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783A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783A
KR20050077783A KR1020050007901A KR20050007901A KR20050077783A KR 20050077783 A KR20050077783 A KR 20050077783A KR 1020050007901 A KR1020050007901 A KR 1020050007901A KR 20050007901 A KR20050007901 A KR 20050007901A KR 20050077783 A KR20050077783 A KR 20050077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plug
socket
opening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4062B1 (ko
Inventor
다카하시요시노부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sliding we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1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deforming the cable by moving a part of th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9Cord and rope holders
    • Y10T24/3969Sliding part or wedge

Abstract

끈(11)의 선단(12)이 삽입되는 끈용 개구(21)와, 상기 끈용 개구(21)로부터 삽입된 끈(11)의 단부(12)를 소정길이에 걸쳐 수용하는 수용부(23)와, 상기 수용부(23)내에 수용된 끈(11)을 협지하는 한쌍의 협지부(40)를 설치하고, 상기 협지부(40)는 상호 일단측이 타단측 보다 근접한 대략 V형을 이루고, 또한 각각의 일단측이 타단측 보다 끈용 개구(21)측에 근접되고, 삽입축선(13)에 대해 경사배치된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끈의 단부에 장착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끈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구두나 가방 또는 의복이나 장신구의 개구부 등의 밀봉, 칫수 등의 조정에는 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물품의 연결이나 고정 등과 같은 다양한 상황에서도 끈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끈이라 함은 결속 등이 가능한 이른바 끈 모양의 것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끈, 와이어, 케이블 등, 기타 테이프, 벨트 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끈에서는 일반적으로 단부처리가 실행된다 즉, 간단히 절단한 것만의 상태에서는 단면의 외관 또는 촉감이 열악하거나, 편직된 소재에서는 풀어짐이 발생될 수 있다.
단부처리로서는 간단한 것은 결합목을 만들 것이 권장된다. 또한, 조작성이나 장식성을 높이기 위해 전용 버클을 장착할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버클로서는 끈에 결합목을 형성할 수고를 해소할 수 있도록, 끈의 단부(끈의 말단으로부터 소정길이의 영역)를 둘러싸도록 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통형상의 본체에 끈의 단부를 삽입하고, 반대측으로부터 삽입된 로킹기구의 돌기부분이 끈의 단부에 물려지도록 끈에 고정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문헌1 : 일본 특허공개 평9-289906호 공보의 제4항, 도1 및 도6 참조).
또한, 끈에 대해 돌기부분이 식입되는 방향을 끈과 교차방향으로 하고, 또한 끈의 선단을 굴곡시켜 길이칫수를 억제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문헌2 : 일본 특허공개 2002-17411호 공보의 제3항 및 제4항, 도1 내지 도3 참조).
상술한 문헌 1 및 문헌 2에서는 어느것도 돌기부분이 끈에 부착된 형태로 본체와 끈을 고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끈의 표면이 니트 소재로 피복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끈에서는 편목에 돌기부분이 걸리거나, 양호한 부착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근래의 끈에서는 코어로서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엘라스토머의 끈에서는 상술한 돌기부분이 식입되어도, 코어가 용이하게 변형되어 충분한 부착성을 얻을 수 없다. 상술한 표면이 니트 소재의 끈이어도, 코어의 변형에 의해 니트 소재의 피복이 벗겨재셔, 필요로 하는 부착상태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처럼 단순히 끈의 표면에 돌기부분을 가압하여 부착시키는 구조의 버클에서는 충분한 지착(止着) 성능을 얻을 수 없고, 버클이 끈으로부터 벗겨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끈에 대한 지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끈의 단부를 소정의 삽입축선을 따라 수용가능한 본체를 갖는 버클에서, 상기 본체는 대략 원통형의 소켓과 그 내측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가지며; 상기 소켓은 끈의 단부가 삽입되는 끈용 개구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용 개구와, 상기 끈용 개구 및 상기 플러그용 개구에 연통되고 상기 끈용 개구로부터 삽입된 끈의 단부를 소정 길이에 걸쳐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소켓 또는 플러그중 어느 한쪽에는 상기 수용부내에 수용된 끈을 협지하는 한쌍의 협지부를 가지며, 상기 소켓 또는 플러그중 다른쪽에는 소켓에 플러그를 결합시겼을 때 상기 수용부내에 수용된 끈을 상기 협지부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끈의 단부를 소켓의 끈용 개구로부터 삽입하고, 수용부내에 수용된 후 플러그를 플러그용 개구에 삽입한다. 수용부내에 수용된 끈의 단부는 플러그(또는 소켓)의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한쌍의 협지부로 이송되고, 소켓(또는 플러그)의 협지부에 의해 협지된다.
즉, 소켓에 플러그에 삽입결합시키므로써 수용부내에 수용된 끈이 가압부에 의해 협지부에 대해 가압되어, 협지부에 의해 끈 단부의 구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끈과 본체와의 강고한 지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는 상호 일단측이 타단측 보다 근접한 대략 V형을 이루고 있고, 또한 각각의 일단측이 타단측 보다 상기 끈용 개구측에 근접되어, 상기 삽입축선에 대해 경사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끈에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장력이 가해진 경우, 협지부에 협지된 끈의 단부는 끈용 개구측에 이동하려고 하지만, 협지부가 경사배치되어 있으므로 끈의 단부는 대략 V형의 좁은 측으로 끌어당겨지고, 또한 협지부에 강하게 협지된다. 따라서, 끈이 엘라스토머 소재 등이어도 끈의 단부는 협지부내에서 확실하게 구속되고, 이탈 등의 단점이 방지되며, 지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수용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에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또한 반대측에 플러그용 개구를 덮는 덮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소켓의 끈용 개구로부터 끈을 삽입한 상태에서, 반대측의 플러그용 개구로부터 플러그를 삽입하므로써 끈의 구속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특히, 플러그의 삽입이 끈과는 반대측으로 되기 때문에, 끈의 이탈에 대해 플러그가 저항하게 되어 구속의 확실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플러그는 선단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는 덮개부를 갖기 때문에, 장착상태에서는 플러그용 개구를 덮을 수 있고, 외관적으로도 양호하며, 먼지등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2개의 끈이 병렬로 삽입가능한 공간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는 수용부내에 수용된 2개의 끈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버클에 의해 2개의 단부를 결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한구의 슬라이드 파스너 등에는 방한용 등의 두꺼운 장갑을 한 채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루프형으로 한 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루프형의 끈의 단부의 결속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버클을 이용하면, 단부처리와 함께 결속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고, 별도의 결속조작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소켓에 상기 플러그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협지부 보다 플러그용 개구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끈은 협지부 및 가압부에 의해 삽입축선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서 반대측으로부터 가압되고, 이에 의해 협지부로의 끈의 가압이 실행된다. 이때, 협지부 및 가압부가 삽입축선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이기 때문에, 끈은 플러그형으로 굴곡되므로써, 끈의 인출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본체의 삽입축선 방향의 길이 단축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축선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소켓에 플러그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가압부가 상기 협지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소켓에 플러그를 삽입하는 조작에 있어서 양자가 완전하게 결합되는 어느 정도 앞의 단계로부터 가압부는 협지부의 내부에 혼입되고, 이러한 삽입조작에 앞서 끈을 가압부에 따르게 하면 끈은 협지부에 원활하게 안내되어, 확실한 협지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끈의 위치를 규제하여 상기 소켓에 플러그를 결합시켰을 때 상기 협지부내에 끈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소켓에 플러그를 결합시킬 때, 미리 끈의 단부를 가압부의 안내홈내에 수용시키므로써, 플러그가 소켓내에 이동됨에 따라 끈은 자동적으로 협지부내로 이송되고, 플러그가 소켓에 결합되었을 때는 끈은 협지부에 가압되어 강하게 협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끈용 개구로부터 삽입되어 소켓을 삽입통과하여 플러그용 개구로부터 노출된 끈의 단부를 플러그를 따른 상태에서 지지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먼저 수용부내에 끈의 단부를 삽입하여 두고, 소켓에 플러그를 삽입하므로써 가압부에서 끈을 협지부로 이송한다. 이때 끈의 선단은 수용부내에 은폐해도 좋다. 즉, 끈의 단부는 수용부내에 정지시켜 두고, 이에 대해 플러그가 접근하므로써 가압부에 의한 끈의 협지부로의 송출이 실행되어도 좋다.
한편, 끈을 소켓에 삽입시켜 끈의 선단을 플러그용 개구측에 인출하고, 이러한 선단을 플러그에 첨부한 상태에서 소켓내에 이송해도 좋고, 플러그와 끈이 일체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협지부에 의한 협지동작을 안정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안내홈이 플러그를 따라 끈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와 끈을 일체로 소켓내로 송출할 때 그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안내홈은 손으로 가압하지 않아도 끈이 이탈되지 않는 형상, 예를 들어 내폭이 끈 보다 좁게 된 형상, 또는 입구부분이 내측 보다 좁아진 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는 본체의 일부로부터 연속한 융기부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협지부를 본체(소켓 또는 플러그)와는 별도로 형성하여 부착할 필요가 없으며,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체를 수지성형하는 경우에는 협지부까지 일체성형하므로써 제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분은 상기 끈용 개구와는 반대측에 상기 삽입축선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이러한 경사면에는 대략 V형 절결이 형성되며, 상기 절결의 상기 경사면을 따른 주위 가장자리에 의해 상기 협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융기부분의 경사면과 대략 V형 절결에 의해 한쌍의 협지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협지부에서는 서로의 경사에 대해서는 V형 절결의 배치각도에 의해 설정할 수 있으며, 삽입축선에 대한 경사에 대해서는 경사면의 배치각도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경사각도를 확실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제조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는 서로 이격된 측이 이루는 각도가 큰 안내부분으로 되고, 서로 근접한 측이 이루는 각도가 작은 계지부분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V형 절결이 소위 이중 V형 또는 대략 Y형으로 된다. 그리고, Y형의 입구측의 안내부분에서는 개구폭이 커지므로 끈의 위치 변동이 커져도 협지부내로의 인입이 가능하게 되고, 끈의 협지가 확실하게 실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끈에 인장략이 발생된 경우 등, 끈은 Y형이 내측의 계지부분에 끌어당겨지고, 좁아진 협지부에 의해 확실하게 결합되므로써, 따라서 지착성능의 향상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와 상기 삽입축선이 이루는 경사각도가 30°이상 90°미만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경사배치된 협지부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도로 설치되므로써, 협지부가 삽입축선에 직교하는 구속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경사각도가 90°이상 즉, 협지부가 삽입축선에 직교하는 상태 내지는 협지부의 선단이 끈용 개구측을 향하는 상태에 있다면, 끈의 인장력에 의한 구속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경사각도가 30°이상이면, 끈과 협지부가 따른 상태로 되어, 역시 끈의 인장력에 의한 구속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협지부와 삽입축선이 이루는 경사각도는 45°이상 80°미만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 범위로 하므로써, 상술한 끈의 인장력에 의한 구속이 더욱 확실하게 된다.
상기 협지부와 삽입축선이 이루는 경사각도는 55°이상 65°미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범위로 하므로써, 상술한 끈의 인장력에 의한 구속이 가장 양호한 상태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는 만곡되어 있고, 상기 경사각도는 끈을 실질적으로 협지하는 유효영역과 상기 삽입축선이 평균적으로 이루는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협지부는 직선형이어도 좋지만, 곡선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입구측에서는 협지부의 경사각도가 커지도록 하여, 끈의 인입을 용이하게 하고, 내측에서는 협지부의 경사각도를 작게 하여 끈의 인장력에 의한 구속효과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끈의 구속에 관계된 평균적인 각도가 되는 실질적인 유효영역의 경사각도는 상술한 각도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9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버클이 도시되어 있다.
도1은 본 실시예의 소켓 및 플러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소켓의 종단면도, 도3은 플러그의 측면도, 도4는 소켓의 횡단면도, 도5는 플러그의 평면도, 도6은 본 실시예의 소켓 및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7은 소켓 및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8은 소켓 및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9는 소켓 및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10)은 끈(11)의 단부(12)를 소정의 삽입축선(13)을 따라 수용가능한 본체(14)를 갖는다.
본체(14)는 대략 통 형상의 소켓(20)과, 그 내측에 삽입결합되는 플러그(3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소켓(20) 및 플러그(30)는 각각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구성된다.
소켓(20)의 일단에는 끈용 개구(21)가 형성되고, 상기 끈용 개구(21)와는 반대측에 플러그용 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20)을 관통하여 끈용 개구(21)로부터 플러그용 개구(22)에 이르는 수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끈용 개구(21)에는 상술한 끈(11)의 단부(12)를 삽입할 수 있다. 수용부(23)는 끈용 개구(21)로부터 삽입된 끈(11)의 단부(12)를 소정 길이에 걸쳐 수용할 수 있다(도4, 도6, 도7 참조).
플러그용 개구(22)에는 상술한 플러그(30)가 삽입될 수 있다. 수용부(23)는 2개의 끈(11)이 병렬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플러그(30)는 수용부(23)내에 수용된 2개의 끈(11) 사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도1, 도6, 도8 참조).
플러그(30)는 플러그용 개구(22)로부터 수용부(23)내에 삽입되며, 상기 플러그(30)에는 수용부(23)에 삽입되는 선단(31)의 근방에 양측의 경사면(32)에 의한 테이퍼 형상이 형성되고, 또한 반대측에 플러그용 개구(22)를 덮는 덮개부(33)를 갖는다.
경사면(32)에 의한 테이프 형상이 형성되므로, 플러그(30)를 수용부(23)내의 2개의 끈(11) 사이에 삽입하는 조작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덮개(3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플러그(30)와 소켓(2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플러그용 개구(22)를 덮을 수 있고, 외관적으로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먼지 등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러그(30)에는 상하면에 계지용 돌기(34)가 형성되고, 덮개(33)의 상하에는 규제용 돌기(35)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용 돌기(34)는 탄성 변형가능한 돌기부분의 선단에 형성되어, 소켓(20)의 내측의 오목부(2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플러그(30)의 탈출이 규제되고, 소켓(20)과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규제용 돌기(35)는 소켓(20)의 플러그용 개구(22)의 주연에 형성된 오목부(2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플러그(30)가 소켓(20)에 대해 소정의 결합상태 보다 내측으로 혼입될 수 없도록 규제되어 있다.
수용부(23)의 내부에는 그 내부에 수용된 끈(11)을 협지하는 한쌍의 협지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23)내에 2개의 끈(11)을 수용하여 상호결속하도록 하고 있고, 협지부(40)는 하나의 끈(11)에 대해서 하나씩, 즉 전부 2쌍 4곳에 협지부(40)가 설치되어 있다(도8 참조).
협지부(40)는 서로의 일단측이 타단측 보다 근접한 대략 V형을 이루고 있고, 또한 각각의 일단측이 타단측 보다 끈용 개구(21)측에 근접되고, 삽입축선(13)에 대해서 경사배치되어 있다(도2, 도8, 도9 참조).
협지부(40)는 소켓(20)의 내측으로부터 연속한 판형 융기부분(4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융기부분(41)은 끈용 개구(21)와는 반대측에 삽입축선(13)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42)을 갖는다(도4, 도6 참조).
융기부분(41)에는 경사면(42)측으로부터 보아 대략 V형으로 이루어진 절결(43)이 형성되고, 이러한 절결(43)의 경사면(42)을 따른 주위 가장자리에 의해 한쌍의 협지부(40)가 형성되어 있다(도2, 도8, 도9 참조).
이러한 협지부(40)에서는 절결(43)의 내측에 끈(11)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끈(11)이 인장되어 수용부(23)로부터 이탈되려고 하면, 끈(11)의 표면에 습접하게 된다. 특히, 경사면(42)[끈용 개구(21)와는 반대측 즉, 플러그용 개구(22)측]측에서, 끈(11)의 표면이 바싹 당겨진 상태로 된다.
여기서, 경사면(42)이 삽입축선(13)에 대해 경사져 있고, 그 선단측은 끈용 개구(21)와는 반대측 즉, 플러그용 개구(22)측에 접근하고 있으며, 그 선단측으로부터 절입된 절결(43)은 개구측에 대해 내측이 끈용 개구(21)측에 접근하고 있다.
즉, 절결(43)의 주위 가장자리에서 형성되는 한쌍의 협지부(40)에서는 끈(11)이 끈용 개구(21)측으로 인장되면, 끈(11)의 표면이 바싹 당겨지면서 절결(43)의 내측 즉, 협지부(40)의 상호근접하는 측으로 밀고 들어가게 된다.
이에 의해, 끈(11)은 다시 강하게 협지되어, 더 이상의 이탈이 곤란하게 된다.
협지부(40)는 상호 이격된 측이 서로 이루는 각도가 큰 안내부분(44)으로 되고, 상호 근접한 측이 서로 이루는 각도가 작은 계지부분(45)으로 되어 있고, 한쌍의 협지부(40)는 전체로서 대략 Y형 또는 2단의 V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계지부분(45)의 표면에 도시않은 원추형의 돌기, 톱형 치부를 갖는 계단부착부 등을 설치하고, 한쌍의 협지부(40)가 전체로서 Y형 또는 2단의 V형을 이루도록 해도 좋다.
안내부분(44)은 절결(43)의 개구측의 개구를 넓게 하므로써, 이에 의해 끈(11)을 절결(43)내에 수용하도록 할 때에는 끈(11)이 조금씩 어긋나도 안내가 용이하고 확실하다.
계지부분(45)은 서로 이루는 각도가 작으므로, 끈(11)을 확실하게 체결하여 구속하고, 확실한 이탈중지에 의한 지착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2단식 협지부(40)에 의해 끈(11)의 확실한 수용 내지 구속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협지부(40)와 삽입축선(13)이 이루는 경사각도(A)(도4 참조)는 60°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각(A)이 90°이상, 즉 협지부(40)가 삽입축선(13)에 직교하는 상태 내지는 협지부(40)의 선단이 끈용 개구(21)측을 향하는 상태에 있으며, 끈(11)의 인장력에 의한 구속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경사각도(A)가 30°이하이면, 끈(11)과 협지부(40)가 따른 상태로 되고, 역시 끈(11)의 인장력에 의한 구속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각도(A)는 30°이상 90°미만일 필요가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45°이상 80°미만이다. 또한, 경사각도(A)를 55°이상 65°미만(60°전후)로 하므로써, 끈(11)의 인장력에 의한 구속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플러그(30)에는 소켓(20)과 플러그(30)를 결합시킬 때 수용부(23)내에 수용된 끈(11)을 협지부(40)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부(50)가 형성되어 있다(도1, 도3, 도5 참조).
가압부(50)는 플러그(30)의 경사면(32) 보다 덮개부(33)측의 위치로부터 측방으로 연속적으로 팽창되는 돌기부분으로 되고, 선단은 좁아지는 동시에 원호형의 둥그스러움이 제공된다.
가압부(50)의 위치는 소켓(20)과 플러그(3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협지부(40) 보다 플러그용 개구(22)측에 오도록 배치되어 있다(도6, 도7, 도8 참조).
따라서, 소켓(20)과 플러그(30)를 결합시켰을 때는 수용부(23)내의 끈(11)의 단부(12)의 표면에 접촉하고, 이를 가압하여 협지부(40)내에 밀고 들어가도록 작용한다.
이상 서술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끈(11)의 단부(12)를 끈용 개구(21)로부터 삽입하고, 수용부(23)내에 수용한다. 수용된 끈(11)의 단부(12)는 한쌍의 협지부(40)에 의해 협지되고, 이에 의해 끈(11)과 본체(14)와의 지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끈(11)에 본체(14)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장력이 가해진 경우, 협지부(40)에 협지된 끈(11)의 단부(12)는 끈용 개구(21)측에 이동하려고 하지만, 협지부(40)가 경사배치되어 있어, 끈(11)의 단부(12)는 대략 V형의 좁은 측에 끌어당겨지고, 다시 협지부(40)에 강하게 협지된다.
특히, 협지부(40)는 서로 이격된 측이 서로 이루는 각도가 큰 안내부분(44)과, 서로 근접한 측이 이루는 각도가 작은 계지부분(45)과의 2단계로 하였기 때문에, 협지부(40)를 형성하는 대략 V형의 절결(43)이 소위 2중의 V형, 또는 대략 Y형으로 된다. 그리고, Y형의 입구측의 안내부분(44)에서는 개구폭이 커지므로써 끈(11)의 위치변동이 커져도 협지부(40)내로의 인입이 가능하게 되고, 끈(11)의 협지가 확실하게 실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끈(11)에 인장력이 발생된 경우 등등, 끈(11)은 내측의 계지부분(45)에 끌어당겨지고, 좁아진 협지부(40)에 의해 확실하게 계지되므로써, 지착성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버클(10)에 따르면, 끈(11)이 엘라스토머 소재 등이어도 끈(11)의 단부(12)는 협지부(40)내에서 확실하게 구속되고, 이탈 등의 단점이 방지되며, 지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4)를 대략 통 형상의 소켓(20)과 그 내측에 삽입결합되는 플러그(30)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소켓(20)에 대한 플러그(30)의 삽입에 의해 끈(11)의 단부(12)를 구속하는 조작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소켓(20)의 끈용 개구(21)를 형성하고, 그 반대측에 플러그용 개구(22)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소켓(20)의 끈용 개구(21)로부터 끈(11)을 삽입한 상태에서, 반대측의 플러그용 개구(22)로부터 플러그(30)를 삽입하여 끈(11)의 구속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특히, 플러그(30)의 삽입이 끈(11)과는 반대측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끈(11)의 이탈에 대해 플러그(30)가 저항하게 되어, 구속의 확실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30)는 선단측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반대측에 플러그용 개구(22)를 덮는 덮개부(33)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장착상태에서는 플러그용 개구(22)를 덮을 수 있고, 외관적으로도 양호하며, 먼지 등의 진입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23)는 2개의 끈(11)이 병렬로 삽입가능한 공간을 가지며, 플러그(30)는 수용부(23)내에 수용된 2개의 끈((1)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버클(10)에 의해 2개의 끈(11)의 단부(12)를 결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버클(10)을 이용하면, 단부처리와 동시에 끈(11)끼리의 결속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고, 별도의 결속조작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30)에 가압부(50)를 설치하고, 소켓(20)과 플러그(30)를 결합시켰을 때 수용부(23)내에 수용된 끈(11)을 협지부(40)에 대해 가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수용부(23)내의 끈(11)이 가압부(50)에 의해 가압되고, 협지부(40)에 의한 끈(11)의 단부(12)의 구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끈(11)의 단부(12)의 최초의 구속에 있어서, 가압부(50)에 의한 가압에 의해 끈(11)의 단부(12)가 협지부(40)에 깊이 식입되도록 되기 때문에, 그 후의 끈(11)의 장력에 의한 또 다른 협지부(40)로의 끈(11)의 식입이 확실하게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켓(20)과 플러그(30)와의 결합상태에서 협지부(40) 보다 플러그용 개구(22)측에 가압부(50)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협지부(40)로의 끈(11)의 가압에 있어서, 협지부(40) 및 가압부(50)의 삽입축선(13) 방향의 어긋남에 의해, 끈(11)은 크랭크형으로 굴곡되고, 끈(11)의 인출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동시에, 본체(14)의 삽입축선(13) 방향의 길이 단축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협지부(40)를 소켓(20)의 일부로부터 연속한 융기부분(41)에 의해 형성하였기 때문에, 협지부(40)를 소켓(20)과는 별도로 형성하여 부착할 필요가 없고,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소켓(20)을 수지성형하는 경우에는 협지부(40)까지 일체성형하여 제조를 효율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융기부분(41)에는 끈용 개구(21)와는 반대측에 삽입축선(13)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42)을 설치하고, 이러한 경사면(42)에는 대략 V형의 절결(43)을 형성하고, 상기 절결(43)의 경사면(42)을 따른 주위 가장자리에 의해 한쌍의 협지부(40)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협지부(4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협지부(40)에서는 상호 경사에 대해서는 V형의 절결(43)의 배치각도에 의해 설정할 수 있고, 삽입축선(13)에 대한 경사에 대해서는 경사면(43)의 배치각도(A)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경사각도(A)를 확실하게 설정할 수 있고, 제조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협지부(40)와 삽입축선(13)이 이루는 경사각도(A)를 60°로 하므로써, 끈(11)의 인장력에 의한 구속효과를 최대로 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소켓 및 플러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11은 본 실시예의 플러그의 측면도, 도12는 본 실시예의 소켓의 종단면도, 도13은 본 실시예의 소켓 및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생략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는 본 실시예의 독자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소켓(20) 및 플러그(3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소켓(20)의 외측의 윤곽은 상이하며, 중간이 잘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 기능적인 상이는 없고, 협지부(40) 주변의 구조도 동일하다.
플러그(30)에 대해서는 선단(31)의 테이퍼 형상이나 덮개부(33) 주변이 동일한 구성이지만, 가압부(50) 주변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상술한 제1실시예의 가압부(50)가 선단이 첨예한 돌기형인 것에 반해, 본 실시예의 가압부(50)는 상하 한쌍의 돌기부(51)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는 안내홈(52)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51) 및 안내홈(52)은 각각 삽입축선(13) 방향으로 소정길이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안내홈(52)내에 끈(11)이 수용될 수 있다.
특히 안내홈(51)은 선단(31)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온 끈(11)을 따르기에 적절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이러한 끈(11)을 지지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다. 즉, 안내홈(52)의 내폭은 끈(11)의 외경 보다 약간 좁고, 끈(11)을 삽입하므로써 안내홈(52)내에 계지할 수 있다. 또는 안내홈(52)을 입구부분[안내홈(52)의 상하의 밀어낸 부분]의 간격이 내측[안내홈(52)의 내폭] 보다 좁게 한 형상 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소켓(20)에 플러그(30)를 결합시키기 전에, 미리 끈(11)의 단부(12)를 끈용 개구(21)로부터 소켓(20)내로 도입하고, 또한 끈(11)을 송출하여 그 단부(12)를 플러그용 개구(22)로부터 소정길이로 인출한다. 그리고, 플러그용 개구(22)로부터 인출된 부분을 안내홈(52)내에 압입하여 지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소켓(20)에 플러그(30)의 선단을 삽입한다. 이때, 끈(11)은 단부(12)를 안내홈(52)에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30)와 일체로 소켓(20)내로 복귀시키게 된다.
따라서, 끈(11)의 단부(12)를 가압부(50)의 안내홈(52)내에 지지시키므로써, 플러그(30)가 소켓(20)내로 이동함에 따라 끈(11)은 자동적으로 협지부(40)내로 송출되고, 플러그(30)가 소켓(20)에 결합되었을 때는 끈(11)은 가압부(50)에 의해 협지부(40)에 가압되어 강하게 협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50)에 안내홈(52)을 설치하므로써, 끈(11)을 협지부(40)에 협지시키기 위해 끈(11)의 위치에 주의하는 등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4는 본 실시예의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15는 본 실시예의 소켓 및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생략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는 본 실시예의 독자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소켓(20) 및 플러그(3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소켓(20)은 협지부(40) 주변의 구조를 포함하여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플러그(30)에 대해서는 전체적인 형상이나 덮개부(33) 주변이 동일한 구성이지만, 선단(31)측의 테이퍼 형상 부분 및 가압부(50) 주변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상술한 제1실시예의 가압부(50)가 선단이 첨예한 돌기형인 것에 반해, 본 실시예의 가압부(50)는 소정길이에 걸쳐 삽입축선(13)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가압부(50)는 협지부(40)와 대향하는 위치로 되고, 가압부(50)의 일부가 협지부(40)내에 혼입되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30)의 선단(31)에 연속한 경사면(32)에는 각측 각각에 가압부(50)의 돌기부분에 연속한 안내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압부(50)에서는 소켓(20)에 플러그(30)를 결합시킬 때에, 미리 끈(11)의 단부(12)를 가압부(50)의 안내홈(53)내에 수용하므로써, 플러그(30)가 소켓(20)내로 이동함에 따라 끈(11)은 자동적으로 협지부(40)내로 송출되고, 플러그(30)가 소켓(20)에 결합되었을 때는 끈(11)은 협지부(40)에 가압되어 강하게 협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끈(11)을 협지부(40)에 협지시키기 위해 끈(11)의 위치에 주의하는 등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50)를 협지부(40)내에 직접 혼입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끈(11)을 확실하게 협지부(40)에 협지시킬 수 있다. 이때, 협지부(50)를 삽입축선(13) 방향으로 연장시켰기 때문에, 협지부(40)로부터 어긋나게 수용되지 않는 등의 단점을 미연에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협지부(40)는 만곡되어 있고, 경사각도(A)는 끈을 실질적으로 협지하는 유효영역과 상기 삽입축선과 평균적으로 이루는 각도로 해도 좋다.
즉, 협지부(40)는 직선형이어도 좋지만, 곡선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입구측에서는 협지부(40)의 경사각도가 커지도록 하여, 끈(11)의 인입을 용이하게 하고, 내측에서는 협지부(40)의 경사각도를 작게 하여 끈(11)의 인장력에 의한 구속효과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끈(11)의 구속에 관계된 평균적으로 형성되는 각도로 되는 실질적인 유효영역의 경사각도(A)는 상술한 각도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협지부(40)의 형상은 안내부분(44) 및 계지부분(45)에 의한 2단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도를 변화시킨 3단식 또는 각도가 점증하는 곡선식이어도 좋다. 또는 다단식으로 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는 필수적이지 않으며, 전체로서 간단한 V형이어도 좋다.
협지부(40)의 구성은 판형 융기부분(41)에 절결(43)을 설치하는 형식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끈용 개구(21)측이 융기되고, 또한 플러그용 개구(22)측이 낮은 계단형을 설치하고, 여기서 발생되는 플러그용 개구(22)를 향하는 계단면을 상술한 경사면(42)으로 하고, 여기에 절결(43)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한쌍의 돌기를 V형으로 설치하고, 이들이 마주보는 내측을 협지부(40)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으로서는 필요로 하는 V형을 이루고, 또한 삽입축선(13)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도(A)를 이루도록 배치하면 좋다.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끈(11)을 결속하였지만, 버클(10)로서는 하나의 끈(11)의 단부처리를 실행한 것이면 좋고, 하나의 끈(11)용의 한쌍의 협지부(40)가 있으면 좋다.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협지부(40)는 소켓(20)에 설치하고, 가압부(50)는 플러그(30)에 설치하였지만, 이들을 서로 반대로 해도 좋다.
플러그(30)와 소켓(20)과의 결합을 소정위치로 유지하는 수단으로서는 계지용 돌기(34) 및 규제용 돌기(35)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존의 각종 위치결정 구조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처럼 플러그(30)와 소켓(20)과의 2부 구성으로 하는 것도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소켓(20)의 협지부(40) 근방에, 끈(11)을 완화하여 지지하는 지지와이어 등을 설치하여 끈(11)을 안내하고, 인장력으로 구속해도 좋다.
상술한 제2실시예에서는 한쌍의 돌기부(51)를 이용한 가압부(50)에 부가하여 보조적인 가압부(51A)를 설치해도 좋다.
도16 및 도17에서, 한쌍의 돌기부(51)를 이용한 가압부(50)의 선단(31)측에는 삽입축선(13) 방향에 2개의 보조적인 가압부(51A)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가압부(50A)는 각각 선단이 첨예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선단측이 덮개부(33)측에 경사져 있다. 이러한 가압부(50A)에 의해, 플러그(30)가 소켓(20)에 결합되었을 때는 끈(11)은 가압부(50) 및 가압부(51A)의 양방에 의해 협지부(40)에 가압되어 강하게 협지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가압부(51A)는 선단이 첨예하고, 또한 덮개부(33)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끈(11)의 이탈정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소켓 및 플러그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2는 상기 제1실시예의 소켓의 종단면도.
도3은 제1실시예의 플러그의 측면도.
도4는 제1실시예의 소켓의 횡단면도.
도5는 제1실시예의 플러그의 평면도.
도6은 제1실시예의 소켓 및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7은 제1실시예의 소켓 및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8은 제1실시예의 소켓 및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9는 제1실시예의 소켓 및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소켓 및 플러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11은 제2실시예의 플러그의 측면도.
도12는 제2실시예의 소켓의 종단면도.
도13은 제2실시예의 소켓 및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생략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15는 제3실시예의 소켓 및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생략 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소켓 및 플러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소켓 및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생략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끈 20: 소켓
23: 수용부 30: 플러그
33: 덮개 40: 협지부
41: 융기부분 43: 절결
44: 안내부분

Claims (16)

  1. 끈의 단부를 소정의 삽입축선을 따라 수용가능한 본체를 갖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대략 통 형상의 소켓과 그 내측에 삽입결합되는 플러그를 가지며,
    상기 소켓은 끈의 단부가 삽입되는 끈용 개구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용 개구와, 상기 끈용 개구 및 플러그용 개구에 연결되고 끈을 소정길이에 걸쳐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소켓 또는 플러그중 어느 한쪽에는 상기 수용부내에 수용된 끈을 협지하는 한쌍의 협지부를 가지며,
    상기 소켓 또는 플러그의 다른 한쪽에는 상기 소켓에 상기 플러그를 결합시켰을 때에 상기 수용부내에 수용된 끈을 협지부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는 상호 일단측이 타단측 보다 근접한 대략 V형을 이루고 있으며, 또한 각각의 일단측이 타단측 보다 상기 끈용 개구측에 근접하고, 상기 삽입축선에 대해 경사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수용부에 삽입된 선단측에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또한 반대측에 상기 플러그용 개구를 덮는 덮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2개의 끈이 병렬로 삽입가능한 공간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는 수용부내에 수용된 2개의 끈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소켓에 상기 플러그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협지부 보다 플러그용 개구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삽입축선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소켓에 플러그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가 협지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끈의 위치를 규제하여 상기 소켓에 플러그를 결합시켰을 때 상기 협지부내에 끈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끈을 플러그를 따른 상태에서 지지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끈용 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끈을 가압하는 보조적인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는 본체의 일부로부터 연속한 융기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분은 삽입축선에 대해 상기 끈용 개구와는 반대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에는 대략 V형의 절결이 형성되며, 상기 절결의 경사면을 따른 주위 가장자리에 의해 상기 협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는 서로 이격된 측이 이루는 각도가 큰 안내부분으로 되고, 서로 근접한 측이 이루는 각도가 작은 계지부분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와 삽입축선이 이루는 경사각도는 30°이상 9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와 삽입축선이 이루는 경사각도는 45°이상 8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와 삽입축선이 이루는 경사각도는 55°이상 65°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6. 제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는 만곡되어 있고, 상기 경사각도는 끈을 실질적으로 협지하는 유효영역과 상기 삽입축선과의 평균적으로 형성되는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050007901A 2004-01-29 2005-01-28 버클 KR100604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21500 2004-01-29
JP2004021500A JP2005211302A (ja) 2004-01-29 2004-01-29 紐止め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783A true KR20050077783A (ko) 2005-08-03
KR100604062B1 KR100604062B1 (ko) 2006-07-24

Family

ID=3465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901A KR100604062B1 (ko) 2004-01-29 2005-01-28 버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166369A1 (ko)
EP (1) EP1559927A1 (ko)
JP (1) JP2005211302A (ko)
KR (1) KR100604062B1 (ko)
CN (1) CN1647711B (ko)
TW (1) TWI24365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739Y1 (ko) * 2017-11-15 2018-06-27 주식회사 케이엠 마스크의 착용끈 길이조절기구
RU199259U1 (ru) * 2020-06-03 2020-08-24 Вячеслав Федорович Белецкий Фиксатор шнурка
CN112515298A (zh) * 2019-09-19 2021-03-19 Ykk株式会社 绳止动工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6099B2 (ja) * 2005-01-28 2010-07-07 Ykk株式会社 紐止め具
JP4528687B2 (ja) 2005-07-26 2010-08-18 Ykk株式会社 紐止め具
WO2008139783A1 (ja) * 2007-05-01 2008-11-20 Maika Co., Ltd. 留め具
US20100050394A1 (en) * 2008-09-02 2010-03-04 Fried Brian A Releasable Pull Tie
WO2010081296A1 (en) * 2009-01-15 2010-07-22 Duraflex Hong Kong Limited Cord lock
CN201518804U (zh) * 2009-09-11 2010-07-07 哈拉尔德柏哲公司 一种用于纺织带两端连接的锁扣
US20120159745A1 (en) * 2010-12-23 2012-06-28 Duraflex Hong Kong Limited Cord end
CN103241387B (zh) * 2013-05-07 2016-01-06 西北工业大学 空间系绳系统楔形制动机构
CN104154427B (zh) * 2014-07-14 2018-02-23 宁波腾隆户外用品有限公司 头灯
JP6482496B2 (ja) * 2016-05-19 2019-03-13 株式会社ニフコ 紐の端末カバー
JP7083697B2 (ja) * 2018-05-15 2022-06-13 Ykk株式会社 コードストッパー
US20200248781A1 (en) * 2019-02-01 2020-08-06 Craig W. Patterson Cinching device
CN112401413B (zh) * 2019-08-20 2022-11-25 Ykk株式会社 具有线调整部的带扣
KR102107161B1 (ko) * 2020-02-19 2020-05-07 이상국 마스크의 걸이끈 연결기구
AU2020281042B1 (en) * 2020-12-02 2021-08-12 Makrite Industries Inc. Mask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7161A (en) * 1974-01-16 1975-07-29 Illinois Tool Works Rope lock device
US3965544A (en) * 1975-06-11 1976-06-29 Boden Ogden W Locking device with combined wedging and spring action
US4156574A (en) * 1978-02-06 1979-05-29 Boden Ogden W Cord lock with self locking spring feelers
US4379358A (en) * 1981-07-30 1983-04-12 Itw-Ateco Gmbh Cord adjusters
JPH0139449Y2 (ko) * 1985-12-28 1989-11-27
US4665590A (en) 1986-04-11 1987-05-19 Illinois Tool Works Inc. Cord retainer assembly
US4724504A (en) * 1986-12-22 1988-02-09 Hamilton Standard Controls, Inc. Rapid turn-on, slow drop-out control arrangement
JPH0540731Y2 (ko) * 1987-05-01 1993-10-15
US5029371A (en) * 1990-07-27 1991-07-09 Rosenblood Kenneth L Locking device for elastic laces
US5019371A (en) * 1990-11-21 1991-05-28 Mallinckrodt Medical, Inc. Novel x-ray contrast agents, compositions and methods
JP3152269B2 (ja) * 1993-04-16 2001-04-0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紐締具
JPH0739406A (ja) * 1993-07-30 1995-02-10 Ykk Kk 紐締具
JP3236718B2 (ja) * 1993-10-29 2001-12-1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紐締め具
US5987712A (en) * 1997-12-22 1999-11-23 Tucker; John C. Cord lock
US5894639A (en) 1998-03-19 1999-04-20 Robert O. Boden Cord lock apparatus
US6185798B1 (en) * 1999-07-06 2001-02-13 Huy That Anh Ton Shoelace faste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739Y1 (ko) * 2017-11-15 2018-06-27 주식회사 케이엠 마스크의 착용끈 길이조절기구
CN112515298A (zh) * 2019-09-19 2021-03-19 Ykk株式会社 绳止动工具
RU199259U1 (ru) * 2020-06-03 2020-08-24 Вячеслав Федорович Белецкий Фиксатор шнурк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26139A (en) 2005-08-16
JP2005211302A (ja) 2005-08-11
EP1559927A1 (en) 2005-08-03
US20050166369A1 (en) 2005-08-04
CN1647711A (zh) 2005-08-03
TWI243655B (en) 2005-11-21
KR100604062B1 (ko) 2006-07-24
CN1647711B (zh)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4062B1 (ko) 버클
TWI424821B (zh) Side open buckle and its locking member
US6464181B2 (en) Holder for a flat cable
US6828509B2 (en) Binding band for a wire harness diverging portion
JP3416437B2 (ja) 紐端止め具
JP4528687B2 (ja) 紐止め具
KR100286868B1 (ko) 버클
GB2421276A (en) Clamp for elongate member
US6430797B1 (en) Aid for threading a seat belt through a child safety restraint
US7618280B2 (en) Wire clamp syste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H11309004A (ja) バックル
US20060288546A1 (en) Strap latch
US20040025310A1 (en) Buckle
US6105219A (en) Buckle guard
KR100223577B1 (ko) 단부고정구
WO2011114385A1 (ja) コードエンドパーツ
CN114094511A (zh) 线束的布设结构
EP1956934B1 (en) Belt and buckle for a belt
TWI580371B (zh) buckle
US20230092063A1 (en) Modular Edge Clip
JPS643380Y2 (ko)
JPH0736171Y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ベルトクランプ
KR100482500B1 (ko) 밴드 스트랩
JP2003169703A (ja) バックル装置
JPH10106671A (ja) 抜け止め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