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361B1 - 배오존 재순환 형식의 uv 소독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오존 재순환 형식의 uv 소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361B1
KR101890361B1 KR1020180029408A KR20180029408A KR101890361B1 KR 101890361 B1 KR101890361 B1 KR 101890361B1 KR 1020180029408 A KR1020180029408 A KR 1020180029408A KR 20180029408 A KR20180029408 A KR 20180029408A KR 101890361 B1 KR101890361 B1 KR 101890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
disinfection
wastewater treatment
treatment tank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3Sequencing batch reactors [SB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6Lamp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V 소독 장치를 구비하되, 여기서 발생하는 배오존을 재순환시켜 하폐수 처리조에 미세기포와 함께 주입시킴으로써, 별도의 배오존 처리시설이 필요하지 않고, 하폐수 처리조의 수질 정화 효과가 우수한, UV 소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오존 재순환 형식의 UV 소독 시스템{An off ozone gas recirculation type UV disinfection system}
본 발명은, UV 소독 장치를 구비하되, 여기서 발생하는 배오존을 재순환시켜 하폐수 처리조에 미세기포와 함께 주입시킴으로써, 별도의 배오존 처리시설이 필요하지 않고, 하폐수 처리조의 수질 정화 효과가 우수한, UV 소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폐수 처리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는 최종 처리수조에 집수된다. 다만, 일정한 수질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정수장과 같이 처리수를 재이용하는 경우, 또는 병원 폐수나 축산 폐수와 같은 특수한 폐수를 처리하는 경우에, 최종 처리수조에 집수되기 이전에 소독 또는 살균 등의 후처리가 필요하다.
소독 또는 살균 처리를 수행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자외선(ultraviolet, UV) 소독 처리이다.
도 1은 UV 소독 처리 시설을 구비한 종래의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하폐수 처리조(300)에서 1차 처리된 처리수(이하, '피처리수')가, UV 램프(410)를 구비한 UV 소독 장치(400)에 투입되어 살균 및 소독된다. 소독이 완료된 처리수가 비로서 처리수조(500)에 집수된다. 집수된 처리수는 방류되거나 재이용될 수 있다.
UV 소독 장치(400)에 구비된 UV 램프(410)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피처리수를 소독 및 살균하는데, 이 과정에서 오존(O3)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는 배오존(off ozone gas)으로 지칭된다.
일반적으로 오존은 악취가 심하며 유독성이고 각종 설비의 부식을 야기하는데, 배오존은 비교적 고농도인바(1ppm 이상) 그 정도가 심하다. 따라서, UV 소독 장치(400)의 후단에는 배오존(off ozone gas)를 처리하기 위한 배오존 처리시설(490)(또는, 배오존 파괴기)가 구비되어, 배오존을 처리한 후 외부로 가스 등이 배출된다.
배오존 처리시설(490)은 열분해법, 약액 세정법, 촉매법 등에 의해 오존을 분해한 후 배출한다. 그러나, 위의 방식들 모두 일정한 문제점을 갖는다. 열분해법의 경우 많은 양의 에너지가 필요하고 분해 효과가 낮다. 약액 세정법의 경우 부산물로서 폐액이 발생하게 되어 별도의 폐액 처리 설비가 더 필요하다. 촉매법의 경우 촉매 역할을 하는 화학약품으로 인해 경제성이 낮고 습기에 취약하며 화학물질로 인한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이에, 고농도의 배오존을 별도 처리시설로 처리하여 배출할 것이 아니라, 수처리 공정에서 재활용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2639B1호는 오염수에 배오존을 직접 투입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다만, 이와 같이 오염수에 배오존을 직접 투입하면 유입농도(SS)가 높아 다량의 거품이 발생하고 한 번 발생한 거품이 벽면에 고착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51250B1호는 가축 분뇨 처리장치에서 배오존을 무산소조에 투입하여 산화 효과를 통한 수질 개선 효과를 갖는 장치를 개시한다. 다만, 이 경우 배오존 분해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무산소조의 조건이 파괴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1) KR 10-1632639B1
(특허문헌 2) KR 10-1751250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배오존을 재이용하되, 거품 발생으로 인한 오염물 고착 현상 내지 무산소조 조건 파괴 현상 없이 하폐수 수질 정화에 이용할 수 있는 UV 소독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폐수 처리조(300); 상기 하폐수 처리조(300)에서 피처리수가 유입되며, UV(ultraviolet) 소독이 이루어지는 UV 소독 장치(400); 상기 UV 소독 장치(40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집수되는 처리수조(500); 및 상기 하폐수 처리조(300)에서 피처리수가 유입되어, 미세기포 포함 유체를 생성하며, 생성된 미세기포 포함 유체가 다시 상기 하폐수 처리조(300)에 유입되는 미세기포 생성기(100)를 포함하며, 상기 UV 소독 장치(400)에서 발생한 배오존(off ozone gas)이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에 유입되는, UV 소독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는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140)에 제 1 공기유입부(141)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공기유입부(141)에 외부 공기와 상기 배오존이 함께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의 배출 측에 3방밸브(450)가 구비되고, 상기 3방밸브(450)는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상기 하폐수 처리조(300)를 연통시키거나, 또는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상기 UV 소독 장치(400)를 연통시키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V 소독 장치(400) 내에 UV 램프(410) 및 상기 UV 램프(410)의 스케일링(scaling)을 감지하는 센서(S)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S)에서 감지된 상기 UV 램프(410)의 스케일링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3방밸브(450)는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상기 UV 소독 장치(400)를 연통시키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상기 UV 소독 장치(400)가 연통되는 라인에 약품 저장조(4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3방밸브(450)가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상기 UV 소독 장치(400)를 연통시키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약품 저장조(460)에서 약품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V 소독 시스템은, 상기 하폐수 처리조(300)로부터 피처리수를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에 유입시키는 펌프(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3방밸브(450)가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상기 UV 소독 장치(400)를 연통시키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펌프(200)의 동력이 상승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폐수 처리조(300)는 연속 회분식 처리조(SBR; sequential batch reactor)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V 소독 장치(400) 내에 UV-C 타입의 UV 램프(4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V 램프(410)는 195.4nm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는 피처리수가 유입되어 선회류를 생성하고,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 내측에 임펠러가 구비되어, 상기 선회류가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켜 전력을 생성하며,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에서 생성된 전력이 상기 UV 램프(410)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UV 소독 시스템에 의하여, 피처리수의 UV 소독이 진행됨은 물론, 별도의 배오존 처리시설이 필요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며 경제성이 우수하다. 배오존이 산화 성능이 개선됨과 동시에 미세기포와 함께 하폐수 처리조에 주입되어 수질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연속 회분식 처리조(SBR)와 함께 사용될 경우 무산소조 조건 파괴 현상을 방지하고 각 단계별로 적절한 유체의 유입이 가능하다는 추가 장점을 갖는다.
UV 소독 장치의 스케일링이 문제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물리 세정 및 화학 세정이 수동 및 자동으로 가능하여, 운용이 용이하며 설비 수명이 증가하고 경제적이다.
미세기포 생성기에서 자체 전력 생산이 가능하며, 이는 UV 램프에 제공될 수도 있어서 경제성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UV 소독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UV 소독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V 소독 시스템에 사용되는 미세기포 생성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UV 소독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UV 소독 시스템이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UV 소독 시스템은, 하폐수 처리조(300); 하폐수 처리조(300) 내에 저류된 피처리수가 유입되며, UV 소독이 이루어지는 UV 소독 장치(400); UV 소독 장치(40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집수되는 처리수조(500); 및 하폐수 처리조(300) 내의 피처리수가 유입되어, 미세기포 포함 유체를 생성하며, 생성된 미세기포 포함 유체가 다시 하폐수 처리조(300)에 유입되는 미세기포 생성기(100); 하폐수 처리조(300) 내의 유체를 미세기포 생성기(100)에 유입시키는 펌프(200)를 포함한다.
하폐수 처리조(300)는 어떠한 방식의 하폐수 처리 시설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병원 폐수 또는 축산 폐수의 처리 시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폐수 처리조(300)는 연속 회분식 처리조(SBR)일 수 있다. 미세기포 생성기(100)를 통하여 하폐수 처리조(300)에 미세기포 및 오존이 유입될 수 있는데, 교반, 호기, 침전 단계 등이 하나의 조(tank) 내에서 이루어진 연속 회분식 처리조(SBR)인 경우 각 단계에 맞추어 적절한 미세기포 및 오존 포함 유체의 유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은, UV 소독 장치(400)에서 발생한 배오존이 미세기포 생성기(100)에 주입된다는 점이다. 미세기포 생성기(10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데, 배오존과 함께 주입되어 미세기포화되는 과정에서 농도가 일부 낮추어져서 보다 상승된 산화 성능으로 유체 내에 녹아 든다. 즉, 미세기포 생성기(100)는 미세기포 및 상승된 산화 성능의 오존을 포함하는 유체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미세기포 및 상승된 산화 성능의 오존을 포함하는 유체는, 하폐수 처리조(300)에 재공급된다. 미세기포는 호기화 및 산화 효과를 통해 수질 정화 효과를 가지며, 오존 역시 이와 별도로 산화 성능을 가져서 수질 정화 효과를 갖는바, 미세기포 생성기(100)에 의한 유체 재공급으로 하폐수 처리조(300)의 수질이 더욱 개선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UV 소독 장치(400)는 UV 램프(410)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제 1 및 제 2 UV 소독 장치(401, 402)가 각각 제 1 및 제 2 UV 램프(411, 412)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UV 소독 장치(400)는 1개만 사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3개 이상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UV 소독 장치(400)는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나, UV-C 타입의 UV 램프(4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UV 램프(410)가 단파장으로서 195.4nm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에서, 이와 같은 UV 램프를 채택할 경우 소독 효과가 우수하나 배오존 농도가 높고 그 후처리가 까다로워 사용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농도의 배오존이 오히려 하폐수 처리조(300)의 수질 개선 효과를 상승시키므로 상승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UV 소독 장치(400)에는 하폐수 처리조(300)에서의 유체가 피처리수로서 유입되는바 시간 경과에 따라 스케일링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UV 소독 시스템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물리 세정과 화학 세정을 구현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미세기포 생성기(100)의 배출 측에 3방밸브(450)가 구비된다. 3방밸브(450)는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하폐수 처리조(300)를 연통시키거나, 또는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UV 소독 장치(400)를 연통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UV 소독 장치(400) 내에는 UV 램프(410)의 스케일링을 감지하는 센서(S)가 구비된다. 센서(S)에서 감지된 UV 램프(410)의 스케일링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3방밸브(450)는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UV 소독 장치(400)를 연통시키도록 제어되어, 미세기포 생성기(100)에서 발생한 유체(즉, 미세기포 및 상승된 산화 성능의 오존을 포함하는 유체)가 UV 소독 장치(400)로 유입되어 물리 세정을 수행한다. 센서(S)에 의하지 않고 수동 제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펌프(200)의 동력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즉, 3방밸브(450)가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UV 소독 장치(400)를 연통시키도록 제어하는 경우, 펌프(200)의 동력이 상승하도록 제어되어, 보다 고압으로 유체가 UV 소독 장치(400)에 유입되도록 하여 물리 세정 효과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화학 세정을 위해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UV 소독 장치(400)가 연통되는 라인에 약품 저장조(4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약품 저장조(460)에는 스케일링을 분해하거나 제거하는 화학 약품이 저장된다. 3방밸브(450)가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UV 소독 장치(400)를 연통시키도록 제어하는 경우, 약품 저장조(460)에서 약품이 배출되어 UV 소독 장치(400)를 화학 세정하게 된다.
미세기포 생성기(100)는 어떠한 종류이어도 무방하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미세기포 생성기(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생성기(100)는 선회류를 형성함으로써 다량의 미세기포를 생성할 수 있어서, 배오존과 산소가 피처리수에 보다 많이 용존할 수 있도록 하고, 전력을 생산할 수 있어서 UV 램프(410)에 전력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기포 생성기(100)는, 하폐수 처리조(300)에서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부(140), 유체 유입부(140)에 연통되는 선회류 생성부(110), 선회류 생성부(110) 내측에 동심으로 위치하는 선회류 유입부(130), 및 선회류 생성부(110)의 일단(도 3의 좌측 방향)과 그 내측에 위치하는 선회류 유입부(130)의 일단(도 3의 좌측 방향)에 연통되는 슬러지 분리부(120)를 포함한다.
유체 유입부(140)에는 제 1 공기유입부(141)가 위치하며, 제 1 공기유입부(141)에 제 1 공기유입밸브(142)가 위치한다. 제 1 공기유입부(141)를 통하여 외부 공기와 배오존이 피처리수에 함께 유입된다. 원활한 공기 주입을 위해 별도 컴프레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유체 유입부(140)는 선회류 생성부(110)의 중심을 향하지 않는 방향(예를 들어, 접선 방향)으로 선회류 생성부(110)에 연통된다. 따라서, 유체 유입부(140)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선회류 생성부(110)의 일단을 향해 (도 3 및 도 4의 좌측 방향으로) 선회류를 형성하며 유동하게 된다.
선회류 생성부(110)의 일단은 슬러지 분리부(120)에 연통된다. 슬러지 분리부(120)의 내측에는 동심으로 임펠러가 위치한다. 임펠러는, 회전 가능한 샤프트(123)와, 샤프트(123)의 방사상 방향으로 위치한 블레이드(122)와, 샤프트(123)의 말단에 위치한 원뿔형의 허브(121)와, 샤프트(123)와 슬러지 분리부(120)의 연결 부분에 위치한 베어링(124)을 포함한다.
선회류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선회류는 슬러지 분리부(120)에 이르면서도 계속 회전한다. 선회류의 회전은 블레이드(122)와 만나 이를 회전시키며, 여기서 샤프트(123)가 회전하게 되어 그 회전력으로 발전부(410)가 전력을 생성한다. 생성된 전력은 UV 램프(410)의 전력원(power, PWR)(440)에 제공될 수 있어서, 특히 경제성 효과가 우수하다.
선회류에 의해 미세기포 생성이 이루어진다. 유체가 선회류 생성부(110) 내에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유체에 포함된 공기는 물론 배오존도 함께 미세기포화된다. 이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산화 성능이 우수한 오존이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선회류에 의해 고액분리가 이루어진다. 선회류 생성부(110)에서부터 선회류의 고액분리가 시작되는데, 선회류의 유동에 의하여 고액분리된 오염물이 선회류와 함께 슬러지 분리부(120)를 향해 유동하며, 슬러지 분리부(120)에 이르러 오염물이 슬러지로서 누적된다. 원활한 슬러지 누적을 위해, 슬러지 분리부(120)의 내경이 선회류 생성부(110)의 내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지 분리부(120)에서 슬러지가 누적됨에 따라, 오염물이 제거되고 미세기포를 포함한 유체는, 허브(121)에 만나게 되어 중심을 향하여 유동하기 시작한다. 즉, 미세기포 포함 유체가 슬러지 분리부(120)에서 그 중심을 향해 유동하며, 선회류 유입부(130)에 유입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허브(121)는 선회류 생성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슬러지 분리부(120)에서 누적된 슬러지는 슬러지 배출부(150)를 통해 배출된다. 원활한 배출을 위해, 슬러지 분리부(120)에는 슬러지 배출부(150)가 중심을 향하지 않는 방향(즉, 접선 방향)으로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선회하던 힘을 그대로 이용하여 슬러지가 배출될 수 있다. 슬러지 배출부(150)에는 슬러지 배출밸브(152)가 구비된다.
선회류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유체, 즉 미세기포 및 상승된 산화 성능의 오존을 포함하는 유체는 슬러지 분리부(120)에서 슬러지가 분리된 상태로, 허브(121)에 의해, 선회류 유입부(130)로 유입된다. 선회류 유입부(130)로 유입된 유체는 유출부(160)를 통과하여 하폐수 처리조(300)에 재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UV 소독 장치(400)의 물리 세정 또는 화학 세정이 필요한 경우, 3방밸브(450)에 의해 UV 소독 장치(400)로 유입될 수도 있다.
유출부(160)에는 제 2 공기유입부(161) 및 제 2 공기유입밸브(162)가 위치하여, 보다 많은 미세기포 생성을 위해 공기가 추가로 더 유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생성된 선회류의 유속이 높으므로 별도의 컴프레서는 필요하지 않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미세기포 생성기
110: 선회류 생성부
120: 슬러지 분리부
121: 허브
122: 블레이드
123: 샤프트
124: 베어링
130: 선회류 유입부
140: 유체 유입부
141: 제 1 공기유입부
142: 제 1 공기유입밸브
150: 슬러지 배출부
152: 슬러지 배출밸브
160: 유출부
161: 제 2 공기유입부
162: 제 2 공기유입밸브
200: 펌프
300: 하폐수 처리조
400: UV 소독 장치
401: 제 1 UV 소독 장치
402: 제 2 UV 소독 장치
410: UV 소독 램프
411: 제 1 UV 소독 램프
412: 제 2 UV 소독 램프
440: 전력원
450: 3방밸브
460: 약품 저장조
500: 처리수조
S: 센서

Claims (10)

  1. 피처리수가 저류되는 하폐수 처리조(300);
    상기 하폐수 처리조(300)에서 피처리수가 유입되며, UV(ultraviolet) 소독이 이루어지며, UV 램프(410); 및 상기 UV 램프(410)의 스케일링(scaling)을 감지하는 센서(S)를 포함하는 UV 소독 장치(400);
    상기 UV 소독 장치(40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집수되는 처리수조(500);
    상기 하폐수 처리조(300)에서 피처리수가 유입되어, 미세기포 포함 유체를 생성하며, 생성된 미세기포 포함 유체가 다시 상기 하폐수 처리조(300)에 유입되는 미세기포 생성기(100);
    상기 하폐수 처리조(300)로부터 피처리수를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에 유입시키는 펌프(200); 및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상기 UV 소독 장치(400)가 연통되는 라인에 구비되는 약품 저장조(460)를 포함하며,
    상기 UV 소독 장치(400)에서 발생한 배오존(off ozone gas)이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에 유입되며,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의 배출 측에 3방밸브(450)가 구비되고, 상기 3방밸브(450)는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상기 하폐수 처리조(300)를 연통시켜 상기 하폐수 처리조(300)의 수질을 개선하거나, 또는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상기 UV 소독 장치(400)를 연통시 상기 UV 소독 장치(400)를 세정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센서(S)에서 감지된 상기 UV 램프(410)의 스케일링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3방밸브(450)는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와 상기 UV 소독 장치(400)를 연통시키도록 제어됨으로써 배오존과 미세기포를 포함한 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UV 소독 장치(400)의 화학세정 또는 물리세정이 수행되되, 화학세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약품 저장조(460)에서 약품이 배출되어 배오존과 미세기포가 포함된 유체에 약품이 추가되도록 제어되고, 물리세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펌프(200)의 동력이 상승하여 배오존과 미세기포를 포함한 유체가 고압으로 상기 UV 소독 장치(400)에 유입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센서(S)에서 감지된 상기 UV 램프(410)의 스케일링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하폐수 처리조(300)에 저류된 피처리수의 수질은 상기 UV 램프(410)에 의하여 UV 소독이 이루어지기 전에 배오존과 미세기포를 포함한 유체를 이용하여 개선되는,
    UV 소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는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140)에 제 1 공기유입부(141)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공기유입부(141)에 외부 공기와 상기 배오존이 함께 유입되는,
    UV 소독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폐수 처리조(300)는 연속 회분식 처리조(SBR; sequential batch reactor)인,
    UV 소독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V 소독 장치(400) 내에 UV-C 타입의 UV 램프(410)가 구비되는,
    UV 소독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V 램프(410)는 195.4nm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소독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는 피처리수가 유입되어 선회류를 생성하고,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 내측에 임펠러가 구비되어, 상기 선회류가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켜 전력을 생성하며,
    상기 미세기포 생성기(100)에서 생성된 전력이 상기 UV 램프(410)에 제공되는,
    UV 소독 시스템.
KR1020180029408A 2018-03-13 2018-03-13 배오존 재순환 형식의 uv 소독 시스템 KR101890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408A KR101890361B1 (ko) 2018-03-13 2018-03-13 배오존 재순환 형식의 uv 소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408A KR101890361B1 (ko) 2018-03-13 2018-03-13 배오존 재순환 형식의 uv 소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361B1 true KR101890361B1 (ko) 2018-08-22

Family

ID=6345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408A KR101890361B1 (ko) 2018-03-13 2018-03-13 배오존 재순환 형식의 uv 소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3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166B1 (ko) * 2019-02-26 2020-01-08 농업회사법인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스크린을 이용한 전처리부의 배오존을 이용한 유지 관리 방법
KR20210013503A (ko) 2019-07-26 2021-02-04 주식회사 에싸 스크린 및 소독 산화장치를 구비한 병원폐수 처리 시스템
WO2022169203A1 (ko) * 2021-02-04 2022-08-11 사단법인 한국물산업협의회 자외선 소독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4928A (ja) * 2005-07-11 2007-01-25 Masaru Koizumi 水処理装置並びに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4928A (ja) * 2005-07-11 2007-01-25 Masaru Koizumi 水処理装置並びに発電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166B1 (ko) * 2019-02-26 2020-01-08 농업회사법인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스크린을 이용한 전처리부의 배오존을 이용한 유지 관리 방법
KR20210013503A (ko) 2019-07-26 2021-02-04 주식회사 에싸 스크린 및 소독 산화장치를 구비한 병원폐수 처리 시스템
WO2022169203A1 (ko) * 2021-02-04 2022-08-11 사단법인 한국물산업협의회 자외선 소독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361B1 (ko) 배오존 재순환 형식의 uv 소독 시스템
JP2005502457A (ja) 含有物質の分解のためのオゾン/紫外線の併用
JPH06277660A (ja) 水処理装置
KR100451640B1 (ko) 자외선과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수살균장치 및 살균방법
JP3949811B2 (ja) 排水処理装置
KR100348413B1 (ko) 자외선 및 오존 발생 에이오피 챔버 및 이를 이용한수처리 장치
CN105836841A (zh) 一种废水处理装置
JPH10337579A (ja) 汚水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3602802B2 (ja) 光酸化反応装置
JP4647070B2 (ja) プール水処理装置
KR101071709B1 (ko) 광-펜턴 산화에 의한 1,4-다이옥산 제거 장치 및1,4-다이옥산 제거 방법
KR20090009439A (ko) 수 처리장치
KR100207095B1 (ko) 오존과 자외선 상승작용을 갖는 정수처리시스템
KR19980026575U (ko) 오존수 제조장치
KR102138176B1 (ko) 수산기(oh)반응 용해교반조를 갖는 폐수 고도 전처리 시스템
JP3270509B2 (ja) 浴槽湯の殺菌浄化装置
JPH04135694A (ja) 水処理装置
JP2008272638A (ja) 処理装置
KR20020088538A (ko) 자외선 및 오존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방법
JP3547573B2 (ja) 水処理方法
JP2004223345A (ja) 流体浄化方法および流体浄化装置
KR102467012B1 (ko) 수처리 시스템용 살균정화장치
JPH11347576A (ja)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JP2009082784A (ja) 余剰汚泥減量化設備
JP3859866B2 (ja) 水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