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031A -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031A
KR20110090031A KR1020100009590A KR20100009590A KR20110090031A KR 20110090031 A KR20110090031 A KR 20110090031A KR 1020100009590 A KR1020100009590 A KR 1020100009590A KR 20100009590 A KR20100009590 A KR 20100009590A KR 20110090031 A KR20110090031 A KR 20110090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let
main body
live fish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준
Original Assignee
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준 filed Critical 성준
Priority to KR102010000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0031A/ko
Publication of KR20110090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Abstract

본 발명은 활어수족관의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 정화하는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로서, 양단으로 관로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측으로 형성된 유입구와 후측으로 형성된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중간부에 설치되고 물속에 포함된 찌꺼기를 걸러내는 거름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거름부의 전측으로 형성되는 찌꺼기수집챔버로서, 상기 찌꺼기수집챔버의 내부에서 본체 외부로 연장되는 찌꺼기 배출관과, 상기 찌꺼기 배출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찌꺼기 배출밸브를 구비한 찌꺼기수집챔버를 포함하는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WATER PURIFYING DEVICE OF AN AQUARIUM}
본 발명은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활어수족관의 수조 내의 수중에 포함된 활어의 분비물과 배설물 등의 찌꺼기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물을 정화할 수 있는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활어수족관의 수조 내부에 활어의 분비물과 배설물 등의 찌꺼기가 쌓이면 수질이 악화되고 이에 따라 활어의 건강 상태 및 상품성이 저하되므로 적시에 청소를 해주어야 한다.
공지의 활어수족관은 수질의 정화를 위해 수조 하부에 여과조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지의 여과조 구조를 살펴보면, 여과조 내부에 솜 및 모래가 들어 있으며 수조의 물이 하부의 여과조를 통과하면서 물이 정화된다. 이 과정에서 물속에 포함된 찌꺼기는 여과조 내부의 솜 및 모래의 틈에 쌓이게 되는 데, 모래 및 솜 사이에 쌓인 찌꺼기는 여과조의 여과 효율을 저하시키며, 축적된 찌꺼기의 양이 증가하면 여과조에 쌓인 찌꺼기에 의해 오히려 수질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여과조 내부에 쌓인 찌꺼기를 정기적으로 청소해야 하는 데, 여과조 청소를 위해서는 수조의 물을 전부 빼내고 솜과 모래를 꺼내어 세척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 및 작업 부담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여과조 청소를 위해 수조의 물을 빼내는 경우 수조의 물 교체에 따른 관리 비용이 증가하며 오수 배출에 따른 환경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조 내부가 아닌 수조 외부에 여과조를 배치한 측면 여과식 활어수족관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도 여과조 청소를 솜과 모래를 꺼내어서 세척하므로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편 활어수족관의 수조의 찌꺼기는 수면 거품 등으로 부유하거나, 수조 바닥면으로 가라앉아 쌓인 형태로 존재한다. 특히 부유 상태의 찌꺼기는 수조 내부에서 부유 이동하면서 물과 함께 활어 내로 흡입되면서 활어의 건강상태 및 활어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수족관의 부유 찌꺼기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 제10-0788947호는 활어수족관의 수면거품 수거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수조의 수면거품 수거시에는 공기가 함께 흡입되는 데, 흡입된 공기는 펌프 내로 유입되어 물의 순환을 방해하는 한편, 펌프 공회전에 따른 기능 저하 및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활어수족관의 수조의 수면에 떠다니는 거품, 부유물 형태의 찌꺼기 및/또는 수조의 바닥면에 쌓인 찌꺼기가 유입되어 걸러짐으로써 수조의 물을 정화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된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물과 분리하여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펌프로의 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에서 포집된 찌꺼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내부 청소가 용이한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활어수족관의 수조의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물 형태의 찌꺼기와 수조의 바닥면에 쌓인 찌꺼기를 동시에 수거하여 물을 정화할 수 있는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활어수족관의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 정화하는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로서, 양단으로 관로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측으로 형성된 유입구와 후측으로 형성된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중간부에 설치되고 물속에 포함된 찌꺼기를 걸러내는 거름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거름부의 전측으로 형성되는 찌꺼기수집챔버로서, 상기 찌꺼기수집챔버의 내부에서 본체 외부로 연장되는 찌꺼기 배출관과, 상기 찌꺼기 배출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찌꺼기 배출밸브를 구비한 찌꺼기수집챔버를 포함하는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거름부의 후측으로 형성되는 에어분리배출챔버로서,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기가 모이도록 형성된 공간인 에어포집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포집공간부에 연결된 에어배출관과 상기 에어배출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에어배출밸브를 포함하는 에어분리배출챔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거름부는, 외곽을 둘러싸는 테두리 내측으로 다수의 천공이 형성된 체를 구비하며, 상기 테두리의 상단 및 하단에 양단이 결합된 돌출부재를 구비한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의 전측으로 상기 돌출부재에 의하여 상기 거름망과 갭을 가지면서 설치되는 스폰지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거름부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스폰지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폰지필터 사이 공간에는 여과물질이 삽입되어 여과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구는 수조 바닥면에 구멍을 갖는 유입관로에 연결되며, 상기 수조 내부에 위치한 유입관로의 구멍에는 유입관이 삽입되며, 상기 유입관은 하부 외주면을 둘러싸고 방사상으로 연장된 환형의 유입유도판과, 상기 유입유도판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입유도판와 수조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받침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유입유도판의 아래의 상기 유입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입유도판과 수조 바닥면 사이에 유입된 물과 찌꺼기가 유입되는 경로가 되는 유입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찌꺼기수집챔버의 상부로 탈착가능한 덮개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활어수족관의 수조의 수면에 떠다니는 거품, 부유물 형태의 찌꺼기 및/또는 수조의 바닥면에 쌓인 찌꺼기가 유입되어 걸러짐으로써 수조의 물을 간단한 구조로 형성된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로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물과 분리하여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펌프로의 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에서 포집된 찌꺼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내부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활어수족관의 수조의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물 형태의 찌꺼기와 수조의 바닥면에 쌓인 찌꺼기를 동시에 수거하여 물을 정화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본체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본체 외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거름망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다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찌꺼기 유입관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본체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본체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본체의 다른 예에 따른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는 양단으로 유입구(11) 및 배출구(12)를 구비한 본체(10) 내부에 거름부(20)를 구비하며, 거름부(20)의 양측으로 찌꺼기수집챔버(30) 및 에어분리배출챔버(4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전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마련되고, 후측으로 배출구(12)가 구비되어, 펌프압에 의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내부를 경유하여 배출구(12)를 통해 배출하는 통이다. 유입구(11) 및 배출구(12)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측 및 후측의 단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 및 후측의 측면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0)의 내부 중간부에는 거름부(20)가 마련되며, 거름부(20)는 거름망(21)과 스폰지필터(28)를 포함한다.
거름망(21)을 도시하고 있는 도 4 을 참조하면, 거름망(21)은 사각 형상으로 외곽을 둘러싸고 형성된 테두리(22) 내측으로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체(23)가 구비되며 거름망(21)의 테두리(22) 양측면으로 걸림턱(24)이 돌출 형성된다. 본체(10) 내부의 중앙부 양 측면에는 걸림턱(13)이 돌출되어(도 2 참조) 상기 거름망(21)에 형성된 걸림턱(24)과 맞대어져 거름망(21)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거름망(21)은 유입구(11)로 유입된 물이 배출구(12)를 향하여 유동하는 경로에 수직하게 세워져 있으므로 유입구(11)로 유입된 물속에 포함된 찌꺼기가 걸러져 찌꺼기가 찌꺼기수집챔버(30)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거름망(21)의 전측 표면에는 유입구(11)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재(25)가 구비된다. 돌출부재(25)는 테두리(22)의 상단 및 하단에 양단이 결합되어 거름망(21)의 전면을 횡단하여 설치된 부재로서, 거름망(21)의 전면에 설치되는 스폰지필터(28)가 거름망(21) 사이에 소정의 갭(gap)이 형성되도록 하여 스폰지필터(28)가 거름망(21)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재(25)에 의해 스폰지필터(28)와 거름망(21) 사이에는 갭으로 표현되는 사이 공간이 형성되며, 사이 공간은 스폰지필터(28)를 통과한 물이 사이 공간에 유입된 후 확산되어 거름망(21)으로 유동하게 하므로 스폰지필터(28)와 거름망(21) 밀착시 발생할 수 있는 물의 유동성 저하를 방지하고, 물의 유동이 보다 원활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름망(21)의 전측으로 설치되는 스폰지필터(28)를 포함한다. 스폰지필터(28)는 물이 스폰지필터(28)를 통과하면서 찌꺼기가 걸러져 이동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스폰지필터(28) 전측으로 위치한 찌꺼기수집챔버(30)에 찌꺼기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스폰지필터(28)는 거름망(21)에 앞서 물에 포함된 찌꺼기를 차단 걸러 냄으로써, 거름망(21)의 체(23)가 찌꺼기로 막혀 물의 유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본체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데, 스폰지필터(28)는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스폰지(28) 필터 사이 공간에 바이오볼 등과 같이 물을 여과할 수 있는 물질이 삽입되어 여과층(29)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 내부에는 스폰지필터(28)가 해당 위치에서 직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가로 또는 세로로 연장되어 본체 내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횡단하는 지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름부(20)의 전측 공간은 찌꺼기수집챔버(30)를 이루며, 찌꺼기수집챔버(30)에는 찌꺼기 배출관(31)이 구비된다. 찌꺼기 배출관(31)은 하단면(32)이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격 설치되어, 찌꺼기수집챔버(30)의 바닥면에 쌓인 찌꺼기가 찌꺼기 배출관(31)으로 원활하게 유입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찌꺼기 배출관(31)은 ‘ㄱ’자 형태로 굴곡되어 본체(10) 외부로 연장되며, 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찌꺼기 배출밸브(33)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름부(20)의 후측 공간은 에어분리배출챔버(40)를 이룬다. 에어분리배출챔버(40)에는 상부로 돌출된 에어포집공간부(41)가 형성되며, 에어포집공간부(41)에는 에어배출밸브(43)를 구비한 에어배출관(42)이 구비된다. 에어배출밸브(43)의 개폐 제어에 따라 에어포집공간부(41)부에 모인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에어포집공간부(41)는 본체(10)의 상부면 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본체(10)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에어포집공간부(41)에 용이하게 포집된다. 에어포집공간부(41) 부분은 에어포집량이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에어분리배출챔버(40)에서 물속에 포함된 공기가 상승하여 분리되어, 배출구(12)를 통해 공기가 제거된 상태의 물이 유입되어 펌프로 이동하므로 펌프에 공기가 유입되어 펌프가 작동정지 또는 고장, 기능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본체(10)의 유입구(11) 및 배출구(12)는 각각 유니온소켓(50)으로 유입관로(52) 및 배출관로(54)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며, 유입구(11) 및 배출구(12)에 연통된 유입관로(52) 및 배출관로(54)에는 물의 유동을 개폐제어할 수 있는 밸브(55)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양측 밸브(55)를 닫아서 물의 유동을 막은 상태에서 정화장치의 본체(10)를 관로 상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10)를 분리한 상태에서 본체(10)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본체(10)의 상부면(14)에는 찌꺼기수집챔버(30)의 상부로 탈착가능한 덮개(15)가 설치된다. 덮개(15)는 스크류 타입으로 본체(10)에 체결되며 고무패킹 등을 구비하여 덮개(15)가 닫힌 상태에서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
덮개(15)는 본체(10) 내부의 청소를 위해 사용되는 데, 스폰지필터(28) 및/또는 거름망(21)을 본체(10) 외부로 꺼내거나 청소후 다시 설치하는 통로가 되며, 본체(10) 내부의 찌꺼기를 씻어내는 청소 통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본체(10)는 관로 상에서 분리 가능하므로 분리된 상태에서 덮개(15)를 개방하여 내부에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의 측면 일부에는 본체(10) 내부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창(19)이 형성된다. 투명창(19)을 통해 사용자는 찌꺼기수집챔버(30)의 물의 오염 상태 및 바닥면에 쌓인 찌꺼기 양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본체(10) 내부의 찌꺼기를 찌꺼기 배출관(3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거나, 본체(10)를 분리하는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는 수조(1) 내부에 설치되어 수조의 찌꺼기가 유입되는 유입관(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관(60)은 수조(1)의 수면에 부유하는 찌꺼기 즉, 부유물을 흡입한다. 수조(1)에서 부유물은 수면 거품 형태로 부유한다.
유입관(60)의 상부에는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면서 수면 거품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유동관(70)이 포함될 수 있다.
유동관(7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유동관(70)의 외주면에는 부력조절부재(72)가 설치된다. 부력조절부재(72)는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거나 3개 이상이 배치되어 유동관(70)의 상단면이 균형을 이룬 상태로 수면보다 낮거나 동일한 위치로 떠 있을 수 있도록 한다. 부력조절부재(72)는 유동관(70)의 부유 높이를 조절하는 데, 부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부력조절부재(72)는 내부가 빈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되어 공기 및 물의 유입 배출이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단 개구는 마개(74)로 폐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부력조절부재(72) 내부에 물과 공기의 비율에 따라 부력조절부재(72)의 부력이 조절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부력조절부재(72)를 유동관(70)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되어 유동관(70)의 상단면에 대한 부력조절부재(7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유동관(70)의 부유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력조절부재(72)에 의해 활어수족관 수조의 해수의 염도 등에 맞추어 유동관(70)을 수면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유입관(60)에 유동관(70)이 설치된 형태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유입관(60)에는 다른 기구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다른 기구가 설치됨이 없이 유입관(60) 자체에 의하여 물 및 물속에 포함된 찌꺼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유입관(60)은 활어수족관 수조의 물에 부유하는 찌꺼기, 기포를 물과 함께 유입한다.
도 1 및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입관(60)은 수조(1)의 바닥면(2)에 형성된 유입관로(52)의 구멍에 삽입되며, 하단 근처에는 유입관(60)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환형의 유입유도판(62)을 구비한다. 유입유도판(62)의 하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하면으로 돌출된 받침부재(64)를 구비한다. 받침부재(64)에 의하여 유입유도판(62)과 수조 바닥면(2) 사이에는 찌꺼기 흡입 통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유입관(60)의 외주면에는 상기 찌꺼기 흡입 통로로 흡입된 물 및 찌꺼가 흡입되는 다수의 유입공(65)이 형성된다.
찌꺼기 흡입 통로는 수조 바닥면(2)에 쌓인 찌꺼기가 물과 함께 유입공(65)으로 유입되는 경로로 물과 함께 찌꺼기가 받침부재(64)에 의해 안내되면서 유입공(65)을 향해 흡입된다.
유입유도판(62)의 유입공(65)을 통해 발생하는 흡입압이 수조 바닥면(2)에 향해 작용되도록 한다. 유입유도판(62)에 의하여 수조 바닥면(2)에 쌓인 찌꺼기를 향해 흡입압이 작용하여, 유입공(65)을 통해 찌꺼기가 흡입된다.
공지의 활어수족관에서 수조 바닥면에 설치된 솜 및 모래의 여과층은 활어수족관의 사용 기간이 늘어날수록 오히려 오염원의 저장 창고화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를 통하여 수조 바닥면의 찌꺼기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청소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구조의 유입관(60)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는 수조에 부유하는 찌꺼기뿐만 아니라 바닥면에 쌓인 찌꺼기를 동시에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활어수족관의 물의 정화 구조의 단순화 및 효율화를 이룰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관(60)은 유입관로(52) 구멍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설치가 용이하며 수조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입관로는 굴곡 연장되어 유니온소켓(50)을 매개로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본체(10)의 유입구(11)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관로(11)에는 밸브(55)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본체(10)는 수조(1)의 물을 흡입하는 펌프의 상류측에 수조(1)와 펌프(미도시) 사이에 배치되어 펌프로 찌꺼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펌프의 수명 연장 및 고장을 방지하는 기능을 함께 한다. 펌프압에 의하여 물은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본체(10)의 유입구(11)로 유입되어 거름부(2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배출구(12)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는 별도의 여과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펌프압에 의하여 수조(1) 내부에 유입관(60)을 통해 물과 함께 찌꺼기가 유입되는 데, 유입관(60)의 상부를 통하여 수조(1) 내에 부유하는 찌꺼기 또는 수면 거품이 유입되며 유입공(65)을 통하여 펌프압에 의한 흡입압이 유입유동판(62)과 수조 바닥면(2)의 사이로 형성되는 찌꺼기 흡입 통로에 작용하여 바닥면의 찌꺼기가 유입공(65)을 통해 흡입된다.
유입관(60)을 통해 흡입된 찌꺼기를 포함한 물은 유입관로(52)를 거쳐 본체(10)의 유입구(11)로 흡입된다.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본체(10) 내부에 형성된 거름부(20)에 의하여 물속에 포함된 찌꺼기는 거름부(20) 전측의 찌꺼기수집챔버(30)에 수집되며, 찌꺼기가 제거된 물이 거름부(20)를 통과하여 에어분리배출챔버(40)로 이동한다. 에어분리배출챔버(40)에서는 에어배출관(42)이 연결되어 에어배출밸브(43)의 개방에 따라 본체 상부로 이동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에어분리배출챔버(40)는 본체(10) 상부로 돌출된 에어포집공간부(41)가 구비되므로 물 속의 공기는 에어포집공간부(41)에 보다 용이하게 포집되며, 일정 정도의 에어가 모여지면 사용자는 에어배출밸브(43)를 열어 에어포집공간부(41)의 상부로 연결된 에어배출관(42)을 통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의 본체(10)는 수조(1)의 수두 아래로 위치함으로 에어배출밸브(43)를 개방하는 경우 수두압에 의하여 에어는 에어배출관(42)을 통해 배출되며, 에어 배출이 완료되며 사용자는 에어배출밸브(43)를 닫는다. 이때 배출관로(54)의 밸브(55)는 닫힌 상태로 설정되는 것이 공기 배출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찌꺼기수집챔버(30)에 모인 찌꺼기의 배출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찌꺼기 배출관(31)에 설치된 찌꺼기 배출밸브(33)를 개방하는 데, 이때 역시 수조(1)의 내부의 물의 수두압에 의하여 물은 찌꺼기 배출관(31)을 통해 찌꺼기수집챔버(30)의 물이 찌꺼기와 함께 유입되면서 외부로 배출되어 찌꺼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찌꺼기 배출관(31)의 하단이 바닥면(32)에 근접하여 배출되므로 바닥면(32)에 덩어리 형태로 쌓인 찌꺼기에 흡입압이 강하게 작용하여 바닥면(32)에 쌓인 찌꺼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배출 관로(54)의 밸브(55)는 닫혀 수두압이 물이 찌꺼기 배출관로(31)에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찌꺼기수집챔버(30)의 찌꺼기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찌꺼기수집챔버(30) 내부에 잔존하는 찌꺼기를 배출할 필요성이 있거나, 거름부(20)의 스폰지필터(28)의 세척 필요성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유입구(11) 및 배출구(12)에 연결된 유니온소켓(50)을 열어 본체(10)를 분리하고 덮개(15)를 개방하여 물호스 등을 이용하여 내부를 세척하며 스폰지필터(28)를 덮개(15)를 통해 꺼내어 세척한 후 다시 장착할 수 있다.
1: 수조 10: 본체
11: 유입구 12: 배출구
20: 거름부 21: 거름망
28: 스폰지필터 30: 찌꺼기수집챔버
31: 찌꺼기 배출관 33: 찌꺼기 배출밸브
40: 에어분리배출챔버 41: 에어포집공간부
42: 에어배출관 43: 에어배출밸브
50: 유니온소켓 52: 유입관로
54: 배출관로 60: 유입관
62: 유입유도판 64: 받침부재
65: 유입공

Claims (6)

  1. 활어수족관의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 정화하는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로서,
    전측으로 탈착가능하게 관로와 연결되는 유입구(11)가 구비되고 후측으로 탈착가능하게 관로와 연결되는 배출구(12)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배출구(12)로 배출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 중간부에 설치되고 물속에 포함된 찌꺼기를 걸러내는 거름부(20);
    상기 본체(10) 내부에 상기 거름부(20)의 전측으로 형성되는 찌꺼기수집챔버(30)로서, 상기 찌꺼기수집챔버(30)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10) 외부로 연장되는 찌꺼기 배출관(31)과, 상기 찌꺼기 배출관(31)의 개폐를 제어하는 찌꺼기 배출밸브(33)를 구비한 찌꺼기수집챔버(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상기 거름부(20)의 후측으로 형성되는 에어분리배출챔버(40)로서,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기가 모이도록 형성된 공간인 에어포집공간부(41)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포집공간부(41)에 연결된 에어배출관(42)과 상기 에어배출관(42)의 개폐를 제어하는 에어배출밸브(43)를 포함하는 에어분리배출챔버(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20)는, 외곽을 둘러싸고 테두리(22) 내측으로 다수의 천공이 형성된 체(23)를 구비하며, 상기 테두리(22)의 상단 및 하단에 양단이 결합된 돌출부재(25)를 구비한 거름망(21)과,
    상기 거름망(21)의 전측으로 상기 돌출부재(25)에 의하여 상기 거름망(21)과 갭을 가지면서 설치되는 스폰지필터(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20)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스폰지필터(28)를 구비하고, 상기 스폰지필터(28) 사이 공간에는 여과물질이 삽입되어 여과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기 유입구(11)는 수조 바닥면에 구멍을 갖는 유입관로(52)에 연결되며,
    상기 수조 내부에 위치한 유입관로(52)의 구멍에는 유입관(60)이 삽입되며,
    상기 유입관(60)은 하부 외주면을 둘러싸고 방사상으로 연장된 환형의 유입유도판(62)과, 상기 유입유도판(62)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입유도판(62)와 수조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받침부재(64)를 구비하며,
    상기 유입유도판(62)의 아래의 상기 유입관(60)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입유도판(60)과 수조 바닥면 사이에 유입된 물과 찌꺼기가 유입되는 경로가 되는 유입공(6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면(14)에는 상기 찌꺼기수집챔버(30)의 상부로 탈착가능한 덮개(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KR1020100009590A 2010-02-02 2010-02-02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KR20110090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590A KR20110090031A (ko) 2010-02-02 2010-02-02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590A KR20110090031A (ko) 2010-02-02 2010-02-02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031A true KR20110090031A (ko) 2011-08-10

Family

ID=4492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590A KR20110090031A (ko) 2010-02-02 2010-02-02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00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611A (ko) * 2019-02-27 2020-09-04 성인석 다단계 해수여과 및 살균 정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611A (ko) * 2019-02-27 2020-09-04 성인석 다단계 해수여과 및 살균 정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0249B2 (ja) 閉鎖循環養殖装置
KR101068556B1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KR101473631B1 (ko) 여과식 비점오염 정화 장치
CN216170414U (zh) 一种水质净化过滤装置
KR101033272B1 (ko) 크리너
KR20100047777A (ko) 활어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CN204343438U (zh) 一种多功能污水处理井
JPS63107714A (ja) 液槽内の浄化装置
KR20110090031A (ko)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KR100766491B1 (ko) 워터필터 공기정화기
KR20130081521A (ko) 활어수족관 정수장치
KR100559733B1 (ko) 어항 청소기
KR100808668B1 (ko) 어항 청소기
CN209835718U (zh) 一种用于农村厨房污水治理的简易隔油池
JP3154295U (ja) 浮上油回収装置
CN210168775U (zh) 一种鱼缸水处理装置
CN209809647U (zh) 一种电镀污水处理装置
KR102237734B1 (ko) 다단계 해수여과 및 살균 정수장치
CN2447404Y (zh) 一种水池自动净化装置
JP2009159922A (ja) 金魚鉢清掃機
CN206103469U (zh) 一种反冲洗过滤器
CN215777821U (zh) 洗地机的污水箱结构以及洗地机
CN109970150A (zh) 污水净化处理装置
KR200370594Y1 (ko) 어항 청소기
CN216317434U (zh) 一种带有滤网的污水筒盖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