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367A - 경첩 - Google Patents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367A
KR20050074367A KR1020050051568A KR20050051568A KR20050074367A KR 20050074367 A KR20050074367 A KR 20050074367A KR 1020050051568 A KR1020050051568 A KR 1020050051568A KR 20050051568 A KR20050051568 A KR 20050051568A KR 20050074367 A KR20050074367 A KR 20050074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nnecting pipe
shaft
fixing plat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4159B1 (ko
Inventor
이대훈
Original Assignee
이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훈 filed Critical 이대훈
Priority to KR1020050051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159B1/ko
Publication of KR2005007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2Lubric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8Lubr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첩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첩의 회전축이 되는 축봉의 결합을 견고히 하여 경첩의 내구성을 증진케함과 동시에 축봉 외면에 윤활유의 주입이 가능케하여 원활한 회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머리부(42)(42')가 형성된 상부 축봉(40)과 하부 축봉(40')을 문틀고정판(20)에 구성된 연결관체(21) 양측에서 끼워 상하부 축봉(40)(40')의 선단부(41)(41')가 문고정판(30)의 연결관체(31) 내에서 접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상하부 축봉(40)(40')을 스폿용접하여 이들이 일체형으로 용접구성되게 하고, 연결관체(31) 일측에 관통공(50)을 뚫어 연결관체(31) 내에 주유가능케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경첩{A HINGE}
본 발명은 경첩을 구성함에 있어서, 문틀고정판과 문고정판에 구성된 연결관체를 나란히 일치시킨 다음 축봉으로 이들을 연결구성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하되, 연결관체를 결합하는 축봉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축봉을 축으로 회전하는 연결관체의 회전작동이 소음없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경첩을 구성하는 문틀고정판과 문고정판이 한장의 판상으로 된 경첩을 구성하되, 문틀고정판과 문고정판에 구성된 연결관체를 나란히 일치시킨 다음 축봉 끼워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경첩은 여러 형태의 제품들이 제공된 바 있다.
한 예로서 본 발명자가 특허출원 제2005-42799호 "경첩"으로 선출원한 발명이 있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문틀고정판(200)과 문고정판(300)에 구성된 연결관체(230)(330)를 나란히 일치시킨 다음 연결관체(230)(330) 내를 머리부(510)가 형성된 축봉(500)을 끼워, 축봉(500)의 상단부가 문틀고정판(200)에 구성된 연결관체(23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연결관체(230)를 관통한 축봉(500)의 상단부를 리벳팅기로 리벳팅 가공하여 걸림부(520)가 형성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축봉(500)의 상하단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머리부(510)와 걸림부(520)에 의해 문틀고정판(200)과 문고정판(300)에 구성된 연결관체(230)(330)를 지지케 하므로서 경첩(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즉 문틀고정판(200)과 문고정판(300)에 구성된 연결관체(230)(330)를 나란히 일치시킨 다음 머리부(510)가 형성된 축봉(500)을 끼우고 연결관체(230)(330)를 관통한 축봉(500)의 상단부를 리벳팅기로 리벳가공하여 걸림부(520)가 형성되게 한 것이나 철봉으로 구성된 축봉(500)을 리벳팅기로 리벳작업하여 형성되는 걸림부(520)의 크기가 극히 미미하기 때문에 축봉(500) 하단부에 구성되는 머리부(510)와는 형상이 다르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축봉(500) 상단부를 리벳팅기로 리벳작업할 때 형성되는 걸림부(520)가 축봉(500)이 연결관체(230)로 부터 겨우 빠지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축봉(500) 하단에 위치한 머리부(510)와는 크기가 달라 균형이 맞지 않게 되므로 외관상 어색한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현재까지 제공되고 있는 모든 경첩의 구성은 문틀고정판과 문고정판에 구성된 연결관체에 축봉이 끼워지면서 연결관체 상하부 및 연결부위가 모두 와샤 등으로 밀폐되어 있어 연결관체 내에 원활한 회전작동을 위한 윤활유를 주입할 수 있는 틈이 없기 때문에 윤활유의 주입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경첩의 회전작동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단점을 시정하고자 문틀고정판과 문고정판에 구성된 연결관체를 나란히 일치시킨 다음 연결관체 내에 축봉을 끼워 조립하여서된 경첩을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관체를 조립하는 축봉의 결합이 견고하게 구성하여 경첩의 내구성을 증진케함과 동시에, 축봉이 끼워진 관체 내에 윤활유의 주유가 가능케하여 원활한 회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첩을 구성하는 연결관체 내에 축봉을 끼워 조립구성하는 경첩을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관체 내에 끼워지는 축봉을 상하 분할구성하되, 외측단부에는 머리부가 형성되게 하여, 경첩의 연결관체 상하부에서 축봉을 끼워 내측단부가 연결관체 내에서 서로 접하게 하고, 동시에 머리부는 연결관체 외측에 걸려지게 한 다음 스폿 용접하여 연결관체 내에서 접촉한 축봉의 내측단부가 용접되게 하므로서 상하 축봉이 일체형으로 용접구성되게 하고, 동시에 문고정판에 구성된 연결관체 일측에는 관통공을 뚫어 필요한 경우에 연결관체 내에 주유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용접시 관통공을 통하여 용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경첩(10)의 요부단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경첩(10) 역시 문틀고정판(20)과 문고정판(30)으로 구성하되, 상기 문틀고정판(20)과 문고정판(30) 일측에는 연결관체(21)(31)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체(21)(31)를 나란히 일치시킨 다음 연결관체(21)(31) 내에 축봉을 끼워 경첩이 구성되게 한다는 것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첩과 다를 바 없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요지는 연결관체(21)(31)에 끼워지는 축봉을 반분하여 상하부 축봉(40)(40')으로 분리구성한 다음 이들을 연결관체(21)(31) 상하에 끼운 다음 내측단부가 연결관체(31) 내에서 서로 접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스폿 용접하여 상하부 축봉(40)(40')이 일체형으로 용접되게 한다는 것과, 연결관체(31) 일측 중앙에 관통공(50)을 뚫어 구성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요지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 경첩(10)에 사용되는 축봉은 상부 축봉(40)과 하부 축봉(40')으로 분리구성하되, 상하부 축봉(40)(40') 외측단부에는 머리부(42)(42')가 형성되게 하고, 내측선단부(41)(41')에는 경사절삭면이 형성되게 하여 내측단부가 침상형으로 구성되게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상부 축봉(40)은 경첩(10)에 구성된 문틀고정판(20)의 연결관체(21) 윗쪽에서 끼워 머리부(42)가 연결관체(21) 외측면에 걸려지게 하고, 내측에 구성된 선단부(41)는 문고정판(30)의 연결관체(31) 내면 중앙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하부 축봉(40')을 문틀고정판(20)의 연결관체(21) 아랫쪽에서 끼워 머리부(42')가 연결관체(21) 외측면에 걸려지게 하고, 내측에 구성된 선단부(41')는 문고정판(30)의 연결관체(31) 내면 중앙에 위치하면서 도 1에서와 같이 상부 축봉(40)의 선단부(41)와 접하게 한다.
이때 연결관체(21)(31) 사이에는 와샤와 끼워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하부 축봉(40)(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부(11)가 형성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연결관체(21)(31) 사이에 위치한 개방부(11)를 통하여 통상의 스폿용접하므로서 상하부 축봉(40)(40')의 선단부(41)(41')가 서로 견고히 일체형으로 용접된다.
이때 상하부 축봉(40)(40')의 내측 선단부(41)(41')에는 침상형의 경사절삭면이 형성되어있어 전류를 중앙으로 유도케하므로서 보다 원활한 스폿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연결관체(21)(31) 사이에 형성된 개방부(11)를 통하여 상하부 축봉(40)(40')을 스폿용접하여 이들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한 상태에서 연결관체(21)(31) 사이에 형성된 개방부(11)에 "U" 형태로 절곡구성된 절곡편(12')을 끼운 다음 가압하여 절곡편(12')의 확개부가 링 형상으로 절곡되면서 와샤(12)가 형성되게 하므로서 개방부(11)에 와샤(12)가 끼워지게 한다.
또한 문고정판(30) 일측에 구성된 연결관체(31) 중앙에는 관통공(50)을 뚫어 구성하되, 상기 관통공(50)을 통하여 연결관체(31) 내에서 용접되는 상하부 축봉(40)(40')의 용접상태를 용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 중 연결관체(31) 내에 윤활유를 주입하여 경첩(10)의 회전시 마찰 소음 없이 부드러운 회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경첩(10)을 구성하는 연결관체(21)(31) 내에 상하부 축봉(40)(40')을 끼운 다음 스폿용접하여 이들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하되, 상기 스폿용접을 실시함에 있어서 연결관체(21)(31) 사이에 형성되 개방부(11)를 통하여 용접하지 않고, 상하부 축봉(40)(40')의 외측단부에 구성된 머리부 (42)(42') 외면을 통하여 스폿 용접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연결관체(21)(31) 사이에 위치하는 개방부(11)에 와샤를 먼저 끼운 다음 스폿용접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60)은 체결공, (61)은 걸림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문틀고정판(20)과 문고정판(30)일측에 구성된 연결관체(21)(31)를 나란히 일치시킨 다음 상기 연결관체(21) 양측에서 머리부(42)(42')가 형성된 상하부 축봉(40)(40')을 끼워, 상하부 축봉(40)(40')의 선단부(41)(41')가 연결관체(31) 내에서 서로 접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스폿용접하여 일체형으로 용접되게 하므로서 연결관체(21) 외측면에 머리부(42)(42')가 위치하면서 지지하게 되므로 경첩(10)의 사용 중 문의 하중이 경첩(10)에 적용되더라도 일체형으로 용접구성된 상하부 축봉(40)(40')의 머리부(42)(42')가 이를 지지하여 경첩(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경첩(10)의 장기간 사용에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문처짐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문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문고정판(30) 일측에 구성된 연결관체(31)에 뚫린 관통공(50)에는 구리스와 같은 윤활유를 주입하여 경첩(10)의 회전 작동시 마찰을 최소화하여 부드러운 회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연결관체(31)에 뚫린 관통공(50)은 일반 경첩의 연결관체 중앙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구리스와 같은 윤활유를 경첩의 축봉 내에 주입할 수 있어 원활한 회전 작동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첩을 구성함에 있어서, 경첩을 구성하는 연결관체 내에 머리부가 형성된 상하부 축봉을 끼워 상하부 축봉의 선단부가 연결관체 내면에서 접촉되게 한 다음 스폿 용접하여 이들이 일체형으로 용접되게 하되, 머리부가 양측 연결관체 외측면에 위치하면서 지지되게 하여 경첩의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하며, 또한 문고정판의 연결관체 일측에는 관통공을 뚫어 구리스와 같은 윤활유를 경첩의 축봉 외면에 주입하여 회전마찰을 줄일 수 있게 하므로서 경첩의 부드러운 작동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경첩의 일요부 단면구성도
도 2 : 본 발명 경첩의 요부 단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 경첩의 정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 경첩의 사시도
도 5 : 본 발명 경첩의 분해사시도
도 6 : 종래 경첩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경첩 (11)-- 개방부
(12)-- 와샤 (12')-- 절곡편
(20)-- 문틀고정판 (21)-- 연결관체
(30)-- 문고정판 (31)-- 연결관체
(40)-- 상부 축봉 (40')-- 하부 축봉
(41)(41')-- 선단부 (42)(42')-- 머리부
(50)-- 관통공

Claims (3)

  1. 문틀고정판(20)과 문고정판(30) 일측에 구성된 연결관체(21)(31)를 나란히 일치시킨 다음 연결관체(21)(31) 내에 축봉을 끼워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토록 한 통상의 경첩을 구성함에 있어서, 경첩(10)에 구성된 연결관체(21)(31) 내에 끼워지는 축봉을 상하로 반분하여 머리부(42)가 형성된 상부 축봉(40)과 머리부(42')가 형성된 하부 축봉(40')으로 분리구성하되, 상하부 축봉(40)(40')을 양측 연결관체(21) 외측에서 끼워 머리부(42)(42')가 양측 연결관체(21) 외측면에 접하게 하고, 동시에 상하부 축봉(40)(40')의 선단부(41)(41')가 연결관체(31) 내측에서 서로 접하게 한 다음 스폿 용접하여 상하부 축봉(40)(40')의 선단부(41)(41')가 일체형으로 용접구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경첩(10)을 구성하는 연결관체(21)(31) 사이에 개방부(11)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개방부(11)를 통하여 상하부 축봉(40)(40')을 스폿용접되게 한 다음 와샤(12)가 끼워지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3. 문틀고정판(20)과 문고정판(30) 일측에 구성된 연결관체(21)(31)를 나란히 일치시킨 다음 연결관체(21)(31) 내에 축봉을 끼워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토록 한 통상의 경첩을 구성함에 있어서, 문고정판(30)에 구성된 연결관체(31) 일측에 관통공(50)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 관통공(50)을 통하여 윤활유를 주입할 수 있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KR1020050051568A 2005-06-15 2005-06-15 경첩 KR100624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568A KR100624159B1 (ko) 2005-06-15 2005-06-15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568A KR100624159B1 (ko) 2005-06-15 2005-06-15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367A true KR20050074367A (ko) 2005-07-18
KR100624159B1 KR100624159B1 (ko) 2006-09-19

Family

ID=3726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568A KR100624159B1 (ko) 2005-06-15 2005-06-15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1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85U (ko) * 2019-08-07 2020-04-20 이근식 윙바디 경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748B1 (ko) 2013-02-07 2014-08-05 황용태 탄성체를 포함하는 경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948Y1 (ko) * 1985-07-15 1990-04-07 정기선 경첩
JPH0475071U (ko) * 1990-11-09 1992-06-3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85U (ko) * 2019-08-07 2020-04-20 이근식 윙바디 경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159B1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48689C (en) Self-drilling fastening
US7357467B2 (en) Door assembly for use in a home appliance
KR100624159B1 (ko) 경첩
JP2018529892A (ja) 特に家具の側壁にシェルフを結合するための結合装置
KR20050086207A (ko) 드럼세탁기의 댐퍼 핀
CN2922776Y (zh) 具有易于打开的门的家用器具
JPH0461150B2 (ko)
KR101257109B1 (ko) 세탁기
US3475783A (en) Hinge
KR100668440B1 (ko) 경첩
KR100678675B1 (ko) 냉장고용 핸들 어셈블리
JP2003078265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フレーム結合構造
CN211400483U (zh) 一种储藏装置
KR19980055384U (ko) 이중창용 코너 브라켓트
CN211598040U (zh) 门把手铝头结构及门把手
JP3989909B2 (ja) 蝶番
KR200176180Y1 (ko) 도어힌지
KR200295811Y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조립용 브라켓트
CN215225676U (zh) 一种旋转置物架
KR930003496Y1 (ko) 냉장고용 선반걸이
KR101509779B1 (ko) 테일게이트의 힌지 구조
KR19980055382U (ko) 코너 브라켓트
KR950008152Y1 (ko) 경첩
JP4283976B2 (ja) キャビネット等の扉構造
KR200143007Y1 (ko) 창호용 t형 이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