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명세서에서, 밀(Triticum aestivum LINNAEUS)은 1~2년생초본이며 높이 1m정도 이고 2~3대가 같이 나와서 자라며 밋밋하고 마디가 길다. 5월에 꽃이 피고 6~7월에 열매가 성숙되고 영과(穎果)는 넓은 타원체이며 갈색이고 영(穎)에서 잘 떨어진다. 각지에서 봄작물로 심는다. 열매성분으로는 녹말 53~70%, 단백질 11% 안팎, 당분(자당, 포도당 등) 2~7%, 텍스트린 2~10%, 기름 1.6% 안팎, 시토스테롤, 레시틴, 알란토인 등을 함유한다. 밀눈에는 토코페놀이 함유되어 있어서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피부를 탄력있게 해준다. 또한 식은땀, 골증허열, 소화약으로도 쓰인다.(한국의 자원식물 Ⅴ, 지은이: 김태정, Page: 49)
본 명세서에서, 사과(Malus paumila Miller var.)는 유럽 동남부 및 서부 아시아 원산이며 과수로 각처의 농가에서 흔히 재식하는 귀화식물이다. 8월~9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이과는 편구형이고 지름은 3~10cm이며 양끝이 오목하게 들어가고 과피는 황색 바탕에 붉은빛이 돈다. 사과 주성분은 당분이며 대부분 과당과 포도당으로 흡수가 잘 된다. 유기산중에 사과산이 90%이상 존재하고 구연산, 주석산, 펙틴, 아미노산 등을 포함한다. 이 산들은 우리 몸에 쌓인 피로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피부를 윤택하고 건강하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사과는 비타민 C가 대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멜라닌 색소가 침전되는 것을 막아주며 피부를 곱고 부드럽게 해준다. 또한 십이지장궤양 치료약으로도 쓰이고 빈혈증에도 쓰인다.(한국의 자원식물Ⅱ, 지은이: 김태정, Page: 183)
본 명세서에서, 바나나(Musa basjoo SIEBOLD)는 파초과에 속하는 것으로 다년생초본이며 높이가 5m 안팎이고 6월~9월에 꽃이 피고 10월에 열매가 성숙된다. 세일론, 말레이시아가 원산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 제주도등지에서 재배가 된다. 바나나는 당질이 풍부하며 녹말, 칼슘, 카로틴, 식이섬유인 펙틴 등이 함유되어있다. 바나나에는 비타민 A가 풍부해서 거친 살결을 매끄럽고 해주고 탄수화물, 당분이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촉촉하게 해준다. 바나나는 민감성 피부와 건성 피부, 노화피부에 효과적이다. 또한 한방에서는 바나나가 열을 내려주고 장을 촉촉하게 하는 성질이 있다고 하여 열로 인한 목의 갈증이나 건조한 장 때문에 변비 증세가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한국의 자원식물 Ⅴ, 지은이: 김태정, Page: 255)
본 명세서에서, 유기농이란 농약, 화학비료를 쓰지 않고 자연유기비료만으로 재배한 것을 말하며, 이러한 유기농산물은 농약 등 유해물질이 포함되지 않아 식품 및 화장품 원료로서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 사과 및 바나나를 분쇄 또는 세절한 후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피부 보습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에서, 상기 및, 사과 및 바나나는 유기농으로 재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천연재료의 각종성분으로 인한 보습 및 자극완화 효과뿐만 아니라, 유아전용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서 더욱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에서, 추출 용매가 물,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용매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추출용매에 대한 추출물을 제조하여 그 효과를 시험하였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에서, 추출 용매는 분쇄 또는 세절된 밀, 사과 및 바나나의 5~30배 부피량을 가하여 얻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추출 용매가 상기 부피보다 적을 경우 시료가 제대로 추출되지 않으며 상기 부피보다 많을 경우 추출물의 농도가 희박해 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에서, 추출 용매를 가한 후 37 ~ 95℃에서 0.5 ~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0 ~ 37℃에서 1 ~ 15일간 침적시켜 추출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추출 온도 및 시간이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 제대로 추출되지 않으며 상기 범위보다 높을 경우 시료의 변성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 2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출물의 함유량이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본 발명의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상기 범위보다 높으면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을 유지하기 힘들고 제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화장료가 유아전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유기농 천연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므로 유아전용에 필요한 안전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화장료가 로션, 영양크림, 보디클린저, 샴퓨 등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양한 제형을 처방예에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추출 원료는 유기농 밀, 유기농 사과, 유기농 바나나로부터 각각 유기농 밀은 20~70%, 유기농 사과는 1~30%, 유기농 바나나는 1~20%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에 사용한다. 밀은 분쇄하고, 사과와 바나나는 세절한다. 추출 용매로서 증류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5~30배 부피량을 가하여 사용한다. 추출 방법으로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37 ~ 95℃, 0.5 ~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0 ~ 37℃에서 1 ~ 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한 식물혼합 추출물을 여과하여 사용하거나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정 고형분이 함유된 추출액으로서 0.5~20%, 바람직하게는 0.01~10%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7. 가온 추출 제조
유기농 원료인 밀 600g, 사과 200g, 바나나 200g을 분쇄, 세절 후 혼합하여 혼합 원료 1kg을 만들고, 여기에 각각의 추출 용매 5kg를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45℃, 3시간 가온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원심분리 후 0.45㎛ 필터로 최종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기술하였다. 또한, 유기농 원료중 밀을 제외하고 사과 500g, 바나나 500g만을 사용하여 실시예 1~7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비교예 1~7).
|
추출용매 |
고형분(%) |
수득량(kg) |
실시예 1 |
증류수 |
1.76 |
2.20 |
실시예 2 |
50% 함수 에틸알코올 |
1.69 |
2.37 |
실시예 3 |
30% 함수 에틸알코올 |
1.57 |
2.26 |
실시예 4 |
50% 함수 부틸렌글리콜 |
1.71 |
2.25 |
실시예 5 |
30% 함수 부틸렌글리콜 |
1.67 |
2.35 |
실시예 6 |
50%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
1.64 |
2.44 |
실시예 7 |
30%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
1.58 |
2.47 |
실시예 8 ~ 14 상온 추출 제조
유기농 원료인 밀 600g, 사과 200g, 바나나 200g을 분쇄, 세절 후 혼합하여 혼합 원료 1kg을 만들고, 여기에 각각의 추출 용매 5kg를 넣고 4℃에서 5일간 숙성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원심분리 후 0.45㎛ 필터로 최종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술하였다. 또한, 유기농 원료중 사과를 제외하고 밀 600g, 바나나 400g만을 사용하여 실시예 8~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비교예 8~14).
|
추출용매 |
고형분(%) |
수득량(kg) |
실시예 8 |
증류수 |
1.01 |
2.11 |
실시예 9 |
50% 함수 에틸알코올 |
1.16 |
2.02 |
실시예 10 |
30% 함수 에틸알코올 |
1.85 |
2.06 |
실시예 11 |
50% 함수 부틸렌글리콜 |
1.11 |
2.14 |
실시예 12 |
30% 함수 부틸렌글리콜 |
1.08 |
2.08 |
실시예 13 |
50%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
1.14 |
2.15 |
실시예 14 |
30%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
1.09 |
2.12 |
실험예 1. 데시게이터를 이용한 보습력 측정
상기 추출물에 대하여 보습 효과를 아래와 같이 액상에서의 수분 증발 억제율 차이를 이용하여 보습력을 측정하였으며, 대조구로는 각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였다. 또한 수분이 함유되지 않은 용매는 실험에서 제외시켰다.
실험 방법
유기농 혼합 추출물 5ml를 표면적이 일정한 Cup에 적정한 후, 완전 건조된 CaCl2를 흡습제로 사용하여 온도 35℃로 조절한 데시게이터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하였고, 24시간 후 각 시료의 무게를 5 회 측정한 평균값을 이용하여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
보습력(%) |
보습력 증가율 |
비교예 |
보습력(%) |
보습력 증가율 |
실험구 |
대조구 |
실험구 |
대조구 |
실시예 1 |
43.1 |
26.8 |
1.61 |
비교예 1 |
41.2 |
26.8 |
1.58 |
실시예 2 |
31.2 |
27.3 |
1.14 |
비교예 2 |
30.1 |
27.3 |
1.10 |
실시예 3 |
32.3 |
26.7 |
1.21 |
비교예 3 |
31.2 |
26.7 |
1.17 |
실시예 4 |
48.7 |
42.6 |
1.14 |
비교예 4 |
44.4 |
42.6 |
1.04 |
실시예 5 |
45.6 |
39.6 |
1.15 |
비교예 5 |
42.5 |
39.6 |
1.07 |
실시예 6 |
46.3 |
43.3 |
1.06 |
비교예 6 |
44.8 |
43.3 |
1.03 |
실시예 7 |
48.9 |
43.0 |
1.13 |
비교예 7 |
45.5 |
43.0 |
1.06 |
실시예 8 |
40.2 |
31.1 |
1.29 |
비교예 8 |
38.2 |
31.1 |
1.23 |
실시예 8 |
29.5 |
21.4 |
1.38 |
비교예 8 |
27.7 |
21.4 |
1.29 |
실시예 10 |
27.5 |
23.4 |
1.37 |
비교예 10 |
26.3 |
23.4 |
1.12 |
실시예 11 |
48.7 |
42.6 |
1.14 |
비교예 11 |
45.4 |
42.6 |
1.07 |
실시예 12 |
44.2 |
40.1 |
1.12 |
비교예 12 |
42.1 |
40.1 |
1.05 |
실시예 13 |
45.7 |
41.3 |
1.11 |
비교예 13 |
44.3 |
41.3 |
1.07 |
실시예 14 |
47.4 |
42.6 |
1.11 |
비교예 14 |
45.6 |
42.6 |
1.07 |
- 계산 방법
① 보습력(%) = (1-△S/S) X 100
S : 초기 Sample의 무게, △S : 초기 Sample의 무게 - 최종 sample의 무게
② 보습력 증가율(배) = 실험구 보습력 / 대조구 보습력
실험예 2. 인공진피에서의 자극완화 실험 : 세포 생존율 실험(MTT ASSAY)
MTT assay는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측정함으로서 세포 증식이나 독성에 많이 사용되는 실험법으로 살아있는 세포는 미토콘드리아내에서 수용성이고 노란색의 염인 MTT(3-[4,5-dimethylthiazole-2-yl]-2,5- diphenyltetrazolium bromide)가 숙신산탈수소효소(succinate dehydrogenase 또는 mitochondrial dehydrogenase라고도 불림)에 의해 수불용성인 파란색의 formazan 유도체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생성된 formazan 유도체는 용해제(보통 dimethylsulfoxide 사용)를 넣고 용해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한다.
실험 방법
type I collagen matrix 와 5배로 농축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 USA) 그리고 완충용액을 섞어만든 용액과 human fibroblasts cell line (ATCC, CRL-2310)을 1x105 cells/ml로 혼합하여 직경 10mm 의 insert에 각각 200ul의 fibroblasts가 혼합된 collagen 용액에 넣어 인공진피를 제조한다. 일주일 배양한 후 배양배지를 제거한 후 새 배지를 조직배양 용기밖에 1.5ml을 넣고 각 시험물질을 10ul씩 적용하였다. 자극물질은 SLS(sodium laurly sulfate, sigma, USA)를 적용하였고, 유기농 추출혼합물을 농도별로 적용하였다.적용 후 37℃, 5% CO2 인큐베이터에 넣어 24시간 동안 방치한다. 배지를 버린 후 인공진피를 PBS로 세척하고 MTT 분석을 하였다. MTT 용액을 well당 100㎕씩 가한 후 4시간 후에 MTT를 제거하고 DMSO를 well당 100㎕씩 가한 후 하룻밤 37℃에서 인큐베이션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이때 추출 혼합물을 첨가하지 않고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대적인 흡광도의 차이로부터 세포생존율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
세포 생존율(%) |
비교예 |
세포 생존율(%) |
실시예 1 |
113 |
비교예 1 |
109 |
실시예 2 |
110 |
비교예 2 |
107 |
실시예 3 |
100 |
비교예 3 |
100 |
실시예 4 |
108 |
비교예 4 |
106 |
실시예 5 |
103 |
비교예 5 |
102 |
실시예 6 |
104 |
비교예 6 |
103 |
실시예 7 |
109 |
비교예 7 |
107 |
실시예 8 |
110 |
비교예 8 |
109 |
실시예 9 |
107 |
비교예 9 |
106 |
실시예 10 |
102 |
비교예 10 |
101 |
실시예 11 |
101 |
비교예 11 |
100 |
실시예 12 |
105 |
비교예 12 |
104 |
실시예 13 |
104 |
비교예 13 |
103 |
실시예 14 |
103 |
비교예 14 |
102 |
- 계산방법
세포생존율(%) = At/Ac X 100
At : 시험군의 흡광도, Ac : 대조군의 흡광도
실험예 3. 인공진피에서의 자극완화 실험 : IL-1α 생성량 측정 실험
IL-1α는 전염증성 작용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로 작용하는 세포간 신호물질(cytokine)으로 염증, 감염, 등에 의한 자극에 골형성 세포, 다핵세포, 대식세포, 각질형성세포, 간세포, 섬유아세포 등이 일시적으로 증가 생산한다. 또한 IL-1α는 상처의 상피재생화의 자재적인 유도체로서 작용할 뿐 아니라 알러지 반응과 염증성 반응 조절인자로서 백혈구 운동을 촉진시키는 leukotriene B4, 5-, 12-, 15HETE 같은 arachidonic acid lipoxygenase metabolites 생산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IL-1α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
type I collagen matrix 와 5배로 농축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 USA) 그리고 완충용액을 섞어만든 용액과 human fibroblasts cell line (ATCC, CRL-2310)을 1x105 cells/ml로 혼합하여 직경 10mm 의 insert에 각각 200ul의 fibroblasts가 혼합된 collagen 용액에 넣어 진공진피를 제조한다. 일주일 배양한 후 배양배지를 제거한 후 새 배지를 조직배양 용기밖에 1.5ml을 넣고 각 시험물질을 10ul씩 적용하였다. 자극물질로 SLS(sodium laurly sulfate, sigma, USA) 0.1%를 적용하였고, 유기농 추출혼합물 3%를 적용하였다. 적용 후 37℃, 5% CO2 인큐베이터에 넣어 24시간 동안 방치한다. 배지를 취한 후 취한 배지는 IL-1α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IL-1α는 human IL-1αassay kit(ENDOGEN, USA)을 이용,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45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
IL-1α 생성량(pg/ml) |
비교예 |
IL-1α 생성량(pg/ml) |
실시예 1 |
89 |
비교예 1 |
91 |
실시예 2 |
95 |
비교예 2 |
97 |
실시예 3 |
101 |
비교예 3 |
102 |
실시예 4 |
123 |
비교예 4 |
125 |
실시예 5 |
119 |
비교예 5 |
121 |
실시예 6 |
96 |
비교예 6 |
97 |
실시예 7 |
113 |
비교예 7 |
114 |
실시예 8 |
93 |
비교예 8 |
95 |
실시예 9 |
105 |
비교예 9 |
106 |
실시예 10 |
116 |
비교예 10 |
117 |
실시예 11 |
101 |
비교예 11 |
103 |
실시예 12 |
109 |
비교예 12 |
111 |
실시예 13 |
115 |
비교예 13 |
117 |
실시예 14 |
117 |
비교예 14 |
118 |
이하, 본 발명의 처방예로서 로션, 크림, 보디 크린저, 샴푸를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처방예 1.
유기농 밀, 사과, 바나나의 혼합물로부터 얻은 유기농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로션의 처방예는 다음 표 6과 같다. 여기에 유기농 천연 추출물은 실시예 1의 것이다.
번호 |
원 료 |
제형예1-1 |
제형예1-2 |
비교제형예1 |
1 |
유기농 식물 혼합 추출물 |
5.0 |
10.0 |
- |
2 |
글리세린 |
3.0 |
3.0 |
3.0 |
3 |
부틸렌 글리콜 |
2.0 |
2.0 |
2.0 |
4 |
프로필렌 글리콜 |
2.0 |
2.0 |
2.0 |
5 |
폴리옥시에칠렌(60)경화 피마자유 |
1.00 |
1.00 |
1.0 |
6 |
에탄올 |
10.0 |
10.0 |
10.0 |
7 |
트리에탄올아민 |
0.1 |
0.1 |
0.1 |
8 |
방부제 |
미량 |
미량 |
미량 |
9 |
색소 |
미량 |
미량 |
미량 |
10 |
향료 |
미량 |
미량 |
미량 |
11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제조방법〉
제형예 1-1,2: 11번에 2,3,4,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6번을 60℃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2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1,6,7,9,10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1: 11번에 2,3,4,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6번을 60℃정도 가 열하여 용해시킨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2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6,7,9,10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2.
유기농 밀, 사과, 바나나의 혼합물로부터 얻은 유기농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 표 7과 같다. 여기에 유기농 천연 추출물은 실시예 1의 것이다.
번호 |
원 료 |
제형예2-1 |
제형예2-2 |
비교제형예2 |
1 |
유기농 식물 혼합 추출물 |
5.0 |
10.0 |
- |
2 |
시토 스테롤 |
1.70 |
1.70 |
1.70 |
3 |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
1.50 |
1.50 |
1.50 |
4 |
세라마이드 |
0.7 |
0.7 |
0.7 |
5 |
세테아레스-4 |
1.2 |
1.2 |
1.2 |
6 |
콜레스테롤 |
1.5 |
1.5 |
1.5 |
7 |
디세틸포스페이트 |
0.4 |
0.4 |
0.4 |
8 |
농글리세린 |
5.0 |
5.0 |
5.0 |
9 |
선플라우어오일 |
10.0 |
10.0 |
10.0 |
1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2 |
0.2 |
0.2 |
11 |
산탄검 |
0.3 |
0.3 |
0.3 |
12 |
방부제 |
미량 |
미량 |
미량 |
13 |
향료 |
미량 |
미량 |
미량 |
14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제조방법〉
제형예 2-1,2 : 원료물질 2,3,4,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1,2,7,8및 14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원료물질 9 을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다. 그리고 10,11,12,13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비교 제형예 2 : 원료물질 2,3,4,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7,8및 14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한 후 이어 원료물질 9을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다. 그리고 10,11,12,13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처방예 3
유기농 밀, 사과, 바나나의 혼합물로부터 얻은 유기농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보디 크린저의 처방예는 다음 표 8과 같다. 여기에 유기농 천연 추출물은 실시예 1의 것이다.
번호 |
원 료 |
제형예3-1 |
제형예3-2 |
비교제형예 |
1 |
유기농 식물 혼합 추출물 |
5.0 |
10.0 |
- |
2 |
시토 스테롤 |
4.0 |
4.0 |
4.0 |
3 |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
3.0 |
3.0 |
3.0 |
4 |
세라마이드 |
0.7 |
0.7 |
0.7 |
5 |
세테아레스-4 |
2.0 |
2.0 |
2.0 |
6 |
콜레스테롤 |
3.0 |
3.0 |
3.0 |
7 |
디세틸포스페이트 |
0.4 |
0.4 |
0.4 |
8 |
농글리세린 |
5.0 |
5.0 |
5.0 |
9 |
선플라우어오일 |
22.0 |
22.0 |
22.0 |
1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5 |
0.5 |
0.5 |
11 |
트리에탄올아민 |
0.5 |
0.5 |
0.5 |
12 |
방부제 |
미량 |
미량 |
미량 |
13 |
향료 |
미량 |
미량 |
미량 |
14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제조방법〉
제형예 3-1,2 : 원료물질 2,3,4,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1,7,8및 14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한 후 이어 원료물질 9을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다. 그리고 10,11,12,13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3 : 원료물질 3,4,5,6 및 7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7,8 및 14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고 이어 원료물질 9을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다. 그리고 10,11,12,13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처방예 4.
유기농 밀, 사과, 바나나의 혼합물로부터 얻은 유기농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샴푸의 처방예는 다음 표 9와 같다. 여기에 유기농 천연 추출물은 실시예 1의 것이다.
번호 |
원 료 |
제형예4-1 |
제형예4-2 |
비교제형예 |
1 |
유기농 식물 혼합 추출물 |
5.0 |
10.0 |
- |
2 |
밀납 |
10.0 |
10.0 |
10.0 |
3 |
폴리솔베이트 60 |
1.5 |
1.5 |
1.5 |
4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8 |
0.8 |
0.8 |
5 |
유동파라핀 |
40.0 |
40.0 |
40.0 |
6 |
스쿠알란 |
5.0 |
5.0 |
5.0 |
7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4.0 |
4.0 |
4.0 |
8 |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
0.2 |
0.2 |
0.2 |
9 |
글리세린 |
5.0 |
5.0 |
5.0 |
10 |
부틸렌글리콜 |
3.0 |
3.0 |
3.0 |
11 |
프로필렌글리콜 |
3.0 |
3.0 |
3.0 |
12 |
트리에탄올아민 |
0.2 |
0.2 |
0.2 |
13 |
방부제 |
미량 |
미량 |
미량 |
14 |
색소 |
미량 |
미량 |
미량 |
15 |
향료 |
미량 |
미량 |
미량 |
16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제조방법〉
제형예 4-1,2 : 8,9,10,11,13,16를 혼합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3,4,5,6,7,12를 80∼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14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되면 1번 을 투입한다.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4 : 8,9,10,11,13,16를 혼합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3,4,5,6,7,12를 80∼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14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실험예 4. Corneometer CM 825를 이용한 보습력 측정
상기 추출물에 대하여 보습 효과를 Courage+Khazaka 사의 Corneometer CM 825 를 사용하여 보습력을 측정하였으며, 대조구로는 각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였다.
실험 방법
각각의 시료 당 20 대 여성 10 명을 대상으로 상박부 2 ×2 ㎠ , 8 구획 나누어 구분하고 물로 여러 차례 세정한 후 자극 없이 수분을 제거한다. 15 분경과 후, 시료를 각각 2 구획에 대하여 10 ㎕ 씩 점적하여 고르게 도포한다. 2시간 경과후, Corneometer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획 당 5 회 측정한다. 실험은 실내온도는 21 ± 2℃, 상대습도 50 ± 5%의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하였다. 측정값은 5회 측정하여 얻어진 값을 평균하여 사용하였으며, 대상자 5명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표 10에 나타내었다.
- 계산 방법
① 보습력(Corneometer Value) = S - △S
S : 시료 도포 전 Corneometer Value,
△S : 시료 도포 2시간 경과 후 Corneometer Value
② 보습력 증가 = 실험구 보습력 - 대조구 보습력
실시예 |
보습력 |
보습력 증가 |
비교예 |
보습력 |
보습력 증가 |
실험구 |
대조구 |
실험구 |
대조구 |
실시예 1 |
41.57 |
23.63 |
17.94 |
비교예 1 |
40.37 |
23.63 |
16.74 |
실시예 2 |
13.7 |
5.4 |
8.3 |
비교예 2 |
12.6 |
5.4 |
7.2 |
실시예 3 |
10.4 |
2.3 |
8.1 |
비교예 3 |
9.6 |
2.3 |
7.3 |
실시예 4 |
46.13 |
35.58 |
10.55 |
비교예 4 |
45.12 |
35.58 |
9.54 |
실시예 5 |
45.2 |
35.6 |
9.6 |
비교예 5 |
44.2 |
35.6 |
8.6 |
실시예 6 |
50.66 |
41.90 |
8.76 |
비교예 6 |
49.46 |
41.90 |
7.56 |
실시예 7 |
52.3 |
42.7 |
9.6 |
비교예 7 |
50.1 |
42.7 |
7.4 |
실시예 8 |
37.7 |
21.9 |
15.8 |
비교예 8 |
36.5 |
21.9 |
14.6 |
실시예 9 |
6.36 |
0.9 |
5.46 |
비교예 9 |
6.05 |
0.9 |
5.15 |
실시예 10 |
8.68 |
2.0 |
6.68 |
비교예 10 |
7.45 |
2.0 |
5.45 |
실시예 11 |
46.02 |
39.58 |
6.44 |
비교예 11 |
44.02 |
39.58 |
4.44 |
실시예 12 |
47.39 |
38.92 |
8.47 |
비교예 12 |
45.37 |
38.92 |
7.45 |
실시예 13 |
52.30 |
43.43 |
8.87 |
비교예 13 |
50.25 |
43.43 |
6.82 |
실시예 14 |
55.62 |
45.90 |
10.72 |
비교예 14 |
53.51 |
45.90 |
8.61 |
실험예 5. 피부1차 자극성시험 (폐쇄첩포실험)
상기 추출물에 대하여 자극 완화 효과는 페쇄첩포실험을 이용하여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에 의한 자극 유발과 이에 대한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
건성이며 민감한 피부를 가진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시험부위(팔안쪽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 시킨다. 정제수에 시료 5%,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가 되게 실험 용액을 제조하고, 20ul의 실험용액을 Finn chamber 에 적하시킨다. 각각의 Finn chamber에 paper disc를 올려놓고, Finn chamber를 시험부위에 얹어 고정 시킨다.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Marking pen으로 시험 부위에 표시하여 4시간 경과 후에 판정을 행한다. 판정은 아래의 판정 기준에 따라 자극 정도를 분류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11에 나타내었다.
-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없음
+- ; 주위보다 약간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오름
시 료 |
피시험자수 |
판정결과 |
자극도 |
++ |
+ |
+- |
-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
20 |
1 |
5 |
12 |
2 |
0.75 |
정제수 |
20 |
0 |
0 |
0 |
20 |
0.00 |
실시예 1 추출물 5.0%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
20 |
0 |
0 |
1 |
19 |
0.05 |
실시예 2 추출물 5.0%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
20 |
0 |
0 |
2 |
18 |
0.10 |
실시예 3 추출물 5.0%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
20 |
0 |
1 |
5 |
14 |
0.25 |
실시예 4 추출물 5.0%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
20 |
0 |
1 |
3 |
14 |
0.15 |
실시예 5 추출물 5.0%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
20 |
0 |
1 |
5 |
14 |
0.25 |
실시예 6 추출물 5.0%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
20 |
0 |
0 |
3 |
17 |
0.15 |
실시예 7 추출물 5.0%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
20 |
0 |
0 |
6 |
14 |
0.30 |
실시예 8 추출물 5.0%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
20 |
0 |
0 |
0 |
20 |
0.00 |
실시예 9 추출물 5.0%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
20 |
0 |
0 |
3 |
17 |
0.15 |
실시예 10 추출물 5.0%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
20 |
0 |
0 |
2 |
18 |
0.10 |
실시예 11 추출물 5.0%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
20 |
0 |
1 |
6 |
13 |
0.30 |
실시예 12 추출물 5.0%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
20 |
0 |
0 |
6 |
14 |
0.30 |
실시예 13 추출물 5.0%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
20 |
0 |
0 |
7 |
13 |
0.35 |
실시예 14 추출물 5.0%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
20 |
0 |
0 |
3 |
17 |
0.15 |
실험예 6.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 시험
처방예 1과 2의 로션 및 크림에 대한 피부도포 시, 피부 보습력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건조증을 가진 피험자들에게 매일 1회 7일간 안면 왼쪽 부분에는 제형예의 로션 및 크림을, 안면 오른쪽 부분에는 비교제형예의 로션 및 크림을 도포하게 한 후 피부 보습력 개선효과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를 다음 표 12에 나타내었다.
도포군 |
응답자수 |
매우양호 |
양호 |
보통 |
미흡 |
제형예1-1 |
3 |
7 |
4 |
1 |
제형예1-2 |
4 |
6 |
5 |
- |
비교제형예1 |
2 |
5 |
6 |
2 |
제형예2-1 |
5 |
6 |
3 |
1 |
제형예2-2 |
6 |
5 |
4 |
- |
비교제형예2 |
2 |
4 |
6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