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263A - 승용형 모종이식기 - Google Patents

승용형 모종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263A
KR20050077263A KR1020050004853A KR20050004853A KR20050077263A KR 20050077263 A KR20050077263 A KR 20050077263A KR 1020050004853 A KR1020050004853 A KR 1020050004853A KR 20050004853 A KR20050004853 A KR 20050004853A KR 20050077263 A KR20050077263 A KR 20050077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turning
work
seedling transplan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1030B1 (ko
Inventor
나가이히로시
가토우사토시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42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at an angle other than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probe car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관한 것으로서, 직진시와는 구별하여 선회성이 우수하고, 두렁사이 등의 선회시에 밭면을 자동적으로 정지(整地)할 수 있는 승용형 모종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12)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차륜 6, 7과 핸들(16)의 조향조작에서 차륜 7에의 전동을 각별히 온 오프(ON OFF)하는 좌우 사이드클러치 I와 선회시의 정지작업 및 직진시에 모종이식작업을 하는 승강이 자유로운 모종이식장치(3)와, 모종이식장치(3)의 승강위치와 선회시의 핸들한정각과 선회 안쪽의 차륜 7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밭정지용의 작업과 모종이식작업을 각각 자동적으로 행하게 하고, 정지작업 및 직진시에 모종이식작업을 할 경우의 모종이식장치(3)의 승강위치 제어감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변경설정할 수 있는 다이얼 184, 185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직진조작의 모종이식작업과 선회조작시의 정지작업의 전환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감도가 전환되고, 모종이식작업 및 정지작업을 함께 양호하게 할 수 있고, 작업의 적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용형 모종이식기{Riding Type Rice Transplant Machine}
본 발명은,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류의 종래기술로서는, 일본특개2002-335722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지(枕地) 등의 모이식 행정의 종단부에서 되돌려 선회할 때 모종이식장치의 전체가 아니라, 그 후부(後部)만을 상승시켜서 정지 플로우트의 앞 부분만을 접지시켜서 정지(整地)하면서 신속하게 선회하는 선회성이 우수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특개2002-335722호 공보에 개시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서는, 기체(機體)의 조향조작과는 다른 별도의 조작을 하여 모종이식장치를 앞경사자세에 피칭시키고, 정지 플로우트의 앞 부분만이 접지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모종이식장치의 피칭의 작동에 시간이 걸리고, 그 만큼 신속하게 플로우트의 접지상태의 전환을 행할 수 없고, 또한 기체선회시에 기체의 조향조작과는 다른 조작을 하지 않으면 안되고, 상기 조작을 잊어서 선회시에 플로우트를 적정한 접지상태로 할 수 없을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서는, 모종이식장치의 승강제어의 제어감도를 직진이식시와 선회시로 각각 독립하여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밭에 따라서 이식시의 제어 감도에 관계없이 선회시의 제어감도를 가장 알맞게 설정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두렁사이 등의 선회시에 플로우트에 의해 밭면을 확실한 동시에 적정하게 정지할 수 있는 승용형 모종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정지 플로우트 164, 165에 의해 정지작업하면서 모종의 이식을 하는 모종이식장치(3)를 주행차량(1)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밭면의 검출에 기초하여 소망하는 대지(對地)높이가 되도록 모종이식장치(3)를 승강 제어하는 승강제어수단을 설치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 주행차량(1)이 선회 상태인가 비선회 상태인가를 검출하는 선회상태 검출수단(193)을 설치하고, 상기 선회상태 검출수단(193)에 의한 선회상태, 비선회상태의 검출에 따라 승강제어수단의 제어감도를 전환하는 선회연동 제어장치(170)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감도를 선회상태와 비선회상태로 각각 독립하여 변경 설정할 수 있는 설정수단 184, 185를 설치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이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모종이식장치(3)의 승강감도에 관하여, 모종의 이식시는 모종이식용 감도에 적정한 설정으로 할 수 있고, 두렁사이 등의 선회주행시는 이식용 감도의 변경에 관계없이 침지의 거친상태나 토질에 따라서 적절한 침지정지용 감도로 변경설정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8줄기심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전체측면도, 도 2는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주행차량의 전동구성을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며, 도 4는 밋션케이스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 1의 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주행차량(1)에는 가로링크(2a)와 세로링크(2b)로부터 이루어지는 승강용 링크장치(2)로 작업장치의 1종인 모종이식장치(3)를 장착하는 동시에 시비장치(4)를 설치하고, 전체로 승용시비 모종이식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차량(1)은, 구동륜인 좌우 각 한쌍의 전륜(6) 및 후륜(7)을 가지는 4륜 구동차량이다.
메인프레임(10) 위에 밋션케이스(11)과 엔진(12)이 전후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밋션케이스(11)의 후부 윗면에 유압펌프(13)가 일체로 조립되고, 또 밋션케이스(ll)의 앞 부분으로부터 스티어링 포스트(14)가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포스트(14)의 상단부에 스티어링 핸들(16)과 조작패널(17)이 설치되어져 있다. 기체의 상부에는 조종용의 플로어가 되는 스탭(19)이 설치되고, 엔진(12)의 윗쪽부에 조종석(20)이 설치되어 있다. 전륜(6)은, 밋션케이스(11)의 옆쪽으로 방향을 변경가능하게 설치한 전륜 지지케이스(22)에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후륜(7)은, 롤링간(23)의 좌우 양단부에 일체로 설치한 후륜지지 케이스(24)에 축지지되어 있다. 롤링간(23)은 메인프레임(10)의 후단부에 돌출한 롤링축(25)에서 진행방향으로 수직한 면내에서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엔진(12)의 회전동력은, 벨트(31, 도 3)를 통하여 유압펌프(13)의 구동축인 카운터축(32)에 전해지고, 또다시 카운터축(32)으로부터 벨트(33)를 통하여 유압식 변속장치(HST)의 입력축(35)에 전해지고, 유압식 변속장치(HST)의 출력축(36)으로부터 벨트(미도시)를 통하여 밋션 입력축(34)에 전해진다.
또한, 밋션 입력축(34)위에는, 메인클러치(43)가 설치되어 있고, 유압식 변속장치(HST)의 구동력은 메인클러치(43)을 개재하여 밋션 입력축(34)에 전동된다. 메인클러치(43)은 주지(周知)의 다판 클러치이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클러치 축측의 마찰판 44와 밋션 입력축측의 마찰판 45, 양쪽 마찰판을 밀어붙이는 스프링(46), 전환 조작용의 고정부재(47)과 슬라이딩부재(4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밋션케이스(11)의 케이싱(40)의 앞 부분에는, 밋션 입력축(34), 카운터축(50), 주행 1차축(51), 주행 2차축(52), 이식 1차축(53), 이식 2차축(54)이 각각 평행으로 지지되고 있다. 밋션 입력축(34)의 기어 Gl과 카운터축(50)의 기어 G2, 및 기어 G2와 주행 1차축(51)의 기어 G3가 각각 서로 맞물리고 있어, 밋션 입력축(34)의 회전이 주행 1차축(51)에 순방향으로 전해진다.
주변속장치 K로서, 주행 1차축(51)에 상기 기어 G3과 기어 G4가 각각 정위치에 끼워지고, 주행 2차축(52)에 서로 일체로 성형된 기어 G5, G6이 축방향에 섭동이 자유롭게 끼워지고 있다. 시프트(56)에서 기어 G5, G6을 이동시키고, 기어 G4, G5가 맞물리면 저속의 작업속도, 기어 G3과 기어 G6이 맞물리면 고속의 노상주행속도로 된다.
또한, 이식 1차축(53)에는 기어 G4에 항상 맞물리는 기어 G7과 백 기어 G8이 끼워져 있고, 기어 G6을 백 기어 G8에 맞물리게 하면 후진속으로 된다. 기어 G5, G6이 어느 기어와도 맞물리지 않는 위치가 중립으로 된다. 상기 주변속장치(K)가 조작하는 체인지 레버(90)는 조작패널(17)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포기사이 변속장치(C)로서,이식 1차축(53)에 서로 일체로 성형된 기어G9, G10이 축방향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동시에, 이식 2차축(54)에 기어G11, G1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57)로 기어 G9, GlO을 적절하게 이동시킴으로써, 기어 G9와 기어 G11, 기어 G10과 기어 G11, 및 기어 GlO과 기어 Gl2의 3종류의 조합을 얻을 수 있고, 3 단계의 포기간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이식 2차축(54)로부터 베벨기어 G13, G14를 통하여 이식부 전동축(58)에 전동된다.
케이싱(40)의 후부에는, 리어액슬(60)과 프런트액슬(61)이 지지되고, 상기 주행 2차축(52)로부터 리어 디퍼렌셜장치(D)를 통하여 리어액슬(60)에 전동되는 동시에, 리어 디퍼렌셜장치(D)로부터 프런트 디퍼렌셜장치(E)를 통해서 좌우 프런트액슬(61)에 전동된다. 그리고, 좌우 프런트액슬(61)에 의해 각각 좌우전륜(6)이 구동회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리어 디퍼렌셜장치(D)는, 주행 2차축(52)의 기어 G15에 맞물리는 기어 Gl6이 외주부에 형성된 용기(63)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내의 세로축(64)에 설치한 일차베벨기어 Gl7과 좌우의 리어액슬(60)에 각각 별도로 설치한 2차베벨기어 G18이 서로 맞물리는 상태에서 수납되고 있고, 각 축에 전동되는 구동력이 적절히 변동하도록 되어 있다.
프런트 디퍼렌셜장치(E)도 리어 디퍼렌셜장치(D)와 같은 구성이고, 용기(65), 세로축(66), 리어 디퍼렌셜장치측의 기어 G19, 프런트 디퍼렌셜 장치측의 기어 G20, 세로축(66)에 설치한 베벨기어 G21, 프런트액슬(61)에 설치한 베벨기어 G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어 디퍼렌셜장치(D) 및 프런트 디퍼렌셜장치(E)에는 디퍼렌셜 기능을 정지하고, 좌우 양쪽축에 구동력이 균등하게 전동되도록 하는 디퍼렌셜 로킹장치 F, H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퍼렌셜 로킹장치 F, H는, 용기 63, 65에 형성된 돌기 69, 70과 액슬의 각봉부(角棒部)에 끼우는 디퍼렌셜 로킹부재 71, 72의 돌기 73, 74와 액슬 60, 61을 서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후륜의 디퍼렌셜 로킹장치 F를 조작하는 디퍼렌셜 로킹레버(91)는 조작패널(17)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륜의 디퍼렌셜 로킹장치 H는, 스탭(19)에 설치한 디퍼렌셜 로킹페달(91')을 밟으면 디퍼렌셜기능이 정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디퍼렌셜 로킹레버(91) 및 디퍼렌셜 로킹페달(91',도 2)은, 모두 기체의 앞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예컨대 밭의 두렁을 올라타서 기체가 밭으로부터 나올 때 등에, 조종자는 기체로부터 내려서 기체의 전방에 서서 (자기의 신체를 중량 대신으로 하기 위하여 기체 앞단부에 타서) 기체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서 상기 두렁넘기를 안전하게 한다.
이 때, 좌우전륜(6)의 어느인가 또는 좌우후륜(7)의 어느인가가 공회전을 한 경우에 바로 조종자는 기체 앞부분에 있는 디퍼렌셜 로킹레버(91) 및 디퍼렌셜 로킹페달(91')을 용이한 자세로 조작할 수 있고 디퍼렌셜 로킹상태로 해서 안전하게 두렁넘기를 할 수 있다.
리어액슬(60)은 베벨기어 G23, G24에 의해 사이드클러치축(76)에 전동연결되고, 또한 상기 사이드클러치축(76)으로부터 리어출력축(77)에 사이드클러치(I)를 통하여 전동된다. 사이드클러치(I)는 다판 클러치이며, 사이드클러치축측의 마찰판(80) 리어출력축측의 마찰판(81)을 구비하고 있다. 리어출력축(77)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지는 작동통(82)은, 판 용수철(83)에 의하여 양쪽마찰판 80, 81을 밀어붙이는 방향으로 복원되고 있으며, 평상시는 사이드클러치(I)가 들어간 상태가 되어 있다. 시프트(85I)에서 작동통(82)을 복원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사이드클러치(I)가 끊어진다.
또한, 리어출력축(77)에는 후륜 브레이크장치(J)가 설치되어 있다. 후륜 브레이크장치(J)는 리어출력축(77)에 설치된 디스크(87)에 압력플레이트(88)를 밀어붙여서 제동하는 것이며, 이 압력플레이트(88)의 작동은 시프트(85J)로 한다. 즉, 평상시는 사이드클러치(I)가 들어가고, 후륜 브레이크장치(J)가 걸리지 않고 있는 상태이며, 시프트 85I를 조작하여 작동통(82)을 복원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사이드클러치(I)가 끊어지고, 시프트 85J를 조작하면 후륜 브레이크장치(J)가 걸리는 것이다. 후륜 브레이크장치(J)의 조작(좌우 시프트85J의 조작)은, 후술한 스탭(19)위에 설치한 페달(140)에서 행한다. 또한, 좌우 시프트85I에는, 좌우 클러치 조작암 86I(도 5)의 베이스부가 고착되고 있어, 좌우 시프트 85J에는, 좌우 브레이크 조작암(86J)의 베이스부가 고착되어 있다.
리어출력축(77)의 후단부는 케이싱(40)바깥으로 돌출하고, 상기 돌출단부에 상기 후륜지지 케이스(24)에 전동하는 좌우 후륜전동축(89)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후륜전동축(89)에 의하여 각각 좌우 후륜(7)이 구동회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체인지레버(90)의 조작위치는, 후진속, 중립, 작업속도, 노상주행속도 위치가 있다. 또한, 디퍼렌셜 로킹레버(91)를 전방으로 조작하면 디퍼렌셜 로킹, 후방으로 조작하면 디퍼렌셜 온(ON)이 된다.
따라서, 밭내에서 모내기작업을 할 경우에는, 디퍼렌셜 로킹레버(91)를 디퍼렌셜로킹으로 하고, 체인지레버를 작업속으로 시프트하고, 모종이식장치(3)의 모종탑재대에 모종을 재치하고, 시비장치(4)의 비료탱크에 낱알모양 비료를 넣고, 각부를 구동시켜서 전진하면, 좌우 후륜(7)의 디퍼렌셜 로킹장치 F는 디퍼렌셜로킹되어서 디퍼렌셜 기능이 정지한 상태이므로, 기체의 직진성이 좋아서 양호한 모내기작업과 시비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노상주행의 경우에는, 리어 디퍼렌셜장치(D) 및 프런트 디퍼렌셜장치(E) 모두에 디퍼렌셜기능이 움직이는 상태로 조작하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기체 앞부분에 설치한 예비 모종탑재대(200)와 직진주행의 지표라고 하는 센터 마스코트(201)를 나타낸다.
또한, 기체본체의 전방부 양쪽에는 모종이식의 줄기맞춤의 목표가 되는 사이드마커(210)를 기체본체의 전방부 양쪽에 설치하고 있지만, 사이드마커(210)의 선단에 기체의 전후방향으로 평행한 봉(棒, 210a)을 배치함으로써 모종이식의 줄기맞춤을 할 때에 기체가 인접줄기에 평행으로 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모종이식장치(3)는, 주행차량(1)에 승강용 링크장치(2)로 승강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데, 그 승강시키는 구성과 모종이식장치(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주행차량(1)에 베이스부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일반적인 리프트실린더(160, 도 1)의 피스톤 상단부를 승강용 링크장치(2)에 연결하고, 주행차량(1)에 설치한 유압펌프(13)에서 전자유압밸브(161, 도 8)를 통하여 리프트실린더(160)에 유압유를 공급·배출하고, 리프트실린더(160)의 피스톤을 신장전진·축소후퇴시켜서 승강용 링크장치(2)에 연결한 모종이식장치(3)가 상하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종이식장치(3)는, 승강용 링크장치(2)의 후부에 롤링축(154, 도 14)을 통하여 롤링이 자유롭게 장착된 프레임을 겸하는 이식 전동케이스(162)와, 상기 이식 전동케이스(162)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지지되어서 기체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모종탑재대(163)과, 이식 전동케이스(162)의 후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모종탑재대(163)의 하단보다 1포기분씩의 모종을 분할하여 밭에 이식하는 모종이식구(164)와 이식 전동케이스(162)의 하부에 상기 후부가 지지되어서 그 앞 부분이 상하요동이 자유롭게 장착된 정지체(整地體)인 센터플로우트(165), 사이드플로우트(16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센터플로우트(165), 사이드플로우트(166)는 밭을 정지하는 동시에 모종이식구(164)로 모종이 이식되는 밭의 전방을 정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PTO 전동축(167)은 양단에 유니버셜조인트를 가지고, 시비 구동케이스(168)의 동력을 모종이식장치(3)의 이식 전동케이스(162)에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하고 있다. 센터플로트센서(169)는 센터플로우트(165)앞 부분의 상하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쇼메터에 의하여 구성되고, 센터플로우트(165)의 앞 부분 윗면과 링크에 의하여 제휴되고 있다. 그리고, 센터플로트센서(169)의 센터플로우트(165) 앞 부분의 상하 위치검출에 기초하여, 제어장치(170, 도 8)의 모종이식장치 승강수단에 의하여 전자유압밸브(161)를 제어하여 리프트실린더(160)로 모종이식장치(3)의 상하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즉, 제어장치(170)는 센터플로우트(165) 앞 부분에 설치한 영입각 센서 (207)의 검출에 기초하여 센터플로우트(165)의 앞 부분이 외력으로 적정범위 이상으로 들어 올린 때에는 유압펌프(13)로 밋션케이스(11) 내로부터 퍼낸 유압유를 리프트실린더(160)에 보내줘서 피스톤을 돌출시켜 승강용 링크장치(2)를 위로 이동시켜서 모종이식장치(3)를 소정위치까지 상승시키고, 또한, 센터플로우트(165)의 앞 부분이 적정범위 이상으로 내려간 때에는 리프트실린더(160) 내의 유압유를 밋션케이스(11)내로 되돌려서 승강용 링크장치(2)를 아래로 이동시켜서 모종이식장치(3)를 소정위치까지 하강시키고, 그리고, 센터플로우트(165)의 앞 부분이 적정범위에 있을 때(모종이식장치(3)이 적정한 소정위치에 있을 때)에는 리프트실린더(160) 내의 유압유의 출입을 멈추어서 모종이식장치(3)를 일정위치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져 있다. 이렇게, 센터플로우트(165)를 모종이식장치(3)의 자동높이제어를 위한 접지센서로서 이용하고 있다.
영입각 센서(207)는, 모종이식장치(3)의 대지(對地) 높이를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영입각 센서(207)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어장치(170), 도 8)에 의하여 승강밸브(미도시)를 제어하고 리프트 실린더(160)에서 모종이식장치(3)의 상하위치를 제어하는 것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리프트실린더(160)로 승강용 링크장치(2)를, 예컨대 위쪽으로 이동시켜서 모종이식장치(3)를 소정위치까지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센터플로우트(165)의 앞 부분이 적정범위 이상으로 내려간 것을 영입각 센서(207)에 의해 검출한 때에는 리프트실린더(160) 내의 유압유를 밋션케이스(11)내로 되돌려서 승강용 링크장치(2)를 아래로 이동시켜서 모종이식장치(3)을 소정위치까지 하강시킨다. 그리고, 센터플로우트(165)의 앞 부분이 적정범위에 있을 때(영입각 센서(207)의 검출값이 적정범위에 있고, 모종이식장치(3)가 적정한 대지(對地) 높이일 때)에는 리프트실린더(160) 내의 유압유의 출입을 멈추어서 모종이식장치(3)을 일정위치에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센터플로우트(165)의 앞 부분이 외력으로 적정범위이상으로 들어올릴 수 있었던 것을 영입각 센서(207)에 의해 검출한 때에는 유압펌프(13)로 밋션케이스(11) 내로부터 퍼 내진 유압유를 리프트실린더(160)에 보내어 피스톤을 돌출시켜서 승강용 링크장치(2)를 윗쪽으로 이동시켜서 모종이식장치(3)를 소정위치까지 상승시키고, 또한, 센터플로우트(165)의 앞 부분이 적정범위이상으로 내려간 것을 영입각 센서(207)에 의해 검출한 때에는 리프트실린더(160) 내의 유압유를 밋션케이스(11) 내로 되돌려서 승강용 링크장치(2)를 아래로 이동시켜서 모종이식장치(3)을 소정위치까지 하강시킨다. 그리고, 센터플로우트(165)의 앞 부분이 적정범위에 있을 때(영입각 센서(207)의 검출값이 적정범위에 있고, 모종이식장치(3)가 적정한 대지 높이일때)에는 리프트실린더(160)내의 유압유의 출입을 멈추어 모종이식장치(3)를 일정위치로 유지시키도록 설치되고 있다. 이렇게, 센터플로우트(165)를 모종이식장치(3)의 자동높이 제어를 위한 접지센서로서 이용하고 있다.
스티어링핸들(16)의 아래쪽에 핑거레버(171, 도 2)가 배치되고, 상기 핑거레버(171)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하면 포텐쇼메터에 의해 구성되는 핑거레버 스위치(172, 도 8)가 작동되어서, 제어장치(170)의 PTO 클러치 작동수단에 의해 PTO클러치 작동 솔레노이드(173)을 조작하고, 시비 구동케이스(168) 내에 설차된 동력을 단접하는 PTO클러치를 조작해서 시비장치(4) 및 모종이식장치(3)에의 동력을 온/ 오프(ON/OFF) 한정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어장치(170)의 모종이식장치 승강수단에 의해, 전자유압밸브(161)를 조작해서 수동으로 모종이식장치(3)을 상하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핑거레버(171)를 「상(上)」으로 조작하면, PTO 클러치가 끊어져 시비장치(4) 및 모종이식장치(3)의 작동이 정지하는 동시에 전자유압밸브(161)가 강제적으로 모종이식장치(3)를 상승하는 쪽으로 바꿀 수 있다.
그리고, 핑거레버(171)을 「상」으로 조작한 후에, 핑거레버(171)를 「하(下)」로 1회 조작하면, 전자유압밸브(161)가 센터플로우트(165)의 상하이동으로 전환되는 자동제어 상태로 되며, 모종이식장치(3)가 상승된 상태이면 센터플로우트(165)가 접지하여 적정자세가 될때까지 모종이식장치(3)는 하강한다. 다시 또 1회 핑거레버(171)를「하(下)」로 조작하면, 전자유압밸브(161)가 센터플로우트(165)의 상하이동으로 전환되는 자동제어 상태인 채로, PTO클러치가 들어가 시비장치(4) 및 모종이식장치(3)가 구동된다. 이후, 핑거레버(171)를 「하」로 조작하는 도(度)에, 전자유압밸브(161)가 센터플로우트(165)의 상하이동으로 전환되는 자동제어상태인채로, PTO클러치 온/오프(ON/OFF)를 교대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스티어링 핸들(16)로 전륜(6)이 조향조작되는 부분의 구성에 대하여 도 5와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스티어링 핸들(16)은, 스티어링 포스트(14) 내에 설치된 스티어링축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스티어링축의 회전은 밋션케이스(ll) 내에 설치된 스티어링 변속기어를 개재하여 감속되어서 출력축(174)에 전동된다. 그리고, 출력축(174)의 하단은, 밋션케이스(11) 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피트먼아암(175)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피트먼아암(175)의 앞 부분 좌우측과 좌우전륜 지지케이스(22,(도 1))와는 좌우로드176, 도 1)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 핸들(16)을 회전운동조작하면, 스티어링축·스티어링 변속기어·출력축(174)·피트먼아암(175)·좌우로드(176)·좌우전륜 지지케이스(22)에 전달되어서, 좌우전륜(6)이 좌우 조향조작된다.
한편, 피트먼아암(175)의 후부윗면에는, 작동롤러(177)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작동롤러(177)의 좌우 양쪽을 둘러싸도록 평면으로 보아서 コ자모양으로 잘려진 노치부(178)를 가지는 종운동체(179)가 밋션케이스(11)의 바닥면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종운동체(179)의 좌우 양측부에는, 상기 좌우 클러치조작 아암(86I)에 연결된 좌우 로드(180)의 앞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 핸들(16)을 소정량(기체를 우선회시키는 의사(意思)를 가지고 작업자가 오른쪽으로 돌리는 량)이상 오른쪽으로 돌리면, 피트먼아암(175)도 우회전운동하고, 작동롤러(177)가 (다)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종운동체(179)의 노치부(178)의 좌측면(178a)을 누르기 때문에, 종운동체(179)를 (라)방향으로 회전운동 시켜 우(右)로드(180)를 빼고, 우클러치 조작 아암(86I)이 조작되어서 우사이드클러치(I)가 끊어지고, 선회중심측의 우후륜(7)이 여유전동상태가 되므로, 우후륜(7)이 밭을 손상하는 경우가 없고, 또한, 진흙을 다량으로 들어 올려서 흙탕물면을 황폐하게 해버리는 것 같은 경우도 없으며, 우선회를 부드럽게 깨끗하게 할 수 있다.
역으로, 스티어링 핸들(16)을 소정량이상 왼쪽으로 돌리면, 피트먼아암(175)도 좌회전운동하고, 작동롤러(177)가 (다)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종운동체(179)의 노치부(178)의 오른쪽면(178b)을 누르기 위하여, 종운동체(179)를 반(라)방향으로 회전운동 시키고, 좌로드(180)를 빼고, 좌클러치 조작아암(86I)이 조작되어서 좌사이드클러치(I)가 끊어지고, 선회 중심측의 좌후륜(7)이 여유전동상태가 되므로, 좌후륜(7)이 밭을 손상하는 경우없고, 또한, 진흙를 다량으로 들어 올려서 진흙면을 황폐하게 해버리는 것 같은 경우도 없으며, 좌선회를 부드럽고 깨끗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피트먼아암(175)의 앞 부분 윗면에는, 좌우센서 누름편(182)이 설치되고 있어, 스티어링 핸들(16)을 좌우 어딘가에 200도 회전시키면, 밋션케이스(11)의 바닥면에 고정된 자동리프트 스위치(183)가 ON이 된다 (스티어링 핸들(16)은 좌우로 최대 360도∼400도 회전한다).
상기 한 실시예에서는, 스티어링 핸들(16)의 소정각 이상의 조작에 의해, 선회 안쪽의 후륜(7)의 사이드클러치(I)를 끊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사이드클러치(I)를 조작패널(17)에 설치해 두고, 수동으로 사이드클러치의「오프(OFF」가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다음에, 후진시에 모종이식장치(3)을 자동적으로 상승시키는 제어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인지레버(90)을 후진속으로 조작하면, 체인지레버(90)의 베이스부에 설치한 물림편(190)이 맞물려서 ON이 되는 백리프트스위치(191)가 설치되어 있어, 제어장치(170, 도 8)의 모종이식장치 상승수단에 의해 전자유압 밸브161을 제어해서 리프트실린더(160)에서 모종이식장치(3)를 최대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체인지레버(90)를 후진속으로 조작하면, 자동적으로 모종이식장치(3)를 최대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해 두고, 밭의 두렁사이에서 기체를 선회시키기 위한 등에 기체를 두렁을 향하여 후진시킬 때에, 자동적으로 모종이식장치(3)는 최대위치까지 상승하고 있으므로, 모종이식장치(3)가 두렁에 충돌하여 파손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핸들(16)을 좌우 어딘가에 200도 회전시켰을 때에 도 8에 나타내는 자동리프트 스위치(183)가 온(ON)이 되면, 제어장치(170)의 모종이식장치 상승수단에 의하여 전자유압밸브(161)를 제어하여 리프트실린더(160)로 모종이식장치(3)을 최대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두렁사이에서 기체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스티어링 핸들(16)을 좌우 어딘가의 최대한까지 회전시키면, 자동리프트 스위치(183)가 온(ON)이 되고, 자동적으로 모종이식장치(3)은 최대위치까지 상승하므로, 기체선회시에 모종이식장치(3)을 상승시키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고, 능률좋게 기체선회를 행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좋다.
한편, 조작패널(17)에는, 모종이식장치(3)의 자동상승을 행하게 하는 상태와 행하게 하지 않는 상태로 바꾸는 자동 리프트 전환스위치(192)가 설치되어 있으며, 즉, 자동리프트 전환스위치(192)를 자동으로 하고 있으면, 상기한 바와 같이 백리프트 스위치(191)가 온(ON)이 되거나 자동리프트 스위치(183)가 온(ON)이 되면 자동적으로 모종이식장치(3)은 제어장치(170)의 모종이식장치 상승수단에 의하여 자동상승된다. 그리고, 자동리프트 전환스위치(192)를 오프(OFF)로 하고 있으면, 백리프트 스위치(191)이 ON이 되어도, 자동리프트 스위치(183)가 온이 되어도 모종이식장치(3)는 자동상승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하나의 자동리프트 전환스위치(192)로, 백리프트 스위치(191)가 ON이 되어도, 자동리프트 스위치(183)가 ON이 되어도, 모종이식장치(3)는 자동상승되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백 리프트와 자동리프트의 각각을 온 오프하는 스위치를 따로따로 설치한 구성보다도 간결한 구성이 되며, 하나의 스위치로 양자의 상태전환을 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미스가 적어져 작업성이 좋다.
또한, 자동 리프트 전환스위치(192)를 OFF로 하고, 백리프트 스위치(191)가 ON이 되어도, 자동리프트 스위치(183)가 ON이 되어도, 모종이식장치(3)가 자동상승하지 않는 상태로 해 두면, 기체를 후진으로 헛간 등에 보관할 때에 체인지레버(90)를 후진속으로 조작해도 모종이식장치(3)가 자동상승하지 않으므로, 모종이식장치(3)를 내린 채 후진할 수가 있고, 헛간의 입구상부나 헛간 내의 다른 부재에 모종이식장치(3)를 부딪쳐버리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부채형이나 표주박형 등의 변형 밭에서 두렁사이에 따라 주위 심기를 할 경우에, 굽은 두렁에 따라 스티어링 핸들(16)을 돌리면서 이식작업을 하지만, 이 때에, 자동리프트 전환스위치(192)를 자동위치로 하고 있으면, 스티어링 핸들(16)을 좌우 어딘가에 200도이상 회전하면 자동적으로 모종이식장치(3)가 상승해버려 이식작업을 행할 수 없지만, 자동리프트 전환스위치(192)를 오프로 하고 있으면, 스티어링 핸들(16)을 좌우 어딘가에 200도이상 회전하여도 모종이식장치(3)는 상승하지 않으므로 이식작업을 행할 수 있고, 변형밭에서도 적절하게 모종이식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모종이식기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제어장치(170)는 선회 안쪽의 후륜(7)의 회전수의 검출에 기초하여, 선회시의 모종이식 등의 여러가지 작동을 자동적으로 행하게 하는 선회 연동제어를 할 수 있다. 특히, 선회 안쪽의 후륜(7)이 소정각도 이상 조타되어 있을 때에, 상기 선회 연동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제어의 사고방식을 도 9와 표 1에 나타낸다.
즉, 스티어링 핸들(16)을 한정하고, 선회 안쪽의 후륜(7)의 사이드클러치I가 끊어진 상태에서, 좌우 드라이브 샤프트(전동축)89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선회시의 안쪽의 후륜(7)의 전동축 회전수가 설정값 N1을 넘으면 모종이식장치(3)를 강하시킨다. 그 후, 후륜(7)의 전동축 회전수가 설정값 N2와 모종이식구(164)의 작동이 「오프」상태에 들어가서(= 모종이식장치(3)가 올림상태로 이동하여)부터 스티어링 핸들(16)의 끊기조작 시작까지의 후륜의 전동축(89)의 회전수n의 합계값 이상이 되면 이식「온」으로 하는 기구이다.
상기 선회 연동제어의 플로우를 도 10에 나타낸다.
우선, 좌우 후륜의 전동축(89)의 회전수를 전동축 회전수센서(205)로 검출하고, 또한 기준값 N1(선회시작으로부터 기체 90°선회까지의 안쪽 드라이브 샤프트 회전신호 설정값), N2(기체90°선회로부터 이식클러치「들어감」까지의 드라이브 샤프트 회전신호 설정값), θ1 ((직진조작시의 핸들한정 설정각도의) 하한값), θ2 ((직진 조작시의 핸들한정 설정각도의) 상한값)을 세트한다.
계속하여, 밭의 굳고 연한정도나 수심, 밭 깊이 등의 밭조건의 상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수 Nl, N2 및 핸들 한정각도θ1, θ2의 각 설정값을 조절하는 설정다이얼 206∼209에 의해, 보정값 n0를 설정한다.
모종이식장치(3)의 모종이식구(164)가 모종의 모이식 상태에 있는지 없는지를 핑거레버(171)의 조작에 따른 제어장치(170)의 상태에서 검출하고, 이식「온(ON)」으로부터 이식「오프(OFF)」로 되었을 때, 모종이식구(164)의 작동이「오프」상태에 들어 가고나서 스티어링 핸들(16)의 한정조작 시작까지의 후륜(7)의 전동축(89)의 회전수(n)을 전동축 회전수센서(205)로 검출하고, 그 값(n)을 기억해 둔다. 이어서, 스티어링 핸들(16)의 한정각도(조타각도, θ)를 스티어링 핸들(16)의 샤프트에 설치한 핸들한정각 센서(포텐쇼미터, 193, 도 8)에서 검출하여 직진시(θ1 <θ <θ2)이외 시에는 좌우의 어느 방향으로 선회중인지 어떤지를 검출한다.
좌선회중이면 좌후륜(7)의 전동축(89)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회전수(n1)가 n1≥N1 + nO가 되면, 선회시작으로부터 기체가 90도이상 선회한 것으로 되므로 모종이식구(164)을 내린다. 상기 모종이식구(164)의 강하로 침지(枕地)가 고르게 된다.
계속하여, 좌후륜(7)의 전동축(89)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회전수n2가 n2 ≥ N2+ n + nO가 되면, 모종이식구(164)를 작동시켜서 모종의 이식을 시작시킨다.
우선회의 경우에도 좌선회시와 완전히 마찬가지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 선회제어시에는 이식부 「내림」부터 이식「온(ON)」까지의 사이에 모종이식장치(3)의 리프트실린더(160)의 유압감도를 둔감(상승측으로 전환되지 않는다) 상태로 함으로써 센터플로우트(165) 등을 앞상승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센터플로트센서(169)의 제어목표를 센터플로우트(165)가 앞상승 상태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행할 수 있고, 센터플로우트(165)를 앞오름 상태로 함으로써 선회 궤적을 고르게 할 수 있으며, 침지처리를 용이하게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이렇게 사이드클러치(I)가 끊어져 있는 후륜(7)의 전동축(드라이브 샤프트, 89)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하여, 동력이 전해지고 있는 후륜(7)의 회전수 검출에 비하여 보다 슬립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또한, 후륜(7)보다 회전의 빠른 드라이브 샤프트(89)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하여, 용이하게 그 측정 정밀도를 올릴 수 있다. 그 결과, 각 이식줄기 마다의 모종의 이식시작이 거의 일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고르기작업시에 센터플로우트(165)의 양쪽 사이드 플로우트(166)가 각각의 사이드 플로우트(166)의 양측에 진흙을 밀어내버리는 경우가 있고, 또한 경우 에 따라서는 진흙을 퍼올려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막기 위하여, 도 11의 플로우트 부분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의 사이드 플로우트(166)의 각각 외측부분을 쌓아올린 단면형상으로 하였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플로우트(166)의 바깥쪽만을 쌓아올린 단면형상으로 하면, 외측으로부터 사이드 플로우트(166) 위에 진흙이 실리기 어려워진다.
상기한 선회시작으로부터 기체가 90도이상 선회했을 때에 모종이식장치(3)를 내려서 침지를 정지(整地, 고르기)하지만, 영입각 센서(207)의 상기 편평하게 고를 때의 침지 정지용 감도 다이얼(184)과, 보통 이식시의 영입각 센서(207)의 이식깊이용 감도 다이얼(185)을 서로 독립하여 설치하고, 고르기(정지)작업시와 보통 모종이식시에 각각의 감도에 따라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2종류의 감도 다이얼 184, 185을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고르기 작업시의 영입각 센서(207)의 감도가 너무 예민하면, 침지의 고르기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없으므로, 보통 모종이식시의 영입각 센서(207)의 감도보다 둔하게 하기 위해서다.
미리 상기 2개의 감도 다이얼 184, 185에서 설정된 감도에 따라서 밭의 고르기와 보통의 모 이식이 행하여 지지만,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를 때와 보통 이식시는 핸들한정각 센서(193)에 의하여 선회시작으로부터 90°이상에서 모종이식 「온」까지의 사이는 회행시의 영입각 센서(207)의 감도 다이얼 설정값에 기초하여 모종이식장치(3)가 고르기작업을 하고, 핸들한정각 센서(193)로 직진시(θ1 <θ <θ2)인 것을 검출하면, 보통 모종이식시의 영입각 센서(207)의 이식 깊이용 감도 다이얼(185)의 설정값에 기초하여 모종이식장치(3)가 모종이식을 한다.
즉, 고르기시에는, 모종이식장치(3)의 승강제어에 있어서의 센터 플로트(165)의 제어목표를 앞상승측에 설정하면, 모종이식장치(3)의 승강제어 감도가 둔감해져, 플로트 165, 166에서 밭을 확실히 고르게 할 수가 있다. 한편, 보통 이식시에는, 승강제어에 있어서의 센터 플로트(165)의 제어목표를 모종의 이식에 최적하도록 설정하면 좋다. 또한, 승강제어 감도를 변경 설정하는 수단으로서, 상술한 센터 플로트(165)의 제어목표의 변경설정에 대신하여, 승강밸브에 의한 리프트실린더(160)에 대한 유량을 바꾸어서 모종이식장치(3)의 승강속도를 변경설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밭면의 요철이 적고, 기체를 선회하면서의 고르기시에 그다지 밭을 고르게 할 필요가 없을 경우는, 고르기시의 승강제어 감도를 민감측으로 설정하고, 기체의 선회에 의해 플로트 165, 166이 가로방향(측방향)으로부터 과대한 하중을 받지 않도록 하고, 플로트 165, 166 및 그 설치구조 등에 있어서의 주변부재의 파손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선회시와 직진시로, 각각 적정한 승강제어의 감도에 따라서 모종이식장치(3)은 밭의 정지(고르기)와 보통 모종부식을 할 수 있고, 작업기의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핸들(16)의 한정각 센서(193) 대신에, 모종이식구(164)에 설치한 이식 클러치(미도시)가 「오프」시에는 영입각 센서(207)의 침지정지 감도 다이얼(184)의 설정값으로, 이식클러치 「온」시는, 영입각 센서(207)의 이식깊이 감도 다이얼(185)의 설정값으로 감도를 설정하고, 모종이식장치(3)를 승강제어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모종이식장치(3)의 작업형태에 알맞은 영입각 센서(207)의 감도설정을 할 수 있으므로, 정지(고르기)작업 시에는 확실하게 밭면의 정지(고르기)를 할 수 있고, 또한 모종이식시에는 흙탕물류를 막아서 모종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고르기 작업시에 모종이식장치(3)를 내린 채 선회할 때, 원심력에 의해 선회 외측으로 되는 기체외측이 가라앉는 경향으로 된다. 그래서 모종이식장치 자동수평기구에 의해 좌우수평보다 선회외측이 되는 기체(機體)측을 인상함으로써, 부드럽게 정지(整地)할 수 있고, 모종이식장치(3)에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고, 파손의 두려움이 없다.
모종이식장치 자동수평기구를 도 13의 모종이식장치(3)의 요부(要部) 측면도와 도 14의 6줄기심기의 모종이식장치(3)의 요부 정면도에 나타낸다.
모종 탑재대(163)의 뒷면에 있는 이식 전동케이스(162)의 베이스부측과 승강용 링크장치(2)의 세로링크(2b)의 접속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신장된 롤링축(154)이 설치되고, 또 세로링크(2b)의 상단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신장하는 유압롤링 실린더(15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압롤링 실린더(155)의 중앙에는 회전축(155c)이 있고, 또 좌우 양쪽으로 신장하는 피스톤로드155a, 155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로드 155a, 155b의 선단부에는 연결부재 156a, 156b를 통하여 모종탑재대(163)의 지지프레임 157a, 157b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 157a, 157b의 하단부에는 모종이식구(164)의 구동제어기구(이식클러치를 포함)를 구비한 제2 전동케이스158a, 158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전동케이스 158a, 158b 내의 전동기구는 이식 전동케이스(162)로부터의 구동력으로 작동하는 구성이다. 또 이식 전동케이스(162)의 중앙에 상기 롤링축(154)이 기체전후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롤링 실린더(155)의 피스톤로드 155a, 155b를 좌우 어느쪽 방향으로 신장하면, 신장된 쪽의 모종이식구(164)가 아래쪽으로 가라앉는다.
모종이식장치(3)를 내린 채 선회하는 정지작업을 하면서 선회하는 경우에, 모종이식장치(3)에 옆으로부터의 힘이 걸리지만, 그 힘이 너무 강하면 모종이식장치(3)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모종이식장치(3)에 옆으로부터의 힘이 걸리면 모종이식장치(3)를 리프트 시키는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을 위하여는, 승강용 링크장치(2)의 가로링크(2a)인가 세로링크(2b)에 변형계(186)를 설치해 두고, 더욱이 센서 플로우트(165)앞 부분에 영입각 센서(207, 도 1)를 설치한다.
변형계(186)는 세로링크(2b)의 변형을 측정하는 것이며, 영입각 센서(207)는 모종이식장치(3)의 대지(對地)높이를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영입각 센서(207)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어장치(170, 도 8)에 의해 리프트실린더(160)의 작동량을 조정하여 모종이식장치(3)의 상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플로우트(166)의 영입각(전후 경사각)을 검출하는 사이드 플로우트 센서(187)가 각각의 사이드 플로우트(166)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종이식장치(3)에 옆으로부터의 힘이 걸리면 모종이식장치(3)를 리프트 시키는 안전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2개의 제어패턴이 있다.
(1) 도 15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계(186)에 의한 옆 링크(2a)의 옆하중이 소정값이상에서는 승강밸브(미도시)를 작동시켜서, 리프트실린더(160)에 보내서 피스톤을 돌출시켜 승강용 링크장치(2)를 위로 이동시켜서 모종이식장치(3)를 상승시킨다. 또한, 변형계(186)에 의한 가로링크(2a)의 가로하중이 소정값 미만이면, 다음에 영입각 센서(207)의 측정값의 검출에 의해, 그것이 적정범위이면, 승강밸브는 중립상태로 하고 또한, 영입각 센서(207)의 검출값이 적정범위보다 저하한 값이면, 승강밸브가 모종이식장치(3)를 하강시키는 출력을, 또한 적정범위보다 크면, 승강밸브가 모종이식장치(3)를 상승시키는 출력을 각각 리프트실린더(160)에 준다.
(2) 도 16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플로우트센서(187)의 측정값이 소정값이상(사이드 플로우트(166)이 소정각이상 앞상승 상태)에서는 승강 밸브(미도시)를 작동시키고, 리프트실린더(160)에 의해 승강용 링크장치(2)를 위로 이동시켜서 모종이식장치(3)를 상승시킨다. 또한, 사이드 플로우트센서(187)의 측정값이 소정값미만에 있을 때는, 다음에 영입각 센서(207)의 측정값을 검출하고, 그것이 적정범위이면, 승강밸브는 중립상태로 하며 또한, 영입각 센서(207)의 검출 값이 적정범위보다 저하한 값이면, 승강밸브가 모종이식장치(3)를 하강시키는 출력을, 또한 적정범위보다 크면, 승강밸브가 모종이식장치(3)를 상승시키는 출력을 각각 리프트실린더(160)에 준다.
모종이식장치(3)를 내린 채로 선회하는 정지작업을 하면서 선회할 경우에, 모종이식장치(3)의 사이드 플로우트(166)의 리프트 높이를, 상기 사이드 플로우트(166)에 설치된 시비장치(4)의 시비용의 홈을 파는 작구체(作溝體, 159, 도 1)가 착지(着地)하지 않는 높이까지로 하면 최소의 리프트량으로 효율적으로 선회할 수 있고, 사이드 플로우트(166) 및 작구체(159)의 파손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후진시에는 도 17의 사이드 플로우트의 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통때(도 17(a))는, 사이드 플로우트(166)의 바닥면측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작구체(159)를,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플로우트(166)의 저면의 높이를 케이블(188)로 인상하면 작구체(159)의 파손방지를 도모할 수 있고, 작구체(159)에 진흙이 막힐 염려가 없다.
후진 시프트에 연동하여 케이블(188)을 당기면 작구체(159)의 베이스부측의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직진조작의 모종이식작업과 선회조작시의 정지작업의 전환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감도가 전환되고, 모종이식작업 및 정지작업을 함께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의 적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8줄기 심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를 나타내는 전체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전체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모종이식기 주행차량의 전동구성을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밋션케이스의 전개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주 클러치 및 후륜 브레이크의 조작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좌우전륜의 조향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모종이식기 체인지레버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제어계의 블록회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선회 연동제어의 사고방식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선회 연동제어의 플로우챠트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모종이식장치의 플로우트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선회 연동제어의 플로우챠트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모종이식장치의 요부(要部) 측면도이다.
도 14도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모종이식장치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선회 연동제어의 플로우챠트도다.
도 16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선회 연동제어의 플로우챠트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모종이식장치의 사이드 플로우트부분의 부분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 부호의 설명]
1 ... 주행차량 2 ... 승강용 링크장치
3 ... 모종이식장치 4 ... 시비(施肥)장치
6 ... 전륜 7 ... 후륜
10 ... 메인프레임 11 ... 밋션케이스
12 ... 엔진 13 ... 유압펌프
14 ... 스티어링 포스트 16 ... 스티어링 핸들
17 ... 조작패널 19 ... 스탭
20 ... 조종석 22 ... 전륜 지지케이스
23 ... 롤링간(杆) 24 ... 후륜 지지케이스
25 ... 롤링축 31, 33 ... 벨트
32 ... 카운터축 34 ... 밋션 입력축
35 ... 입력축 36 ... 출력축
40 ... 케이싱 43 ... 메인클러치
44 , 45, 80, 81 ...마찰판 46 ... 스프링
47 ... 전환조작용의 고정부재 48 ... 슬라이딩부재
50 ... 카운터축 51 ... 주행 1차축
52 ... 주행 2차축 53 ... 이식 1차축
54 ...이식 2차축 56, 57, 85 ... 시프트
58 ... 이식부 전동축 60 ... 리어액슬
61 ... 프런트액슬 63, 65 ... 용기
64 , 66 ... 세로축 69, 70, 73, 74 ... 돌기
71, 72 ... 디퍼렌셜 로킹부재 76 ... 사이드클러치축
77 ... 출력축 82 ... 작동통
83 ... 판 용수철 86I ... 좌우클러치 조작아암
86J ... 좌우 브레이크 조작아암 87 ... 디스크
88 ...압력플레이트 89 ... 좌우 후륜 전동축
90 ... 체인지레버 91 ... 디퍼렌셜 로킹레버
91’... 디퍼렌셜 로킹페달 110 ... HST 조작레버
130 ... 스로틀레버 142 ... 회전운동 지지축
143 ... 좌우 브레이크 작동아암 144 ... 작동로드
145 ... 카운터축 146, 148 ... 아암
147 ... 연결로드
148a ... 메인클러치 작동캠 롤러(베어링)
l49 ... 클러치 캠
150 ... 작동로드
151 ... 클러치시프트
152 ... 아암
154 ... 롤링축
155 ... 유압롤링실린더
155a , 155b ... 피스톤로드
155c ... 회전축
156a, 156b ... 연결부재 157a, 157b ... 지지프레임
158a, 158b ... 제 2 전동케이스
159 ... 작구체(作溝體)
160 ... 리프트실린더
161 ... 전자유압밸브
162 ... 이식 전동케이스 163 ... 모 탑재대
164 ... 모종이식구 165 ... 센터플로우트
166 ... 사이드 플로우트 167 ... PTO 전동축
168 ... 시비 구동케이스 169 ... 센터플로우트센서
170 ... 제어장치 171 ... 핑거레버
172 ... 핑거레버스위치 173 ... PTO 클러치작동 솔레노이드
174 ... 출력축 175 ... 피트먼아암
176 ... 좌우 타이로드 177 ... 작동롤러
178 ... 노치부 179 ... 종동체(從動體)
180 ... 좌우로드 182 ... 좌우센서 누름편
183 ... 자동리프트 스위치 184 ... 침지(枕地) 정지용 감도다이얼
185 ... 이식깊이용 감도다이얼 186 ... 변형계
187 ... 사이드 플로우트 센서 188 ... 케이블
190 ... 물림편 191 ... 백리프트 스위치
192 ... 자동리프트 전환스위치 193 ... 핸들 한정각 센서
200 ... 예비 모탑재대 201 ... 센터마스코트
207 ... 영입각 센서 210 ... 사이드마커
A ... 선회 연계기구
B ... 연계기구
C ... 포기사이 변속장치
D ... 리어 디퍼렌셜장치
G ... 기어
F, H ... 디퍼렌셜 로킹장치
I ... 좌우 사이드클러치
J ... 좌우 후륜 브레이크장치
K ... 주변속 장치
N1 ... 선회 개시로부터 기체 90˚선회까지의 안쪽 드라이브 샤프트 회전신호 설정값
N2 ... 기체90˚선회로부터 이식클러치「ON」까지의 드라이브 샤프트 회전신호 설정값
θ1 ... 직진조작시의 핸들한정 설정각도의 하한값
θ2 ... 직진조작시의 핸들한정 설정각도의 상한값

Claims (1)

  1. 정지(整地) 플로우트에 의해 정지작업하면서 모종의 이식을 하는 모종이식장치(3)를 주행차량(1)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밭면의 검출에 기초하여 소망하는 대지(對地)높이가 되도록 모종이식장치(3)를 승강제어하는 승강제어수단을 설치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
    주행차량(1)이 선회상태인지 비선회상태인지를 검출하는 선회상태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선회상태 검출수단에 의한 선회상태, 비선회상태의 검출에 따라서 승강제어수단의 제어감도를 바꾸는 선회 연동제어장치(170)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감도를 선회상태와 비선회상태로 각각 독립하여 변경설정할 수 있는 설정 수단 184, 18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모종이식기.
KR1020050004853A 2004-01-27 2005-01-19 승용형 모종이식기 KR100651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18748 2004-01-27
JP2004018748A JP2005210920A (ja) 2004-01-27 2004-01-27 乗用型田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263A true KR20050077263A (ko) 2005-08-01
KR100651030B1 KR100651030B1 (ko) 2006-11-29

Family

ID=3487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853A KR100651030B1 (ko) 2004-01-27 2005-01-19 승용형 모종이식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210920A (ko)
KR (1) KR100651030B1 (ko)
CN (1) CN10033751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1745B2 (ja) * 2009-01-29 2011-10-26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田植機
CN106508124A (zh) * 2015-09-02 2017-03-22 苏州科瓴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翻土机
CN110521359B (zh) * 2019-09-25 2022-09-13 浙江星莱和农业装备有限公司 一种插秧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558B1 (ko) * 1998-09-10 2002-09-3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승용형 이앙기의 승강제어구조
JP4107537B2 (ja) * 1999-06-10 2008-06-25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の操作装置
JP4638998B2 (ja) * 2001-05-16 2011-02-23 三菱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2002335722A (ja) * 2001-05-22 2002-11-26 Iseki & Co Ltd 苗植機のピッチング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10920A (ja) 2005-08-11
CN1647605A (zh) 2005-08-03
CN100337518C (zh) 2007-09-19
KR100651030B1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3808B1 (ko) 승용형 작업기
KR100651030B1 (ko) 승용형 모종이식기
JP4797355B2 (ja) 乗用型作業機
JP4929614B2 (ja) 乗用型苗移植機
JP6361758B2 (ja) 苗移植機
JP5034195B2 (ja) 乗用型苗移植機
JP5544825B2 (ja) 乗用型田植機
JP5293720B2 (ja) 乗用型田植機
JP4200967B2 (ja) 乗用型苗移植機
JP4930088B2 (ja) 乗用型作業機
JP5751314B2 (ja) 乗用型苗移植機
JP5614400B2 (ja) 乗用型苗移植機
JP2016019540A (ja) 苗移植機
JP2006007817A (ja) 乗用型作業機
JP4766000B2 (ja) 作業機
EP3838716A1 (en) Working machine
JP4645077B2 (ja) 走行車両
JP2005253317A (ja) 農作業機
JP2006034137A (ja) 乗用型苗移植機
JP2006174793A (ja) 乗用型苗移植機
JP5387114B2 (ja) 苗移植機
JP5854108B2 (ja) 乗用型苗移植機
JP5614442B2 (ja) 乗用型作業機
JP5482749B2 (ja) 乗用型苗移植機
JP5892219B2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