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588A - 도어스토퍼 - Google Patents
도어스토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90588A KR20050090588A KR1020040015738A KR20040015738A KR20050090588A KR 20050090588 A KR20050090588 A KR 20050090588A KR 1020040015738 A KR1020040015738 A KR 1020040015738A KR 20040015738 A KR20040015738 A KR 20040015738A KR 20050090588 A KR20050090588 A KR 200500905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 plate
- door
- hollow tube
- gear
- cas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2—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one or more flat stamping surfaces having fixed im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Landscapes
- G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이는 도어에 장착된 상태로 그 일부가 바닥면측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을 누름으로써 도어를 바닥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구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가이드구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필요시 바닥면측으로 이동하여 그 하단부가 바닥면을 가압함으로써 바닥면에 대해 상기 케이싱을 상대 고정시키는 가압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도어스토퍼는, 도어에 지지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가압로드를 밟아 지면을 누르게 하여 지면에 대해 도어를 고정하는 메카니즘을 가지므로 도어의 양방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음은 물론 지면의 울퉁불퉁한 상태에 관계치 않고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로드를 한 번 더 밟으면 가압로드가 상부로 이동하여 원위치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스토퍼(Door stopper)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동으로 닫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여닫이문의 경우 문을 열어놓은 상태를 유지해야 할 때에는 문의 닫히는 방향측에 가령 의자를 기대어 놓거나 기타 무거운 물건을 놓아 문이 저절로 닫히는 것을 막는다. 이와같이 문을 열어놓기 위해서 도어에 무거운 물건을 놓는 것은 매우 귀찮고 번거로운 일이므로 문에 도어스토퍼를 설치하기도 한다.
도 1에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스토퍼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도어스토퍼(2)는, 도어(A)의 닫히는 방향쪽 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4)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에 고정되며 외부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브라켓(4a)과, 상기 브라켓(4a)에 그 후단부가 회동핀(4b)으로 연결되며 상하로 회동 가능한 지지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6)는 상기 회동핀(4b)을 회동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막대로서 그 선단부에는 지면(이하, 바닥면)에 밀착하는 고무팁(6a)이 구비되어 있다.
결국 상기한 종래의 도어스토퍼(2)는 지지대(6)를 하부로 회동시켜 고무팁(6a)이 바닥면에 대해 밀착하도록 함으로써 도어(A)가 지지대(6)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도어가 닫히는 것을 막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도어스토퍼(2)는, 도어의 닫히는 방향에 설치될 수 밖에 없으므로 도어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지 못한다. 즉 도어(A)가 도어스토퍼(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지지대(6)는 도어(A)에 끌려갈 뿐 도어를 정지시키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6)를 발로 내려 설치하기는 쉬우나 다시 올리기가 불편하다. 즉, 스토퍼(2)가 필요 없어져 지지대(6)를 다시 상부로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혀 손으로 지지대(6)를 잡아 올려야 하는 것이다. 이에 불편을 느껴 발등으로 지지대(6)를 재껴 올릴 수 도 있지만 발을 지지대(6)의 하부로 넣기가 여의치 않고 또한 발을 넣을 때 지지대(6)에 측방향 충격을 가할 수 있어 지지대(6)나 회동핀(4b)이 파손되기 쉽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지대(6)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지면이 울퉁불퉁해서 바닥면이 파인 곳에는 지지대(6)의 하단부가 닿지 않아 지지력을 제공할 수 없게 될 경우도 많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도어에 지지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가압로드를 밟아 지면을 누르게 하여 지면에 대해 도어를 고정하는 메카니즘을 가지므로 도어의 양방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음은 물론 지면의 울퉁불퉁한 상태에 관계치 않고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가압로드를 한 번 더 밟으면 가압로드가 상부로 이동하여 원위치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도어스토퍼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에 장착된 상태로 그 일부가 바닥면측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을 누름으로써 도어를 바닥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구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가이드구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필요시 바닥면측으로 이동하여 그 하단부가 바닥면을 가압함으로써 바닥면에 대해 상기 케이싱을 상대 고정시키는 가압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구와 내부 연통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내에는 상기 가압로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압로드는; 상기 가이드구를 관통하며 슬라이딩 운동시 가이드구의 내주면에 가이드되고, 그 외주면 중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래칫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수용공간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 1지지축에 끼워져 제 1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칫기어측으로 이동하여 래칫기어의 기어이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중공튜브의 상방향 이동을 막는 기어삽입부를 갖는 제 1캠플레이트와, 상기 수용공간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 2지지축에 끼워져 제 2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캠플레이트의 기어삽입부가 래칫기어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캠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 2캠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래칫기어의 상측부에는 상기 중공튜브가 최대한 하강한 순간 상기 제 1캠플레이트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켜 상기 기어삽입부가 래칫기어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상부핀과, 상기 래칫기어의 하측부에는 상기 가압로드가 최대한 상승한 순간 상기 제 2캠플레이트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2캠플레이트가 제 1캠플레이트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하부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캠플레이트의 측부에는 상기 기어삽입부가 래칫기어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 2캠플레이트의 측부에는 제 2캠플레이트로 하여금 제 1캠플레이트가 래칫기어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캠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게 하는 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튜브의 하측부에는 가압로드의 하향 이동에 따라 그 하단부가 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하며 중공튜브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여 가압로드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쿠션발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스토퍼에는 상기 가압로드를 케이싱에 대해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튜브에는 중공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상기 케이싱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장공을 통해 중공튜브의 내부로 연장된 핀과, 상기 중공튜브의 내부에 설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단부는 중공튜브에 대해 고정되어 중공튜브를 상부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11)는, 도어(A)의 안쪽면이나 바깥쪽면 중 원하는 면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블록형태의 케이싱(13)과, 상기 케이싱(13)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승강운동 하며 하부로 이동하여 그 하단부가 지면을 눌러 지면에 대해 도어(A)가 상대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가압로드(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3)은 강성을 고려하여 금속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류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3)의 네 귀퉁이부에는 나사가 통과하는 나사구멍(31)이 형성되어 도어(A)에 대해 케이싱(13)을 나사로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3)에는 상기 가압로드(15)를 승강 가능하게 수용하며 가압로드(15)의 수직방향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29)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압로드(15)는 내부가 빈 중공튜브(23)와, 상기 중공튜브(23)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누름캡(17)과, 상기 중공튜브(23)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중공튜브(23)의 내부로 부분 삽입 가능한 상태로 스프링(도 4의 55)에 의해 하부로 탄성 지지되는 쿠션발(19)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공튜브(23)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스프링(도 3의 41)과 지지볼(도 3의 43)이 내장된다.
상기 누름캡(17)은 가압로드(15)를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그 위에 힘을 가하는 부재이다. 상기 누름캡(17)의 형상은 경우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누름캡(17)의 하측부에는 고무패드(2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무패드(21)는 바닥면에 대해 도어스토퍼(11)가 미끄러지지 않기 위해 구비한 것이다. 상기 가압로드(15)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도어스토퍼의 분해 절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13)의 내부에 상기 중공튜브(23)의 승강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29)와, 상기 가이드구(29)와 내부 연통하는 수용공간(33)이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이드구(29)는 케이싱(13)을 상하로 관통하며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일정직경의 관통구멍으로서 상기 중공튜브(23)의 외주면에 면접하며 중공튜브(23)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구(29)의 측면에는 외부로 개방된 수평의 핀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구멍(25)은 그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구(29)측으로 연장되는 핀(27)이 고정되는 구멍이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33)의 내부에는 로드고정부(35)와 로드해제부(37)가 구비된다.
상기 로드고정부(35)는, 케이싱(13)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제 1지지축(35b)에 끼워지며 상기 제 1지지축(35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그 일측에는 이동돌기(35c)가 고정되어 있는 제 1캠플레이트(35a)와, 상기 제 1캠플레이트(35a)의 측부에 위치하며 외부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돌기(35d)와, 상기 제 1지지축(35b)을 중심으로 양단이 상기 이동돌기(35c)와 고정돌기(35d)에 연결되어 제 1캠플레이트(35a)를 화살표 a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35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해제부(37)는, 상기 제 1지지축(35b)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되는 제 2지지축(37b)에 끼워지며 상기 제 2지지축(37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그 일측에는 상기 제 2지지축(37b)과 평행한 이동돌기(37c)가 고정되어 있는 제 2캠플레이트(37a)와, 상기 제 2캠플레이트(37a)의 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돌기(37d)와, 상기 제 2지지축(37b)을 중심으로 양단이 상기 이동돌기(37c)와 고정돌기(37d)에 연결되어 제 2캠플레이트(37a)를 화살표 b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37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캠플레이트(35a)와 제 2캠플레이트(37a)는 일정두께를 갖는 철편으로서 그 자리에 설치된 상태로 각운동하여 가압로드(15)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이러한 로드고정부(35) 및 로드해제부(37)의 동작 메카니즘은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다.
도면부호 29a는 승강핀통과홈이다. 상기 승강핀통과홈(29a)은 가압로드(15)가 승강운동 할 때 중공튜브(23) 외주면에 구비된 상하부핀(도 4의 47,49)이 케이싱(13)에 걸리지 않도록 마련한 여유공간이다.
한편, 상기 가압로드(15)의 중공튜브(23)에는 중공튜브(2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일정폭의 장공(39)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장공(39)은 핀(27)이 통과하는 구멍으로서 핀(27)이 장공(39)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가압로드(15)가 승강운동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중공튜브(23)의 승강거리는 상기 장공(39)의 길이에 따라 달라짐은 물론이다.
상기 중공튜브(23)의 내부에는 지지볼(43)과 스프링(41)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볼(43)은 스프링(4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그 자신은 핀(27)에 의해 상부로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41)은 일정 직경을 갖는 공지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하단부가 상기 지지볼(43)에 지지된 상태로 상단부는 상기 누름캡(17)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장공(39)의 내부에 핀(27)이 삽입된 상태로 누름캡(17)을 누르면 중공튜브(23)는 가이드구(29)에 가이드되며 케이싱(13)에 대해 하부로 상대 이동하고 스프링(41)은 압축된다. 하향 가압력을 해제하면 중공튜브(23)는 상기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원위치함은 물론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가압로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중공튜브(23)의 내부에 지지볼(43) 및 스프링(41)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지지볼(43)은 장공(39)을 통해 중공튜브(23)의 내부로 연장된 핀(27)에 의해 상향 지지된다.
한편, 상기 중공튜브(23)에 있어서 상기 장공(39)이 위치한 부위의 반대측 외주면에는 래칫기어(4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래칫기어(45)는 중공튜브(2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평기어로서 그 잇수는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래칫기어(45)의 기어이(gear tooth)는 마치 톱날과 같으며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캠플레이트(35a)의 기어삽입부(35g)가 기어이에 삽입된 상태로 중공튜브(23)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상기 래칫기어(45)의 상측부에는 상부핀(47)이 고정되어 있고 하측부에는 하부핀(49)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부핀(47) 및 하부핀(49)은 중공튜브(23)의 외주면에 대해 소정길이 만큼 돌출된 돌기이다. 상기 하부핀(49)은 상기 제 2캠플레이트(37a)의 하부핀가압부(도 5의 37f)를 도 5의 화살표 f1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고, 상부핀(도 8의 47)은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캠플레이트(35a)의 상부핀가압부(35h)를 화살표 f2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중공튜브(23)의 내측 하부에는 격벽(5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51)의 하측부에는 하부로 개방된 공간부(5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53)는 그 내부에 쿠션발(19)의 상측부를 일부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쿠션발(19)을 하부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55)을 내장한다.
상기 쿠션발(19)은 원통형태의 부재로서 그 상부 중앙에는 볼트(57)가 상향 통과하는 볼트관통공(19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57)는 상기 볼트관통공(19a)를 상향 통과하여 상기 격벽(51)에 나사 결합하여 볼트헤드(57a)로 하여금 쿠션발(19)의 상측부가 공간부(53)에 부분 수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상기 중공튜브(23)의 하부에 쿠션발(19)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쿠션발(19)이 공간부(53)로 부분 삽입 가능하므로 결국 가압로드(15)의 전체적인 길이는 신축 가능하다.
상기 쿠션발(19)의 하부에는 고무패드(21)가 끼워져 있음은 상기한 바와같다.
도 5 내지 도 8은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의 동작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어스토퍼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상태이고, 도 6은 도어스토퍼를 사용하기 위해 힘을 가하고 있는 중의 상태이며, 도 7은 도어스토퍼가 완전히 작동한 모습이다. 또한 도 8은 도어스토퍼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누름캡을 다시 한번 누른 상태의 내부 구조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A)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스토퍼(11)의 가압로드(15)가 케이싱(13)에 대해 최대한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핀(27)이 케이싱(13)에 고정된 상태로 장공(39)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핀(27)은 장공(39)의 하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장공(39)의 길이는 가압로드(15)가 최대한 상승했을 때 중공튜브(23)의 하단부가 케이싱(13)의 저면에 위치하도록 설계함이 좋다.
여하튼 상기 지지볼(43)에 지지되어 있는 스프링(41)이 누름캡(17)을 통해 중공튜브(23)를 상부로 최대한 탄성 지지하고 상기 핀(27)이 장공(39)의 하단부에 걸려 있으므로 중공튜브(23)는 더 이상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그 상태로 대기한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33)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 1캠플레이트(35a)는 스프링(35e)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그 일측의 기어삽입부(35g)가 중공튜브(23)의 외주면에 밀착하고 있다. 상기 기어삽입부(35g)가 밀착하는 부위는 상기 래칫기어(45)와 하부핀(49)의 사이이다.
또한 상기 제 2캠플레이트(37a)는 스프링(37e)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고 있다. 특히 상기 제 2캠플레이트(37a)의 하부핀가압부(37f)는 하부핀(49)을 하부로 누르고 있다. 상기 하부핀(49)이 없거나 하부핀(49)이 하향 이동한다면 제 2캠플레이트(37a)는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캠플레이트(35a)에 도달하여 멈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대기상태에서 도어(A)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가압로드(15)를 화살표 F방향으로 하향 가압하기 시작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싱(13)에 대해 가압로드(15)가 아래로 상대 이동하고 그에 따라 상기 하부핀(49)도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 하부핀(49)이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제 2캠플레이트(37a)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캠플레이트(37a)의 타측부에 마련되어 있는 삼각팁지지부(37g)가 제 1캠플레이트(35a)의 삼각팁(35f)에 도달한다. 상기 삼각팁(35f)은 제 1캠플레이트(35a)에 형성된 30도 내지 50도 정도의 사이각을 갖도록 돌출된 부위이다.
상기 삼각팁지지부(37g)가 삼각팁(35f)을 화살표 b방향으로 누르더라도 제 1캠플레이트(35a)의 기어삽입부(35g)는 아직 중공튜브(23)의 외주면에 막힌 상태이므로 이 상태는 상기 기어삽입부(35g)가 래칫기어(45)에 도달하는 순간까지 유지된다.
상기 가압로드(15)가 계속 하강함에 따라 화살표 a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는 상기 기어삽입부(35g)가 래칫기어(45)의 첫 번째 기어이에 삽입되는 순간 상기 삼각팁(35f)은 삼각팁지지부(37g)로부터 벌어진다. 상기 삼각팁(35f)이 삼각팁지지부(37g)로부터 멀러진다 하더라도 상기 삼각팁지지부(37g)는 제 1캠플레이트(35a)에 계속적으로 밀착하고 있다.
도 7은 상기 가압로드(15)의 고무패드(21)가 바닥(B)에 도달한 상태이다. 특히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핀(47)과 상부핀가압부(35h)의 사이에 여유 거리가 있으므로 상기 여유거리에 해당하는 만큼 가압로드(15)를 더욱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로드(15)를 하부로 더욱 이동시키면 쿠션발(19)이 상기 공간부(53)의 내부로 그 만큼 더 삽입되며 스프링(55)의 탄성력을 한층 강하게 제공받아 지면(B)에 대해 견고히 밀착하여 도어(A)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한편, 상기 가압로드(15)를 상부로 원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누름캡(17)을 도 8의 화살표 Z방향으로 한 번 더 눌렀다 떼면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누름캡(17)을 화살표 Z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중공튜브(23)는 스프링(55)을 더욱 압축시키며 하부로 이동하고 그 동안 상기 상부핀(47)이 상부핀가압부(35h)를 화살표 f2방향으로 누른다.
상기 제 1캠플레이트(35a)이 화살표 f2방향으로 눌림에 따라 상기 삼각팁(35f)은 삼각팁지지부(37g)를 헤치고 나가 삼각팁지지부(37g)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고 삼각팁지지부(37g)에 걸려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기어삽입부(35g)가 래칫기어(45)의 기어이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같이 상기 삼각팁(35f)이 삼각팁지지부(37g)에 걸려 있으므로 기어삽입부(35g)가 기어의 이 사이로 다시 들어갈 염려가 없다.
여하튼 상기와 같이 누름캡(17)을 화살표 Z방향으로 한 번 더 눌러 상기 기어삽입부(35g)가 기어이로부터 벗어나게한 상태로 가압로드(15)에 가해지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41)의 탄성 복원력에의해 가압로드(15)는 상승하며 자동적으로 상기한 도 5의 상태로 원위치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도어스토퍼는, 도어에 지지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가압로드를 밟아 지면을 누르게 하여 지면에 대해 도어를 고정하는 메카니즘을 가지므로 도어의 양방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음은 물론 지면의 울퉁불퉁한 상태에 관계치 않고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로드를 한 번 더 밟으면 가압로드가 상부로 이동하여 원위치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도어스토퍼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도어스토퍼의 분해 절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가압로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의 동작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도어스토퍼 13:케이싱 15:가압로드
17:누름캡 19:쿠션발 19a:볼트관통공
21:고무패드 23:중공튜브 25:핀구멍
27:핀 29:가이드구 29a:승강핀통과홈
31:나사구멍 33:수용공간 35:로드고정부
35a:제 1캠플레이트 35b:제 1지지축 35c:이동돌기
35d:고정돌기 35e:스프링 35f:삼각팁
35g:기어삽입부 35h:상부핀가압부 37:로드해제부
37a:제 2캠플레이트 37b:제 2지지축 37c:이동돌기
37d:고정돌기 37e:스프링 37f:하부핀가압부
37g:삼각팁지지부 39:장공 41:스프링
43:지지볼 45:래칫기어 47:상부핀
49:하부핀 51:격벽 53:공간부
55:스프링 57:볼트 57a:볼트헤드
Claims (7)
- 도어에 장착된 상태로 그 일부가 바닥면측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을 누름으로써 도어를 바닥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하는 것으로서,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구를 갖는 케이싱과,상기 가이드구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필요시 바닥면측으로 이동하여 그 하단부가 바닥면을 가압함으로써 바닥면에 대해 상기 케이싱을 상대 고정시키는 가압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구와 내부 연통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상기 수용공간내에는 상기 가압로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가압로드는;상기 가이드구를 관통하며 슬라이딩 운동시 가이드구의 내주면에 가이드되고, 그 외주면 중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래칫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튜브를 포함하고,상기 위치조절부는;상기 수용공간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 1지지축에 끼워져 제 1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칫기어측으로 이동하여 래칫기어의 기어이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중공튜브의 상방향 이동을 막는 기어삽입부를 갖는 제 1캠플레이트과,상기 수용공간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 2지지축에 끼워져 제 2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캠플레이트의 기어삽입부가 래칫기어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캠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 2캠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래칫기어의 상측부에는 상기 중공튜브가 최대한 하강한 순간 상기 제 1캠플레이트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켜 상기 기어삽입부가 래칫기어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상부핀과,상기 래칫기어의 하측부에는 상기 가압로드가 최대한 상승한 순간 상기 제 2캠플레이트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2캠플레이트가 제 1캠플레이트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하부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 1캠플레이트의 측부에는 상기 기어삽입부가 래칫기어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더 구비되고,상기 제 2캠플레이트의 측부에는 제 2캠플레이트로 하여금 제 1캠플레이트가 래칫기어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캠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게 하는 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중공튜브의 하측부에는 가압로드의 하향 이동에 따라 그 하단부가 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하며 중공튜브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여 가압로드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쿠션발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도어스토퍼에는 상기 가압로드를 케이싱에 대해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중공튜브에는 중공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며,상기 탄성지지수단은;상기 케이싱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장공을 통해 중공튜브의 내부로 연장된 핀과,상기 중공튜브의 내부에 설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단부는 중공튜브에 대해 고정되어 중공튜브를 상부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5738A KR100715506B1 (ko) | 2004-03-09 | 2004-03-09 | 도어스토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5738A KR100715506B1 (ko) | 2004-03-09 | 2004-03-09 | 도어스토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0588A true KR20050090588A (ko) | 2005-09-14 |
KR100715506B1 KR100715506B1 (ko) | 2007-05-07 |
Family
ID=3727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5738A KR100715506B1 (ko) | 2004-03-09 | 2004-03-09 | 도어스토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550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5507B1 (ko) * | 2004-03-09 | 2007-05-07 | 한성석 | 도어 잠금장치 |
KR100810525B1 (ko) * | 2006-08-23 | 2008-03-10 | 정성우 | 도어 고정장치 |
KR20210064645A (ko) * | 2019-11-26 | 2021-06-03 | 강교리 | 손 끼임 방지 겸용 도어 고정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8187B1 (ko) | 2009-02-25 | 2011-09-28 | 임창선 | 도어 고정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31580A (ja) | 1984-07-25 | 1986-02-14 | 新関西ベアリング株式会社 | ドアストツパ− |
-
2004
- 2004-03-09 KR KR1020040015738A patent/KR10071550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5507B1 (ko) * | 2004-03-09 | 2007-05-07 | 한성석 | 도어 잠금장치 |
KR100810525B1 (ko) * | 2006-08-23 | 2008-03-10 | 정성우 | 도어 고정장치 |
KR20210064645A (ko) * | 2019-11-26 | 2021-06-03 | 강교리 | 손 끼임 방지 겸용 도어 고정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15506B1 (ko) | 2007-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1102B1 (ko) | 완충장치 | |
EP2402530A2 (en) | Moveable base with control surface | |
US20070289098A1 (en) | Castor having efficiently locking function | |
US7448687B2 (en) | Internally pulling type lift device for chair armrest | |
US7611206B2 (en) | Internally pulling type lift device for chair armrest | |
KR100775626B1 (ko) | 강의용 책상 | |
US5887317A (en) | Adjustable locking hinge | |
DE112009002725T5 (de) | Hubstange mit Selbst- Feststell-Wirkung | |
US20080218043A1 (en) | Drawer guidance mechanism | |
KR100715506B1 (ko) | 도어스토퍼 | |
EP1744319A2 (en) | Portable DVD player with pop-up screen | |
US20220018174A1 (en) | Furniture hinge for upward-opening cabinet doors | |
KR100869944B1 (ko) | 강의용 책상 | |
JP4062534B2 (ja) | 椅子に設置されるコンピューター作業用肘掛装置 | |
US20040065238A1 (en) | Elevational adjusting device using air pressure rod to lift object | |
US7367066B1 (en) | Pivotally adjustable toilet lid | |
CN109084135B (zh) | 一种云台锁紧调节结构 | |
US6158059A (en) | Foot actuated toilet seat lift | |
US20080017079A1 (en) | Slope setting device for items of furniture | |
KR100622134B1 (ko) | 완력기 | |
US20040065239A1 (en) | Elevational adjusting device using air pressure rod to lift object | |
KR101913665B1 (ko) | 가구용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 |
JP3286284B2 (ja) | 脚台固定装置 | |
JP2006068459A (ja) |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 |
JP6005432B2 (ja) | 取手取り付け具及び戸体の開閉制動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42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