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461A -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461A
KR20050082461A KR1020040010884A KR20040010884A KR20050082461A KR 20050082461 A KR20050082461 A KR 20050082461A KR 1020040010884 A KR1020040010884 A KR 1020040010884A KR 20040010884 A KR20040010884 A KR 20040010884A KR 20050082461 A KR20050082461 A KR 2005008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ozone
electron beam
wastewat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6338B1 (ko
Inventor
김조천
장덕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Priority to KR102004001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338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2Bends; Siphons adapted to make use of special secur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폐수종말처리장의 하폐수저장조나 폭기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포집하고, 그 악취에 전자빔을 조사함으로써 직접 악취 분해 및 발생하는 오존수를 재투입시켜 하폐수처리에 도움을 주거나, 악취를 발생하는 기체를 제거토록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 하폐수를 저장하고 공기를 투입받기 위한 하폐수저장조와; 그 하폐수저장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침사 및 응집처리를 행하는 침사지와; 그 응집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침전반응을 일으키는 침전조와; 공기를 불어넣거나 공중에 물을 살포하여 물과 공기를 충분히 접촉시키고, 이러한 조작으로 산화작용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을 촉진하게 함으로써 그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해 악취물질의 전자빔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미세먼지) 등의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폭기조와; 그 폭기조로부터 슬러지를 제공받아 중력식, 부상식, 원심분리식 등의 방법으로 슬러지를 따로 분리하여 농축시키는 농축조와; 상기 폭기조로부터 슬러지를 제외한 하폐수를 처리하는 여과탑과 흡착탑과; 상기 흡착탑의 후단에 구비되어 기설정시간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삼로스위치를 스위칭함으로써 그 흐름경로를 제어하는 흐름제어부와; 상기 농축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그 농축조에서 농축처리된 하폐수를 호기성 및 혐기성 미생물으로 2차 미생물처리하는 소화조와; 그 소화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탈수처리하는 탈수조와; 상기 하폐수저장조나 침사지, 침전조, 폭기조, 농축조의 각 상부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된 덕트와; 상기 덕트의 타단이 연결되어 악취 기체를 제공받으며, 반응기 내부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악취기체에 대한 직접 분해와, 그 전자빔에 의해 발생된 오존(O3)에 의해 2차 분해가 이루어지게 하여 악취물질을 분해하고, 오존을 포함한 처리기체와 오존수는 상기 하폐수저장조나 기타 하폐수처리공정으로 재투입하게 배관 연결된 전자빔 악취제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악취 제거를 행하는 반응기에 전자빔을 조사함으로써 1차적으로 악취기체를 직접 분해하고, 그 전자빔의 조사에 의해 발생한 오존에 의해 악취물질이 2차 분해되므로, 그 제거효과가 매우 높으며, 흡착제 필터를 통해 최종 3차 처리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악취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처리와 악취처리를 각각 별도의 공정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신속한 악취 처리가 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고, 분무조 또는 흡수탑으로의 물 공급은 처리수를 이용하므로 경제적이며, 반응기에서 발생된 오존수는 다시 하폐수처리를 위한 공정으로 재투입됨으로써 하폐수처리를 위해 별도로 오존을 발생시켜야 되는 경제적 낭비를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ODOR REMOVAL APPARATUS FOR A WASTE OR A SEWAGE DISPOSAL TREATMENT PLANT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하/폐수종말처리장의 하폐수저장조나 폭기조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을 포집하고, 그 악취에 전자빔을 조사함으로써 직접 악취 분해 및 발생하는 오존수를 재투입시켜 하폐수처리에 도움을 주거나, 악취물질을 발생하는 기체를 제거토록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는 각지에서 하수구를 통해 집하된 위치에 설치되어 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처리시설을 일컫는 바, 이러한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는 수처리를 중점으로 하므로 악취에는 등한시 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인근 주민과 근로자들이 악취에 대한 피해를 강력하게 주장하는 바, 하폐수종말처리시설의 설계에 있어서 악취에 대한 고려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악취문제는 하폐수종말처리장의 건설에 대한 주민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므로 공업단지나 농공단지에서 필수적으로 건설되어야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의 건설에 상당한 난항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운전관리자들에게도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식욕의 감퇴, 구토와 멀미를 일으키는 바, 특히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및 기타 자극성 기체들이 운전관리자 및 인근 주민들의 후각을 자극함으로써 불쾌감과 혐오감을 유발하므로 하폐수종말처리시설의 탈취시설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폐수종말처리장의 하폐수저장조나 폭기조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을 포집하고, 그 악취에 전자빔을 조사함으로써 직접 악취 분해 및 발생하는 오존수를 재투입시켜 하폐수처리에 도움을 주거나, 악취물질을 발생하는 기체를 제거토록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 하폐수를 저장하고 공기를 투입받기 위한 하폐수저장조와; 그 하폐수저장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침사 및 응집처리를 행하는 침사지와; 그 응집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침전반응을 일으키는 침전조와; 공기를 불어넣거나 공중에 물을 살포하여 물과 공기를 충분히 접촉시키고, 이러한 조작으로 산화작용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을 촉진하게 함으로써 그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해 악취물질의 전자빔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미세먼지) 등의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폭기조와; 그 폭기조로부터 슬러지를 제공받아 중력식, 부상식, 원심분리식 등의 방법으로 슬러지를 따로 분리하여 농축시키는 농축조와; 상기 폭기조로부터 슬러지를 제외한 하폐수를 처리하는 여과탑과 흡착탑과; 상기 흡착탑의 후단에 구비되어 기설정시간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삼로스위치를 스위칭함으로써 그 흐름경로를 제어하는 흐름제어부와; 상기 농축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그 농축조에서 농축처리된 하폐수를 호기성 및 혐기성 미생물으로 2차 미생물처리하는 소화조와; 그 소화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탈수처리하는 탈수조와; 상기 하폐수저장조나 침사지, 침전조, 폭기조, 농축조의 각 상부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된 덕트와; 상기 덕트의 타단이 연결되어 악취 기체를 제공받으며, 반응기 내부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악취기체에 대한 직접 분해와, 그 전자빔에 의해 발생된 오존(O3)에 의해 2차 분해가 이루어지게 하여 악취물질을 분해하고, 오존을 포함한 처리기체와 오존수는 상기 하폐수저장조나 기타 하폐수처리공정으로 재투입하게 배관 연결된 전자빔 악취제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바림직하게, 상기 전자빔 악취제거부는 전자빔을 조사시켜 반응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악취물질을 직접 분해하거나 공기와 반응하여 오존(O3)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자빔 가속기가 설치된 상부 챔버와; 그 전자빔 가속기에서 조사되는 전자빔이 그 내부로 조사되게 구성된 하단 챔버와; 그 상단 챔버의 측면에 내부에서 발생한 오존기체를 방출시키기 위해 배관이 연통되게 구성되어져 있으며, 하단 챔버에서 분해된 처리기체와 제 1환풍팬을 매개로 하단에 연통된 배관을 통해 합류되고, 그 합류배관에 구비되고 그 외주연에는 반응기 내부 공기중 먼지나 기타 미세입자를 포집하기 위해 분무를 발생시키는 분무발생기와; 상기 분무조의 하단에 배관을 매개하여 상기 흡착제 필터와 연통되어지며, 그 분무조 하단에 구성된 제 2 환풍팬과; 그 하단 외주연 소정부에는 방출배관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방출배관과 연통되게 구성된 오존량 감지부와; 상기 분무조의 상단에는 기체를 방출하기 위해 형성된 배관과; 그 배관 중간에 구비된 오존기체의 량을 감지하기 위한 오존량 감지부와; 그 오존량 감지부의 상단에 구비되고 내부에 삼로(三路)밸브가 구성된 밸브제어부와; 그 밸브 제어부로부터 분기된 외부 방출라인과; 하폐수저장조나 침사지, 침전조중 어느 한 곳 이상으로 재투입되게 연결된 배관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 제어부와 외부 방출라인의 사이에는 덕트에 의해 연결되고, 그 내부에 XAD-2나활성탄이 미세공형태로 적층되어 악취물질을 3차로 제거하는 흡착제 필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바림직하게, 상기 분무발생기는 상기 흐름제어부와 배관 연결되어 방류되는 처리수의 일부를 분무 발생원으로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바림직하게, 전자빔의 강도설정, 처리시간 설정, 모터 구동여부 설정 등의 각종 키 설정을 행하는 키입력부와; 반응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악취 기체에 포함된 오존량을 검출하는 오존량 감지부와; 고전압이 요구되는 전자빔 가속기 구동부에 고전압을 유기시키는 전원투입부와; 전자선을 발생시키는 전자빔 가속기와; 상기 제 1 환풍팬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와; 제 1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 1모터 구동부와; 상기 제 2 환풍팬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와; 제 2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 2 모터 구동부와; 상기 흐름제어부의 내부에 구비된 3로밸브인 스위칭밸브와; 그 밸브를 구동하는 밸브구동부와; 상기 분무조 내부 기체나 액체내부의 오존량에 따라 그 내부의 처리기체 및 처리수를 자연 방류하거나 하폐수처리경로로 재투입하기 위한 밸브제어부 및 그 밸브제어부를 구동하는 밸브제어구동부와; 구동시간 정보 및 계절 및 시간대에 따른 적정 오존량 데이터, 전자빔 강도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된 설정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오존량 감지부에서 감지된 오존량 데이터를 그 데이터저장부에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에 따라 오존량의 발생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전자빔 가속기 구동부의 입력전압을 제어하고, 제 1 모터 및 제 2 모터를 설정 데이터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악취 처리시간을 제어하고, 그 오존량 감지부의 감지량이나 기설정시간에 따라 상기 흐름제어부 및 밸브제어부의 밸브를 제어하여 처리수나 처리기체를 방류할지, 하폐수처리공정으로 재투입시킬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원 하폐수를 투입받는 하폐수저장조와, 침사지 및, 침전반응을 일으키는 침전조, 미생물처리를 행하는 폭기조와; 슬러지를 따로 분리하여 농축시키는 농축조로부터 악취물질을 회수하는 과정과; 투입된 악취 기체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1차 악취 분해반응을 발생하는 과정과; 전자빔 조사에 의해 발생한 오존으로 2차 분해 반응이 일어나는 과정과; 전자빔 가속기에 의해 발생한 오존을 배관으로 회수하는 과정과; 처리 기체 및 오존수를 흡착제 필터를 통과시켜 3차 악취 제거를 행하는 과정과; 그 회수 오존기체를 분무조로 투입하는 과정과; 흡착탑을 통해 방류되는 처리수중 일부를 유입받아 분무를 발생하여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과정과; 분무조 하단의 처리수중 오존을 감지하는 과정과; 그 처리수의 오존량을 기설정치와 비교하여 방출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처리수 방출 밸브를 개폐제어하여 자연 방출 또는 하폐수처리공정으로 재투입하는 과정과; 분무조 상단으로 상승하는 처리기체중 오존을 감지하는 과정과; 그 처리기체의 오존량을 기설정치와 비교하여 방출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처리기체 방출밸브를 개폐 제어하여 자연 방출 또는 하폐수처리공정으로 재투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방법이 제공된다.
바림직하게, 계절 및 시간에 따라 악취발생도 데이터와 연동되게 전자빔 강도데이터를 기설정하는 과정과; 오존감지량에 따라 전자빔의 강도를 조절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2)는 하폐수종말처리장의 하폐수저장조나 폭기조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을 포집하고, 그 악취에 전자빔을 조사함으로써 직접 악취 분해 및 발생하는 오존수를 하폐수종말처리공정에 재투입하여 악취물질 및 하폐수물질을 처리토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2)는 계절이나, 온도의 변화에 따른 전자빔의 강도를 조절함에 의해 악취물질을 제거하는 오존(O3)의 발생량을 제어함으로써 적정 오존수(O3)가 장치내부로 재투입할 수 있게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2)는 원 하폐수를 저장하고 공기를 투입받기 위한 하폐수저장조(10)가 구비되고, 그 하폐수저장조(10)의 후단에 응집처리 및 침사처리를 행하는 침사지(20)가 구성되고, 그 침사지(20)의 후단에는 침전반응을 일으키는 침전조(3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침전조(30)의 후단에는 공기를 불어넣거나 공중에 물을 살포하여 물과 공기를 충분히 접촉시키고, 이러한 조작으로 산화작용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을 촉진하게 함으로써 그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해 악취물질의 전자빔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미세먼지) 등의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폭기조(40)가 구비되어져 있다.
그 폭기조(40)의 후단에는 슬러지를 따로 분리하여 농축시키는 농축조(80)가 구비되어져 있는 바, 농축조(80)는 중력식, 부상식, 원심분리식 등이 있다.
한편, 상기 폭기조(40)를 통과한 처리수를 여과탑(60)과 흡착탑(70)으로 이송시켜 처리하기 위한 구성과, 그 여과탑(60) 및 흡착탑(70)을 통과한 처리수를 방류하거나, 재사용하기 위해 내부에 삼로(三路)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처리수의 경로를 제어하는 흐름제어부(70)가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여과탑(60)이나 흡착탑(70)은 하폐수처리공정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흐름제어부(70)에서의 처리수 재사용은 하폐수 처리가 완료되어 방류되는 처리수의 일부를 분무처리를 위한 수원(水原)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2)는 하폐수처리공정의 종말인 상기 여과탑(50)이나 흡착탑(60)을 통과한 처리수의 일부를 상기 전자빔 악취제어부(110)로 배관 연결하여 제공토록 하며, 그 제공여부는 상기 전자빔 악취제어부(110)에서 발생한 밸브 제어신호를 상기 흐름제어부(70)가 인가받아 상기 흐름제어부(70)로부터 전자빔 악취제어부(110)의 배관경로를 개방시키고, 그 이외에는 상기 흐름제어부(70)의 밸브는 처리수 방류밸브가 개방되고 처리수 재사용 밸브는 폐쇄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폐수저장조(10)나 침사지(20), 침전조(30), 폭기조(40), 농축조(80) 및, 여과탑(60)과 흡착탑(70)은 종래의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 주지 공용하게 사용하는 공지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2)는 상기 폐수저장조(10)나 침사지(20), 침전조(30), 폭기조(40), 농축조(80)의 각 상부에 덕트를 연통되게 구성하여 전자빔 악취제거부(110)로 연결시킨다.
한편, 상기 농축조(80)의 후단에는 그 농축조(80)에서 농축처리된 폐수를 호기성 및 혐기성 미생물을 통해 2차 미생물처리를 행하는 소화조(90)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소화조(90)의 후단에는 탈수 프레스, 진공탈수, 가압탈수, 원심탈수, 가열탈수방법 중 어느 한 탈수방법을 이용하여 탈수처리하는 탈수조(100)가 구성된다. 상기 탈수조(100)를 통과하게 되면 슬러지가 포함된 폐수중 처리수만 외부로 방출되고, 슬러지는 고형의 슬러지 상태가 되며, 그 고형의 슬러지는 외부에 위탁처리하여 소각, 매립, 퇴비화, 건설자재로 이용하게 된다.
상기 하폐수저장조(10)나 응집조(20), 침전조(30), 폭기조(40), 농축조(80)의 각 상부에 덕트를 연통되게 구성된 전자빔 악취제거부(110)는 전자빔이 조사됨으로써 악취기체에 대한 직접 분해와, 그 전자빔에 의해 발생된 오존(O3)에 의해 분해하는 두 가지의 방법에 의해 악취물질을 분해하게 된다(점선으로 표시).
오존(O3)은 유기물, 색도, 악취의 제거 및 살균에 광범위한 효과가 있는 바, 오존(O3)의 살균력은 이산화염소나 염소에 비해 수십배 우수하므로 더 효과적이며, 특히 수중이나 기체에 암모니아가 포함된 경우에 염소는 그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클로라민을 생성하므로 살균효과가 저하되나 오존(O3)은 이같은 문제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2)에 구비된 상기 전자빔 악취제거부(110)는 전자빔을 조사함으로써 악취물질을 직접 분해하며 동시에, 오존(O3)을 발생시켜 그 오존(O3)을 이용하여 악취물질을 분해하게 된다. 그로인해 처리된 처리기체와 상기한 처리를 통한 잔여 오존수(O3)는 다시 상기 하폐수저장조(10)나 기타 하폐수처리공정중으로 재투입된다(실선으로 표시).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는 그 설계에 따라 상기 전자빔 악취제거부(11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방류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하폐수저장조(10)나 침사지(20), 침전조(30)중 어느 한 곳이상으로 그 처리수를 재투입하도록 설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자빔 악취제거부(110)에서 처리된 처리기체는 그 내부에 함유된 오존의 량을 감지하여 처리수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폐수저장조(10)나 침사지(20), 침전조(30)중 어느 한 곳이상으로 재투입하거나, 대기중으로 방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는 전자빔의 조사를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며, 그 전자빔 조사시 발생하는 오존수 및 오존기체를 다시 하폐수처리 공정에 재투입함으로써 하폐수 처리효율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의 전자빔 악취제거부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2)에 구비된 상기 전자빔 악취제거부(110)는 악취 제거반응이 일어나는 반응기 하우징(111)이 구비되며, 그 반응기 하우징(111)의 외주연 소정부에는 상기 하폐수저장조(10)나 침사지 또는 응집조(20), 침전조(30), 폭기조(40), 농축조(80)의 각 상부와 연통된 덕트(113)가 연결되어져 있어 회수 악취물질을 공급하게 구성되며, 그 덕트(113)의 입구부 중간에는 오존량 감지부(114)가 개재되어져 투입되는 악취에 포함된 오존(O3)의 양을 검지하게 된다. 이때, 오존(O3)은 처리기체의 리사이클시 포함된 오존(O3)이며, 오존량을 감지하는 오존량 감지부(114)는 오존감지 센서로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처리기체를 리사이클 시키는 이유는 그 기체에 포함된 오존(O3)에 의해 폐수나 악취처리시 조력을 하는 목적도 있지만, 그 외에도 처리기체가 배관을 통해 리사이클 되면서 상기 하폐수저장조(10)나 침사지 또는 응집조(20), 침전조(30), 폭기조(40), 농축조(80)를 통과할 때 에어로졸이나 미세먼지가 중력 침강 방식을 통해 상기 하폐수저장조(10)나 침사지 또는 응집조(20), 침전조(30), 폭기조(40), 농축조(80)에 침강될 수 있게 하는 목적도 동시에 갖는다.
오존(O3)의 양을 검출하는 이유는 폐수종말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계절이나 온도, 처리시간 등에 따라 그 악취의 발생도가 각기 상이하므로, 필요 오존(O3)의 양도 각기 상이하다. 특히, 오존의 경우 그 양이 많아지게 되면 처리에 문제가 있으므로 적정량의 오존(O3)을 공급하여 악취 분해 및 제거에만 해당 오존 (O3)이 충분히 적용되도록 만 하는 오존량 제어기술이 중요하다.
한편, 상기 반응기 하우징(111)은 상/하단의 챔버(111a, 111b)로 구성되어지는 바, 그 상단 챔버(111a)에는 전자빔을 조사시켜 반응기 하우징(111)의 내부에서 악취물질을 직접 분해하거나 공기와 반응하여 오존(O3)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자빔 가속기(112)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전자빔 가속기(112)에서 조사되는 전자빔은 하단 챔버(111b)로 조사된다. 또한, 상기 상단 챔버(111a)에 설치된 전자빔 가속기 (112)와 하단챔버(111b)의 사이에는 다량의 오존기체가 발생하는 바, 그 상단 챔버(111a)의 측면에는 내부에서 발생한 오존기체를 방출시키기 위해 배관이 연통되게 구성되어져 있으며, 하단 챔버(111b)에서 분해된 처리기체와 제 1환풍팬(120)을 매개로 하단에 연통된 배관(122)을 통해 합류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반응기 하우징(111)의 측방에 별도의 투입관(미도시)을 구성하고, 투입밸브(미도시)를 구성함으로써 오존발생율을 높히기 위해 그 투입관을 매개하여 그 전자빔 가속기(112)의 구동시 산소를 별도로 공급할 수도 있다.
즉, 상단챔버(111a)에서 포집된 기체와, 하단챔버(111b)에서 포집된 기체는 배관을 통해 합류되어진다.
또한, 상기 반응기 하우징(111)의 측방에는 그 덕트(117a)를 매개하여 연통된 분무조(200)가 구성되는 바, 그 분무조(200)의 외주연에는 반응기 내부 공기중 먼지나 기타 미세입자를 포집하기 위해 분무를 발생시키는 분무발생기(115)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2)에서는 상기 분무발생기 (115)와 상기 흐름제어부(70)와 배관 연결하여 그 흐름제어부(70)에서 방류된 물의 일부를 분무발생기(115)로 유입시켜 분무조(200)의 내부의 분무 발생원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별도의 수도원이 필요없어도 분무발생기(115)의 수원이 마련되게 되므로 경제적이다.
상기 분무조(200)의 하단은 배관(117a)을 매개하여 상기 흡착제 필터(118)와 연통되어지며, 그 분무조(200) 하단에 제 2 환풍팬(116)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분무조(200)의 내부에는 충전부재(201)가 충전되어져 있다. 또한, 그 하단 외주연 소정부에는 방출배관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방출배관은 오존량 감지부(114b)와 연결되어져 있다. 상기 오존량 감지부(114b)는 분무조(200) 내부에서 분무에 의해 액화된 처리수내에 함유된 오존량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오존량이 기설정치 이하인 경우 분무조(200) 내부의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토록 한다. 반면에, 오존량이 기설정치 이상인 경우 분무조(200) 내부의 처리수는 다시 하폐수처리경로로 재투입한다. 방류 및 재투입을 위한 밸브는 후술하는 밸브제어부(210)의 삼로밸브와 동일한 구성이며 이에 대한 설명 및 도시는 그 밸브제어부(210)로 대체한다.
또한, 상기 분무조(200)의 상단에는 기체를 방출하기 위한 배관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배관 중간에 오존량 감지부(114c)가 형성되어져 있다. 그 오존량 감지부(114c)는 분무조(200)에서 방출되는 처리기체중에 함유된 오존량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그 오존량 감지부(114c)의 상단에는 내부에 삼로(三路)밸브(미도시)가 구성된 밸브제어부(210)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오존량 감지부(114c)에서 감지된 오존량이 기설정치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기설정치 이하인 경우 대기중에 그 처리기체를 방출한다. 이때, 그 밸브 제어부(210)와 방출라인의 사이에는 흡착제 필터(118)가 구비되어져 있는 바, 그 흡착제 필터(118)는 공지의 활성탄이나 XAD-2가 미세공 구조로 적층되어져 있는 필터로서, 방출되기전 처리기체를 재차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기설정 이상인 경우 그 처리기체는 상기 하폐수저장조(10)나 침사지(20), 침전조(30)중 어느 한 곳이상으로 재투입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반응기 하우징(111) 내부에서 악취기체가 분해되어 처리된 기체가 상기 환풍팬(120)의 회전에 의해 분무조(200)로 투입되고, 그 분무조(200)에서 분무처리된 오존수는 다시 하폐수처리공정으로 재투입되거나, 대기중으로 방출되게 된다.
이때, 처리기체를 리사이클 시키는 이유는 그 기체에 포함된 오존(O3)에 의해 폐수나 악취처리시 조력을 하는 목적도 있지만, 그 외에도 처리기체가 배관을 통해 리사이클 되면서 상기 하폐수저장조(10)나 침사지 또는 응집조(20), 침전조 (30), 폭기조(40), 농축조(80)를 통과할 때 에어로졸이나 미세먼지가 중력 침강 방식을 통해 상기 하폐수저장조(10)나 침사지 또는 응집조(20), 침전조(30), 폭기조 (40), 농축조(80)에 침강될 수 있게 하는 목적도 동시에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는 하폐수처리공정중 악취만을 따라 포집하여 반응기(111) 내부에서 악취제거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후 기체를 분무조(200)로 투입하여 일부를 분무에 의해 액상으로 변환시키며 그 변환시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포집된 미세먼지를 다시 하폐수처리공정으로 재투입함으로써 악취의 완전제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조(200)에서는 처리된 처리기체 및 처리수를 방출하는 각 배관에 오존량 감지부(114b, 114c)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그 방출라인의 오존량을 감지하여 자연 방출시킬 것인지, 하폐수처리공정으로 재투입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투입처리 또는 방출처리함으로써 악취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며, 그 악취제거공정에서 발생한 오존수나 오존기체를 하폐수처리시에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2)는 전자빔의 강도설정, 처리시간 설정, 모터 구동여부 설정 등의 각종 키 설정을 행하는 키입력부(124)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반응기 하우징(111)의 내부로 유입된 악취 기체에 포함된 오존량을 검출하는 오존량 감지부(114)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오존량 감지부(114)는 총 3개의 오존량 감지부(114a, 114b, 114c)로 나누어지는 바, 제 1 오존량 감지부(114a)는 상기 반응기(111)로 유입되는 기체의 오존량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며, 제 2 오존량 감지부(114b)는 상기 분무조(200)에서 방출되는 처리수중에 포함된 오존량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고, 제 3 오존량 감지부(114c)는 상기 분무조(200)에서 방출되는 처리기체중에 포함된 오존량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 2 오존량 감지부(114b)에서 감지된 오존량에 따라 처리수의 방출 또는 하폐수처리경로로의 재투입여부를 판단하며, 제 3 오존량 감지부(114c)에서 감지된 오존량에 따라 그 처리기체의 대기방출 및 하폐수처리경로로의 재투입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전압이 요구되는 전자빔 가속기 구동부(126)에 고전압을 유기시키는 전원투입부(128)와; 전자선을 발생시키는 전자빔 가속기(112)와; 상기 제 1 환풍팬(120)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130)와; 제 1 모터(130)를 구동시키는 제 1모터 구동부(132)와; 상기 제 2 환풍팬(116)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134)와; 제 2 모터(134)를 구동시키는 제 2 모터 구동부(136)가 제공된다. 또, 상기 흐름제어부(50)의 내부에 구비된 3로밸브인 스위칭밸브(150)와; 그 밸브를 구동하는 밸브구동부(152)가 구비되고, 상기 분무조(200) 내부 기체나 액체내부의 오존량에 따라 그 내부의 처리기체 및 처리수를 자연 방류하거나 하폐수처리경로로 재투입하기 위한 밸브제어부(210) 및 그 밸브제어부(210)를 구동하는 밸브제어구동부(212)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2)에는 구동시간 정보 및 계절 및 시간대에 따른 적정 오존량 데이터, 전자빔 강도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138)가 구비되고, 상기 키입력부(124)로부터 인가된 설정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저장부(138)에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오존량 감지부(114)에서 감지된 오존량 데이터를 그 데이터저장부(138)에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에 따라 오존량의 발생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전자빔 가속기 구동부(126)의 입력전압을 제어하고, 제 1 모터(130) 및 제 2 모터(134)를 설정 데이터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악취 처리시간을 제어하고, 그 오존량 감지부(114)의 감지량이나 기설정시간에 따라 상기 흐름제어부(50)의 밸브를 제어하여 처리수를 방류할지, 하폐수처리공정으로 재투입시킬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40)가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2)는 원 하폐수를 하폐수저장조(10)에 저장한다. 그리고, 그 후단에 구비된 침사지(20)를 통과시켜 처리수를 침사시키거나, 전기영동 등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응집시킨다. 또한, 그 침사지(20)의 후단에 구비된 침전조(30)를 통과시켜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그 침전조(30)의 후단에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미생물처리를 행하는 폭기조(40)를 통해 미생물처리를 행하고, 그 폭기조(40)를 통해 슬러지를 따로 분리하여 슬러지는 농축조(80) 및 소화조(90), 탈수조(100)를 통해 고체 처리한다.
또한, 상기 폭기조(40)로부터 슬러지를 제외한 폐수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흐름제어부(50)를 밸브 스위칭함으로써 자연 방류시키거나, 상기 분무조(200)의 분무발생기(115)로 투입시킨다.
상기 전자빔 악취제어부(110)를 통과한 폐수는 재투입시키기 위한 폐수흐름이고, 상기 여과탑(50)과 흡착탑(60)을 통해 처리한 폐수를 자연 방류시키기 위한 흐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2)는 상기 하폐수저장조(10)나 침사지(20), 침전조(30), 폭기조(40), 농축조(80)의 각 상부에 연통된 덕트를 통해 각각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을 포집하여 상기 전자빔 악취제거부(110)로 유입시킨다.
한편, 상기 농축조(80)의 후단에 구비된 소화조(90)에서는 그 농축조(80)에서 농축처리된 폐수를 호기성 및 혐기성 미생물처리하고, 탈수조(100)를 통과시켜 탈수처리된 고형의 슬러지를 외부에 위탁처리하여 소각, 매립, 퇴비화, 건설자재로 이용케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2)에 구비된 상기 전자빔 악취제거부(110)는 전자빔을 조사함으로써 악취물질을 직접 분해하며 동시에, 오존(O3)을 발생시켜 그 오존(O3)을 이용하여 악취물질을 분해하게 된다. 그로인해 처리된 처리기체와 잔여 오존수(O3)는 다시 상기 하폐수저장조(10)로 또는 기타 다른 하폐수처리공정으로 재투입시킨다.
이때, 상기 반응조(111)의 상단에 구성된 전자빔 가속기(112)와 그 반응조(111)의 하부 챔버(111b)의 사이에서는 오존기체가 다량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그 오존기체를 포집하고, 하부 챔버(111b) 내부에서 전자빔의 조사에 의해 악취가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존기체도 함께 포집하여 분무조(200)로 투입한다.
상기 분무조(200)에서는 에어로졸(미세먼지)에 분무를 발생시켜 미세먼지를 액상으로 만들고, 그 액상의 미세먼지를 다시 하폐수 처리공정으로 투입하여 제거토록 한다. 이를 통해, 하폐수 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완전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폐수 처리공정중에 완전 처리된 하폐수는 상기 여과탑(50) 및 흡착탑(60), 흐름제어부(70)를 통해 외부로 방류되고, 악취는 각 공정중에 연결된 배관덕트를 통해 상기 반응조(111)로 투입된다.
상기 반응조(111)에서는 전자빔을 조사함으로써 악취물질을 직접 분해하고, 그 분해시 발생하는 오존기체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악취물질을 제거토록 한다. 또한, 분무조(200)를 통해 처리기체 및 처리수로 변환된 물질들의 오존량을 감지하여 오존량이 기설정량 이상인 경우 다시 하폐수 처리공정으로 재투입하고, 기설정량 이하인 경우에는 외부로 자연 방출 또는 방류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전자빔 악취제거부(110)로 유입된 악취물질을 포함한 기체는 상기 오존량 감지부(113)를 통과시켜 그 기체에 포함된 오존량을 검출하고, 반응기 하우징(111)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동시에, 상기 전자빔 가속기(112)가 기설정된 강도로 구동되어 전자선을 반응기 하우징(111)의 내부로 조사시킨다.
따라서, 그 반응기 하우징(111)의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는 전자선의 조사에 의해 직접 분해되게 되고, 또한 그 전자선에 의해 공기가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오존(O3)에 의해 살균, 탈취되는 2차 분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2)는 악취와 수처리를 각각 별도로 진행하게 되므로 그 처리시간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반응기 하우징(111)에서 처리된 기체는 그 측부에 구비된 분무조(200)로 투입되어 그 분무조(200)에서 발생한 분무에 의해 미세 입자나 먼지를 포집토록 처리한다. 그리고, 그 분무조(200)에서 처리된 처리기체는 상단에 구비된 오존량 감지부(114c)를 통과시켜 그 오존량에 따라 밸브제어부(210)에서 자연 방류시킬 것인지, 오존기체를 하폐수처리공정에 재투입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자연방출시에는 그 방출라인의 종단부에 상기 흡착제 필터(118)를 매개하여 자연 방출시키는 바, 그 흡착제 필터(118) 내부에 적층된 고성능 활성탄이나 XAD-2에 의해 악취의 재차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 분무조(200)에서 생성되는 처리수는 다시 상기 하폐수저장조(10)나 또는 기타 다른 하폐수 처리공정으로 재투입되게 유입된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황화메틸(DMS)과 이황화메틸(DMDS)의 흡수선량(DOSE)과 유입농도에 따른 제어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스티렌의 흡수선량과 유입농도에 따른 제어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톨루엔의 흡수선량과 유입농도에 따른 제어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2)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황화메틸(DMS)과 이황화메틸(DMDS)의 유입량이 50ppm으로 큰 경우보다 10ppm 정도로 작아지게 되면 그 제거효율이 더 높아짐을 알 수있고, 전자빔의 흡수선량(kGy)이 1kGy에서 5kGy정도로 증가되게 되면 그 제거효율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황화메틸(DMDS)도 이와 유사한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스티렌(Styrene)의 경우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선량이 1kGy에서 스티렌의 농도 800ppmC인 경우 제거효율이 42% 정도이며, 660ppmC인 경우 제거효율이 50%, 200ppmC인 경우 제거효율이 62% 정도로 상승했으며, 전자빔 흡수선량이 3kGy나 5kGy로 증가될수록 그 제거효율이 증가되었으며, 톨루엔(Toluene)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악취물질과 유사한 제거효율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은 악취 제거를 행하는 반응기에 전자빔을 조사함으로써 1차적으로 악취기체를 직접 분해하고, 그 전자빔의 조사에 의해 발생한 오존에 의해 악취물질이 2차 분해되므로, 그 제거효과가 매우 높으며, 흡착제 필터를 통해 최종 3차 처리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악취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처리와 악취처리를 각각 별도의 공정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신속한 악취 처리가 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고, 분무조로의 물 공급은 처리수를 이용하므로 경제적이며, 흡수탑 반응기에서 발생된 오존수는 다시 폐수처리를 위한 공정으로 재투입됨으로써 폐수처리를 위해 별도로 오존을 발생시켜야 되는 경제적 낭비를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의 전자빔 악취제거부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황화메틸과 이황화메틸의 흡수선량과 유입농도에 따른 제어효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스티렌의 흡수선량과 유입농도에 따른 제어효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톨루엔의 흡수선량과 유입농도에 따른 제어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전자빔악취제거부, 111:반응기하우징,
112:전자빔가속기, 114:오존량감지부,
115:분무발생기, 118:흡착제필터.

Claims (7)

  1. 원 하폐수를 저장하고 공기를 투입받기 위한 하폐수저장조와;
    그 하폐수저장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침사 및 응집처리를 행하는 침사지와;
    그 응집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침전반응을 일으키는 침전조와;
    공기를 불어넣거나 공중에 물을 살포하여 물과 공기를 충분히 접촉시키고, 이러한 조작으로 산화작용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을 촉진하게 함으로써 그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해 악취물질의 전자빔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미세먼지) 등의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폭기조와;
    그 폭기조로부터 슬러지를 제공받아 중력식, 부상식, 원심분리식 등의 방법으로 슬러지를 따로 분리하여 농축시키는 농축조와;
    상기 폭기조로부터 슬러지를 제외한 하폐수를 처리하는 여과탑과 흡착탑과;
    상기 흡착탑의 후단에 구비되어 기설정시간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삼로스위치를 스위칭함으로써 그 흐름경로를 제어하는 흐름제어부와;
    상기 농축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그 농축조에서 농축처리된 하폐수를 호기성 및 혐기성 미생물으로 2차 미생물처리하는 소화조와;
    그 소화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탈수처리하는 탈수조와;
    상기 하폐수저장조나 침사지, 침전조, 폭기조, 농축조의 각 상부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된 덕트와;
    상기 덕트의 타단이 연결되어 악취 기체를 제공받으며, 반응기 내부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악취기체에 대한 직접 분해와, 그 전자빔에 의해 발생된 오존(O3)에 의해 2차 분해가 이루어지게 하여 악취물질을 분해하고, 오존을 포함한 처리기체와 오존수는 상기 하폐수저장조나 기타 하폐수처리공정으로 재투입하게 배관 연결된 전자빔 악취제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악취제거부는 전자빔을 조사시켜 반응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악취물질을 직접 분해하거나 공기와 반응하여 오존(O3)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자빔 가속기가 설치된 상부 챔버와; 그 전자빔 가속기에서 조사되는 전자빔이 그 내부로 조사되게 구성된 하단 챔버와; 그 상단 챔버의 측면에 내부에서 발생한 오존기체를 방출시키기 위해 배관이 연통되게 구성되어져 있으며, 하단 챔버에서 분해된 처리기체와 제 1환풍팬을 매개로 하단에 연통된 배관을 통해 합류되고, 그 합류배관에 구비되고 그 외주연에는 반응기 내부 공기중 먼지나 기타 미세입자를 포집하기 위해 분무를 발생시키는 분무발생기와; 상기 분무조의 하단에 배관을 매개하여 상기 흡착제 필터와 연통되어지며, 그 분무조 하단에 구성된 제 2 환풍팬과; 그 하단 외주연 소정부에는 방출배관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방출배관과 연통되게 구성된 오존량 감지부와; 상기 분무조의 상단에는 기체를 방출하기 위해 형성된 배관과; 그 배관 중간에 구비된 오존기체의 량을 감지하기 위한 오존량 감지부와; 그 오존량 감지부의 상단에 구비되고 내부에 삼로(三路)밸브가 구성된 밸브제어부와; 그 밸브 제어부로부터 분기된 외부 방출라인과; 하폐수저장조나 침사지, 침전조중 어느 한 곳 이상으로 재투입되게 연결된 배관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제어부와 외부 방출라인의 사이에는 덕트에 의해 연결되고, 그 내부에 XAD-2나활성탄이 미세공형태로 적층되어 악취물질을 3차로 제거하는 흡착제 필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발생기는 상기 흐름제어부와 배관 연결되어 방류되는 처리수의 일부를 분무 발생원으로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전자빔의 강도설정, 처리시간 설정, 모터 구동여부 설정 등의 각종 키 설정을 행하는 키입력부와; 반응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악취 기체에 포함된 오존량을 검출하는 오존량 감지부와; 고전압이 요구되는 전자빔 가속기 구동부에 고전압을 유기시키는 전원투입부와; 전자선을 발생시키는 전자빔 가속기와; 상기 제 1 환풍팬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와; 제 1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 1모터 구동부와; 상기 제 2 환풍팬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와; 제 2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 2 모터 구동부와; 상기 흐름제어부의 내부에 구비된 3로밸브인 스위칭밸브와; 그 밸브를 구동하는 밸브구동부와; 상기 분무조 내부 기체나 액체내부의 오존량에 따라 그 내부의 처리기체 및 처리수를 자연 방류하거나 하폐수처리경로로 재투입하기 위한 밸브제어부 및 그 밸브제어부를 구동하는 밸브제어구동부와; 구동시간 정보 및 계절 및 시간대에 따른 적정 오존량 데이터, 전자빔 강도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된 설정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오존량 감지부에서 감지된 오존량 데이터를 그 데이터저장부에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에 따라 오존량의 발생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전자빔 가속기 구동부의 입력전압을 제어하고, 제 1 모터 및 제 2 모터를 설정 데이터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악취 처리시간을 제어하고, 그 오존량 감지부의 감지량이나 기설정시간에 따라 상기 흐름제어부 및 밸브제어부의 밸브를 제어하여 처리수나 처리기체를 방류할지, 하폐수처리공정으로 재투입시킬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6. 원 하폐수를 투입받는 하폐수저장조와, 침사지 및, 침전반응을 일으키는 침전조, 미생물처리를 행하는 폭기조와; 슬러지를 따로 분리하여 농축시키는 농축조로부터 악취물질을 회수하는 과정과;
    투입된 악취 기체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1차 악취 분해반응을 발생하는 과정과;
    전자빔 조사에 의해 발생한 오존으로 2차 분해 반응이 일어나는 과정과;
    전자빔 가속기에 의해 발생한 오존을 배관으로 회수하는 과정과;
    그 회수 오존기체를 분무조로 투입하는 과정과;
    흡착탑을 통해 방류되는 처리수중 일부를 유입받아 분무를 발생하여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과정과;
    분무조 하단의 처리수중 오존을 감지하는 과정과;
    그 처리수의 오존량을 기설정치와 비교하여 방출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처리수 방출 밸브를 개폐제어하여 자연 방출 또는 하폐수처리공정으로 재투입하는 과정과;
    분무조 상단으로 상승하는 처리기체중 오존을 감지하는 과정과;
    그 처리기체의 오존량을 기설정치와 비교하여 방출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처리기체 방출밸브를 개폐 제어하여 흡착제 필터를 통과시켜 자연 방출하거나 또는 하폐수처리공정으로 재투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계절 및 시간에 따라 악취발생도 데이터와 연동되게 전자빔 강도데이터를 기설정하는 과정과;
    오존감지량에 따라 전자빔의 강도를 조절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방법.
KR1020040010884A 2004-02-19 2004-02-19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0556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884A KR100556338B1 (ko) 2004-02-19 2004-02-19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884A KR100556338B1 (ko) 2004-02-19 2004-02-19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461A true KR20050082461A (ko) 2005-08-24
KR100556338B1 KR100556338B1 (ko) 2006-03-03

Family

ID=3726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884A KR100556338B1 (ko) 2004-02-19 2004-02-19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3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002B1 (ko) * 2010-12-23 2013-02-05 다이텍연구원 악취제어 방법
KR101368459B1 (ko) * 2013-11-28 2014-03-03 남광건설(주) 음폐수 혐기성 에너지화 고도처리 설비
KR20220067641A (ko) * 2020-11-17 2022-05-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빔을 이용한 바이오 에어로졸 제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002B1 (ko) * 2010-12-23 2013-02-05 다이텍연구원 악취제어 방법
KR101368459B1 (ko) * 2013-11-28 2014-03-03 남광건설(주) 음폐수 혐기성 에너지화 고도처리 설비
KR20220067641A (ko) * 2020-11-17 2022-05-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빔을 이용한 바이오 에어로졸 제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6338B1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8934B2 (ja) 酸水素ガスの生成および利用を通じた廃液の流体の処理
US7837882B2 (en) Treatment of a waste stream through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oxyhydrogen gas
KR101372541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시스템
CN102721125A (zh) 电子除臭的方法及电子装置
JP2005502457A (ja) 含有物質の分解のためのオゾン/紫外線の併用
KR20140068537A (ko) 터널형으로 이루어진 탈취 및 공기정화장치
KR100556338B1 (ko)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1890361B1 (ko) 배오존 재순환 형식의 uv 소독 시스템
JP2007326070A (ja) 廃棄物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H10128042A (ja) 悪臭ガスの生物的処理方法
CN209490680U (zh) 一种除臭装置
KR100435508B1 (ko) 제지공장 슬러지의 황화수소 제거방법
CN1327115A (zh) 生物自净厕所系统
CN115385520B (zh) 一种高效回收氨的城市污水处理方法
JPH0987076A (ja) 生ごみ処理方法
WO1995005346A1 (en) Process for purifying contaminated liquids utilizing ozone
JP2005007303A (ja) 脱臭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203810B2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とそのシステム
KR101333082B1 (ko) 음식물쓰레기 비료화 장치
KR100461894B1 (ko) 오폐수 고도 정화처리방법
KR20160108939A (ko) 악취 제거 시스템
KR100488886B1 (ko) 악취 물질 및 유기 휘발성 물질 처리 방법 및 장치
JP2948623B2 (ja) 空気の浄化方法
CN113041835A (zh) 废水中逸出废气的处理系统
JP3002318U (ja) 脱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