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381A -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 Google Patents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381A
KR20050090381A KR1020057007839A KR20057007839A KR20050090381A KR 20050090381 A KR20050090381 A KR 20050090381A KR 1020057007839 A KR1020057007839 A KR 1020057007839A KR 20057007839 A KR20057007839 A KR 20057007839A KR 20050090381 A KR20050090381 A KR 20050090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bial pad
fluid storage
pad
storage hole
body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940B1 (ko
Inventor
사토시 미즈타니
고이치 야마키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0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94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09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having only interlabial part, i.e. with no extralabi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61F13/4722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for interlab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6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interlabial absorbing articles
    • A61F13/5516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interlabial absorbing articles before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의 음순에 걸어 부착시켜 이용하는 음순간 패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생리용 냅킨과 병용될 수 있는 음순간 패드 및 상기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의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음순간 패드가 원래 갖고 있는 청결적 성능을 유지하면서, 가로 샘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그 흡수 유지 능력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음순간 패드는 투수성의 표면측 시트(11)와 투수성 또는 불투수성의 이면측 시트(12)가, 경혈을 흡수하는 흡수체(13)를 내포시킨 형태로 접합된 흡수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음순간 패드로서, 의복측을 바닥부로 하는 바닥 있는 구멍을 지니고, 그 개구부의 크기가 1쌍의 소음순을 바깥쪽에서 씌워 싸는 식으로 끼워 맞출 수 있는 크기인 체액 저류 홀(14b)을, 중앙부 근방에 형성한다.

Description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INTER-LABIUM PUDENDA PAD AND PACKAGE BODY FOR THE PAD}
본 발명은 여성의 음순에 걸어 부착시켜 이용하는 음순간 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리용 냅킨과 병용될 수 있는 음순간 패드 및 그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의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여성용 생리용품으로서는, 생리용 냅킨(이하, 단순히 「냅킨」이라 함)이나 탐폰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냅킨은 의복에 접촉시켜 이용하는 것으로, 질구 부근에 대한 밀착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신체와의 간극으로부터 경혈이 새기가 쉽고, 한편, 탐폰은 그 물품의 속성에 기인하여, 장착시의 이물감이나 불쾌감을 일으키기 쉽고, 질 안에 장착하기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냅킨과 탐폰의 중간에 위치하는 생리용품으로서, 최근, 음순간 패드라는 생리용품이 주목받게 되어 오고 있다.
이 음순간 패드는 여성의 음순 사이에 그 일부분을 끼워, 음순에 접촉시켜 장착한다고 하는 것으로, 냅킨보다도 신체와의 밀착성이 높기 때문에 경혈이 쉽게 새지 않고, 또한 질 안에 삽입하는 탐폰과 비교하여 장착시의 심리적 저항도 적다고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음순간 패드로서는,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음순간 패드(24)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소61-149145호 공보).
이러한 음순간 패드(24)는 패드의 전방 영역(24a)을 신체 전방측에 위치시키고, 패드의 후방 영역(24b)을 신체 후방측에 위치시킨 후, 패드의 후방 영역(24b)을 패드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26)을 따라서 절곡하여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를 음순 사이에 끼워, 음순 자체의 협지력에 의해서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순간 패드(24)는 냅킨과 비교하여 음순 밖에 있어서의 신체와의 접촉 면적(즉, 신체와의 마찰 저항)이 매우 적어지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그 장착을 의식시키지 않고서, 쾌적한 사용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음순간 패드(24)는 주로 음순 내부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경혈을 흡수하는 것이기 때문에, 냅킨과 같이 전정부에서 둔부에 이르기까지의 넓은 범위에 경혈이 부착되어 버린다고 하는 일이 없고, 청결적 성능도 우수하다.
그러나, 상기한 음순간 패드(24)는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는 이유에서, 음순 사이에 끼우는 볼록부의 높이에는 상한이 존재한다. 따라서, 경혈을 흡수하여 유지할 수 있는 양도 냅킨에 비하여 적어지지 않을 수 없어, 음순간 패드 밖으로 경혈이 스며 나오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음순간 패드(24)는 냅킨보다도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경혈의 가로 샘(side leakage)이 생기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가로 샘 방지에 유효한 생리용품으로서는,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냅킨(34)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7-13319호 공보).
이러한 냅킨(34)은 냅킨 본체의 신체측에 신축성을 갖는 불투수성의 플랩(36)을 부설하여, 이 플랩(36)의 신체측 표면에 점착부(37)를 형성한 것이다. 이 점착부(37)를 신체에 대하여 점착하면, 신체와 냅킨 본체 사이에 입체적인 불투수성 벽이 형성되어, 가로 샘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냅킨(34)은 종래의 냅킨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경혈이 전정부에서 둔부에 이르기까지의 넓은 범위에 부착되어 버리는 데에 더하여, 음순간 패드에 비해서 사이즈가 크고 부피가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쾌적한 사용감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는 하등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음순간 패드가 원래 갖고 있는 청결적 성능을 유지하면서, 가로 샘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그 흡수 유지 능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그와 같은 음순간 패드를 컴팩트하게 수납하고, 또한, 그 기능을 즉시 발휘할 수 있도록 빼낼 수 있는 포장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상면도, (b)는 (a)의 A-A'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생리용 냅킨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의 A-A'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를 접어 겹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포장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흡수 시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점착제의 박리 강도 측정의 실험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점착제의 전단 강도 측정의 실험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음순간 패드」를 단순히 「패드」라고 적는 경우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14)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14)의 A-A' 단면도이다.
[(A) 기본적인 음순간 패드의 구성]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음순간 패드(14)는 예컨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평탄 영역(14a)의 중앙부 근방에, 경혈을 저류시키기 위한 체액 저류 홀(14b)을 갖춘다. 체액 저류 홀(14b)은 의복측을 바닥부로 하는 바닥 있는 구멍이며, 그 개구부의 크기가 1쌍의 소음순을 바깥쪽에서 씌워 싸는 식으로 끼워 맞출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된다.
음순간 패드(14)의 전체 형상으로는, 음순에 걸어 부착하기에 적합한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길이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타원형, 계란형, 호리병형, 물방울형 등의 형상을 들 수 있다.
음순간 패드(14)는 음순에 걸어 부착했을 때에 착용자의 대퇴부나 둔부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길이(패드의 길이 방향의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50∼15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60∼130 mm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120 mm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패드 장착시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대퇴부에 접촉하기 어려운 폭(패드의 짧은 방향의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30∼8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40∼60 mm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체액 저류 홀(14b)의 형상은 타원형, 장방형, 호리병형 등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지만, 음순과의 형상 적합성을 고려하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세로로 긴 길이의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는 예컨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신체측에 면하는 투수성의 표면측 시트(11)와, 의복측에 면하는 투수성 또는 불투수성의 이면측 시트(12)가, 흡수체(13)를 내포시킨 형태로 접합된, 단일 또는 복수의 흡수 시트체(16)로 구성된다.
표면측 시트(11)와 이면측 시트(1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연부(15)에 있어서 히트 엠보스 가공 및/또는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한 접착에 의해, 흡수체(13)를 내포하는 형태로 접합되어 있다.
표면측 시트(11)와 이면측 시트(12)의 주연부를 접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흡수체(13)가 그 접합 부분에 끼워져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부분에 흡수체(13)가 끼워져 들어간 경우에는 음순간 패드(14)의 주연부(15)가 딱딱하게 되어 버려, 장착시에 이물감이나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일으키게 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흡수체(13)가 상기 접합 부분에 끼워져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미리 일부에 개구부를 남긴 상태로 표면측 시트(11)와 이면측 시트(12)를 접합하여 주머니형으로 하고, 그 주머니형 부분에 흡수체(13)를 채우면 된다. 한편, 흡수체(13)의 치수는 음순간 패드(14)와 동등하여도 좋지만, 상기 접합 부분에 흡수체(13)가 끼워져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음순간 패드(14)의 바깥 윤곽으로부터 2∼10 mm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음순간 패드(14)보다 약간 작게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흡수체(13)는 표면측 시트(11) 및 이면측 시트(12)와 분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양 시트에 대하여 점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패드(14) 사용시(경혈에 의한 습윤시)에는 상기 각 부재의 분리가 생기기 쉬운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 부재를 히트 엠보스 가공에 의해 접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히트 엠보스 가공은 도트형, 혹은 스크린패턴형으로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엠보스 부분의 면적율을 전면적의 3∼20%의 범위로 함으로써, 투수성을 감쇄시키지 않고 사용시(습윤시)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표면측 시트]
투수성의 표면측 시트로서는 직포, 부직포, 혹은 구멍 있는 플라스틱 시트 등의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의 시트형물인 것 중에서, 민감한 음순이나 음순 내벽에 대하여 자극이 적은 유연한 것을 선택하면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카드 방식으로 생성되는 스루 에어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등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류 교락법으로 형성되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는 드레이프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공기압에 의해 용융 수지를 매우 미세한 섬유로 분출하여 시트화한 멜트 블로운 부직포는 가늘고 유연한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시트형물을 구성하는 섬유 재료로서는 천연 섬유, 재생 섬유, 반합성 섬유, 합성 섬유의 어느 것이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천연 섬유의 예로서는 섬유 길이가 5∼25 mm의 범위인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를, 재생 섬유의 예로서는 섬유 길이가 38∼51 mm의 범위이며, 섬도가 1.1∼3.3 dtex의 범위인 재생 셀룰로오스를, 반합성 섬유의 예로서는 반합성 셀룰로오스를, 합성 섬유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섬유는 예컨대, 코어 재료가 PP 내지 PET이고, 시스(sheath)부가 PE인 것과 같은 z코어-시스(core-sheath)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라도 좋다.
상기 섬유 재료 중에서도, 질구로부터 배설되는 경혈을 흡수체로 유도할 수 있는 구조의 섬유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섬유 단면의 형상이 Y형, C형, 기하학형 등의 이형 단면을 갖는 합성 섬유나, 친수성이며 섬유 표면에 다수의 미세한 홈을 갖는 천연 셀룰로오스, 재생 셀룰로오스(비스코스 레이온 등), 반합성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등) 등을 들 수 있다.
표면측 시트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재생 셀룰로오스 40∼90 질량%와,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10∼60 질량%를, 수류 교락법에 의해 단위중량을 20∼50 g/cm2(바람직하게는, 25∼35 g/cm2)의 범위로 조정한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들 수 있다. 또한, 소위 「토우(tow)」(연속되는 섬유 다발을 해섬함으로써 얻어짐)를 50∼200 g/cm2의 범위에서 조정한 것도, 음순에 대한 가요성이 우수한 유연한 시트형물이라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흡수체]
흡수체는 친수성이며 액체(경혈)의 흡수 유지가 가능하면 되며, 부피가 크고, 형태 붕괴가 어렵고,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드가 음순에 걸어 부착되는 것을 고려하면, 유연성이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선택되는, 흡수체를 구성하는 섬유 재료로서는 예컨대, 목재 펄프,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소수성 합성 섬유에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것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에 아크릴산, 아크릴산과 전분의 그라프트 중합물,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폼 형상의 고흡수성 고분자(폼 SAP(Super Absorbent Polymer)) 등의 고분자 흡수재의 입자상 물질, 섬유상 물질, 혹은 합성 섬유(단독 섬유 외에, 코어-시스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도 포함함)를 혼합하더라도 좋다.
상기한 것 외에도, 티슈,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발포 시트,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멜트 블로운 부직포, 친수성 섬유를 주체로 하는 섬유 웹, 섬유 웹을 시트화함으로써 얻어지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 서멀 본드 부직포 등의 부직포 재료, 이미 상술의 「토우」,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합성 고무를 주체로 하는 발포 폼, 셀룰로오스를 주체로 하는 셀룰로오스 스폰지의 시트형물이나 분쇄물은 흡수체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착용중인 음순에의 적합성을 고려하면, 예컨대, 도액관이 형성되어 있는 개공 플라스틱 시트와 스펀레이스 부직포의 라미네이트 시트 또는 그 라미네이트 시트의 분쇄물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수체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섬도 2.2 dtex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를 60∼90 질량%,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를 10∼40 질량%의 비율로 혼합한 섬유 웹을, 수류 교락법에 의해 시트형으로 하여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형성하고, 이것을 단일 또는 여러 장 겹침으로써, 단위중량을 50∼500 g/cm2(바람직하게는, 150∼400 g/cm2)의 범위로 조정한 시트형물을 들 수 있다.
[이면측 시트]
이면측 시트에 사용하는 재료는 투수성의 소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표면측 시트와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패드를 생리용 냅킨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생리용 냅킨 병용용 패드).
또한, 상기 이면측 시트에 불투수성의 소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흡수체에 유지된 경혈이 음순간 패드 밖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불투수성의 소재로서는, 불투수성인 것 외에, 유연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 수지(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를 원료로 하는 필름이나, 합성 고무(예컨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우레탄 등)를 원료로 하는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불투수성 소재는 투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시의 열기감을 저감시킬 수 있어, 장착시에 있어서의 불쾌감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무기 충전제를 혼합하여 연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미세한 셀을 형성하는 소위 투습성 필름,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의 블록 공중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구멍이 없는 투습성 필름, 액체가 새어 나오기 어려운 정도의 통기공을 갖는 구멍 있는 투습 필름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부]
점착부의 배치 양태로는 면형, 도트형, 메쉬형, 줄무늬형 등을 들 수 있다. 점착부의 위치는 신체에 고정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음순 부근, 특히 음순의 앞부분에 있는 음모의 존재를 고려하여, 패드의 양측부 근방에 줄무늬형으로 1∼5 mm 정도의 폭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부」는 표면측 시트에 점착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점착제로서는 수용성 고분자, 가교제, 가소제, 수분으로 이루어지는 겔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고분자의 예로서, 젤라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등이, 가교제의 예로서, 염화칼슘, 황산마그네슘과 같은 수용성 금속염이, 가소제의 예로서, 글리세린, 왁스,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도, 감압성 핫멜트 점착제도 점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감압성 핫멜트 점착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와 같은 합성 고무 수지를 주된 성분으로 하여, 거기에 테르펜 수지, 로진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와 왁스 등의 가소제를 용융 혼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나아가서는, 실리콘 수지계 점착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리콘 수지계 점착제로서는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를 주된 성분으로 하고, 백금, 몰리브덴, 안티몬 등의 금속염 등의 가교제, 에스테르계 왁스, 글리세린, 머신 오일 등의 가소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는 여러 종류 존재하지만, 도포 안정성을 고려하면, 감압성 핫멜트 점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안정성이 높은 감압성 핫멜트 점착제로서는, SEBS를 15∼25 질량%, 가소제를 15∼35 질량%, 점착 부여제를 40∼70 질량%로 용융 혼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감압성 핫멜트 점착제는 산화방지제, 형광방지제 등을 0.1∼1.0 질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더라도 좋다.
이 점착력의 평가 방법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평가 방법은 점착제의 박리 강도(도 23) 및 점착제의 전단 강도(도 24)를 측정하는 것으로, 정속 신장 인장력 시험기 및 길이 80 mm ×폭 50 mm의 스테인레스판(71)을 이용하여 실시한다. 평가 시험을 함에 있어서는 미리, 스테인레스판(71)과 대략 같은 사이즈의 폴리에틸렌 필름(72)에, 점착제(73)를 폭 25 mm, 길이 50 mm가 되도록 도포한 것을 실온하(20℃)에서 30분 방치해 둔다. 다음에, 스테인레스판(71)에 점착제(73)가 접촉하도록 폴리에틸렌 필름(72)을 겹쳐 가볍게 얹고, 30 g/cm2의 압박력으로 롤러를 1회(한쪽으로만) 통과시킨다. 그 후에 실온하(20℃)에 30분 방치하여 시편을 제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작한 시편의 폴리에틸렌 필름(72) 부분을, 박리 강도 시험에 있어서는 도 23에 도시하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잡아당겨 박리하고(180° 박리), 전단 강도 시험에 있어서는 도 24에 도시하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단, 시험 조건은 인장 속도를 100 mm/min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의 측정치는 100∼2000 mN/25 mm, 전단 강도의 측정치는 3000∼15000 mN/2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의 피부에 주는 부담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점착부는, 일반적으로 박리지로서 이용되고 있는 박엽지에 실리콘 수지를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시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에 실리콘 수지를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로 피복해 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관시에 있어서의 점착부의 오염 손상이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B)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한 음순간 패드의 구성]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는 생분해성 소재 및/또는 수분산성 소재 및/또는 수용성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드는 사용후에 그대로 화장실에 탈락시켜 흘릴 수 있기 때문에, 패드의 파기를 간편하고 또한 청결하게 할 수 있어, 화장실 내의 쓰레기의 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생분해성」이란, 방선균을 비롯한 세균, 그 밖의 미생물의 존재하에, 자연계의 프로세스에 따라서, 염기성 또는 호기성 조건하에서 물질이 이산화탄소 또는 메탄 등의 가스, 물 및 바이오매스로 분해되는 것을 말하며, 그 물질의 생분해능(생분해 속도, 생분해도 등)이, 낙엽 등이 자연스럽게 생기는 재료, 혹은 동일 환경하에서 생분해성으로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합성 폴리머에 필적하는 것을 말한다. 「수분산성」이란, 수해성과 동일한 의미로서, 사용시의 한정된 양의 수분(경혈)에서는 영향은 없지만, 다량의 물 또는 수류 중에서는 섬유끼리가, 적어도 일반적인 화장실 배관을 막히게 하는 일이 없을 정도의 작은 단편으로 용이하게 분산되는 성질인 것을 말한다. 「수용성」이란, 사용시의 한정된 양의 수분(경혈)에서는 영향은 없지만, 다량의 물 또는 수류 중에서는 용해되는 성질인 것을 말한다.
[표면측 시트]
투수성의 표면측 시트의 소재로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의 어느 것이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천연 섬유의 예로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이들을 수용성 수지에 의해 화학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 레이드 펄프 등을 들 수 있다. 화학 섬유의 예로서는, 레이온, 피브릴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PE, PP, PET, 에틸렌 아세테이트 비닐 공중합체 등의 화학 섬유에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것 외에, 소위 생분해성 섬유인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용성을 갖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 등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상기한 소재 중에서도, 펄프나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폴리젖산 등의 소위 생분해성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소재는 단독 혹은 혼합하여, 웹 또는 부직포로 성형하여 이용할 수 있다. 폴리젖산이나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의 소위 생분해성 섬유의 웹 포밍은 카드법, 스펀 본드법, 멜트 블로운 법 또는 에어 레이드 법에 의한 건식법이나 습식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실시하거나, 또는 이들을 복수 조합하여 실시하더라도 좋다. 본딩의 방법으로서는, 서멀 본딩, 니들 펀치, 케미컬 본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이들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류 교락법에 의해 시트형으로 형성한 스펀 레이스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수분산성을 부여하는 성형 방법의 예로서, 섬유끼리의 수소 결합에 의해 섬유를 시트형으로 성형하여 수해지(hydrolyzate paper)로 하는 방법, 수용성의 바인더에 의해 섬유끼리를 결합시켜, 시트형으로 성형하여 수해지로 하는 방법, 혹은 섬유를 체결시켜 시트형으로 성형하여 수해지로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양호한 수분산 성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섬유 길이를 2∼51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10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욱이, 수분산성과 사용시에 파손을 생기는 일이 없는 강도를 함께 갖게 하기 위해서, 섬도(굵기)는 1.1∼4.4 dtex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섬유로서 레이온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섬도를 1.1∼3.3 dtex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수분산성은 양호해지지만, 건조시에 있어서 보풀 형성, 보풀 빠짐이 발생하기 쉽고, 한편, 이 범위를 넘은 경우에는 수분산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표면측 시트의 단위중량은 20∼60 g/m2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측 시트의 파단 강도(잡는 간격 100 mm, 인장 속도 100 mm/분으로 정속 신장한 경우의 파단 강도)는 종횡 모두 적어도 800 mN/25 mm일 필요가 있으며, 장착시의 유연성을 고려하면 1000∼7000 mN/25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측 시트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예컨대, 1.1∼4.4 dtex에서 5∼10 mm 길이의 레이온 섬유와 목재 펄프를 90:10∼70:30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단위중량을 25∼40 g/m2, 두께를 0.2∼0.5 mm로 조정한 습식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표면측 시트에는 경혈의 투과성(투수성)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거나, 혹은 경혈이 투과하기 쉬운 이미지를 부여하기 위해서 복수의 구멍을 뚫어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멍 지름을 0.5∼1.5 mm의 범위로, 구멍부 면적율(전면적에 대한 개공율)을 3∼20%의 범위로 형성하면 좋다.
[흡수체]
흡수체의 소재로서는 투수성의 표면측 시트와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알긴산나트륨,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흡수재나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상 물질 또는 섬유상 물질을 단독 혹은 상기한 소재와 혼합하여, 이것을 성형한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수체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예컨대, 목재 펄프를 단위중량 150∼500 g/m2로 적층하여 티슈에 봉입하고, 이것을 프레스 장치로 두께 2∼10 mm로 조정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전분 등의 흡수재를 5∼30 g/m2의 비율로 상기 흡수체에 혼입시킴으로써, 경혈의 흡수나 유지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면측 시트]
불투수성의 이면측 시트의 소재로서는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비닐알콜, 알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이소부틸렌과 무수말레산과의 공중합체와 같은 수용성 고분자, 혹은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전분, 덱스트린 등의 생분해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상기한 소재는 단독 혹은 상기한 소재와 혼합하여 멜트 블로운 부직포나 필름시트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름 시트에 실리콘 수지 등의 발수성 소재를 도포하거나, 혹은 혼합시키더라도 좋으며, 또한, 상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에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한 것이라도 좋다.
불투수성의 이면측 시트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콜을 단위중량 20∼50 g/m2로 조정한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보다 적합하게는 양면에, 실리콘 수지 또는 불소 수지를 두께 0.5∼5 μm로 도포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미니 시트 조각]
미니 시트 조각으로서는, 폴리비닐알콜로 이루어지는 필름, 혹은 폴리비닐알콜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티슈와의 라미네이트재 등을 들 수 있다.
[접합 방법]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접합 방법으로서는,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을 갖는 폴리비닐알콜 등에 의한 접착, 히트 시일 혹은 수소 결합에 의한 접합 등의 접합 방법을 단독 혹은 적절하게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는 그 중앙부 근방에 체액 저류 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액 저류 홀을 흡수 시트체로 구성하여 흡수능을 갖게 함으로써, 음순간 패드의 흡수 유지 능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액 저류 홀 안으로 경혈 등의 체액을 유도함으로써, 체액이 신체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한 한 방지되어, 이로써, 음순간 패드가 원래 갖고 있는 청결적 성능도 높아지게 된다.
(1) 신체측에 면하는 투수성의 표면측 시트와 의복측에 면하는 투수성 또는 불투수성의 이면측 시트가,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내포시킨 형태로 접합된 흡수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음순에 걸어 부착시켜 이용되는 음순간 패드로서, 의복측을 바닥부로 하는 바닥 있는 홀로서, 그 개구부의 크기가 1쌍의 소음순을 바깥쪽에서 씌워 싸는 식으로 끼워 맞출 수 있는 크기인 체액 저류 홀을, 중앙부 근방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중앙부 근방에 형성된 체액 저류 홀의 개구부에, 1쌍의 소음순을 끼워 맞추는 식으로 착용된다. 이와 같이 착용되면, 질구로부터 배설된 체액(특히 경혈)은 체액 저류 홀으로 신속히 유도되어, 일단 저류된다. 그리고, 저류된 경혈은 체액 저류 홀을 구성하는 흡수 시트체 내부의 흡수체에 의해서 흡수된다. 상기 음순간 패드는 체액 저류 홀이라는 오목부를 설치함으로써, 음순 사이에 끼우는 부분의 부피를 늘리지 않고서, 패드 전체적으로 흡수체의 부피 및 표면적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음순간 패드의 흡수 유지 능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경혈은 오로지 체액 저류 홀의 내부에서 저류·흡수되기 때문에, 종래의 냅킨과 같이 음순과 경혈이 장시간 접촉하는 일이 없고, 경혈이 전정부에서 둔부에 이르기까지의 넓은 범위에 부착되어 버린다는 일도 없다. 따라서, 음순간 패드가 원래 갖고 있는 청결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다 흡수되지 못한 경혈이 음순간 패드의 표면을 타고 흘러 버려, 가로로 샌다고 하는 일도 없어진다.
(2) 상기 체액 저류 홀이 상기 음순간 패드의 의복측으로 팽출된 것으로 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액 저류 홀(44b)이 음순간 패드(44)의 의복측으로 팽출된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양의 경혈을 저류할 수 있는 용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체액 저류 홀(44b)에 저류되어, 거기서 흡수되는 체액(특히 경혈)과 음순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생기기 때문에, 경혈과 음순이 접촉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피부가 더러워지기 어렵고, 피부 거칠음을 저감시킬 수 있어, 음순간 패드가 원래 갖고 있는 청결적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3) 상기 체액 저류 홀이, 상기 음순간 패드의 중앙부가 함몰되도록 부형된 것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음순간 패드의 의복측으로 팽출된 것」의 예로서는,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의 중앙부가 함몰되도록 부형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체액 저류 홀(44b)이 흡수 시트체(46)의 함몰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단일의 흡수 시트체(46)에 의해서 대략 평탄 영역(44a)과, 체액 저류 홀(44b)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액 저류 홀(44)의 개구부 근방으로 배출된 체액(특히 경혈)도 그 일체적으로 형성된 흡수 시트체(46)의 표면측 시트(41)를 타고 체액 저류 홀(44b)으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이 과정에서, 경혈은 흡수 시트체(46) 내부의 흡수체(43)에 흡수되기 때문에, 경혈이 패드의 외부로 새어 나오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형태의 패드는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측 시트(41), 흡수체(43), 이면측 시트(42)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흡수 시트체(46)를, 가열한 볼록 금형(50)과, 오목 금형(51) 사이에서 협지하여 가압하는 방법에 의해 비교적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4) 상기 음순간 패드가, 1쌍의 소음순을 바깥쪽에서 씌워 싸는 식으로 끼워 맞출 수 있는 크기의 관통 구멍을 중앙부 근방에 갖는 시트형의 제1 흡수 시트체와, 상기 체액 저류 홀 부분을 구성하는 주머니형의 제2 흡수 시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흡수 시트체의 의복측 표면과, 상기 제2 흡수 시트체의 주머니체 내측 표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점착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음순간 패드의 의복측으로 팽출된 것」은,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은 단일의 흡수 시트체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 복수의 흡수 시트체로 형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을 중앙부 근방에 갖는 시트형의 제1 흡수 시트체(46a)와, 체액 저류 홀(44b) 부분을 구성하는 주머니형의 제2 흡수 시트체(46b)로 이루어지며, 제1 흡수 시트체(46a)의 의복측 표면과, 제2 흡수 시트체(46b)의 주머니체 내측 표면이 접촉한 상태로 점착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매우 간편히 제조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5) 1쌍의 소음순을 바깥쪽에서 씌워 싸는 식으로 끼워 맞출 수 있는 크기의 관통 구멍을 중앙부 근방에 갖는 시트형의 제1 흡수 시트체를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절곡시키고,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절곡된 시트형의 제2 흡수 시트체에 의해서, 상기 절곡된 제1 흡수 시트체의 관통 구멍 부분을 봉하여 막도록, 상기 제1 흡수 시트체를 사이에 끼워 붙이고, 상기 제1 흡수 시트체 표면의 상기 관통 구멍 외주측과 상기 제2 흡수 시트체 표면과의 접촉면과, 상기 제2 흡수 시트체 표면끼리의 접촉면을 점착하여 체액 저류 홀이 되는 주머니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4)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의 제조 방법.
상기 (4)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는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매우 간편히 제조할 수 있다. 우선, 1쌍의 소음순을 바깥쪽에서 씌워 싸는 식으로 끼워 맞출 수 있는 크기의 관통 구멍을 중앙부 근방에 갖는 시트형의 제1 흡수 시트체를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절곡한다. 이 관통 구멍이 후에 체액 저류 홀의 개구부가 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절곡된 시트형의 제2 흡수 시트체(46b)에 의해서, 절곡된 제1 흡수 시트체(46a)의 관통 구멍 부분(46c)을 봉하여 막도록, 제1 흡수 시트체(46a)를 사이에 끼워 붙인다.
더욱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흡수 시트체(46a) 표면의 관통 구멍(46c)의 외주측과 제2 흡수 시트체(46b) 표면과의 접촉면(46d)과, 제2 흡수 시트체(46b) 표면끼리의 접촉면(46e)을 접착제 등에 의해 점착한다. 마지막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흡수 시트체(46a)를 화살표 방향으로 개방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체액 저류 홀(44b)이 되는 주머니부를 갖는 음순간 패드(44)를 얻을 수 있다. 이 음순간 패드(44)는 원하는 형상으로 컷트한 상태에서 제품으로 하여도 좋다.
(6) 상기 체약 저류 홀이 상기 흡수 시트체가 접어 들어간 굴곡부(tucking portion)를 갖고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상기 음순간 패드는, 패드의 사용전에 있어서는 접어 포개 둘 수 있어, 수납 용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가지고 다니기가 용이한 데에 더하여, 사용시에는 접어 포개어진 패드를 펼침으로써 매우 용이하게 체액 저류 홀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 취급이 간편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7) 상기 굴곡부가 상기 체액 저류 홀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6)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상기 굴곡부는 체액 저류 홀을 구성하는 흡수 시트체의 어느 쪽의 부분에 형성하더라도 좋지만, 예컨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액 저류 홀(44b)의 측벽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음순간 패드(44)는 굴곡부(47)를 접어 포갠 상태로 함으로써,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패드 사용시에 있어서의 체액 저류 홀을 크게 구성한 경우라도, 부풀지 않는 상태로 포장 용기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패드의 체액(특히 경혈) 흡수 능력(흡수량, 흡수 속도)의 향상과, 운반이나 취급 등의 편리성의 향상에 이바지한다.
(8) 상기 굴곡부가 상기 체액 저류 홀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6) 또는 (7)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상기 굴곡부는 체액 저류 홀의 측벽 외에, 예컨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액 저류 홀(44b)의 바닥부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즉, 굴곡부는 체액 저류 홀의 측벽과 바닥부의 쌍방에, 혹은 바닥부에만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44)는 체액 저류 홀(44b)의 바닥부에 굴곡부(47)가 형성되어, 체액 저류 홀(44b)의 바닥부가 체액 저류 홀(44b)의 개구부 방향으로 향해서 융기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구조도 상기 (7)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와 마찬가지로, 패드의 체액(특히 경혈) 흡수 능력의 향상과, 운반이나 취급 등의 편리성의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즉, 굴곡부(47)의 형성에 의해서, 체액 저류 홀(44b)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표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44)의 경혈 흡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전에 있어서는 음순간 패드(44)를 컴팩트하게 접어 포개 수납할 수 있으므로, 매우 수납성이 좋고, 착용자에게 있어서 운반도 편리한 것으로 된다. 또한, 접어 포개진 음순간 패드(44)를 펼치는 것만으로 즉시 체액 저류 홀(44b)이 형성되기 때문에, 취급도 매우 간편하다. 한편, 도 15는 2장의 흡수 시트체(46a, 46b)에 의해 음순간 패드(44)를 구성한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9) 상기 체액 저류 홀의 측벽 및 바닥부의 한 쪽 또는 양쪽에, 상기 굴곡부가 복수 형성된 주름형상부(bellows portion)를 갖추고 있는 상기 (6)∼(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상기한 굴곡부는 단수뿐만 아니라, 측벽 및 바닥부의 각각에 복수 형성하여 주름형상 형태로 하여도 좋다. 예컨대, 도 16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44)는 체액 저류 홀(44b)의 측벽부에만 복수의 굴곡부(47)가 형성된 주름형상부(48)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체액 저류 홀(44b)에 주름형상부(48)가 형성되어 있으면, 굴곡부(47)를 하나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운반이나 취급 등의 편리성을 유지한 채로, 체액 저류 홀의 표면적을 현지히 증가시킬 수 있어, 패드의 체액(특히 경혈) 흡수 능력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주름형상부는 체액 저류 홀의 측벽 및 바닥부의 한 쪽 또는 양쪽에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 및 바닥부의 양쪽에 주름형상부(48)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상기 체액 저류 홀의 최대 깊이가 10 mm에서 60 mm의 범위인 상기 (1)에서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이, 체액 저류 홀은 패드의 의복측으로 팽출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음순에서 속옷에 이르기까지의 공간에 존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혈의 흡수 능력도 고려한 다음에 그 최대 깊이를 결정하면 좋다. 상기 관점으로 보아, 최대 깊이는 10∼6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5∼50 mm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며, 20∼40 mm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최대 깊이를 이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체액 저류 홀에서의 흡수 능력을 향상시키면서, 음순과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하여 음순과 패드의 접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패드와 의복(속옷)과의 접촉 면적을 적게 할 수 있어, 착용시의 위화감을 저감시키는 데에 이바지한다.
(11) 상기 음순간 패드의 신체측의 표면에, 상기 체액 저류 홀의 개구부 외주를 포위하는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상기 (1)에서 (10)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예컨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44)의 신체측 표면에 점착부(49)를 형성함으로써, 음순간 패드(44)를 음순 사이 혹은 외음부에, 보다 강고히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착용자의 급격한 자세 변화에 의해서 음순간 패드(44)와 신체 사이에 공극이 생기거나, 음순간 패드(44)가 위치가 어긋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순간 패드(44)의 탈락 위험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경혈을 보다 확실하게 체액 저류 홀(44b)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착용자는 그 행동을 제한 받는 일 없이, 안심하고 자유로운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12) 상기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용의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서 (11)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 대책용의 흡수 패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경혈을 배출하는 질구와 소변을 배출하는 요도구는 모두 음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혈뿐만 아니라 소변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변을 음순 사이, 특히 요도구 부근에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요실금, 특히 가벼운 정도의 요실금에 대하여 유효한 흡수 패드를 얻을 수 있다.
(13)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분비물 흡수용의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서 (11)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분비물 흡수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음순 사이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므로, 질구로부터의 배출물이라면 경혈 이외의 분비물(질분비물)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그를 위한 용도(질분비물 흡수용)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4) 생리용 냅킨과 병용되는 생리용 냅킨 병용용 음순간 패드인 상기 (1)에서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생리용 냅킨(이하, 단순히 「냅킨」이라고 함)의 이용자 중에는 경혈의 양이 많을 때는 몇 장이나 겹쳐 사용한다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거친 감촉 등, 장착감이 나쁘고, 의복의 외부에서 패드의 존재를 알아챈다(눈에 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질 근방 이외의 겹침 사용이 불필요한 부분에까지 냅킨이 겹쳐 버리기 때문에, 접촉성 피부염이나 열기감의 원인으로도 되고 있었다. 그러나, 패드와 냅킨을 병용함으로써, 질 근방에만 생리용품이 겹치게 되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냅킨을 교환하지 않고서, 패드만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는 눈에 띄기 쉬운 크기의 냅킨을 갖고 다니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15) 상기 (1)에서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의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음순간 패드를 개별 포장하면, 패드를 하나씩(개별 포장마다) 가지고 다니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형태는 복수의 패드를 하나의 포장 용기 내에 내포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패드를 청결하게 유지하면서, 가지고 다니기가 용이하게 되어, 간편한 취급에 도움이 된다.
(16) 상기 음순간 패드가, 그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의복측 방향으로 향해서 산 모양으로 꺾이는 형상이 되도록, 상기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상기 (15)에 기재한 포장체.
「의복측 방향으로 향해서 산 모양으로 꺾이는 형상이 되도록」이란, 의복측을 볼록으로 하여 완전히 절곡되어 있는 경우 외에,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복측을 볼록으로 하여 만곡시켜져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음순간 패드(44)를 포장 용기(61) 내에 내포한 포장체(62)는 포장 용기(61)의 개봉시에 접어 포개어진 체액 저류 홀(44b)이 자연스럽게 개방되기 때문에 착용자는 패드의 장착을 한층 더 신속하고 또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17) 상기 (6)에서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의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포장체로서, 상기 음순간 패드가, 상기 측벽에 있어서의 굴곡부 또는 주름형상부가 접어져 들어가 수용되어 있고, 또한, 적어도 상기 바닥부가 상기 포장 용기의 내벽에 가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그 포장 용기의 개봉에 따라 상기 측벽에 있어서의 굴곡부 또는 주름형상부가 넓어져 상기 체액 저류 홀이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상기한 포장체로서는 예컨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액 저류 홀(44b)의 측벽에 주름형상부(48)가 형성된 음순간 패드(44)를 포장 용기(61)에 내포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62)를 들 수 있다. 이 포장체(62)에 있어서는, 음순간 패드(44)는 주름형상부(48)가 접어 겹쳐진 상태로 수용되고, 적어도 체액 저류 홀(44b)의 바닥부는 포장 용기(61)의 내벽에 감압성 핫멜트 점착제 등의 점착제에 의해서 가고정되어 있다.
이 포장 용기(61)는 상면 시트(61a)와, 하면 시트(61b)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순간 패드(44)를 위아래에서 끼워 넣는 식으로 포장하고 있다. 이러한 포장체(62)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하면 시트(61b)를 상면 시트(61a)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떼어내는 식으로 하여 포장 용기(61)를 개봉함으로써, 체액 저류 홀(44b)의 측벽에 있어서의 주름형상부(48)가 넓어져 체액 저류 홀(44b)이 형성된다. 따라서, 체액 저류 홀(67)의 표면적이 큰 음순간 패드(44)라도, 컴팩트하게 접어 포개어 내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포장 용기(61)를 개봉하는 일련의 작업 중에서 체액 저류 홀(44b)을 용이하고 또 신속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는, 패드의 중앙부 근방에 체액 저류 홀을 구비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가 원래 갖고 있는 청결적 성능을 유지하면서, 가로 샘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그 흡수 유지 능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체는, 음순간 패드의 굴곡부 또는 주름형상부가 접어 들어가 수용되어 있고, 또한, 적어도 체액 저류 홀의 바닥부가 포장 용기의 내벽에 가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 용기의 개봉에 따라 굴곡부 또는 주름형상부가 넓어져 체액 저류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음순간 패드를 컴팩트하게 수납하고, 또한, 그 기능을 즉시 발휘할 수 있도록 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7)

  1. 신체측에 면하는 투수성의 표면측 시트와 의복측에 면하는 투수성 또는 불투수성의 이면측 시트가,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내포시킨 형태로 접합된 흡수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음순에 걸어 부착시켜 이용되는 음순간 패드로서,
    의복측을 바닥부로 하는 바닥 있는 구멍이며, 그 개구부의 크기가 1쌍의 소음순을 바깥쪽에서 씌워 싸는 식으로 끼워 맞출 수 있는 크기인 체액 저류 홀을, 중앙부 근방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저류 홀이, 상기 음순간 패드의 의복측으로 팽출된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저류 홀이, 상기 음순간 패드의 중앙부가 함몰되도록 부형된 것인 음순간 패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가, 1쌍의 소음순을 바깥쪽에서 씌워 싸는 식으로 끼워 맞출 수 있는 크기의 관통 구멍을 중앙부 근방에 갖는 시트형의 제1 흡수 시트체와, 상기 체액 저류 홀의 부분을 구성하는 주머니형의 제2 흡수 시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흡수 시트체의 의복측 표면과, 상기 제2 흡수 시트체의 주머니체 내측 표면이 접촉한 상태로 점착되어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5. 1쌍의 소음순을 바깥쪽에서 씌워 싸는 식으로 끼워 맞출 수 있는 크기의 관통 구멍을 중앙부 근방에 갖는 시트형의 제1 흡수 시트체를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절곡시키고,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절곡된 시트형의 제2 흡수 시트체에 의해서, 상기 절곡된 제1 흡수 시트체의 관통 구멍 부분을 봉하여 막도록 상기 제1 흡수 시트체를 사이에 끼워 붙이고,
    상기 제1 흡수 시트체 표면의 상기 관통 구멍 외주측과 상기 제2 흡수 시트체 표면과의 접촉면과, 상기 제2 흡수 시트체 표면끼리의 접촉면을 점착하여 체액 저류 홀이 되는 주머니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제4항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의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저류 홀이, 상기 흡수 시트체가 접어져 들어간 굴곡부를 갖고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가 상기 체액 저류 홀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가 상기 체액 저류 홀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9. 제6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저류 홀의 측벽 및 바닥부의 한쪽 또는 양쪽에, 상기 굴곡부가 복수 형성된 주름형상부를 갖추고 있는 음순간 패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저류 홀의 최대 깊이가 10 mm에서 60 mm의 범위인 음순간 패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의 신체측의 표면에, 상기 체액 저류 홀의 개구부 외주를 포위하는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용의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분비물 흡수용의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과 병용되는 생리용 냅킨 병용용 음순간 패드인 음순간 패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의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가, 그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의복측 방향으로 향해서 산꺾임 형상으로 되도록, 상기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것인 포장체.
  17. 제6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의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포장체로서,
    상기 음순간 패드가, 상기 측벽에 있어서서의 굴곡부 또는 주름형상부가 접어져 들어가 수용되어 있고, 또한, 적어도 상기 바닥부가 상기 포장 용기의 내벽에 가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그 포장 용기의 개봉에 따라 상기 측벽에 있어서의 굴곡부 또는 주름형상부가 넓어져 상기 체액 저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KR1020057007839A 2002-11-18 2002-11-18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KR100923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7839A KR100923940B1 (ko) 2002-11-18 2002-11-18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7839A KR100923940B1 (ko) 2002-11-18 2002-11-18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381A true KR20050090381A (ko) 2005-09-13
KR100923940B1 KR100923940B1 (ko) 2009-10-29

Family

ID=3727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839A KR100923940B1 (ko) 2002-11-18 2002-11-18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27U (ko) *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보람씨앤에치 개선된 흡수성 물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3030A (en) * 1995-06-28 1997-12-02 Lee, Lee & Beal, Inc. Catheter and method of introduction
US5964689A (en) * 1996-08-30 1999-10-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with a central groove
US5968026A (en) * 1996-08-30 1999-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US6131736A (en) 1999-06-28 2000-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ing device for an interlabial absorbent art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27U (ko) *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보람씨앤에치 개선된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940B1 (ko)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365B1 (ko) 손가락 확보를 위한 형태를 구비하는 음순간 제품 및 개별 포장체
KR100801943B1 (ko) 음순간 패드
KR100948897B1 (ko) 흡수성 물품
JP4178040B2 (ja) 陰唇間パッド
KR20040000493A (ko) 음순간 패드 개별 포장체
JP4178043B2 (ja) 陰唇間パッド
JP4230782B2 (ja) 個別包装体およびその外装容器
JP4230780B2 (ja) 陰唇間パッド
KR100797492B1 (ko)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KR20040000497A (ko) 음순간 패드
WO2004024050A1 (ja) 陰唇間パッド
US20060089613A1 (en) Inter-labium pudenda pad and package body for the pad
JP4632597B2 (ja) 陰唇間パッド、包装体及び陰唇間パッドの製造方法
JP4178042B2 (ja) 陰唇間パッド
JP4178038B2 (ja) 陰唇間パッド及びその包装体
JP4599005B2 (ja) 生理用ナプキン
KR100923940B1 (ko)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TWI227129B (en) Inter-labium pad and its package
TW200408376A (en)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