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3544A - 도어 등의 외측 개방조작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등의 외측 개방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3544A
KR20050073544A KR1020050000416A KR20050000416A KR20050073544A KR 20050073544 A KR20050073544 A KR 20050073544A KR 1020050000416 A KR1020050000416 A KR 1020050000416A KR 20050000416 A KR20050000416 A KR 20050000416A KR 20050073544 A KR20050073544 A KR 20050073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sensors
directions
open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3507B1 (ko
Inventor
뷔르카프레데리크
벨몽쟝-마르크
위베르엠마뉴엘
Original Assignee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50073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등의 개방가능 부재의 외측 개방조작장치(10)에 관한 것으로서, 두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핸들(14), 상기 핸들(14)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하는 센서; 및 상기 핸들을 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은 상기 핸들이 상기 방향들 중 어느 한 방향으로든 이동될 때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개방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도어 개방조작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조작장치는 일 방향으로, 예를 들어 손으로 핸들을 잡아당김으로써 작동될 수도 있고, 만약 사용자의 손이 비어 있지 않다면, 타 방향으로, 예를 들어 몸으로 핸들을 밀침으로써 작동될 수도 있다. 이는 도어를 열 때 사용자가 자신의 손 하나를 비워야 할 필요성을 없앤다.

Description

도어 등의 외측 개방조작장치{EXTERNAL OPENING CONTROL FOR DOORS AND THE LIK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door) 등의 개방가능 부재의 외측 개방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잠금장치는 자동차의 상기 개방가능 부재를 닫힌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잠금장치는, 잠금장치에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외측 개방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 개방을 허용하는 캐치(catch)를 해제하는 것을 담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빈 손 또는 팔이 없을 때에는, 이로써 외측 개방조작장치를 작동시킬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이 비어 있지 않을 때에도, 제어장치의 용이한 작동을 허용하는 외측 개방조작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두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핸들, 핸들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하는 센서, 및 핸들을 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은 핸들이 상기 방향들 중 어느 한 방향으로든 이동될 때 도어개방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도어 개방조작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들은 압전(piezoelectric) 센서이다.
상기 조작장치는 모듈을 더욱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핸들은 상기 모듈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상기 센서들은 바람직하게는 모듈에 의해 보유된다.
상기 핸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방향으로 회전이동 가능하다.
제어 논리회로(control logic), 및 상기 외측 개방조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은 핸들이 상기 두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든 이동될 때 상기 개방가능 부재에 대한 개방 신호를 제어 논리회로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차량의 개방가능 부재가 또한 제공된다.
상기 개방가능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논리회로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적 잠금장치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장치는 연동/연동해제 가능한 기계적인 해제수단을 추가적으로 갖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방가능 부재는 상기 센서들에 의하여 개방 신호가 촉발된 후 전기적으로 개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외측 개방조작장치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제공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핸들, 및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의 핸들의 이동에 의해 작동되는 센서들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외측 개방조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조작장치는 일 방향으로, 예를 들어 손으로 핸들을 잡아당김으로써 작동될 수도 있고, 만약 사용자의 손이 비어 있지 않다면, 타 방향으로, 예를 들어 몸으로 핸들을 밀침으로써 작동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손 하나를 비워서 개방조작장치를 작동해야 할 필요성을 방지할뿐더러, 핸들 작동을 단순화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외측 개방조작장치(10)를 도시한다. 이 조작장치는 개방가능 부재의 잠금장치를 차량의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조작장치(10)는 차량의 개방가능 부재 내부에 조립되며, 차체 외판(external bodywork skin)(12)이 도시되어 있다. 조작장치(10)는 핸들(14)과 모듈(16)을 포함한다. 핸들(14)은 차량 외측에 있으며 개방가능 부재에 움직이지 않도록 설치된 모듈(16)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조작장치는 개방가능 부재 내에 하나의 블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X방향은 차량의 길이방향, 특히 차량의 후방을 향한 방향을 나타내며, Y방향은 차량이 진입하는 평면에서 차량에 대해 옆으로, 특히 차량의 내부로 향하는 방향이다.
이하, 차량 도어를 개방가능 부재의 일례로 취할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방가능 부재라는 용어는 해치백(hatchback) 도어나 트렁크 뚜껑 등 차량의 다른 부품들도 포괄하는 것이다. 차량 도어는 잠금장치에 의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잠금장치는 일반적으로 도어에 장착된다.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외측 개방조작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작동된다.
잠금장치는 예를 들어 전기적인 것이다. 이 경우 도어 잠금장치를 전기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모터가 구비된다. 모터는 차량의 주 전기회로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모터는 정상적인 작동조건 하에서 도어 잠금장치의 개방을 보장하는 용량을 가진다 .
더욱이, 잠금장치는 연동가능한 기계적 개방수단을 포함한다. 기계적 개방은 차량의 전력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해 준다. 사고 후에 전기공급이 중단되었지만 도어는 여전히 열릴 수 있는 경우가 바로 그런 경우이다. 외측 개방조작장치의 핸들을 조작하면 잠금장치에 연결된 케이블 또는 기계적인 로드(rod) 기구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로써 도어 잠금장치의 개방에 이르게 된다.
핸들(14)은 모듈(16)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핸들(14)은 축(18)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핸들(14)은 도 1에서 도면부호 1로 지시된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핸들은 사용자가 핸들을 쥐고 화살표(Y)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신을 향하여 당김으로써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도어는 사용자가 행하는 핸들의 이동을 따라가게 된다. 축(18)을 중심으로 하는 핸들(14)의 회전운동은 모듈(16)과 접촉하게 되는 숄더(shoulder)(2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공간(22)이 핸들(14)과 도어 외판(12) 사이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손을 집어넣어 핸들을 쥐고 잡아당길 수 있게 한다. 핸들이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도어 내의 숄더(20)는 외판(12)으로부터 약 20㎜ 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핸들이 케이블 또는 로드 기구를 통하여 잠금장치를 기계적으로 움직이는데 충분한 거리이다.
핸들은 도 1에서 도면부호 2로 지시된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이 방향으로, 핸들(14)은 사용자가 화살표(Y)에 의해 나타낸 방향으로 핸들을 밀치는 것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제2 방향(2)으로의 이동은 개방가능 부재를 향하여 가해진 압력의 결과이다. 상기 이동은 축(18)을 중심으로 하는 핸들(14)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회전은 도면부호 1에 의해 지시된 이동의 방향과 반대방향이다. 이는, 핸들을 제1 방향(1)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것을 이용하여 핸들의 이동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게 한다. 도면부호 2의 방향으로의 이동은 사용자의 몸에 의해 핸들(14)에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엉덩이로 핸들(14)을 누를 수 있다. 화살표(Y) 방향으로 핸들(14)은 예를 들어 5㎜의 거리에 걸쳐 이동되어, 센서가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이는 핸들(14)이 큰 정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장하지 않더라도 센서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숄더(20)의 허용가능한 이동거리는 5㎜로 할 수 있다.
개방조작장치(10)는 양 방향으로의 도어 이동에 의해 작동되는 센서들을 더욱 포함한다. 센서들은 핸들이 양방향으로 이동할 때 개방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센서들은 도어를 열고자 하는 사용자의 희망을 표현하는 신호를 공급한다. 신호가 생성되면 전기모터가 작동되어 잠금장치와 도어가 전기적으로 열리게 된다. 개방가능 부재는 센서들로부터의 개방 신호를 통해 전기적으로 열린다. 전기적으로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이 비어 있지 않을 때에도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센서들은 일반적으로 압전 센서이다. 양방향으로의 핸들 이동에 의해 센서가 변형되면 열려고 하는 도어를 나타내는 전기신호가 송출된다.
센서들은 예를 들어 모듈(16)에 의해 보유된다. 이는, 특히 조작장치(10)의 조립시에, 센서들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센서들은 예를 들어 숄더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모듈(16)에 대하여 위치를 변경시키는 숄더(20)의 이동에 의해 작동된다.
도어는 제어 논리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은 제어 논리회로에 개방가능 부재 해제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논리회로는 센서 신호들을 집중시킨다. 센서들 중 하나로부터의 신호 출력이 수신될 때, 제어 논리회로는 전기적 잠금장치를 작동시킨다. 제어 논리회로는 전기모터를 기동하여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도어를 개방한다. 제어 논리회로는 개방가능 부재 내에서 조작장치(10)와 별개일 수 있다. 제어 논리회로는 모듈(16)에 장착됨으로써, 특히 도어 조작장치(10)와의 동시 조립에 의해, 제어 논리회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에서, 외측 개방조작장치(10)는 (안전잠금/안전잠금 해제를 위하여) 도어 잠금장치를 연동해제하여 도어 잠금장치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 실린더(24)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외측 개방조작장치(1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사용자가 손이 하나 비어 있을 때에는, 사용자는 핸들을 잡고 화살표(Y)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자신을 향하여 잡아당길 수 있다. 핸들(14)은 축(18)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센서들 중 하나를 작동시킨다. 센서는 신호를 제어 논리회로로 출력하고, 제어 논리회로는 전기모터를 통하여 잠금장치의 전기적 해제와 도어의 개방을 개시한다. 사용자의 손이 비어 있지 않을 때에는, 사용자는 화살표(Y) 방향으로 핸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자신의 엉덩이로 핸들(14)에 타격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식 핸들은 센서들 중 다른 하나를 작동시킨다. 센서는 제어 논리회로로 신호를 출력하며, 제어 논리회로는 역시 전기모터를 통하여 잠금장치의 전기적 해제와 도어의 개방을 개시한다. 잠금장치와 도어는 개방을 위한 전기모터를 각각 가질 수도 있다.
더욱이, 도어는 전기적 조작장치에 전기를 공급할 수 없을 때의 도어의 개방을 보장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열릴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센서 작동범위를 넘어서 핸들의 회전이동을 계속하여, 케이블 또는 로드 기구를 통한 잠금장치의 해제를 달성한다. 축(18)을 중심으로 하는 핸들의 회전이동은, 예를 들어 모듈(16)에 접촉하게 되는 숄더(20)에 의해 제한된다.
본 발명이 예로서 설명한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양방향으로 도어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하여 하나의 단일 센서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비어 있는 손이 없을 때에도 자신의 손 하나를 비우지 않고서 개방조작장치를 작동시켜 도어를 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측 개방조작장치를 도시한다.

Claims (9)

  1. - 두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핸들(14);
    - 상기 핸들(14)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하는 센서; 및
    - 상기 핸들(14)을 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은 상기 핸들이 상기 방향들 중 어느 한 방향으로든 이동될 때 도어개방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도어 개방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이 압전(piezoelectric)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조작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듈(16)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핸들(14)이 상기 모듈(16)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조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이 모듈에 의해 보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조작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4)이 상기 두 방향으로 회전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조작장치.
  6. - 제어 논리회로(control logic); 및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외측 개방조작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은 상기 핸들(14)이 상기 두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든 이동될 때 상기 개방가능 부재에 대한 개방 신호를 상기 제어 논리회로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차량의 개방가능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논리회로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적 잠금장치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방가능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가 연동/연동해제 가능한 기계적인 해제수단을 추가적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방가능 부재.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가능 부재는 상기 센서들에 의하여 개방 신호가 촉발된 후 전기적으로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방가능 부재.
KR1020050000416A 2004-01-09 2005-01-04 도어 등의 외측 개방조작장치 KR100743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0178A FR2864981B1 (fr) 2004-01-09 2004-01-09 Commande d'ouverture exterieure
FR0400178 2004-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544A true KR20050073544A (ko) 2005-07-14
KR100743507B1 KR100743507B1 (ko) 2007-07-30

Family

ID=3468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416A KR100743507B1 (ko) 2004-01-09 2005-01-04 도어 등의 외측 개방조작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151635A1 (ko)
KR (1) KR100743507B1 (ko)
CN (1) CN1693638A (ko)
FR (1) FR28649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400B1 (ko) * 2011-10-31 2013-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 개방 장치
CN104047482A (zh) * 2013-03-15 2014-09-17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双重功能电子控制单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49027A1 (de) 2005-10-11 2007-04-1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Öffnen von Schlössern an Türen oder Klappen bei Fahrzeugen
PL2923019T3 (pl) * 2012-11-26 2018-01-31 Ind I Naessjoe Ab Rozbieralny zawias z zatrzaskiem bezpieczeństwa
US20140292004A1 (en) * 2013-04-01 2014-10-02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le door handle system
CN105089382B (zh) * 2014-05-13 2019-12-24 福特环球技术公司 一种动力门闩锁以及具有该动力门闩锁的车门
US10422167B2 (en) 2017-04-13 2019-09-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ush/pull handle opera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door
JP6915213B2 (ja) * 2018-08-06 2021-08-04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開閉システム
KR102157297B1 (ko) * 2018-11-27 2020-09-1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GB2580393A (en) * 2019-01-09 2020-07-22 Dyson Technology Ltd Vehicle door latch assembly
US20200240182A1 (en) * 2019-01-30 2020-07-3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Gapless door handle assemblies for vehicles including touch switches
DE102021000442B4 (de) 2021-01-29 2022-12-08 Mercedes-Benz Group AG Türgriff zur Türschlossbetätigung,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9783A (ja) * 1995-05-26 1996-12-13 Mic Electron Co 2方向レバースイッチ
DE19750023A1 (de) * 1997-11-12 1999-05-27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m Verriegeln und Entriegeln eines Türschlosses
EP0927803B1 (en) * 1997-12-05 2005-03-02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Door unlocking device for vehicle
DE19920511A1 (de) 1999-05-05 2000-11-09 Itw Ateco Gmbh Türinnengriff für Automobile
DE19930861A1 (de) * 1999-07-05 2001-01-25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Türgriff für eine Fahrzeugtür
FR2802564B1 (fr) * 1999-12-21 2002-02-15 Valeo Securite Habitacle Systeme de securite d'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quipe de commutateurs sans actionnement mecanique
FR2802962B1 (fr) * 1999-12-23 2002-02-15 Valeo Securite Habitacle Poigne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actionnement des organes de commutation
US6441512B1 (en) * 2000-03-21 2002-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hicle door latching apparatus
KR200212695Y1 (ko) 2000-08-22 2001-02-15 장신준 전자 도어락
JP3754285B2 (ja) * 2000-09-27 2006-03-08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2003082902A (ja) 2001-09-13 2003-03-19 Nec Tokin Corp 自動車用操作キー
US20030216817A1 (en) * 2002-05-16 2003-11-20 Richard Pudney Vehicle access system with sensor
JP2004003152A (ja) * 2002-05-31 2004-01-08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DE10331947A1 (de) * 2003-07-15 2005-02-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CA2539713A1 (en) * 2003-09-26 2005-04-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oor handle device and keyless entry device hav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400B1 (ko) * 2011-10-31 2013-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 개방 장치
CN104047482A (zh) * 2013-03-15 2014-09-17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双重功能电子控制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507B1 (ko) 2007-07-30
CN1693638A (zh) 2005-11-09
FR2864981A1 (fr) 2005-07-15
FR2864981B1 (fr) 2007-07-27
US20050151635A1 (en)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4760B2 (en) Anti-pinch control system for powered vehicle doors
US20050151635A1 (en) External opening control for doors and the like
US6779372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with a lock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are separate from one another
US6523376B2 (en) Lock,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doors
US7810856B2 (en) Locking system
US8904835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CN109072642B (zh) 用于打开机动车上的车门或舱盖的打开设备
JP5336381B2 (ja) 旋回式に軸支されたカメラユニットを備えた自動車用装置
US4739585A (en) Automatic deck lid closer for automotive vehicles
US10070023B2 (en) Camera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JP6989208B2 (ja) 自動車のドアハンドル
WO2003004810A2 (en) Latch arrangement
CN113574241B (zh) 用于机动车门元件的开启设备
FR2737904A1 (fr) Installation de command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avec touche multifonction d'un dispositif de commande a distance
US20200269983A1 (en) Luggage compartment arrangement with spindle drive
KR20170069485A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핸들용 도어 래치 장치
JP4598668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9945161B2 (en) Lock system for dual vehicle closures
US20050236866A1 (en) Sliding door and vehicle with a sliding door
JP3711516B2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JPH10176451A (ja) 鎖錠装置
EP3587715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unlocking a hood of a vehicle
JP3711515B2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JP4095543B2 (ja) ドア開閉装置
US20230228130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