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934A - 철근 결속용 공구 - Google Patents

철근 결속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934A
KR20050088934A KR1020050017991A KR20050017991A KR20050088934A KR 20050088934 A KR20050088934 A KR 20050088934A KR 1020050017991 A KR1020050017991 A KR 1020050017991A KR 20050017991 A KR20050017991 A KR 20050017991A KR 20050088934 A KR20050088934 A KR 20050088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member
clip
handle
pai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595B1 (ko
Inventor
연태현
Original Assignee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17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5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88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양단이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 클립을 이용하여 교차된 철근들을 신속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철근 결속용 공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용 공구는 물림부 및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힌지축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선회되어 통상의 플라이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클램핑부재에 있어서, 보조클램핑부재를 더 포함한다. 보조클램핑부재는 클램핑부재와 마찬가지로 한 쌍이 구비되며 클램핑부재에 내설된다. 이러한 보조클램핑부재는 힌지축에 의해 서로 마주보며 선회되고 물림부측에는 끝단이 물림부의 중앙부 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조임부가 형성되고 손잡이부측에는 누름부가 형성된다. 한편, 손잡이부와 누름부의 끝단부에는 각각 제 1 압축스프링과 제 2 압축스프링이 장착된다.

Description

철근 결속용 공구{Tool for binding of rainforcing rod}
본 발명은 철근 결속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단이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 클립을 이용하여 교차된 철근들을 신속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철근 결속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철근 배근공정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에서 중요한 작업공정으로 인식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철근 배근공정을 수행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공사 현장에서는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속선(2)을 매개수단으로 하여 일렬 또는 교차되게 철근(1) 상호간을 결속시켜서 이음 연결하여 왔다.
이와 같은 결속선(2)으로 철근(1)들을 서로 결속시킬 때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세이(3)를 사용한다. 이러한 반세이(3)는 전체적으로 바아 형상을 가지면서 일단에는 결속선(2)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4)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결속부(4)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휘어지게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반세이(3)는 결속선(2)으로서 철근(1)을 서로 결속시키는 과정에서 반세이(3)를 사용하게 되는 만큼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었으며, 반세이(3)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숙련공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철근(1)을 결속시킨 상태와 작업능률의 변화가 심하여 결속작업의 균일화를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작업자가 강성의 결속선(2)을 감아돌릴 때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작업전에 미리 결속선(2)을 부드럽게 열처리하여 사용하게 되어, 철근(1) 결속작업시에 결속선(2)이 쉽게 끊어지거나, 늘어나서 철근(1)들을 결속한 상태가 매우 불량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출원한 철근 결속용 클립(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14085호)가 개시된 바 있다. 클립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선으로 제작되고 방사상 하부가 개방된 타원형상을 가지는 몸체(12)와, 몸체(12)의 일단에서 몸체(12)의 내측으로 만곡된 고리형상을 가지는 제 1 고리(14)와, 몸체(12)의 타단에서 몸체(12)의 외부측으로 만곡되어 제 1 고리(14)에 체결되는 제 2 고리(16)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클립(10)은 철근(1)에 몸체(12)를 끼운 후 제 1 고리(14) 및 제 2 고리(16)를 체결시키고 몸체(12)를 철근(1)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전문기능공이 아니어도 누구나 쉽게 교차하는 철근(1)을 고정시킬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공사비의 절감 및 시공능률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처럼 사용하기 편리한 클립을 서로 체결하기 위한 공구가 마련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림부 및 손잡이부를 갖는 클램핑부재와, 조임부 및 누름부를 가지면서 클램핑부재에 내장되는 보조클램핑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물림부가 클립을 죄어 서로 교차된 철근을 묶어주고 다시 클립의 중앙부를 조임부가 죄어 클립을 철근에 밀착시켜 보다 확실하게 철근을 결속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손쉽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는 철근 결속용 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와이어로 제작된 몸체의 양단에 서로 체결되도록 제 1 고리 및 제 2 고리가 형성된 클립을 이용하여 두 철근을 결속시키기 위해 물림부 및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힌지축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선회되어 통상의 플라이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클램핑부재에 있어서,
클램핑부재에는 물림부의 중앙에서부터 손잡이부의 중앙까지 횡방향으로 관통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물림부의 앞쪽 내주면상에는 클립을 끼워 제 1 고리 및 제 2 고리를 체결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물림홈이 형성되며, 장착홈에는 클램핑부재와 마찬가지로 한 쌍이 구비되어 힌지축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선회되고 물림부측에는 클립의 중앙부를 측면에서 눌러주기 위해 끝단이 물림부의 중심 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조임부가 형성되고 손잡이부측에는 조임부를 오므리기 위한 누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클램핑부재가 내설되는 철근 결속용 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결속용 공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용 공구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 및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용 공구(100)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겹쳐져서 전방에는 물림부(112)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손잡이부(114)가 형성된 통상의 플라이어 형상을 갖는 클램핑부재(110)에 있어서, 보조클램핑부재(2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클램핑부재(110)는 중앙부에 힌지축(116)이 체결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선회된다. 이러한 클램핑부재(110)에는 물림부(112)의 중앙에서부터 손잡이부(114)의 중앙까지 횡방향으로 관통되는 장착홈(118)이 형성되고 물림부(112)의 앞쪽 내주면상에는 길이방향으로 물림홈(12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물림홈(120)은 도 2에 도시된 클립(10)의 몸체(12)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손잡이부(114)의 끝단부에는 손잡이부(114)를 완력하였을 때 리턴되도록 제 1 압축스프링(122)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클램핑부재(110)에는 보조클램핑부재(200)가 내설된다.
보조클램핑부재(200)는 클램핑부재(110)와 마찬가지로 한 쌍이 구비되며 클램핑부재(110)의 장착홈(118)에 서로 겹쳐지도록 내설되어 동일한 힌지축(116)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선회된다. 이러한 보조클램핑부재(200)는 전방에는 조임부(210)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누름부(220)가 형성된다. 즉, 조임부(210)는 물림부(112) 내에 한정되며 누름부(220)는 손잡이부(114) 내에 한정된다. 이때, 조임부(210)의 끝단은 물림부(112)의 중심을 향하도록 굴곡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누름부(220)의 끝단부에는 완력되었을 때 리턴되도록 제 2 압축스프링(230)이 장착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철근 결속용 공구(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용 공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물림부(112)의 내측에 클립(10)을 끼운다. 이때, 클립(10)은 물림부(112)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물림홈(120)에 몸체(12)가 끼워지게 하며 제 1 고리(14) 및 제 2 고리(16)가 물림부(112)의 개방된 외측으로 돌출되게 끼워야 한다. 이처럼 물림부(112)에 클립(10)이 끼워지면 철근(1)의 결합부위에 공구(100)를 넣어 클립(10)이 두 철근(1)을 감싸도록 한다. 두 철근(1)을 감싼면 손으로 손잡이부(114)를 힘껏 움켜쥐어 물림부(112)가 서로 마주보도록 선회시켜서 클립(10)의 제 1 고리(114) 및 제 2 고리(116)를 서로 체결시킨다.
이처럼 클립(10)의 제 1 고리(114) 및 제 2 고리(116)가 서로 체결되었다 하더라도 두 철근(1)의 접합부분에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누름부(220)를 움켜쥐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임부(210)가 서로 마주보도록 선회되면서 클립(10)의 중앙부분을 철근(1)의 접합부분으로 구부러트려 클립(10)이 두 철근(1)에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손을 놓게 되면 손잡이부(114) 및 누름부(220)는 각각의 끝단부에 장착된 제 1 압축스프링(122) 및 제 2 압축스프링(230)에 의해 처음의 위치로 리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용 공구는 물림부가 클립을 죄어 서로 교차된 철근을 묶어주고 다시 클립의 중앙부를 조임부가 죄어 클립을 철근에 밀착시킴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철근을 결속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인건비가 절감되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철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결속선을 묶기 위한 종래기술의 철근 결속용 공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철근들을 결합하기 위하여 발명된 클립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용 공구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용 공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철근 결속용 공구 110 : 클램핑부재
112 : 물림부 114 : 손잡이부
116 : 힌지 118 : 장착홈
120 : 물림홈 122 : 제 1 압축스프링
200 : 보조클램핑부재 210 : 조임부
220 : 누름부 230 : 제 2 압축스프링

Claims (2)

  1. 와이어로 제작된 몸체(12)의 양단에 서로 체결되도록 제 1 고리(14) 및 제 2 고리(16)가 형성된 클립(10)을 이용하여 두 철근을 결속시키기 위해 물림부(112) 및 손잡이부(114)가 형성되며 힌지축(116)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선회되어 통상의 플라이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클램핑부재(110)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110)에는 상기 물림부(112)의 중앙에서부터 상기 손잡이부(114)의 중앙까지 횡방향으로 관통되는 장착홈(118)이 형성되고 상기 물림부(112)의 앞쪽 내주면상에는 상기 클립(10)을 끼워 상기 제 1 고리(14) 및 상기 제 2 고리(16)를 체결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물림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118)에는 상기 클램핑부재(110)와 마찬가지로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116)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선회되고 상기 물림부(112)측에는 상기 클립(10)의 중앙부를 측면에서 눌러주기 위해 끝단이 상기 물림부(112)의 중심 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조임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14)측에는 상기 조임부(210)를 오므리기 위한 누름부(220)가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클램핑부재(200)가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용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4)의 끝단부 및 상기 누름부(220)의 끝단부에는 제 1 압축스프링(122) 및 제 2 압축스프링(23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용 공구.
KR1020050017991A 2005-03-04 2005-03-04 철근 결속용 공구 KR100555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991A KR100555595B1 (ko) 2005-03-04 2005-03-04 철근 결속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991A KR100555595B1 (ko) 2005-03-04 2005-03-04 철근 결속용 공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645U Division KR200352994Y1 (ko) 2004-03-29 2004-03-29 철근 결속용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934A true KR20050088934A (ko) 2005-09-07
KR100555595B1 KR100555595B1 (ko) 2006-03-03

Family

ID=3727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991A KR100555595B1 (ko) 2005-03-04 2005-03-04 철근 결속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3065A (zh) * 2014-07-21 2016-02-10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卡线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3065A (zh) * 2014-07-21 2016-02-10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卡线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595B1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8452B1 (en) Method for fastening reinforcement steel bars
KR101637031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장치
US20070163669A1 (en) Wire tying implement
KR100555595B1 (ko) 철근 결속용 공구
US4951363A (en) Hose clamp
KR200352994Y1 (ko) 철근 결속용 공구
US1553110A (en) Tightening and fastening tool
US6327945B1 (en) Fastener clip, pliers and method of use
KR200431816Y1 (ko) 다발철근용 커플러
KR200207470Y1 (ko) 건축용 전선관 고정클립
KR100858056B1 (ko) 다발철근용 커플러
KR20040028859A (ko) 철근결속용 집게스테이플
KR200314085Y1 (ko) 철근 결속용 클립
JPH085215Y2 (ja) 鉄筋結束具
AU2013101146A4 (en) Improvements in fencing
KR200262338Y1 (ko) 철근 결속구
KR20010001355U (ko) 철근 결속용 클램프
JP3220428U (ja) 鉄筋の固定金具及び固定構造
JP3215365U (ja) 棒状物の結束用固定具
KR200392032Y1 (ko) 철근 연결장치
KR200361102Y1 (ko) 철근 연결장치
JPH11336258A (ja) 略直角交差部の棒状体結束具
JPH08170406A (ja) 鉄筋クリップ
JP3204746U (ja) 結束タッカー
JPH0734992Y2 (ja) 鉄筋締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