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2065A -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2065A
KR20050092065A KR1020040017190A KR20040017190A KR20050092065A KR 20050092065 A KR20050092065 A KR 20050092065A KR 1020040017190 A KR1020040017190 A KR 1020040017190A KR 20040017190 A KR20040017190 A KR 20040017190A KR 20050092065 A KR20050092065 A KR 20050092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switch
elastic portion
slide
elastic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4029B1 (ko
Inventor
김치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1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02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코더나 카메라 또는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최소한의 부품수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장착홈부로 슬라이드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줌스위치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드된 후 그 가해진 압력의 해제시 상기 가압되기 이전의 원위치로 탄성부에 의해 복원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탄성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드식 줌스위치{Slide Zoom switch}
본 발명은 캠코더나 카메라 또는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최소한의 부품수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식 줌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나 카메라 또는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줌스위치는 필요로 하는 영상을 촬영시 촬영위치의 변화를 가져오지 않고 렌즈의 촛점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줌스위치는 전자기기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 및 줌렌즈에 연결되어 상기 줌스위치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외부 압력을 인가하면 줌렌즈의 광학기능(wide angle)이 작동되어 피사체를 확대(ZOOM-IN)시키거나 또는 줌렌즈의 망원기능(telephoto)이 작동되어 피사체를 축소(ZOOM-OUT)시키게 되어, 피사체의 초점거리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에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줌스위치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하게 전자기기의 외주면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작동부재가 설치되고, 그 작동부재가 작동되어 지는 방식에 따라 크게 가이드레일 또는 홈 상에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식과,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단이 가압되어 회동되도록 작동되는 가압식으로 구획된다.
이와같이 사용되는 슬라이드식이나 가압식의 줌스위치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두 방향으로 움직여 반대 기능으로 작동하는 전기적 신호를 부여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외부로부터 가해진 압력을 제거할 경우에는 두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침 없이 중립적인 위치에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해서는 안되는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었다.
그에 따라 상기한 종래의 슬라이드식이나 가압식의 줌스위치는 작동부재가 중립의 위치에서 최초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다시 원위치로 복원하기 위한 방식에 있어서는, 그 대부분이 상기 작동부재를 최소한 두개의 코일스프링과 연결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작동부재를 다른 많은 부품들과 연결되도록 설치함으로서,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할 뿐만 아니라 줌스위치의 특성상 작은 크기를 가짐에 따라 조립작업이 상당히 난해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를 최소한의 부품수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압 후 원위치로 복원시 분할 형성된 탄지부재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큰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부를 더욱더 간단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압 및 복원시 회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장착홈부로 슬라이드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줌스위치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드된 후 그 가해진 압력의 해제시 상기 가압되기 이전의 원위치로 탄성부에 의해 복원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탄성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재는 가압패드의 양측으로 형성된 지지리이브 상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핀에서 슬라이드되는 장공과, 상기 지지리이브의 양단에 접촉대를 각각 형성하고 그 접촉대 사이의 내측으로 상기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판형태인 끝단에 삽입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사편으로 구성되는 탄지부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지부재의 삽입돌기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부가 삽입되도록 그와 대응되는 호형태의 경사면을 갖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고정리이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는 그 가압패드의 밑면에 일면이 틔여지게 상기 지지리이브 상에 형성되는 결합홈부로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일측 중앙이 좁고 타측 양단이 넓게 형성되어 삽입 결합되는 일체형의 탄성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판의 일측 중앙에는 호형의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휴대폰에 적용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작동부재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인 휴대폰의 케이스(100)에 형성된 장착홈부(110)로 슬라이드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1)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줌스위치(1)를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드된 후 그 가해진 압력의 해제시 상기 가압되기 이전의 원위치로 탄성부(20)에 의해 복원되는 작동부재(10)와;
상기 작동부재의 탄성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지지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작동부재(10)는 사용자의 손이 맞닿아 직접적인 외부 압력이 가해 지는 가압패드(12)의 양측으로 형성된 지지리이브(14) 상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고정핀(102)에서 슬라이드되는 장공(15)과, 상기 지지리이브(14)의 양단에 슬라이드시 상기 케이스 내부의 PCB로 설치된 접촉단자와 접촉되어 지는 접촉대(16)를 각각 형성하고 그 접촉대 사이의 내측으로 상기 탄성부(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2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판형태인 끝단에 삽입돌기(2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사편(24)으로 구성되는 탄지부재(25)를 각각 형성함으로서, 가압시 상기 지지부재로 경사편이 맞닿아 눌려지면서 압축된 후 그 압축된 탄성력에 의해 원활하게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지부재(25)의 삽입돌기(22)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함으로서, 가압시 그 이격된 거리 만큼 상기 각각의 탄지부재가 유동성을 확보하여 보다 작은 외부 압력으로도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탄성부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그와 대응되는 호형태의 경사면을 갖는 삽입홈(32)이 형성되는 고정리이브(3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지지부재는 상기 케이스를 성형시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별도로 성형하여 통상의 부착 또는 결합방식에 의해 고정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작동부재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폰 케이스(100)의 장착홈부(110)에 슬라이드되도록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1)인 작동부재(10)의 가압패드(12) 일측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고정핀(102)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작동부재(10)의 지지리이브(14) 상에 형성된 장공(15)에 의해 그 가압되는 부분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이다.
이렇게, 작동부재가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패드의 밑면으로 형성된 탄성부(20)인 탄지부재(25)의 경사면(24)은 상기 지지부재(30)인 고정리이브(35) 상의 삽입홈(32)의 경사면과 맞닿면서 눌려져 압축되어 지고, 타측 탄지부재(25)의 삽입돌기(32)는 그 가압되는 방향의 삽입홈 내측면과 맞닿아 지지된다.
그에 따라 상기 눌려져 압축된 탄지부재(25)의 경사편(24)과 삽입홈(32)의 내측면과 맞닿이 지지되는 탄지부재(25)의 삽입돌기(22)는 외부로부터 가해진 압력의 해제시 그 탄성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는 작용점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10)가 슬라이드되었을 때에는 상기 가압패드(12)의 지지리이브(14) 양단에 형성된 접촉대(16)가 상기 케이스 내의 PCB 상에 설치된 접촉단자와 접촉되면서 전술한 줌 기능을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3b는 작동부재가 최초 위치로 복원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도 3a와 같은 상태에서 작동부재(10)로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어 지면, 상기 고정리이브(35)의 삽입홈(32)의 경사면과 맞닿아 압축되었던 탄지부재(25)의 반발력과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과 맞닿아 지지되는 탄지부재(25)의 삽입돌기(22)의 지지력에 의해 작동부재(10)가 가압되어 슬라이드되기 이전의 원위치로 복원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상기 탄지부재(25)에 발생하는 복원력의 작용점은 상기 삽입홈(32)의 내측면과 맞닿아 지지되고 있던 각 탄지부재(25)의 삽입돌기(22)를 기점으로 복원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복잡한 구조를 가지지 않고 간단한 구조이면서 최소한의 부품수로 구성됨으로서,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작동부재의 가압패드를 가압 후 그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고정리이브의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있던 상기 탄성부의 탄지부재에 의해 작동부재가 처음 가압되기 이전의 위치로 원활하게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탄성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탄성부를 양측으로 분할된 형태가 아니라 일체형으로 더욱더 큰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20)는 그 가압패드(12)의 밑면에 일면이 틔여지게 상기 지지리이브(14) 상에 형성되는 결합홈부(202)로 상기 지지부재(30)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일측 중앙이 좁고 타측 양단이 넓게 형성되어 삽입 결합되는 일체형의 탄성판(200)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탄성판(200)의 일측 중앙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홈과 대응되도록 호형의 돌출부(200a)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가압시 보다 작은 힘으로도 상기 삽입홈에서 탄성판의 돌출부에 의해 원활하게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원시에도 더욱더 큰 탄성력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가압패드(12)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결합홈부(202)에 삽입 결합되어 있는 탄성판(200)의 돌출부(200a)가 상기 지지부재(30)인 고정리이브(35)의 삽입홈(32)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되면서 그 가압력에 의해 도 5의 파선에서 실선과 같이 눌려지듯이 압축되면서 슬라이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압축되어 있던 탄성판(20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판(200)의 돌출부(200a)가 다시 고정리이브(35)의 삽입홈(32)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입됨으로서, 상기 작동부재가 가압되기 이전 처음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또한 탄성부가 별도의 분리된 형태가 아닌 일체형의 판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형성됨으로서, 더욱더 큰 탄성력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 또한 복잡한 구조를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줌스위치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장착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의 구조를 최소한의 부품수로서 최대한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슬라이드식 줌스위치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과 동시에 제작이 간편함은 물론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상당히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탄성부를 분할된 판스프링 형태로 구성함에 따라 가압 후 최초의 위치로 복원시 탄성력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분할된 탄성부의 끝단으로 이격되도록 구성함으로서, 가압에 따른 탄지부재의 유동성을 가지게 되어 최소한의 작은 가압력으로도 원활하게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탄성부를 일체형의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하므로서, 더욱더 간단한 구조를 가짐은 물론 보다 큰 복원력이 발생되는 효과도 갖는다.
또, 일체형의 탄성부인 탄성판에 호형태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서, 가압시나 복원시에 작동부재의 슬라이딩이 더욱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작동부재를 나타낸 요부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작동부재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
도 3b는 작동부재가 최초 위치로 복원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 탄성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10 : 작동부재
12 : 가압패드 14 : 지지리이브
15 : 장공 16 : 접촉대
20 : 탄성부
22 : 삽입돌기 24 : 경사편
25 : 탄지부재 200 : 탄성판
200a : 돌출부 202 : 결합홈부
30 : 지지부재
32 : 삽입홈 35 : 고정리이브
100 : 케이스
110 : 장착홈부

Claims (7)

  1.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장착홈부로 슬라이드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줌스위치(1)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드된 후 그 가해진 압력의 해제시 상기 가압되기 이전의 원위치로 탄성부(20)에 의해 복원되는 작동부재(10)와;
    상기 작동부재의 탄성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지지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10)는 가압패드(12)의 양측으로 형성된 지지리이브(14) 상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고정핀(102)에서 슬라이드되는 장공(15)과, 상기 지지리이브(14)의 양단에 접촉대(16)를 각각 형성하고 그 접촉대 사이의 내측으로 상기 탄성부(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2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판형태인 끝단에 삽입돌기(2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사편(24)으로 구성되는 탄지부재(25)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부재(25)의 삽입돌기(22)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탄성부가 삽입되도록 그와 대응되는 호형태의 경사면을 갖는 삽입홈(32)이 형성되는 고정리이브(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20)는 그 가압패드(12)의 밑면에 일면이 틔여지게 상기 지지리이브(14) 상에 형성되는 결합홈부(202)로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일측 중앙이 좁고 타측 양단이 넓게 형성되어 삽입 결합되는 일체형의 탄성판(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200)의 일측 중앙에는 호형의 돌출부(200a)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KR1020040017190A 2004-03-13 2004-03-13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KR100564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190A KR100564029B1 (ko) 2004-03-13 2004-03-13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190A KR100564029B1 (ko) 2004-03-13 2004-03-13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065A true KR20050092065A (ko) 2005-09-16
KR100564029B1 KR100564029B1 (ko) 2006-03-24

Family

ID=3727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190A KR100564029B1 (ko) 2004-03-13 2004-03-13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0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4029B1 (ko) 200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98436A (en) Press fitting type spring connector
EP1835574A2 (en) Electrical jack having switch mechanism
KR102229437B1 (ko) 스위치의 접점 구조,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JP2003297183A (ja) スライド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337994A (zh) 開關
KR100564029B1 (ko)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JP5835037B2 (ja) スイッチ
KR200353805Y1 (ko) 가압식 줌스위치
JP4531793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2004273199A (ja) 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071545B2 (ja) スライド型電気部品
JP202204362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043490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장치
JP7013177B2 (ja) スイッチおよび撮像装置
JP4087603B2 (ja) スライド型電気部品
JP2009134951A (ja) 2段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スライドスイッチ
KR101308618B1 (ko) 카메라의 셔터 버튼
KR200313818Y1 (ko) 줌스위치의 홀더장치
JP2005123019A (ja) 電子入力部品
KR200154988Y1 (ko) 다용도 누름버튼
KR100843824B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040070011A (ko)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JP4560499B2 (ja) 2段動作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8066218A (ja) レバースイッチ
JP2020119771A (ja) スイッチおよ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