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242A -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242A
KR20050079242A KR1020040007246A KR20040007246A KR20050079242A KR 20050079242 A KR20050079242 A KR 20050079242A KR 1020040007246 A KR1020040007246 A KR 1020040007246A KR 20040007246 A KR20040007246 A KR 20040007246A KR 20050079242 A KR20050079242 A KR 20050079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plate
display device
organic compound
electro
rigid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7358B1 (ko
Inventor
금도영
모성호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358B1/ko
Priority to US11/045,381 priority patent/US7479735B2/en
Publication of KR20050079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3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Contain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3Metallic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1Metallic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includ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화합물층과; 상기 유기화합물층을 덮는 패키징판과; 상기 패키징판에 형성되어 상기 패키징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보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함),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함)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 이하 "EL"이라 함) 표시장치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높이고 대화면화를 시도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들 중 PDP는 구조와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경박 단소하면서도 대화면화에 가장 유리한 표시장치로 주목받고 있지만 발광효율과 휘도가 낮고 소비전력이 큰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스위칭 소자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함)가 적용된 액티브 매트릭스 LCD는 반도체공정을 이용하기 때문에 대화면화에 어려움이 있지만 노트북 컴퓨터의 표시소자로 주로 이용되면서 수요가 늘고 있다. 그러나 LCD는 대면적화가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으로 인하여 소비전력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LCD는 편광필터, 프리즘시트, 확산판 등의 광학소자들에 의해 광손실이 많고 시야각이 좁은 특성이 있다.
이에 비하여, EL 표시장치는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무기 EL과 유기 EL로 대별되며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장치로서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L 표시장치 중 유기 EL 장치(1)는 기판(2) 상에 투명전극 패턴으로 애노드전극(4)을 형성하고, 그 위에 발광용 유기 화합물층(18)을 형성한다. 그리고, 유기 화합물층(18) 상에 금속전극으로 캐소드전극(16)이 형성된다.
애노드전극(4)은 기판(2) 상에 인듐-틴-옥시드(Indium-Tin-Oxide;ITO), 인듐-징크-옥시드(Indium-Zinc-Oxide;IZO), 인듐-틴-징크-옥시드(Indium-Tin-Zinc-Oxide;ITZO) 등의 물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진식각법(Photolithgraphy)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애노드전극(4)은 데이터전극으로 사용된다.
유기 화합물층(18)은 애노드전극(4) 상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6), 정공 수송층(Hole Transfer Layer;8)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정공 수송층(8) 상에는 빛을 내는 기능을 하는 발광층(Emitting Layer;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발광층(10) 상에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fer Layer;12),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1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유기 화합물층(18) 상에는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Al)과 같은 캐소드전극(16)이 형성된다. 이러한, 캐소드전극(16)은 주사전극으로 사용된다.
유기 EL장치는 애노드전극(4) 및 캐소드전극(16)에 구동전압 및 전류가 인가되면 정공주입층(6) 내의 정공과 전자주입층(14) 내의 전자는 각각 발광층(10) 쪽으로 진행하여 발광층(10) 내의 형광물질을 여기 시키게 된다. 이렇게 발광층(10)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시광은 투명한 애노드전극(4)을 통해 밖으로 빠져 나오는 원리로 화상 또는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기 EL장치의 발광층(10)은 대기 중의 수분 및 산소에 의하여 캐소드 전극(16)과 유기 화합물층(18)이 손상받게 되어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이나 유리 등과 같은 재료로 형성된 패키징판을 이용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공정이 추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패키징판(30)은 유리, 플라스틱, 캐니스터(Canister)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패키징판(30)은 수분 및 산소를 흡수하기 위한 게터(Getter;27)가 형성되는 제 1 면(32)과, 가장자리에 씨일제(22)가 도포되는 제2 면(34)과, 제1 및 제2 면(32,34)이 소정 높이의 단차를 갖도록 제1 및 제2 면(32,34)을 연결하는 연결면(36)을 구비한다.
제1 면(32)에는 수분 및 산소를 흡수하기 위하여 산화바륨(BaO), 산화칼슘(CaO) 등의 물질인 게터(27)가 형성된다. 여기서 흡습제인 게터(27)가 유기 화합물층(18)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면(32)에는 수분 및 산소 등이 드나들도록 도시하지 않은 반투성막이 부착된다. 이 반투성막은 테프론, 폴리에스테르, 종이 등의 재료가 이용된다.
제2 면(34)은 기판(2)의 가장자리에 도포된 씨일제(22)와 합착되어 패키징판(30)이 기판(2)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패키징판(30)의 제2 면(34)이 씨일제(22)에 의해 기판(2)에 합착됨으로써 진공상태가 되어 대기 중의 수분 및 산소에 의하여 캐소드 전극(16)과 유기 화합물층(18)이 손상받게 되어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씨일제(22)는 자외선 경화 에폭시 등이 사용된다. 이 자외선 경화 에폭시는 디스펜싱, 인쇄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기판(2)이나 패키징판(30) 간에 가압을 하여 합착이 되게 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씨일제(22)를 이용하여 실링한 후, 유기 EL장치에는 수분이나 산소가 없는 불활성 가스로 채워진다. 이를 위해 글러브 박스나 진공챔버를 이용하게 된다.
연결면(36)은 게터(27)가 형성된 제1 면(32)과 기판(2)에 부착된 제2 면(34)이 소정 높이의 단차를 갖도록 하여 패키징판(30)의 내부 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연결면(36)은 제1 및 제2 면(32,34)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할 수 있고, 소정의 경사를 갖고 제1 및 제2 면(32,34)을 연결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패키징판(30)에서 게터(27)가 형성되는 제1 면(32)은 플랫트한 구조이므로 강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패키징판(30)의 사이즈가 커질 경우 제1 면(32)이 플랫트한 구조이므로 강성이 낮아 패키징판(30)이 뒤틀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화합물층과; 상기 유기화합물층을 덮는 패키징판과; 상기 패키징판에 형성되어 상기 패키징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보강부를 구비한다.
상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에서 상기 패키징판은 게터가 형성되는 제1 면과, 상기 기판상에 부착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 및 제2 면 사이에 연결된 연결면을 구비한다.
상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에서 상기 강성 보강부는 상기 제1 면에 긴 골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에서 상기 강성 보강부는 상기 게터의 끝단과 상기 제1 면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에서 상기 강성 보강부는 상기 패키징판의 일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에서 상기 일축 방향은 상기 패캐징판의 단축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에서 상기 일축 방향은 상기 패키징판의 장축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에서 상기 강성 보강부는 서로 교차하는 이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에서 상기 패키징판은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3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를 Ⅱ-Ⅱ'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는 기판(102) 상에 형성된 애노드전극(104)과, 애노드전극(104) 상에 형성되는 유기 화합물층(118)과, 유기 화합물층(118) 상에 형성되는 캐소드전극(116)과, 유기 화합물층(118)을 산소 및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패키징판(134)를 구비한다.
애노드전극(104)은 기판(102) 상에 인듐-틴-옥시드(Indium-Tin-Oxide; ITO), 인듐-징크-옥시드(Indium-Zinc-Oxide; IZO), 인듐-틴-징크-옥시드(Indium -Tin-Zinc-Oxide;ITZO) 등의 물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진식각법(Photolithgraphy)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애노드전극(104)은 데이터전극으로 사용된다.
유기 화합물층(118)은 애노드전극(104) 상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106), 정공 수송층(Hole Transfer Layer;108)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정공 수송층(108) 상에는 빛을 내는 기능을 하는 발광층(Emitting Layer;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발광층(110) 상에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fer Layer;112),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11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유기 화합물층(118) 상에는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Al)과 같은 캐소드전극(116)이 형성된다. 이러한, 캐소드전극(116)은 주사전극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유기 EL장치는 애노드전극(104) 및 캐소드전극(116)에 구동전압 및 전류가 인가되면 정공주 주입층(106) 내의 정공과 전자 주입층(114) 내의 전자는 각각 발광층(110) 쪽으로 진행하여 발광층(110) 내의 형광물질을 여기 시키게 된다. 이렇게 발광층(110)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시광은 투명한 애노드전극(104)을 통해 밖으로 빠져 나오는 원리로 화상 또는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패키징판(130)은 대기 중의 수분 및 산소에 의하여 발광층(110)이 쉽게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리, 플라스틱, 캐니스터(Canister)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패키징판(130)은 수분 및 산소를 흡수하기 위한 게터(127)가 형성되며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강성 보강부(140)가 형성된 제1 면(132)과, 가장자리에 씨일제(122)가 도포되는 제2 면(134)과, 제1 및 제2 면(132,134)이 소정 높이의 단차를 갖도록 제1 및 제2 면(132,134)을 연결하는 연결면(136)을 구비한다. 이 때, 패키징판(130)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금형에 의해 형성된다. 이를 위해 패키징판(130)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제1 면(132)에는 수분 및 산소를 흡수하기 위하여 산화바륨(BaO), 산화칼슘(CaO) 등의 물질인 게터(127)가 형성된다. 여기서 흡습제인 게터(127)가 유기 화합물층(118)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면(132)에는 수분 및 산소 등이 드나들도록 도시하지 않은 반투성막이 부착된다. 이 반투성막은 테프론, 폴리에스테르, 종이 등의 재료가 이용된다. 이러한 제1 면(132)에는 소정 깊이의 긴 골형태를 갖으며 일축 방향(예를 들어, 단축방향)으로 제1 및 제2 강성 보강부(140a,140b)가 형성된다. 이 때, 제1 및 제2 강성보강부(140a,140b)는 제1 면(132)에 형성되는 게터(127)의 끝단과 제1 면(132)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어 제1 면(132)에 게터(127)를 형성시 제1 및 제2 강성 보강부(140a,140b)에 의해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면(132)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강성보강부(140a,140b)에 의해 패키징판(1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제2 면(134)은 기판(102)의 가장자리에 도포된 씨일제(122)와 합착되어 패키징판(130)이 기판(102)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패키징판(130)의 제2 면(134)이 씨일제(122)에 의해 기판(102)에 합착됨으로써 진공상태가 되어 대기 중의 수분 및 산소에 의하여 캐소드 전극(116)과 유기 화합물층(118)이 손상받게 되어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씨일제(122)는 자외선 경화 에폭시 등이 사용된다. 이 자외선 경화 에폭시는 디스펜싱, 인쇄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기판(102)이나 패키징판(130) 간에 가압을 하여 합착이 되게 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씨일제(122)를 이용하여 실링한 후, 유기 EL장치에는 수분이나 산소가 없는 불활성 가스로 채워진다. 이를 위해 글러브 박스나 진공챔버를 이용하게 된다.
연결면(136)은 게터(127)가 형성된 제1 면(132)과 기판(102)에 부착된 제2 면(134)이 소정 높이의 단차를 갖도록 하여 패키징판(130)의 내부 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연결면(136)은 제1 및 제2 면(132,134)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할 수 있고, 소정의 경사를 갖고 제1 및 제2 면(132,134)을 연결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키징판(130)의 제1 면(13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축 방향(예를 들어, 장축방향)으로 긴 골형태의 제3 및 제4 강성 보강부(140c,140d)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키징판(130)의 제1 면(132)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이축 방향(예를 들어, 서로 교차하는 단축 방향과 장축 방향)으로 긴 골형태의 제1 내지 제4 강성 보강부(140c,140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면(132)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 강성 보강부(140a 내지 140d)에 의해 패키징판(1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키징판(130)의 제1 면(132)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골형태의 적어도 두개 이상의 강성 보강부(140)가 형성되어 패키징판(130)의 강성을 보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는 대기 중의 수분 및 산소에 의하여 발광층이 쉽게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판에 패키징판을 부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패키징판에 긴 골형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성 보강부를 형성시킴으로써 패키징판의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패키징된 종래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를 Ⅱ-Ⅱ'로 자른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10 : 기판 4, 104 : 애노드전극
6, 106 : 정공주입층 8, 108 : 정공수송층
10, 110 : 유기발광층 12, 112 : 전자수송층
14, 114 : 전자주입층 16, 116 : 캐소드전극
18, 118 : 유기화합물층 22, 122 : 씨일제
27, 127 : 게터 132 : 제1 면
134 : 제2 면 136 : 연결면
140 : 강성 보강부

Claims (9)

  1.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화합물층과;
    상기 유기화합물층을 덮는 패키징판과;
    상기 패키징판에 형성되어 상기 패키징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보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판은,
    게터가 형성되는 제1 면과,
    상기 기판상에 부착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 및 제2 면 사이에 연결된 연결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부는 상기 제1 면에 긴 골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부는 상기 게터의 끝단과 상기 제1 면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부는 상기 패키징판의 일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축 방향은 상기 패캐징판의 단축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축 방향은 상기 패키징판의 장축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부는 서로 교차하는 이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판은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KR1020040007246A 2004-02-04 2004-02-04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KR100667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246A KR100667358B1 (ko) 2004-02-04 2004-02-04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US11/045,381 US7479735B2 (en) 2004-02-04 2005-01-31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having strength-reinforced packaging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246A KR100667358B1 (ko) 2004-02-04 2004-02-04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242A true KR20050079242A (ko) 2005-08-09
KR100667358B1 KR100667358B1 (ko) 2007-01-12

Family

ID=3480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246A KR100667358B1 (ko) 2004-02-04 2004-02-04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79735B2 (ko)
KR (1) KR100667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1554B2 (ja) * 2005-03-11 2012-03-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これを用いた移動体の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KR100686591B1 (ko) * 2006-04-25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소자
KR100784557B1 (ko) * 2006-09-22 2007-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발광패널
KR100826011B1 (ko) * 2006-10-24 2008-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소자
US7812531B2 (en) * 2007-07-25 2010-10-12 Global Oled Technology Llc Preventing stress transfer in OLED display components
DE102008006816A1 (de) * 2007-10-12 2009-04-16 Alcan Technology & Management Ag Vorrichtung für die Herstellung und/oder Aufbewahrung von organischen Leuchtdioden bzw. Solarzell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Vorrichtung
TWI577071B (zh) * 2010-08-24 2017-04-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二極體封裝結構及其製造方法
USD707193S1 (en) * 2013-09-16 2014-06-17 Photonics Electronics Technology Research Association (PETRA) Signal conversion device
USD706733S1 (en) * 2013-09-16 2014-06-10 Photonics Electronics Technology Research Association (PETRA) Signal conversion device
USRE45712E1 (en) * 2013-03-18 2015-10-06 Photonics Electronics Technology Research Association (PETRA) Signal conversion device
USRE45741E1 (en) * 2013-03-18 2015-10-13 Photonics Electronics Technology Research Association (PETRA) Signal conversion device
TWD161478S (zh) * 2013-08-06 2014-07-01 璨圓光電股份有限公司 半導體發光元件之部分
TWD164808S (zh) * 2013-08-06 2014-12-11 璨圓光電股份有限公司 半導體發光元件之部分
TWD161479S (zh) * 2013-08-06 2014-07-01 璨圓光電股份有限公司 半導體發光元件之部分
CN104600204B (zh) * 2014-12-26 2017-11-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封装结构及封装方法
CN104576967A (zh) * 2015-01-26 2015-04-2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封装结构及oled封装方法
KR102650855B1 (ko) * 2016-11-30 2024-03-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6910718B (zh) * 2017-02-28 2020-07-31 昆山维信诺科技有限公司 封装结构及显示屏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3834A (en) * 1966-07-11 1968-10-01 Monsanto Co Tray
SE507924C2 (sv) * 1992-10-21 1998-07-27 Perstorp Ab Botten till en plastlåda, plastback, plastcontainer etc
JP3536763B2 (ja) * 2000-02-04 2004-06-14 日本電気株式会社 封止装置
US20020155320A1 (en) * 2001-04-20 2002-10-24 Lg.Philips Lcd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2002329576A (ja) * 2001-04-27 2002-11-1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US7026758B2 (en) * 2001-09-28 2006-04-1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Reinforcement of glass substrates in flexible devices
US6589675B2 (en) * 2001-11-13 2003-07-08 Kuan-Chang Peng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TW515062B (en) * 2001-12-28 2002-12-21 Delta Optoelectronics Inc Package structure with multiple glue layers
TW556447B (en) * 2002-09-05 2003-10-01 Au Optronics Cor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JP2004265776A (ja) * 2003-03-03 2004-09-24 Hitachi Ltd 有機el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68143A1 (en) 2005-08-04
KR100667358B1 (ko) 2007-01-12
US7479735B2 (en) 2009-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9735B2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having strength-reinforced packaging plate
EP244503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6253097A (ja) 自発光パネルおよび自発光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705315B1 (ko) 마스크장치와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및 제조장치
KR20080108743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92392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40906B1 (ko) 타일링 기술을 이용한 대면적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KR20050079241A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KR100948854B1 (ko)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024996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23447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001968B1 (ko) 양면 발광형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705340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장치
KR100604273B1 (ko) 트레이와 이를 구비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의제조장치
KR20030024995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47299B1 (ko) 듀얼형 전계 발광 패널과 그가 내장된 듀얼형 전계 발광표시 장치
KR10196108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26994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6137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20850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726954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21862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패널의 패키징 케이스
KR100606417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제조장치
KR20050082963A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패드 형성방법
KR20070078425A (ko) 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