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4726A -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4726A
KR20050084726A KR1020040012125A KR20040012125A KR20050084726A KR 20050084726 A KR20050084726 A KR 20050084726A KR 1020040012125 A KR1020040012125 A KR 1020040012125A KR 20040012125 A KR20040012125 A KR 20040012125A KR 20050084726 A KR20050084726 A KR 20050084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vehicle
guide
primary guide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4467B1 (ko
Inventor
정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40012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467B1/ko
Publication of KR2005008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차량 추돌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력을 단계적으로 흡수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구성은,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에 있어서, 캡슐(30) 일측에 장방형의 1차 가이드(36)가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추가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 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1차 가이드(36) 일측 중앙에는 체결공(360a)이 천공되어 이 1차 가이드(36)가 마운팅브라켓(20)에 볼트(B)를 통해 볼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체결공(360a) 일측의 1차 가이드(36) 길이방향에는 슬릿(360b)이 상기 체결공(360a)과 연통토록 연장 형성되어 차량 충돌 또는 추돌시 상기 볼트(B)에 의해 슬릿(360b)이 확장되면서 추가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Energy absorbing con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마운팅 브라켓의 양단부 일측에 끼워져 차량 충돌시 그 충격력을 흡수토록 하는 캡슐 일측에 추가적인 충격흡수구조를 마련하므로서, 차량 충돌시 그 충격력을 1차, 2차에 걸쳐 단계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컬럼은 수축 가능하도록 상·하측으로 분리 형성되어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이 밀착될 때 그 충격으로 인해 운전자가 부상되는 정도를 약화시켜 주는 흡수기능이 기본적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스티어링칼럼은, 아우터튜브(Outer-tube) 단부 내측에 이너튜브(inner-tube) 일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삽입부에는 별도의 마찰부재를 개재시키므로서, 외부 충격전달시에 상기 아우터 튜브 내측으로 이너튜브가 삽입됨과 동시에 그 사이에 끼인 마찰부재에 의해 그 충격력을 감쇄시키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스티어링칼럼에 차량 추돌에 따른 그 충격 에너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충격 흡수구조가 구비 되고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의 스티어링칼럼의 대표적인 일례를 도시한 평편도 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의 충격전달시 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도록 아우터튜브(Outer-tube;1a) 단부 내측에 이너튜브(inner-tube;1b) 일단부가 삽입되어 이루어진 스티어링칼럼(1)이 구비되고, 상기 스티어링칼럼(1)내부에는 스티어링휠(미도시)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스티어링 샤프트(2)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스티어링 샤프트(2) 역시 스티어링칼럼(1)과 같이 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 하단에는 일정각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유니버셜 조인트(3)가 설치되며, 이와 같은 유니버셜 조인트(3)는 기어박스(미도시)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스티어링휠과 인접되게 배치되는 아우터튜브(1a)의 외주측에는 이를 차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마운팅브라켓(4)이 설치되고, 그 하단의 이너튜브(1b)에는 로워브라켓(6)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로워브라켓(6)은 볼트를 통해 차체에 고정되는 것이고, 마운팅브라켓(4)은 그 양단측에 설치된 캡슐(5)에 의해 외부 충격전달시 아우터튜브(1a)와 함께 이너튜브(1b)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캡슐(5)은 그 중앙부에 볼트 결합공이 천공되어 이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차체에 볼팅 고정되고, 상기 볼트 결합공 외주 양측은 마운팅브라켓(4)과 분리 가능하도록 핀(5a) 또는 돌기(미도시)로서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전달시 이와 같은 핀(5a)이 파손 또는 돌기가 이탈 되면서 캡슐(5)이 마운팅브라켓(4)으로 부터 분리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장치는, 차량 충돌시 상기 캡슐로 부터 마운팅브라켓이 이탈되면서 발생되는 마찰저항만으로 그 충격력을 감쇄시킬 수 밖에 없었으므로, 그 충격 흡수효과가 미비하며, 이로 인해 차량 충격으로 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한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마운팅 브라켓의 양단부 일측에 끼워져 차량 충돌시 그 충격력을 흡수토록 하는 캡슐 일측에 보다 큰 충격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충격흡수구조를 마련하여, 차량 충돌시 그 충격력을 1차, 2차에 걸쳐 단계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어 가일층 효과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장치에 있어서, 캡슐 일측에 장방형의 1차 가이드가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추가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 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1차 가이드 일측 중앙에는 체결공이 천공되어 이 1차 가이드가 마운팅브라켓에 볼트를 통해 볼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체결공 일측의 1차 가이드 길이방향에는 슬릿이 상기 체결공과 연통토록 연장 형성되어 차량 충돌 또는 추돌시 상기 볼트에 의해 슬릿이 확장되면서 추가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를 마련함에 의한다.
특히, 상기 1차 가이드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이루어 지며, 볼팅공이 천공된 상기 1차 가이드 일측에는 가이드구가 하향 돌설된 2차 가이드가 볼트 볼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다.
우선, 스티어링컬럼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튜브(10a)와 아우터튜브(10b)로 이루어진 스티어링컬럼(10)의 내부에는 스티어링 샤프트(50)가 설치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50) 일단에는 유니버셜 조인트(60)가 설치된다.
계속해서, 스티어링휠(미도시)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아우터튜브(10a)의 외주측에는 이를 차체에 고정토록 하는 마운팅브라켓(20)이 설치되고, 그 하단의 이너튜브(10b) 역시 이를 차제에 고정시킬 수 있는 로워브라켓(7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로워브라켓(70)은 차체에 완전 고정토록 설치되며, 이와는 달리 상기 마운팅브라켓(20)은 캡슐(30)에 의해 차체로 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마운팅브라켓(20)의 양측에는 전술한 캡슐(30) 설치를 위한 설치홈(22)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22) 주변에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요홈(24)이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설치홈(22)에는 전술한 캡슐(30)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캡슐(30)에는 이 캡슐이 차체에 볼팅 고정되도록 볼트 결합공(32)이 천공되고, 상기 볼트 결합공(32) 주변에는 상기 마운팅브라켓(30)의 요홈(24)에 치합되는 돌기(34)가 형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전술한 캡슐(30) 일측에 1차 가이드(36)를 연장 형성하여 스티어링칼럼에 보다 큰 충격이 전달될 때 이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캡슐(30)일체로 연장되는 상기 1차 가이드(36) 일측 중앙에는 체결공(360a)이 천공되어 이 1차 가이드(36)가 마운팅브라켓(20)에 볼트(B)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볼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체결공(360a) 일측의 1차 가이드(36) 길이방향에는 슬릿(360b)이 상기 체결공(360a)과 연통토록 연장 형성되어 차량 충돌 또는 추돌시 상기 볼트(B)에 의해 슬릿(360b)이 확장되면서 추가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1차 가이드(36)의 체결공(360a) 측에는 2차 가이드(40)를 더 구비하여 충격흡수시 볼트(B)에 의해 변형되는 1차 가이드(36)의 이상변형을 방지토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가이드(36)는 그 일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1차 가이드(36)의 체결공(360a) 측에 결합되는 2차 가이드(40) 저면 양측에는 복수개의 가이드구(400)가 돌출되어 충돌시 상기 1차 가이드(36)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스티어링칼럼을 지지하는 마운팅브라켓(20) 양측의 설치홈(22)에 1차 가이드(36)가 일체 형성된 캡슐(30)이 돌기(34)와 요홈(24)의 치합에 의해 상기 마운팅브라켓(20)에 결합되며, 상기 캡슐(30)의 볼트 체결공(32)에는 마운팅 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이를 차체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캡슐(30) 일측에 연장형성된 1차 가이드(36)의 체결공(360a)에는 볼트(B)를 관통시켜 이 1차 가이드(36)가 마운팅브라켓(20)에 고정토록 하되, 상기 1차 가이드(36)의 체결공(360a)과 볼트(B) 사이에는 가이드구(400)가 형성된 2차 가이드(40)가 위치하여 충돌시 1차 가이드(36)의 슬라이딩을 지지할 수 있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에 적용된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에 따른 작동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장치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로서, 도 2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량 충돌 또는 추돌시 그 충돌관성에 의해 아우터튜브(10a)가 이너튜브(10b) 측으로 컬랩스(Collapse)되면서 이와 연동되도록 마련된 마운팅브라켓(20) 역시 이너튜브(10b)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차체에 고정된 캡슐(30)로 부터 상기 마운팅브라켓(20)이 이탈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동시에, 마운팅브라켓(20)에 고정되는 볼트(B)가 상기 캡슐(30) 일단에 연장된 1차 가이드(36)의 슬릿(360b)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 슬릿(360b)을 확대시키게 되고 이 과정중에 발생한 마찰저항에 의해 추가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 지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마찰저항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릿(360b)의 폭은 볼트(B)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볼트(B)와 1차 가이드(36) 사이에 2차 가이드(40)가 더 구비되므로서, 충격 발생시 볼트(B)가 슬릿(360b)을 확장시키면서 이동하는데 따른 1차 가이드(36)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면서 일정한 충격 하중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1차 가이드(36)는 외광내협(外廣內狹) 즉, 그 일측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2차 가이드(40)가 볼트와 함께 충격에 의해 일측으로 밀리게 되면, 일측으로 갈수록 2차 가이드(40)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구(400)가 상기 1차 가이드(36)의 양측 외벽에 점진적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마찰력이 증대되어 충격흡수력을 가일층 배가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에 의하면, 차량 충돌시 마운팅브라켓과 분리되어 그 충격에너지를 흡수토록 하는 캡슐 일측에 보다 큰 충격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추가적인 충격흡수구조가 마련되므로서, 차량 충돌시 그 충격력을 1차, 2차에 걸쳐 단계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어 충격흡수 효과를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으며, 충격흡수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티어링칼럼을 도시한 평편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장치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10...스티어링칼럼 10a...아우터튜브
10b...이너튜브 20...마운팅 브라켓
30...캡슐 36...1차 가이드
40...2차 가이드 50...스티어링 샤프트
60...유니버셜 조인트 70...로워 브라켓
360a...체결공 360b...슬릿
B...볼트

Claims (5)

  1. 스티어링칼럼(10)과, 상기 스티어링칼럼(10)의 일측 외주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브라켓(20)과, 상기 마운팅브라켓(20)의 외부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를 차체에 고정토록 하는 캡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캡슐(30) 일측에 장방형의 1차 가이드(36)가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추가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 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1차 가이드(36) 일측 중앙에는 체결공(360a)이 천공되어 이 1차 가이드(36)가 마운팅브라켓(20)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체결공(360a) 일측의 1차 가이드(36) 길이방향에는 슬릿(360b)이 상기 체결공(360a)과 연통토록 연장 형성되어 차량 충돌 또는 추돌시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슬릿(360b)이 확장되면서 추가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이드(36)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이드(36)의 체결공(360a) 측에는 2차 가이드(40)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어 충격에너지 흡수시 상기 1차 가이드(36)의 이상변형을 방지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가이드(40)의 저면 양단측에는 가이드구(400) 하향 돌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KR1020040012125A 2004-02-24 2004-02-24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KR100804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125A KR100804467B1 (ko) 2004-02-24 2004-02-24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125A KR100804467B1 (ko) 2004-02-24 2004-02-24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726A true KR20050084726A (ko) 2005-08-29
KR100804467B1 KR100804467B1 (ko) 2008-02-20

Family

ID=3726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125A KR100804467B1 (ko) 2004-02-24 2004-02-24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4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11B1 (ko) * 2005-12-01 2008-01-15 주식회사 만도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조향장치
KR101027033B1 (ko) * 2005-03-21 2011-04-11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의 가변형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101702241B1 (ko) * 2015-11-17 2017-02-02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컬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750B1 (ko) * 2001-03-12 2003-04-26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공조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활주 도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033B1 (ko) * 2005-03-21 2011-04-11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의 가변형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100795011B1 (ko) * 2005-12-01 2008-01-15 주식회사 만도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조향장치
KR101702241B1 (ko) * 2015-11-17 2017-02-02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컬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467B1 (ko)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7338A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스티어링 장치
JP2000283139A (ja) 車両用プロペラシャフト
JP2008018780A (ja) 衝撃吸収構造
KR100804467B1 (ko)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KR20080084357A (ko) 충격 흡수식 조향장치
KR102282125B1 (ko) 충격 흡수 구조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JP2009006910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1992714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
KR100985501B1 (ko) 조향장치의 마운팅 브라켓 충격 흡수구조
KR101046186B1 (ko) 조향장치의 마운팅 브라켓 충격 흡수구조
KR100764149B1 (ko)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1033157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충격흡수 구조
KR100816397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489091B1 (ko)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흡수구조
KR100764152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충격전달 방지장치
KR100764229B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20040025942A (ko) 스티어링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141896Y1 (ko) 자동차 조향핸들의 충격흡수구조
KR100264660B1 (ko) 콜랩서블 스티어링 컬럼
KR200192427Y1 (ko) 콜랩서블 스티어링 샤프트
KR19980030204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충격흡수용 인터매드샤프트
KR100467342B1 (ko) 차량용 스티어링컬럼
KR20020054099A (ko) 스티어링 컬럼의 완충장치
KR19980049834U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유니버셜 조인트 충격 하중 흡수 및 차단장치
KR100746674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