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658A -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658A
KR20050079658A KR1020040007582A KR20040007582A KR20050079658A KR 20050079658 A KR20050079658 A KR 20050079658A KR 1020040007582 A KR1020040007582 A KR 1020040007582A KR 20040007582 A KR20040007582 A KR 20040007582A KR 20050079658 A KR20050079658 A KR 20050079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coils
coil
diode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환
신상호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7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9658A/ko
Priority to CNA2004100456951A priority patent/CN1652287A/zh
Priority to US10/849,655 priority patent/US20050174035A1/en
Publication of KR20050079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6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5Dynamic convergence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ross-section of ray or beam; Arrangements for correcting aberration of beam, e.g. due to lenses
    • H01J29/56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ross-section of ray or beam; Arrangements for correcting aberration of beam, e.g. due to lenses for correcting aber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3Aberrations by type
    • H01J2229/5637Colour pur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젼이나 디스플레이용 모니터 등에 조사되는 광점을 이동시키는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의 일정 부위에 대칭되게 반대 방향으로 권선된 두 쌍의 코일을 이용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광점 이동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할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Defletion yoke for compensating miss-convergence}
본 발명은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텔레비젼이나 디스플레이용 모니터 등에 조사되는 광점을 이동시키는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의 일정 부위에 대칭되게 반대 방향으로 권선된 두 쌍의 코일을 이용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광점 이동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할 수 있는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RT(Cathde Ray Tube)를 화면표시장치로 이용하는 텔레비젼(TV)이나 디스플레이용 모니터에는 편향요크(Deflection Yoke)가 사용된다. 이 편향 요크는 CRT의 넥크(Neck)부에 장착되며, 서로 대칭한 한쌍의 수평편향 코일과 다른 한쌍의 수직편향 코일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코일에 톱니파 전류를 인가하면 자계가 발생되며, 이 자계는 CRT의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 빔(Beam)-히터(Heater)의 가열에 의해 캐소드(Cathode)에서 방출된 열전자가 FBT 고압에 의해 양극으로 대전된 스크린을 향해 튀어 나갈 때 가는 구멍을 빠져나가게 하면 전자가 가는 선 모양으로 나오게 되는 것을 상하 좌우로 편향시켜 준다.
텔레비젼 수상기나 디스플레이용 모니터 등에서 편향이란, 전자총에서 발사되어 이동하고 있는 전자의 진로를 바꾸어서 광점을 이동시켜 주는 것으로, 이러한 역할은 편향요크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광점을 이동시키는 편향 방법에는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에서 이용하는 전계편향과 텔레비젼이나 디스플레이용 모니터에서 이용하는 자계편향의 두 가지가 있다.
여기서, 전계편향은 같은 종류의 전하끼리 반발하고 다른 종류의 전하끼리 흡인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전자의 진로를 바꾸어서 광점을 이동시키는 방식이다.
그리고, 자계편향은 전자가 통과하고 주위에 적당한 코일을 장착하고 균일 자계가 나오도록 하여 전자작용으로 전자의 진로를 바꿈으로서, 광점을 이동시켜 준다. 이것은 플레이밍의 왼손법칙, 즉 자계 내에 있는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그 도선에서 나온 자력선과 자계 사이에 반발과 흡입하는 힘이 생겨서 도체가 움직이는 작용을 이용한 것이다.
실제로 CRT에서의 자계편향을 살펴보면,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가 가속되어 이동하기(단, 전류는 반대 방향으로 흐름) 때문에 마치 도체가 있는 것처럼 전류가 흐르며, 편향코일의 자속에 의해 전자의 진로가 바뀌기 때문에 광점이 이동하게 된다.
만일, 전자 작용에서 자계가 세어지면 거기에 비례하여 편향력도 크게 일어나서 전자의 진로는 더욱 많이 바뀌어 광점의 이동거리는 더욱 커진다. 따라서, 편향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켜서 자계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고 광점의 이동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점의 변화를 위하여, 편향요크에 두 쌍의 코일을 장착하고 서로 직각방향으로 균일 자계가 나오도록 한 다음 적당한 전류를 흘리면 수평과 수직 주사를 동시에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광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H코일을 수평 편향코일이라 하고, 광점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V코일을 수직 편향코일이라 한다.
이와 같은 편향코일들은 편향요크에 장착되며, 이 중에 수직 편향코일의 회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에 장착되는 수직 편향코일의 회로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수직 편향코일은, 코일 L1, 가변저항 VR1 및 저항 R1으로 이루어진 루프 LP1과, 코일 L2, 가변저항 VR1 및 저항 R2로 형성되는 루프 LP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의 단면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코일 L1에 의해 형성되는 배럴(Barrel) 자계와 코일 L2에 의해 형성되는 배럴 자계가 형성되는데, 이 배럴 자계는 플레이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그 방향이 결정된다. 즉,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된 톱니파 전류가 코일 L1과 L2로 통해 흐를 때 배럴 자계가 형성되고, 이 배럴 자계는 코일 L1과 L2에 흐르는 전류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배럴 자계와 입력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전자의 광점을 이동시키는 힘 F의 방향이 결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직 편향코일에 의하여 광점이 도 3a에서와 같이 모니터 상에 조사된다. 이때, 그린 화소 G를 기준으로 왜곡되는 레드 화소 R과 블루 화소 B에 대한 컨버젼스 특성을 살펴보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b는 수직 편향코일에 의해 광점이 화면 상에 조사될 때 발생되는 컨버젼스 특성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에서와 같이, 그린 화소 G는 X축과 Y축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X축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x1 내지 x5 포인트 상에 5개의 그린 화소 G가 위치하고, 또한 X축의 x1 내지 x5 포인트의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 각각 일정하게 이격되어 5개의 그린 화소 G가 위치한다.
예를 들어, x1 및 y1 포인트 상에 하나의 그린 화소 G가 위치하고, x1 및 y5 포인트 상에 하나의 그린 화소 G가 위치하고, x5 및 y1 포인트 상에 하나의 그린 화소 G가 위치하고, x5 및 y5 포인트 상에 하나의 그린 화소 G가 위치한다. 여기서, 각 포인트 간의 거리는 일정하다.
이와 같이 X축과 Y축 상에 정렬된 그린 화소 G를 기준점으로 하여 레드 화소 R과 블루 화소 B의 왜곡 특성을 나타낸 것이 도 3b이다.
도 3b에서와 같은 컨버젼스 특성은 그린 화소 G 상에 위치되어야 하는 레드 화소 R과 블루 화소 B가 수직 편향코일에 의한 광점 이동시 왜곡되어 발생되는 것으로, 그린 화소 G와 레드 화소 R 간의 오차, 그린 화소 G와 블루 화소 B 간의 오차, 그리고 레드 화소 R과 블루 화소 B 간의 오차에 대해 다음 [표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평 수직오차 오차 수평 수직오차 오차 수평 수직오차 오차 수평 수직오차 오차 수평 수직오차 오차
G와 R의 오차G와 B의 오차B와 R의 오차 0.00 0.090.34 0.310.33 0.22 0.03 0.040.20 0.180.17 0.14 -0.03 0.060.12 0.060.14 -0.01 -0.01 0.140.06 -0.020.07 -0.16 -0.11 0.320.17 -0.070.28 -0.39
G와 R의 오차G와 B의 오차B와 R의 오차 -0.12 0.230.26 -0.030.38 -0.26 0.00 0.030.11 0.030.11 -0.00 0.03 -0.010.11 -0.010.08 -0.00 0.07 0.020.13 0.000.05 -0.01 -0.05 -0.040.27 0.120.31 0.16
G와 R의 오차G와 B의 오차B와 R의 오차 -0.11 0.070.21 -0.010.32 -0.09 -0.04 0.020.10 -0.020.13 -0.04 0.00 0.000.00 0.000.00 0.00 0.06 -0.020.16 0.010.10 0.03 0.07 0.080.25 -0.020.17 -0.10
G와 R의 오차G와 B의 오차B와 R의 오차 -0.12 -0.050.23 -0.060.36 -0.01 -0.00 -0.010.10 -0.060.10 -0.06 0.07 -0.040.11 0.010.04 0.05 0.07 -0.110.15 0.040.08 0.15 -0.14 0.020.30 -0.060.43 -0.08
G와 R의 오차G와 B의 오차B와 R의 오차 -0.00 0.100.16 -0.280.16 -0.38 0.05 -0.000.19 -0.160.14 -0.16 0.05 -0.130.13 -0.050.08 0.08 0.00 -0.260.07 0.120.07 0.38 -0.04 -0.400.19 0.160.23 0.56
상기 [표 1]에서, 각 화소 간에 발생되는 오차 단위는 mm이다.
도 3b에서와 같이 도시된 컨버젼스 특성에 대한 왜곡 예를 상기 [표 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x1 및 y1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00mm 및 0.10mm이고, x1 및 y1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블루 화소 B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16mm 및 -0.28mm이고, x1 및 y1 포인트를 기준으로 블루 화소 B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16mm 및 -0.38mm이다.
x1 및 y5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00mm 및 0.09mm이고, x1 및 y5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블루 화소 B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34mm 및 0.31mm이고, x1 및 y5 포인트를 기준으로 블루 화소 B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33mm 및 0.22mm이다.
x5 및 y1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04mm 및 -0.40mm이고, x5 및 y1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블루 화소 B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19mm 및 0.16mm이고, x5 및 y1 포인트를 기준으로 블루 화소 B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23mm 및 0.56mm이다.
x5 및 y5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11mm 및 0.32mm이고, x5 및 y5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블루 화소 B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17mm 및 -0.07mm이고, x5 및 y5 포인트를 기준으로 블루 화소 B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28mm 및 -0.39mm이다.
상술한 바 처럼 수직 편향코일에 의해 각 화소 간에 오차가 발생됨으로써, 도 3a에서와 같이, 상측 부분의 레드 화소 R과 블루 화소 B 사이의 간격 GA1이 많이 벌어지고, 또한 중간 부분의 레드 화소 R과 블루 화소 B 사이의 간격 GA2가 많이 벌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레드 화소 R과 블루 화소 B 사이의 간격이 많이 벌어질수록 모이터에 디스플이되는 영상의 선명도는 나빠지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편향요크에 의해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그 일예로 일본 특개평 8-154256 호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은 기술을 제안하였다.
도 4에서 처럼, 종래의 편향요크에 구비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 장치(400)는 수직 편향코일의 일측에 형성되며, 그 단면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면에서와 같이, 종래의 편향요크에 구비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 장치(400)의 회로 구성을 살펴보면, 두 개의 루프 LP3과 LP4를 갖는다.
루프 LP3은, 코일 L3과 L4, 저항 R3 및 다이오드 D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루프 LP4는, 코일 L3과 L4, 저항 R4 및 다이오드 D2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나의 회로 구성을 이루는 코일 L3과 L4는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게 수직 편향코일의 일측에 권선된다. 이에 대한 권선 형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편향요크는 광점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수직 편향코일과 광점을 수평으로 편향시키는 한 쌍의 수평 편향코일을 구비한다. 각 쌍으로 이루어진 수직 편향코일과 수평 편향코일은 세퍼레이터(Separator)에 의해 이격되어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처럼, 수직 편향코일을 이루는 코일 L1과 L2는 세퍼레이터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수직 편향코일의 일측에 권선되는 코일 L3과 L4는 각각 코일 L1과 L2의 일측에 권선된다. 이에 대한 단면을 살펴 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편향요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이오드 D1과 D2가 모두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는 초기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톱니파 전류가 인가되면, 보정용 코일 L3과 L4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배럴 자계가 보정 코일 L3과 L4 부분까지 형성되기 때문에,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배럴 자계가 보다 강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강한 배럴 자계는 레드 화소 R에 조사되는 광점을 블루 화소 B 부분으로 밀어 올리므로서, 모니터 상의 중간 부분에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3에서와 같이 중간 부분의 레드 화소 R과 블루 화소 B 사이의 간격 GA2가 좁혀져 도 6에서 처럼 화소 R과 B가 겹쳐지게 된다.
보정용 코일 L3과 L4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일정 크기를 갖는 전류가 다이오드 D1이나 D2에 인가되어 도통하게 되면, 다이오드 D1이나 D2 부분이 쇼트(Short) 상태로 되기 때문에, 수직 편향코일을 통해 인가되는 전류가 보정용 코일 L3과 L4 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쇼트된 다이오드 방향으로 흐른다.
이와 같이, 입력 전류가 보정용 코일 L3과 L4에 흐르지 않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용 코일 L3과 L4 부분에서는 배럴 자계가 형성되지 않고 수직 편향코일 L1과 L2에 의한 배럴 자계만이 형성된다. 이때, 수직 편향코일에 의해서만 발생되는 약한 배럴 자계, 즉 핀(Pin)화된 배럴 자계가 형성되기 때문에, 레드 화소 R에 조사되는 광점을 위로 올리는 힘 F가 약해지고, 이로 인해 레드 화소 R에 조사되는 광점이 블루 화소 B 부분으로 내려오게 됨으로서, 모니터 상의 상측 부분에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3에서 처럼 보다 넓은 간격을 갖는 상측 부분의 레드 화소 R과 블루 화소 B 사이의 간격 GA1이 도 6에서와 같이 좁혀지게 된다.
이렇게, 상측 부분의 미스컨버젼스 보정 과정이 이루지고 난 후, 다이오드 D1과 D2가 오프되면, 입력 전류는 보정용 코일 L3과 L4를 통해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다시 강한 배럴 자계가 형성되어 모니터 상의 중간 부분에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여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이오드 D1이나 D2가 온되어 도통되면, 보정용 코일 L3과 L4 방향으로의 전류 흐름이 차단되어 약한 배럴 자계가 형성되고, 이 핀화된 배럴 자계는 다시 모니터 상의 중간 부분에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여 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편향요크에 구비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 장치에서는 다이오드 D1과 D2가 스위치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보정용 코일 L3과 L4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편향요크에 구비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 장치의 경우, 보정용 코일 L3과 L4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다이오드 D1이나 D2가 온되면, 순간적으로 보정용 코일 L3과 L4 방향으로의 전류 흐름이 차단되고, 또한 다이오드 D1이나 D2가 도통된 상태에서 다이오드 D1 및 D2가 동시에 오프되면, 순간적으로 보정용 코일 L3과 L4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순간적으로 전류 흐름이 변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의 경우, 노이즈(Noise)가 발생되었으며, 또한 순간적인 전류 흐름의 방향 변화에 따라 화소의 변화가 불연속적으로 이루짐으로써, 화면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편향요크에 장착된 수직 편향코일의 일정 부위에 대칭되게 반대 방향으로 권선된 두 쌍의 보정용 코일을 이용하여 자계를 상쇄시킴으로써, 강한 배럴 자계를 보다 약화시켜 핀화된 자계를 형성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편향요크에 장착된 수직 편향코일의 일정 부위에 대칭되게 반대 방향으로 권선된 두 쌍의 보정용 코일에 전류가 계속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자계를 상쇄시켜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할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편향요크에 장착된 수직 편향코일의 일정 부위에 대칭되게 반대 방향으로 권선된 두 쌍의 보정용 코일에 전류가 계속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함으로써, 레드 빔을 선형적으로 변화시켜 블루 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편향요크에 장착된 수직 편향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시 레드 빔을 선형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에 의해 배럴 자계를 발생하여 디스플레이용 스크린 상에 조사되는 광점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직 편향코일; 및 상기 스크린 상의 중간 부분에 조사되는 광점의 편향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배럴 자계를 보다 강한 배럴 자계로 만들어 주기 위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키고, 상기 스크린 상의 상측 부분에 조사되는 광점의 편향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배럴 자계를 약화시킨 핀화된 자계로 만들어 주기 위하여 상기 수직 편향코일의 일정 부분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갖는 자계들을 발생하여 이 자계들을 상쇄시키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스크린 상의 중간 부분에 조사되는 광점의 편향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배럴 자계를 보다 강한 배럴 자계로 만들어 주기 위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 1 보정부; 상기 스크린 상의 상측 부분에 조사되는 광점의 편향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배럴 자계를 약화시킨 핀화된 자계로 만들어 주기 위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키되, 상기 제 1 보정부에서 발생되는 자계와 반대 방향의 자계를 발생시켜 두 자계들을 상쇄시키는 제 2 보정부; 및 상기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제 2 보정부의 전류 흐름을 조절하는 전류흐름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하는 제 1 내지 제 4 코일과 제 1 다이오도로 이루어지는 제 1 루프; 및 상기 제 1 다이오드와 제 2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제 2 루프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은 직렬 연결되고 이와 병렬을 이루는 상기 제 3 및 제 4 코일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 1 다이오드는 애노드가 상기 제 2 코일의 일측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 4 코일의 일측과 상기 제 2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공통 연결되며, 상기 제 2 다이오드는 애노드가 상기 제 2 코일의 일측과 상기 제 1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공통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 4 코일의 일측과 상기 제 2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공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게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TV 또는 모니터의 음극선관(CRT)에 구비되는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에 적용되며, 이러한 편향요크는 시간계열로 전송된 전기신호가 음극선관의 스크린 상에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빔이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을 통해 형성된 자계를 통과할 때 힘을 받아서 그 진행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전자총에서 주사된 3색 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 면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히 편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편향요크는 전자총에서 주사되는 전자빔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위에서 아래로 순차 이동시켜 화상을 재생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편향요크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7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요크(100)는 음극선관(200)의 RGB 전자총부(300)에 설치되어 전자총(310)으로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음극선관(200)의 스크린면(210)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편향시키게 된다.
이렇게, 음극선관(200) 등에 구비되는 편향요크(100)에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편향요크의 정면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편향요크(100)는, 코일 세퍼레이터(110)와, 이 코일 세퍼레이터(110)의 내측 및 외측 둘레에 마련되어 수평 편향자계와 수직 편향자계를 각각 형성하는 수평 편향코일(미도시) 및 수직 편향코일(120)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과 수직 편향코일(120)을 통한 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 코어(130)로 이루어진다.
코일 세퍼레이터(110)는 원추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음극선관(200)의 스크린면(210) 측으로는 스크린부(220)가 구비되고, 음극선관(200)의 전자총부(300) 측으로는 전자총부(300)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네크부(140)가 구비되며, 스크린부(200)와 네크부(140)는 나팔관 형상의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코일 세퍼레이터(110)의 내측 둘레에는 상하측으로 구분되는 상기 수평 편향코일이 조립되며, 외측 둘레에는 좌우측으로 구분되는 수직 편향코일(120)이 조립된다.
즉, 상기 수평 편향코일은 코일 세퍼레이터(110)의 연결부 내측 둘레에 밀착되어 수평 편향자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수직 편향코일(120)은 코일 세퍼레이터(110)의 연결부 외측 둘레에 밀착되어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120)은 각각 2 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별도의 생산라인을 통해 제작된 후, 코일 세퍼레이터(110)의 내측 및 외측 둘레에 조립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용 코일들도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수직 편향코일(120)의 일측 부위에 대칭되게 권선되되, 수직 편향코일(120)의 제작시 동일 공정상에서 권선된 후 코일 세퍼레이터(110)의 외측 둘에 조립된다.
그리고, 코일 세퍼레이터(110)의 외측 둘레에는 2개가 한 쌍이 되어 원통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페라이트 코어(130)가 수직 편향코일(120)을 감싸도록 조립되며, 이 페라이트 코어(130)는 수직 편향자계를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편향요크(100)는 코일 세퍼레이터(110)에 조립된 수직 편향코일(120)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 세퍼레이터(110)와 수직 편향코일(120) 간에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열용융식 접착제(150) 등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수직 편향코일(120)이 유동되어 정확하게 동축적으로 위치하지 못하게 되면, 좌우측의 자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화면상에 미스컨버전스(Miss-Convergence) 및 기하학적 왜곡(Gemetric Distortion : G/D)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열용융식 접착제(150) 등을 통해 수직 편향코일(120)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용 코일은 수직 편향코일(120)의 일부분에 권선된 후 편향요크(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직 편향코일(120)의 조립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하나의 예를 들어 살펴보면, 코일 세퍼레이터(110)에 조립된 수직 편향코일(120)이 가열용융식 접착제(150)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부재 등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될 수도 있다.
이렇게 조립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 구비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 장치(400)는 수직 편향코일의 일정 부위에 형성된다. 여기서, 수직 편향코일은, 코일 L1, 가변저항 VR1 및 저항 R1으로 이루어진 루프 LP1과, 코일 L2, 가변저항 VR1 및 저항 R2로 이루어진 루프 LP2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 장치(400)는, 스크린 상의 중간 부분에 조사되는 광점의 편향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배럴 자계를 보다 강한 배럴 자계로 만들어 주기 위하여,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 1 보정부(410)와, 스크린 상의 상측 부분에 조사되는 광점의 편향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배럴 자계를 약화시킨 핀화된 자계로 만들어 주기 위하여,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키되, 제 1 보정부(410)에서 발생되는 자계와 반대 방향의 자계를 발생시켜 두 자계들을 상쇄시키는 제 2 보정부(420)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에 의해 온/오프(ON/OFF)되어 제 2 보정부(420)의 전류 흐름을 조절하는 전류흐름 조절부(430)를 구비한다.
제 1 보정부(410)는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코일 L5와 L6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보정부(420)는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코일 L7와 L8로 이루어진다.
전류흐름 조절부(430)는, 애노드(+)가 코일 L6의 일측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코일 L8의 일측에 연결된 다이오드 D3과, 애노드가 다이오드 D3의 캐소드 및 코일 L8의 일측에 공통 접속되고 캐소드가 코일 L6의 일측과 다이오드 D3의 애노드에 연결된 다이오드 D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편향요크에 구비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 장치의 회로 결선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스컨버젼스 보정 장치(400)는 두 개의 루프 LP5와 LP6으로 이루어진다.
루프 LP5는, 직렬 연결된 코일 L5 및 L6, 이 코일들과 병렬되게 직렬 연결된 코일 L7 및 L8, 그리고 애도느가 코일 L6의 일측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코일 L8의 일측에 연결된 다이오드 D3으로 이루어진다.
루프 LP6은 두 개의 다이오드 D3 및 D4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나의 회로 구성을 이루는 코일 L5 내지 L8은 도 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게 수직 편향코일의 일정 부위에 권선된다. 이에 대한 권선 형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 쌍의 수직 편향코일을 이루는 코일 L1과 L2는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수직 편향코일의 일정 부위에 권선되는 코일 L5와 L6은 각각 코일 L1의 중간 부분에 이격되게 권선된다. 이에 대한 단면을 살펴 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도 10에서와 같이 수직 편향코일의 다른 부위에 권선되는 코일 L7과 L8은 각각 코일 L2의 중간 부분에 이격되게 권선된다.
여기서, 코일 L5 및 L6은 동일한 방향으로 권되고 이와 대칭되는 코일 L7 및 L8도 동일 방향으로 권선되되, 코일들은 적어도 2본 이상으로 권선된다. 하지만, 코일 L5 및 L6과 코일 L7 및 L8은 반대 방향으로 권선된다.
그리고, 코일 L5 내지 L8은 동일한 권선수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미스컨버젼스 보정 코일 L5 내지 L8을 수직 편향코일의 중간 부분에 권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어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이오드 D1과 D2가 모두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는 초기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톱니파 전류가 인가되면, 수직 편향코일을 이루는 코일 L1과 L2는 배럴 자계를 형성하여 음극선관 등의 스크린 상에 조사되는 광점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다이오드 D1 및 D2가 오프(OFF)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는 코일 L5와 L6으로만 흐르고 코일 L7과 L8로는 흐르지 않는다. 이 경우, 코일 L5와 L6은 입력된 톱니파 전류에 의해 배럴 자계를 발생하여 도 10에서와 같은 강한 배럴 자계를 형성시키며, 이 강한 배럴 자계는 스크린 상의 중간 부분에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여 준다. 즉, 코일 L5와 L6에 형성되는 강한 배럴 자계가 스크린 상의 레드 화소 R에 조사되는 광점을 블루 화소 B가 위치한 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린 상의 중간 부분에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가 보정된다.
그리고, 코일 L5 및 L6으로만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다이오드 D3 및 D4에 인가되는 전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다이오드 D3이나 D4가 온(ON)되어 쇼트(Short)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다이오드 D4가 도통되면, 입력된 톱니파 전류가 보정용 코일 L5과 L6을 통해 흐르면서 동시에 대칭되게 권선된 보정용 코일 L7과 L8을 통해서도 흐르게 되는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이오드 D3은 톱니파 전류 중 음극(-) 전류에 의해 도통되고, 다이오드 D4는 톱니파 전류 중 양극(+) 전류에 의해 도통된다.
우선, 입력 톱니파 전류의 음극이 인가되는 경우, 다이오드 D3만이 도통되기 때문에 코일 L7과 L8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 흐름이 오프 상태인 다이오드 D4에 의해 차단된다. 이로 인해, 입력 전류가 코일 L5와 L6 방향으로만 흐르게 된다.
이때, 코일 L5와 L6은 입력된 톱니파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하고, 이 자계는 수직 편향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배럴 자계를 보다 강하게 만들어 줌으로써 스크린 상의 중간 부분에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여 준다.
이처럼, 스크린 상의 중간 부분에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시 강한 배럴 자계가 요구되는 이유는, 스크린 상의 레드 화소 R에 조사되는 광점을 블루 화소 B가 위치한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드 화소 R에 조사되는 광점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 F는 플레이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전류 I와 자계 B에 의해 결정됨으로, 자계 B가 강할수록 힘 F가 세지고 이로 인해 레드 화소 R에 조사되는 광점을 그 상부에 위치한 블루 화소 B 부분까지 안정적으로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스크린 상의 중간 부분에 대한 선명도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코일 L5와 L6은 다이오드 D3을 거치지 않고도 전원과 연결되는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기 때문에, 다이오드 D3이 도통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톱니파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코일 L5와 L6을 통해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입력 톱니파 전류의 양극이 인가되면, 다이오드 D4가 도통되기 때문에 코일 L7과 L8 방향으로의 전류 흐름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류 흐름이 형성되면, 코일 L7과 L8은 입력된 톱니파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한다. 이때, 발생되는 자계는 코일 L5와 L6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와 반대 방향을 갖기 때문에, 코일 L7과 L8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는 코일 L5와 L6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를 상쇄시킨다. 이는, 코일 L5 및 L6과 코일 L7 및 L8이 반대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기 때문에, 양측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계가 서로 반대 방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코일 L5 내지 L8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가 상쇄됨으로써, 강한 배럴 자계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화된 자계로 변화된다. 이러한 핀화된 자계를 형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다르게 코일 L5 내지 L8를 각각 수직 편향코일의 중간 부분에 권선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배럴 자계가 상쇄됨으로써 종래의 경우보다 더 핀화된 자계를 도 10에서와 같이 발생시킨다.
이때, 핀화된 자계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상의 상측 부분에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여 준다.
스크린 상의 상측 부분에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의 경우, 중간 부분의 보정시와 달리 레드 화소 R에 조사되는 광점을 블루 화소 B가 위치한 하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레드 화소 R에 조사되는 광점을 편향시키는 힘 F를 약화시킬 수록 이 광점이 블루 화소 B가 위치한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수직 편향코일의 중간 부분에 보정용 코일 L5 내지 L8을 권선하고 이 코일들이 권선된 부분의 자계를 상쇄시킴으로써, 배럴 자계를 보다 약화시킨 핀화 자계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렇게, 배럴 자계가 약화될수록 플레이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광점을 이동시키는 힘 F가 약화되고, 이로 인해 스크린 상의 상측 부분에 위치한 레드 화소 R에 조사되는 광점이 위로 편향되지 못하고 레드 화소 B가 위치한 부분으로 보다 더 근접되게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 상의 상측 부분에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해 줌으로써, 종래의 경우에 비해 보다 더 화면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 상의 상측 부분에 발생된 미스컨버젼스 보정시에도 중간 부분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자계를 발생하는 보정용 코일 L5와 L6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류 흐름이 순간적으로 변화되는 종래의 경우와 달리 레드 빔을 선형적으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스컨버젼스 보정시 레드빔을 선형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종래의 기술에 비해 노이즈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또한 화면의 선명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향요크를 통해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할 경우, 본 발명은 도 12에서와 같은 컨버젼스 특성을 갖는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를 통해 미스컨번젼스를 보정하는 경우 화면에 발생되는 컨버젼스 특성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린 화소 G를 기준으로 왜곡되는 레드 화소 R과 블루 화소 B에 대한 컨버젼스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서와 같이, 그린 화소 G는 X축과 Y축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X축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x1 내지 x5 포인트 상에 5개의 그린 화소 G가 위치하고, 또한 X축의 x1 내지 x5 포인트의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 각각 일정하게 이격되어 5개의 그린 화소 G가 위치한다.
예를 들어, x1 및 y1 포인트 상에 하나의 그린 화소 G가 위치하고, x1 및 y5 포인트 상에 하나의 그린 화소 G가 위치하고, x5 및 y1 포인트 상에 하나의 그린 화소 G가 위치하고, x5 및 y5 포인트 상에 하나의 그린 화소 G가 위치한다. 여기서, 각 포인트 간의 거리는 일정하다.
이와 같이 X축과 Y축 상에 정렬된 그린 화소 G를 기준점으로 하여 레드 화소 R과 블루 화소 B의 왜곡 특성을 나타낸 것이 도 12이다.
도 12에서와 같은 컨버젼스 특성은 그린 화소 G 상에 위치되어야 하는 레드 화소 R과 블루 화소 B가 수직 편향코일에 의한 광점 이동시 왜곡되어 발생되는 것으로, 그린 화소 G와 레드 화소 R 간의 오차, 그린 화소 G와 블루 화소 B 간의 오차, 그리고 레드 화소 R과 블루 화소 B 간의 오차에 대해 다음 [표 2]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평 수직오차 오차 수평 수직오차 오차 수평 수직오차 오차 수평 수직오차 오차 수평 수직오차 오차
G와 R의 오차G와 B의 오차B와 R의 오차 0.03 0.260.06 0.110.03 -0.16 -0.03 0.060.05 0.030.09 -0.02 -0.11 0.000.04 -0.000.15 -0.00 -0.11 0.03-0.02 0.010.09 -0.03 -0.17 0.120.08 0.020.25 -0.10
G와 R의 오차G와 B의 오차B와 R의 오차 -0.16 0.240.15 -0.060.31 -0.30 -0.08 0.040.01 0.030.19 -0.02 -0.04 -0.01-0.00 -0.020.04 -0.01 -0.03 0.010.04 0.000.06 -0.01 -0.16 -0.050.19 0.150.35 0.20
G와 R의 오차G와 B의 오차B와 R의 오차 -0.14 0.090.10 -0.010.24 -0.10 -0.07 0.040.04 -0.010.10 -0.05 0.00 0.000.00 0.000.00 0.00 0.01 -0.010.09 0.020.08 0.03 -0.02 0.080.17 0.000.19 -0.08
G와 R의 오차G와 B의 오차B와 R의 오차 -0.10 -0.070.11 -0.000.21 0.06 -0.04 0.020.00 -0.010.04 -0.03 0.04 -0.020.01 0.01-0.04 0.03 0.05 -0.050.04 0.02-0.01 0.07 -0.14 0.100.20 -0.100.34 -0.20
G와 R의 오차G와 B의 오차B와 R의 오차 -0.02 -0.10-0.04 -0.09-0.01 -0.19 -0.05 0.010.15 0.100.20 0.09 -0.02 0.000.02 0.110.04 0.10 -0.02 0.030.01 0.060.03 0.03 0.10 0.070.09 -0.07-0.01 -0.15
상기 [표 2]에서, 각 화소 간에 발생되는 오차 단위는 mm이다.
도 12에서와 같이 도시된 컨버젼스 특성에 대한 왜곡 예를 상기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x1 및 y1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02mm 및 0.10mm이고, x1 및 y1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블루 화소 B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04mm 및 -0.09mm이고, x1 및 y1 포인트를 기준으로 블루 화소 B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01mm 및 0.19mm이다.
x1 및 y5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03mm 및 0.26mm이고, x1 및 y5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블루 화소 B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06mm 및 0.11mm이고, x1 및 y5 포인트를 기준으로 블루 화소 B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03mm 및 -0.16mm이다.
x5 및 y1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10mm 및 0.07mm이고, x5 및 y1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블루 화소 B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09mm 및 -0.07mm이고, x5 및 y1 포인트를 기준으로 블루 화소 B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01mm 및 -0.15mm이다.
x5 및 y5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17mm 및 0.12mm이고, x5 및 y5 포인트에 위치한 그린 화소 G와 블루 화소 B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08mm 및 0.02mm이고, x5 및 y5 포인트를 기준으로 블루 화소 B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는 각각 0.25mm 및 -0.10mm이다.
상기 [표 2]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향요크를 통해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할 경우, 상기 [표 1]에 기재된 종래의 편향요크에 의한 컨버젼스 특성에 비하여 상기 [표 2]에 기재된 블루 화소 B와 레드 화소 R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오차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편향요크에 장착된 수직 편향코일의 일정 부위에 대칭되게 반대 방향으로 권선된 두 쌍의 보정용 코일에 전류가 계속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자계를 상쇄시켜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함으로써, 레드 빔을 선형적으로 변화시키고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화면의 선명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에 장착되는 수직 편향코일의 회로도.
도 2는 일반적인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의 단면도.
도 3a는 일반적인 수직 편향코일에 의해 이동되는 광점의 예시도.
도 3b는 일반적인 수직 편향코일의 컨버젼스에 대한 특성도.
도 4는 종래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의 회로도.
도 5는 종래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편향요크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의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에 구비되는 수직 편향코일의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에 대한 컨버젼스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편향요크 110: 코일 세퍼레이터
120: 수직 편향코일 130: 페라이트 코어
140: 네크부 150: 접착제
200: 음극선관 210: 스크린면
300: 전자총부 310: 전자총
400: 미스컨버젼스 보정 장치 410, 420: 제 1 및 제 2 보정부
430: 전류흐름 조절부 L1 내지 L8: 코일
D1 내지 D4: 다이오드

Claims (19)

  1.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에 의해 배럴 자계를 발생하여 디스플레이용 스크린 상에 조사되는 광점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직 편향코일; 및
    상기 스크린 상의 중간 부분에 조사되는 광점의 편향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배럴 자계를 보다 강한 배럴 자계로 만들어 주기 위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키고, 상기 스크린 상의 상측 부분에 조사되는 광점의 편향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배럴 자계를 약화시킨 핀화된 자계로 만들어 주기 위하여 상기 수직 편향코일의 일정 부분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갖는 자계들을 발생하여 이 자계들을 상쇄시키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수단
    을 포함하는 편향요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컨버젼스 보정수단은,
    상기 스크린 상의 중간 부분에 조사되는 광점의 편향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배럴 자계를 보다 강한 배럴 자계로 만들어 주기 위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 1 보정부;
    상기 스크린 상의 상측 부분에 조사되는 광점의 편향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배럴 자계를 약화시킨 핀화된 자계로 만들어 주기 위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키되, 상기 제 1 보정부에서 발생되는 자계와 반대 방향의 자계를 발생시켜 두 자계들을 상쇄시키는 제 2 보정부; 및
    상기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제 2 보정부의 전류 흐름을 조절하는 전류흐름 조절부
    를 포함하는 편향요크.
  3.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스크린 상의 중간 부분에 조사되는 광점의 편향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배럴 자계를 보다 강한 배럴 자계로 만들어 주기 위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 1 보정부;
    상기 스크린 상의 상측 부분에 조사되는 광점의 편향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배럴 자계를 약화시킨 핀화된 자계로 만들어 주기 위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키되, 상기 제 1 보정부에서 발생되는 자계와 반대 방향의 자계를 발생시켜 두 자계들을 상쇄시키는 제 2 보정부; 및
    상기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제 2 보정부의 전류 흐름을 조절하는 전류흐름 조절부
    를 포함하는 편향요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정부는,
    직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정부는,
    직렬 연결된 제 3 및 제 4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흐름 조절부는,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과 상기 제 3 및 제 4 코일은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일은 동일한 권선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과 상기 제 3 및 제 4 코일은 반대 방향으로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일은 각각 적어도 2본 이상으로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일과 상기 제 1 다이오드는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는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을 통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이오드는 애노드가 상기 제 2 코일의 일측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 4 코일의 일측과 상기 제 2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공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이오드는 톱니파 전류의 음극에 의해 도통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이오드는 애노드가 상기 제 2 코일의 일측과 상기 제 1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공통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 4 코일의 일측과 상기 제 2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공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이오드는 톱니파 전류의 양극에 의해 도통되어 상기 제 3 및 제 4 코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와 반대 방향을 갖으며, 이 자계를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8. 제 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과 상기 제 3 및 제 4 코일은 상기 수직 편향코일의 중간 부분에 대칭되게 반대 방향으로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9.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톱니파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하는 제 1 내지 제 4 코일과 제 1 다이오도로 이루어지는 제 1 루프; 및
    상기 제 1 다이오드와 제 2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제 2 루프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은 직렬 연결되고 이와 병렬을 이루는 상기 제 3 및 제 4 코일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 1 다이오드는 애노드가 상기 제 2 코일의 일측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 4 코일의 일측과 상기 제 2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공통 연결되며,
    상기 제 2 다이오드는 애노드가 상기 제 2 코일의 일측과 상기 제 1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공통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 4 코일의 일측과 상기 제 2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공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KR1020040007582A 2004-02-05 2004-02-05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 KR20050079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582A KR20050079658A (ko) 2004-02-05 2004-02-05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
CNA2004100456951A CN1652287A (zh) 2004-02-05 2004-04-30 用于校正失聚的偏转磁轭
US10/849,655 US20050174035A1 (en) 2004-02-05 2004-05-20 Deflection yoke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582A KR20050079658A (ko) 2004-02-05 2004-02-05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658A true KR20050079658A (ko) 2005-08-11

Family

ID=34825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582A KR20050079658A (ko) 2004-02-05 2004-02-05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174035A1 (ko)
KR (1) KR20050079658A (ko)
CN (1) CN1652287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0945B2 (ja) * 1988-03-02 1997-09-10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偏向ヨーク装置
DE69201628T2 (de) * 1991-11-13 1995-12-14 Toshiba Kawasaki Kk Ablenkeinheit für Elektronenstrahlröhren und Farbstrahlröhre mit einer solchen Ablenkeinheit.
US6326742B1 (en) * 1998-10-28 2001-12-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CRT with cross-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52287A (zh) 2005-08-10
US20050174035A1 (en)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9658A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
KR20010086319A (ko)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KR100219264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컨버젼스요크
KR100959119B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표시장치
KR100467845B1 (ko) 편향 요크의 편향 코일
KR100823500B1 (ko)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
KR100418039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US6933667B2 (en) Deflection yoke having short-circuited coil in convergence yoke portion
KR100487868B1 (ko) 컬러음극선관용 편향장치
KR100431262B1 (ko) 편향요크
KR100439505B1 (ko) 편향요크
KR20050082116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2009009850A (ja) 表示装置
JP2001093443A (ja)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陰極線管受像機
KR19990021639U (ko) 편향요크의 디스토션 보정회로
KR20050078902A (ko) 미스컨버젼스 보정 장치
EP1372182A1 (en) Colour picture tube device
KR20040093828A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JP2003016969A (ja) ミス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表示装置
JP2004079404A (ja) 投写用陰極線管及び投写型表示装置
JPH0389437A (ja) インライン形カラー受像管用偏向装置
KR20050092534A (ko) 미스컨버젼스 보정 장치
KR20000025809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JP2004304519A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陰極線管装置
JPH06333513A (ja) カラー陰極線管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