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4785A - 기록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및 시스템 lsi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및 시스템 lsi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4785A
KR20050084785A KR1020047017376A KR20047017376A KR20050084785A KR 20050084785 A KR20050084785 A KR 20050084785A KR 1020047017376 A KR1020047017376 A KR 1020047017376A KR 20047017376 A KR20047017376 A KR 20047017376A KR 20050084785 A KR20050084785 A KR 20050084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eferenced
portions
unit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이치 호리
슈지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78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Abstract

본 발명은 DVD내의 비참조 부분이 삭제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판정하도록 촉구함으로써 DVD에 기록된 컨텐츠의 정리를 용이하게 하는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플레이리스트 편집부(15)는 플레이리스트 편집을 실행함으로써 PL을 획득하고, 여기에서 플레이리스트는 DVD에 기록된 VOB 상에 정의된 논리적인 재생 경로이고, 사용자에 의해 정해지는 적어도 하나의 재생 구간을 포함한다. 플레이리스트 편집이 실행된 후, 비참조 부분 추출부(17)가 전체 VOB로부터 PL 정보에 의해 특정된 재생 구간을 제외한 후의 결과인 복수의 나머지 부분을 동영상 스트림내의 복수의 비참조 부분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실체 편집부(18)는 사용자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비참조 부분 중 어느 것을 삭제한다.

Description

기록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및 시스템 LSI{RECORD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PROGRAM, AND SYSTEM LSI}
본 발명은 랜덤 액세스가 허용되는 기록 매체에 동영상 스트림을 기록하기 위한 DVD 레코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및 시스템 LSI와 같은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영상 스트림에 관한 편집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경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각 제조업자는 VTR을 DVD 레코더로 교체하려는 사용자의 수요를 예상하여 여러 가지 부가 기능을 갖춘 기록 장치를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그러한 부가 기능의 대표적인 예가 플레이리스트(playlist)에 관한 편집 기능이다.
플레이리스트(PL)는 DVD에 기록된 동영상 스트림에 대해 정해진 논리적인 재생 경로이고, 사용자에 의해 정해지는 하나 이상의 재생 구간을 포함한다.
언급한 구조를 갖는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종래의 플레이리스트 편집은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될 재생 구간을 정의하는 프로세스와, 재생 구간에 대한 순위 할당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재생 구간을 정의하는 프로세스에서, 동영상 스트림에 대한 편집 동작을 수신하는 GUI가 재생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동영상 스트림의 재생을 개시하기를 원하는 포인트(재생 개시 포인트)와 사용자가 재생을 종료하기를 원하는 포인트(재생 종료 포인트)에 관한 특정된 내용을 수신한다. 사용자가 이들 재생 개시/종료 포인트를 정하면, 정해진 재생 개시/종료 포인트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가 DVD에 기입된다. 이러한 포인터 정보는 재생 구간을 특정하기 위한 재생 구간 정보이고, 재생 구간을 정의하는 프로세스는 이러한 재생 구간 정보의 기입 완료와 함께 종료한다.
2 이상의 재생 구간이 재생 구간을 정의하는 프로세서에서 정의되면, 재생 구간에 순위를 할당하는 동작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이 순위는 구체적으로는 재생 구간이 재생될 재생 순위이다. 재생 경로는 원하는 재생 순위에 따라 재생 구간을 각각 정의하는 재생 구간 정보를 배열함으로써 정해진다.
DVD는 재생 경로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개의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미리 저장한다. 그 후, 기록 장치는 DVD 내에 있는 동영상 스트림을 그대로의 순서로 재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어떠한 재생 경로에 따라서도 재생할 수 있다. 플레이리스트 편집으로 인해, 재생의 변형을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한 플레이리스트 편집을 실현하는 종래 기술의 일례는 이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미국 특허 제6,181,870호
그런데, 그러한 플레이리스트 편집이 반복된 후에, DVD의 자유 영역은 플레이리스트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비참조 부분이 DVD에 남아 있기 때문에, 반드시 감소한다. 비참조 부분은 구체적으로는 재생리스트를 구성하는 재생 구간이 전체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감해진 후의 나머지이다. 비참조 부분의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은 채 남기 때문에, DVD에서의 다른 기록이 종종 거부된다. 이론적으로, 플레이리스트에 따른 재생이 더욱 빈번해지고, 원래의 동영상 스트림에 따른 그대로의 재생이 더욱 줄어들면, 모든 비참조 부분이 삭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비참조 부분에 관한 철저한 삭제로 인해, 사용자가 후일 삭제된 부분의 영상의 가치를 깨달을 때 후회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래 비참조 부분이 필요할지 모른다고 생각하여 비참조 부분의 삭제를 주저하고 미루게 된다. 이것은 자유 영역이 부족한 하나의 원인이다.
또한, 서로 중첩하는 부분을 갖는 복수의 재생 경로가 정의되는 경우에, 어느 부분이 비참조 부분인지 파악하기 곤란하므로, 사용자가 DVD에 기록된 컨텐츠를 체계화하려는 의욕이 생기지 않게 된다.
도 1은 DVD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VOB 및 VOB에 관한 하나 이상의 관리 정보로 구성된 PG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플레이리스트 편집 시에 생성되는 PL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PL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VOB 시퀀스의 어느 부분이 비참조 부분으로 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기록 장치 및 DVD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경로 메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플레이리스트 편집 메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PG 재생 메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PL 재생 메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체 편집 메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기록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어플리케이션부(14)에 의해 실행되는 메인 루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플레이리스트 편집부(15)에 의해 실행되는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실체 편집부(18)에 의해 실행되는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의 (a)는 VOB 시퀀스의 선두 부분이 어떤 PL의 셀로서 특정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의 (b)는 VOB 시퀀스의 선두 부분이 어떤 PL의 셀로서 특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이 루프 동작의 반복이 어떻게 비참조 부분을 특정하는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의 (a)는 Cell#x의 아웃 포인트(Out-point)가 VOB 시퀀스의 리어 엔드와 일치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의 (b)는 Cell#x의 인 포인트(In-point)가 VOB 시퀀스의 프론트 엔드와 일치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의 (a) 및 (b)는 단계 S38∼S44가 반복되는 경우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의 (a) 및 (b)는 단계 S38∼S44가 반복되는 경우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2개의 PL 즉, PL#1 및 PL#2가 VOB 시퀀스 상에 정의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체 편집부(18)에 의해 실행되는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2는 DVD내의 비참조 부분의 일괄 삭제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PG 네비게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PG 재생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5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PG 네비게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체크 박스가 할당된 PG 네비게이터에 관한 재생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은 화상 기록 프로그래밍 메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의 메뉴에 따라 실행되는 화상 기록 프로그래밍의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9는 환경 설정을 수신하기 위한 메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환경 설정에 따라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메인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1은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한 동작을 수신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2는 비참조 부분을 플레이리스트에 복귀시키는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3은 플레이리스트에 복귀될 비참조 부분 #r이 특정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플레이리스트에 복귀될 비참조 부분 #r이 셀 정보 #p와 셀 정보 #p+1 사이에 삽입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3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표기 시스템 하에서 BD-RE에 기록될 동영상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도 36은 도 35의 동영상 스트림의 비참조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브리지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다른 브리지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매체내의 비참조 부분이 삭제될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판정하도록 촉구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의 정리를 용이하게 하는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비디오 스트림을 기록 매체에 기입하고,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편집하는 기록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기록 장치는 사용자 동작에 따라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복수의 부분을 재생 구간으로 특정하는 편집부와, 상기 재생 구간이 상기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제외된 후에 남은 복수의 부분을 비참조 부분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동작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된 비참조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는 삭제부를 포함한다.
새로운 컨텐츠를 기록하기 위한 자유 영역이 조금 부족할 때, 추출된 복수의 비참조 부분의 일부를 삭제함으로써 충분한 자유 영역이 할당된다. 따라서, 다른 방송 컨텐츠를 기록할 기회의 상실을 방지한다. 삭제 시에, 복수의 비참조 부분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고, 그 중에서 사용자는 삭제될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된 비참조 부분 중에서 보존 가치가 비교적 낮은 것을 선택함으로써, 새로운 컨텐츠가 기록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삭제된 컨텐츠의 부분에 대해 후회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새로운 기록이 실현될 수 있다.
출원인은 특허 문헌 1의 발명에 비해 본 발명의 현저한 효과를 인식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은 "가상 편집"이라는 예비 프로세스에서 셀 정보를 생성하고, 셀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범위를 벗어난 영상에 대해 일괄 삭제를 실행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괄 삭제는 보존할 가치를 갖고 있는 영상이 모두 한꺼번에 삭제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후회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비참조 부분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삭제를 확인할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비참조 부분만 삭제되면서, 가치가 있는 영상을 포함하는 비참조 부분을 유지하는 개별 삭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후회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각각의 재생 구간은 재생 동작의 개시/종료 위치의 세트로 표시될 수 있고, 복수의 비참조 부분은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프론트 엔드(front-end)로부터 첫 번째로 나타나는 상기 재생 구간 중의 하나의 개시 위치의 바로 앞까지의 부분과,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상기 재생 구간 중의 하나의 종료 위치의 바로 뒤로부터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리어 엔드(rear-end)까지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스트림의 프론트 엔드 또는 리어 엔드에 재생 구간이 없는 경우에,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비디오 스트림의 언급한 비참조 부분의 특정에 관련하는 사용자와의 대화식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도, 비디오 스트림의 프론트 엔드로부터 첫 번째 재생 구간의 개시 위치의 바로 앞까지의 부분과, 최종 재생 구간의 종료 위치의 바로 뒤로부터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리어 엔드까지의 부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것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그러한 재생 구간이 플레이리스트 편집 시에 특정되면, 언급된 비참조 부분은 이러한 특정을 참조하여 자동으로 특정된다. 이에 따라, "재생 구간 특정 + 비참조 부분 선택"의 동작만이 비참조 부분 삭제를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각 비참조 부분의 개시/종료 포인트가 사용자와의 대화식 동작을 통해 특정되고, 삭제의 범위가 결정되며, 최종적으로 삭제가 실행되는 종래의 절차에 비해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감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참조 부분을 삭제하고자 하는 의욕이 더욱 생기게 된다.
여기에서, 비참조 부분은 재생 구간 중 하나의 바로 뒤에서 이어지는 상기 재생 구간 중의 다른 하나의 바로 앞까지의 모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재생 구간 중 하나와 재생 구간 중 다른 하나의 사이의 모든 갭 부분이 비참조 부분으로 자동적으로 또한 추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그러한 갭 부분의 특정에 관한 대화식 동작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절감시키므로, 비참조 부분이 용이하게 추출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비참조 부분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화상 데이터의 순차 재생과, 상기 화상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썸네일의 스크린상으로의 배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영상이 비참조 부분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이 즉시 실행될 수 있으므로, 비참조 부분의 정리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장래에 이들 부분이 필요하게 될지의 여부의 심리적인 동요로 삭제를 주저하고 지연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기록 매체에 존재하는 복수의 비참조 부분을 실제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삭제를 결정하도록 촉구하는 자극으로 작용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복수의 비디오 스트림이 기입될 수 있고, 각 스트림은 2 이상의 컨텐츠로 분류되며, 상기 삭제부는 임의의 컨텐츠에 포함되는 비참조 부분만을 삭제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2 이상의 비디오 스트림이 하나의 컨텐츠로 분류되는 경우, 그러한 컨텐츠에 속하는 비디오 스트림이 집합적으로 삭제될 수 있다. 이것은 비참조 부분이 한꺼번에 삭제되는 경우에 비해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감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기록 장치는 기록을 프로그래밍하는 동작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프로그래밍된 기록에 필요한 영역 크기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산출된 영역 크기가 상기 기록 매체의 자유 영역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비참조 부분이 삭제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를 추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비참조 부분의 디스플레이가 프로그래밍된 기록을 위한 자유 영역이 없을 때 실행된다. 사용자가 기록 프로그래밍 단계에서 자유 영역의 필요성을 인식하면 사용자가 비참조 부분을 삭제하도록 촉구되기 때문에, 비참조 부분의 정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기록 프로그래밍을 단념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가 할당해야 하는 최소 자유 영역 크기인 환경 설정값의 특정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산출된 영역 크기가 상기 기록 매체의 자유 영역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비참조 부분이 삭제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를 추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장래에 기록할 계획인 방송 컨텐츠의 길이를 기록 장치에 설정해 둘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비참조 부분을 삭제하도록 촉구하는 동작은 기록 매체의 자유 영역 크기가 이 방송 컨텐츠의 길이보다 짧을 때에만 실행되고, 이것은 방송 컨텐츠의 기록을 준비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사용자에게 남겨둔다.
여기에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삭제부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삭제 전에, 상기 비참조 부분의 백업을 기록하는 백업부와, 상기 삭제부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삭제 후에, 실행 취소(실행 취소) 동작이 실행되어야 하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문의부와, 상기 문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이 긍정인 경우, 상기 백업부에 기록된 상기 백업을 상기 기록 매체에 복귀 기입하는 복귀 기입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이미 삭제된 비참조 부분의 가치를 인식하는 경우, 그 부분이 기록 매체에 복귀 기입되어 사용자가 삭제한 부분에 대해 후회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백업으로 기록될 부분은 실제로 삭제된 부분으로만 좁혀진다. 이것은 백업에 의해 점유되는 메모리 영역의 증가를 방지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비참조 부분의 일괄 삭제가 실행되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실제 편집에서, 모든 비참조 부분은 유지될 필요가 있으므로, 비참조 부분 백업을 위한 메모리 용량이 지나치게 커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는 재생 장치로는, 하나의 비참조 부분을 기록하는데 충분한 메모리 용량만 필요하므로, 재생 장치의 메모리 크기의 지나친 증가를 방지하게 된다.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기록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록 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기록 장치에 의한 편집의 대상을 설명한다. 기록 장치에 의한 편집의 대상은 환언하면, DVD에 기록된 컨텐츠이다.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VOB(Video Object) 및 각각의 VOB에 대한 관리 정보로 구성된다. 그러한 컨텐츠는 DVD의 분야에서는 PG(ProGram)라고 한다. VOB 및 대응하는 관리 정보는 도 1에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에 따라서 DVD에 기록된다. 도 1은 DVD에 기록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DVD(100)는 도 1에 점선 hs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VOB 시퀀스 및 관리 정보 시퀀스를 저장한다.
VOB 시퀀스는 점선 hs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VOB(VOB#1, VOB#2 및 VOB#3)로 구성된다.
VOB는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인터리브 다중화한 결과 얻어지는 MPEG-PS(Program Stream) 포맷의 동영상 스트림이다. 비디오 스트림은 압축 부호화가 실시된 복수개의 화상 데이터이다. 각각의 화상 데이터는 하나의 영상에 대응하고, 약 33밀리초인 영상 신호의 디스플레이 기간에 디스플레이된다. 오디오 스트림은 압축 부호화가 실시된 복수의 오디오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인터리브 다중화에 의해 얻어지는 VOB는 점선 화살표 hs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VOB가 연대순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VOBU(Video Object Unit)는 VOB의 최소 복호화 가능 단위이고, GOP 및 이 GOP와 동시에 재생될 복수의 오디오 프레임을 포함하며, GOP는 0.4∼1.0초에 각각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집합이다. 재생은 해당 포인트가 VOBU의 선두인 경우 어떠한 포인트로부터도 실행될 수 있으며, 이것은 VOB가 0.4∼1.0초와 같은 짧은 시간 간격에 랜덤하게 액세스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관리 정보 시퀀스를 설명한다. 관리 정보 시퀀스는 점선 화살표 hs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VOB#1, VOB#2 및 VOB#3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관리 정보(즉, 관리 정보 #1, #2 및 #3)로 구성된다. 각각의 관리 정보는 점선 화살표 hs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임 맵" 및 "셀 정보"로 구성된다.
"타임 맵"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VOB내의 각 랜덤 액세스 가능 위치의 어드레스를 간접 참조하는데 사용되는 참조 테이블이다. "타임 맵"은 VOBU에 각각 대응하는 갯수의 엔트리 정보(VOBU#1 엔트리 정보, VOBU#2 엔트리 정보, VOBU#3 엔트리 정보, …)로 구성된다. 각각의 엔트리 정보에서, 특정 VOBU의 재생에 필요한 시간을 나타내는 "VOBU 재생 시간"은 VOBU에 대한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VOBU 크기"에 대응한다. 가변 길이 압축 부호화 방법의 채용으로 인해, GOP를 포함하는 각 VOBU의 크기 및 재생 시간이 변화할 때에도, 특정 재생 시간에 대응하는 VOBU내의 화상 데이터에 임의의 재생 시간으로부터 랜덤 액세스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셀 정보는 PG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논리 재생 구간을 정의하는 포인터 정보이다. 셀 정보는 사용되는 표기 시스템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표기 시스템에서, 재생 구간은 간접 참조로서 참조 테이블과 같은 타임 맵을 사용하여 정의된다. 셀 정보가 간접 참조 표기로 기재되는 이유는 VOB에 관련하여 실행되는 편집에 부수하는 셀 정보를 갱신하는 부담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점선 hs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셀 정보는 VOB의 인 포인트 및 아웃 포인트가 속하는 VOB의 "VOB-ID", VOB의 프론트 엔드로부터 인 포인트까지의 상대 시간을 나타내는 "Cell_Start_PTM", 및 VOB의 프론트 엔드로부터 아웃 포인트까지의 상대 시간을 나타내는 "Cell_End_PTM"으로 구성된다. 각 VOBU는 0.4∼1.0초 시간 정확도를 갖지만, 이들 "Cell_Start_PTM" 및 "Cell_End_PTM"은 하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 기간보다 작은 33밀리초 시간 정확도를 갖는다. 따라서, 셀의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는 VOBU에 속하는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사용되는 시간 정확도로 표현된다.
도 2는 VOB 및 VOB에 대한 관리 정보로 각각 구성되는 PG를 나타낸다. 도 2는 3개의 VOB, 즉 VOB#1, VOB#2 및 VOB#3으로 구성된 VOB 시퀀스를 기술하고, 또한 3개의 타임 맵 #1, #2 및 #3과, 3개의 셀 정보 #1, #2 및 #3을 기술한다. 도 2에서, "VOB#1 - 타임 맵 #1 - 셀 정보 #1"의 세트가 제 1 PG(PG#1)를 구성한다. 유사하게, "VOB#2 - 타임 맵 #2 - 셀 정보 #2"는 제 2 PG(PG#2)를 구성하고, "VOB#3 - 타임 맵 #3 - 셀 정보 #3"은 제 3 PG(PG#3)를 구성한다. 달리 말하면, "VOB - 타임 맵 - 셀 정보"의 세트가 하나의 PG를 구성한다.
설명한 DVD에서, "플레이리스트(PL) 편집"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즉, 사용자로부터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동작을 수신한 후에, 기록 장치가 새로운 셀 정보를 생성하고(1), 각각의 셀 정보에 재생 순위를 할당하기 위한 동작의 수신 후에, PL 정보라는 데이터를 생성한다(2). PL 정보는 플레이리스트를 정의하는 실체 정보이다.
이하 플레이리스트 편집에 의해 얻어지는 PL 정보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3은 PL 플레이리스트 편집에 의해 생성되는 PL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PL 정보 #2로 정의된 재생 경로는 VOB#1의 일부분 (1), VOB#2의 일부분 (2) 및 VOB#3의 일부분 (3)을 (1), (2) 및 (3)의 순서로 재생하도록 정한다. 플레이리스트 #1로 정의된 재생 경로는 VOB#1의 일부분 (4) 및 VOB#2의 일부분 (5)를 (4) 및 (5)의 순서로 재생하도록 정한다. PL 정보 #1은 셀 정보 #1, #2를 포함하고, PL 정보 #2는 셀 정보 #1, #2 및 #3을 각각 포함한다. 이들 셀 정보는 타임 맵을 통한 간접 참조에 의해 일부분 (1)로부터 일부분 (5)까지의 개시/종료 포인트를 특정한다. 셀 정보에 의해 특정되어 있으므로, 일부분 (1)∼(5)는 셀로서 취급된다.
도 3에서, 화살표 rf1, rf2, rf3, rf4, rf5 및 rf6은 이러한 간접 참조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화살표 rf1 및 rf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VOB #1, #2 및 #3의 일부분 (1)∼(5)에 대한 개시 포인트 st1, st2 및 st3과 종료 포인트 ed1, ed2 및 ed3은 각각의 타임 맵을 통한 간접 참조에 의해 특정된다.
PL 편집 시에, VOB 시퀀스에 나머지 부분("비참조 부분"이라 함)이 종종 생성된다. 비참조 부분은 어떤 PL을 구성하는 어떠한 셀 정보에 의해서도 참조되지 않는 부분이고, 삭제될 가능성이 크다. 기록 장치는 PL 편집을 실행한 후에, 비참조 부분을 추출하여 추출된 비참조 부분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된 부분의 삭제를 촉구한다. 그 후, 사용자 동작에 따라, 기록 장치는 삭제를 실행한다. 비참조 부분이 삭제되는 편집 프로세스는 "실체 편집"이라고 한다.
상기 언급한 비참조 부분의 삭제는 DVD의 하나의 영역 즉, VOB 시퀀스의 비참조 영역이 저장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자유 영역으로 릴리즈하는 것에 유념하라. 그러한 자유 영역으로의 릴리즈는 DVD의 파일 시스템내의 파일 엔트리의 갱신에 의해 실행된다. 이하, 자유 영역으로의 릴리즈를 상세히 설명한다. DVD에서, VOB 시퀀스는 파일에 저장된 상태로 기록된다. 통상의 파일과 같이, 파일 시스템의 파일 엔트리는 DVD 내에서 VOB 시퀀스의 각 VOB가 기록되는 위치 및 VOB의 길이를 관리한다. 이러한 파일 엔트리에 의한 관리에 의해, VOB 시퀀스는 통상의 파일과 같이 분할될 수 있다. VOB의 어드레스는 파일 엔트리에 의해 관리되기 때문에, VOB 시퀀스에 의한 점유 영역 중에서 비참조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의 부분이 스킵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내도록 파일 엔트리가 갱신되면, DVD의 해당 부분은 자유 영역으로 릴리즈된다. 이것은 비참조 부분의 삭제의 의미이다.
도 3에서 설명한 PL 정보의 예가 생성될 때, VOB 시퀀스의 어느 부분이 비참조 부분일 수 있는가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3의 예에서, VOB 시퀀스의 프론트 엔드로부터 부분 (1)의 바로 앞까지는 제 1 비참조 부분(비참조 부분 #1)이고, 부분 (4)의 바로 뒤부터 부분 (2)의 바로 앞까지는 제 2 비참조 부분(비참조 부분 #2)이며, 부분 (5)의 바로 뒤부터 부분 (3)의 바로 앞까지는 제 3 비참조 부분(비참조 부분 #3)이고, 부분 (3)의 바로 뒤부터 VOB 시퀀스의 리어 엔드까지는 제 4 비참조 부분(비참조 부분 #4)이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 장치는 그러한 비참조 부분의 삭제를 실행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기록 장치의 실시예 중에서, 기록 장치의 이용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 장치는 텔레비전 및 원격 제어기와 함께, 홈 씨어터 시스템을 형성하고, 그러한 텔레비전과 원격 제어기와 함께 사용자의 사용을 위해 제공된다. 사용자에 의한 이용은 사용자가 텔레비전(101) 및 원격 제어기(102)와 협력하여 PL 편집 및 실체 편집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기록 장치 및 DVD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 장치는 텔레비전(101)에 접속되고, 원격 제어기(102)를 통해 동작되어 DVD(100)를 재생한다.
텔레비전(101)은 계층화된 메뉴로 형성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고, PL 및 PG용의 영상을 재생한다.
원격 제어기(102)는 계층화된 GUI에 관한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장치이다. 그러한 동작을 수신하기 위해, 원격 제어기(102)는 GUI를 구성하는 메뉴를 호출하기 위한 메뉴 키, 메뉴를 구성하는 GUI 부분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화살표 키, 메뉴를 구성하는 GUI 부분에 관련하는 결정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결정 키, 및 계층화된 상위 메뉴로 복귀하기 위한 리턴 키를 구비한다.
이러한 텔레비전(101)에 디스플레이되는 GUI를 설명한다. 텔레비전(101)에서, GUI는 OSD(On Screen Display)에 의해 도시된다. OSD 데이터는 배경 컬러 및 문자 컬러와 같은 룩업 테이블(LUT)에 나타내는 2, 4개의 컬러를 이용하여 간단히 그래픽 도시된다. 한편, PG를 구성하는 VOB 및 관리 정보는 DVD에 미리 저장되고, 이러한 OSD는 필요한 경우 기록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사용자 동작에 따라 자유롭게 갱신된다. 기록 장치는 OSD를 이용하여 플레이리스트 편집 및 실체 편집에 필요한 GUI를 도시하고, OSD를 자유롭게 갱신함으로써 대화식 동작을 실현한다.
기록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대화식 동작에 사용되는 GUI는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낸다. 대화식 동작에 사용되는 GUI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층화된 메뉴로 형성된다. 도 6에서, 이러한 계층화된 구조에서의 최상위에 라우트 메뉴 mn1이 위치된다. 사용자가 원격 제어기내의 메뉴 키를 누를 때, 라우트 메뉴 mn1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라우트 메뉴는 아이템 "PG 재생", "플레이리스트 재생", "플레이리스트 편집", "실체 편집" 등 중에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라우트 메뉴 아래에, "PG 재생 메뉴", "PL 재생 메뉴", "PL 편집 메뉴" 및 "실체 메뉴" 등과 같은 하위 메뉴가 존재한다.
도 6에서의 화살표 기호는 하나의 메뉴로부터 다른 메뉴로의 전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라우트 메뉴에서 "플레이리스트 편집"이 선택되면, 화살표 기호 yc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우트 메뉴로부터 PL 편집 메뉴로의 전환이 실행된다. 라우트 메뉴에서 아이템 "PL 재생"이 선택되면, 화살표 기호 yc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우트 메뉴로부터 PL 재생 메뉴로의 전환이 실행된다. 라우트 메뉴에서 아이템 "PG 재생"이 선택되면, 화살표 기호 yc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우트 메뉴로부터 PG 재생 메뉴로의 전환이 실행되고, 라우트 메뉴에서 아이템 "실체 편집"이 선택되면, 화살표 기호 yc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우트 메뉴로부터 실체 편집 메뉴로의 전환이 실행된다.
이하, 플레이리스트 편집에 사용되는 메뉴를 설명한다. 도 7은 플레이리스트 편집에 사용되는 메뉴의 일례를 나타낸다.
플레이리스트 편집 메뉴는 슬라이드 바(slide bar) wd1, 윈도우 wd2,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 버튼 wd3 및 wd4, 셀 네비게이터 wd5, 그리고 수치 필드 wd6, wd7 및 wd8과 같은 GUI 부분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드 바 wd1은 셀에 대한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GUI 부분이다. 원격 제어기(102)의 좌우 키를 누름으로써, 슬라이드 바가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가이드 상에서 이동될 수 있고, 위치 결정 동작은 가이드상의 슬라이드 바의 위치를 VOB상의 위치로 변환함으로써 실행된다. 예를 들어, 플레이리스트 편집의 대상이 2시간 분량의 VOB이고, 슬라이드 바가 가이드의 실질적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VOB의 프론트 엔드로부터 1시간 후의 위치가 특정된다.
윈도우 wd2는 VOB의 부분이 슬라이드 바에 대한 위치 결정 동작에 의해 특정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GUI 부분이다. 슬라이드 바와 관련하는 위치 결정 동작과 윈도우 wd2에 의한 피드백에 따라,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될 위치의 미세 조정이 실현된다.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 버튼 wd3 및 wd4는 가이드에서 슬라이드 바의 위치를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로 최종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GUI 부분이다.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 버튼을 누름으로써, 셀에 대한 인 포인트 및 아웃 포인트가 결정되면, 이로 인해 셀이 생성된다.
셀 네비게이터 wd5는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와 관련하여 슬라이드 바 및 결정 동작에 의한 위치 결정에 의해 생성되는 셀을 그래픽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셀은 셀(재생 구간)의 인 포인트에 위치하는 화상 데이터의 썸네일(thumbnail) 및 셀의 아웃 포인트에 위치하는 화상 데이터의 썸네일에 의해 표시된다. 2 이상의 셀이 이미 생성된 경우, 셀 네비게이터는 생성된 셀과 동일한 갯수로 스크린에 나타난다(도 7에서의 3개의 셀 네비게이터는 3개의 셀이 미리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PL은 이들 셀 네비게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셀로 구성된다.
수치 필드 wd6, wd7 및 wd8은 각 셀 네비게이터에 대한 순위 할당 동작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순위 할당 동작은 수치 필드에 1∼n 중에서의 수치를 입력함으로써 실행된다. "n"은 셀 네비게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셀의 총 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수치 필드에 입력되는 수치는 대응하는 셀의 재생 순위로 해석된다.
PL의 생성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다, 즉, 셀이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 버튼에 관련되는 결정 동작에 의해 그리고 슬라이드 바에 의한 위치 결정 동작에 의해 정해진 후, 각 셀의 재생 순위가 각 셀 네비게이터의 수치 필드에 수치의 입력에 의해 정해진다.
이어서, 기록 장치가 PG 재생에 사용하는 메뉴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기록 장치가 PG 재생에 사용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메뉴에는, 3개의 PG 네비게이터가 배치되어 있다. PG 네비게이터는 PG를 그래픽으로 기술하는 GUI 부분이다. PG 네비게이터에는, 이하, 즉, PG의 기록 일시 "gv1"(기록일 및 기록 시간으로 구성됨), PG가 방송된 방송 채널 "gv2", PG의 타이틀 "gv3", 그리고 PG의 프론트 엔드/리어 엔드 영상에 대한 각각의 썸네일 "gv4" 및 "gv5"가 배치되어 있다. PG 네비게이터는 정상 상태, 포커스 상태 및 활성 상태의 3개의 상태를 갖는다. 정상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상태이고, 포커스 상태는 원격 제어기의 화살표 키에 의해 선택적인 재생으로 선택된 상태이며, 활성 상태는 재생될 프로그램으로 결정된 상태이다. 각 PG 네비게이터의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어느 PG가 재생되어야 할지"에 관한 선택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PL 재생에 사용되는 메뉴를 설명한다. 도 9는 기록 장치가 PL 재생에 사용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메뉴는 2개의 PL 네비게이터를 갖는다. 각 PL 네비게이터에는, PL을 구성하는 셀 네비게이터 "cv1", "cv2", "cv3"이 셀의 재생 순위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PL 네비게이터에는 편집 일시 "nt1" 및 타이틀 "nt2"가 포함되어 있다.
PL 네비게이터는 PG 네비게이터와 같이, 정상 상태, 포커스 상태 및 활성 상태의 3개의 상태를 갖는다. 정상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상태이고, 포커스 상태는 원격 제어기의 화살표 키에 의해 선택적인 재생으로 선택된 상태이며, 활성 상태는 재생될 프로그램으로 결정된 상태이다. 기록 장치는 이러한 PL 재생 메뉴에서 활성 상태로 설정된 PL 네비게이터에 대응하는 PL을 재생한다.
이어서, 실체 편집 메뉴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실체 편집 메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체 편집 메뉴는 복수의 비참조 부분 네비게이터 "uv1", "uv2" 및 "uv3"과, 일괄 삭제 버튼 "un5"를 포함한다. 각 비참조 부분 네비게이터는 비참조 부분을 그래픽으로 나타내는 GUI 부분이다. 비참조 부분에 관한 식별자와 2개의 썸네일 "ut2" 및 "ut3"은 각 참조 부분 네비게이터를 나타낸다. 비참조 부분 네비게이터에서의 2개의 썸네일은 각각 비참조 부분의 프론트 엔드/리어 엔드에 각각 속하는 화상 데이터를 축소함으로써 얻어지는 축소 화상이다. 각 비참조 부분 네비게이터에 포함되는 썸네일을 주목함으로써, 사용자는 비참조 부분이 보존할 가치가 있는 중요한 영상을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추측할 수 있다.
비참조 부분 네비게이터는 정상 상태, 포커스 상태 및 활성 상태의 3개의 상태를 갖는다. 정상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상태이고, 포커스 상태는 원격 제어기의 화살표 키에 의해 선택적인 삭제로 선택된 상태이며, 활성 상태는 삭제될 부분으로 결정된 상태이다. 기록 장치는 사용자의 실체 편집의 선택에 응답하여 비참조 부분 네비게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체 편집을 실행하려고 할 때, 사용자는 얼마나 많은 부분이 삭제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일괄 삭제 버튼 un5는 원격 제어기의 화상 기록 키로서 할당되는 GUI 부분이고, 메뉴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비참조 부분이 공통적으로 삭제되어야 하는 동작을 수신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 장치의 이용은 기록 장치가 전술한 GUI를 이용하여 플레이리스트 편집, 실체 편집 및 재생 동작을 실행하게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기록 장치가 갖는 여러 가지 실시예 중에서, 기록 장치의 생산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 장치는 주로 시스템 LSI 및 드라이브 디바이스의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이들 부분을 장치의 캐비넷(cabinet) 또는 기판(board)에 장착함으로써 산업적으로 생산 가능하게 된다. 시스템 LSI는 기록 장치의 기능을 실행하는 여러 개의 프로세스 유닛이 집적되어 있는 회로이다. 도 11은 기록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 장치는 DVD 드라이브(1)와 시스템 LSI로 구성된다. 시스템 LSI는 DVD 드라이브(1), 튜너(2), MPEG 인코더(3), MPEG 디코더(4)(시스템 디코더(5), 오디오 디코더(6) 및 비디오 디코더(7)를 포함), 프레임 메모리(8a, b, c), 순서 제어부(9), OSD 생성기(10), 신호 합성부(11) 및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12)와 같은 하드웨어 자원으로 구성된다. 이들 구성 요소를 이하 설명한다.
DVD 드라이브(1)는 DVD(100)가 적재되는 장치이다. DVD 드라이브(1)는 DVD로부터 임의의 VOBU를 판독하고, DVD로부터 임의의 VOBU를 삭제한다. VOBU의 판독/삭제는 시스템 LSI가 발행하는 판독 명령 및 삭제 명령에 따라 실행된다.
튜너(2)는 텔레비전용의 방송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MPEG 인코더(3)에 출력한다.
MPEG 인코더(3)는 튜너(2)에 의해 복조된 영상/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함으로써 VOBU를 획득한다. 또한, MPEG 인코더(3)는 미리 인코딩된 2개의 VOBU를 다시 인코딩하는 재인코딩을 실행하여 이들을 하나의 VOBU로 합성한다.
MPEG 디코더(4)는 DVD 드라이브(1)에 의해 판독된 VOBU를 디코딩하는 전용 회로이고, 시스템 디코더(5), 오디오 디코더(6) 및 비디오 디코더(7)가 구비되어 있다.
시스템 디코더(5)는 비디오 디코더(7)가 VOBU에 다중 분리를 실행하게 함으로써 GOP 및 복수의 오디오 프레임을 획득한다.
오디오 디코더(6)는 복수의 오디오 프레임을 디코드함으로써 오디오 신호를 획득한다.
비디오 디코더(7)는 양방향 예측(bidirectionally predictive)(B) 화상, 예측(predictive)(P) 화상 및 인트라(intra)(I) 화상에 대해 VLD(variable-length code decoding), IQ(inverse quantization), IDCT(inverse DCT conversion) 및 MC(motion compensation)과 같은 프로세스를 실행함으로써, 프레임 메모리(8a, b, c)에 디지털 비압축 상태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프레임 메모리(8a, b, c)는 3 종류의 화상 데이터(즉, I 화상, B 화상 및 P 화상)에 각각 할당된다. 따라서, 각 프레임 메모리(8a, b, c)는 화상 데이터를 3 종류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함으로서 획득된 비압축 상태로 별도로 저장한다.
순서 제어부(9)는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할당된 PTS(presentation time stamp)에 의해 나타내는 타이밍에서 프레임 메모리(8a, b, c)에 비압축 상태로 저장되는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판독한다. 반면에, 순서 제어부(9)는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할당된 PTS 자체를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12)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DVD(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VOBU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화상 데이터는 "인코딩 순서"라고 하는 순서로 정렬되어 있다. VOBU의 재생 시에, 화상 데이터는 재생 순서로 재정렬되어야 한다. 순서 제어부(9)는 그러한 재정렬을 실행하기 위해, 프레임 메모리(8a, b, c)에 각각 저장되어 있는 I 화상, P 화상 및 B 화상을 PTS에 나타내는 순서에 따라 판독한다.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에 할당된 PTS가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12)에 출력되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12)은 프레임 메모리(8a, b, c)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화상 메모리가 대응하는 재생 시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메모리(8a, b, c)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축소한 후 PL 편집 메뉴에 배치하는 것과 같이, 화상 데이터가 자유롭게 사용된다.
OSD 생성기(10)는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메뉴를 나타내는 OSD를 생성하고, OSD를 신호 합성부(11)에 출력하여 OSD가 화상 데이터와 합성된다. 그 후, OSD는 원격 제어기로 실행되는 사용자 동작에 따라 갱신된다. OSD의 갱신은 PL 네비게이터 및 PG 네비게이터를 정상 상태에서 포커스 상태로 변경하는 것과, 가이드 상에서 슬라이드 바를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OSD 생성기(10)에 의해 실행되는 OSD 갱신으로 인해, 셀의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동작과, 각 셀에 재생 순서를 할당하는 순서 할당 동작과 같은 동작이 실현된다.
신호 합성부(11)는 비압축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수평 라인과 OSD의 수평 라인을 혼합함으로써 OSD와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며, 그것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텔레비전용의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혼합 동작에서 설정된 혼합비에 따라, 신호 합성부(11)는 화상 데이터를 OSD에 의해 덮여지게, 또는 화상 데이터가 투시되게 할 수 있다.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12)은 CPU(12a), RAM(12b) 및 명령 ROM(12c)이 구비되어 있고, CPU(12a)가 명령 ROM(12c)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함으로써 통합 제어를 실행한다. 명령 ROM(12c)은 시간 어드레스간의 변환 기능을 실현하는 기본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을 미리 저장한다. 이들 프로그램은 CPU(12a)에 의해 판독됨으로써 시간 어드레스 변환부(13) 및 어플리케이션부(14)로 기능한다.
지금까지 기록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어서, 기록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기록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은 시간 어드레스 변환부(13)와 어플레이케이션부(14)로 구성된다.
이하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시간 어드레스 변환부(13)는 어플리케이션부(14)로부터 특정된 VOB-ID와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에 대한 상대 시간을 수신한다. 그 후, 이들 ID 및 상대 시간은 VOBU의 개시 어드레스로 변환된다. 이러한 변환 동작은 타임 맵을 참조하여 실행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부(14)에 의해 수신되는 VOB-ID에 의해 식별되는 VOB에서,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를 각각 포함하는 VOBU의 위치에 관한 산출이 타임 맵을 참조하여 VOB의 선두로부터 바이트 단위로 실행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VOBU의 개시 어드레스가 산출된다. 그 후, 이러한 개시 어드레스에 대하여 판독 명령 및 삭제 명령이 DVD 드라이브(1)에 발행된다. 시간 어드레스 변환부(13)를 수반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부(14)는 PL 편집, 실체 편집 및 PG/PL 재생을 실행할 때, DVD내의 각 VOBU의 어드레스에 관하여 생각할 필요가 없게 된다.
어플리케이션부(14)는 응용 프로그램과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12)의 하드웨어간의 협력에 의해 실현되는 실질적인 수단이고, 플레이리스트 편집부(15), 재생 제어부(16), 비참조 부분 추출부(17), 실체 편집부(18) 및 가상 자유 영역 산출부(19)를 구비하고 있다.
PL 편집부(15)는 셀의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동작과, 플레이리스트 편집 메뉴의 디스플레이에 응답하여 실행되는 각 셀에 재생 순서를 할당하는 순서 할당 동작에 기초하여 PL을 생성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플레이리스트 편집부(15)는 인 포인트가 속하는 VOB의 VOB-ID를 얻을 뿐만 아니라 VOB의 프론트 엔드로부터 인 포인트까지의 상대 시간(Cell_Start_PTM)을 얻는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셀의 인 포인트가 결정된다. 유사하게, VOB의 프론트 엔드로부터 아웃 포인트까지의 상대 시간(Cell_End_PTM)이 얻어진다.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를 식별하는 VOB-ID, Cell_Start_PTM 및 Cell_End_PTM이 획득되면, 이것은 셀 정보의 생성을 의미한다. 셀 정보의 생성이 2회 이상 실행되고 순서 할당 동작이 셀 네비게이터에 대하여 실행된 후에, 셀에는 재생 순서가 할당되고 셀이 재생 순서에 따라 메모리에 배치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PL이 획득된다.
재생 제어부(16)는 DVD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PG를 나타내는 PG 네비게이터와 플레이리스트 편집부(15)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PL을 텔레비전(101)에 디스플레이한다. 그 후, 재생 제어부(16)는 PG 네비게이터 및 PL 네비게이터에 관련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PL 또는 PG 중 어느 하나를 재생하기 위해 DVD 드라이브(1) 및 MPEG 디코더(4)를 제어한다. 이러한 재생 제어는 아래의 프로세스를 통해 실행된다. 즉, PL이 선택되면, 재생 제어부(16)는 PL 정보를 구성하는 셀 정보의 VOB-ID 및 상대 시간에 기초하여, 시간 어드레스 변환부(13)가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 및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에 대한 개시 어드레스를 각각 탐색하게 한다. 그 후, 재생 제어부(16)는 DVD 드라이브(1)에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로부터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까지 판독하도록 명령한다. 그 후, 재생 제어부(16)는 MPEG 디코더(4)에 상기 방법으로 판독된 VOBU 중에서 인 포인트로부터 아웃 포인트까지의 화상 데이터를 재생/출력하도록 명령한다. 상기와 동일한 동작이 PL을 구성하는 모든 셀에 대해 반복되며, 그것에 의해 PL에 기초하는 재생 동작을 실현한다.
비참조 부분 추출부(17)는 각각의 PL을 구성하는 셀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참조되지 않는 VOB의 부분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비참조 부분 추출부(17)가 추출하는 부분은 (ⅰ) VOB 시퀀스의 프론트 엔드로부터 어떤 셀의 인 포인트 바로 앞까지, (ⅱ) 어떤 셀의 바로 뒤로부터 VOB 시퀀스의 리어 엔드까지, 및 (ⅲ) 어떤 셀의 아웃 포인트의 바로 뒤로부터 이후의 셀의 인 포인트의 바로 앞까지 중 하나이다. 비참조 부분 추출부(17)는 이들 비참조 부분의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를 VOB-ID 및 VOB의 프론트 엔드로부터의 상대 시간으로 나타낸다.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를 VOB-ID 및 VOB의 프론트 엔드로부터의 상대 시간으로 나타내는 이유는 셀의 표기 시스템간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들 동작에 의해, 비참조 부분에 대한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가 리스트되어 있는 리스트 정보(비참조 부분 리스트)가 획득된다.
실체 편집부(18)는 도 10의 실체 편집 메뉴의 비참조 부분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하도록 명령을 받았을 때, 시간 어드레스 변환부(13)가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의 어드레스 및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의 어드레스를 산출하게 한다. 그 후, 실체 편집부(18)는 시간 어드레스 변환부(13)를 통해 DVD 드라이브(1)에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로부터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까지 삭제하도록 명령한다. 그러한 삭제는 DVD의 자유 영역을 확장시킨다. 비참조 부분을 삭제하기 전에, 실체 편집부(18)는 DVD 드라이브(1)가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 및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를 판독하게 하고,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 및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의 재인코딩이 실행되도록 명령을 제공하여 이들 VOBU가 끊임없이 재생된다. 재인코딩 시에,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 뒤에 위치하는 VOBU와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 앞에 위치하는 VOBU가 재인코딩의 대상이 될 가능성을 갖는다.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 앞에 위치하는 VOBU가 재인코딩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이들 VOBU 중 어느 하나가 인 포인트 화상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될 오디오 프레임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 뒤에 위치하는 VOBU가 재인코딩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이들 VOBU가 개방 GOP를 포함하고 인 포인트 화상 데이터가 B 화상 및 P 화상 중 하나인 경우, 인 포인트에 대응하는 이러한 B 또는 P 화상이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 앞의 VOBU 중의 화상 데이터를 참조하기 쉽기 때문이다.
가상 자유 영역 산출부(19)는 비참조 부분 중 어느 하나가 삭제를 위해 선택될 때, 사용자에게 가상 자유 영역 크기를 디스플레이한다. 비참조 부분의 삭제에 있어서는,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 및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를 재인코딩하는데 사용되는 양의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부가적으로 저장되는 것에 유념하라. 따라서, 가상 자유 영역의 산출 시에, 삭제될 비참조 부분의 데이터 크기로부터 이러한 부가적인 양을 차감한 후의 크기가 가상 자유 영역 증대량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즉, 식 (비참조 부분의 데이터 크기) - (재인코딩에 의해 획득된 VOBU의 크기)에 의해 획득되는 값이 가상 자유 영역 증대량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재인코딩에 의해 초래되는 증대량을 산출하기 위해, 가상 자유 영역 산출부(19)는 MPEG 인코더(3)가 재인코딩을 실행하게 한다. 그 후, 산출된 데이터 크기를 이용하여, 가상 자유 영역 산출부(19)는 상기 방법으로 산출된 가상 자유 영역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이 값이 가상 자유 영역 크기로 디스플레이되는 이유는 비참조 부분이 매우 작은 크기인 경우, 상기 식에 의해 획득된 값이 사용자가 기대하는 것보다 작아 사용자를 실망시키기 때문이다.
플레이리스트 편집부(15)로부터 가상 자유 영역 산출부(19)까지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부(14)는 도 12, 도 13, 도 14, 도 21 및 도 22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프로세스가 컴퓨터 언어(예컨대, C 언어, 기계어 및 자바(Java) 언어)로 기입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을 생성함으로써 생산된다. 어플리케이션부(14)의 생산을 위해 기입될 필요가 있는 프로세스는 도 12, 도 13, 도 14, 도 21 및 도 2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원격 제어기의 메인 루틴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에서, 라우트 메뉴가 단계 S10에서 디스플레이된 후에, 제어는 단계 S1∼S3으로 구성되는 루프 프로세스로 이동한다.
어플리케이션부(14)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 S1∼S3은 선택 대기 루프를 구성한다. 이 루프가 대기하는 프로세스는 PL 편집, 재생 프로세스 및 실체 편집과 같은 것이다. PL 편집이 선택되는 경우(단계 S1: Yes), 플레이리스트 편집부(15)는 단계 S4에서 PL 편집을 실행하고, PL을 획득한다. 이 후, 단계 S5에서 비참조 부분 추출부(17)는 VOB 시퀀스내의 PL의 셀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참조되지 않는 부분을 비참조 부분으로 추출하고, 단계 S6에서 비참조 부분에 대한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를 나타내는 상대 시간 및 VOB-ID가 메모리에 기입되며, 그것에 의해 비참조 부분 리스트를 획득한다.
PG/PL 재생 프로세스가 선택되는 경우, 재생 제어부(16)는 단계 S7에서 사용자가 PL 또는 PG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PG 재생 메뉴 및 PL 재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그 후, 재생 제어부(16)는 단계 S8에서 DVD 드라이브(1) 및 MPEG 디코더(4)에 단계 S8에서 선택된 PL/PG를 재생하도록 명령한다. 실체 편집이 선택되는 경우, 실체 편집부(18)는 단계 S9에서 비참조 부분 리스트에 나타내는 비참조 부분을 삭제함으로써 자유 영역을 획득한다.
이어서, 도 13을 참조하여, 플레이리스트 편집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13은 플레이리스트 편집부(15)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의 플로우차트에서의 단계 S11에서, 슬라이드 바 및 윈도우 등을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 편집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그 후, 좌우 키 누름(단계 S12),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 결정 버튼 누름(단계 S13) 및 리턴 키 누름(단계 S14)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명령에 따라, 단계 S15∼S17, 단계 S18∼S23 및 단계 S24∼S29의 프로세스가 선택적으로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15∼S17에서, 슬라이드 바는 눌러진 키의 방향으로 단위 길이만큼 슬라이딩된다(단계 S15). 슬라이드 바가 단위 길이로 슬라이딩될 때마다, 가이드 상에서의 슬라이드 바의 위치는 VOB-ID 및 상대 시간으로 변환된다(단계 S16). 이러한 동작은 VOB-ID 및 상대 시간에 의해 식별되는 화상 데이터를 축소 후 윈도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단계 S17).
상술한 단계 S15∼S17에서, 좌우 키 누름이 계속되는 한, 슬라이드 바는 계속적으로 슬라이딩된다. 그 후, 스라이드 바의 위치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를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에 대한 대안으로서 결정한다.
단계 S18∼S23은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 결정 버튼이 눌러질 때 슬라이드 바의 위치를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로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결정 전에, 인 포인트가 이미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이 실행되고(단계 S18), 판정이 부정인 경우, 슬라이드 바의 위치가 VOB-ID 및 상대 시간으로 변환되며(단계 S19), 변환에 의해 획득된 VOB-ID 및 상대 시간이 셀 정보에서 인 포인트로 설정된다(단계 S20).
대응하는 인 포인트가 이미 설정된 경우, 가이드내의 슬라이드 바의 위치가 VOB-ID 및 상대 시간으로 변환되고(단계 S21), VOB-ID 및 상대 시간은 셀 정보에서 아웃 포인트로 설정된다(단계 S22). 그 후,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를 나타내는 셀 정보가 메모리에 기입된다. 그 후,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로 구성된 셀 네비게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단계 S23).
슬라이드 바가 이동되고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 결정 버튼이 눌러지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반복함으로써, 셀 정보가 순차적으로 생성되고 복수의 셀 네비게이터가 메뉴 상에 나타난다.
단계 S24∼S29는 리턴 키가 눌러질 때 실행되는 복수의 셀 네비게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S24∼S29에서, 대응하는 셀 네비게이터에 대한 수치 필드가 활성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고(단계 S26), 수치 입력을 대기한다(단계 S27). 수치가 입력되면, 입력된 수치는 대응하는 셀의 재생 순서로 설정된다(단계 S28). 지금까지 설명한 프로세스는 복수의 셀 네비게이터에 대해 반복된다(단계 S24, S25). 모든 셀에 대한 재생 순서가 설정될 때, 셀 정보는 이러한 재생 순서에 따라 배치됨으로써, PL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29). 이것으로 플레이리스트 편집에 대한 설명을 끝낸다.
이하 도 1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비참조 부분을 추출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14는 실체 편집부(18)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의 플로우차트에서, 변수 "i"는 추출 가능한 비참조 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x"는 PL에 속하는 셀 중에서 비참조 부분의 경계 기호(delimiter)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작용한다.
변수 "i"가 초기값 1로 리셋된 후에, VOB 시퀀스의 선두 부분이 비참조 부분이 되어야 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이 단계 S31에서 실행된다. 이 단계는 구체적으로 도 15의 (a)의 경우인지 도 15의 (b)의 경우인지에 관한 판정을 위한 것이다. 도 15의 (a)는 VOB 시퀀스의 선두 부분이 PL의 셀로 특정된 경우이다. 도 15의 (b)는 VOB 시퀀스의 선두 부분이 어떠한 PL의 셀로도 특정되지 않은 경우이다. 도 15의 (b)의 경우에, VOB 시퀀스의 선두 부분이 비참조 부분일 수 있다.
인 포인트로 특정된 VOB 시퀀스의 프론트 엔드를 갖는 셀이 없는 경우, 단계 S33에서, VOB 시퀀스의 선두 부분이 도 15의 (b)의 화살표 기호 ky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참조 부분 "i"의 인 포인트로 되도록 설정된다. 그 후, 단계 S34에서, 하나의 PL에 속하는 셀 #1∼#n 중에서, 첫 번째로 나타나는 인 포인트를 갖는 셀이 화살표 기호 ky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Cell#x로 특정된다. 단계 S35에서, Cell#x 앞의 부분이 비참조 부분으로 경계가 결정된다.
이러한 경계 결정은 도 15의 (b)의 화살표 기호 ky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Cell#x의 인 포인트의 바로 앞의 포인트가 비참조 부분 "i"의 아웃 포인트로서 특정되도록 실행된다(단계 S35). 이렇게 함으로써, 화살표 기호 ky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칭 패턴으로 나타내는 부분이 비참조 부분으로 결정되고, 제어는 단계 S37로 이동된다.
어떠한 PL에도 VOB 시퀀스의 프론트 엔드를 인 포인트로 특정하는 셀이 없는 경우, VOB 시퀀스의 선두 부분을 비참조 부분으로 특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단계 S36에서, 인 포인트가 VOB 시퀀스의 프론트 엔드인 셀이 화살표 기호 ky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Cell#x로 특정되고, 제어는 단계 S37로 이동된다.
단계 S37은 단계 S33∼S35에서 실행된 프로세스와 단계 S36의 프로세스 사이의 교차점에 위치됨으로써 단계 S37∼S43으로 구성되는 루프 동작에 대한 입구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루프 동작은 이하와 같이 설명되는 프로세스의 끊임 없는 반복이다. 먼저, Cell#x의 아웃 포인트의 바로 뒤의 포인트가 비참조 부분 "i"의 인 포인트로 설정되고(단계 S40), 비참조 부분 "i"의 인 포인트의 뒤에 위치하는 셀이 새로운 Cell#x로 설정되며(단계 S41, 단계 S42), 새로운 Cell#x의 인 포인트의 바로 앞의 포인트가 비참조 부분 "i"의 아웃 포인트로 설정된다(단계 S43).
비참조 부분을 특정하는 변수 "i"는 단계 S39에서 증가된다. 즉, 변수 "i"는 이러한 루프 동작이 하나의 루프를 끝낼 때마다 증가되고, 이전의 Cell#x와 새로운 Cell#x 사이의 부분이 i번째 비참조 부분이 되도록 비참조 부분으로 특정된다. 도 16은 이러한 루프 동작의 반복에 의해 비참조 부분이 어떻게 특정되는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서 Cell#x는 바로 뒤에 셀이 존재하지 않고 어떠한 중첩하는 셀도 없다. 따라서, 단계 S40에서, 아웃 포인트 바로 뒤의 포인트가 화살표 기호 ty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참조 부분 "i"의 인 포인트가 되도록 설정된다. 그 후, 비참조 부분 "i"의 바로 뒤에 위치하고, 이러한 인 포인트에 가장 가까운 셀 #y가 화살표 기호 ty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로운 Cell#x로 되도록 설정된다(단계 S41, 단계 S42). 새로운 Cell#x의 인 포인트 바로 앞의 포인트는 비참조 부분 "i"의 아웃 포인트가 되도록 설정된다(단계 S43). 이렇게 함으로써, 해칭 패턴으로 나타내는 부분이 화살표 기호 ty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참조 부분으로 결정된다. 이 후에, 이러한 새로운 Cell#x의 뒤에 오는 셀에 대해 동일한 동작이 반복된다. 이들은 단계 S37∼S43의 루프 동작의 내용이다.
이러한 루프 동작을 종료하는 조건은 Cell#x의 아웃 포인트가 VOB 시퀀스의 리어 엔드와 일치하는 것(단계 S37: Yes)과, 어떤 PL 내에 비참조 부분 "i"의 인 포인트 뒤에 위치하는 인 포인트를 갖는 셀이 존재하지 않는 것(단계 S41: No)이다. 이들 종료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이러한 루프 동작은 반복된다.
도 17의 (a) 및 (b)는 루프 동작의 종료 조건을 충족하는 두가지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의 (a)는 Cell#x의 아웃 포인트가 VOB 시퀀스의 리어 엔드와 일치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이 플로우차트의 동작이 종료된 후, 제어는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도 17의 (b)는 Cell#x의 아웃 포인트가 VOB 시퀀스의 리어 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루프 동작의 단계 S40에서, Cell#x의 아웃 포인트의 바로 뒤의 포인트가 화살표 기호 hy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참조 부분의 인 포인트로 설정된다. 따라서, 화살표 기호 hy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VOB 시퀀스의 리어 엔드가 비참조 부분의 아웃 포인트로 설정된다. 이들 동작의 결과, 비참조 부분이 화살표 기호 hy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정된다.
상기 설명은 Cell#x와 중첩하는 셀이 존재하지 않고, Cell#x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셀이 없다는 전제를 기초로 한다. 그러한 중첩 셀, 또는 Cell#x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셀이 존재하는 경우(단계 S38: Yes), 단계 S38 및 단계 S44가 루프 동작을 구성한다. 이러한 루프 동작은 단계 S39∼S43을 실행하기 전에 실행되는 것이다. 제어가 단계 S38∼S44를 통해 전해지지 않으면, 단계 S39∼S43은 실행되지 않는다. 단계 S38∼S44는 Cell#x와 중첩하는 셀과, Cell#x 바로 뒤에 위치하는 셀을 새로운 Cell#x로 설정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다(단계 S44).
도 18 및 도 19는 단계 S38∼S44의 프로세스가 반복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S38∼S44에서 새로운 셀이 될 수 있는 셀은 도 18 및 도 19에 각각 나타내는 셀 #w 또는 셀 #z이다. 도 18의 (a)의 셀 #w는 Cell#x 바로 뒤에 인 포인트를 갖고, Cell#x의 아웃 포인트 뒤에 아웃 포인트를 갖는다. 도 19의 셀 #z는 Cell#x 내에 인 포인트를 갖고, Cell#x의 아웃 포인트 뒤에 아웃 포인트를 갖는다. 이들 셀 #w 및 셀 #z는 이들 셀이 Cell#x 뒤에 오더라도, 비참조 부분의 경계 기호로 될 수 없다. 이러한 단계 S44는 비참조 부분의 경계 기호로 작용하지 않고 이들 셀을 스킵하는 셀을 결정한다. 이러한 스킵에 따라, 도 18의 (a) 및 도 19의 (a)의 셀 #w 및 셀 #z가 화살표 기호 ty2 및 ty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새로운 Cell#x로 되도록 만들어진다.
이들 스킵의 결과, 새로운 Cell#x에 각각 이어지는 자유 영역이 비참조 부분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루프 동작을 종료하는 하나의 조건은 Cell#x와 중첩하는 셀이 없는 위치 및 Cell#x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셀이 없는 위치에 Cell#x가 도달하는 것이다. 다른 종료 조건은 선두로부터 Cell#x와 중첩하는 셀이 없는 것과, Cell#x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셀이 없는 것이다. 이 경우에, 단계 S38은 No이고, 제어는 단계 S39∼S43으로 이동된다.
상기 플로우차트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도 20에 도시한 구체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의 구체예는 2개의 PL, 즉 PL#1 및 PL#2가 VOB 시퀀스 상에 정의되어 있는 도 3 및 도 4의 전제를 기초로 한다. PL#1은 2개의 셀, 즉 Cell#1-Cell#2로 구성된다. PL#2는 3개의 셀, 즉 Cell#1-Cell#2-Cell#3으로 구성된다. PL#1-Cell#1과 PL#2-Cell#1은 서로 중첩한다. 유사하게, PL#1-Cell#2와 PL#2-Cell#2는 서로 중첩한다. "i=1, i=2, i=3, i=4" 등은 변수 "i"가 1, 2, 3 및 4와 같은 값을 취하는 경우, VOB 시퀀스의 어느 부분이 비참조 부분으로 추출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에 유념하라.
또한, "#x(n회째)"는 n회째에 Cell#x로 검출된 셀이 어느 PL의 어느 셀인지를 나타내는 것에 유념하라.
비참조 부분 추출부(17)가 단계 S31에서 도 20의 구체예에서의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 VOB 시퀀스의 프론트 엔드에 대응하는 인 포인트를 갖는 셀이 어떤 PL 내에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다. 단계 S33에서, VOB 시퀀스의 프론트 엔드는 제 1 비참조 부분 #1의 인 포인트로 설정된다. 이러한 인 포인트에 가장 가까운 인 포인트를 갖는 셀은 PL#2-Cell#1이기 때문에, 단계 S34에서 PL#2-Cell#1이 제 1 Cell#1로 특정된다. 그 후, 단계 S35에서, 제 1 비참조 부분(i=1)의 아웃 포인트가 PL#2-Cell#1의 인 포인트의 바로 앞으로 설정된다.
이어서, 단계 S37∼S43의 루프 동작이 실행된다. PL#2-Cell#1과 중첩하는 셀은 PL#1의 Cell#1이다. 이러한 PL#1의 Cell#1은 PL#2의 Cell#2 뒤에 위치하는 아웃 포인트를 갖는다. 따라서, 단계 S38 및 단계 S44에서, PL#1-Cell#1이 제 2 Cell#x로 새롭게 설정된다. 이러한 PL#1의 Cell#1과 중첩하는 셀이 없기 때문에, 단계 S40에서 PL#1-Cell#1의 아웃 포인트 바로 뒤의 포인트가 제 2 비참조 부분(i=2)의 인 포인트로 특정된다.
단계 S41 및 S42에서, PL#2-Cell#2가 제 2 비참조 부분의 인 포인트에 가장 가깝고 뒤에 위치하는 인 포인트를 갖는 셀이기 때문에, PL#2-Cell#2가 새로운 Cell#x로 설정된다. 단계 S43에서, PL#2-Cell#2의 인 포인트 바로 전의 포인트가 제 2 비참조 부분의 아웃 포인트로 특정된 후, 제어는 단계 S37로 이동된다.
PL#2-Cell#2와 중첩하는 셀은 PL#1의 Cell#2이다. 이러한 PL#1-Cell#2는 PL#2의 Cell#2 뒤에 위치하는 아웃 포인트를 갖는다. 따라서, 단계 S42에서 PL#1-Cell#2가 새로운 Cell#x로 설정된다. PL#1-Cell#2와 중첩하는 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단계 S40에서 PL#1-Cell#2의 아웃 포인트 바로 뒤의 포인트가 제 3 비참조 부분(i=3)의 인 포인트로 특정된다.
제 3 비참조 부분의 인 포인트에 가장 가깝고 뒤에 위치하는 인 포인트를 갖는 셀은 PL#2-Cell#3이다. 따라서, PL#2-Cell#3이 제 3 Cell#x로 설정되고(단계 S41, 단계 S42), PL#2-Cell#3의 인 포인트가 제 3 비참조 부분의 아웃 포인트로 설정된다(단계 S43).
이러한 PL#2-Cell#3과 중첩하는 셀은 존재하지 않는다(단계 S41: No). 또한, PL#2-Cell#3의 뒤에 위치하는 셀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PL#2-Cell#3의 아웃 포인트가 제 4 비참조 부분(i=4)의 인 포인트로 특정되고, VOB 시퀀스의 리어 엔드가 제 4 비참조 부분의 아웃 포인트로 특정된다(단계 S43).
이것으로 비참조 부분을 추출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을 끝낸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실체 편집을 설명한다. 도 21은 실체 편집부(18)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비참조 부분을 각각 그래픽으로 나타내는 비참조 부분 네비게이터로 구성되는 실체 편집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51). 그 후, 최상위 비참조 부분이 포커스 상태로 설정되고(단계 S52), 업/다운 키 누름(단계 S53), 재생 키(단계 S54), 결정 키(단계 S55), 일괄 삭제 버튼의 결정 동작(단계 S56) 및 리턴 키 누름(단계 S57)과 같은 이벤트의 발생을 대기한다.
업/다운 키 누름의 이벤트가 발생하면(단계 S53: Yes), 현재 포커스 상태의 비참조 영역이 정상 상태로 설정되고, 결정 키 방향으로 위치하는 비참조 부분이 포커스 상태로 설정되며(단계 S58), 제어는 단계 S53∼S57로 구성되는 이벤트 대기 루프로 복귀한다. 이하, 비참조 부분에 대한 상태는 업/다운 키가 눌러질 때 변화한다.
재생 키가 눌러지면(단계 S54: Yes), 비참조 부분이 재생되는 동작이 실행되고, 비참조 부분의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59에서, 포커스 상태에 있는 비참조 부분 "k"의 인 포인트로부터 아웃 포인트까지의 재생이 DVD 드라이브(1) 및 MPEG 디코더(4)에 명령된다. 이러한 재생 제어는 이하의 프로세스를 통해 실행된다. 즉, 비참조 부분 중 어느 하나가 포커스 상태이고 재생 키가 눌러지면, 재생 제어부(16)는 VOB-ID에 기초하여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 및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의 각각에 대한 개시 어드레스와 비참조 부분의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를 식별하는 상대 시간을 시간 어드레스 변환부(13)가 탐색하게 하고,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로부터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까지를 DVD 드라이브(1)가 판독하도록 명령한다. 그 후, MPEG 디코더(4)는 판독된 VOBU 중에서 인 포인트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아웃 포인트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까지를 재생을 위해 출력하도록 명령을 받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참조 부분이 텔레비전(101)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비참조 부분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결정 키가 눌러지면(단계 S55: Yes), 활성 상태에 있는 비참조 부분이 비참조 부분 "k"로 설정되고(단계 S60), 비참조 부분 "k"에 대한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와 비참조 부분 "k"에 대한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가 판독되어 재인코딩된다(단계 S61). 그 후, 식 (비참조 부분의 크기) - (재인코딩 후의 VOBU 크기)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 가상 자유 영역 크기로 디스플레이되고(단계 S62), 그 후 제어는 사용자로부터 삭제 확인 동작의 수신을 대기한다(단계 S63).
사용자로부터 삭제 확인 동작이 수신될 때,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로부터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까지가 삭제되고(단계 S64), 재인코딩에 의해 얻어지는 새로운 VOBU가 DVD에 기입된다(단계 S65).
단계 S64에서 VOBU의 삭제에 의해 자유 영역이 얻어진다. 이 후, MPEG 인코더(3)가 튜너(2)가 복조한 방송 신호를 인코딩함으로써 새로운 VOB를 획득하면, 이러한 새로운 VOB가 이 자유 영역에 기입될 수 있다.
비참조 부분에 대한 일괄 삭제 버튼의 결정 동작이 나타나면(단계 S56: Yes), 단계 S66이 실행된다. 단계 S66은 그 아래에 서브루틴을 갖는다. 도 22는 DVD내의 비참조 부분의 이러한 일괄 삭제에 관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2의 플로우차트에서, 먼저 단계 S142∼S144의 루프 동작이 실행된다. 이러한 루프 동작은 DVD에 포함되는 모든 비참조 부분에 대한 아래의 프로세스의 반복이다(단계 S142 및 S143).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비참조 부분 "k"의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와 비참조 부분 "k"의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가 판독된 후, 판독된 VOBU에 대해 재인코딩이 실행되는 것이다(단계 S144).
이러한 재인코딩이 종료되면, 단계 S145에서 식 (모든 비참조 부분의 크기의 합) - (재인코딩 후의 VOBU 크기의 합)의 결과 값이 실체 편집 메뉴 상에 가상 자유 영역 크기로 디스플레이된다.
삭제 확인 동작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사용자로부터의 삭제 확인 동작이 완료되면, 단계 S147∼S150의 루프 동작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로부터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까지의 VOBU가 삭제되고(단계 S149), 재인코딩에 의해 얻어지는 새로운 VOBU가 DVD에 기입된다(단계 S150). 이러한 루프 동작에서, 상기 동작은 PG에 속하는 모든 비참조 부분에 대해 반복된다(단계 S147 및 S148). 이러한 반복을 완료한 후, 제어는 메인 루틴에 복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비참조 부분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고, 그 중에서 사용자는 삭제될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존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비참조 부분이 폐기되는 선택적인 삭제가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가능한 많이 후회하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자유 공간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한 실체 편집에 따라, 다른 기록을 위한 자유 공간이 조금 부족한 경우, 추출된 비참조 부분의 일부를 삭제함으로써 자유 공간이 할당될 수 있다. 이것이 새로운 방송 컨텐츠를 녹화할 기회를 놓치지 않게 한다.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는, 실체 편집을 실행할 때 비참조 부분의 삭제가 실행된다. 이것은 제 1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실체 편집을 선택할 명확한 의도를 나타내지 않으면, 비참조 부분의 삭제가 실행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자유 영역을 할당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비참조 부분을 완전하게 인식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의도를 갖고 실체 편집을 실행하도록 선택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그러한 사용자에게 비참조 부분을 삭제하라고 촉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것을 고려하여, 제 2 실시예에서는, PG를 재생하는 동작을 실행할 때, 각 PG에 대한 비참조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참조 부분은 어떠한 PL에 의해서도 참조되지 않는 부분이므로, PL 재생 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없다. PG 재생 시에만 그러한 비참조 부분이 재생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PG 재생을 실행하려는 의도를 나타낼 때, PG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각 PG에 대한 비참조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도 23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PG 네비게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실시예에 관한 PG 네비게이터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라우트 메뉴에서 PG 재생을 선택할 때, 텔레비전(101)에 나타난다. 도 23에서의 PG 네비게이터의 도 6 또는 도 8의 것과의 차이는 (ⅰ) 양/음 마크 mr1, mr2 및 mr3이 존재하고, (ⅱ) PG에 고유한 설정 메뉴 my1이 인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양/음 마크 mr1, mr2 및 mr3은 각각 PG내의 비참조 부분을 기호화하는 "음"의 부분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3의 예는 컨텐츠 1, 2 및 3이 자체 내에 비참조 부분을 갖거나, PG 자체가 비참조 부분인 것을 나타낸다.
각 PG 네비게이터로부터 인출된 설정 메뉴는 아래의 아이템, 즉, DVD로부터 전체 PG를 삭제하는 PG 삭제(1), PG의 일부만을 삭제하는 부분 PG 삭제(2), PG의 속성을 삭제 금지로 설정하는 PG 보호(3), PG에 관하여 타이틀 입력을 수신하는 타이틀 입력(4), 및 PG에 포함된 모든 비참조 부분을 동시에 삭제하는 비참조 부분 일괄 삭제(5) 중 하나의 선택을 수신한다. 도 23의 설정 메뉴는 양/음 마크가 할당되는 PG 네비게이터를 위한 것이다. 양/음 마크가 할당되지 않은 PG 네비게이터를 위한 설정 메뉴는 상술한 아이템 (1)∼(4)만을 갖는다. 그 이유는 어떠한 비참조 부분도 갖지 않는 PG에 대해서는, 선두로부터 비참조 부분을 삭제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이다.
비참조 부분은 정의상 PL에 의해 참조되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낮은 보유 가치를 갖는 것으로 유추된다. 비참조 부분은 일찍 또는 늦게 삭제되기 쉽다. 이들 비참조 부분이 PG 재생 전에 삭제되는 경우, PG는 비참조 부분 없이 세련된 상태로 재생된다.
제 2 실시예에 관한 PG 재생의 플로우차트가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 이 플로우차트는 PG 재생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도 12의 메인 루틴의 단계 S7 및 S8에 대해 치환된다.
도 24의 플로우차트에서, 복수의 PG 네비게이터가 단계 S70∼S75로 구성되는 루프 동작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단계 S75에서 PG의 프론트 엔드가 포커스 상태로 설정된 후, 단계 S76∼S79의 루프 동작에서 이벤트가 대기된다. 이러한 이벤트 대기 후에 발생하는 이벤트에 따라, 단계 S8, S79, S80∼S86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실행된다.
단계 S70∼S74로 구성되는 루프 동작은 DVD에 기록된 모든 PG에 대해, PG 자체가 비참조 부분인지의 여부, 또는 PG 내에 비참조 부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72), 비참조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PG에 대해 양/음 마크가 없는 PG 네비게이터를 배치하며(단계 S73), 자체 내에 비참조 부분을 포함한다고 판정된 PG에 대해 양/음 마크가 있는 PG 네비게이터를 배치하는(단계 S74)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단계 S70∼S74의 루프 동작의 결과, 복수의 PG 네비게이터 중에서 프론트 엔드 네비게이터가 포커스 상태로 설정된다(단계 S75).
단계 S76∼S77의 이벤트 대기 루프는 업/다운 키 누름에 따라(단계 S76) 결정 키 누름(단계 S77) 및 우(right) 키 누름(단계 S78)을 대기하면서, 각 PG 네비게이터의 상태를 변화시키기(단계 S79) 위한 것이다. PG 네비게이터의 상태 변화는 PG를 현재 포커스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그리고 키 방향으로 위치하는 PG를 포커스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PG 네비게이터 중 어느 하나가 포커스 상태에 있는 동안 결정 키가 눌러지면, 포커스 상태의 PG가 단계 S8에서 재생된다.
우 키가 눌러지면, 설정 메뉴 디스플레이(단계 S80∼S82)와 이 메뉴에 대한 동작에 따르는 동작(단계 S83∼S86)이 모두 실행된다.
설정 메뉴 디스플레이 시에, PG 삭제(1), 부분 PG 삭제(2), PG 보호(3) 및 타이틀 입력(4)과 같은 아이템을 갖는 PG 설정 메뉴가 먼저 포커스 상태의 PG의 우측으로 인출된 후(단계 S80), 포커스 상태의 PG가 자체 내에 비참조 부분을 갖지 않는 경우(단계 S81: Yes), "비참조 부분 일괄 삭제(5)"의 아이템이 부가된다(단계 S82).
이러한 설정 메뉴 디스플레이에 의해, 자체 내에 비참조 부분을 갖지 않는 PG의 설정 메뉴가 PG 삭제(1), 부분 PG 삭제(2), PG 보호(3) 및 타이틀 입력(4)을 갖게 된다. 한편, 자체 내에 비참조 부분을 갖는 PG의 설정 메뉴는 아이템 (1)∼(4)에 추가하여 비참조 부분 일괄 삭제(5)를 갖게 된다.
설정 메뉴에 대한 동작에 따르는 동작 시에, 먼저 설정 메뉴에 나타나는 아이템의 입력이 대기되고(단계 S83), 선택된 아이템이 비참조 부분 일괄 삭제(5)인 경우, PG에 속하는 비참조 부분에 관한 실체 편집이 실행된다(단계 S86). 반면에, 선택된 아이템이 아이템 (1)∼(4) 중 하나인 경우,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된다(단계 S85).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해, PG에 포함되는 비참조 부분의 일괄 삭제가 PG의 재생 전에 사용자에게 촉구된다. 따라서, 비참조 부분의 삭제가 용이하게 된다.
(제 3 실시예)
제 2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PG를 재생하려고 의도할 때, PG에 포함되는 비참조 부분의 삭제가 촉구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각 PG에 포함되는 비참조 부분의 삭제가 또한 PG 재생의 의도를 나타내는 사용자에게 촉구된다. 제 2 실시예와의 차이는 각 PG 네비게이터에 체크 박스를 제공하는 것과, 이러한 체크 박스에 대하여 체크 동작에 따라 각 PG에서 비참조 부분의 삭제를 실행하는 것이다.
도 25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PG 네비게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PG 네비게이터는 사용자가 라우트 메뉴에서 PG 재생을 선택한 후에, 텔레비전(101)에 나타난다. 도 23에 나타내는 PG 네비게이터와의 차이는 양/음 마크 대신에, 체크 박스 ch1, ch2 및 ch3이 제공되는 것이다. 이러한 체크 박스에 위치하는 체크 마크는 사용자가 대응하는 PG내의 모든 비참조 부분을 삭제하려는 의도를 나타낸 것을 나타낸다. 체크 박스 ch1, ch2 및 ch3은 비참조 부분을 갖는 각각의 PG에 대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여러 개의 PG에서 비참조 부분을 동시에 삭제하길 원하는 경우, 사용자가 행해야 하는 것은 모두 이들 PG에 대응하는 체크 박스를 체크하는 것이다. 도 25에서, 제 1 PG 및 제 3 PG는 자신의 체크 박스에 체크 마크를 갖는다. 따라서, 컨텐츠 1 및 컨텐츠 3내의 비참조 부분이 동시에 삭제된다.
일괄 삭제 버튼 is1은 원격 제어기의 화상 기록 키 및 재생 키와 같은 것으로 할당되는 GUI 부분이고, 메뉴에 디스플레이되는 비참조 부분을 동시에 삭제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체크 박스에 할당된 PG 네비게이터에 대한 재생 동작은 도 26의 플로우차트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현된다. 이하, 제 3 실시예의 기록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이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의 플로우차트는 도 24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도 24의 플로우차트에서와 동일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할당하고 있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의 플로우차트에서, 복수의 PG 네비게이터가 단계 S70∼S73 및 단계 S126으로 구성되는 루프 동작의 결과로 디스플레이된다. 그 후, 프론트 엔드 PG가 단계 S75에서 포커스 상태로 설정된 후, 단계 S76∼S77 및 단계 S120∼S121의 루프 동작에서 이벤트가 대기된다. 이러한 이벤트 대기 후에 발생하는 이벤트에 따라, 단계 S8, S79, S122, S123∼S125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실행된다.
단계 S70∼S75로 구성되는 루프 동작은 DVD에 기록된 모든 PG에 대해, PG 자체가 비참조 부분인지의 여부, 또는 PG 내에 비참조 부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72), 비참조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PG에 대해 체크 박스가 없는 PG 네비게이터를 배치하며(단계 S73), 자체 내에 비참조 부분을 포함한다고 판정된 PG에 대해 체크 박스가 있는 PG 네비게이터를 배치하는(단계 S126)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단계 S70∼S73 및 S126의 루프 동작 후에, 복수의 PG 네비게이터 중에서 프론트 엔드 PG 네비게이터가 포커스 상태로 설정된다(단계 S75).
단계 S76∼S77의 이벤트 대기 루프는 업/다운 키 누름에 따라(단계 S76) 결정 키 누름(단계 S77), 체크 박스에 대한 체크 동작(단계 S120) 및 일괄 삭제 버튼 결정 동작(단계 S121)을 대기하면서, 각 PG 네비게이터의 상태를 변화시키기(단계 S79) 위한 것이다. PG 네비게이터의 상태 변화는 구체적으로는 PG를 현재 포커스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그리고 키 방향으로 위치하는 PG를 포커스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다(단계 S79). PG 네비게이터 중 어느 하나가 포커스 상태에 있을 때 결정 키가 눌러지면, 포커스 상태의 PG가 단계 S8에서 재생된다.
체크 동작이 체크 박스에 대해 실행되면(단계 S120), 체크 마크가 체크 박스 내에 위치된 후(단계 S122), 제어는 단계 S76∼S77 및 단계 S120∼S121로 구성되는 루프 동작으로 복귀한다.
일괄 삭제 버튼 결정 동작이 실행되면(단계 S121: Yes), 아래의 동작이 체크 박스가 체크되는 모든 PG에 대해 반복적으로 실행된다(단계 S124 및 S125). 그 동작은 구체적으로 체크 박스내의 체크 마크의 존재를 확인하고(단계 S123), PG에 포함되는 비참조 부분에 관한 실체 편집을 실행하는 것(단계 S126)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비참조 부분이 삭제되어야 하는 PG가 집합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예)
제 4 실시예는 기록 프로그래밍이 기록 장치에 대하여 실행될 때 비참조 부분의 정리를 촉구하기 위한 것이다. 기록 프로그래밍은 사용자로부터의 기록 개시 일시 및 기록 종료 일시의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실행된다. 기록 프로그래밍 시에, 기록 개시 일시, 기록 종료 일시 및 화질 모드가 설정되면, 컨텐츠 기록에 필요한 크기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산출된 크기가 DVD에 현재 남아 있는 자유 영역 크기를 초과할 때, 통상적인 DVD 레코더는 프로그래밍된 기록을 실행할 수 없다. 이것을 고려하여, 제 4 실시예에서는, 기록 개시 일시 - 기록 종료 일시와 같은 아이템이 설정되고, 기록에 필요한 크기가 산출된 후에, 산출된 크기가 DVD의 자유 영역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비참조 부분을 삭제하도록 촉구된다.
기록 프로그래밍 동작은 도 27에 나타내는 메뉴에 대해 실행된다. 도 27은 기록 프로그래밍 메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록 프로그래밍 메뉴는 기록 개시하는 일시가 "월" "일" "시" 및 "분"의 표시로 정의되어 있는 수치 필드 nr1, nr2, nr3 및 nr4와, 기록을 종료하는 일시가 "월" "일" "시" 및 "분"의 표시로 정의되어 있는 수치 필드 ur1, ur2, ur3 및 ur4와, 4개의 화질 모드(즉, 1.6 Mbps(경제적인 저화질), 2.4 Mbps(장시간 저화질), 4.7 Mbps(표준 화질), 및 9.5 Mbps(고화질)) 중에서 택일한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버튼 bn3, 4, 5 및 6으로 구성된다.
기록 프로그래밍이 이러한 메뉴에 대해 실행되면, 기록될 컨텐츠의 재생 시간 및 크기가 획득된다. 획득된 크기가 DVD의 자유 영역 크기 미만인 경우, 기록은 이러한 메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래밍에 따라 실행된다.
획득된 크기가 DVD의 자유 영역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는 DVD에 포함되는 비참조 부분을 삭제하도록 촉구된다. 메뉴 wr1은 기록 프로그래밍 중에 자유 영역의 부족이 나타날 때 디스플레이되는 경고 다이얼로그(dialogue)이다. 제 4 실시예에서, 비참조 부분의 삭제는 사용자가 이러한 메뉴에 긍정 응답을 제공할 때 실행된다. 사용자가 이러한 메뉴에 부정적으로 응답하면, 메뉴 wr2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도 27의 메뉴에 대한 기록 프로그래밍 동작이 도 28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실행된다. 이하, 이러한 기록 프로그래밍 동작을 이러한 도 2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도 28의 플로우차트에서, 일련의 기록 프로그래밍 동작이 실행되고,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기록 개시 일시의 입력(단계 S91), 기록 종료 일시의 입력(단계 S92), 수신 채널의 입력(단계 S93), 및 화질 모드의 설정(단계 S94)을 포함한다. 그 후, 프로그래밍된 기록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영역 크기가 산출되고(단계 S95∼S97), DVD가 프로그래밍된 기록에 필요한 충분한 자유 영역을 갖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이 실행된다(단계 S98∼S101). 상기 단계의 완료 후에, DVD 내의 자유 영역이 부족할 때 및 사용자의 확인이 수신된 후에 비참조 부분의 삭제가 실행된다(단계 S102∼S104).
단계 S95∼S97에서 실행되는 필요한 영역 크기의 산출은 메뉴에 설정된 기록 모드에 기초하여 비트 레이트를 설정하고(단계 S95), "기록 종료 일시 - 기록 개시 일시"의 산출로부터 초의 단위로 재생 시간을 산출한 후(단계 S96), "재생 시간에 비트 레이트를 곱하는" 산출을 실행함으로써 기록에 필요한 영역 크기를 획득하기 위한 것(단계 S97)이다.
단계 S98∼S101에서 실행된 DVD에 충분한 자유 영역이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은 DVD의 자유 영역이 기록에 필요한 영역 크기를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단계 S99)과, 비참조 부분의 합이 기록에 필요한 영역 크기 미만인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단계 S101)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S99에서 DVD의 자유 영역 크기가 기록에 필요한 영역 크기를 초과한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는 이러한 플로우차트의 동작으로부터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단계 S101의 판정은 DVD의 자유 영역 크기가 기록에 필요한 영역 크기 미만일 때에만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DVD의 자유 영역 크기가 기록에 필요한 영역 크기 미만일 때, DVD내의 비참조 부분의 합이 산출되고(단계 S100), 단계 S101에서 비참조 부분의 합이 기록에 필요한 영역 크기 미만인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이 실행된다. 합이 기록에 필요한 크기를 초과한다고 판정된 경우, 비참조 부분의 삭제를 촉구하는 다이얼로그가 팝업(popped up)되어(단계 S102), 사용자에게 삭제를 확인시킨다(단계 S103). 사용자가 이러한 삭제의 실행에 동의하면, DVD내의 모든 비참조 부분이 삭제된다(단계 S104).
비참조 부분의 합이 기록에 필요한 영역 크기를 초과하고, 사용자가 삭제의 실행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단계 S105에서 기록을 실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록 프로그래밍의 의도를 나타내고 DVD 내에 자유 영역이 부족한 경우, 비참조 부분의 삭제가 촉구된다. 이러한 구성은 비참조 부분의 정리를 용이하게 한다.
(제 5 실시예)
제 5 실시예는 환경 설정을 실행할 수 있는 기록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기록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환경 설정은 사용자가 할당하길 원하는 자유 영역의 최소 크기의 설정을 수신하고, 그러한 최소 크기를 환경 설정으로 저장하는 것이다. 기록 장치는 DVD가 현재 갖고 있는 자유 영역 크기의 모니터링을 유지하고 있다. 자유 영역 크기가 이러한 환경 설정 미만인 경우, 기록 장치는 경고 다이얼로그를 팝업함으로써 비참조 부분의 삭제를 촉구한다.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환경 설정은 도 29에 나타내는 환경 설정 메뉴에 대해 행해진다. 도 29는 제 5 실시예에 사용되는 메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의 라우트 메뉴 rm1은 제 1 실시예가 갖는 "PG 재생", "PL 재생", "플레이리스트 편집" 및 "실체 편집"에 추가하여 "환경 설정"의 아이템을 포함한다. 환경 설정 메뉴는 이러한 "환경 설정"이 라우트 메뉴 rm1에서 선택될 때 디스플레이된다.
환경 설정 메뉴 ev1은 바이트 크기에 의한 특정과 시간에 의한 특정의 2개 중의 하나의 선택을 수신하는 버튼 bn1 및 bn2와, 바이트 단위로 할당되는 영역의 크기의 특정을 수신하는 수치 입력 필드 nm1과, 분의 단위로 재생 시간의 특정을 수신하는 수치 입력 필드 nm2와, 4개의 화질 모드(즉, 1.6 Mbps(경제적인 저화질), 2.4 Mbps(장시간 저화질), 4.7 Mbps(표준 화질), 및 9.5 Mbps(고화질)) 중에서 택일한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버튼 bn3, 4, 5 및 6을 포함한다. 버튼 및 수치 필드에 관한 입력 동작은 도 14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경고 다이얼로그 wr3은 환경 설정 메뉴에 설정된 환경 설정값이 할당될 수 없을 때 디스플레이된다.
제 5 실시예에서의 기록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도 30 및 도 31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제 5 실시예의 기록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이들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0의 플로우차트는 메인 루틴에 대응하고, 제 1 실시예에 대한 것인 도 12의 플로우차트를 기초로 한다. 도 12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도 30의 플로우차트는 동일한 단계를 공유한다. 이하 동일한 단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할당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의 플로우차트는 단계 S1∼S3 및 S111∼S112로 구성되는 루프 동작을 실행한다. 환경 설정이 선택되면(단계 S111: Yes), 도 31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환경 설정의 입력이 수신된다.
도 31의 플로우차트에서, 도 29의 영역 할당 메뉴가 단계 S121에서 먼저 디스플레이된 후, 제어가 단계 S122∼S123의 루프 동작으로 이동된다. 바이트 크기를 특정하는 버튼 bn1이 클릭되면(단계 S123), 수치 입력이 유효하게 행해져, 수치 입력 필드 nm1내의 0∼4.7 중에서 수치의 입력이 가능해지고(단계 S124), 입력된 수치는 최소 자유 영역 크기 k로 해석된다(단계 S125).
시간을 특정하는 버튼 bn2가 클릭되면(단계 S122), 0∼120분 중에서 수치 입력이 수치 입력 필드 nm2에서 유효하게 되도록 행해진다(단계 S126). 입력이 행해진 후, 화질 모드 버튼 bn3∼6이 유효하게 되어, 4개의 화질 모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단계 S127). 그 후, 재생 시간 및 화질 모드가 특정될 때, 최소 자유 영역 크기 k가 "입력된 수치에 대응하는 재생 시간 및 특정된 화질의 비트 레이트"의 승산에 의해 산출된다(단계 S128). 상기 방법으로 산출된 자유 영역 크기는 환경 설정으로 저장된다.
타이머가 단계 S1∼S3 및 S111∼S112로 구성된 루프 동작에서 미리 설정한 모니터 시간에 도달할 때, DVD내의 자유 영역 크기가 검출되고(단계 S114), DVD내의 자유 영역의 크기가 환경 설정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이 실행된다. 자유 영역의 크기가 환경 설정값을 초과한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는 단계 S1∼S3 및 S111∼S112로 구성된 루프 동작으로 복귀한다.
자유 영역의 크기가 환경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삭제 실행이 선택되면 DVD내의 비참조 부분에 대한 일괄 삭제가 실행된다(단계 S118). 삭제 실행이 선택되지 않으면, 최소 자유 영역 크기가 할당될 수 없다고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단계 S119).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DVD내의 자유 영역 크기의 설정은 사용자로부터 환경 설정으로 수신되고, 사용자는 실제 자유 영역의 크기가 이러한 환경 설정값 미만일 때 비참조 부분을 삭제하도록 촉구된다. 따라서, 비참조 부분의 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제 1 실시예의 실체 편집은 비참조 부분만을 삭제한다. 그러나, 비참조 부분은 종종 보존될 가치가 있는 컨텐츠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종종 실체 편집 중에 그 가치를 인식한다. 이것을 고려하여, 제 6 실시예는 사용자가 실체 편집 중에 비참조 부분의 보존 가치를 인식할 때 비참조 부분을 PL에 통합하기 위한 동작을 실행한다. 도 32는 제 6 실시예에 관한 실체 편집부(18)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러한 도 32의 플로우차트에서, 새로운 것은 아래와 같다. 즉, 단계 S131이 단계 S55 및 단계 S60 사이에 삽입되는 것과, 포커스 상태의 비참조 부분 k가 참조 부분으로 변환되어야 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것(ⅰ)과, 사용자가 긍정적으로 응답하면, 단계 S132∼S135의 동작이 실행되는 것(ⅱ)이다.
이하 도 32의 단계 S132∼S135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계 S131에서, 사용자가 포커스 상태의 비참조 부분 k를 참조 부분으로 변환하는 동작을 실행하면, 실체 편집부(18)는 PL 네비게이터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32).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가 비참조 부분이 복귀될 위치를 정하도록 촉구하기 위한 것이다. PL 네비게이터의 디스플레이 후에, 비참조 부분 k가 복귀될 셀의 특정이 수신된다(단계 S133). 이어서, 비참조 부분 k의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를 특정하는 정보가 셀 정보 r로 변환되고(단계 S134), 변환에 의해 획득된 셀 정보 r이 특정이 수신되는 셀 p와 바로 뒤에 오는 셀 p+1 사이에 삽입된다(단계 S135). 상술한 프로세스에 따라, 실체 편집 중에 보존 가치가 인식된 비참조 부분이 PL의 멤버로 통합된다.
이하 도 33 및 도 34의 구체예를 참조하여, 제 6 실시예의 실체 편집부(18)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이러한 도 33에서, 비참조 부분 #3이 비참조 부분 #r이고, PL의 Cell#1이 이 셀 정보 #r이 삽입될 셀로 특정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PL의 Cell#1은 셀 정보 #p로 특정되고, Cell#2는 셀 정보 #p+1로 특정된다. 그 후,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셀 #r의 셀 정보가 셀 정보 #r의 인 포인트/아웃 포인트를 특정하는 정보로부터 생성되며, 그에 따라 생성된 셀 정보 #r이 셀 정보 #p와 셀 정보 #p+1 사이에 삽입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금까지의 어떠한 PL에 의해서도 참조되지 않은 VOB의 부분이 PL의 멤버로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체 편집부(18)가 추출한 비참조 부분을 셀 정보로 변환할 수 있게 되므로 PL의 멤버로 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편집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제 7 실시예)
제 7 실시예는 편집의 소위 "실행 취소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행 취소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제 7 실시예에 관한 기록 장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고, 실체 편집부(18)가 이 메모리에서 비참조 부분의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로부터 비참조 부분의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까지의 백업을 획득한다. 비휘발성 메모리에서 백업을 유지함으로써, 비휘발성 메모리의 컨텐츠가 삭제되지 않으면, DVD에 삭제된 비참조 부분을 회복시킬 수 있게 된다.
실체 편집부(18)는 실체 편집 메뉴 상에 실행 취소 기능의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이 버튼의 누름에 응답하여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DVD에 VOBU를 백업 기입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전에 삭제된 비참조 부분이 DVD에 회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비참조 부분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후에 삭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삭제된 비참조 부분의 가치를 인식하면, 그 부분이 DVD에 회복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삭제된 비참조 부분만이 실행 취소 기능을 위해 백업된다는 것은 복수의 비참조 부분 모두가 메모리에 유지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행 취소 기능은 백업용 비휘발성 메모리가 작은 용량을 가질 때에도 실행될 수 있다.
(제 8 실시예)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관한 각 기록 장치는 MPEG-PS 포맷의 동영상 스트림을 기록 매체인 DVD에 기록한다. 이와 반대로, 제 8 실시예는 MPEG2-TS(트랜스포트 스트림) 포맷에 따라 동영상 스트림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개량에 관한 것이다. 제 8 실시예에서, 동영상 스트림을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기록 매체는 BD-RE이다. 도 35는 도 3에 사용된 동일한 표기 시스템으로 BD-RE에 기록될 동영상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AV Clip(도 35에서 AV Clip #1, #2 및 #3)이 VOB를 대신하는 MPEG2-TS 포맷의 동영상 스트림이다. AV Clip은 복수의 액세스 유닛으로 구성된다. 각 액세스 유닛은 하나의 GOP를 포함한다. 각 액세스 유닛이 COP를 포함하기 때문에, 각 액세스 유닛의 어떤 선두에 랜덤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동영상 스트림은 MPEG2-TS 포맷으로 기록되기 때문에, 기록 장치는 오디오 디코더(6) 및 비디오 디코더(7)에 공급하기 전에, 재생할 때 동영상 스트림을 MPEG-PS 포맷으로 변환한다.
Play Item(도 35에서 Play Item #1, #2 및 #3)이 셀을 대신하는 정보이고,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재생 구간의 개시/종료 포인트를 특정한다.
EP_map(도 35에서 EP_map #1, #2 및 #3)이 타임 맵을 대신하는 정보이고, 어드레스와 결합하여 각 액세스 유닛의 재생 개시 시간을 나타낸다. 액세스 유닛의 재생 개시 시간은 액세스 유닛의 선두에 위치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타임 스탬프(표시 타임 스탬프)로 표시된다. 또한, 액세스 유닛의 어드레스는 PES 패킷의 시리얼 번호(SPN(시리얼 패킷 번호))로 표시된다.
또한 MPEG2-TS 포맷의 동영상 스트림으로, 하나 이상의 재생 구간으로 구성된 재생 경로를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필연적으로 비참조 부분이 생성된다.
도 36은 도 35의 예의 결과인 비참조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러한 비참조 부분이 생성되면, 비참조 부분 추출부(17)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절차로 비참조 부분을 추출함으로써, 이 부분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그 삭제를 촉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MPEG2-TS 포맷으로 기록 매체에 기입된 동영상 스트림의 비참조 부분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므로, 그 삭제를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에 사용될 수 있는 기록 장치로도,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제 9 실시예)
제 9 실시예는 제 8 실시예의 개량된 버전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9 실시예에서 행해진 개량은 가상 자유 영역의 산출 시에 브릿지 부분(bridge part)에 따르는 크기의 증가를 고려하는 것이다.
브릿지 부분은 이전의 재생 구간의 리어 엔드의 복제 부분과, 이후의 재생 구간의 프론트 엔드의 복제 부분으로 구성되고, 심리스(seamless) 접속을 위해 재인코딩된다. 도 37은 도 36의 동영상 스트림에 생성된 브릿지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에서, BD-RE에는 재생 구간(1) - 재생 구간(2)의 브릿지 부분, 재생 구간(2) - 재생 구간(3)의 브릿지 부분, 및 재생 구간(4) - 재생 구간(5)의 브릿지 부분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리어 엔드/프론트 엔드의 각 세트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즉, 이전의 VOB#x 중에서 이전의 재생 구간의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액세스 유닛으로부터 제 2 액세스 유닛까지가 리어 엔드로 정의된다. 그리고, 이후의 VOB#x+1 중에서 이후의 재생 구간의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액세스 유닛이 프론트 엔드로 정의된다. 프론트 엔드 및 리어 엔드를 정의하는 이유는 본 출원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USP 6,148,140호에 나타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 참조물을 참조하라.
그러한 브릿지 부분의 결과로 크기가 증가된다. 따라서, 제 9 실시예에서, 비참조 부분의 크기로부터 브릿지 부분의 크기를 감산함으로써 획득된 값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즉, (비참조 부분의 데이터 크기) - (브릿지 부분의 크기)
상기 계산으로부터 산출된 값이 가상 자유 영역 크기로 디스플레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브릿지 부분에 따르는 크기 증가를 고려한 가상 자유 영역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이것이 가상 자유 영역 크기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심리스 접속을 위해 생성된 브릿지 부분에는 바람직하게는 심리스 접속 정보가 설정된다. 심리스 접속 정보는 첫 번째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 개시 시간, 최종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 종료 시간, 오디오 갭의 개시 시간, 오디오 갭의 시간 길이, 및 오디오 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이러한 심리스 접속 정보가 정의되면, 2개의 구간에 대한 각각의 타임 스탬프의 차이(즉, "STC-Offset")가 첫 번째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 개시 시간과 최종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 종료 시간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고, 산출된 STC-Offset이 재생 장치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디코더 제어가 오디오 갭상의 정보를 참조하여 실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간으로부터 다른 구간으로의 재생에 따르는 오디오의 인터럽션이 방지될 수 있다.
DVD-Video 기록 표준으로 기록된 VOB에 대하여 브릿지 부분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7은 도 4의 VOB에 대해 생성되는 브릿지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서, 이들 실시예가 가상 자유 영역 크기의 산출 시에 브릿지 부분으로 인한 크기 증가를 고려하면, 더욱 정확한 가상 자유 영역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제 10 실시예)
제 1 내지 제 9 실시예에서, PlayList에 의해 참조되지 않은 부분이 비참조 부분으로 추출된다. 그러나, 제 10 실시예에서는, 동영상 스트림 중에서, 사용자가 2회 이상 재생한 부분이 PlayList에 특정된다. 그래서, 전체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PlayList에 특정된 부분을 감산한 부분이 비참조 부분으로 추출된다.
즉, 사용자가 2회 이상 재생한 부분이 높은 보존 가치를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제 10 실시예에서, 그러한 부분이 PlayList에 특정된다. 반면에, 1회 재생하거나 전혀 재생하지 않은 부분은 장래에 삭제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제 10 실시예는 그러한 부분을 비참조 부분으로 추출한다.
그러한 추출은 사용자가 저장한 동영상 스트림 중에서 기록 매체에 필요한 부분만을 남기게 된다. 이것은 비참조 부분의 정리를 용이하게 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2회"는 일례이고, 표준이 되는 횟수는 예컨대, 3회, 4회일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라.
(제 1 내지 제 10 실시예의 보충 사항)
지금까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당업계의 현 상황에서 최상의 가능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기대되는 시스템 예일 뿐이다. 물론, 본 발명은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변경 및 변형으로 실현될 수도 있다.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의 대표적인 예는 아래의 (A), (B), (C), …를 포함한다.
(A) 각 실시예의 기록 장치는 텔레비전(101)에 접속됨으로써 사용된다. 그러나, 기록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일체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록 장치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등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기록 장치는 DVD 드라이브(1) 및 MPEG 디코더(4)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기록 장치는 이들 유닛을 포함하는 대신에 IEEE1394 커넥터를 통해 이들 DVD 드라이브(1) - MPEG 디코더(4)에 접속될 수도 있다. 더욱이, 각 실시예의 기록 장치에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본질적인 부분인 시스템 LSI만이 기록 장치로 간주될 수 있다.
이들 기록 장치는 각각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이므로, 실시예의 기록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갖는 그러한 기록 장치를 생산하는 행위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을 실시하는 행위이다. 또한, 유상 또는 무상의 양도(즉, 판매 또는 증여), 대여, 또는 수입하는 어떤 행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행위를 구성한다. 상점에서의 전시에 의해, 카탈로그 권유를 통해, 및 팜플렛의 배포에 의해 언급한 양도, 대여 등을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행위도 본 발명의 기록 장치를 실시하는 행위를 구성한다.
(B) 도 12, 도 13, 도 14, 도 21, 도 22, 도 24, 도 26, 도 28, 도 30, 도 31 및 도 32에 의해 처리하는 정보는 CPU, MPEG 디코더 및 DVD 드라이브와 같은 하드웨어 리소스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의 기록 장치는 비참조 부분을 삭제하기 위한 정보 처리의 결과로 구성되고, 프로그램과 하드웨어간의 협력에 의해 실현되는 구체적인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
프로그램에 의한 정보 처리가 하드웨어 리소스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되기 때문에, 도 12∼도 32에 나타내는 프로세스를 갖는 프로그램이 자연 법칙을 이용하는 기술적인 사상의 창작으로 간주되고, 각 프로그램 자체는 별개의 발명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각 프로그램 자체가 하나의 발명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은 구체화된 발명으로 간주되고, 본 발명에 관한 각 기록 장치는 주요 부분이 구체화된 발명인 대응하는 프로그램인 물(物)의 발명으로 간주된다.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관한 기록 장치의 주요 부분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프로그램 자체가 하나의 발명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은 기록 장치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각 프로그램을 단독으로 실시하는 행위는 (1) 프로그램을 생산하는 행위, (2) 유상 또는 무상으로 프로그램을 양도하는 행위, (3) 대여하는 행위, (4) 수입하는 행위, (5) 대화식 전기 통신 회로를 통해 프로그램을 공중에 제공하는 행위, 및 (6) 상점에서의 전시에 의해, 카탈로그 권유를 통해, 및 팜플렛의 배포에 의해 프로그램의 양도 또는 대여를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상술한 (2) 양도 행위 및 (3) 대여 행위의 카테고리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중에 배포하는 행위와, 일방향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공중에 제공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5) 대화식 전기 통신 회로를 통한 제공 행위의 카테고리는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경우(프로그램 다운로드 서비스)와, 제공자측에 프로그램 자체를 보유하면서, 사용자에게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 통신 회로를 통해 프로그램의 기능만을 제공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C) 도 12, 도 13, 도 14, 도 21, 도 22, 도 24, 도 26, 도 28, 도 30, 도 31 및 도 32의 플로우차트에서, 시계열적으로 실행되는 각 단계가 갖는 시간 개념은 본 발명을 특정하는 필수 사항으로 생각된다. 이들 플로우차트에서의 각 단계의 프로세스를 시계열적으로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원래 목적인 비참조 부분의 삭제와 그에 관한 어떤 작용 및 효과의 발휘가 또한 실현된다. 따라서, 도 12∼도 32의 플로우차트에서 설명한 방법은 자연 법칙을 이용하는 기술적인 사상의 창작으로 간주되고, 이들 방법은 각각 단독으로 하나의 발명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이들 플로우차트의 프로세스가 본 발명의 원래의 목적인 비참조 부분을 삭제함으로써 어떤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실행되면, 이러한 행위는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방법을 실시하는 행위에 대응한다.
(D) 각 실시예의 설명에서, 컨텐츠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는 DVD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러한 DVD의 물리적인 성질은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의 발휘에 그다지 공헌하지 않는다. 이것을 고려하여, 컨텐츠를 기록하는 용량을 갖는 다른 기록 매체가 DVD 대신에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대표적인 기록 매체는 DVD 외에 CD-R, CD-RW,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광 디스크이다. 선택적으로, PD 및 MO와 같은 광자기 디스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SD 메모리 카드, 컴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 및 PCM-CIA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카드가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SuperDisk, Zip 및 Clik!과 같은 자기 기록 디스크와, ORB, Jaz, SparQ, SyJet, EZFley와 같은 착탈 가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마이크로드라이브가 또한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다.
(E) 실시예들에서의 컨텐츠는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된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컨텐츠는 비디오 카메라로로부터 직접 취해지는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는 기록 매체에 미리 저장된 상태로 배포되는 영화와 같은 디지털 저작물 및 배포 서버에 의해 배포되는 디지털 저작물일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의 컨텐츠는 방송국에 의해 정해진 방송 프로그램의 하나의 유닛일 수 있다.
(F) 제 1 실시예에서,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 및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가 재인코딩된다. 그러나, 언급한 재인코딩을 실행하지 않고,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 및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 사이에 위치하는 VOBU만을 삭제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그러한 경우, DVD에 아웃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내의 화상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되는 VOBU와 인 포인트를 포함하는 VOBU내의 화상 데이터와 종속 관계를 갖는 VOBU를 남기고, 나머지 VOBU만을 삭제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DVD에 남겨질 언급한 VOBU가 삭제되면, 화상 데이터의 재생 또는 음성에 방해가 일어날 수 있다.
(G) 비참조 부분 네비게이터에서, 썸네일은 비참조 부분의 인 포인트 및 아웃 포인트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비참조 부분의 중앙에 위치하는 화상 데이터가 썸네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비참조 부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썸네일이 비참조 부분 네비게이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비참조 부분 네비게이터에 복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비참조 부분의 컨텐츠를 더욱 명확하게 기억할 수 있게 된다.
(H) 각 실시예에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이 VOB로 다중화된다. 그러나, 서브타이틀의 문자가 실행 길이 방법으로 압축되는 부화상 스트림을 포함하는 다른 정보와 다른 제어 정보가 또한 다중화될 수도 있다. 또한, MPEG 인코더(3) 및 MPEG 디코더(4)는 MPEG2 영상 디코딩/압축 해제 방법의 코덱(codec)이지만, 선택적으로 MPEG1 및 MPEG4와 같은 MPEG2와 다른 영상 디코딩/압축 해제 방법의 다른 디코딩 코덱일 수도 있다.
(I)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PG/PL의 선택 동작은 원격 제어기를 통해 수신된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한 특정은 재생 장치의 전면 패널을 통해서도 수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특정은 키보드, 터치 패널, 마우스 및 패드, 그리고 트랙 볼과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특정은 클릭 동작 및 드래그 동작 등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 장치는 플레이리스트 편집의 장점을 이용하면서, 기록 매체 내에 자유 영역을 유지하려고 시도한다. 그에 따라, 기록 장치는 DVD 레코더, HD 레코더 등의 상업적인 가치를 높이고, 시중에 매력적인 상품의 도입을 조장한다. 따라서, 기록 장치는 가전 산업에서 높은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30)

  1. 비디오 스트림을 기록 매체에 기입하고,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편집하는 기록 장치로서,
    사용자 동작에 따라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복수의 부분을 재생 구간으로 특정하는 편집부와,
    상기 재생 구간이 상기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제외된 후에 남은 복수의 부분을 비참조 부분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동작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된 비참조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는 삭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구간은 각각 재생 동작의 개시/종료 위치의 세트로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비참조 부분은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프론트 엔드로부터 상기 재생 구간 중 하나의 첫 번째로 나타나는 개시 위치 바로 앞까지의 부분과, 상기 재생 구간 중 하나의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종료 위치 바로 뒤로부터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리어 엔드까지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참조 부분은 상기 재생 구간 중 하나의 바로 뒤에서, 이에 이어지는 상기 재생 구간 중 다른 하나의 바로 앞까지의 모든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비참조 부분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화상 데이터의 순차 재생과, 상기 화상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썸네일의 스크린상으로의 배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복수의 비디오 스트림이 기입되고, 각 스트림은 2 이상의 컨텐츠로 분류되며, 상기 삭제부는 임의의 컨텐츠에 포함되는 비참조 부분만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내의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리스트 디스플레이부와,
    비참조 부분이 삭제될 상기 임의의 컨텐츠의 특정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삭제부에 의해 삭제되는 상기 비참조 부분은 상기 수신부에 의해 특정이 수신된 상기 임의의 컨텐츠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 의해 특정이 수신되는 컨텐츠의 개수는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기록을 프로그래밍하는 동작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프로그래밍된 기록에 필요한 영역 크기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산출된 영역 크기가 상기 기록 매체의 자유 영역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비참조 부분이 삭제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를 추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가 할당해야 하는 최소 자유 영역 크기인 환경 설정값의 특정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산출된 영역 크기가 상기 기록 매체의 자유 영역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비참조 부분이 삭제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를 추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부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삭제 전에, 상기 비참조 부분의 백업을 기록하는 백업부와,
    상기 삭제부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삭제 후에, 실행 취소 동작이 실행되어야 하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문의부와,
    상기 문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이 긍정인 경우, 상기 백업부에 기록된 상기 백업을 상기 기록 매체에 복귀 기입하는 복귀 기입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1. 컴퓨터가 비디오 스트림을 기록 매체에 기입하고,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편집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 동작에 따라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복수의 부분을 재생 구간으로 특정하는 편집 단계와,
    상기 재생 구간이 상기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제외된 후에 남은 복수의 부분을 비참조 부분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와,
    사용자 동작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된 비참조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는 삭제 단계를 포함하는 절차를 컴퓨터로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구간은 각각 재생 동작의 개시/종료 위치의 세트로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비참조 부분은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프론트 엔드로부터 상기 재생 구간 중 하나의 첫 번째로 나타나는 개시 위치 바로 앞까지의 부분과, 상기 재생 구간 중 하나의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종료 위치 바로 뒤로부터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리어 엔드까지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참조 부분은 상기 재생 구간 중 하나의 바로 뒤에서, 이에 이어지는 상기 재생 구간 중의 다른 하나의 바로 앞까지의 모든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실행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비참조 부분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화상 데이터의 순차 재생과, 상기 화상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썸네일의 스크린상으로의 배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복수의 비디오 스트림이 기입되고, 각 스트림은 2 이상의 컨텐츠로 분류되며, 상기 삭제 단계에서는 임의의 컨텐츠에 포함되는 비참조 부분만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는,
    상기 기록 매체내의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리스트 디스플레이 단계와,
    비참조 부분이 삭제될 상기 임의의 컨텐츠의 특정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삭제 단계에서 삭제되는 상기 비참조 부분은 상기 수신 단계에서 특정이 수신된 상기 임의의 컨텐츠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에서 특정이 수신되는 컨텐츠의 개수는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는,
    기록을 프로그래밍하는 동작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프로그래밍된 기록에 필요한 영역 크기를 산출하는 산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영역 크기가 상기 기록 매체의 자유 영역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디스플레이가 실행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상기 비참조 부분이 삭제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가 추가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는,
    상기 기록 매체가 할당해야 하는 최소 자유 영역 크기인 환경 설정값의 특정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영역 크기가 상기 기록 매체의 자유 영역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디스플레이가 실행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상기 비참조 부분이 삭제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가 추가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는,
    상기 삭제 단계에서 실행되는 상기 삭제 전에, 상기 비참조 부분의 백업을 기록하는 백업 단계와,
    상기 삭제 단계에서 실행되는 상기 삭제 후에, 실행 취소 동작이 실행되어야 하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문의 단계와,
    상기 문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이 긍정인 경우, 백업부에 기록된 상기 백업을 상기 기록 매체에 복귀 기입하는 복귀 기입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21.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의 드라이브 디바이스에 대하여 제어를 실행하는 시스템 LSI로서,
    사용자 동작에 따라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복수의 부분을 재생 구간으로 특정하는 편집부와,
    상기 재생 구간이 상기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제외된 후에 남은 복수의 부분을 비참조 부분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동작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된 비참조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는 삭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LSI.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구간은 각각 재생 동작의 개시/종료 위치의 세트로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비참조 부분은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프론트 엔드로부터 상기 재생 구간 중 하나의 첫 번째로 나타나는 개시 위치 바로 앞까지의 부분과, 상기 재생 구간 중 하나의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종료 위치 바로 뒤로부터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리어 엔드까지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LSI.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참조 부분은 상기 재생 구간 중 하나의 바로 뒤에서, 이에 이어지는 상기 재생 구간 중의 다른 하나의 바로 앞까지의 모든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LSI.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비참조 부분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화상 데이터의 순차 재생과, 상기 화상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썸네일의 스크린상으로의 배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LSI.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복수의 비디오 스트림이 기입되고, 각 스트림은 2 이상의 컨텐츠로 분류되며, 상기 삭제부는 임의의 컨텐츠에 포함되는 비참조 부분만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LSI.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내의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리스트 디스플레이부와,
    비참조 부분이 삭제될 상기 임의의 컨텐츠의 특정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삭제부에 의해 삭제되는 상기 비참조 부분은 상기 수신부에 의해 특정이 수신된 상기 임의의 컨텐츠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LSI.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 의해 특정이 수신되는 컨텐츠의 개수는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LSI.
  28. 제 21 항에 있어서,
    기록을 프로그래밍하는 동작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프로그래밍된 기록에 필요한 영역 크기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산출된 영역 크기가 상기 기록 매체의 자유 영역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비참조 부분이 삭제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를 추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LSI.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가 할당해야 하는 최소 자유 영역 크기인 환경 설정값의 특정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산출된 영역 크기가 상기 기록 매체의 자유 영역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비참조 부분이 삭제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를 추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LSI.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부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삭제 전에, 상기 비참조 부분의 백업을 기록하는 백업부와,
    상기 삭제부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삭제 후에, 실행 취소 동작이 실행되어야 하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문의부와,
    상기 문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이 긍정인 경우, 상기 백업부에 기록된 상기 백업을 상기 기록 매체에 복귀 기입하는 복귀 기입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LSI.
KR1020047017376A 2002-12-11 2003-12-11 기록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및 시스템 lsi KR200500847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59866 2002-12-11
JPJP-P-2002-00359866 2002-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785A true KR20050084785A (ko) 2005-08-29

Family

ID=3250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376A KR20050084785A (ko) 2002-12-11 2003-12-11 기록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및 시스템 lsi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46641A1 (ko)
EP (1) EP1474803A1 (ko)
KR (1) KR20050084785A (ko)
CN (1) CN1692444A (ko)
WO (1) WO2004053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2256A (ja) * 2003-06-16 2005-01-13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
JP2005197913A (ja) * 2004-01-06 2005-07-2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248305B1 (ko) * 2005-07-27 2013-03-27 파나소닉 주식회사 정보 기록 매체,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TWI317936B (en) * 2006-03-13 2009-12-01 Sunplus Technology Co Ltd Method of multimedia source playback for optical storage medium
US20070294297A1 (en) * 2006-06-19 2007-12-20 Lawrence Kesteloot Structured playlists and user interface
US7974522B2 (en) * 2006-09-29 2011-07-05 Hibbard Gary D Systems and methods to improve consumer product reliability and lifetime of a hard disk drive by reducing its activity
EP2555144A3 (en) * 2011-08-05 2013-04-17 Document Modelling Pty Ltd Structured document development, management and 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0925A1 (en) * 2000-03-28 2002-08-29 Logan James D.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JP4863540B2 (ja) * 2000-07-31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録画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JP2002150503A (ja) * 2000-11-13 2002-05-24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媒体
WO2002102079A1 (en) * 2001-06-08 2002-12-19 Grotuit Media, Inc.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53877A1 (en) 2004-06-24
CN1692444A (zh) 2005-11-02
EP1474803A1 (en) 2004-11-10
US20050246641A1 (en)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311B1 (ko) 기록매체, 재생장치, 기록방법, 재생방법
EP1536421B1 (en)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a selected program on the removable recording medium where the reservation information has been stored
CN102394090B (zh) 再现设备、记录方法以及再现方法
CA2247626C (en) Optical disc, video data edit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editing program, reproduction apparatus for the optical disc,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reproduction program
US20020015579A1 (en) Recording, edit, and playback methods of audio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3997367B2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CN101114497B (zh) 用于处理信息的设备、方法及计算机程序
KR20050084785A (ko) 기록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및 시스템 lsi
JP2002084495A (ja) 編集装置、再生装置、編集方法、再生方法、編集プログラム、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ディジタル記録媒体
JP3787827B2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2004208293A (ja) 記録装置、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システムlsi
JP3383601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KR100918897B1 (ko) 기록 방법
JP4105944B2 (ja) 再生装置、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プログラム、再生方法。
KR100921134B1 (ko) 영상 음성 스트림의 기록 방법
JP2001266459A (ja) 蓄積媒体の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3383663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及び再生装置
KR100626492B1 (ko) 복수의 타이틀 그룹 편집장치 및 방법
JP3383662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及び再生装置
US20080193106A1 (en) Information Carrier With Improved File Structur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Playback
KR20060081242A (ko) 기록 프로그램의 하이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