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720A - 어항 청소기 - Google Patents

어항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720A
KR20050077720A KR1020040066508A KR20040066508A KR20050077720A KR 20050077720 A KR20050077720 A KR 20050077720A KR 1020040066508 A KR1020040066508 A KR 1020040066508A KR 20040066508 A KR20040066508 A KR 20040066508A KR 20050077720 A KR20050077720 A KR 20050077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fish tank
tank
exc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9733B1 (ko
Inventor
유귀식
Original Assignee
유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귀식 filed Critical 유귀식
Priority to KR1020040066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733B1/ko
Publication of KR20050077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10Cleaning bottoms or walls of ponds or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항의 바닥에 쌓이는 물고기의 배설물 및 이물질을 물과 함께 배출시켜 어항을 깨끗이 청소할 수 있도록 하되 배설물 및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어항으로 회수시켜 어항의 물이 줄어들지 않고, 고기를 이동시킬 필요없이 어항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어항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어항의 물과 함께 배설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과, 배출되는 물에서 배설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수단과, 필터수단에서 배설물이 걸러진 물을 물을 어항으로 채워주는 회수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어항에서 물과 함께 배설물을 배출수단으로 배출시켜 필터수단에서 배설물을 걸러낸 후 깨끗한 물만 다시 회수수단을 통하여 어항에 채워주므로서 어항의 물을 줄이지 않으면서도 배설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수질 오염의 주원인인 배설물과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수질 오염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어항 청소기{A glass fish bowl cleaner}
본 발명은 어항의 바닥에 쌓이는 물고기의 배설물 및 이물질을 물과 함께 배출시켜 어항을 깨끗이 청소할 수 있도록 하되 배설물 및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어항으로 회수시켜 어항의 물이 줄어들지 않고, 고기를 이동시킬 필요없이 어항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어항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물고기의 모습을 관찰하고 실내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어항을 설치하고 있으나, 물고기가 배설하는 배설물과 물고기의 먹이가 가라 앉아 부패되므로, 어항을 깨끗하게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며, 그 중에서도 어항의 수질을 깨끗이 유지하는 것이 번거러운 것이었다.
어항에 살고 있는 물고기는 먹이를 먹고 배설물을 배출하게 되고, 물고기에서 배출된 배설물은 어항의 바닥에 가라 앉아 독성이 있는 아질산으로 부패가 진행되며, 이 경우 어항의 물을 갈아 주어야만 물고기의 폐사를 막을 수 있게 되나, 어항의 물을 갈아주는 작업은 상당한 번거러움과 물고기를 이동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기존에는 어항의 물을 정수기를 이용하여 정수시킨 후 다시 어항에 투입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어항의 바닥에 가라앉은 배설물과 이물질을 물과 함께 배출시켜 어항의 수질을 유지하고 있으나, 첫 번째 방식은 쉬지 않고 어항의 물을 정수시켜야 하므로 전기요금이 상승되는 한편 정수필터의 교체에 따른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식은 전기요금과 필터비용이 들지는 않으나 배설물과 함께 어항의 물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어 청소 후 어항의 물을 채워주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어항의 바닥에 가라앉은 배설물과 이물질을 물과 함께 배출시킨 후 배설물과 이물질을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시키고 물은 다시 어항에 채워주도록 하므로서 어항을 깨끗이 청소할 수 있는 한편 어항의 물은 줄어들지 않도록 하며, 어항의 물을 오염시키는 오염원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어 물고기의 서식환경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어항의 물과 함께 배설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과, 배출되는 물에서 배설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수단과, 필터수단에서 배설물이 걸러진 물을 물을 어항으로 채워주는 회수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어항에서 물과 함께 배설물을 배출수단으로 배출시켜 필터수단에서 배설물을 걸러낸 후 깨끗한 물만 다시 회수수단을 통하여 어항에 채워주므로서 어항의 물을 줄이지 않으면서도 배설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수질 오염의 주원인인 배설물과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수질 오염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중펌프(60)와 필터(40)가 구비된 몸체(30)에 흡입배관(10)과 배출배관(20)을 설치하여 흡입배관(10)으로 어항(1)의 물을 몸체(30)로 유입시키고, 몸체(30)로 유입된 물은 필터(40)를 통과하게 하여 물과 함께 배출된 배설물 및 이물질이 걸러지게 하며, 배설물이 걸러진 물은 수중펌프(60)에서 펌핑되어 배출배관(20)을 통하여 어항(1)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흡입배관(10)은 몸체(3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에 물을 흡입하는 흡입기(11)가 설치되고, 선단에는 흡입구(12)가 설치되는 것으로, 흡입기(11)를 눌러 물이 흡입배관(10)으로 유입되게 한 후 몸체(30)로 배출되게 하고, 흡입구(12)는 흡입배관(10) 보다는 직경이 넓게 하여 배설물만 물과 함께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모래는 흡입구(12)에서 약간만 떠오르되 배출은 되지 않도록 한다.
몸체(30)의 내부바닥에는 펌프(60)가 설치되며, 상기 펌프(60)의 흡입구는 바닥을 향하고 배출구는 측면을 향하여 배출배관(20)과 착탈 될 수 있도록 하며, 펌프(60)의 상부에는 임펠러에 물을 주입하는 물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물주입구에는 필터(40)에서 필터링된 물이 모아져 물주입구로 유도되게 하는 물 유도구(61)가 설치된다.
상기 몸체(30)의 덮개(31)에는 필터(40)가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필터(40)의 하부로 배출된 물이 물유도구(61)를 채우게 하며, 흡입배관(10)으로 흡입된 물과 배설물은 분사구(15)에서 넓게 퍼져 필터(40)로 유입되게 한다.
필터(40)는 덮개(31)의 하부에 결합되는 외통(41)과, 상기 외통(41)의 내측 하부에 끼워지는 필터체(50)와, 상기 필터체(50)를 하측으로 눌러주는 내통(45)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통(41)과 내통(45)은 결합돌기(46)를 이용하여 결합 될 수 있도로 하고, 상기 외통(41)의 하부에는 구멍(42)을 뚫어 필터체(50)를 통과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외통(41)의 상측에는 통기공(43)을 형성시켜 물이 필터(40)의 내측으로 유입될 때 공기를 배출시켜 원활히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수중펌프(60)의 출구쪽에 수위 감지센서(74)를 설치하여 수위감지센서(74)에서 수위가 감지될 경우 펌프(60)를 구동시켜 몸체(30)에 채워진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몸체(30)의 전면에는 발판(35)과 상기 발판(35)에 의해 접접이 붙는 스위치(73)를 설치하여 스위치(73)의 접속시에는 펌프(60) 구동되어 수위감지센서(74)로 감지하지 못하는 소량의 물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배출배관(20)에는 체크 밸브(21)를 설치하여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역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며, 배출배관(20)의 선단은 걸어 줄 수 있도록 하여 어항(1)의 일측에 걸려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작동을 위한 회로도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코드를 연결하며 파워스위치(71)를 작동시키면 파일롯 램프(72)가 점등되게 하고, 스위치(73)와 수위감지센서(74)를 병렬로 연결하여 스위치(73) 또는 수위감지센서(74)가 작동되었을 경우 릴레이(76)가 작동되게 하며, 릴레이(76)의 작동시 릴레이 스위치(77)가 작동하여 파일롯 램프(78)와 병렬 연결된 펌프(60)가 작동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릴레이(76)를 사용하지 않고 스위치(73) 또는 수위감지센서(74)를 통하여 펌프(60)에 전원이 인가되게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어항(1)의 바닥에 쌓인 배설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물은 다시 어항(1)으로 회수되게 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파워스위치(71)를 온 시켜 펌프(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배출배관(20)의 선단을 어항(1)의 일측에 걸어놓은 후 흡입배관(10)의 흡입구(12)를 물속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흡입기(11)를 압착시켰다가 놓고 다시 압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 어항(1)의 물이 흡입기(11)로 흡입되어 필터(40)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흡입기(11)의 양측에는 각각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흡입기(11)가 눌릴 경우는 흡입기(11)에 채워진 물이 몸체(30) 쪽으로 배출되게 하고, 놓았을 경우는 흡입구(12) 쪽에서 물이 흡입되어 흡입기(11)에 채워지도록 한다.
흡입기(11)에서 흡입된 물이 필터(40)로 유입되면 필터(40)의 필터체(50)에서 배설물이나 이물질이 걸러진 물이 외통(41)의 구멍(42)을 통하여 물유도구(61)로 모아져 펌프(60)의 물주입구로 유입되게 된다.
외통(41)의 상부 측면으로 뚫린 통기공(43)은 흡입기(11)로 최초 물을 흡입할 때 공기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흡입배관(10)을 통하여 일단 물이 유입되게 되면 흡입기(11)를 누르지 않더라도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어항(1)의 물은 연속적으로 필터(40)로 유입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흡입구(12)를 어항(1)속에서 이동시켜 배설물이나 이물질을 흡입구(12)에서 물과 함께 흡입될 수 있도록 하며, 모래는 흡입구(12)의 하부에서 떠 오르게 되나 비중이 무거워 흡입배관(10) 까지는 떠오르지 못하여 모래는 거의 배출되지 않고 비중이 가벼운 배설물이나 이물질만 물과함께 흡입배관(10)에서 배출되게 된다.
흡입배관(10)으로 배출된 물은 분사구(15)에서 널리 퍼진 후 필터(40)의 필터체(50)에 떨어지게 되고, 솜 등의 필터체(50)에서 배설물이 걸러지고 물만 외통(41) 하측의 구멍(42)을 통하여 배출되게 되며, 상기 필터체(50)는 교환이 가능하고 내통(45)을 이용하여 외통(41)의 하부에 안착된 상태로 놓이게 된다.
필터(40)에서 배설물과 이물질이 걸러진 물은 물유도구(61)에서 펌프(60)의 임펠라에 물을 채우게 되고 그 이상의 물은 몸체(30)의 내측에 쌓이게 되며, 필터(40)에서 걸러진 물이 펌프(60)의 임펠라 부위를 채우게 하는 이유는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펌프(60)가 작동하면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필터(40)에서 걸러진 물이 몸체(30)에 채워져 수위감지센서(74)에 의해 감지되게 되면 펌프(60)가 작동하여 몸체(30)에 채워진 물을 배출배관(20)을 통하여 어항(1)으로 회수시키게 되며, 수위감지센서(74)에서 수위가 감지되지 않게 되면 펌프(60)의 작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즉 몸체(30)에 물이 어느정도 채워지면 펌프(60)를 작동시켜 물을 어항(1)으로 퍼 올리게 되고, 수위가 낮아지면 펌프(60)의 작동을 중단시키게 되는 것으로, 몸체(30)에는 항시 소량의 물이 남아있게 된다.
상기 배출배관(20)에는 체크밸브(21)가 설치되어 있어 배출이 이루어지다가 중단되더라도 배출배관(20)에 남아 있는 물이 몸체(30)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펌프(60)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어항(1) 속의 배설물에 대한 청소가 완료되면 흡입배관(10)을 어항(1)에서 꺼낸 후 발판(35)을 밟아 스위치(73)로 펌프(60)를 작동시켜 몸체(30)내에 남아 있던 소량의 물까지 어항(1)으로 회수시키면 어항의 청소가 완료되게 된다.
어항의 청소로 인하여 필터(40)의 필터체(50)가 더러워지게 되면 덮개(31)를 열고 필터(40)를 나사 방식으로 분리시켜 내통(45)을 꺼낸 후 필터체(50)를 제거하고 새로운 필터체(50)를 채운 후 내통(45)을 끼워 결합돌기(46)로 고정시켜 주면 된다.
청소가 끝나면 전원코드를 분리시키고 배출배관(20)을 어항(1)에서 꺼낸 후 다음을 위하여 보관하면 된다.
본 발명은 어항의 청소를 할 때 물과 함께 배설물 및 이물질을 배출시켜 수질 오염의 원인을 제거시킨 후 깨끗한 물은 다시 어항으로 회수시켜 어항의 물이 줄어들지 않으면서도 청소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물고기를 어항에서 꺼내지 않고 청소가 가능하여 물고기의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또한 물을 거의 버리지 않고 이용하므로 물을 보충해 주어야 하는 불편도 사라지게 된다.
또한 오염의 원인이 되는 배설물과 이물질을 제거시켜 근본적인 수질 오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몸체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필터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청소 상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흡입구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항 10 : 흡입배관 11 : 흡입기
12 : 흡입구 20 : 배출배관 30 : 몸체
31 : 덮개 40 : 필터 41 : 외통
45 : 내통 50 : 필터체 60 : 펌프

Claims (2)

  1. 몸체(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선단에 흡입구(12)가 설치되는 한편 중간에 흡입기(11)가 설치되는 흡입배관(10)과, 상기 흡입배관(10)으로 유입된 물에서 배설물을 제거하고 몸체(30)의 덮개(31) 하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필터(40)와, 상기 필터(40)를 통과한 물을 펌핑하고 몸체(3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펌프(60)와, 상기 펌프(60)의 배출구에 결합되고 선단이 어항(1)에 걸쳐지며 중간에 체크밸브(21)가 설치되는 배출배관(20)을 구비하고, 몸체(30)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74) 및 발판(35)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73)로 펌프(60)를 구동시키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필터(40)는 덮개(31)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외통(41)의 외측 상부에 통기공(43)을 형성시키는 한편 하측으로 구멍(42)을 형성시키고, 상기 외통(41)의 내측 바닥에는 필터체(50)를 채우며, 상기 필터체(50)는 내통(45)으로 밀어 걸림돌기(46)로 고정시키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청소기.
KR1020040066508A 2004-08-23 2004-08-23 어항 청소기 KR100559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508A KR100559733B1 (ko) 2004-08-23 2004-08-23 어항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508A KR100559733B1 (ko) 2004-08-23 2004-08-23 어항 청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02139U Division KR200347619Y1 (ko) 2004-01-29 2004-01-29 어항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720A true KR20050077720A (ko) 2005-08-03
KR100559733B1 KR100559733B1 (ko) 2006-03-15

Family

ID=3726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508A KR100559733B1 (ko) 2004-08-23 2004-08-23 어항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7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668B1 (ko) * 2007-11-29 2008-02-29 유귀식 어항 청소기
KR20200089195A (ko) * 2019-01-16 2020-07-24 주식회사 드림이노텍 스마트 수족관 시스템
CN114258891A (zh) * 2021-12-24 2022-04-01 曲广成 一种水泵
KR102394649B1 (ko) * 2021-09-09 2022-05-04 울산시설공단 수영장용 수동 클리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727B1 (ko) * 2022-02-24 2022-08-16 현진욱 액비와 미생물을 이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KR102436481B1 (ko) * 2022-03-29 2022-08-29 강원도 대서양 연어(Salmo salar) 폐사 개체 선별장치
KR102436478B1 (ko) * 2022-03-29 2022-08-26 강원도 대서양 연어(Salmo salar) 수정란 및 부화어 관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668B1 (ko) * 2007-11-29 2008-02-29 유귀식 어항 청소기
KR20200089195A (ko) * 2019-01-16 2020-07-24 주식회사 드림이노텍 스마트 수족관 시스템
KR102394649B1 (ko) * 2021-09-09 2022-05-04 울산시설공단 수영장용 수동 클리너
CN114258891A (zh) * 2021-12-24 2022-04-01 曲广成 一种水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9733B1 (ko)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23513A1 (fr) Dispositif de trop-plein pour un réservoir d'eau
KR100983352B1 (ko) 휴대용 어항 청소기
US20090173284A1 (en) Fish tank cleaner
KR101416489B1 (ko)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KR101068556B1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KR100559733B1 (ko) 어항 청소기
WO2008074252A1 (fr) Vivier
KR101033272B1 (ko) 크리너
KR100808668B1 (ko) 어항 청소기
KR200347619Y1 (ko) 어항 청소기
KR101045817B1 (ko) 어항
CN113207730A (zh) 一种自清洁和自动换水的宠物饮水机
KR200370594Y1 (ko) 어항 청소기
KR101271141B1 (ko) 휴대용 어항 청소기
KR101673528B1 (ko) 건조 및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그리스트랩
JP2009159922A (ja) 金魚鉢清掃機
KR101162249B1 (ko) 활어 수족관 바닥 찌꺼기 청소기
KR20120111668A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20130081521A (ko) 활어수족관 정수장치
KR200344519Y1 (ko) 수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061439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KR101169392B1 (ko) 펌프가 내장되는 수족관용 여과기
KR200411862Y1 (ko) 수중 침전물 제거장치
KR20110090031A (ko)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CN214961852U (zh) 一种自清洁和自动换水的宠物饮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