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061A -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061A
KR20050087061A KR1020040012268A KR20040012268A KR20050087061A KR 20050087061 A KR20050087061 A KR 20050087061A KR 1020040012268 A KR1020040012268 A KR 1020040012268A KR 20040012268 A KR20040012268 A KR 20040012268A KR 20050087061 A KR20050087061 A KR 20050087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glyceryl
mono
weight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이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4001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7061A/ko
Publication of KR2005008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0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2Exothermic; Self-heating; Heating s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첨 레시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0.1 내지 20 중량%; 액상 오일 0.1 내지 60 중량%; 및 보습제 0.1 내지 60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외관상 투명 내지 반투명 제형으로서 화장에 대한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부담이 없으면서 온열감이 나타내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 후에 물로 간단히 씻어낼 수 있으므로 티슈 오프시 일으킬 수 있는 물리적 자극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Water-free typed wash-off cleansing cosmetics composition}
본 발명은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을 지우기 위한 클렌징 화장료는 성상으로는 크림상, 유액상, 액상, 투명 젤상으로 분류되고, 타입으로는 에멀전 타입, 유성 타입, 수성 타입으로 분류된다.
에멀전 타입으로는 클렌징 로션과 크림이 대표적인데, 이들은 유성성분을 20- 70중량% 사용하여 화장에 대한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고 사용시 부드러움과 마사지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에멀전 타입은 다량의 오일 사용으로 인해 사용 후 피부에 오일이 많이 남아 물로 완전히 씻어 낼 수 없으므로 티슈 오프로 닦아 내야 하는데, 이로 인한 물리적 자극에 의해 피부자극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티슈로 닦아낸 후에도 남아 있는 유성감으로 인하여 폼 클렌징 이나 비누를 사용하여 수성 세안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수성 타입의 클렌징 젤은 다량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다량의 오일을 사용하는 마이크로에멀전 젤타입과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클렌징 젤타입으로 나뉠 수 있는데, 이들은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10∼40중량%로 비교적 많이 배합된다. 전자는 다량의 오일과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므로 클렌징력은 우수하지만 사용상에 뻑뻑한 사용감이 있고, 사용 후에도 오일이 피부에 잔존하므로 물로 완전히 씻어내기 어렵다. 후자는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사용하므로 물로 쉽게 씻어 낼 수 있고 사용시에도 산뜻하여 좋지만, 메이컵을 제거하는 클렌징 효과가 떨어지며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인해 피부 자극이 우려된다.
또한, 유성 타입의 클렌징 오일은 거의 100%의 오일을 사용하므로 클렌징 효과가 매우 우수하나, 점도가 낮은 오일을 사용하므로 사용시 불편함이 있고 사용감도 떨어지며 사용 후 오일이 피부에 많이 남아 물로 씻어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폼 클렌징이나 비누 등으로 이중세안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피부에 온열감을 부여하는 마사지나 팩 등의 제품이 판매되고 있는데, 글리세린을 포함한 보습제를 다량 사용하는 젤 타입의 마사지 젤이나 제올라이드를 다량 사용하는 유화타입의 마사지 및 팩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들 제품들은 피부에 온열감을 부여하는데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나, 클렌징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클렌징 화장료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화장에 대한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부담이 없으면서 온열감이 나타내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 후에 물로 간단히 씻어낼 수 있으므로 티슈 오프시 일으킬 수 있는 물리적 자극을 방지할 수 있는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첨 레시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0.1 내지 20 중량%; 액상 오일 0.1 내지 60 중량%; 및 보습제 0.1 내지 60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폴리글리세릴-4 모노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4 이소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 모노 올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모노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모노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6 모노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이소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모노 올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이소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 올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 리놀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디이소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트리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트리 올레이트 등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각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첨 레시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0.1 내지 20 중량%; 액상 오일 0.1 내지 60 중량%; 및 보습제 0.1 내지 60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자들은 메이컵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 후 폼 클렌징이나 비누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물로 씻어 낼 수 있으며, 피부 안전성이 우수하고 온열감을 갖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전술한 성분과 함량으로 제조한 비수(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은)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제1 성분으로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첨 레시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poly glycerine fatty acid ester)로는, 폴리글리세릴-4 모노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4 이소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 모노 올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모노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모노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6 모노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이소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모노 올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이소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 올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 리놀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디이소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트리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트리 올레이트 등 HLB값이 7 내지 15인 물질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레시친으로는 수첨 레시친과 불포화 레시친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데, 포스파티디닐코린(PC)이 20-100%을 함유하는 레시친을 예시할 수 있다. 제1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 ∼ 10중량%의 범위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제2 성분으로서 액상 오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 페닐 폴리실록산, 디페닐 폴리실록산, 옥타 메틸 사이클로 테트라실록산, 데카 메틸 사이클로 펜타실록산, 메틸 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 오일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액상 오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액상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40중량%가 배합된다. 이러한 배합량에 따라 우수한 세정력과 물에 대한 뛰어난 씻김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제3 성분으로서 보습제를 포함한다. 보습제로서는 화장료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보습제 성분, 예를 들면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1,3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에리스리톨, 솔비톨, 마니톨, 메칠 글리세레스-10, 메칠 글리세레스-20, 글리세레스-26, 폴리옥시에칠렌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특히 이들 중 글리세린과 그외 보습제를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습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글리세린 25 내지 80중량%가 되도록 다른 보습제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사용시 온열감을 나타냄과 동시에 우수한 세정력과 물에 대한 씻김성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필수적인 성분들 외에, 본 발명의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다른 화장료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도 조절제로서 수성 고분자를 첨가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펙틴, 알긴산 나트륨, CMC(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폴리 아크릴산, 스틸렌 말레인산 공중합체,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알킬 아크릴산-아크릴산 공중합체, 유기변성 벤토나이트, 잔탄검, 수소화규산, absolute 규산, startch(전분) 지방산 fatty acid ester 등의 배합이 가능하며, 투명∼반투명의 액상∼Gel상 클렌징 화장료로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는 향료, 염료 등의 색소, 방부제, 살균제, 항산화제(antioxidant), 펄제, 각종 미용 약제 등을 적당량 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에 따른 성분과 함량(단위:중량%)에 따라, 먼저 수상부분에 수성 점증제와 보습제, 금속이온 봉쇄제, 변색 방지제를 차례로 넣고 혼합, 분산 및 용해시킨 다음 75∼80℃까지 가열하였고, 유상 부분에 액체 에스테르 오일과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차례로 넣고 용해한 후 75∼80℃까지 가열하였다. 이어서, 수상성분에 유상 성분을 투입하고 가열, 혼합하여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안정성 평가
상기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제품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안정성 평가의 방법으로서 제조 후 25도와 40도에서 6개월 후에 오일의 부유로 인한 분리현상을 육안으로 판정하여 하기 판단기준에 따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판단기준 ( 양호 : ○ , 불안정 : X )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제품이 비교예보다 고온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고객관능 테스트
일반고객 20∼35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사전에 안면에 화장을 하게한 다음, 비교예와 실시예의 제품을 일반적인 사용법에 따라 사용하여 사용감 중 가장 중요한 클렌징력과 사용 후 물에 대한 씻김성 및 사용 후의 감촉(사용감)을 평가 하도록 하였다. 평가점수는 매우 만족 5점, 만족 4점, 보통 3점, 나쁨 2점, 매우나쁨 1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였고, 종합점수를 아래식에 의해 산출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평가점수 = [(매우 만족 인원수)×5 + (만족 인원수)×4 + (보통 인원수)×3 + (나쁨 인원수)×2 + (매우 나쁨 인원수)×1] / 평가인원수
피부안전성 실험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 안전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건강한 남, 여 30명의 팔뚝에 패치 테스트용 반창고를 사용하여 24시간 패치 테스트를 행하였다. 즉, 핀 챔버에 일정량(15mg/15ul)의 시료를 도포한 후, 시료가 도포된 핀 챔버를 시험 부위에 테이프로 접착시킨 다음, 첩포 24시간 후에 패치를 제거하였다. 4시간이 경과한 다음 피부에 나타나는 홍반 이상 여부에 대한 관찰하여 홍반 현상의 정도에 따라 하기 표 4에 따라 분류하였다. 판정기준에 따라 평가한 스코어로부터 하기 산출방법에 의해 피부자극지수(PI)를 계산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지수(PII) = (자극도 x 반응을 나타낸 피시험자 수) / 총 피시험자 수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품은 비교예들과는 달리 피부 자극성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클렌징력 평가 실험
클렌징력 평가 실험은 실시예와 비교예를 제품 원액 그대로 사용한 화장솜을 프로브(Probe)에 장착한 Vitro-dyne의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피시험자의 하박에 도포한 표준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잔존 오염물을 채취하여 분광법으로 정량한 후 오염물질 제거율을 계산하였다.
도 1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제품의 오염물질 제거율을 도시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제품은 in-vitro 클렌징력 평가에서 비교예의 제품보다 클렌징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클렌징력과 물에 의한 씻김성도 뛰어나며, 사용시 온열감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사용 후 피부에 부담감이 없고 잔유감도 없는 촉촉한 감촉(사용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따른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사용감 평가, 클렌징력, 물에 대한 씻김성, 피부 자극 등의 여러 평가에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발명의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외관상 투명 내지 반투명 제형으로서 화장에 대한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부담이 없다. 또한, 온열감을 나타내므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피부 노폐물 제거를 활성화시킨다. 아울러, 사용 후에는 물로 간단히 씻어낼 수 있으므로 티슈 오프시 일으킬 수 있는 물리적 자극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비교예에 따른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오염물질 제거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Claims (3)

  1.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첨 레시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0.1 내지 20 중량%;
    액상 오일 0.1 내지 60 중량%; 및
    보습제 0.1 내지 6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폴리글리세릴-4 모노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4 이소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 모노 올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모노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모노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6 모노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이소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모노 올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이소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 올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모노 리놀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디이소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트리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10 트리 올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보습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글리세린 25 내지 8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012268A 2004-02-24 2004-02-24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050087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268A KR20050087061A (ko) 2004-02-24 2004-02-24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268A KR20050087061A (ko) 2004-02-24 2004-02-24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061A true KR20050087061A (ko) 2005-08-31

Family

ID=3727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268A KR20050087061A (ko) 2004-02-24 2004-02-24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70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55B1 (ko) 2005-11-21 2007-04-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워시오프 타입 클렌징 오일 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55B1 (ko) 2005-11-21 2007-04-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워시오프 타입 클렌징 오일 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7848B2 (ja) 洗浄剤組成物
KR101521265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EP2308457A1 (en) Cleansing cosmetic preparation
JP2008037779A (ja) 透明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20070106115A (ko) 탄성을 가지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2009256211A (ja) 酵素配合洗顔パウダー
JP5236336B2 (ja) オイル状クレンジング料
JP2011213664A (ja) クレンジングクリーム
KR20140015080A (ko)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2008214321A (ja) 油性皮膚洗浄料
JPH06219923A (ja) 透明液状組成物
KR101895875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한 에멀젼 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327529A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TW202114628A (zh) 透明卸妝品
JP4285699B2 (ja) 角栓除去用組成物
JP2006022061A (ja) 透明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4763474B2 (ja) 油性皮膚クレンジング料
JP3532910B2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102368898B1 (ko) 알칸디올 또는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KR20050087061A (ko) 비수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4005933B2 (ja) シリコーンを含有する化粧料
JP5857734B2 (ja) 皮膚用洗浄剤組成物
KR100777592B1 (ko)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JP2005239616A (ja) 油性皮膚洗浄料
JP2004115467A (ja) クレンジ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