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481A - 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481A
KR20050075481A KR1020040002974A KR20040002974A KR20050075481A KR 20050075481 A KR20050075481 A KR 20050075481A KR 1020040002974 A KR1020040002974 A KR 1020040002974A KR 20040002974 A KR20040002974 A KR 20040002974A KR 20050075481 A KR20050075481 A KR 20050075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wall
channel
type lockin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8861B1 (ko
Inventor
안문효
Original Assignee
안문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문효 filed Critical 안문효
Priority to KR1020040002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86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5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002/567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posts or pillars made from a plurality of smaller prefabricat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도 벽패널을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천정과 슬라브 사이에 ㄷ형 단면의 찬넬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찬넬의 전면부에 └형 걸림부재를 용접한 후 상기 찬넬의 플렌지가 ┌형 브라켓이 형성된 고강도 벽패널의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찬넬의 측면에서 벽패널을 끼우되 상기 └형 걸림부재의 상측으로 ┌형 브라켓이 거치될 수 있도록 벽패널을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끼워 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찬넬의 상,하부에 각각의 벽패널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벽패널 타측면의 끼움홈에 또 다른 찬넬의 플렌지를 끼우는 단계를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간단하게 벽체가 시공되는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벽체를 시공시 찬넬 전면의 └형 걸림부재가 용접되는 용접점 위치에 따라 └형 걸림부재에 거치되는 벽패널과 벽패널간의 간격 및 벽패널의 높이가 조절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벽체 시공방법{METHOD FOR WALL CONSTRUETION}
본 발명은 고강도 벽패널을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천정과 슬라브 사이에 ㄷ형 단면의 찬넬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찬넬의 전면부에 └형 걸림부재를 용접한 후 상기 찬넬의 플렌지가 ┌형 브라켓이 형성된 고강도 벽패널의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찬넬의 측면에서 벽패널을 끼워 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찬넬의 상,하부에 각각의 벽패널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벽패널 타측면의 끼움홈에 또 다른 찬넬의 플렌지를 끼우는 단계를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벽체가 시공되는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벽체를 시공시 찬넬과 찬넬사이에 상,하로 끼워지는 고강도 벽패널사이와 찬넬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끼워지는 벽패널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를 임의로 형성하여 벽체 수명연장 및 설치가 용이한 것이며 시공후에는 상기 공간부에 마감재를 코킹하여 시공이 완성되는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조립식 벽패널을 이용한 벽체시공방법은 작업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며 운반작업 및 적재작업시 소요되는 공간이 적게 되는 등의 장점을 내포하여 업계에서 널리 선호되는 것으로서 그 기술내용은 주로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프레임의 하부면에 거푸집을 마련하고 상기 프레임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충분히 양생한 후 상기 거푸집을 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하여 벽패널을 완성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완성된 벽패널을 천정과 슬라브사이에 고정설치된 H형강의 상,하, 좌,우로 끼워 체결하되 상기 상,하부로 맞물리는 벽패널이 긴밀하게 밀착되기 위하여 상기 벽패널의 상측에는 돌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벽패널의 돌부와 타 벽패널의 요홈이 상호 맞물리는 적층구조로서 이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311938호(이하 선원 고안)에 개재된 것과 같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원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팽창압력에 따라 벽패널이 변형되는 사례가 빈번하였고, 이러한 경우 양생된 벽면의 평탄도 역시 저하되어 시공품질을 확보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적인 벽면 평활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제기되는 것이며 또한 돌부와 요홈을 이용하여 상기 상,하부에 위치한 벽패널과 벽패널이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함으로서 벽면에 충격이 전달되어 벽면이 손상시 전체적으로 손상될 우려가 있어 이에 대한 대응방안이 절실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과 슬라브 사이에 ㄷ형 단면의 찬넬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찬넬의 전면으로 └형 걸림부재를 용접한 후 상기 찬넬의 플렌지가 고강도 벽패널의 끼움홈에 삽입되어지도록 벽패널을 찬넬의 측면에서 끼움과 동시에 상기 └형 걸림부재의 상측으로 벽패널의 ┌형 브라켓을 거치함으로서 찬넬의 상,하부에 체결되는 벽패널간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천정과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찬넬을 H형강으로 대체하여 구성한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강도 벽패널(B)을 이용한 벽체(A)를 시공하는 벽체(A) 시공방법은 천정(40)과 슬라브(41) 사이에 ㄷ형 단면의 찬넬(10)을 수직으로 설치하는 찬넬(10) 설치단계와; 상기 설치된 찬넬(10)의 전면부에 다수개의 └형 걸림부재(12)를 용접하는 용접단계와; 상기 ┌형 브라켓(24)이 형성된 벽패널(B)의 끼움홈(25) 내측으로 찬넬(10)의 플렌지(11)가 삽입되도록 벽패널(B)을 찬넬(10)의 측면에서 끼우되, 상기 벽패널(B)의 ┌형 브라켓(24)이 찬넬(10)의 └형 걸림부재(12) 상측에 거치될 수 있도록 벽패널(B)을 찬넬(1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끼워주는 벽패널(B) 끼움단계와; 상기 방식에 의하여 찬넬(10)에 벽패널(B)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벽패널(B) 타측면의 끼움홈(25')에 또 다른 찬넬(10')의 플렌지(11')를 끼워주는 찬넬(10') 끼움단계가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벽체(A)가 시공되는 벽체(A)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상,하부에 설치되는 벽패널(B)과 벽패널(B)사이에 공간부(26)가 형성되도록 찬넬(10)의 전면에 용접되는 └형 걸림부재(12)간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하여 용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방법 이외에도 고강도 벽패널(B)을 이용한 또 다른 벽체(A) 시공방법은 천정(40)과 슬라브(41) 사이에 H형 단면의 H형강(30)을 수직으로 설치하는 H형강(30) 설치단계와; 상기 설치된 H형강(30)의 플렌지(31)에 다수개의 └형 걸림부재(12)를 용접하는 용접단계와; 상기 ┌형 브라켓(24)이 형성된 벽패널(B)의 끼움홈(25) 내측으로 H형강(30)의 플렌지(31)가 삽입되도록 벽패널(B)을 H형강(30)의 측면에서 끼우되, 상기 벽패널(B)의 ┌형 브라켓(24)이 H형강(30)의 └형 걸림부재(12) 상측에 거치될 수 있도록 벽패널(B)을 H형강(3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끼워주는 벽패널(B) 끼움단계와; 상기 방식에 의하여 H형강(30)에 벽패널(B)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벽패널(B) 타측면의 끼움홈(25')에 또 다른 H형강(30')의 플렌지(31')를 끼워주는 H형강(30') 끼움단계가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벽체(A)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천정(40)과 슬라브(41)사이에 설치되는 찬넬(10) 설치단계와 상기 찬넬(10)의 전면에 └형 걸림부재(12)를 용접하는 용접단계와 상기 찬넬(10)의 플렌지(11)가 삽입되도록 벽패널(B)을 끼워주는 끼움단계와 상기 고정된 벽패널(B)의 일측에 또 다른 찬넬(10')을 끼워주는 끼움단계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벽체(A) 시공과정을 4단계로 구분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찬넬(10)의 전면으로 다수개의 └형 걸림부재(12)를 용접한 상태에서 상기 찬넬(10)의 하측에 벽패널(B)을 먼저 설치한 후 상측에 벽패널(B)을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설치방법은 ┌형 브라켓(24)이 형성된 벽패널(B)의 끼움홈(25) 내측으로 찬넬(10)의 플렌지(11)가 삽입되도록 벽패널(B)을 찬넬(10)의 측면에서 끼우되 상기 벽패널(B)의 ┌형 브라켓(24)이 찬넬(10)의 └형 걸림부재(12) 상측에 거치될 수 있도록 벽패널(B)을 찬넬(1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끼워주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벽패널(B)을 끼운 상태에서 일측에 도시된 또 다른 찬넬(10')의 플렌지(11')를 벽패널(B) 타측면의 끼움홈(25')에 삽입하되 상기 찬넬(10')의 전면부에 용접된 └형 걸림부재(12)가 상기 벽패널(B)의 ┌형 브라켓(24)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찬넬(10')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워 주는 것이며 타측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찬넬(10)과 벽패널(B)은 연속적으로 벽체(A)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내고자 도시한 것이며 일측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형 걸림부재(12)는 찬넬(10),(10')의 전면에 용접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와 같이 콘크리트(42)가 타설된 벽패널(B)을 이용하여 시공된 벽체(A)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2의 벽체(A)가 천정(40)과 슬라브(41) 사이에 체결되는 상태의 측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천정(40)과 슬라브(41)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찬넬(10)을 설치하고 상기 찬넬(10)의 플렌지(11)가 ┌형 브라켓(24)이 형성된 벽패널(B)의 끼움홈(25)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상태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기 위하여 결합상태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것이며 상기 좌,우측에 설치된 벽패널(B)과 벽패널(B)사이 및 상,하부에 설치된 벽패널(B)과 벽패널(B)사이의 공간부(26)에는 별도의 마감재(27)를 이용하여 코킹처리함으로서 벽체(A) 전면에서 미려한 외관디자인이 연출되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실시 가능한 H형 단면의 H형강(30)을 이용한 벽체(A) 시공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H형강(30)의 플렌지(31) 전면으로 다수개의 └형 걸림부재(12)를 용접하고 ┌형 브라켓(24)이 형성된 벽패널(A)의 끼움홈(25) 내측으로 상기 H형강(30)의 플렌지(31)와 플렌지(31)가 삽입되도록 H형강(30)의 측면에서 벽패널(B)을 끼우되 상기 벽패널(B)의 ┌형 브라켓(24)이 H형강(30)의 └형 걸림부재(12) 상측에 거치될 수 있도록 벽패널(B)을 H형강(3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끼워주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벽패널(B)을 끼운 상태에서 일측에 도시된 또 다른 H형강(30')의 플렌지(31')를 벽패널(B) 타측면의 끼움홈(25')에 삽입하되 상기 H형강(30')의 전면부에 용접된 └형 걸림부재(12)가 상기 벽패널(B)의 ┌형 브라켓(24)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H형강(30')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워 주는 것이며 타측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H형강(30)과 벽패널(B)은 연속적으로 벽체(A)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내고자 도시한 것이며 일측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형 걸림부재(12)는 H형강(30),(30')의 플렌지에 용접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찬넬(10)과 └형 걸림부재(12)간의 용접점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 좌측에 도시된 벽체(A)는 찬넬(10)의 전면부 상측에 용접되는 └형 걸림부재(12)가 하측에 용접된 └형 걸림부재(12)와 상호 근거리에 위치하도록 용접함으로서 상,하측에 벽패널(B)을 설치시 미세한 공간부(26)를 형성하는 것이며 우측에 도시된 벽체(A)는 찬넬(10) 상측에 용접되는 └형 걸림부재(12)가 하측에 용접된 └형 걸림부재(12)와 상호 원거리에 위치하도록 용접함으로서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상,하측에 벽패널(B)을 설치시 충분한 공간부(26)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접점의 위치에 따라 간단하게 벽패널(B)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천정(40)과 슬라브(41) 사이에 벽체(A)를 시공하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상기 벽패널(B)과 벽패널(B) 사이에 생기는 공간부(26)에는 마감재(27)를 이용하여 코킹처리함으로서 간단하게 벽체(A)시공이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벽패널(B)의 분리사시도를 저면에서 도시한 것으로서 프레임(20)의 가장자리부를 ㄱ형상으로 절곡시킨 ㄱ형 단면의 멤버(21)로 형성된 금속제 프레임(20)의 ㄱ형 단면 멤버(21) 내측 사방향에는 ㄴ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보강멤버(22)를 ㄱ형 단면의 멤버(21) 하부면에 각각 용접하여 구성하고 상기 ㄴ형 단면의 보강멤버(22) 하부면에는 격자형상으로 구성된 철망(23)을 용접한 것이며 상기와 같이 용접작업을 통하여 형성된 프레임(20)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상호 대응하는 ㄴ형 보강멤버(22)의 상측 전,후부에 ┌형 브라켓(24)을 양측으로 각각 용접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 콘크리트(42)를 타설하여 양생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규격화된 크기로 제공되는 고강도 벽패널을 이용하여 천정과 슬라브 사이에 설치된 찬넬의 플렌지에 끼워 시공함으로서 상기 벽패널을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되고 상기 찬넬의 전면으로 └형 걸림부재를 용접하여 벽패널의 ┌형 브라켓을 거치함으로서 볼트사용에 따른 불필요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상기 └형 걸림부재의 용접점 위치에 따라 벽패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간편한 시공이 연출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자명한 사실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5는 H형강을 이용한 벽체 시공도
도 6은 찬넬과 └형 걸림부재간의 용접점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벽패널의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벽체 B-벽패널
10,10'-찬넬 11,11',31,31'-플렌지
12-└형 걸림부재 24-┌형 브라켓
25,25'-끼움홈 26-공간부
30,30'-H형강

Claims (3)

  1. 고강도 벽패널(B)을 이용한 벽체(A) 시공방법에 있어서,
    ㄷ형 단면의 찬넬(10)을 수직으로 설치하는 찬넬(10) 설치단계와;
    상기 설치된 찬넬(10)의 전면부에 다수개의 └형 걸림부재(12)를 용접하는 용접단계와;
    상기 ┌형 브라켓(24)이 형성된 벽패널(B)의 끼움홈(25) 내측으로 찬넬(10)의 플렌지(11)가 삽입되도록 벽패널(B)을 찬넬(10)의 측면에서 끼우되, 상기 벽패널(B)의 ┌형 브라켓(24)이 찬넬(10)의 └형 걸림부재(12) 상측에 거치될 수 있도록 벽패널(B)을 찬넬(1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끼워주는 벽패널(B) 끼움단계와;
    상기 방식에 의하여 찬넬(10)에 벽패널(B)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벽패널(B) 타측면의 끼움홈(25')에 또 다른 찬넬(10')의 플렌지(11')를 끼워주는 찬넬(10') 끼움단계가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벽체(A)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방법.
  2. 고강도 벽패널(B)을 이용한 벽체(A) 시공방법에 있어서,
    H형 단면의 H형강(30)을 수직으로 설치하는 H형강(30) 설치단계와;
    상기 설치된 H형강(30)의 플렌지(31)에 다수개의 └형 걸림부재(12)를 용접하는 용접단계와;
    상기 ┌형 브라켓(24)이 형성된 벽패널(B)의 끼움홈(25) 내측으로 H형강(30)의 플렌지(31)가 삽입되도록 벽패널(B)을 H형강(30)의 측면에서 끼우되, 상기 벽패널(B)의 ┌형 브라켓(24)이 H형강(30)의 └형 걸림부재(12) 상측에 거치될 수 있도록 벽패널(B)을 H형강(3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끼워주는 벽패널(B) 끼움단계와;
    상기 방식에 의하여 H형강(30)에 벽패널(B)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벽패널(B) 타측면의 끼움홈(25')에 또 다른 H형강(30')의 플렌지(31')를 끼워주는 H형강(30') 끼움단계가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벽체(A)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에 설치되는 벽패널(B)과 벽패널(B)사이에 공간부(26)가 형성되도록 찬넬(10)의 전면에 용접되는 └형 걸림부재(12)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방법.
KR1020040002974A 2004-01-15 2004-01-15 벽체 시공방법 KR100598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974A KR100598861B1 (ko) 2004-01-15 2004-01-15 벽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974A KR100598861B1 (ko) 2004-01-15 2004-01-15 벽체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481A true KR20050075481A (ko) 2005-07-21
KR100598861B1 KR100598861B1 (ko) 2006-07-10

Family

ID=3726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974A KR100598861B1 (ko) 2004-01-15 2004-01-15 벽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9160A (zh) * 2019-08-20 2019-11-12 新昌县营道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幕墙及其装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9160A (zh) * 2019-08-20 2019-11-12 新昌县营道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幕墙及其装拆方法
CN110439160B (zh) * 2019-08-20 2020-05-12 温州利维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幕墙及其装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8861B1 (ko) 200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641B1 (ko) 거푸집 선조립형 기둥 구조물
EP2567033A1 (en) A building structure
KR102317808B1 (ko)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054364B1 (ko) 측판 분할형 선조립 경량 거푸집
CN110206295A (zh) 一种木框承接板
KR101791248B1 (ko) 조적조벽 내진보강구조
KR102376908B1 (ko) 지수판 고정구조가 일체화된 다이아프램 월의 스탑엔드
KR101552226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JP4883692B2 (ja)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および防音パネルの取付方法
KR101427208B1 (ko) 모듈러 거푸집이 구비된 선조립 골조
KR100598861B1 (ko) 벽체 시공방법
KR101664668B1 (ko)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KR20120028198A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JP4027830B2 (ja) 内リブ付h形鋼を用いた鋼コンクリート合成地下壁
KR101847105B1 (ko)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용 철골조립체와 영구거푸집 패널의 고정 구조
EP1840270B1 (en) Soundabsorbing and/or soundproofing sectional module for a soundproofing wall
KR100757318B1 (ko) 문틀용 거푸집
CN114941440B (zh) 涉水房间alc板材安装方法
JP7244327B2 (ja) ピット蓋受け部材及びピット形成方法
CN209855220U (zh) 一种便于安装拆卸的建筑钢模板
KR102625281B1 (ko) 현장 절곡 제작형 비탈형 보 거푸집의 제작 방법
JP5339832B2 (ja) ベタ基礎外周立上り部の型枠取付け金物
CN113580334B (zh) 可调双t板模具及其使用方法
KR102620108B1 (ko) 제조·조립분리형 비탈형 보 거푸집의 시공방법
CN220318861U (zh) 预设砖墙与预制窗的预制式组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