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913A - 합성수지제 병체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913A
KR20050091913A KR1020037010118A KR20037010118A KR20050091913A KR 20050091913 A KR20050091913 A KR 20050091913A KR 1020037010118 A KR1020037010118 A KR 1020037010118A KR 20037010118 A KR20037010118 A KR 20037010118A KR 20050091913 A KR20050091913 A KR 20050091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bottle
shape
shell
i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6280B1 (ko
Inventor
노부오 야마나카
요시오 아키야마
신지 시마다
다카오 구로사와
시게루 하야카와
고지 사사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to KR1020037010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28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병 본체의 어깨부, 몸통부 및 바닥부에, 세로방향 전체둘레에 걸쳐 적어도 1개의 반전라인을 형성하는 것, 이 반전라인에 의해 구분되는 구분 중, 적어도 하나의 구분을 적어도 몸통부 부분의 대략 전체가 비교적 강성이 높은 껍질부로 하고, 다른 구분을 적어도 몸통부 부분의 대략 전체가 비교적 강성이 낮은 탄성반전변형이 가능한 반전부로 하는 것, 어깨부 부분에 주둥이부를 세워 설치하는 것, 반전부 전체를 껍질부내에 용이하게 함몰변형가능하고, 또한 원형으로 복원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충분히 편평하게, 그리고 복원가능하게 용적감소화변형할 수 있는 합성수지제 병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병체{SYNTHETIC RESIN BOTTLE}
본 발명은, 용이하게 용적감소화 변형이 가능하고, 또한 원형으로 복원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합성수지제 병체에 관한 것이다.
각종 액체상태 내용물의 용기로서, 블로우성형 또는 2축연신 블로우성형수단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제 병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합성수지제 병체는, 경량인 이점을 가진 반면, 부피가 커서 점유 공간이 크기 때문에, 용기 제조업체에서 성형되고 나서 상품 제조업체에 납입되어, 내용액이 충전되기까지의 과정에서, 그 보관비용이나 수송비용이 높아지고 있으며, 또한, 그 취급도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 후에는, 그 폐기처리를 쉽게 하기 위해서, 통상, 손이나 발로 편평하게 눌러 찌부러뜨려 용적감소화 변형시키고 있지만, 이렇게 눌러 찌부러뜨리는 것을 누구라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 폐기 시에 있어서의 병체를 눌러 찌부러뜨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기술로서,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60-75212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합성수지제 병체는, 몸통부의 축대칭 위치에 한 쌍의 세로 리브(rib)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세로 리브에 계속해서, 어깨부 및 몸통부 하단부를 향하는 원호형상 리브를 연이어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폐기 시에는, 이 리브로 둘러싸인 부분을 눌러 함몰·변형시킴으로써 용적감소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에서는, 함몰·변형하는 부분은 어깨부에서 몸통부 하단부까지이며, 주둥이부와 바닥부는 원형 그대로이기 때문에, 전체를 충분히 편평한 형상으로 찌부러뜨려 변형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폐기시의 눌러 찌부러뜨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일단 함몰·변형한 부분을 원형으로 복원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합성수지제 병체 전체를 용이하게, 또한 충분히 편평하게, 그리고 복원 가능하게 용적감소화 변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더욱이 성형되고 나서 내용액 충전까지의 과정 및 폐기처리과정에서의 취급을 용이하고 효율적인 것으로 하여,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를 단면으로 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를 단면으로 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를 파단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를 단면으로 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를 파단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의 일부를 파단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 중에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병 본체의 어깨부, 몸통부 및 바닥부에, 세로방향 전체둘레에 걸쳐 적어도 1개의 반전(反轉)라인을 형성하는 것과,
이 반전라인에 의해 구분되는 구분 중, 적어도 하나의 구분을, 적어도 몸통부 부분의 대략 전체가 비교적 강성이 높은 껍질부로 하고, 다른 구분을 적어도 몸통부 부분의 대략 전체가 비교적 강성이 낮은 탄성반전 변형가능한 반전부로 하는 것과,
어깨부 부분에 주둥이부를 세워 설치하는 것과,
반전부 전체를, 껍질부내에 용이하게 함몰변형가능하고, 또한 원형으로 복원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용기제조업체에서 성형된, 병체는, 강성이 낮은 반전부(反轉部)를 안쪽으로 누름으로써 반전 라인으로부터 반전시켜, 반전부를 껍질부내에 함몰 용적감소화 변형시킨다.
상품제조업체에 있어서는, 함몰변형하고 있는 반전부를 공기압력 등에 의해 바깥쪽으로 반전시켜, 성형시의 원형으로 복원시킨 후, 내용액을 충전하여 상품에 공급하거나, 또는 용적감소화하고 있는 병체에 직접 내용액을 주입하여, 함몰변형하고 있는 반전부를 바깥쪽으로 반전시켜, 그대로 내용액을 충전하여 상품에 공급한다.
병체의 사용후의 폐기 시에 있어서는, 다시 반전부를 함몰 용적감소화 변형시켜, 폐기처리를 행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 어깨부, 몸통부 및 바닥부의 평면형상을 대략 좌우대칭으로 2등분하는 위치에 1개의 반전라인을 형성하는 것과,
이 반전라인으로부터 한 쪽 절반인 평면형상이 대략 원호형상으로 돌출한 큰 지름부를 껍질부로 하고, 반전라인으로부터 다른 쪽 절반인 평면형상이 대략 원호형상으로 튀어나온 작은 지름부를 반전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원호형상으로 튀어나온 반전부를, 이 반전부에 비교하여 큰 지름으로 원호형상으로 튀어나온 껍질부내에 정확히 함몰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병체 전체를 일정한 형으로 찌부러뜨릴 수 있고, 또한 찌부러뜨린 병체를 용이하게 겹쳐 쌓을 수 있기 때문에, 병체의 사용전의 보관, 운반, 및 사용후의 폐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비용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주둥이부를 껍질부의 상단의 어깨부 부분에 세워 설치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주둥이부를 껍질부쪽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둥이부를 눌러 찌부러뜨리지 않고, 병체 전체를 편평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어깨부, 몸통부, 바닥부, 즉 병체 전체의 대략 반을 용이하게 함몰·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주둥이부를 어깨부 부분의 중앙부에 세워 설치하고, 주둥이부, 어깨부, 몸통부 및 바닥부의 평면형상을 대략 좌우대칭으로 2등분하는 위치에 1개의 반전라인을 형성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주둥이부에도 반(半)껍질부와 반전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주둥이부에서 바닥부에 이르는 병체의 전체 높이에 걸쳐, 병체 전체를 충분히 편평하게 용적감소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어깨부, 몸통부 및 바닥부의 평면형상의 대략 좌우대칭의 위치에 한 쌍의 반전라인을 형성하는 것,
이 2개의 반전라인에 의해 구분된 구분 중, 몸통부의 벽면이 평행하게 마주보는 중앙부의 구분을 껍질부로 하는 것,
이 껍질부의 좌우에 인접하여, 몸통부에 평면형상을 원호형상으로 돌출한 부분을 가진 2개의 구분을 반전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병체는, 좌우의 양 반전부를 안쪽으로 누름으로써 탄성·반전시켜, 중앙부의 껍질부내에 함몰·변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양 반전부는, 바닥부도 포함시킨 전체의 평면형상이 대략 사각형상이 되는 껍질부내에 함몰·수납되기 때문에, 병체 전체는 충분히 편평하게 용적감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적감소변형한 상태에 있어서도, 중앙부의 껍질부에서 자립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는 등, 취급성이 우수하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병 본체를 비교적 연질의 합성수지로 얇게 성형하여, 껍질부가 되는 구분의 내·외면의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몸통부 부분의 대략 전체를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상기 구성은, 적층한 병체의 벽면의 강성을, 비(非)적층부분, 즉 얇게 성형된 병 본체만으로 형성되는 벽면에 비교하여 높게 하는 것이며, 양 구분에서 병 본체 자체의 두께를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통상의 블로우성형법에 의해 높은 생산성을 확보하면서 용이하게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바깥면에 비교적 두께가 두껍고 경질의 라벨을 적층하는 것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반전라인으로 구분된, 병 본체의 한쪽의 구분의 적어도 몸통부 부분의 바깥면의 대략 전체에 라벨을 적층함으로써, 껍질부를 용이하게, 또한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라벨의 표시면적을 넓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장식효과 및 표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껍질부의 강성을 충분히 높여서, 높은 자기형상(自己形狀) 유지력을 발휘하게 되기 때문에, 용적감소화 및 용적복원화시의 병체 형상이 안정되어 일정한 것으로 되고, 또한 라벨을 골재로서 기능시킴으로써, 병 본체를 얇게 하는 것을 무리 없이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병 본체의 껍질부가 되는 구분을 통상의 두꺼운 두께로 성형하고, 반전부가 되는 구분을 비교적 얇게 성형하는 것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상기 구성은, 병 본체의 성형과 동시에, 껍질부와 반전부를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병체의 부위에 따라 껍질부와 반전부의 두께비를 바꾸어, 양자의 강성을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병체 전체의 반전부의 껍질부에의 반전 및 복원을, 보다 용이하게 달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2, 3, 4, 5, 6, 7 또는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반전라인을 경사진 계단형상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반전라인이, 경사진 계단형상구조이기 때문에, 반전변형을 하기 쉬워, 그만큼, 반전부의 함몰변형 및 복귀변형을 하기 쉬운 동시에, 영구변형이 생기지 않고 반전변형하기 때문에, 변형에 의해 외관 체재가 열화(劣化)하는 경우가 없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2, 3, 4, 5, 6, 7 또는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반전라인을 얕은 V홈 형상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반전부의 반전변형을 매우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병체의 제 1 실시예이고, 병 본체(1)는, 적절한 합성수지재료의 블로우 성형 등에 의해, 전체의 평면형상이, 대략 긴 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장축(長軸)의 한 쪽 어깨부(2) 부분에, 원통형상의 주둥이부(11)가 세워져 설치되고 있다.
이 병 본체(1)의 축대칭 위치인 장축상의 위치에는, 어깨부(2), 몸통부(3) 및 바닥부(4)의 세로방향 전체둘레에 걸쳐, 경사계단 형상의 반전라인(5)이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전라인(5)으로부터 한 쪽(도 1중, 왼쪽) 절반인 큰 지름부(6)를 통상의 두꺼운 두께로 성형하여, 비교적 강성이 높은 파지하기 쉬운 껍질부(8)로 하고 있다.
또한, 반전라인(5)으로부터 다른 쪽(도 1중, 오른쪽) 절반인 작은 지름부(9)는, 전체적으로 큰 지름부(6)보다 약간 작은 지름으로, 또한 얇게 성형된 탄성반전 변형이 가능한 반전부(10)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반전부(10)는, 안쪽으로의 누름에 의해 용이하게, 반전라인(5)을 기초끝단으로 하여 탄성반전하여, 그 전체가 껍질부(8)내로 함몰·용적감소화 변형하여(도 1, 2 중의 2점쇄선 참조), 또한 이것에 반대방향의 힘을 가하여 바깥쪽으로 반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원형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강성이 높은 껍질부(8)는, 양호한 좌굴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파지하기 쉬운 경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통상의 병체와 같이 파지취급을 할 수가 있어, 종래의 용적감소화 병체와 같이 부드럽고 안정된 파지를 할 수 없다고 하는 일이 없다.
여기서, 반전부(10)의 두께는 껍질부(8)의 2/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5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병체의 제 2 실시예이고, 병 본체(1)의 전체의 형상, 반전라인(5)의 형상 및 형성위치 등은 제 1 실시예와 같고, 주둥이부 (11)에 캡(12)을 착탈가능하게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병 본체(1)는, 적절한 비교적 연질인 합성 수지재료의 블로우성형 등에 의해, 전체적으로 얇게 성형되어 있고, 전체의 평면형상이 대략 타원형상이 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큰 지름부(6)의 몸통부(3) 부분의 대략 전체에, 인서트성형 혹은 적층 등의 수단에 의해, 종이제 등의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경질의 라벨(7a)을 부착하여, 이 큰 지름부(6)를 비교적 강성이 높은 껍질부(8)로 하고, 얇은 작은 지름부(9)를 반전부(10)로 하고 있다.
이 반전부(10)는, 안쪽으로의 누름에 의해 용이하게 반전라인(5)을 기초끝단으로서 탄성반전하고, 그 전체가 껍질부(8)내에 함몰 용적감소화 변형하고(도 3, 5중의 2점 쇄선 참조), 또한, 이것에 반대방향의 힘을 가하여 바깥쪽으로 반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원형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강성이 높은 반껍질부(8)는, 양호한 좌굴강도를 가진 동시에, 파지하기 쉬운 경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통상의 병체와 같이 파지취급을 할 수가 있어, 종래의 용적감소 병체와 같이 부드럽고 안정된 파지를 할 수 없다고 하는 일이 없다.
또, 라벨(7a)을 종이제의 두꺼운 두께이고 또한 경질물(硬質物)로서 구성한 경우에는, 병체로서 안정된 형태를 자기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병 본체(1)의 얇은 두께화를 보다 촉진할 수가 있어, 이 병 본체(1)의 얇은 두께화의 정도에 따라서는, 병체의 폐기처리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병체의 제 3 실시예이고, 병 본체(1)의 전체의 형상, 반전라인(5)의 형상 및 형성위치 등은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와 같고,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비교적 연질인 합성수지의 블로우성형 등에 의해, 얇게 또한 전체의 평면형상이 대략 긴 원 형상이 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큰 지름부쪽의 바깥표면전체에, 인서트성형이나 공압출성형(co-extrusion) 등의 수단에 의해,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비교적 경질인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바깥층(7b)을 적층하여, 큰 지름부(6)를 강성이 높은 껍질부(8)로 하고 있다.
따라서, 반전부(10)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안쪽으로의 누름에 의해 용이하게 탄성·반전하여, 그 전체가 껍질부(8)내로 함몰 용적감소화 변형하고 (도 6, 7중의 2점 쇄선 참조), 또한, 이에 반대방향의 힘을 가하여 바깥쪽으로 반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원형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비교적 경질인 합성수지의 적층에 의해, 강성이 높은 껍질부(8)는, 양호한 좌굴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파지하기 쉬운 경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통상의 병체와 같이 파지취급을 할 수가 있어, 종래의 용적감소 병체와 같이 부드럽고 안정된 파지를 할 수 없다고 하는 일이 없고, 또한 그 높은 강성에 의해 안정된 "착석(seating)"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지만, 필요하면, 각편(脚片)을 돌출 형성하여도 좋다.
도 8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병체의 제 4 실시예이고, 실시예 3이 바깥층 (7b)의 적층에 의해 껍질부(8)를 형성한 것인 데 비하여, 큰 지름부(6)의 안표면 전체에, 공압출성형 등의 수단에 의해,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비교적 경질인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내층(7c)을 적층하여, 큰 지름부(6)를 강성이 높은 껍질부(8)로 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원발명의 합성수지제 병체의 제 5 실시예이고,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병 본체(1)의 껍질부(8)의 어깨부(2) 부분에, 원통형상의 주둥이부 (11)가 세워져 설치되고 있는 데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어깨부(2)의 중앙부에 세워져 설치되어, 병 본체(1)는 폴리에틸렌수지 등의 비교적 연질인 합성수지의 블로우성형 등에 의해, 그 평면형상이 주둥이부(11)를 포함하여 지름 치수를 조금 다르게 한 대략 반(半)원호 통체를 맞대어 접속한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병 본체(1)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반전라인(5)으로부터 한 쪽(도 9중, 왼쪽) 절반인 큰 지름부(6)는 통상의 두꺼운 두께로 성형되어, 비교적 강성이 높은, 파지하기 쉬운 껍질부(8)로 하고 있고, 또한, 반전라인(5)으로부터 다른 쪽(도 9중, 오른쪽) 절반인 작은 지름부(9)는, 전체적으로 큰 지름부(6)보다 약간 작은 지름으로, 또한 얇게 성형된 탄성반전변형이 가능한 반전부(10)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병 본체(1)는 평면형상이 대략 긴 원 형상이 되도록 성형되어, 축대칭 위치인, 장축상에 위치하는 가상(假想)되는 평면상의 위치, 즉 지름치수가 다른 대략 반원호 통 형상의 맞댄 부분에는, 주둥이부(11), 어깨부(2), 몸통부(3) 및 바닥부(4)에 걸쳐, 경사진 계단형상이 된 반전라인(5)이 세로방향 전체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반전부(10)는, 안쪽으로의 누름에 의해 탄성반전 변형하여, 그 전체가 껍질부(8)내에 함몰, 용적감소화 변형하고(도 9, 10중의 2점 쇄선 참조), 이 상태로 반송취급 또는 폐기처리되고, 또한, 이것에 반대방향의 힘을 가하여 바깥쪽으로 반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원형으로 복원시켜, 수납용기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병체는 일정량의 내용액을 수납하였으면, 주둥이부(11)의 상단면에, 라미네이트 시트 등의 밀봉시트를 용착·고정하여, 주둥이부(11)를 밀폐하여 사용한다.
도 11∼13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병체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실시예의 병 본체(1)는, 합성수지의 블로우성형 등에 의해 성형된 것으로, 몸통부(3)는 마주보는 한 쌍의 평판형상의 중앙벽(15)과, 이 중앙벽(15)의 좌우에 평면형상의 대략 원호형상으로 돌출한 한 쌍의 원호벽(16)과, 이 원호벽(16)의 상하에 연이어 설치된 테이퍼벽(tapered wall)(17, 18)으로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3)의 상부 및 하부에는, 주둥이부(11)를 세워 설치한 평면형상의 대략 사각형상의 어깨부(2)와, 마찬가지로 평면형상의 대략 사각형상의 바닥부(4)가, 몸통부(3)의 평판상의 중앙벽(15)의 형상을 연장하도록 연이어 설치되고, 병 본체(1)의 중앙부에서, 주둥이부(11)를 제외한, 세로방향의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평판형상의 벽으로 둘러싸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어깨부(2)와 몸통부(3)의 중앙벽(15)과 바닥부(4)는 통상의 두꺼운 두께로 성형되어 있어, 강성이 높은 껍질부(8)를 형성하고, 또한, 좌우에 위치한 한 쌍의 원호벽(16)은, 테이퍼벽(17, 18)을 통해 각각 어깨부(2) 및 바닥부(4)에 연이어 설치되어, 그 최대 돌출폭이 중앙벽(15)의 폭의 대략 반이고, 비교적 얇게 성형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얇게 성형되어 있는 테이퍼벽(17, 18)과 같이 반전부(10)를 형성한다.
또한 껍질부(8)와 양 반전부(10)의 경계부 표면에는, 벽면의 굴곡에 의해, 얕은 V홈 형상의 반전라인(5)이 형성되어 있다.
양 반전부(10)는, 안쪽으로의 누름 조작에 의해 반전라인(5)으로부터 용이하게 탄성반전하여, 껍질부(8)내에 함몰 용적감소화 변형하고(도 11, 12중의 2점 쇄선 참조), 또한, 이에 반대방향의 힘을 가하여 바깥쪽으로 반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원형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병체에서는, 양 반전부(10)는, 바닥부(4)도 포함시킨 전체의 평면형상이 대략 사각형상의 중앙부의 껍질부(8)내에 함몰·수납되기 때문에, 병체 전체는 충분히 편평하게 용적감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부의 껍질부(8)는, 병 본체(1)의 세로방향의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평판형상의 벽으로 둘러싸이도록 하는 구성으로, 용적감소변형한 상태에서도 자립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는 등, 취급성이 우수하다.
또, 제 5 실시예 및 제 6 실시예에서는, 성형시의 벽의 두께에 따라, 껍질부 (8)가 되는 부분과, 반전부(10)가 되는 부분을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러한 형태의 병체이더라도, 제 2 실시예,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 있는 바와 같이, 병 본체(1) 전체를 얇게 성형하여, 라벨을 붙이거나, 바깥층 혹은 내층을 적층함으로써 껍질부(8)와 반전부(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제조업체에서 성형된 병체는, 반전부를 껍질부내에 반전, 함몰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어깨부, 몸통부, 바닥부의 대략 반을 함몰변형시킬 수 있어, 병체 전체를 충분히 편평하게 용적감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충분히 편평하게 용적감소화 변형한 상태로 취급하는 것에 의해, 그 점유 공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더욱이 내용액이 충전되기까지의 과정에서의 보관, 수송 등의 비용을 저감화할 수 있는 동시에, 취급을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반전부를 원형으로 복원시켜, 용기로서 사용된 후의 병체는, 다시 반전부를 함몰변형시켜, 충분히 편평하게 용적감소화하여 폐기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사용후의 병체의 용적감소화 변형을, 누구나 간단하게 또한 충분히 편평한 상태로 달성할 수가 있고, 또한 그 폐기처리를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원호형상으로 튀어나온 반전부를, 이 반전부에 비교하여 큰 지름으로 원호형상으로 튀어나온 껍질부내에 정확히 함몰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병체 전체를 일정한 형으로 찌부러뜨릴 수 있어, 찌부러뜨린 병체를 용이하게 겹쳐 쌓을 수 있기 때문에, 병체의 사용전의 보관, 운반, 및 사용후의 폐기를 효율적으로 보다 저비용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주둥이부를 껍질부쪽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둥이부를 눌러 찌부러뜨리는 일없이, 병체 전체를 편평화할 수 있는 것이고, 이에 따라, 어깨부, 몸통부, 바닥부, 즉 병체 전체의 대략 반을 용이하게 함몰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한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주둥이부에도 반껍질부와 반전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주둥이부에서 바닥부에 달하는 병체의 전체높이에 걸쳐, 병체 전체를 충분히 편평하게 용적감소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반전라인을 2개 설치하여, 중앙부의 껍질부에 좌우의 반전부를 함몰변형시키는 것이며, 양 반전부는, 바닥부도 포함시킨 전체의 평면형상이 대략 사각형상의 중앙의 껍질부내에 함몰수납되기 때문에, 병체 전체는 충분히 편평하게 용적감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용적감소변형한 상태에 있어서도, 중앙의 껍질부에서 자립성을 충분 확보할 수 있는 등, 취급성에 우수하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적층한 병체의 벽면의 강성을, 비(非)적층부분, 즉 얇게 성형된 병 본체만으로 형성되는 벽면에 비교하여 높게 하는 것이며, 양 구분으로 병 본체 자체의 두께를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통상의 블로우성형법에 의해 높은 생산성을 확보하면서 용이하게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몸통부에 외장(外裝)하는 라벨을 이용하여 껍질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껍질부를 용이하게, 또한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라벨의 표시면적을 넓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장식효과 및 표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껍질부의 강성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고, 높은 자기형상 유지력을 발휘하게 되기 때문에, 용적감소화 및 용적복원화시의 병체 형상이 안정되어 일정하게 되고, 또한 라벨을 골재로서 기능시킴으로써, 병 본체의 얇은 두께화를 무리 없이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병 본체의 성형과 동시에, 껍질부와 반전부를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병체의 부위에 의해 껍질부와 반전부의 두께비를 바꾸어, 양자의 강성을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병체 전체의 반전부의 껍질부에의 반전 및 복원을, 보다 용이하게 달성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반전라인을 경사진 계단형상으로 함으로써, 반전변형하기 쉽고, 그만큼, 반전부의 함몰변형 및 복귀변형이 하기 쉬운 동시에, 영구변형이 생기지 않고 반전변형하기 때문에, 변형에 의해 외관체면이 열화하는 경우가 없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반전라인을 얕은 V홈 형상으로 함으로써 양 반전부의 반전변형을 매우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0)

  1. 병 본체(1)의 어깨부(2), 몸통부(3) 및 바닥부(4)에 세로방향 전체둘레에 걸쳐 적어도 1개의 반전라인(5)을 형성하고,
    해당 반전라인(5)에 의해 구분되는 구분 중, 적어도 하나의 구분을 적어도 몸통부(3) 부분의 대략 전체가 비교적 강성이 높은 껍질부(8)로 하고, 다른 구분을 적어도 몸통부(3)부분의 대략 전체가 비교적 강성이 낮은, 탄성반전변형이 가능한 반전부(10)로 하며,
    상기 어깨부(2) 부분에 주둥이부(11)를 세워 설치하고,
    상기 반전부(10) 전체를, 상기 껍질부(8)내에 용이하게 함몰변형가능하고, 또한 원형으로 복원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 병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어깨부(2), 몸통부(3) 및 바닥부(4)의 평면형상을 대략 좌우대칭으로 2등분하는 위치에 1개의 반전라인(5)을 형성하고,
    해당 반전라인(5)으로부터 한 쪽 절반인 평면형상이 대략 원호형상으로 돌출한 큰 지름부(6)를 껍질부(8)로 하고, 상기 반전라인(5)으로부터 다른 쪽 절반인 평면형상이 대략 원호형상으로 튀어나온 작은 지름부(9)를 반전부(10)로 한 합성수지제 병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주둥이부(11)를 껍질부(8)의 상단의 어깨부(2) 부분에 세워 설치한 합성수지제 병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주둥이부(11)를 어깨부(2) 부분의 중앙부에 세워 설치하고, 주둥이부(11), 어깨부(2), 몸통부(3) 및 바닥부(4)의 평면형상을 대략 좌우대 칭으로 2등분하는 위치에 1개의 반전라인(5)을 형성한 합성수지제 병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어깨부(2), 몸통부(3) 및 바닥부(4)의 평면형상의 대략 좌우대칭의 위치에 한 쌍의 반전라인(5)을 형성하고, 해당 2개의 반전라인(5)에 의해 구분된 구분 중, 상기 몸통부(3)의 벽면이 평행하게 마주보는 중앙부의 구분을 껍질부(8)로 하고, 해당 껍질부(8)의 좌우에 인접하여, 상기 몸통부(3)에 평면형상을 대략 원호형상으로 돌출한 부분을 가진 2개의 구분을 반전부(10)로 한 합성수지제 병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병 본체(1)를 비교적 연질인 합성수지로 얇게 성형하고, 껍질부(8)가 되는 구분의 내외면의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몸통부(3)부분의 대략 전체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 병체.
  7. 제 6 항에 있어서, 바깥면에 비교적 두께가 두껍고 경질인 라벨(7a)을 적층한 합성수지제 병체.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병 본체(1)의 껍질부(8)가 되는 구분을 통상의 두꺼운 두께로 성형하고, 반전부(10)가 되는 구분을 비교적 얇게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 병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전라인(5)을, 경사진 계단형상으로 한 합성수지제 병체.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전라인(5)을, 얕은 V홈 형상으로 한 합성수지제 병체.
KR1020037010118A 2003-07-31 2002-08-28 합성수지제 병체 KR100906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7010118A KR100906280B1 (ko) 2003-07-31 2002-08-28 합성수지제 병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7010118A KR100906280B1 (ko) 2003-07-31 2002-08-28 합성수지제 병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913A true KR20050091913A (ko) 2005-09-16
KR100906280B1 KR100906280B1 (ko) 2009-07-06

Family

ID=3727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118A KR100906280B1 (ko) 2003-07-31 2002-08-28 합성수지제 병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2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8969B2 (ja) * 1999-08-06 2011-02-23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自立性ボトル
JP3906386B2 (ja) * 2000-09-29 2007-04-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壜体
JP3858168B2 (ja) * 2000-09-29 2006-12-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壜体
JP3831815B2 (ja) * 2000-09-29 2006-10-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壜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6280B1 (ko) 2009-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4098B1 (ko)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한 병
TWI229032B (en) Pinch-grip type bottle-container
EP1550611B1 (en) Synthetic resin bottle
JP4046989B2 (ja) ピンチグリップ式ボトル型容器
BRPI0405702A (pt) Recipiente contraìvel sem emenda e método de fabricação
CA2755608A1 (en) Multi-serve hot fill type container having improved grippability
JPH0423765Y2 (ko)
JPH11348960A (ja) 樹脂製容器
JP4291604B2 (ja) 合成樹脂製ボトル型容器
KR20050091913A (ko) 합성수지제 병체
JP3860376B2 (ja) 縮減構造を有する容器
JP4188132B2 (ja) 合成樹脂製ボトル型容器
KR100929447B1 (ko)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KR102037707B1 (ko) 자립형 파우치
JPH0333612Y2 (ko)
JP3858168B2 (ja) 合成樹脂製壜体
JPH084407Y2 (ja) 2軸延伸ブロー成形壜体
TW552227B (en) Synthetic resin bottle
JP3831815B2 (ja) 合成樹脂製壜体
JP2001114284A (ja) 超薄肉容器
JP3993759B2 (ja) ブローボトル
JP2002096814A (ja) 薄肉ボトル
JP2003155016A (ja) 減容化可能なボトル
JP2607744Y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00309319A (ja) 扁平薄肉ブローボ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