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619A - 미디어 데이터를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미디어 데이터를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619A
KR20050082619A KR1020040011116A KR20040011116A KR20050082619A KR 20050082619 A KR20050082619 A KR 20050082619A KR 1020040011116 A KR1020040011116 A KR 1020040011116A KR 20040011116 A KR20040011116 A KR 20040011116A KR 20050082619 A KR20050082619 A KR 20050082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data
scheduling
source media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5421B1 (ko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KR102004001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421B1/ko
Priority to PCT/KR2005/000450 priority patent/WO2005081250A1/en
Publication of KR20050082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구간을 반복재생하도록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스케쥴링 장치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특정 근원 미디어 데이터 단위구간에 대한 반복순서 및 반복횟수를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반복재생 할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선택받은 근원 미디어 데이터만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근원 미디어 데이터에서 반복재생 할 단위구간들을 지정받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단위구간들의 반복순서와 반복횟수를 설정받는 스케쥴링 설정 단계와, 상기 스케쥴링 설정에 따라 단위구간을 반복재생하는 단위구간 반복 단계를 구비한다. 또한,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는, 특정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호출하여 재생하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 호출 모듈과, 상기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구간들을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아 단위구간으로 설정하는 단위구간 설정 모듈과, 상기 단위구간의 반복횟수 및 반복순서를 스케쥴링 설정하는 단위구간 스케쥴링 모듈과, 상기 단위구간별로 반복횟수, 반복순서를 저장하는 단위구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미디어 데이터를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scheduling media data}
본 발명은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구간을 반복재생하도록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스케쥴링 장치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특정 근원 미디어 데이터 단위구간의 반복순서 및 반복횟수를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디어 재생기(카세트, CD플레이어, MP3플레이어 등의 오디오 재생기 및 비디오 등의 비디오 재생기 포함)를 이용하여 오디오나 비디오로 형성된 데이터를 재생하다가, 사용자가 특정 구간을 반복하여 재생시키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어학학습을 하는 경우에는 특정 구간을 반복하여 재생시키는 경우가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다양한 반복 재생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일 실시 예로서, 미디어 재생기에 반복재생 버튼을 별도로 두어서 반복 재생키가 선택된 순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4초에서 8초)만큼 후퇴하여 반복 재생하는 방법이 있다. 이 때, 반복횟수는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는, 사용자가 단위구간을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즉, 미디어 재생기에 별도의 반복재생 설정버튼을 두어서 사용자가 반복재생을 원하는 구간의 시작점과 종료점에서 각각 반복재생 설정버튼을 선택하면, 시작점과 종료점 사이의 구간을 반복하여 재생하는 것이다. 이때에도 반복 재생횟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근래에는 DVD 플레이어나, PC의 동영상 CD 플레이어, 저장장치가 있는 디지털 방송 TV(HDTV) 등과 같이 멀티미디어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재생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학 학습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를 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구간의 반복을 손쉽게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 시에 단위구간을 설정하면 해당 구간의 오디오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내의 타이밍 태그(Timing Tag)에 맞추어 상기의 오디오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동기화시켜 함께 반복 재생하는 방법(출원번호: 10-2000-0065300), 사용자가 원하는 재생반복 요청구간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해 놓았다가 추후에 상기 저장된 재생반복 요청구간만을 재생하는 방법(특허출원: 10-2000-0065890)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미디 데이터의 단위구간 재생방법들은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있었다.
첫째,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데, 종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단위구간 재생방법은 이들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동기화시켜 함께 재생시킬 수 있을 뿐 이들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분리하여 각각 단위구간을 설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어학학습의 경우 일반적으로 한번만 들어도 이해가 되는 문장이 있는가 하면 여러 번 들어도 이해가 가지 않는 문장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해가 안가는 부분의 영상 또는 오디오의 특정부분들을 단위구간으로 설정해서 자신이 스케쥴링 설정한 순서대로 단위구간들을 반복재생하고 싶으나 이를 구현할 방법이 없었으며, 내용의 중요도 등에 따라 재생횟수 및 재생구간, 재생순서 등을 원하는 대로 지정하여 구현할 방법이 없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제안된 것으로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리하여 특정 근원 미디어 데이터만을 단위구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가지 미디어 데이터 종류만을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기에 있어서도, 해당 동종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해서 다양한 스케쥴링 설정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원 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설정된 단위구간들에 대해서는 미리 지정된 반복순서와 반복횟수에 따라 반복 재생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케쥴링된 미디어 데이터를 반복재생할 수 있는 스케쥴링 재생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다수개의 근원 미디어 데이터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구간을 반복재생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내의 다수 개의 근원 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반복 재생할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선택받은 근원 미디어 데이터만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단위구간들을 지정받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단위구간들의 반복순서와 반복횟수를 설정받는 단계와, 상기 스케쥴링 설정에 따라 단위구간을 반복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재생기는 특정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호출하여 재생하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 호출모듈과, 상기 재생되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구간들을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아 단위구간으로 설정하는 단위구간 설정 모듈과, 상기 단위구간의 반복횟수 및 반복순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반복재생 스케쥴링을 설정하는 단위구간 스케쥴링 모듈과, 상기 단위구간별로 반복횟수, 반복순서를 저장하는 단위구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의 멀티미디어 단위구간 재생방법 및 단위구간 재생장치에 의해서,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원하는 순서에 따라 반복해서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외화 보던 중에 영상 데이터의 특정 구간만을 오디오 및 자막 없이 묵음 상태로 감상할 수 있거나 영어 대사 오디오를 반복해서 들음으로써, 어학 학습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감상하고 싶은 미디어 구간들에 대해서 반복재생 순서를 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효율적인 어학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구간을 스케쥴링대로 반복재생하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근원 미디어 데이터 호출모듈(102)은 반복재생할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근원에서 가져오는 기능을 한다. 상기 근원 미디어 데이터라 함은 멀티미디어 재생 시에 필요한 각각의 근원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가 외화 DVD를 재생하는 경우에, 근원 미디어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외화 원어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가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근원 미디어 데이터 호출모듈(102)은 외화 DVD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근원 미디어 데이터(영상 데이터, 외화 원어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를 호출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저장 장치가 있는 디지털 방송 TV가 디지털 방송채널을 수신하여 외화를 방송하는 경우에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외화 원어 오디오 데이터, 번역어(한국어)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가 해당된다. 다만, 상기 디지털 방송 TV에 있어서 상기 근원 미디어 데이터 호출모듈(102)은, DVD 반복재생과 같이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DVD에서 직접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방송의 각 방송채널을 분리 인식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더 갖음으로써, 근원 미디어 디지털 데이터를 호출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송 TV 채널은 크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상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오디오채널, 자막 및 필요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채널, 제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채널 등이 포함되는데, 각 채널내의 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하여 각 채널을 분리 인식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더 갖는 것이다.
단위구간 지정모듈(104)은 반복 재생할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특정구간을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아 단위구간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단위구간 지정모듈은 단위구간을 지정하기 위한 다양한 알로리즘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단위구간 지정 알고리즘은 도 3의 단위구간 지정 및 저장 단계(S310) 및 도 9의 단위구간 지정 및 저장 단계(S910)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위구간 스케쥴링 모듈(106)은 지정된 단위구간들을 어떤 순서로 반복재생할 것인가, 반복횟수는 얼마나 할 것인가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아 이를 단위구간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하고, 나아가 설정된 반복순서 및 반복횟수에 따라 단위구간들을 반복재생하도록 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제1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단위구간들이 1-A, 1-B, 1-C로 지정되고 제2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단위구간들이 2-A, 2-B로 지정되고, [1-C, 4회반복] ->[2-A, 3회반복] -> [1-B, 3회반복] -> [1-A, 5회반복] -> [2-B, 1회반복] 순서대로 반복재생되도록 스케쥴링 설정된 경우, 단위구간 스케쥴링 모듈(106)은 설정된 반복순서 및 반복횟수를 단위구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설정된 반복순서 및 반복횟수에 따라 상기 단위구간들을 반복재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단위구간 데이터 베이스(110)는 반복재생할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종류, 단위구간, 반복순서, 반복횟수 등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로서, 단위구간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예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서는 제1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종류가 영상 데이터, 제2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종류가 오디오 데이터로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를 든 것일 뿐 영상 데이터 뿐 아니라 자막 데이터 등 다양한 근원 미디어 데이터가 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제어부(108)는 OS 및 상기 각 기능부들을 제어하는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어, 근원 미디어 데이터들이 본 발명에 따라 특정 구간이 소정의 순서대로 반복 재생되도록 한다.
도 1a에 도시된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의 각 내부 구성블록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각 구성 블록은 소정의 알고리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된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는 하드웨어 모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알고리즘 모듈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상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는 DVD 플레이어, 동영상 CD 플레이어, 디지털 방송 TV(HDTV)와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재생기 내부에 삽입되는 하드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 모듈로 이루어 질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한편, 상기의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로부터 스케쥴링 된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재생하는 별도의 스케쥴링 재생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데, 상기 스케쥴링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 블록도가 도 1b에 도시되었다.
스케쥴링 데이터 입력 모듈(152)은 외부의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로부터 스케쥴링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부이다. 따라서, 외부의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로부터 스케쥴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하여 스케쥴링 데이터 입력모듈은 시리얼 통신 입력 터미널 등과 같은 유선 터미널이나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같은 근거리 무선 터미널로 구현되며, 스케쥴링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로부터 입력 또한 가능하다
미디어 데이터 입력모듈(153)은 재생하고자 하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구성요소이다. 근원미디어 데이터 입력모듈은 근원미디어 데이터가 담긴 저장매체가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써 재생모듈을 통해서 재생이 이루어지게 하는 수단을 말한다. 또한, 근원미디어 데이터 입력모듈은 외부로부터 근원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함으로써 재생모듈에 의해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메모리 모듈(154)은 스케쥴링 데이터 입력모듈(15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듈이며, 재생시 메모리모듈(154)에 저장된 스케쥴링 데이터가 재생수단에 의해 이용된다. 상기 재생은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단위구간들이 메모리 모듈(154)에 저장된 스케쥴링 데이터인 반복순서, 반복횟수에 따라 재생모듈에 의해 이루어진다.
재생모듈(156)은 스피커, 모니터, 디지털 플레이어 등과 같은 미디어 재생 기능을 가진 재생장치로서,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로부터의 스케쥴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모든 미디어 재생기가 해당된다. 재생모듈(156)은 메모리 모듈(154)에 저장되어 있는 스케쥴링 데이터에 따라 근원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단위구간을 반복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단위구간 설정모드에 들어가게 되면(S302),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는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 내에 포함되어 있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들을 출력(S304)한다. 예컨대, 저장 장치가 있는 디지털 방송 TV의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 TV내에 있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또는, 내부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루고 있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들의 리스트를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 형식으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곳은 멀티미디어 재생기가 동영상 CD 플레이어인 경우에는 모니터창이 되고, 멀티미디어 재생기가 DVD 플레이어 또는 디지털 방송 TV인 경우에는 브라운관이 된다.
만약, 별도의 모니터 창이 없는 오디오 재생기의 경우에는, 해당 오디오 재생기에서 출력 가능한 외국어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차례로 사용자에게 들려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S306)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상기 출력되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특정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도 4에 도시한 리모콘(400)의 이동키(408) 및 선택키(406)를 이용하여 선택(S306)하면,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는 상기 선택된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호출하여 이를 재생(S308)한다.
상기 재생은 선택된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재생방법이 달리 이루어지는데,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를 선택한 경우에는 오디오 및 자막 없이 영상만이 재생되며 영어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한 경우에는 영상, 자막, 일본어 오디오, 한국어 오디오 없이 영어 오디오만이 재생된다.
선택된 근원 미디어 데이터가 재생(S308)되면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단위구간을 지정받아 이를 단위구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S310)을 갖는다.
단위구간 지정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제시될 수 있는데, 이하 그 지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방법은, 근원 미디어 데이터 재생 중에 단위구간 설정키(402)를 눌러 단위구간 구분점을 기준으로 단위구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즉, 재생 중에 단위구간 설정키(402)를 한번 누르게 되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원 미디어 처음 부분부터 단위구간 설정키 입력된 지점(단위구간 구분점)까지의 부분이 첫 번째 단위구간(650;1-a구간)으로 설정된다. 그 후, 두 번째 단위구간 설정키 입력(S604)이 있게되면 단위구간 설정키 첫 번째 입력점(S602)부터 두 번째 입력점(S604)까지가 두 번째 단위구간(651;1-b구간) 설정이 이루어진다. 만약, 단위구간 설정키 두번째 입력(S602)이 있은 후, 재생 종료 시점까지 또 다른 단위구간 설정키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단위구간 설정키 두 번째 입력(S604)부터 재생 종료점(S606)까지의 구간이 단위구간(652;1-c)으로 설정된다.
단위구간을 지정하는 두 번째 방법은, 재생되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단위구간으로 설정하고자 단위구간 시작점에서 단위구간 시작키를 누르며 종료 시점에서 단위구간 스톱키를 누름으로써 하나의 단위구간을 지정하는 것이다. 그 후, 계속해서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를 시청하면서 단위구간 시작키와 단위구간 스톱키를 누름으로써 단위구간을 연속하여 지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근원 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되는 도중에 단위구간 시작키와 단위구간 스톱키를 누름(S652, S654)으로써, 반복을 원하는 구간들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단위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은 타임 태그(time tag)를 이용하여 특정 시간대를 기준으로 단위구간 지정이 될 수도 있고, 미디어 데이터 블록단위 태그 기준으로 단위구간 지정이 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단위구간을 지정하는 세 번째 방법은, 상기 단위구간을 일일이 지정해 줄 필요 없이 리모콘의 단위구간 자동지정키(414)를 누르게 되면 자동적으로 단위구간이 지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지정키(414)를 누르게 되면 근원 미디어 데이터는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예컨대, 10초, 15초, 20초 등)대로 나뉘어져 단위구간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 자동지정키(414)를 누르게 되면, 오디오가 없는 묵음지점을 기준으로 자동적으로 반복구간 설정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일정레벨이상의 음량이 계속되다가 특정 지점에서 일정레벨이하의 일정시간 묵음상태로 지속될 시에는 해당 묵음지점까지가 첫 번째 반복구간으로 지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정된 단위구간들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정된 순서(702)대로 해당 구간의 인덱스가 단위구간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화되어 저장(S310)된다.
특정 근원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단위구간 지정(S310)이 종료되면 또 다른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단위구간을 지정할 것인지를 묻는 단계(S312)를 가진다. 또 다른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단위구간을 지정하고자 할 때(S312a)는 다시 상기 단계들(S304,S306,S308,S310)을 거쳐서 단위구간들이 지정된다.
예를 들어, 제1 근원 미디어 데이터(영상 데이터)의 단위구간 지정이 끝난 후, 제2 근원 미디어 데이터(오디오 데이터)의 단위구간을 지정할 경우에는, 상기 S304, S306, S308, S310 단계들을 거친 후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근원 미디어 데이터에서 지정된 단위구간들(S712)이 단위구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단위구간 지정이 완료(S312b)된 후에는 단위구간 재생 스케쥴링 설정 단계(S314)를 가진다. 즉, 지정된 단위구간을 어느 순서로, 얼마만큼 반복할 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이다. 나아가 특정 단위구간을 아무 소리도 나지 않는 묵음으로 반복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스케쥴링 설정은 단위구간 각각마다 반복순서와 반복횟수를 설정하는 것인데, 사용자는 출력되는 단위구간의 내용물을 보고서 반복순서와 반복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만을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기의 경우에는 각 구간별로 순차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구간의 반복순서와 반복회수를 설정하도록 한다.
영상물을 볼수 있는 모니터를 구비한 영상 재생기(예컨대, DVD 플레이어, 디지털 TV 방송)의 경우에는 스케쥴링 설정의 편의를 위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복구간 및 반복순서, 반복횟수 필드를 모니터 창에 디스플레이 한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400)의 이동키(408)를 이용하여 커서(S802)를 특정 필드에 위치시키고 선택키를 누르게 되면 해당 필드에 반복순서 또는 반복횟수를 기재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는 각 단위구간 별로 반복횟수 및 반복순서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지정된 단위구간의 내용을 모를 시에는 해당 단위구간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선택키를 누르게 되면 해당 단위구간의 내용물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구간의 내용물을 보거나 들은 후에 스케쥴링 설정을 할 수 있다.
한편, 반복횟수를 설정할 때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출력을 제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가령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해당 구간의 오디오 반복재생 대신 묵음인 상태로 반복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 인 경우 해당구간의 영상 반복 재생 대신 영상출력이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단위구간의 반복횟수를 0으로 설정하면 해당 단위 구간이 묵음인 상태로 반복 재생되는 것이다.
상기의 단위구간 지정단계(S304,S306,S308,S310) 및 스케쥴링 설정 단계(S314)를 거친 후에는 단위구간 데이터베이스에는 도 2와 같은 내용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의 단위구간 지정단계(S304,S306,S308,S310) 및 스케쥴링 설정 단계(S314)를 마친 후, 사용자가 단위구간 반복키(404)를 누르게 되면 단위구간 지정 및 스케쥴링 설정 내용대로 근원 미디어 데이터가 반복재생(S316)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케쥴링이 설정이 되었다면, [1-C구간, 4회반복] -> [2-A구간, 3회반복] -> [1-B구간, 3회반복] -> [1-A구간, 5회반복] -> [2-B구간, 1회반복] 이라는 단위구간 재생이 수행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리모콘(400)을 이용하여 단위구간 지정 및 반복재생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설명하였지만, 멀티미디어 재생기가 동영상 CD 플레이어를 포함한 개인용컴퓨터의 경우는 키보드를 통해 단위구간 지정 및 반복재생이 이루어짐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내의 다양한 근원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스케쥴링 설정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근원 미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다양한 스케쥴링 설정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한편, 상기 단위구간 지정 및 저장 단계(S310)에서 단위구간을 지정받는 방법은 재생중인 근원 미디어 데이터에서 단위구간 시작점을 일일이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반복순서 및 반복횟수의 스케쥴링 설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사용자가 항상 일일이 단위구간 시작점을 지정해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상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위구간 지정 과정 없이 바로 스케쥴링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도 9의 플로우차트에서 제시한다.
단위구간 확인모드(S902)에 들어가게 되면,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단위블록들을 출력하여 반복순서와 반복횟수를 설정받는 스케쥴링 설정단계(S904)를 갖는다. 상기에서 근원 미디어 데이터는 데이터 생성 시에 미리 반복 재생할 단위 구간들이 설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단위구간 확인모드에 들어가면,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는 미리 지정되어 있는 단위구간들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재생기의 경우에는 해당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각 구간의 오디오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들의 반복순서와 반복횟수를 설정하도록 한다.
특정 근원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스케쥴링 설정이 끝난 후에는 또 다른 근원 미디어 데이터에 대하여 스케쥴링 설정할 것인지 묻는 단계(S906)를 가진다. 또 다른 근원 미디어 데이터에 대하여 스케쥴링 설정하고자 할 때는 다시 상기 스케쥴링 설정 단계(S904)들을 거쳐서 반복순서 및 반복횟수를 지정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스케쥴링 설정이 완료된 뒤라면 언제든지 사용자가 재생키를 누르게 되면 스케쥴링 설정 내용대로 근원 미디어 데이터가 반복 재생(S908)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개의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의 반복재생에 있어서 특정 근원 미디어 데이터만을 반복재생할 수 있어 사용자가 다양한 어학 학습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된다. 또한, 동일한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미디어 반복재생에 있어서도, 해당 미디어에 대한 다양한 스케쥴링이 가능해 어학 학습에 도움이 된다. 또한, 지정된 단위구간의 반복순서 및 반복횟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반복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1b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단위구간 데이터베이스내에 저장되는 데이터 예시 테이블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구간을 반복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콘트롤하는 리모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한 모습이다.
도 6a,6b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단위구간을 설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7a, 도 7b는 단위구간 지정 및 스케쥴링 설정 테이블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8은 단위구간 스케쥴링 설정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9는 블록화 되어 있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위구간을 지정하여 반복재생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302: 단위구간 설정모드 시작
S306: 특정 근원 미디어 데이터 선택
S310: 단위구간 지정 및 저장
S314: 단위구간 재생 스케쥴링 설정
S316: 설정된 스케쥴링에 따라 반복재생

Claims (23)

  1. 다수개의 근원 미디어 데이터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반복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내의 다수 개의 근원 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반복 재생할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선택받은 근원 미디어 데이터만을 출력하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 선택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반복재생할 구간(이하, 단위구간)들을 지정받는 단위구간 지정 단계와,
    상기 지정된 단위구간들의 반복순서와 반복횟수를 설정받는 스케쥴링 설정 단계와,
    상기 스케쥴링 설정에 따라 단위구간을 반복 재생하는 단위구간 반복재생 단계
    를 구비한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근원 미디어 데이터 선택 단계에서 근원 미디어 데이터 출력은, 디지털 방송인 경우 각 채널에 실린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분리 인식하여 선택된 근원 미디어 데이터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근원 미디어 데이터 선택 단계에서 근원 미디어 데이터 출력은, 선택받은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단위구간 지정 단계에서 단위구간들을 지정받는 것은, 선택된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중에 단위구간 구분점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단위구간들을 지정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단위구간 지정 단계에서 단위구간들을 지정받는 것은, 선택된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중에 반복재생할 단위구간들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단위구간들을 지정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단위구간 지정 단계에서 단위구간들을 지정받는 것은, 선택된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중에 단위구간 시작 시점이 지정되면 해당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동안 단위구간으로 자동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단위구간 지정 단계에서 단위구간들을 지정받는 것은,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 일정 기준레벨 이하의 오디오 출력 지점을 단위구간의 구분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단위구간 지정 단계에서 단위구간들을 지정받는 것은, 상기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단위구간 지정 작업이 종료된 후 또 다른 제2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호출하여 상기 제2 근원 미디어 데이터에 대하여 단위구간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스케쥴링 설정단계는 특정 단위구간을 출력을 제한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방법.
  10. 다수개의 근원 미디어 데이터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반복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블록에 대하여 반복재생할 단위구간으로서 반복순위와 반복횟수를 설정받는 스케쥴링 설정 단계와,
    상기 스케쥴링 설정에 따라 단위구간들을 반복재생하는 반복재생 단계
    를 포함한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방법.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스케쥴링 설정 단계에서 반복순위와 반복횟수를 설정은, 상기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스케쥴링 설정이 종료된 후 또 다른 제2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호출하여 상기 제2 근원 미디어 데이터에 대하여 스케쥴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근원 미디어 데이터는 소정의 단위인 블록단위로 생성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방법.
  13.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통해 재생되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특정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호출하여 출력하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 호출모듈과,
    상기 재생되는 근원 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구간들을 단위구간으로 설정하는 단위구간 설정 모듈과,
    상기 단위구간의 반복횟수 및 반복순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반복재생할 단위구간의 스케쥴링을 설정하는 단위구간 스케쥴링 모듈과,
    상기 단위구간별로 반복횟수, 반복순서를 저장하는 단위구간 데이터베이스
    를 구비한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근원 미디어 데이터 호출모듈에 근원 미디어 데이터 호출은 다수개의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한 후 사용자로부터 특정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받아 해당 근원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단위구간 설정 모듈에서 단위구간 설정은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 묵음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단위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단위구간 설정 모듈에서 단위구간 설정은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아 단위구간 설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단위구간 스케쥴링 모듈에서 단위구간의 스케쥴링을 설정하는 것은 해당 단위구간의 출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
  18. 미디어 데이터의 특정구간을 스케쥴링하는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로부터 스케쥴링 데이터를 입력받는 스케쥴링 데이터 입력 모듈과,
    재생하고자 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미디어 데이터 입력모듈과,
    상기 스케쥴링 데이터 입력 모듈로부터 스케쥴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저장매체로부터 읽어들인 스케쥴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과,
    상기 저장모듈로부터 스케쥴링 데이터에 따라 상기 미디어 데이터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된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모듈
    을 구비한 스케쥴링 재생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스케쥴링 데이터 입력모듈은 상기 미디어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재생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스케쥴링 데이터 입력모듈은 저장매체로부터 스케쥴링 데이터가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재생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근원미디어 데이터 입력모듈은 근원미디어 데이터가 담긴 저장매체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재생장치.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데이터 입력모듈은 외부로부터 근원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재생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재생모듈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재생할 수 있는 재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재생장치.
KR1020040011116A 2004-02-19 2004-02-19 미디어 데이터를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95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116A KR100595421B1 (ko) 2004-02-19 2004-02-19 미디어 데이터를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05/000450 WO2005081250A1 (en) 2004-02-19 2005-02-17 Method and apparatus of scheduling media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116A KR100595421B1 (ko) 2004-02-19 2004-02-19 미디어 데이터를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619A true KR20050082619A (ko) 2005-08-24
KR100595421B1 KR100595421B1 (ko) 2006-07-05

Family

ID=3488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116A KR100595421B1 (ko) 2004-02-19 2004-02-19 미디어 데이터를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95421B1 (ko)
WO (1) WO20050812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329B1 (ko) * 2010-01-29 2012-01-18 윤만희 어학 학습기 재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938B1 (ko) * 2010-01-06 201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8991B1 (en) * 1995-03-06 2001-09-11 Fujitsu Limited Storage medium playback method and device
JP4018166B2 (ja) * 1995-07-06 2007-12-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媒体記録方法、装置及び媒体再生方法、装置
KR100370371B1 (ko) * 2000-03-22 2003-01-30 유춘영 휴대용 씨디 플레이어에서의 데이터 재생 방법
KR20000063615A (ko) * 2000-06-01 2000-11-06 최원용 구간 지정된 문자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의 재생방법과이를 위한 재생장치
KR100551664B1 (ko) * 2000-11-03 2006-02-13 장철 데이터의 자동 구간반복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329B1 (ko) * 2010-01-29 2012-01-18 윤만희 어학 학습기 재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5421B1 (ko) 2006-07-05
WO2005081250A1 (en)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31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moving picture data
JP2005184180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番組視聴システム
WO2001009785A1 (en) Study method and apparatus using digital audio and caption data
KR100595421B1 (ko) 미디어 데이터를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306430A (ja) 映像音声再生装置
KR100551664B1 (ko) 데이터의 자동 구간반복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KR100212570B1 (ko) 디브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
KR100823275B1 (ko) 방송 녹화 및 재생 방법과 그 장치
JP2002218331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R100693626B1 (ko) Pvr시스템에서 녹화 방송 관리 방법
KR101103329B1 (ko) 어학 학습기 재생 방법
JP2007295340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JP2009130742A (ja) 視聴区間情報管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06100892A (ja) 放送受信装置
KR100273351B1 (ko)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특정부분 기억 및 재생방법
KR100428382B1 (ko) 음성더빙이 가능한 미디어재생장치 및 음성더빙방법
JP2006254257A (ja) 視聴制限装置
KR20040053773A (ko) 엠피3 플레이어의 방송 신호 예약 녹음/재생 장치 및 그방법
JP2008206012A (ja) 記録再生装置
KR100927989B1 (ko) 디지털 복합 시스템의 구간 녹화 장치 및 방법
JP2005303871A (ja) 映像記憶再生装置
KR20100004305A (ko) 메타 미디어 클립 재생 순서 표현 방법 및 재생 방법
KR100260879B1 (ko) 비디오 테이프의 음성 신호 반복 재생 방법
JP3088366U (ja) カラオケ装置
JP200402346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