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568A - 에이취아이브이 감염환자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이취아이브이 감염환자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568A
KR20050087568A KR1020040013453A KR20040013453A KR20050087568A KR 20050087568 A KR20050087568 A KR 20050087568A KR 1020040013453 A KR1020040013453 A KR 1020040013453A KR 20040013453 A KR20040013453 A KR 20040013453A KR 20050087568 A KR20050087568 A KR 20050087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v
pharmaceutical composition
weight
herbal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823B1 (ko
Inventor
김용욱
상시광
Original Assignee
김용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욱 filed Critical 김용욱
Priority to KR1020040013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823B1/ko
Publication of KR2005008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8Saposhnikov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약초성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ificiency Virus, HIV) 감염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제 조성물은 정맥 주사 용액으로 투여될 수 있고, 또는 산제, 환제, 정제, 캅셀제 형태로도 제조되어 투여될 수도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8가지의 한약 재료, 즉 황기(Astragalus membranaccus bge) , 우슬(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g), 방풍(Seseli yunnanense franch),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hail), 감초단소(Glycyrrhiza uralensis fisch ), 서양삼 (Western Ginseng Radix), 서홍화(Western Carthami Flos ) 및 마전자(Strychnos Pierriana A.W.Hill)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에이취아이브이 감염환자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human immunodificiency virus}
본 발명은 신규한 약초성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ificiency Virus, 이하 HIV라 약칭함) 감염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이하 에이즈라 약칭함)은 인류사회를 공포로 몰아가고 있다. 에이즈는 HIV의 감염에 의해 유발된다. HIV에 감염된 것만으로는 에이즈는 발증하지 않고, 무증후 기간이 수개월에서부터 수년이 된다. 그리고, 무증후 기간이 종료하면, HIV에 의해서 면역 시스템이 급속히 파괴되기 시작하여, 임프절 종창, 식욕 부진, 설사, 체중 감소, 발열, 권태감 등의 증상이 출현한다. 이들은 에이즈 관련 증후군(AIDS-related complex, 이하 ARC라 약칭함)으로 불린다. 또한 면역력이 저하되면, 통상은 무해의 미생물(세균, 바이러스, 진균, 원충 등)이 몸에 심각한 영향을 주기 시작하고, 기회 감염증 등이 보인다. 이러한 면역이 저하되면 나타나는 감염증을 에이즈라고 부른다. 에이즈란,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을 발증할 때까지 면역이 저하된 HIV 감염증의 말기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에이즈를 포함해서 HIV에 감염되어 있는 병의 용태 전체를 HIV 감염증이라고 부른다.
원래, 인간은 병원체 등의 이물을 인식하여 배제하는 기구로서 면역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면역 시스템을 움직이는 세포로서, CD4 양성 림프구가 잘 알려져 있다. 체내에 침입한 HIV는 CD4 양성 림프구의 CD4 단백에 결합하여 세포 내에 잠입한다. 이 HIV는 역전사 효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RNA를 DNA로 고쳐 읽어 세포의 핵 내의 DNA에 받아들일 수 있다. 이 때문에, HIV에 감염된 CD4 양성 림프구는 바이러스를 제조하면서, 서서히 죽어 간다. 이렇게 해서, 면역 시스템을 움직이는 세포가 감소하여 면역 시스템의 파괴가 일어난다.
레트로바이러스인 HIV는 이러한 질병의 병인체로서 분리되고 동정되었다.
HIV는 감염된 환자의 전체 혈액, 혈장, 림프액, 혈청, 정액, 질내 액, 모유, 눈물, 타액 및 중추 신경계 조직에서 검출된다. HIV는 감염된 사람과의 성적 접촉을 통해서 전염될 수 있고, 감염된 사람과 주사 바늘이나 주사기(주로 마약 주사용)를 공유하는 것에 의해서, 또는 매우 드물지만, 감염된 혈액이나 혈액 응고 인자의 수혈을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다. HIV에 감염된 여성에게서 태어난 아기는 출산 이전 혹은 출산 중에 감염될 수 있고, 또는 출산 이후 수유를 통해서 감염될 수도 있다.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과학자들에 의해 HIV 감염/AIDS의 완전한 치료를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지만, 확실한 성공에 대해 보고된 것은 없었다.
천연 약초에서 제조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질병과 상처를 치료하고 개선하기 위해 수천년 동안 연구되어 알려져 왔고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약초 조성물의 일부는 HIV 감염과 관련된 증상을 치료하거나 개선하는 의약적 성분을 가지는 것이 일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178,865호에는 56가지의 개개의 약초가 선별되어 개시되어 있고, 56가지 약초 중 10가지가 생체내·외 실험에서 항-HIV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10가지의 개개의 약초는 황련(Coptis chinensis), 천궁(Ligusticum wallichii), 붓순나무(Illicium lanceolatum), 대청(Isatis tinctoria), 단삼(Salvia miltiorrhiza), 정공등(Erycibe obtusifolia), 세주오가피(Acanthopanax graciliatylus), 소(Bostaurus domesticus), 목향(Inula helenium) 및 인동(Lonicera japonica)을 포함한다. 소와 인동의 양자는 항-HIV 활성을 나타내기 위해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과 혼합할 수 있다는 것이 부가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837,257호에는 약초 한약제가 생체 외에서 쥐과 백혈병 바이러스(murine leukemia virus)와 HIV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고, HIV에 감염된 동물 및 인간을 치료하기 위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일실시예 중 하나에는, 상기 한약제가 백화사설초(hedyotis), 반지련(scutellariae barbatae herba), 금은화(lonicerae flos), 하고초(prunellae spica) 및 황수가(solani herba)를 포함한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989,556호는 바이러스 감염 치료용의 다양한 약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약초 조성물 중의 하나는 야고(Aeginetiae Herba), 새깃아재비근(Blechni Rhizoma), 천리광(Lespedezae Herba), 호장근(Polygoni Cuspidati Rhizoma), 연교(Forsythiae Fructus) 및 여정실(Ligustri Fructus)을 포함한다. 또 다른 약초 조성물은 대계근(Cirsii Rhizoma et Radix), 조뱅이근(Breeae Radix), 판람근(Baphicacanthis Rhizoma et Radix), 황백(Phellodendri Cortex) 및 백급(Bletillae Tuber)을 포함한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제3의 약초 조성물은 야고(Aeginetiae Herba), 금은화(Lonicerae Flos), 하고초(Prunellae Spica) 및 천리광(Lespedezae Herba)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개시된 것과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AIDS 환자의 치료를 포함하는 생체 외 및 생체 내 둘 다에서의 HIV 치료를 위한 신규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신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cus bge) , 우슬(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g), 방풍(Seseli yunnanense franch),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hail), 감초단소(Glycyrrhiza uralensis fisch ), 서양삼 (Western Ginseng Radix), 서홍화(Western Carthami Flos ) 및 마전자(Strychnos Pierriana A.W.Hill)를 포함하는 8가지의 약초 재료의 수성 추출물을 함유하고 이 약제는 정맥 주사 용액의 형태이거나 또는 산제, 환제, 정제, 캅셀(교합)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규한 약초성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여 HIV 감염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원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황기, 우슬, 방풍, 오미자, 감초단소, 서양삼, 서홍화 및 마전자를 포함하는 8가지의 약초 재료의 중량비가 약 3 : 1.5 : 1 : 1 : 0.8 : 1 : 0.8 : 0.1 로 구성되어 사용된다.
본원 발명은 중국유명처방 "옥병풍산"에 근거하여서 황기, 우슬, 방풍 등으로 조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종래에 계절감기 치료예방에 쓰이던 약제에 일정성분을 추가한 결과 면역치료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 약제의 구체적 효능을 확인하고자 여러 종류의 약제를 배합 다양하게 실험해 본 결과 본원 발명품이 실험 대상물의 90 % 이상에 개선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본원의 면역기능 강화제의 생산원가가 매우 낮고 본원의 약제추출물의 활용 범위가 면역기능 향상제로 다방면으로 넓혀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또한 HIV 감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에도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원의 면역기능 강화제(HIV격발제) 약제추출물은 면역 기능을 향상시켜 에이즈, 비전형폐염, B형간염과 암증 등 병독으로 발생하는 질병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1) 황기, 우슬, 방풍, 오미자, 감초단소, 서양삼, 서홍화 및 마전을 포함하는 8가지의 약초 재료를 갈고 혼합하여 약초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약초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여 물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물 추출물을 여과하여 약초 여과액을 모으는 단계 및 (4) 상기 약초 여과액을 농축하여 약초 농축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농축액을 적합한 용액에 용해시켜 정맥 주사 용액을 형성하거나, 스프레이 건조하여 약초 파우더가루를 얻거나 상기 약초 가루를 스타치 등의 결합제와 더 혼합하여 캅셀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농축액을 주사제 용액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주사 용액 ㎖ 당 약 0.2 내지 2g의 농축액을 함유시켜 환자에 투여하는 경우, 상기 농축액은 5% 글루코오스 용액의 약 1:5 내지 1:10 부피로 바람직하게 희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HIV 감염 환자에 상기 농축액의 유효량을 정맥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HIV 감염 환자의 치료 방법을 더 포함한다. 상기 농축액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하루에 약 10 내지 20g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약 12 내지 18g의 농축액을 투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HIV 감염 환자에게 상기 농축액 주사 용액을 정맥 투여하고, 농축액 캅셀을 경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HIV 감염 환자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농축액 캅셀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1회 당 농축액의 약 1 내지 5g이고, 하루에 약 2 내지 3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 조성물은 정맥 주사 용액으로 투여될 수 있고, 또는 산제, 환제, 정제로 만들어저 투여될 수도 있다.
본원의 약제조성물의 약제 및 구성비는 다음과 같다.
즉 황기(Astragalus membranaccus bge) 24~28 중량부 , 우슬(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g) 12~15 중량부, 방풍(Seseli yunnanense franch) 8~11 중량부,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hail) 9~13 중량부, 감초단소(Glycyrrhiza uralensis fisch )5~8 중량부, 서양삼 (Western Ginseng Radix) 8~12 중량부, 서홍화(Western Carthami Flos ) 5~8 중량부 및 마전자(Strychnos Pierriana A.W.Hill) 1~2 중량부로 구성된다.
본원에서는 상기 약제추출조성물을 면역기능 강화제(HIV격발제)로 명명하기로 하고 이하에서 이를 면역기능 강화제(HIV격발제)로 칭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의덕효방(笹醫德效方)"의 중국 유명 처방 "옥병풍산(玉幷風散)"에 근거하여서 황기, 우슬과 방풍으로 조합 처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이는 수백년의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주로 유행성 감기 치료예방에 쓰이며 일정한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음이 확인되어 온바 여기에 부가재료로 오미자, 서양삼, 감초단소, 서홍화 및 마전을 촉매로 첨가하여서 일종의 중약제제를 제조한 바 그것이 매우 강한 면역 기능을 갖고 있어 면역저하, 면역결핍 종합 증상 및 관련 질병에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원의 면역기능 강화제(HIV격발제)의 생약추출물 약물 효과는 에이즈, 비전형폐염, B형간염, 암증 등 각종 병독으로 인한 질병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면역기능 강화제(HIV격발제)의 실시 형태는 산제, 환제, 정제, 캅셀(교합) 및 주사제의 형상으로서 한국 약전에 의하거나 표준적 중성약 제조기술을 이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은 (1) 황기, 우슬, 방풍, 오미자, 감초단소, 서양삼, 서홍화 및 마전을 포함하는 8가지의 약초 재료를 갈고 혼합하여 약초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약초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여 물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물 추출물을 여과하여 약초 여과액을 모으는 단계 및 (4) 상기 약초 여과액을 농축하여 약초 농축액('HIV격발제 농축액'이라고도 함)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IV격발제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HIV격발제 농축액을 적합한 용액에 용해시켜 정맥 주사 용액을 형성하거나, 스프레이 건조하여 약초 가루를 형성하여 산제나 정제로 하거나, 상기 약초 가루를 스타치 등의 결합제와 더 혼합하여 캅셀화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적용예를 예로 들면 위의 약물을 가루로 만들어 120메쉬 순금체에서 분산 한 것을 꿀로서 환을 만들고자 하였으며 한개 환의 농축액약 함량은 6 그램으로 하여 환제 정제로 제조하였다.
또한 위의 원료 약품을 물로 3회 추출하고(온도는 100℃이하) 그 여과 농축액과 본래 약과 물의 비를 5:1 내지 1:1로 한다. 다음 다시 에틸렌그리콜로 침전(조절약액 농도는 에틸렌그리콜 함량 75%)시킨 후에 여과하거나 혹은 유효 성분을 섭취하여 여과액을 농축(혹은 냉동농축)시켜 마른 분말 형태의 주사약으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위 약품 여과액을 농축(또 냉동건조)시켜 시럽 녹말분말으로 만들거나 또는 유효 성분을 분리하여 농축(또 냉동농축)시켜 시럽녹말분말로 만들어서 압축하여 정제와 캅셀(교감)로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본원의 면역기능 강화제(HIV격발제) 발명은 중국의 유명처방 "옥병풍산"을 종래처방을 이용하고 여기에 일부 새로운 약제를 추가하고 변형시켜 제조한 것으로 그 약제 성분 각각이 갖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황기(Astragalus membranaccus bge): 기를 보충하고 양기를 돋아주어 튼튼하게 해 주는 기능을 갖고 주요 약리작용 분야는 기열이 허하고 폐기가 허약하고 중기가 내려가고, 기가 혈을 섭취하지 못하는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우슬(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g) : 기를 보충하고 건조하며 습한데 유익을 준다. 주요 약리작용은 폐위의 기가 허하고, 기가 허하고 스스로 땀이 나는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방풍(Seseli yunnanense franch): 풍을 제거하고 발한시켜 피부의 사기를 발산 해제시키고 습도에 견디며 통증을 멎게 한다. 주요 약리작용은 감기, 풍열포증, 풍한풍습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곧 황기의 보조제로서 촉매역활을 하게 된다.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hail): 폐를 수축하고, 신장을 자양하고 설사를 멎게 한다. 주요 약리작용 치료분야는 식은 땀, 오랜설사, 기침으로 숨이 차는 등 증세를 치료한다. 약물작용은 세포면역 기능을 증가시킨다.
감초단소(Glycyrrhiza uralensis fisch ): 폐를 자양하여 기를 보충하며 폐를 부드럽게 하여 기침을 멎게 하고 열을 식혀 독을 해소시킨다. 주요 약리작용 치료분야는 폐와 위가 허약하고 기침하고 숨이차며 목이 붓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약리작용은 몸의 저항력이 손실을 입었을 때 저항력을 촉진시켜주는 작용이 있다.
마전자(Strychnos Pierriana A.W.Hill): 부기를 가라앉히고 뭉친 것을 풀어주며, 맥을 통하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 주요 치료분야는 붓고 아프고 쥐가 나고 아픈 것을 치료하고 또한 약리 작용으로 척추의 반사 기능을 흥분시키고 또 소화 기능을 촉진시킨다.
서양삼(Western Ginseng Radix): 폐혈, 각혈을 치료하고, 위장 보호, 혈액순환, 양기증가, 폐기능 회복, 위장기능을 활발히 해주는 기능이 있고, 허혈기침, 각혈, 열병으로 인한 기침에 감초와 더불어 치료효과를 주며 항암적 치료제이며 사토닌의 효과도 갖는다.
서홍화(Western Carthami Flos ) : 활혈, 통변, 경도가 원활, 혈의 순환 작용을 갖고 주요 약리작용은 월경불순 원활, 경도의 통증 해소, 신경혈관 원활케 한다.
위의 여러가지 약품이 서로 보충하여 몸이 면역 기능을 상승 및 증강시키는 작용을 갖고 각종 맹독 및 질병을 치료하는 기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주요 약리작용 치료분야가 면역기능을 강화시키고 면역 결핍 종합증 및 이에 따른 각종 질병(에이즈, 미전형폐염, B형간염 및 암증 등 맹독으로 일어나는 질병)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실시예로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면역기능 강화제( HIV격발제)의 제조
원료 약제로서 환기 2,400g, 우술 1,200g, 방풍 800g, 오미자 1000g, 감초단소 600g, 서양삼 800g, 서홍화 600g 및 마전자 100g 을 칭량한다.
각각의 약초를 작은 조각으로 자르고, 서로 완전히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약초를 공간이 충분한 자루에 넣고 퍼지게 하였다. 상기 자루를 35ℓ(±10%)의 물이 담긴 추출 장치에 넣고 60 ±10분 동안 잠기게 하였다. 상기 약초를 먼저 2Kg/㎠의 증기 압력과 0.2 ~ 0.4Kg/㎠의 두껑 압력하에서 45분 동안 95 ±5℃로 추출하였다. 물 추출물을 농축 장치에 모으고, -60 내지 -76㎝Hg의 진공하에서 40분 동안 40 ±5℃로 농축하여 첫번째 농축액을 형성하였다. 추출 장치에서 자루 속의 약초를 회수하여 또다른 35ℓ(±10%)의 물에 넣고, 2Kg/㎠의 증기 압력과 0.2 ~ 0.4Kg/㎠의 두껑 압력하에서 45분 동안 95 ±5℃로 재추출하였다. 두번째 추출에서의 추출물을 농축 장치에 모으고, -60 내지 -76㎝Hg의 진공하에서 40분 동안 40 ±5℃로 농축하여 두번째 농축액을 형성하였다. 첫번째 및 두번째 농축액을 조합하여 스테인리스 용기 에 부었다. 상기 조합된 농축액의 총 무게는 약 700 그램 이었다. 상기 조합된 첫번째 및 두번째 농축액을 합하여 'HIV격발제 농축액'이라 칭하였다.
HIV격발제 주사 용액용으로, 'HIV격발제 농축액 0.5g을 약 1㎖의 주사 완충 용액에 용해시켰다. 주사 용액의 약 5㎖를 앰플에 부었다.
HIV결발제 파우더에 스타치를 첨가하고, 내부 온도 60℃, 외부 온도 50℃로 설정한 유동층 내에서 LOD(limit of detection; 검출 한계)가 5% 미만이 될 때까지 약 120 ±20분 동안 스프레이 건조시켜 분말상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파우더를 100-메쉬의 체를 통과시킨후, 80-메쉬의 체를 통과시켰다. 상기 HIV격발제 파우더를 캅셀로 하는 경우 천연 젤라틴, 펙틴, 콜라겐, 단백질, 변성 스타치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을 사용하여 캅셀화하는데 적합하였다.
본원에서는 상기 약제의 독성기능 및 면역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 실험을 실시하였다.
2. 동물에서의 HIV격발제 독성실험
동물에 정맥 주사하는 동안 HIV격발제의 급성 독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태국의 노동, 건강 및 직업병 연구소(Institute of Labor, Health and Occupational Disease)의 독물학 실험실에서 아래의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 동물은 동 연구소의 동물학 센터로부터 수득한 태국산 큰귀 백색 토끼이다. 이들 토끼는 실험 중에 주사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는, 귀의 선명한 혈관으로 특징지워진다.
각각 무게가 1.5㎏ 내지 3.0㎏ 사이인 6마리의 수컷과 4마리의 암컷을 포함하여 10마리의 토끼를 수득하였다.
이들 토끼를 한 그룹당 2마리의 암컷과 3마리의 수컷이 포함되도록 임의로 5마리씩 2 그룹으로 나누었다. HIV격발제 주사 용액을 토끼 귀의 혈관을 통해서 2 그룹의 토끼들에게 각각 토끼 체중 ㎏ 당 300㎎의 HIV격발제 농축액의 1회 투여량으로 정맥 주사하였다.
이는 60㎏의 성인에게 18.0그램의 HIV격발제를 투여한 것과 거의 동일하다.
정맥 주사 후 2주 동안 상기 토끼들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첫째날에는 매 시간 단위별로 관찰하였고, 이후의 기간 동안은 하루에 4 내지 6번 관찰하였다.
관찰 기간이 끝났을때, 부작용을 판단하기 위해 토끼를 죽이고 해부하여 눈, 간, 폐 및 비장을 검사하였다.
실험결과 전체 관찰 기간 동안 토끼에게서는 어떤 비정상적인 행동도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동물들은 정상적인 체중 증가를 나타내었다. 어떤 기관의 비정상도 발견되지 않았다. 동물을 죽이고 해부한 후, 눈, 간, 폐 및 비장의 정밀 검사는 어떤 비정상적인 증후군도 나타내지 않았다. 일반적인 급성 독성 색인과 비교하였을때, 이러한 결과는 HIV격발제 주사 용액이 급성 또는 만성 독성의 증상을 나타내지 않음을 나타낸 것이고, 결국 HIV격발제는 토끼에서 급성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3. 작은 흰쥐의 면역기능 향상 테스트를 위한 수영 실험(마우스 실험)
본 연구소 동물실험실의 작은 흰 쥐로 평균 몸 무게가 18그램(gr)이고 암컷과 숫컷을 50마리씩 100마리를 선택하고 작은 흰 쥐를 임의로 2개반으로 나누어 A,B에 각 50마리씩 분리한다.
각기 작은 흰 쥐에 같은 사료를 10일 동안 먹인다(동물실험실에서 배급한 식용 사료를 준다).
A반에는 실시예1에서 얻은 면역기능 강화제를 먹이는데 매일 아침과 저녁에(12시간 사이두고) 한번씩 10㎎씩 먹인다.(이는 몸 무게가 70kg인 성인이 매번 18그램을 복용하는 결과로 계산하여 복용시키는 양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작은 흰 쥐의 몸무게가 매일(증가)성장하기 때문에 먹은 약의 양을 두배로 느린 물로 희석하여 묽은 형상(시럽상태)으로 약 0.2미리그램이다.
B반에는 A반과는 비교반이 된다. 통상의 식량만을 공급시킨 것이다.
다음 11일째에 두 A반 B반의 작은 흰 쥐를 각각 분별하여서 몸 무게를 달도록 하였다.
B반 비교반의 작은 흰 쥐 무게는 평균 2그램이 증가 하였으나 실험대상 A반 작은 흰쥐 몸 무게는 평균 4그램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두 A반과 B반 작은 흰쥐를 300센치미터 길이의 물통에 각기 넣어(작은 흰쥐가 헤어치다 물통 벽을 타고 기어 올라오지 못하게 한다)그때에 두 A반과 B반의 작은 흰쥐의 평균 수명시간을 약 한시간 동안 관찰을 하였다.
A반 실험만의 작은 흰쥐는 평균 수영시간이 약 25분이고 가장 짧은 것은 약 18분에 익사하고 그 중 몇마리는 약 45분까지 수영하다 익사한다.
B반 비교반의 작은 흰쥐는 평균 수영시간은 약 6분정도 유지하고 가장 짧은 것은 약 3분만에 익사한다. 그러나 몇마리는 약 13분 동안 수영하다 익사한다.
위 실험을 실시함에 면역기능 강화제(HIV격발제)가 실험동물의 몸무계를 매우 빨리 증가 성장이 되면서 한편 더욱 중요한 것은 실험동물의 몸 무게와 저항력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현상을 증명하게 되었다.
즉 실험반의 작은 흰쥐가 비교반의 작은 흰 쥐 보다 물속에서 헤엄치는 기능이 평균 약 4.2배 이상이면서 최대는 3.46배로 저항력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또 수영시 익사 상태는 짧을 경우 6배의 비로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A반 흰쥐의 기능 성장 상태도 배가되면서 저항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음도 확인 할 수 있었다.
4. HIV격발제의 에이즈 환자에게 테스트
본원의 개발제품 면역기능 강화제(HIV격발제)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태국 에이즈 환자에게 투여하여 관찰 하였다.
몸무게가 60 - 76㎏ 범위이고 에이즈 면역체계 CD4 수치가 50 - 150 (cells/uL)범위인 에이즈 환자 12명에게 매번 9그램의 환제약을 아침 저녁에 하루 두번씩 복용하도록 하여 100-180일을 투여하며 관찰하고자 하였다 .
정상인의 CD4 임파체 수치가 500 cells/uL 임에 비하여 본원의 HIV격발제 투여후 CD4 임파체 수치가 400-500cells/uL 으로 회복하여 현저한 효과를 본 사람은 6명, CD4 임파체 수치가 200-400cells/uL 로 유효한 효과를 본 환자는 5명 이었고 큰 효과를 확인하지 못한 환자가 1명(123cells/uL을 그대로 유지)으로 총 유효율이 91.67%로서 기대 이상의 치료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원의 면역기능 강화제(HIV격발제)는 에이즈와 비전형성 폐염의 약물 기술 영역에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한국 약전 및 중약제제에 연관되어 특히 에이즈와 비전형성폐염과, B형간염과 암증 등 병독의 질병치료제로서 면역력을 향상시킨다.
CD4임파체 세포면역을 갖는 환자는 200cells/uL 이하에서 정상 건강인 CD4임파체 500cells/uL까지 증가되어 억제기능이 강화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약효 관찰이 설명하듯이 본 발명 약품은 몸의 면역기능 잠재 능력을 강화. 결발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질병발생을 억제시키며, 파괴된 몸의 임파체 면역세포를 재생 또 회복 활성화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원의 면역기능 강화제(HIV격발제)는 에이즈 치료하는데 있어서 현재 공고되어 공인을 받고 있는 가장 유효한 "계미른요법"보다 더욱 우수하고 최근 미국에서 2003년 8월에 보도된 에이즈 치료약 BMS-378806신약 제품보다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3)

  1.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ificiency virus, HIV)에 감염된 환자를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약전에 의한 황기 24~28 중량부, 우슬 12~15 중량부, 방풍 8~11 중량부, 오미자 9~13 중량부, 감초단소 5~8 중량부, 서양삼 8~12 중량부, 서홍화 5~8 중량부 및 마전자 1~2 중량부로 구성된 약초 재료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HIV 감염환자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맥주사용 주사액, 산제, 환약, 정제, 캅셀(교갑) 형태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초 파우더 형태인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40013453A 2004-02-27 2004-02-27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는 생약추출 조성물 KR100601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453A KR100601823B1 (ko) 2004-02-27 2004-02-27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는 생약추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453A KR100601823B1 (ko) 2004-02-27 2004-02-27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는 생약추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568A true KR20050087568A (ko) 2005-08-31
KR100601823B1 KR100601823B1 (ko) 2006-07-19

Family

ID=3727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453A KR100601823B1 (ko) 2004-02-27 2004-02-27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는 생약추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1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461B1 (ko) * 2010-02-12 2012-04-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461B1 (ko) * 2010-02-12 2012-04-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823B1 (ko)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72745B (zh) 一种治疗癌症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US6911221B2 (en) Anti-neoplastic drug
CN101537159B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657736B (zh) 一种治疗类风湿性关节炎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601823B1 (ko)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는 생약추출 조성물
CN102641357B (zh) 一种治疗高血压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14712478B (zh) 一种治疗肠道疾病的中药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10755601B (zh) 一种治疗hiv/aids免疫重建缺陷的芸豆凝集素植物药组合物和制备方法及其应用
CN101007113B (zh) 一种有效治疗急慢性肝炎的参灵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1549140B (zh) 治疗艾滋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488851B (zh) 治疗反复发作生殖器疱疹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4352705A (zh) 治疗乳腺小叶增生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053379B (zh) 一种降尿酸、缓解痛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215474B (zh) 一种活血化瘀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09876127A (zh) 一种养血当归胶囊及其制备方法
CN115737729B (zh) 一种治疗骨质疏松的民族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3301380A (zh) 一种疏肝理气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755516A (zh) 抑制艾滋病病毒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596630A (zh) 一种养血调经中药丸及其制备方法
CN118384203A (zh) 一种通过促进心脏微循环灌注和能量代谢防治心肌梗死后心衰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6511539A (zh) 脑心通中药组合物在制备降血糖药物中的应用
CN106511881B (zh) 一种用于补肾安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796729B (zh) 养血清脑软胶囊及其制备方法
CN109432115A (zh) 一种治疗原发性痛经的药物及其用途
CN110638946A (zh) 一种防治血小板减少性紫癜病的中草药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