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280A -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280A
KR20050078280A KR1020040005659A KR20040005659A KR20050078280A KR 20050078280 A KR20050078280 A KR 20050078280A KR 1020040005659 A KR1020040005659 A KR 1020040005659A KR 20040005659 A KR20040005659 A KR 20040005659A KR 20050078280 A KR20050078280 A KR 20050078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substrate
mold
fine pattern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264B1 (ko
Inventor
이홍희
서순민
윤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뉴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뉴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뉴타텍
Priority to KR102004000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264B1/ko
Publication of KR2005007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2Lith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ing methods other than those involving the exposure to radiation, e.g. by st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몰드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을 선택적으로 박리 및 잔류시키는 기법을 통해 기판 상에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고분자의 젖음 성질을 이용하거나 혹은 건식 식각 방식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원하는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종래 방식과는 달리, 양각 부분과 음각 부분으로 된 임의의 패턴을 갖는 몰드를 고분자 유기물 박막이 형성된 기판 상에 기 설정된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 접촉시키고,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고온에서 열처리 공정을 수행한 후 몰드의 양각 부분에 맞닿는 고분자 유기물만을 선택적으로 박리시키는 방식으로 기판 상에 고분자 박막의 미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 및 신뢰도를 대폭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고, 고온과 압력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고분자의 미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제조 공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접촉에 의한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대면적에서의 공정을 쉽게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소화된 제조 공정으로 인해 제조 비용의 획기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MICRO-PATTERN BY USING POLYMER MOLD}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분자 몰드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박막의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미세 패턴 형성 기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 소재 분야에서 고분자 혹은 저분자 유기물들은 현재의 무기물 재료들을 대체하기 위해 꾸준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그 가능성 또한 점진적으로 현실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저분자 물질(유기물)의 경우 PDMS를 이용하여 뜯어내는(박리시키는) 방식의 패터닝은 쉬우나 분자들 내의 응집력이 약하고 박막이 쉽게 손상될 수 때문에 습식 식각 마스크로의 역할에는 적합하지가 못하다. 이에 반해, 고분자 박막은 일정 두께 이상이 되면 식각 용액에 대하여 충분히 내성을 갖기 때문에 습식 식각을 위한 마스크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고분자 박막의 경우 분자들끼리의 응집력이 상당히 커 기판에서 전면적을 뜯어낸다는(박리시킨다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고분자 박막을 기판에서 뜯어내는 기법에 대한 시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고분자 박막에 대해 감광성 물질을 이용하여 기판이 드러나게 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제조 공정(코팅, 노광, 현상 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용소요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고분자의 젖음 성질을 이용하여 기판을 드러나게 하는 방식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대면적으로의 적용에 기술적인 한계가 따르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박막 상태의 고분자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기포가 생기는 결함이 발생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판 위에 고분자를 성형하는 방법으로서, 건식 식각을 이용하여 원하는 패턴을 기판으로 전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방식 또한 제조 공정(코팅, 노광, 현상 등)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습식 식각 방식에 비해 값비싼 장비들을 사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습식 식각 방식에 비해 더욱 비용 상승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 설정된 가압 조건에서 고분자 몰드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형성된 고분자 유기물 박막을 선택적으로 박리 및 잔류시키는 기법을 통해 기판 상에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각 부분과 음각 부분으로 된 임의의 패턴을 갖는 몰드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판 상에 고분자 유기물 박막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몰드의 패턴 면을 상기 고분자 유기물 박막 상에 밀착 접촉시키는 과정과, 기 설정된 소정의 온도 조건에서 상기 몰드에 기 설정된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과정과, 상기 몰드를 탈거하여 상기 양각 부분에 접착된 상기 고분자 유기물 박막만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박리시킴으로써, 상기 기판 상에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고분자의 젖음 성질을 이용하거나 혹은 건식 식각 방식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원하는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양각 부분과 음각 부분으로 된 임의의 패턴을 갖는 몰드를 고분자 유기물 박막이 형성된 기판 상에 기 설정된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 접촉시키고,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고온에서 열처리 공정을 수행한 후 몰드의 양각 부분에 맞닿는 고분자 유기물만을 선택적으로 박리시키는 방식으로 기판 상에 박막의 미세 패턴을 형성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패턴 형성 방법은, 기판 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미세 패턴 물질로서 고분자 유기물 박막을 이용하고, 고분자 몰드를 고분자 유기물 박막 상에 밀착 접촉한 후 기 설정된 소정의 압력을 가하며, 또한 유리 전이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예를 들면, 200 - 250℃) 조건에서 열처리 공정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에서는, 임의의 패턴을 갖는 고분자 몰드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고분자 유기물 박막과의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MINS 박막을 매개체로 사용하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여기에서, MINS 박막은 고분자 유기물 박막에 대해 적어도 기판보다는 상대적으로 좋은 접착력을 갖는 것으로, polyurethane 계통의 복합 물질을 의미한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고분자 몰드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 순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양각 부분(106a)과 음각 부분(106b)으로 된 임의의 패턴을 갖는 MINS 몰드(106)와 패턴 면의 대향 면에 맞닿는 PDMS 몰드(108)를 준비하고, 진공 증착 등의 공정을 수행하여 기판(102) 상에 고분자 유기물 박막(104)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MINS 몰드(106)는 PET 필름에 MINS 물질이 덮여 있는 형태로 준비된다.
통상적인 박막 분리 공정에서는 몇 가지 분자간의 힘에 의해 박막 분리가 결정되는데, 이때 접착력과 응집력이 박막 분리를 좌우하는 주요한 파라미터가 된다. 여기에서, 기판과 고분자 유기물 박막과의 접착력보다 고분자 유기물 박막과 몰드와의 접착력이 좋아야 박막 분리가 가능하며, 또한 고분자의 응집력이 이러한 접착력에 의한 분리를 충분히 견뎌낼 수 있어야하는 조건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시킬 때 박막 분리 공정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유기물 박막에 대해 PDMS 몰드보다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좋은 MINS 몰드를 기판으로부터 고분자 유기물 박막을 선택적으로 박리시키는 매개체로 이용하며, 기판의 전면에 고르게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PDMS 몰드(108)를 이용한다.
이어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INS 몰드(106)의 패턴 면을 고분자 유기물 박막(104) 상에 밀착 접촉시키는데, 이를 통해 MINS 몰드(106)의 양각 부분(106a)만이 고분자 유기물 박막(104) 상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다음에, PDMS 몰드(108)를 통해 일정한 정도의 압력을 가하게 되면, 일 예로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 유기물 박막(104)의 일부가 MINS 몰드(106)를 통해 고르게 분산되어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MINS 몰드(106)의 음각 부분(106b)으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즉, MINS 몰드(106)의 양각 부분(106a)에 대향하는 고분자 유기물 박막(104)의 일부가 MINS 몰드(106)의 음각 부분(106b)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고온의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열처리 공정의 온도 조건은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어 고분자가 노보락이나 감광성 고분자 또는 폴리스티렌 등이라고 가정할 때 대략 200 내지 250℃ 정도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고분자들뿐만 아니라 PAA(polyacrylamide), PMMA(polymethylmethacrylate), PVA(polyvinyl alcohol), PVP(poly(4-vinyl pyridine)) 등의 고분자 물질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며, 공정 온도 조건은 고분자 물질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
이어서, 냉각 공정을 통해 기판(102)을 식힌 후에 MINS 몰드(106)를 기판(102)으로부터 탈거하는데, 이때 MINS 몰드(106)의 양각 부분(106a)에 맞닿아 있던 고분자 유기물 박막(104b)은 MINS 몰드(106)의 양각 부분(106a)에 접착되어 기판(102)으로부터 박리되고, 양각 부분(106a)이 아닌 음각 부분(106b)에 대향하는 부분에 있던 고분자 유기물 박막은 기판(102) 상에 그대로 잔류하게 되며, 이를 통해, 일 예로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2) 상에 목표로 하는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104a)을 완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임의의 패턴을 갖는 MINS 몰드와 간단한 열처리 공정을 통해 기판 상에 목표로 하는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 예를 들면 수 미크론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의 미세 패턴을 기판 상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라 기판(102) 상에 형성된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104a)은 기판 상에 임의의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데, 이러한 박막 패턴의 형성은 부가적 방법(증착 방법) 또는 감쇄적 방법(식각 방법)으로 가능하다.
여기에서, 부가적 방법은 증착 공정을 수행하여 미세 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에 임의의 증착 물질을 형성하고, 다시 미세 패턴을 제거함으로써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던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원하는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기법이고, 감쇄적 방법은 기판 상에 형성된 미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식각 공정(예를 들면, 습식 식각 공정)을 수행한 후 잔류하는 미세 패턴을 제거함으로써 기판 상에 원하는 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기법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라 기판 상에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이 형성되는 지에 대한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기판 상에 형성된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에 대한 SEM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기판 상에 형성된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 측면에 대한 SEM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도 2 및 도 3의 실험 결과를 통해 다양한 모양의 고분자 성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고분자 필름과 기판이 분리되고 MINS 몰드가 접촉된 부분의 고분자 필름이 확실하게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금속 물질 위에 형성된 고분자 유기물과 습식 식각된 금속 박막의 미세 패턴 측면에 대한 SEM 사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이용하여 하부의 금속 물질을 선택적으로 식각한 후 잔류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제거한 상태의 측면에 대한 SEM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도 4 및 도 5의 실험 결과를 통해 금속 박막 위에 고분자 패턴을 형성하여 식각 마스크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분자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는 식각 공정을 통해 하부의 금속 박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한 후 고분자 패턴을 제거함으로써 원하는 금속 패턴을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 예에 따라 원형과 사각형 부분에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선택적으로 형성한 상태를 촬상한 사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이용하여 하부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한 후 잔류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제거한 상태를 촬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도 6 및 도 7의 실험 결과를 통해서도 몰드를 통해 고분자를 기판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박리)하여 고분자 패턴을 형성하고, 고분자 패턴을 이용하는 식각 공정을 통해 하부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기판 상에 원하는 패턴을 쉽게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패턴 형성 방법은, 고분자의 젖음 성질 또는 건식 식각 방식을 이용하는 기존의 방법이 아닌, PDMS 몰드와 MINS 몰드를 이용하여 고분자 유기물 박막을 기판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떼어내는(박리시키는) 방식으로 기판 상에 목표로 하는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기판 상에 형성된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에 대해 어떠한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원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 및 신뢰도를 대폭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으며,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이용하는 간소화된 공정의 부가적 방법 또는 감쇄적 방법을 수행하여 기판 상에 원하는 패턴을 갖는 박막 패턴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패턴 형성 방법은, 고온과 약간의 압력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고분자의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공정의 실현이 가능하고, 접촉에 의한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대면적에서의 공정 또한 쉽게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간소화된 제조 공정으로 인해 제조 비용의 획기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분자의 젖음 성질을 이용하거나 혹은 건식 식각 방식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원하는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양각 부분과 음각 부분으로 된 임의의 패턴을 갖는 몰드를 고분자 유기물 박막이 형성된 기판 상에 기 설정된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 접촉시키고,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고온에서 열처리 공정을 수행한 후 몰드의 양각 부분에 맞닿는 고분자 유기물만을 선택적으로 박리시키는 방식으로 기판 상에 고분자 박막의 미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 및 신뢰도를 대폭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고, 고온과 압력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고분자의 미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제조 공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접촉에 의한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대면적에서의 공정을 쉽게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소화된 제조 공정으로 인해 제조 비용의 획기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고분자 몰드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기판 상에 형성된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에 대한 SEM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기판 상에 형성된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의 측면에 대한 SEM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금속 물질 위에 형성된 고분자 유기물과 습식 식각된 금속 박막의 미세 패턴 측면에 대한 SEM 사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이용하여 하부의 금속 물질을 선택적으로 식각한 후 잔류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제거한 상태의 측면에 대한 SEM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원형과 사각형 부분에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선택적으로 형성한 상태를 촬상한 사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이용하여 하부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한 후 잔류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제거한 상태를 촬상한 사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기판 104 : 고분자 유기물 박막
106 : MINS 몰드 106a : 양각 부분
106b : 음각 부분 108 : 고분자 몰드

Claims (5)

  1. 양각 부분과 음각 부분으로 된 임의의 패턴을 갖는 몰드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판 상에 고분자 유기물 박막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몰드의 패턴 면을 상기 고분자 유기물 박막 상에 밀착 접촉시키는 과정과,
    기 설정된 소정의 온도 조건에서 상기 몰드에 기 설정된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과정과,
    상기 몰드를 탈거하여 상기 양각 부분에 접착된 상기 고분자 유기물 박막만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박리시킴으로써, 상기 기판 상에 고분자 유기물의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상기 고분자 유기물 박막에 대해 적어도 상기 기판보다 상대적으로 큰 접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유기물 박막은, 노보락, 감광성 고분자, 폴리스티렌, PAA(polyacrylamide), PMMA(polymethylmethacrylate), PVA(polyvinyl alcohol), PVP(poly(4-vinyl pyridin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건은, 유리 전이 온도보다 적어도 높은 온도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건은, 200 내지 250℃의 온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20040005659A 2004-01-29 2004-01-29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0601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659A KR100601264B1 (ko) 2004-01-29 2004-01-29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659A KR100601264B1 (ko) 2004-01-29 2004-01-29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280A true KR20050078280A (ko) 2005-08-05
KR100601264B1 KR100601264B1 (ko) 2006-07-19

Family

ID=37265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659A KR100601264B1 (ko) 2004-01-29 2004-01-29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126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537B1 (ko) * 2006-01-06 2007-02-0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박막 전이 기법을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0678557B1 (ko) * 2005-04-28 2007-02-02 주식회사 미뉴타텍 비기공성 몰드를 이용한 초미세 그레이팅 제조 방법
KR100731736B1 (ko) * 2006-02-20 2007-06-25 주식회사 미뉴타텍 리지플렉스 몰드와 롤러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0879790B1 (ko) * 2007-07-23 2009-01-22 한국과학기술원 고분자 몰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KR101384573B1 (ko) * 2007-04-16 2014-04-11 소니 주식회사 패턴 형성 방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974B1 (ko) * 2001-06-15 200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본나노튜브의 수평 성장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557B1 (ko) * 2005-04-28 2007-02-02 주식회사 미뉴타텍 비기공성 몰드를 이용한 초미세 그레이팅 제조 방법
KR100678537B1 (ko) * 2006-01-06 2007-02-0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박막 전이 기법을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0731736B1 (ko) * 2006-02-20 2007-06-25 주식회사 미뉴타텍 리지플렉스 몰드와 롤러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1384573B1 (ko) * 2007-04-16 2014-04-11 소니 주식회사 패턴 형성 방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
KR100879790B1 (ko) * 2007-07-23 2009-01-22 한국과학기술원 고분자 몰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264B1 (ko)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o et al. Nanoimprinting over topography and multilayer three-dimensional printing
CN101198904B (zh) 亚微米印花转移光刻术
JP4719464B2 (ja) マイクロ/ナノ構造を基板上にインプリントする方法
KR100293454B1 (ko) 압축성형방법
KR100843552B1 (ko) 나노 임프린트 공정을 이용한 나노 전극선 제조 방법
US7913382B2 (en) Patterned printing plates and processes for printing electrical elements
US20090214838A1 (en) Method of applying a pattern of metal, metal oxide and/or semiconductor material on a substrate
NO992295L (no) FremgangsmÕte til mønstring av polymerfilmer og anvendelse av fremgangsmÕtene
KR100601264B1 (ko)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0407602B1 (ko) 디웨팅 현상을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0918850B1 (ko)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와 리프트 오프 공정을 이용한나노 패턴 형성 방법
EP1756669A2 (en) Imprinting lithography using the liquid/solid transition of metals and their alloys
KR100601263B1 (ko) 급속 가열 나노 몰딩을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Sturm et al. Three-dimensional electronic surfaces
US7166546B2 (en) Planarization for integrated circuits
KR100382694B1 (ko) 박막 전이 현상을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20090065896A (ko) 미세 회로가 형성된 필름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533903B1 (ko) 디웨팅을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1649557B1 (ko) 전도성 패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전도성 패턴
US20230324788A1 (en) Graphene-enabled Block Copolymer Lithography Transfer to Arbitrary Surfaces
KR100407601B1 (ko) 열처리 및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열경화성 고분자박막상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20090076380A (ko) 미세 회로가 형성된 필름 기판 및 그 제조방법
Balan et al. Tunable contact angle hysteresis for component placement on stretchable superhydrophobic surfaces
KR20090065899A (ko) 미세 회로가 형성된 필름 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2016007908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