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0785A -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장치 및 그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장치 및 그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785A
KR20050080785A KR1020040008878A KR20040008878A KR20050080785A KR 20050080785 A KR20050080785 A KR 20050080785A KR 1020040008878 A KR1020040008878 A KR 1020040008878A KR 20040008878 A KR20040008878 A KR 20040008878A KR 20050080785 A KR20050080785 A KR 20050080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sion
vehicle
value
rear collision
de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4250B1 (ko
Inventor
전만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40008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250B1/ko
Publication of KR2005008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5Arrangement of devices for control of pressure or flow rat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충돌 감지를 통해 승객의 긴급 구난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에어백 ECU내에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탑재한 후 그 감가속도센서로부터 감지된 감가속도에 따라 차량의 후방 충돌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후방 충돌사고시 텔레매틱스나 CNS를 통해 긴급 구난의 신호송출을 통해 후방 충돌사고를 당한 승객의 긴급 구난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시켜 사고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The rear collision sensing device which uses a electronic deceleration and acceleration sensor and sen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충돌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 전자제어유닛(airbag ECU)내에 있는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후방 충돌을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로부터 텔레매틱스나 CNS를 통해 긴급 구난의 신호송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충돌사고를 당한 승객의 긴급 구난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 적용된 에어백 전자제어장치는 전방의 충돌사고만을 감지한 후 에어백 전개를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설계되어 있다.
즉, 종래 에어백 전자제어장치는 전방에 대한 충돌사고가 발생할 경우 텔레메틱스나 CNS를 이용한 긴급 구난의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만, 후방 충돌사고가 발생될 경우에는 긴급 구난 체계가 전혀 구축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따라, 종래에는 차량의 후방 충돌사고가 발생될 경우 그 후방 충돌로부터 사고를 당한 승객들의 긴급 구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인명피해가 속출하는 폐단이 따랐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에어백 ECU내에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탑재한 후 그 감가속도센서로부터 감지된 감가속도에 따라 차량의 후방 충돌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후방 충돌사고시 텔레매틱스나 CNS를 통해 긴급 구난의 신호송출을 통해 후방 충돌사고를 당한 승객의 긴급 구난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시켜 사고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장치의 구성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 콘트롤 모듈(10)과 레텔매틱스(20) 등의 차량 외부 제어장치는 물론 에어백의 전개 제어를 위한 에어백 ECU(30)를 포함하는 차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ECU(30)에는,
차량의 전방 충돌 사고시에는 그 충돌사고에 비례하는 감속도값을 감지하고, 차량의 후방 충돌 사고시에는 그 충돌사고에 비례하는 가속도값을 감지하는 전자식 감가속도센서(31);
상기 전자식 감가속도센서(31)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차량의 충돌이 전방충돌인지 후방충돌인지를 판단한 후 승객의 긴급 구난을 위한 외부제어장치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난제어부(32);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2는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후방 충돌 감지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그 진행단계는,
차량의 충돌사고에 따른 감가속도의 기준값(A_TH)과 속도 임계값(Vel_TH) 및 충돌판단을 위한 기준시간(T1)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의 설정 후 차량이 충돌사고시 그 충돌에 따른 감가속도값(A)이 기준값(A_TH)보다 큰 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충돌에 따른 감가속도값(A)이 기준값(A_TH)보다 크면 차량 충돌시점의 속도(RC_Cal)을 산출하는 단계;
차량 충돌시점의 시간(CNT)이 충돌판단을 위해 설정된 기준시간(T1)을 초과되었을 때, 상기 산출된 충돌시점의 속도값(RC_Cal)을 줄여 나간 후 이를 누적시킨 속도값(RC_Vel)을 산출하는 단계;
차량 충돌시점의 시간(CNT)이 충돌판단을 위해 설정된 기준시간(T1)을 2배수로 초과되었을 때, 상기 산출된 누적 속도값(RC_Vel)을 속도 임계값(Vel_TH)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누적된 속도값(RC_Vel)이 속도 임계값(Vel_TH)보다 크면 차량의 충돌사고가 후방충돌임을 판단한 후 승객의 긴급 구난을 위한 외부제어장치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주행중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에어백 ECU(30)내에 구성된 감가속도센서(31)는 그 충돌사고에 따른 감가속도값을 감지한 후 이를 구난제어부(32)로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감가속도센서(31)는 차량의 전방 충돌 사고시 도 3에서와 같이 전방 충돌사고에 비례하는 감속도값을 감지한 후 이를 구난제어부(31)로 출력하고, 차량의 후방 충돌 사고시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후방 충돌사고에 비례하는 가속도값을 감지한 후 이를 구난제어부(32)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구난제어부(32)에서는 전자식 감가속도센서(31)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차량의 충돌이 전방충돌인지 후방충돌인지를 판단한 후 승객의 긴급 구난을 위한 외부제어장치 즉, 도어콘트롤모듈(10)과 텔레매틱스(또는 CNS)(20)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에어백 ECU(30)에는 차량의 충돌사고에 따른 감가속도의 기준값(A_TH)과 속도 임계값(Vel_TH) 및 충돌판단을 위한 기준시간(T1)을 미리 설정한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사고가 발생될 경우, 상기 감가속도센서(31)는 충돌에 따른 감가속도값을 감지한 후 이를 구난제어부(32)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구난제어부(32)는 감가속도값(A)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A_TH)보다 큰 가를 판단하게 되는 바(A>A_TH),
상기의 판단결과 충돌에 따른 감가속도값(A)이 기준값(A_TH)보다 클 경우, 상기 구난제어부(32)는 차량 충돌시점의 속도(RC_Cal)을 산출한다(RC_Cal=1).
그리고, 상기와 같이 차량 충돌시점의 속도(RC_Cal)가 산출된 후 구난제어부(32)에서는 차량 충돌시점의 시간(CNT)이 충돌판단을 위해 설정된 기준시간(T1)을 초과하였는 가를 판단하게 되는데(CNT>T1),
상기 판단결과 기준시간(T1)이 초과되었으면 상기 구난제어부(32)는 산출된 충돌시점의 속도값(RC_Cal)을 줄여 나간 후 이를 누적시킨 속도값(RC_Vel)을 산출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게 된다(RC_Vel+ = A)(RC_Vel-).
이때, 차량 충돌시점의 시간(CNT)이 충돌판단을 위해 설정된 기준시간(T1)을 2배수로 초과(CNT>2*T1)될 경우, 상기 구난제어부(32)는 상기와 같이 산출된 누적 속도값(RC_Vel)을 속도 임계값(Vel_TH)과 비교하게 되는 바(RC_Vel>Vel_TH),
상기 비교결과 누적된 속도값(RC_Vel)이 속도 임계값(Vel_TH)보다 클 경우, 상기 구난제어부(32)에서는 차량의 충돌사고가 후방충돌임을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RC_Detection=1).
더불어, 상기와 같이 차량의 후방충돌이 판단된 후, 상기 구난제어부(32)는 승객의 긴급 구난을 위한 외부제어장치 즉, 도어콘트롤모듈(10)과 텔레매틱스(20)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바,
상기 도어콘트롤모듈(10)은 차량의 후방충돌이 발생할 때 승객들의 대피가 가능하도록 도어의 개방을 유도하고, 상기 텔레매틱스(20)는 긴급구난을 위한 콜 신호를 미리 정해진 임의의 센터(예; 정비소, 소방소 등)로 송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에어백 ECU내에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탑재한 후 그 감가속도센서로부터 감지된 감가속도에 따라 차량의 후방 충돌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후방 충돌사고시 텔레매틱스나 CNS를 통해 긴급 구난의 신호송출을 통해 후방 충돌사고를 당한 승객의 긴급 구난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시켜 사고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의 a,b는 가속도값에 대한 속도값의 그래프.
도 4의 a,b는 감속도값에 대한 속도값의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콘트롤모듈 20; 텔레매틱스
30; 에어백 ECU 31; 감가속도센서
32; 구난제어부

Claims (2)

  1. 도어 콘트롤 모듈과 레텔매틱스 등의 차량 외부 제어장치는 물론 에어백의 전개 제어를 위한 에어백 ECU를 포함하는 차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ECU에는,
    차량의 전방 충돌 사고시에는 그 충돌사고에 비례하는 감속도값을 감지하고, 차량의 후방 충돌 사고시에는 그 충돌사고에 비례하는 가속도값을 감지하는 전자식 감가속도센서;
    상기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차량의 충돌이 전방충돌인지 후방충돌인지를 판단한 후 승객의 긴급 구난을 위한 외부제어장치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난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장치.
  2. 차량의 충돌사고에 따른 감가속도의 기준값과 속도 임계값 및 충돌판단을 위한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의 설정 후 차량이 충돌사고시 그 충돌에 따른 감가속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충돌에 따른 감가속도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차량 충돌시점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차량 충돌시점의 시간이 충돌판단을 위해 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되었을 때, 상기 산출된 충돌시점의 속도값을 줄여 나간 후 이를 누적시킨 속도값을 산출하는 단계;
    차량 충돌시점의 시간이 충돌판단을 위해 설정된 기준시간을 2배수로 초과되었을 때, 상기 산출된 누적 속도값을 속도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누적된 속도값이 속도 임계값보다 크면 차량의 충돌사고가 후방충돌임을 판단한 후 승객의 긴급 구난을 위한 외부제어장치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방법.
KR1020040008878A 2004-02-11 2004-02-11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방법 KR100554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878A KR100554250B1 (ko) 2004-02-11 2004-02-11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878A KR100554250B1 (ko) 2004-02-11 2004-02-11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785A true KR20050080785A (ko) 2005-08-18
KR100554250B1 KR100554250B1 (ko) 2006-02-24

Family

ID=3726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878A KR100554250B1 (ko) 2004-02-11 2004-02-11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2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9008A (zh) * 2012-07-19 2014-02-12 福兴达科技实业(深圳)有限公司 一种汽车紧急自动报警系统及方法
KR101704263B1 (ko) * 2015-09-18 201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충돌 감지 시스템 및 감지방법
KR20170107822A (ko) * 2016-03-16 2017-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충돌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9008A (zh) * 2012-07-19 2014-02-12 福兴达科技实业(深圳)有限公司 一种汽车紧急自动报警系统及方法
KR101704263B1 (ko) * 2015-09-18 201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충돌 감지 시스템 및 감지방법
KR20170107822A (ko) * 2016-03-16 2017-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충돌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4250B1 (ko) 200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52209B2 (ja) 車両の搭乗者を保護する装置を起動する方法
JP4964249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装置
JPH03253441A (ja) 衝突センサ
GB2293681A (en) A safety arrangement for a vehicle
KR20050122243A (ko) 보행자 검출 시스템
JP2002331905A (ja) シビアリティ判定装置
JPH04361163A (ja) 車両衝突検知装置
KR20090068253A (ko) 차량 안전 시스템
JPH1081198A (ja) 車両の搭乗者を保護する装置を起動する装置
JP2015536867A (ja) 多領域の強化された識別を用いて作動可能な拘束装置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4321455A (ja) 衝突センサ
US201002112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iggering Personal Protection Means During a Rollover Accident
JP2000219098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3695351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装置
KR100554250B1 (ko) 전자식 감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후방 충돌 감지방법
JPH07251702A (ja) 車両における乗員保護装置の作動方法
US7225069B2 (e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retaining means
JP2001030873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100747399B1 (ko) 사이드 에어백모듈의 제어방법
DE602005001211D1 (de) Sicherheitslogikeinheit für Fahrzeugüberschlag-Erkennungssysteme und Verfahren zur Erkennung von Beinahe-Überschlägen
JPH0769171A (ja) 乗員保護装置
KR20150062535A (ko)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0225915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20050012299A (ko) 에어백 지연 전개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242198B1 (ko) 자동차의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