (ja) 2009-02-19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6156641B2 (ja) 2013-09-03 2017-07-05 第一精工株式会社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JP6260364B2 (ja) * 2014-03-11 2018-01-17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US11404809B2 (en) * 2020-05-13 2022-08-0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hielding shells surrounding each of first and second connectors
US11205876B1 (en) * 2020-06-23 2021-12-21 Aces Electronics Co., Ltd. Lock structure of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3435Y2 (ko) * 1986-05-02 1991-11-21
JPH0256875A (ja) * 1988-08-23 1990-02-26 Riyousei Denso Kk コネクタ
JPH0754725B2 (ja) * 1990-04-09 1995-06-07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抜力多極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617020B2 (ja) * 1990-06-29 1997-06-0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結合構造
JP2525502B2 (ja) * 1990-05-30 1996-08-2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5232375A (en) * 1992-10-23 1993-08-03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Parallel latching device for connectors
JP3078147B2 (ja) 1992-11-19 2000-08-21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3297482A (ja) 2002-02-01 2003-10-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プルタブを用いたロック解除機構及びコネクタ
JP3876194B2 (ja) * 2002-07-03 2007-01-3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6913474B2 (en) * 2002-10-31 2005-07-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nector coupling mechanism, system and method
US6869298B2 (en) * 2003-05-08 2005-03-22 T-1 Lighting, A Division Of Bji Energy Solutions, Llc Fluorescent lamp socke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76273B2 (ja) 2007-09-12
JP2005267977A (ja) 2005-09-29
TW200533017A (en) 2005-10-01
US20050208802A1 (en) 2005-09-22
CN1272883C (zh) 2006-08-30
KR100593824B1 (ko) 2006-06-28
US6948958B1 (en) 2005-09-27
CN1564383A (zh) 2005-01-12
TWI246234B (en) 200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8226A1 (en) Compact electrical connector
JP4522144B2 (ja) 電気コネクタ
JP3711002B2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US20120064751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843669B2 (ja) ロック機構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JP4515516B2 (ja) コネクタ装置
JP3472686B2 (ja) スライド嵌合型コネクタ
EP3082197A1 (en) Connector
JP2007180008A (ja) コネクタプラグ
JP6580629B2 (ja) サービスプラグ
JP2005209501A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KR100593824B1 (ko) 분리를 위한 조작 부재가 잠금 기구로 사용되는 커넥터
KR100748573B1 (ko) 커넥터
JP4798277B2 (ja) コネクタ
US9960533B2 (en)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JP5076947B2 (ja) コネクタ装置
EP3540868B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US6164992A (en) Structure of lever of lever engagement type connector
JP3961233B2 (ja) コネクタの誤結防止構造
JP4177693B2 (ja) 同軸コネクタ
JP2009272104A (ja) リテーナ付き電気コネクタ
JP2023055366A (ja) コネクタ装置
JP3000197B2 (ja) Fpc多列zifコネクタ
JP2009295432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2006228448A (ja) 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